KR20160082822A -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 Google Patents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822A
KR20160082822A KR1020140192319A KR20140192319A KR20160082822A KR 20160082822 A KR20160082822 A KR 20160082822A KR 1020140192319 A KR1020140192319 A KR 1020140192319A KR 20140192319 A KR20140192319 A KR 20140192319A KR 20160082822 A KR20160082822 A KR 20160082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reed switch
reed
driving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
신정근
박홍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시
Priority to KR102014019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822A/ko
Publication of KR2016008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6Movable parts other than toy figures, driven by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6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 A63H17/395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steered by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드스위치부; 리드스위치부의 상측부에 구비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에 다층 삽입결합되는 구동신호조절부를 포함하며, 리드스위치부는 복수 적층된 각 리드스위치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신호조절부의 삽입결합의 깊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드스위치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은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신호조절부를 단순히 삽입하는 것으로 구동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리드스위치를 수직으로 적층배열하고, 수평으로 복수배치하여, 여러개의 리드스위치가 동시에 접속되는 것을 모드화하여, 다양한 구동제어모드를 구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TOY ROBOT CONTROLLED A PRURAL REED SWITCHS OF MULTIPLE LAYER}
본 발명은 구동제어 가능한 완구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배열한 리드스위치를 복수개 구비하여, 여러 리드스위치의 접속여부에 따라 기 설정된 다양한 구동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완구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완구용 로봇의 구동제어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원격조정용 무선 리모컨이다. 리모컨을 이용하여 로봇의 구동제어를 하는 기술은 한국특허공개 제10-2008-0095969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대전형(전투형) 로봇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리모컨을 자유롭게 조작하지 못하는 유아나 영아의 완구용 로봇의 경우, 리모컨과 다른 구동모드의 제어가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한국특허공개 제10-2008-0095969호(2008.10.30)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은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신호조절부를 단순히 삽입하는 것으로 구동제어를 하고자 한다.
둘째, 리드스위치를 수직으로 적층배열하고, 수평으로 복수배치하여 다양한 구동제어모드를 작동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드스위치부; 리드스위치부의 상측부에 구비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에 다층 삽입결합되는 구동신호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스위치부는 복수 적층된 각 리드스위치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신호조절부의 삽입결합의 깊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드스위치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측부는 몸체에 탈장착 가능한 커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는 상기 커버의 상측에 돌출구비되거나, 커버의 내측에 함몰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착부의 내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구동신호조절부의 하측에서 안착홈에 삽입되는 대응면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착부의 내면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구동신호조절부의 하측에서 안착돌기를 삽입시키는 대응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의 내부에는 구동자석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 내부 일측에는 리드스위치부의 접속 여부에 따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가 하나의 리드스위치로 제어하는 때에는, 다층배열된 일 리드스위치가 접속되면 기 설정된 구동모드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가 복수의 리드스위치로 제어하는 때에는, 다층배열된 일 리드스위치의 접속과 타 리드스위치의 접속이 동시에 일어난 경우, 기 설정된 구동모드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에는 삽입하고자 설정된 하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에는 삽입하고자 설정된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에는 안착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의 내부에는 구동자석이 배치되며, 구동자석의 자력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일측에는 장애물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신호조절부를 단순히 삽입하는 것으로 구동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리드스위치를 수직으로 적층배열하고, 수평으로 복수배치하여, 여러개의 리드스위치가 동시에 접속되는 것을 모드화하여, 다양한 구동제어모드를 구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로봇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스위치부의 배치위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리드스위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리드스위치부에 대응되는 구동신호조절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부와 리드스위치부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리드스위치(reed switch)를 설명한다. 리드스위치는 2개의 자성 리드조각이 평상시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열린 상태(비접속상태)로 놓어 있다가, 자석을 접근시키면 2개의 리드조각을 통해 자기회로가 되어 2개의 리드는 끌어당겨져 접속상태로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온/오프 접속 스위칭을 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스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다층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 즉 4개(복수개)의 리드스위치가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드스위치는 수직방향으로 다층배열되어 있고, 다층배열된 리드스위치가 복수개 이격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20); 몸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드스위치부(200); 리드스위치부(200)의 상측부에 구비되는 안착부(40) 및 안착부(40)에 다층 삽입결합되는 구동신호조절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리드스위치부(200)는 복수 적층된 각 리드스위치로 구비되어, 구동신호조절부(100)의 삽입결합의 깊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드스위치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40)는 리드스위치부(200)의 상측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자력의 영향을 리드스위치의 접속에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몸체의 상층부는 일반적인 몸체일 수도 있으나, 상측부는 몸체(20)에 탈장착 가능한 커버(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리드스위치부(200)의 오작동 등 수리를 위해 탈장착을 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서 커버(30)가 리드스위치부(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부분을 통해 리드스위치부(200)에 접근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40)는 커버(30)의 상측에 돌출구비되거나, 커버(30)의 내측에 함몰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커버(30)의 내측에 함몰구비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양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을 통한 다층안착의 본질적 기술구성이 동일함은 물론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40)의 내면에는 안착홈(40_a)(40_b)(40_c)(40_d)이 형성되고, 구동신호조절부(100)의 하측에서 안착홈에 삽입되는 대응면에는 안착돌기(100_a)(100_b)(100_c)(100_d)가 형성되는 제1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안착부(40)의 내면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구동신호조절부(100)의 하측에서 안착돌기를 삽입시키는 대응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 실시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100)의 내부에는 구동자석(110)이 배치되며, 구동신호조절부(100)의 삽입깊이에 따라 구동자석(110)의 자력이 리드스위치의 좁속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 도 5에서 구동신호조절부(100)의 a4층 안착돌기(100_a4)가 안착부(40)의 a1층 안착홈(40_a1)에 삽입안착되면, 리드스위치부(200)의 a1층 리드스위치(200_a1)가 접속되게 된다. 이때 기 설정된 구동모드가 작동되게 된다.
나아가 구동신호조절부(100)를 보다 아래로 삽입시키면, 구동신호조절부(100)의 a3층 안착돌기(100_a3)가 안착부(40)의 a2층 안착홈(40_a2)에 삽입안착되면, 리드스위치부(200)의 a2층 리드스위치(200_a2)도 접속되게 된다. 이때도 기 설정된 구동모드가 작동되게 될 것이다.
즉 수직으로 다층배열된 리드스위치의 개수만큼 구동모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몸체(20) 내부 일측에는 리드스위치부(200)의 접속 여부에 따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0)가 도 5의 도시된 예와 같이, 하나의 리드스위치로 제어하는 때에는, 다층배열된 일 리드스위치(200_a1,a2,a3,a4)가 접속되면 기 설정된 구동모드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수직으로 다층배열된 구조만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구동모드의 개수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다층배열된 리드스위치를 복수개 배치하여 더욱 많은 구동모드를 만들어 내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0)가 복수의 리드스위치로 제어하는 때에는, 다층배열된 일 리드스위치(200_a)의 접속과 타 리드스위치(200_c)의 접속이 동시에 일어난 경우, 기 설정된 구동모드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도 3, 4 참조), 일 리드스위치(200_a)에서는 구동신호조절부(100)의 하향삽입에 의해 a1층 리드스위치(200_a1) 및 a2층 리드스위치(200_a2)가 접속된 상태이고, 타 리드스위치(200_c)에서는 구동신호조절부(100)의 하향삽입에 의해 c1층 리드스위치(200_c1)이 접속된 상태인 경우, 제어부에 이러한 접속의 경우의 수에 따른 구동모드를 기설정해두고, 조건이 만족되면 구동모드가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100)는 유아용 내지 어린이용 완구로봇에 사용되는 경우, 도 1과 같이 만화영화 주인공의 캐릭터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린이 사용자는 자신이 인식가능한 캐릭터(예로, 뽀로로, 토마스열차 등)로 된 구동신호조절부(100)를 안착부(40)에 결합시키면 구동모드가 작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100)에는 삽입하고자 설정된 하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로 안착홈이 4개이면 구동신호조절부도 4개가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100)에는 삽입하고자 설정된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로 안착홈이 4개라도 구동신호조절부는 1개이며, 그 1개의 구동신호조절부 하측에 4개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100)에는 안착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로 안착홈이 4개라도, 기차주행모드에 안착돌기 2개가 필요하다면 해당되는 개수의 안착돌기만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구동모드별 구동신호조절부를 만드는 경우에 적합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신호조절부(100)의 내부에는 구동자석(110)이 배치되며, 구동자석(110)의 자력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어 안착홈에 삽입되어도 구동자석(110)의 자력이 발생 또는 미발생되게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리드스위치 접속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몸체(20) 일측에는 장애물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 조작이 미숙한 어린이들에게 캐릭터로 형상화된 구동신호조절부를 삽입하는 것에 따라, 다양한 구동모드 예를 들어 기차궤도 주행모드, 자동자경주장 순환주행모드 등 다양한 모드의 구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완구용 로봇 20 : 몸체
30 : 커버
40 : 안착부 40_a : a 안착홈
40_a1 : a1층 안착홈 40_a2 : a2층 안착홈
40_a3 : a3층 안착홈 40_a4 : a4층 안착홈
100 : 구동신호조절부 100_a : a 안착돌기
100_a1 : a1층 안착돌기 100_a2 : a2층 안착돌기
100_a3 : a3층 안착돌기 100_a4 : a4층 안착돌기
110 : 구동자석
200 : 리드스위치부 200_a : a 리드스위치
200_a1 : a1층 리드스위치 200_a2 : a2층 리드스위치
200_a3 : a3층 리드스위치 200_a4 : a4층 리드스위치
300 : 제어부 400 : 전원부

Claims (13)

  1.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드스위치부;
    리드스위치부의 상측부에 구비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다층 삽입결합되는 구동신호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스위치부는 복수 적층된 각 리드스위치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신호조절부의 삽입결합의 깊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드스위치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는 몸체에 탈장착 가능한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커버의 상측에 돌출구비되거나, 커버의 내측에 함몰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내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신호조절부의 하측에서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대응면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거나,
    상기 안착부의 내면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신호조절부의 하측에서 상기 안착돌기를 삽입시키는 대응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조절부의 내부에는 구동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 일측에는 리드스위치부의 접속 여부에 따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하나의 리드스위치로 제어하는 때에는,
    다층배열된 일 리드스위치가 접속되면 기 설정된 구동모드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리드스위치로 제어하는 때에는,
    다층배열된 일 리드스위치의 접속과 타 리드스위치의 접속이 동시에 일어난 경우, 기 설정된 구동모드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9.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신호조절부에는 삽입하고자 설정된 하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신호조절부에는 삽입하고자 설정된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11.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신호조절부에는 안착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구동신호조절부의 내부에는 구동자석이 배치되며,
    구동자석의 자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 일측에는 장애물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KR1020140192319A 2014-12-29 2014-12-29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KR20160082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19A KR20160082822A (ko) 2014-12-29 2014-12-29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19A KR20160082822A (ko) 2014-12-29 2014-12-29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822A true KR20160082822A (ko) 2016-07-11

Family

ID=5649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319A KR20160082822A (ko) 2014-12-29 2014-12-29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822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521A (ja) * 1986-07-08 1988-01-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形リ−ドリレ−
KR960000543U (ko) * 1994-06-15 1996-01-17 경정렬 인형이 결합하면 움직이는 가동완구
KR20070122326A (ko) * 2006-06-26 2007-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인덕턴스 조정이 가능한 리니어리티 코일 구조
KR20080095969A (ko) 2007-04-26 2008-10-30 주식회사 로보빌더 대전형 로봇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법
JP4191676B2 (ja) * 2002-05-01 2008-12-03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ラジコン玩具及びラジコン玩具セット
KR101346271B1 (ko) * 2012-09-03 2014-01-03 주식회사 파나시아 조립구조의 리드스위치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521A (ja) * 1986-07-08 1988-01-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形リ−ドリレ−
KR960000543U (ko) * 1994-06-15 1996-01-17 경정렬 인형이 결합하면 움직이는 가동완구
JP4191676B2 (ja) * 2002-05-01 2008-12-03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ラジコン玩具及びラジコン玩具セット
KR20070122326A (ko) * 2006-06-26 2007-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인덕턴스 조정이 가능한 리니어리티 코일 구조
KR20080095969A (ko) 2007-04-26 2008-10-30 주식회사 로보빌더 대전형 로봇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101346271B1 (ko) * 2012-09-03 2014-01-03 주식회사 파나시아 조립구조의 리드스위치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8622A (ko) 회로 구축 시스템
US10476407B2 (en) Movable type magnetic suspension apparatus
EP3041592B1 (en) Selectively conductive toy building elements
JP6106360B2 (ja) 触感フィードバックを有する入力装置及びその入力装置に搭載する電磁アクチュエータ
EP3744565B1 (en) Haptic system: recline activation control
US8439757B2 (en) Interactive entertainment devices interchangeably arrangable in adjacent manner
KR101793253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CN110637336B (zh) 编程装置及记录介质、编程方法
US20180190452A1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2011074617A (ja) 扉自動開閉装置
JP2018007759A (ja) モジュール型玩具
KR20160082822A (ko) 복수의 다층배열 리드스위치로 구동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KR101513489B1 (ko) 구동제어가 용이한 로봇 물고기
US11304539B2 (en) Child support devices using layered mesh material
JP2010107376A (ja) 位置検出装置
KR101704218B1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량용 전자식 변속시스템
KR102083091B1 (ko) 코딩교육장치
KR101923557B1 (ko) 블럭완구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KR20190070159A (ko) 드론용 교육 키트
KR102539658B1 (ko) 사람-기계 상호작용 장치 및 차량
JP2007029317A (ja) 発光式形態構成玩具
JP7429238B2 (ja) 動的乗り物車両構成を有する乗り物システム
KR20150043484A (ko) 푸드 블렌더의 베이스 구조
KR20180045706A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US20060096020A1 (en) Spa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