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003A -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003A
KR20160082003A KR1020140193521A KR20140193521A KR20160082003A KR 20160082003 A KR20160082003 A KR 20160082003A KR 1020140193521 A KR1020140193521 A KR 1020140193521A KR 20140193521 A KR20140193521 A KR 20140193521A KR 20160082003 A KR20160082003 A KR 2016008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egar
acetic acid
bokbunja
activity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기
정은선
황유경
김정욱
이근하
오찬호
이창현
오미진
김선웅
Original Assignee
(주)제이온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온,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주)제이온
Priority to KR102014019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003A/ko
Publication of KR2016008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18Mann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2Acetobac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초를 만드는 단계와,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에 접종하여 식초 발효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의 식초 발효물에 부원료를 첨가하여 식초음료를 만드는 단계가 추가된다.
본 발명의 주정발효부산물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 음료는 무기질, 유기산, 비타민 C,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증진효과, 항산화 및 항균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Description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for Venegar Using Lees of Ethanol Fermentation with Berries and Venegar Beverage Thereof}
본 발명은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초산균을 배지에 접종하여 종초를 만드는 단계와,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 혼합물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식초를 발효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식초의 제조방법이다. 상기의 식초에 부원료를 첨가하여 식초음료를 만드는 단계가 추가된다.
본 발명의 주정발효부산물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 음료는 무기질, 유기산, 비타민 C,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증진효과, 항산화 및 항균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복분자(Rubus Coreanus)는 장미과의 낙엽관목이며 우리나라 남부 및 중부지방에서 재배되고, 6월 중순에서 7∼8월에 열매가 성숙되는데 둥글고 붉은색으로 익은 후 검붉은 색으로 완숙되어 단맛과 신맛,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으며, 인과 철, 칼륨, 유기산과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phenol 화합물들로 kaemferol, sanguiin H-5, 3-Ο-β-D-glucuronide, Quercetin, ferulic acid, coumaric acid, caffeic acid, rutin, luteolin 등이 보고 되었다. 복분자 나무에 관한 연구로는 잎과 줄기로부터 tannin 및 flavonoids 화합물 등에 관해 보고되어 있다. 복분자는 식용 및 약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열매는 식용, 음료 및 주류제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한방과 민방(동의보감)에서는 열매는 간을 보호하고 눈을 맑게 하며 머리털을 검게 해주며 불임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복분자 열매에 관한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며 현재까지 알려진 복분자 열매의 기능성으로는 항산화, 항균, 항알러지, 항암, 항염증, 호르몬조절, 피부미백, 비만, 간보호, 특히 대사성질환(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뛰어나다.
오디(mulberry, 학명;Morus bombycis Koidz)는 뽕나무의 열매로서 딸기와 비슷한 액과상이고 핵과는 암나무에만 매달리며, 처음에는 파랑색이나 차차 붉어지고 다 익으면 자주색에서 흑자색으로 변한다. 색소는 안토시아닌 성분으로서 시아니딘(cyanidin)계에 속한다. 오디는 보건, 강장의 효과가 널리 인정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상심주(桑酒)라고 해서 아주 귀한 술로 취급되어 왔다. 오디는 신맛이 거의 없으므로 빛이 고운 단술이 만들어진다. 오디술은 혈액순환을 도우며 신진대사를 활발히 해서 저혈압, 냉증, 불면증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오디를 착즙하면 약 80%의 즙액이 만들어지는데 그 안에는 당분이 10% 이상이나 들어 있어 단맛이 강하다.
전북의 복분자 연간 생산량은 2011년도 약 11,200톤으로 전국 생산대비 86% 차지하며, 이중 고창은 약 6,000톤으로 전국 생산대비 46%를 생산하고 있다. 전북의 오디 생산량은 연간 약 4,800톤으로 전국 생산대비 71% 차지하고 있다. 복분자주와 음료 제조 시 복분자의 10%(약 600톤) 정도의 부산물이 생성되며, 오디주 생산 후 남은 주정박의 양은 오디 중량대비 43%로 부안군에서만 연간 약 18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복분자 과실은 유리당, 인, 철 및 칼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고, 유기산과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생리활성 물질로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암활성 및 면역증진효과, 항산화 및 항균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오디는 유리당 및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항산화성 안토시아닌 색소,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 함유하고 있다.
베리류 주정발효부산물의 이화학적 성분
소재 pH 당도 (brix) 초산
(%)
수분함량
(%)
에탄올함량(%)
복분자주박 3.77±0.03 8.0±0.06 1.20±0.06 59.35±0.92 7.0±0.5
오디 주박 3.84±0.03 14.6±0.15 0.45±0.05 66.76±2.11 5.0±0.4
복분자주 제조 시 주정박은 복분자의 10%(약 600톤) 정도의 부산물이 생성되며, 오디주 생산 후 남은 주정박의 양은 오디 중량대비 43%로 부안군에서만 연간 약 18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주정발효부산물에는 에탄올이 함유되어 있어 식초로 발효시키면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페기되고 있어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더욱이 이들은 무기질, 유리당, 유기산, 항산화성 안토시아닌 색소,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면역증진효과, 항산화 및 항균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어 재활용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초를 만드는 단계와,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 혼합물에 접종하여 식초 발효하는 단계와, 식초에 부원료를 첨가하여 식초음료를 만드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주정발효 부산물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 음료는 무기질, 유기산, 비타민 C,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증진효과, 항산화 및 항균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은 주정발효 부산물인 복분자 및 오디 주박이다.
도 2는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복분자주박(RJ), 오디주박(MJ), 베리식초(BV) 대조구(BHT))
도 3은 세포생존율 측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세포 내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세포 내 Catalase(CAT)의 활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세포 내 Xanthine oxidase(XOD)의 활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발효시간별 초산 생산을 나타낸 것이다.
초산균을 배지에 접종하여 종초를 만드는 단계와,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 혼합물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식초를 발효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식초의 제조방법이다.
상기의 식초에 부원료를 첨가하여 식초음료를 만드는 단계가 추가된다.
<실시예 1>; 종초 제조
초산균의 종류는 Acetobacter posteurianus KCCM12654, Acetobacter posteurianus KCCM12655, Acetobacter aceti KCCM32409의 3종류를 사용하였다. 종초 제조시 배양조건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① 초산균 200 ul를 10 ㎖ mannitol 배지에 접종한다.
② 28℃ shaking incubator에서 72시간 배양한다.
③ 배양액 만니톨배지를 100 ㎖ 초산배지에 접종한다.
④ 28℃ shaking incubator에서 72시간 배양한다.
⑤ 배양액 를 1000 ㎖ 청주배지에 접종한다.
⑥ 28℃ incubator에서 정치배양한다.
상기에서 가 배양되는 동안 산도를 측정하여 산도 5~6%가 되었을 때 종초로 사용한다.
Figure pat00001
이상의 실험결과 Acetobacter posteurianus KCCM 12654 균주가 발효 23일째에 산도 4.0% 이상을 나타내었고, 주정발효부산물을 이용한 초산발효 실험에 이 균주를 종초로 사용하였다.
<주정발효부산물의 안전성 검토; 미생물 분석>
주박 25g을 측정하여 멸균필터백에 넣고, 멸균생리식염수 225ml를 넣는다. 멸균필터백의 입구를 닫은 후 스토마커를 이용해 3분간 균질화한다. 균질화시킨 샘플의 여과액 1ml를 취하여 3M 건조필름에 접종한다. 각 희석배수별로 3M 건조필름에 접종한 뒤 35℃ incubator에 24시간 배양한다.
실험결과
구 분 일반세균 대장균군 효모&곰팡이
복분자주박 3.4 logCFU/g 불검출 2.9 logCFU/g
오디주박 3.5 logCFU/g 불검출 3.0 logCFU/g
<실시예 2>; 주정발효부산물 함량에 따른 초산발효 실험
Aceto . posteurianus KCCM 12654 균주를 이용하여 종초를 제조한다. 복분자 주박과 오디주박을 1:1로 섞은 뒤 주박과 물의 비율을 각각 달리하여 종초를 10%가 되게 첨가한다. 28℃에 정치배양하며 초산발효 시키면서 발효기간에 따른 산도를 측정한다.
주박과 물의 함량에 따른 초산 발효
Sample Strain 주박:물 종초함량
A Aceto . posteurianus KCCM 12654 2 : 8 10%
B 4 : 6
C 6 : 4
D 8 : 2
상기의 실험결과를 통해 주박함량에 따른 초산발효 실험 결과 주박과 물의 비율 8:2인 실험군에서 발효 4일째 6% 이상의 초산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 실험군의 경우 발효 10일째에도 산도 2%를 나타내었다. 주박:물=8:2 실험군의 경우 복분자오디 주박의 배합비율 및 주박과 물의 비율을 달리하여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정발효부산물의 배합비 결정>
Aceto . posteurianus KCCM 12654 균주를 이용하여 종초를 제조한다. 복분자 주박과 오디주박의 비율을 달리하고, 주박과 물의 비율을 다르게 하여 종초를 10% 되게 첨가한다. 28℃에서 정치배양하며 초산발효 시키면서 발효기간에 따른 산도를 측정한다.
주박과 물 및 주박 비율에 따른 초산 발효
Strain sample 주박: 물 주박비율 종초함량
복분자 오디
Aceto . posteurianusKCCM12654 A-1 7 : 3 8 2 10%
A-2 7 3
B-1 8 : 2 8 2
B-2 7 3
주박의 배합비율 및 주박과 물의 비율을 달리하여 초산발효 시켰을 때, 복분자 주박과 오디주박의 비율이 7:3인 경우 발효 12일 째 더 높은 초산 생성률을 보였다(A2, B2). 또한 주박과 물의 비율이 8:2인 실험군에서 7:3인 실험군보다 초산생성이 더 높았다(B1,B2). 실험결과를 종합했을 때, 복분자주박:오디주박=7:3으로 배합 후 주박:물=8:2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B2)이 최적 조건임을 확인하였다.(도 7)
<최적조건의 설정을 통한 제조공정 표준화>
대량 식초 제조를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Aceto . posteurianus KCCM 12654 균주를 이용하여 종초를 제조한다. 복분자주박:오디주박=7:3으로 배합 후, 주박:물=8:2의 비율로 제조하여 종초를 10%가 되게 첨가한다. 위의 비율로 총 60kg 제조하여 28℃에서 초산발효시켰다.
상기의 실험결과로부터 주정발효부산물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식초 제조 시의 초산발효는 lab-scale일 경우보다 느리게 진행되었고, 발효 18일째 총산도 4.6%를 나타냈고, 이 때의 pH는 3.4를 나타내었다.
<적용예>; 식초 음료의 설계
상기와 같이 발효하여 얻은 식초에 비타민과 아미노산 강화 식초음료를 개발하고자 기능성 부원료로 비타민B군, C 등 및 아미노산으로 L-cystein, L-arginine 종류를 고려하였다.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강화음료는 일일권장섭취량이 100 mg으로 제품 내 권장함량500 mg/1개(제품)로 하고, 아미노산 L-arginine은 1,000-2,000 mg/day으로 하고, 2,000 mg/1개(제품)하였다.
<실시예 3-6>; 식초 음료의 제조
상기와 같이 발효한 식초에 복분자과즙, 오디과즙, 카라기난, 펙틴, 잔탄검, 로커스트콩검,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정제수를 혼합한 식초 음료를 제조하였다.
식초 음료 배합비
구 분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주원료 주박 식초 3 3 3 3
과즙 복분자 5 4.5 4 6
오디 5 5.5 6 4
검류 카라기난 0.6 0.5 0.4 0.3
펙틴 0.2 0.3 0.4 0.5
잔탄검 0.1 0.2 0.1 0.1
로커스트콩검 0.1 - 0.1 0.1
산미료 구연산 0.1 0.1 0.05 0.05
구연사나트륨 0.02 0.01 0.03 0.05
사과산 - 0.01 0.04 0.02
당류 설탕 - 1 1.5 2
스테비오사이드 0.11 0.1 - -
자일리톨 - 0.01 0.01 0.01
정제수 85.77 84.77 84.37 83.87
100 100 100 100
<시험예 1>; 식초 음료의 관능검사
실시예 3-6과 같이 만든 식초 음료를 대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초음료(C사제품)와 5점척도법으로 관능검사(10대, 20대, 30대 남녀 각 2명)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7에 나타냈다.
식초 음료의 관능검사 결과
구 분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대조구
신맛 4.1 4.2 4.0 4.1 4.0
개운한맛 4.2 4.3 4.1 4.2 4.1
뒷맛 4.1 4.2 4.0 4.1 4.1
기호도 4.2 4.3 4.1 4.1 4.1
상기의 관능검사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식초 음료가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초음료보다 신맛, 개운한맛, 뒷맛,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원료 및 제품의 기능성 검증
가. 재료 및 방법
1. 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는 전라북도 생물산업진흥원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시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표 8).
분석시료의 종류
순번 Sample 표기명
1 복분자 주박
(Rubus coreanus jubak)
RJ
2 오디 주박 (Mulberry jubak) MJ
3 베리 식초 (Berry vinegar) BV
2. 세포주 및 세포배양
실험에 사용한 Human keratinocyte 세포주인 HaCaT cell은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에서 분양받아 계대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시약
Fetal bovine serum(FBS), penicillin streptomycin(P/S), Trypsin-EDTA, Dulbecco’s Modified Eagle(DMEM) medium은 Gibco-BRL(Grand Island, NY, USA)에서 구입하였다. Sodium dodecyl sulfate,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melanin, Mushroom tyrosinase,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는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는 Amresco (USA), 그 외 시약은 특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kit는 xanthine oxidase activity assay kit (BioVison Inc., CA, USA), SOD determination kit (Sigma-Aldrich Inc. USA), Catalase assay kit (Cayman chemical, USA.)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4. 기기
실험에 사용한 기기는 CO2 incubator(Vision, Korea), Inverted microscope(Carl Zeiss Inc., Axiovert 25C, Germany),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 VERSAmax, Sunnyville, CA), 20W Ultraviolet B(UVB) lamp(Sankyo G20T10E, 20W, Japan), UV Light meter(UV-340, UVA+UVB, Lutron, Taiwan), Inverted microscope(Carl Zeiss Inc., Axiovert 25C, Germany) 등을 사용하였다.
5. DPPH free radical 소거능 측정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Blois 등(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을 에탄올로 희석하여 농도별로 준비한 시료 600μL에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200 μL를 넣고 교반한 후 암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시료 대신 에탄올을 넣어 측정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시료용액 무첨가군(에탄올 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6. 세포생존율 측정
계대배양중인 HaCaT 세포를 96well plate에 3×104 cells/well이 되도록 세포수를 조정한 다음,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의 5% CO2 incubator 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4시간 전에 5 ㎎/㎖ 농도로 PBS (pH 7.4)에 희석된 MTT용액 20㎕를 각 well에 처리하고, 0.1N HCl에 녹인 10% SDS 100 ㎕로 용해시켜 18시간동안 은박지로 빛을 차단하였다. 발색된 각 well의 흡광도를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해서 570nm에서 측정하고 대조군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였다(2).
7. Utraviolet B(UVB) 조사
HaCaT 세포를 3×105 cells/well이 되도록 세포수를 조정한 다음, 시료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37℃의 5% CO2의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배양액을 버리고 PBS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UV를 조사하였다. UV 조사는 20W Ultraviolet B(UVB) lamp에서 조사한 광원을 UV Light meter로 측정한 후, UVB 강도(intensity)가 0.3mW/cm2가 되는 높이에서 15 mJ/cm2를 10초간 조사하였다.
8. 세포 내 Xanthine oxidase(XOD) 활성에 미치는 영향
Figure pat00003
UVB를 조사한 HaCaT세포내 XOD Activity를 알아보기 위해 xanthine oxidase activity assay kit (BioVison Inc., C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용방법은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시행하며, 사용한 표준물질은 hydrogen peroxide (H2O2)를 사용하였다. Standard는 3차 증류수로 희석하여 0.1mM 농도로 조제한다. 조제한 표준물질과 세포의 lysate를 96well plate에 각각 50 ㎕씩 넣은 후 xanthine oxidase mixture (46 ㎕ assay buffer, 2 ㎕ substrate mix, 2 ㎕ enzyme mix)를 50 ㎕ 처리하여 즉시 microlate reader를 이용해 570nm에서 측정하고(T1, A1), 차광하여 30분 후에 다시 측정한다(T2, A2). XOD 생성량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B: the amount of H2O2 generated by XO from standard curve (in nmol)
T1: the time of the first reading (in min)
T2: the time of the second reading (in min)
A1: the absorbance of the first reading
A2: the absorbance of the second reading
V: the pretreated sample volume added into the reaction well (in ㎖)
9.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
UVB를 조사한 HaCaT세포내 SOD활성을 관찰하고자 SOD determination kit (Sigma-ldrich Inc.)를 사용하여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른 사용방법으로 시행한다. SOD 활성측정은 96 well plate에 각 시료를 20 ㎕를 넣고 희석 buffer로 희석한 WST working solution을 200 ㎕를 넣은 후 20 ㎕의 Enzyme working solution을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며, SOD농도는 bovine erythrocytes의 superoxide dismutase (Sigma-Aldrich Inc.)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구한다.
10. Catalase(CAT)의 활성 변화
Catalase activity 활성도 측정은 Cayman Catalase assay kit를 이용하여 흡광도 540nm에서 측정하였으며 결과값은 1 nmol의 Formaldehyde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Catalase의 양을 1 nmol로 하여 분당 활성정도를 단백질 1 mg 단위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11. 소재 및 제품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아미노산 분석은 Baum 등이 사용한 분석방법을 기본으로 하고 Park과 Oh의 분석방법을 약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복분자주박, 오디주박 200±5 mg, 베리식초 0.2 mL에 800 μL의 용매(methanol: chloroform: water=12:5:3)를 200 μL의 세포액 및 배양액 시료에 가하여 혼합 하였다. 혼합액을 원심분리(12,000 rpm, 4℃, 10 min)하여 수용액 층인 상등액을 1차 회수하였고, 유기용매 층에 클로로포름과 물(1:2) 혼합액 600 μL을 가하여 혼합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2차 회수하였다. 1, 2차 회수한 상등액을 합하여 혼합액을 동결건조 하였고, 초순수로 용해하여 0.45 μm PVDF 막을 통과시켜 HPL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HPLC (Waters, USA) 분석을 위해 시료는 6-aminoquioly-N-hydroxysuccinimidyl carbonate (AQC)로 유도체화 하였고, 3.9×150 mm AccQ· Tag™ (Nova-Pak™ C18, Waters) 칼럼으로 유도체들을 분리하였다. Column으로부터 유도체를 용출시키기 위하여 AccQTag Eluent A(Waters, USA)와 60% acetonitrile을 분당 1 ㎖의 유속으로 흘려주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표준 아미노산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11) 통계처리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로 하였으며, p<0.05이하를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
1.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복분자주박(RJ), 오디주박(MJ), 베리식초(BV) 대조구(BHT))
DPPH radical 소거능에 사용되는 DPPH는 자색을 띄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천연소재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검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복분자 주박, 오디주박, 베리식초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2). 양성대조군인 BHT는 농도별(1, 10, 100 ㎍/mL) 46.2 ~ 88.0 %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복분자주박은 40.7 ~ 65.4 %, 오디주박은 34.8 ~ 61.7 %, 베리식초는 36.7 ~ 43.5 %의 범위였으며, 시료 중 복분자주박 100 ㎍/mL 첨가시에 65.4±2.7 %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베리식초는 농도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가 크지는 않았다.
2. 세포생존율 측정
HaCaT세포는 피부 재생, 미백과 관련된 실험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체유래 정상 피부각질세포주이다(9). HaCaT 세포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J, MJ, BV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에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도 3). RJ는 10 ㎍/mL부터 50 ㎍/mL까지 약 90% 이상의 HaCaT 세포 생존율을 유지하였으며, 100 ㎍/mL의 농도에서는 HaCaT세포에 대해 미미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p<0.05). 또한, MJ는 100 ㎍/mL 농도에서, BV는 50배 희석액에서 약간의 세포독성이 관찰되었으며(P<0.001), 10~50 ㎍/mL의 농도에서 MJ와 100~400배 희석한 BV에서 유의성이 관찰되었으나 세포 생존율이 90%이상으로 HaCaT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후에 진행된 실험에서는 10 ㎍/mL부터 50㎍/mL까지의 RJ, MJ와 100~400배 희석한 BV를 사용하였다.
3. 세포 내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
SOD는 항산화 방어체계의 첫 번째 과정에서 독성이 강한 O2 -를 H2O2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촉매하는 효소이다(10).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내 RJ, MJ, BV처리에 따른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4). RJ와 MJ 처리군은 10, 25 ㎍/mL의 농도에서, BJ 처리군은 200~400배 희석액에서 UVB를 조사한 대조군에 비하여 활성이 낮게 나타났으나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UVB조사에 의한 항산화 작용이 관찰 되었다. SOD 활성은 으로 나타났고 RJ, BV, MJ 처리군 순서로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MJ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25.2% 증가하여 활성이 가장 증가하여 오디주박이 특히 항산화효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세포 내 Catalase(CAT)의 활성 변화
Catalase(CAT)는 SOD로 인해 생성된 H2O2를 물과 산소로 전환하는 작용을 촉매하는 역할을 한다(10).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내 RJ, MJ, BV처리에 따른 Catalase(CAT)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5). RJ, MJ처리군은 50 ㎍/mL에서 CAT 활성이 회복되었다. RJ, MJ와 BV처리군에서 Catalase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MJ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10 ㎍/mL에서 15.6%, 50 ㎍/mL 46.2%의 활성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항산화 효소 활성이 회복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HaCaT 세포의 손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5. 세포 내 Xanthine oxidase(XOD)의 활성 변화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내 RJ, MJ, BV처리에 따른 Xanthine oxid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6). RJ, MJ, BV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XOD활성이 증가하였으며 MJ처리군에서 10, 25 ㎍/mL에서 활성이 회복되었고, 특히 50 ㎍/mL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11.4% 증가하였다. RJ, BV처리군은 농도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 비교해 볼 때 XOD 활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6. 소재 및 제품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RJ, MJ, BV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 아미노산 함량은 MJ가 179.6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BV(87.4 mg/100 g), RJ(35.6 mg/100 g) 순으로 나타났다.
RJ은 lysine (9.8 mg/100 g) > Tyrosine (7.6 mg/100 g) > Asparagine (4.7 mg/100 g)의 순이었으며, MJ은 Asparagine 함량이 70.7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lysine (22.7 mg/100 g) > phenylalanine (19.4 mg/100 g) 순으로, RJ이나 BV에 비해 높은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BV는 Asparagine 함량이 37.9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phenylalanine (8.9 mg/100 g) > lysine (5.6 mg/100 g) 순으로 분석되었다.
Amino acid composition of RJ, MJ, BV
Amino acids Concentration (mg / 100g)
RJ MJ BV
Asparagine 4.7 70.7 37.9
Serine 0.6 13.5 1.3
Glutamine 0.6 5.0 5.1
Lysine 9.8 22.7 5.6
Glycine 0.5 3.3 4.4
Cystine 1.4 1.8 1.3
Histidine 1.3 4.8 3.8
Threonine 1.5 3.9 2.7
Arginine 2.5 0.9 2.6
Alanine 1.1 1.6 1.4
Proline 0.3 0.6 0.0
Tyrosine 7.6 4.3 2.9
Valine 0.0 4.7 0.8
Methionine 0.0 1.4 1.8
Isoleucine 0.0 1.1 1.5
Leucine 0.8 3.7 1.8
Phenylalanine 2.6 19.4 8.9
GABA 0.3 4.8 1.9
Ornithine 0.0 2.4 1.7
Total amino acids 35.6 170.6 87.4
<결론>
1. RJ, MJ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BV는 농도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RJ, MJ는 10~50 ㎍/mL, BV는 400, 200(dilution factor)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이 85% 이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3.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 내 SOD활성은 MJ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이 나타났다.
4.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 내 Catalase함량은 MJ와 RJ순으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MJ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50 ㎍/mL에서 46.2%의 활성 증가를 보인다.
5.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 내 XOD 함량은 MJ의 50 ㎍/mL에서 대조군에 비해 11.4% 증가하였고 RJ, BV는 별다른 영향을 보이지 않는다.
6. 총 아미노산 함량은 MJ (179.6 mg/100 g), BV (87.4 mg/100 g), RJ (35.6 mg/100 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J에서 Asparagine함량이 특히 높게 검출된다.
RJ, MJ, BV가 가지는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UVB를 조사하여 HaCaT 피부 각질세포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HaCaT 피부 각질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RJ, MJ, BV에서 총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J와 RJ에서 Asparagine과 phenylalanin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RJ와 MJ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HaCaT 세포를 이용한 세포내 항산화효소 활성에서는 MJ와 RJ순으로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어 세포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을 억제하여 세포내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에서 오디주박 및 복분자주박에서 인체 피부각질 세포인 HaCaT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과 항산화 능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주정발효부산물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 음료는 무기질, 유기산, 비타민 C,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증진효과, 항산화 및 항균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 초산균을 배지에 접종하여 종초를 만드는 단계와,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 혼합물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식초를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음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초산균의 종류는 Acetobacter posteurianus KCCM12654, Acetobacter posteurianus KCCM12655 및 Acetobacter aceti KCCM32409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음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종초 배양시 초산균을 mannitol 배지에 접종하여 28℃ shaking incubator에서 72시간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의 배양물을 초산배지에 접종하여 28℃ shaking incubator에서 72시간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의 배양액을 청주배지에 접종하여 28℃ incubator에서 정치배양하여 초산 발효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음료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초산발효물의 산도는 4% 이상 일 때 종초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음료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초산 발효는 Aceto . posteurianus KCCM 12654 균주를 이용하여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7:3∼8:2로 배합한 후, 상기의 주박과 물을 8 : 2의 비율로 만들어 종초를 10% 첨가한 후, 28℃에서 10~18일 동안 초산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음료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만든 식초를 식품위생법에서 허용하는 부원료와 혼합하여 만든 식초 음료
KR1020140193521A 2014-12-30 2014-12-30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 KR20160082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521A KR20160082003A (ko) 2014-12-30 2014-12-30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521A KR20160082003A (ko) 2014-12-30 2014-12-30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003A true KR20160082003A (ko) 2016-07-08

Family

ID=5650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521A KR20160082003A (ko) 2014-12-30 2014-12-30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0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554A (ko) * 2020-11-20 2022-05-27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복분자 착즙박을 아세토박터 파스퇴리아누스 gba5로 초산발효하여 이루어지는 식초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554A (ko) * 2020-11-20 2022-05-27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복분자 착즙박을 아세토박터 파스퇴리아누스 gba5로 초산발효하여 이루어지는 식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6021A (ko) 감귤 및 녹차 추출액을 이용한 콤부차 제조방법
KR100746591B1 (ko) 천연 항산화 기능성 배-포도 혼합식초 및 그 제조방법
CN112493480B (zh) 一种抗氧化组合物及其应用
KR101428692B1 (ko) 항산화 기능성 유기농 복분자 발효식초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3004B1 (ko) 차가버섯 균사체 발효를 이용한 오디음료의 제조방법
KR101962570B1 (ko)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기능성이 향상된 아로니아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Osiripun et al. Polypheno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kombucha fermented from different teas and fruit juices
KR102078671B1 (ko)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이 증대된 아로니아 음료 조성물
KR20160082003A (ko) 복분자 주박과 오디 주박을 이용한 식초 및 식초음료의 제조방법
Kadam et al. Ferment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ne from dried Ficus carica (L)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NCIM 3282
US20200155445A1 (en) Aged rose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30020127A (ko) 모과를 이용한 생리기능성 발효주와 그 제조방법
KR20130017431A (ko) 홍국균주를 이용한 감와인 유래의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TWI704873B (zh) 用於製備一發酵產物的方法及其所製得的發酵產物暨其應用
Shin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cherry elaeagnus (Elaeagnus multiflora Thunb.) leaf extracts
KR101567325B1 (ko) 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130077911A (ko) 죽순발효 식초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72621B1 (ko) 숙취해소 효능이 있는 오이식초의 제조방법
KR20200045762A (ko) 송순이 함유된 복분자 발효음료 조성물
KR100547048B1 (ko) 포도 즙액의 동충하초 균사체 액상 배양액을 포함하는건강 보조 식품
KR100971286B1 (ko) 피부 미백능이 있는 한방 재료의 세포독성을 저감시키는방법
KR102154716B1 (ko) 딸기와 벌꿀을 함유하는 발효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9547B1 (ko) 진홍 풋사과 식초 및 이의 용도
KR20190042174A (ko)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