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498A -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498A
KR20160080498A KR1020140192395A KR20140192395A KR20160080498A KR 20160080498 A KR20160080498 A KR 20160080498A KR 1020140192395 A KR1020140192395 A KR 1020140192395A KR 20140192395 A KR20140192395 A KR 20140192395A KR 20160080498 A KR20160080498 A KR 2016008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ating layer
heat
coating
heat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533B1 (ko
Inventor
송영민
이대열
문석민
정성실
최규식
문제세
차덕성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Priority to KR102014019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5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5Anti-sett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용매에 유기분산제와 무기바인더를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에 방열용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열용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과, 이와 같이 제조된 방열용 잉크를 기판에 코팅 및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열용 잉크가 코팅된 기판을 소성함으로써 상기 유기분산제를 기화시켜 표면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여 코팅층의 방열 특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dissipation ink and method for activating surface of coating layer}
본 발명은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분산제와 무기바인더를 이용한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화,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 신광원의 출현 등으로 방열 소재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방열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방열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방법, 기존의 소재에 적절한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 기존의 소재에 방열 소재를 코팅 및 접착하는 방법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의 탄소나노소재는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기계적 특성, 성상 조건이 우수하여 첨가제 또는 코팅제로 사용할 경우 다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분산기술과 탄소나노소재의 성상제어기술 부족으로 상용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방열성이 우수한 소재의 형상을 제어하거나, 코팅 잉크 및 페이스트의 분산성을 개선시키거나, 코팅층의 표면적을 넓혀 구조를 개선하는 등의 방식으로 연구와 상용화가 시도되고 있다.
대부분의 방열용 제품의 분산에는 유기분산제 및 바인더가 사용되고 있다. 분산제는 저분자량 타입과 고분자량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저분자량 타입은 화학 구조에 따라 음이온, 양이온, 전기적 중성 이온, 비이온계로 분류되며, 극성기의 방열용 첨가제에 표면 흡착되거나 비극성 사슬이 그 입자의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잉크에 사용되는 방열소재를 안정화 시킨다. 또한, 고분자량 타입의 경우에는 한 사슬에 상당히 많은 흡착 그룹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흡착 그룹이 방열용 첨가제 표면에 흡착되어 입체장애효과로 방열용 첨가제간 물리적 가교를 통해 분산안정화를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분산 메커니즘은 방열용 잉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지만 코팅 후 코팅층 표면에 유기분산제가 방열소재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코팅층의 표면적을 감소시켜 방열 특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무기바인더를 이용한 방열용 첨가제와 관련하여서는 공개특허 제10-2006-0016739호(발명의 명칭: 탄소나노로드, 섬유상 나노탄소 및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장치)(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가 공지되어 있지만 종래기술 1의 경우 무기바인더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나노섬유를 합성하기 위한 촉매 분산에 사용되며 연소의 문제로 인해 소성시 진공 분위기에서 제조해야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 1은 촉매 기술을 통해 합성된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하여 전자방출성, 전기전도성 및 열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한편, 방열용 잉크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처리와 관련하여 특허 제10-0977410호(발명의 명칭: 일액형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혼합액을 이용한 전자방출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계 방출 소자용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이하, “종래기술 2”라 함), 특허 제10-1163733호(발명의 명칭: 탄소나노튜브-수성고분자 복합용액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계방출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서블 전계방출소자)(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함)등이 공재되어 있다. 종래기술 2 및 종래기술 3은 탄소나노튜브를 표면에 코팅하고 접착력이 있는 테이프를 이용한 테이핑법으로 표면활성화한 후 전계방출 소자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지만, 코팅층에 돌출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만 표면 활성화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를 극대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열 성능이 우수한 방열용 잉크를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 가능하고, 이러한 방열용 잉크가 코팅된 코팅층을 활성화시켜 방열 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a) 유기용매에 유기분산제와 무기바인더를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용액에 방열용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열용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유기분산제는 끓는점이 300℃ 이하인 Triton-X, cellulose계 분산제, polyvinyl계 분산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기바인더는 비스무스(Bi), 규소(Si), 알루미늄(Al), 나트륨(Na), 주석(Sn), 아연(Zn), 바륨(Ba), 마그네슘(Mg), 납(Pb), 탈륨(Tl), 칼슘(Ca)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열용 첨가제는 탄소나노파이버, 탄소나노튜브, 그라파이트, 그래핀, 금속-탄소나노 복합소재,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실리카,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b) 단계는 볼 밀링, 롤 밀링, 어트리션 밀링, 유성 볼 밀링, 제트 밀링, 초음파 또는 스크류 혼합 밀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방열용 잉크를 기판에 코팅 및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열용 잉크가 코팅된 기판을 소성함으로써 상기 유기분산제를 기화시켜 표면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방열용 잉크의 코팅은 스프레이코팅법, 닥터블레이드법, 스크린코팅법, 롤코팅법, 스핀코팅법 또는 침적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방열용 잉크의 코팅 후 경화는 열경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소성 공정은 200℃ 이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분산제와 무기바인더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열용 잉크의 코팅 후 소성 단계를 통해 코팅층의 표면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코팅층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무기바인더에 의해서 코팅층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코팅층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과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
도 2는 유기분산제 및 유기바인더를 사용한 경우 방열용 첨가제가 분산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잉크의 표면 활성화 처리 전후의 모식도,
도 4는 소성 전후 방열용 잉크를 이용한 코팅층의 표면을 도시한 사진,
도 5은 본 발명에 따라 표면 활성화 처리된 방열용 잉크 코팅층의 방열 특성을 종래의 방법과 비교 도시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과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은 유기용매에 유기분산제와 무기바인더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이와 같이 제조된 용액에 방열용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열용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유기분산제로는 끓는점이 300℃ 이하인 Triton-X, cellulose계 분산제(CAB, CMC), polyvinyl계(PVB, PVP. PVA) 분산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바인더로는 비스무스(Bi), 규소(Si), 알루미늄(Al), 나트륨(Na), 주석(Sn), 아연(Zn), 바륨(Ba), 마그네슘(Mg), 납(Pb), 탈륨(Tl), 칼슘(Ca) 등과 같이 유기용제에 용해 가능한 산화계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혼합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열용 첨가제로는 길이가 제어된 탄소나노파이버, 탄소나노튜브, 그라파이트, 그래핀, 금속-탄소나노 복합소재,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실리카,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방열용 첨가제의 분산은 밀링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볼 밀링, 롤 밀링, 어트리션 밀링, 유성 볼 밀링, 제트 밀링, 초음파 또는 스크류 혼합 밀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방열용 잉크를 기판에 코팅할 경우 방열 특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앞서 제조된 방열용 잉크를 기판에 코팅 및 경화한다. 이 경우, 방열용 잉크의 코팅은 스프레이코팅법, 닥터블레이드법, 스크린코팅법, 롤코팅법, 스핀코팅법 또는 침적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코팅 후 경화는 열경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방열용 잉크가 코팅된 코팅층을 소성하여 코팅층 표면을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코팅층을 소성하면 분산액 제조시 방열용 첨가제 표면에 붙어있는 유기분산제가 기화됨으로써 방열용 첨가제가 코팅층 표면으로 노출되어 표면적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방열 성능이 향상된다. 이를 위해 소성 공정은 200℃ 이상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소성 온도가 200℃ 미만이면 유기분산제가 제대로 기화되지 않아 방열용 첨가제의 노출량이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결과 원하는 방열 특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나,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증류수, 알코올, 또는 유기용매에 유기분산제와 무기바인더를 용해시키고 방열용 첨가제는 90 wt.%의 농도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준비된 용액과 방열용 첨가제를 볼밀링 공정에서 최대 5시간까지 1차 혼합하면서 점도를 조절한 후 초음파 공정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방열용 잉크를 분산시켜 잉크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 방열용 첨가제는 열전도성, 전기전도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소재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0656호, 제10-2010-0018787호, 제10-2013-0118537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는 이상의 제조 조건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내용
방열용 첨가제 탄소나노튜브, 그라파이트, 그래핀, 금속-탄소나노복합재, 세라믹
용매의 종류 증류수, 에틸알코올, 유기용매
유기분산제 cellulose계, poly vinyl계
무기바인더 Alumino-silicate계, 규소계, 시그멘탈계
방열용 첨가제 농도(wt.%) 90 wt.% 이하
분산방법 볼밀링, 초음파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방열용 잉크를 기판에 스프레이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 열경화법으로 경화시켰다. 이 경우, 코팅막의 방열 특성은 코팅 두께와 방열용 첨가제의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제어가 가능하였다. 코팅층의 경화가 완료된 후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를 위해 300℃에서 1시간 동안 소성하여 코팅층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유기분산제를 기화시켰다. 소성 조건은 방열용 첨가제와 모재에 따라 200℃에서 1200℃까지 가능하며 유기분산제의 종류와 소성온도에 따라서 소성유지시간을 조절가능하다.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층의 방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도 2에 저분자량 타입 유기분산제의 분산 메커니즘을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분산제는 방열용 첨가제의 표면에 흡착되거나 비극성 사슬이 그 입자의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분산 안정화를 이루게 된다. 한편, 고분자량 타입 유기분산제의 경우 한 사슬에 상당히 많은 흡착 그룹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흡착 그룹이 방열용 첨가제 표면에 흡착하여 입체장애효과로 방열용 첨가제간 물리적 가교를 통해 분산 안정화를 이루게 된다. 분산 안정성을 위해 사용된 유기분산제에 의해 잉크의 분산성은 향상되지만 코팅된 후 코팅층 표면에 유기분산제가 방열용 첨가제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코팅층의 표면적을 감소시켜 방열 특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잉크의 코팅층을 소성 방법을 통해 표면 활성화 처리하기 전과 후의 모식도를 나타내었으며, 도 4에는 소성 전후의 코팅층 표면을 SEM으로 측정한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로부터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소성 후 코팅층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유기분산제가 기화됨으로써 코팅층의 표면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하여, 하기의 [표 2] 및 도 5에는 기존의 액상탄소나노소재 코팅층과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잉크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전후의 열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종류 유기분산제 무기바인더 표면활성화 열저항(K/W)
탄소나노소재 O X X 2.12
O O X 2.04
O O O 1.75
[표 2] 및 도 5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잉크 코팅층의 열저항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무기바인더가 첨가된 상태에서 표면 활성화 이전에도 무기바인더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보다 열저항이 소폭 낮아지는 것으로부터 무기바인더만 첨가하더라도 방열성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과 같이 표면 활성화 이후 방열 성능이 대폭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a) 유기용매에 유기분산제와 무기바인더를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용액에 방열용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열용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분산제는 끓는점이 300℃ 이하인 Triton-X, cellulose계 분산제, polyvinyl계 분산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바인더는 비스무스(Bi), 규소(Si), 알루미늄(Al), 나트륨(Na), 주석(Sn), 아연(Zn), 바륨(Ba), 마그네슘(Mg), 납(Pb), 탈륨(Tl), 칼슘(Ca)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용 첨가제는 탄소나노파이버, 탄소나노튜브, 그라파이트, 그래핀, 금속-탄소나노 복합소재,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실리카,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볼 밀링, 롤 밀링, 어트리션 밀링, 유성 볼 밀링, 제트 밀링, 초음파 또는 스크류 혼합 밀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6. (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방열용 잉크를 기판에 코팅 및 경화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방열용 잉크가 코팅된 기판을 소성함으로써 상기 유기분산제를 기화시켜 표면을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코팅은 스프레이코팅법, 닥터블레이드법, 스크린코팅법, 롤코팅법, 스핀코팅법 또는 침적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경화는 열경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200℃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KR1020140192395A 2014-12-29 2014-12-29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KR101732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95A KR101732533B1 (ko) 2014-12-29 2014-12-29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95A KR101732533B1 (ko) 2014-12-29 2014-12-29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498A true KR20160080498A (ko) 2016-07-08
KR101732533B1 KR101732533B1 (ko) 2017-05-24

Family

ID=5650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395A KR101732533B1 (ko) 2014-12-29 2014-12-29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00069A (zh) * 2022-12-23 2023-06-02 深圳稀导技术有限公司 一种散热降温油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443B1 (ko) * 2010-10-15 2012-09-20 주식회사 썬닉스 방열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제조 장치
KR101243944B1 (ko) 2010-11-02 2013-03-13 한국전기연구원 분산성이 개선된 방열 코팅용 습식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방열 코팅용 습식복합코팅막
KR101420051B1 (ko) * 2013-03-08 2014-07-18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방열용 탄소나노잉크의 제조방법 및 탄소나노잉크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00069A (zh) * 2022-12-23 2023-06-02 深圳稀导技术有限公司 一种散热降温油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533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2542B2 (en) Perovskite/polymer composite luminescent material, preparation method and use
KR101742863B1 (ko) 분산안정성이 개선된 열전도성 복합재료 코팅용액,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전도 및 방열 코팅막
KR102178678B1 (ko) 수직 배열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115004A (ja) 水系銅ペースト材料及び導電層の形成方法
KR20190115639A (ko) 투명 발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43728A (zh) 一种石墨烯有机硅橡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777691B1 (ko) 그래핀 산화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발열체
KR20190048574A (ko) 구형 그래핀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열 코팅 조성물
Liu et al. Electrophoretic deposition of fluorescent Cu and Au sheets for light-emitting diodes
US20170103824A1 (en) Conductive paste
KR101333260B1 (ko) 고열 전도성 절연 재료용 수지 조성물 및 절연 필름
KR101732533B1 (ko) 방열용 잉크의 제조방법 및 코팅층의 표면 활성화 방법
WO2010082652A1 (ja) 金属微粒子で構成される網目状構造物を内包した透明導電性膜及び透明導電性膜積層基板とその製造方法
CN112662101B (zh) 聚乙烯醇-有机膦酸@石墨烯基体膜、多层膜及其制备方法
KR101681291B1 (ko) 탄소나노튜브 기반 하이브리드 방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48950B1 (ko) 무소결 세라믹 하이브리드 기판의 층간 접속을 위한 도전성 비아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5030664A (ja) セラミックがコーティングされた黒鉛の製造方法
JP2014196384A (ja) 導電膜形成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る導電膜の製造方法
KR101573372B1 (ko) 저온 경화형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79484B1 (ko) 방열절연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27164B1 (ko)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6126B1 (ko) 무기필러 나노코팅 방법과 이 방법으로 제조된 무기필러를 이용하는 방열복합소재 및 시트
KR20170123394A (ko) 방열 특성이 향상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의 형성 방법
KR20160014409A (ko) 도전성 잉크 조성물, 도전체 및 전자 소자
CN112292346A (zh) 表面处理氮化铝的制造方法、表面处理氮化铝、树脂组合物和固化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