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438A -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438A
KR20160079438A KR1020140190786A KR20140190786A KR20160079438A KR 20160079438 A KR20160079438 A KR 20160079438A KR 1020140190786 A KR1020140190786 A KR 1020140190786A KR 20140190786 A KR20140190786 A KR 20140190786A KR 20160079438 A KR20160079438 A KR 20160079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ower seat
noise
vehicle power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세
Original Assignee
(주)세종이엠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이엠시 filed Critical (주)세종이엠시
Priority to KR102014019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9438A/ko
Publication of KR2016007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진동(振動) 및 소음(消音) 등의 이음(異音)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복수 개소에 부착되어 진동 소음을 검출하는 제1, 2, 3, 4 진동센서(2)(3)(4)(5), 제1, 2, 3, 4 진동센서(2)(3)(4)(5)의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신호입력부(11)(12)(13)(14), 제1, 2, 3, 4 진동센서(2)(3)(4)(5)로부터 각각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15)(16)(17)(18), A/D 컨버터(15)(16)(17)(18)로부터 입력되는 다채널 데이터를 수집하는 DAQ(Data Acquisition) 카드 및 그 제어부(19), 제1, 2, 3, 4 진동센서(2)(3)(4)(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측정 및 데이터 처리용 컴퓨터(20), 측정 상태, 또는 입력 상태가 화면 출력되고 각종 측정모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의 입력과 변경 및 선택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니터(25), 작업자가 채널별 이음(異音)을 청취할 수 있는 음향출력부(26)로 구성되어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진동/소음 등의 이음(異音)을 검출하여 고속으로 처리하되 일반적인 그래프 형태로 화면 출력함으로써 일반 작업자도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신속 정확하면서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Method of abnormal sound measuring and its measuring device of power seat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진동(振動) 및 소음(消音) 등의 이음(異音, 이상음)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등의 이음(異音)을 검출하여 고속으로 처리하되 일반적인 그래프 형태로 화면 출력함으로써 일반 작업자도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신속 정확하면서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자동차의 엔진소음이나 구동계 소음이 줄어들고, 차음 기술의 발달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 또한 현저히 감소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자동차 실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들이 부각되어 소비자들의 제품선택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자동차 파워시트에는 전후 슬라이딩기능, 높낮이 조절기능, 등판각도 조절기능, 히팅기능 및 착좌 감지기능 등 많게는 40여 종의 편의기능이 부가되며, 다양한 기능에 의해 부득이하게 여러 개의 연결부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각 연결부에 필요 이상의 유격이나 힘(압력)이 주어지면 기능별 동작시 해당 연결부나 또는 주위의 다른 연결부에서 정상음과 구분되는 이음(異音)이 발생되면서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자동차 파워시트 검사라인에 이음(異音) 진단장치를 마련하여 각 기능별 작동시 이음(異音)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진단하여 불량유무를 검사해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자동차 파워시트에 적용되고 있는 이음(異音) 검사기준은 단순히 소리의 크기(dB)로 판별하고 있어서 소비자들의 오감을 자극하는 감성품질에 대해서는 양,불에 대한 변별력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지금도 생산라인의 방음실에는 소음검사기가 설치되어 있으나 감성품질에 대한 판정방법이나 기준이 명확히 마련(제시)되지 않아 자동검사 및 판별이 불가능한 상태일 뿐 아니라, 방음실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정으로 검사자의 신체 상태 및 감정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아 판정의 객관성을 확보하기가 힘든 상태이다.
또한 불량 제품에 대한 유형분석 및 원인을 파악함에 있어 불량 당시의 원천 자료가 확보되지 않아 판정방법이나 기준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은 상태이며, 실험실 및 연구소에서도 불량제품 시료의 개수가 제한적이므로 판정방법이나 기준을 빠른 시간 내에 마련하기가 쉽지 않은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6552호(발명의 명칭: 시트조립체의 슬라이딩 동작 검사장치, 2005. 03. 17.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9384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소음/진동 진단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2010. 07. 09.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3143호(발명의 명칭: 차량의 시트프레임 용접검사장치, 2009. 02. 10. 특허공고)
자동차 파워시트 검사라인에 이음(異音) 진단은 비전문가인 작업자가 인지하기 어렵고 분석시간 또한 길어 생산라인에 적용하기는 부적합한 실정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고속처리가 가능하고 일반적인 그래프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일반 작업자도 이음(異音) 유무를 보다 쉽고 정확하면서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진동 이음 측정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은, (a) 복수의 진동/소음 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감지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b) 진동/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가 동작할 때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c) 감지된 진동/소음 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분리 처리한 다음 그래프 형태로 모니터에 화면 출력하는 단계, (d) 모니터 그래프 상의 주파수 밴드별 이상 파형을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e) 모니터 그래프 상의 음압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f) 모니터 그래프 상의 단발성 및 반복성 진동 소음을 분리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g)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최종 양, 불 판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장치는,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복수 개소에 부착되어 진동 소음을 검출하는 제1, 2, 3, 4 진동센서(2)(3)(4)(5); 제1, 2, 3, 4 진동센서(2)(3)(4)(5)의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신호입력부(11)(12)(13)(14); 제1, 2, 3, 4 진동센서(2)(3)(4)(5)로부터 각각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15)(16)(17)(18); A/D 컨버터(15)(16)(17)(18)로부터 입력되는 다채널 데이터를 수집하는 DAQ(Data Acquisition) 카드 및 그 제어부(19); 제1, 2, 3, 4 진동센서(2)(3)(4)(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측정 및 데이터 처리용 컴퓨터(20); 측정 상태, 또는 입력 상태가 화면 출력되고 각종 측정모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의 입력과 변경 및 선택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니터(25); 작업자가 채널별 이음(異音)을 청취할 수 있는 음향출력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팝서버(22) 및 파워시트 검사기(23)와 컴퓨터(2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진동센서에 의해 검출된 이음 측정결과는 모니터(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그래프 형태로 현장 작업자에게 바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작업자도 이음(異音)을 쉽고 정확하면서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파워시트의 이음(異音) 판정이 신속 정확히 이루어지므로 판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며, 양품의 자동차 파워시트를 차량에 장착시켜 우수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속가변형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를 사용하여 검출된 신호의 고속처리가 가능하여 판정시간(분석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파워시트의 이음(이음 및/또는 진동) 측정정보가 그래프로 제공되므로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객관성 있게 신속히 판정할 수 있어서 판정시간(분석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음(異音) 측정 과정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진동센서 부착 상태 평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진동센서 부착 상태 측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음(異音) 측정장치의 회로 블럭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대역 분리 판정기법에 따른 그래프로, 대역 분리에 의해 주파수별로 이상 파형이 감지되는 상태의 그래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대역 분리 판정기법에 따른 그래프로, 이상 파형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대역 이동평균 판정기법에 따른 그래프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대역 이동분산 판정기법에 따른 그래프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음(異音) 측정장치의 메인 화면 구성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음(異音) 측정장치의 상세보기 화면 구성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대역분리 판정기법에 따른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동평균 판정기법에 따른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
도 1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동분산 판정기법에 따른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
도 1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음(異音) 측정방법에서 에러에 따른 처리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異音, 이상음) 측정과정을 일 예로 도시한 것으로, (a) 복수의 진동/소음 감지수단, 예컨대 진동센서, 마이크로폰, 골전도 마이크로폰 등을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감지부분에 부착하고, (b) 진동/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가 동작할 때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감지하고, (c) 감지된 진동/소음 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분리 처리한 다음 그래프 형태로 모니터에 화면 출력하고, (d) 모니터 그래프 상의 주파수 밴드별 이상 파형을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고, (e) 모니터 그래프 상의 음압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고, (f) 모니터 그래프 상의 단발성 및 반복성 진동 소음을 분리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고, (g)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최종 양, 불 판정을 완료하는 단계로 된다.
상기에서, (d) 모니터 그래프 상의 주파수 밴드별 이상 파형을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e) 모니터 그래프 상의 음압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f) 모니터 그래프 상의 단발성 및 반복성 진동 소음을 분리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는 각각 진행되거나, 또는 순차적이거나 비순차적으로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2, 도 3에 예시한 것처럼,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이음(異音) 측정을 위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복수 개소에 각각의 진동/소음 감지수단, 이를테면 제1, 2, 3, 4 진동센서(2)(3)(4)(5)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부착하거나 설치한 다음 각종 편의기능을 동작시킬 때 발생되는 진동/소음 등의 이음(異音)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진동/소음 감지수단에는 예시한 제1, 2, 3, 4 진동센서(2)(3)(4)(5) 이외에도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에 부착하거나 설치한 다음 진동/소음 등의 이음(異音)을 감지하거나 검출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이나 골전도 마이크로폰이나 이어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진동센서(2)(3)가 부착 또는 설치되는 위치로는 도 2와 같이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양측 우퍼레일(upper rail)(6)(7)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제3, 4 진동센서(4)(5)가 부착 또는 설치되는 위치로는 도 3과 같이 큐션커버(Cushion Cover)(8)의 양측면이나 양측 상부면의 소정 위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1, 2 진동센서(2)(3)는 Y축 단축센서로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의 Y축으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등의 이음(異音)을 측정하여 각 부품별 불량 유무를 판정(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3, 4 진동센서(4)(5)는 일체형 3축 센서 중 X, Y축을 사용하여 트랙(Track)의 X축 무소음 진동(울렁거림 등)을 측정한다. 또한 추후 파워시트의 리프트(Lift)(높이 및 틸트) 작동검사에 대비하여 X, Y축을 측정하여 분석용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이음(異音) 측정장치(10)를 예시한 것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복수 개소에 각각 부착 또는 설치되어 이들의 진동(振動)이나 소음(消音) 등의 이음(異音)을 검출하는 제1, 2, 3, 4 진동센서(2)(3)(4)(5)와, 제1, 2, 3, 4 진동센서(2)(3)(4)(5)의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신호입력부(11)(12)(13)(14)와, 제1, 2, 3, 4 진동센서(2)(3)(4)(5)로부터 각각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15)(16)(17)(18)와, A/D 컨버터(15)(16)(17)(18)로부터 입력되는 다채널 데이터를 수집하는 DAQ(Data Acquisition) 카드 및 그 제어부(19)와, 제1, 2, 3, 4 진동센서(2)(3)(4)(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측정 및 데이터 처리용 컴퓨터(20)와, 팝서버(22) 및 파워시트 검사기(23)와 컴퓨터(2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21)와, 측정 상태, 또는 입력 상태가 화면 출력되고 각종 측정모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의 입력과 변경 및 선택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니터(25)와, 작업자가 채널별 이음(異音)을 청취할 수 있는 음향출력부(26)로 구성된다.
상기 음향출력부(26)는 스피커(Speaker) 또는 이어폰(Ear-phone)이나 헤드폰(Head-phone)일 수 있다.
상기 DAQ(Data Acquisition) 카드 및 그 제어부(19)는 사운드(Sound) 진동(Vibration)용 다채널 데이터 수집 카드로 카드 인터페이스부(도시안됨)를 포함한다.
상기 DAQ(Data Acquisition) 카드 및 그 제어부는 8채널(Channel) DAQ Card를 예로 들 수 있으며, 8채널 DAQ 카드 통신 확장용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8채널 DAQ 카드는 주파수 밴드(Band)에 의해 8개로 분리된 신호가 8채널(Channel)로 각각 입력된다. 또한 8개의 DAQ 카드의 통신포트와 연결하는 8개의 로컬 통신포트와 1개의 PC 연결 메인 통신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하여 얻어진 데이터의 활용을 살펴보면, 제1, 2 진동센서(2)(3)의 데이터는 각 레일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소음을 측정하여 주로 음파(소리)로 변환된 진동을 분석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제3 진동센서(4)는 양측 레일의 조합으로 일어나는 X축 무소음 진동(주로 저주파 대역의 소음)을 분석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또한 리프트(Lift) 작동시 X축과 Y축의 방향으로 동시에 일어나므로 제3 진동센서(4)와 제4 진동센서(5)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분석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이음(異音) 판정방법에는, 신호 대역을 주파수별로 분리시켜 이상 파형을 감지하여 판정하는 대역분리 판정기법과, 음압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여 판정하는 이동평균 판정기법과, 단발성 및 반복성 소음 진동을 분리하여 판정하는 이동분산 판정기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대역분리 판정기법의 경우, 도 5와 같이 소리로는 잘 들리지 않으나 몸의 감각으로 감지되는 영역과, 도 6과 같이 이상 파형이 감지되지 않는 영역이 있다.
따라서 진동센서(2)(3)(4)(5)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의 대역을 분리시켜 주파수별로 이상 파형을 감지하여 판정하게 된다. 이를테면, 고속가변형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가청주파수(20~20,000Hz)를 포함한 20Hz 이하의 저주파와 20,000Hz 이상의 고주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5~30,000Hz 주파수 대역을 8개의 주파수 밴드로 분리시켜 신호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사람의 경우, 소리의 음압이 같더라도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세기를 다르게 느끼므로, 그에 따라 판정치를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가청주파수 이하의 저주파 대역은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세기로 설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각 대역별 음압(音壓)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설정하여 판정 오류를 줄이도록 하고, 제품의 고유 발생 소음은 판정에서 배제시켜 정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고주파 대역에서는 작은 음압에도 자극적인 소리로 들리며, 기타 소리의 경우에도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역을 분리시켜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정과정에서 진동/소음이 발생되면, 도 5의 하단에 예시한 것처럼 분리 대역별로 이상 파형이 출력되며, 상기 이상 파형은 이음(異音)으로 불량 판정되어 해당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가 절차에 따라 수리되거나 처리된다.
또한 이동평균 판정기법의 경우, 도 7과 같이 음압 크기의 형태, 이를테면 음압의 급격한 변화(변곡점)를 파악하여 판정하게 되며, 음압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부분은 판정에서 제외된다. 예컨대, 8개 주파수 밴드(Band)별로 분리된 소리 및 진동의 전체적인 변동추이(예컨대, 배에 타고 있을 때의 울렁거림)를 분석하여 판정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판정 기준인 45dB 이하의 양품일지라도 소리의 크기가 급격히 변하는 경우(예컨대, 갑자기 커지는 위치나 작아지는 위치)이상음(異相音)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고, 소리의 크기가 서서히 커지거나 서서히 작아지면 이상음으로 간주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정시간 내에서 일정 크기 이상으로 음압이 변할 경우 변화각을 감지하여 불량으로 판정하게 되며, 상기 변화각은 임의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정과정에서 진동/소음이 발생되면, 도 7에 예시한 것처럼 음압의 변화가 심한 부분은 정상으로 판정되고, 음압의 급격한 부분, 예컨대 변곡점이 나타나면 이음(異音)으로 불량 판정되어 해당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가 절차에 따라 수리되거나 처리된다.
또한 이동분산 판정기법의 경우, 8개 주파수 밴드(Band)별로 분리된 소리 및 진동에서 단발성 및 반복성 소음 진동을 분리하여 판정하는 방법으로, 도 8과 같이 가청주파수 이하의 초저주파 대역에서의 걸림감을 감지하고, 저주파 대역에서의 "탁, 탁" 등의 단발성 이음을 감지하고, 고주파 대역에서의 "탈탈탈탈" 등의 반복성 떨림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측정과정에서 도 8에 예시한 것처럼 이음(異音) 발생으로 인해 불량 판정된 해당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는 절차에 따라 수리되거나 처리된다.
도 9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메인 화면 구성 및 기능을 도시한 것으로, 검사자나 작업자가 불량 판정 내역을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판정 기법별 내용과 주파수 밴드별 판정 내용이 표시된다.
상기 메인화면의 상단에는 복수의 버튼부, 이를테면, 검사시작버튼(A)과, 화면캡처버튼(B)과, 상세보기버튼(C)과, 출력버튼(D)과, 그래프설정버튼(E)과, 필터설정버튼(F)과, 사용환경관리버튼(G)과, 조회버튼(H)과, 각 진동센서(2)(3)(4)(5) 별로 원음을 들을 수 있는 복수의 원음듣기버튼(I)이 나열 구성된다.
상기 버튼부 하단에는, QC 불량 판정 상세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J)와, 센서별, 주파수 밴드별 판정내용을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K)와, 센서별 원음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부(L)와, 듣기 실행시 재생위치를 프로세서 바(Process Bar)로 표시하는 표시부(M)와, 종료버튼(N)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화면에서 검사시 저장된 원음 재생 기능을 활용하여 제품 재검사 없이 검사자가 반복하여 소리를 분석할 수 있고, 조회시 현재 설정된 판정치를 적용하여 표시하므로 반복해서 판정기준을 적용시켜 분석할 수 있으며, 원음 재생시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프로세서 바(Process Bar)로 불량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은 메인화면에서 상세보기버튼(C)을 클릭하면 다른 창으로 열리는 상세보기 화면구성 및 기능을 도시한 것으로, 상단에는 각 진동센서(2)(3)(4)(5) 별로 원음을 들을 수 있는 원음듣기버튼(O)과, 선택된 판정기법 표시부(P)와, 그래프 표시 센서별 선택 상태 표시부(Q)와, 센서별 그래프 색상 선택 표시부(R)와, 판정기준치 표시부(S)와, 결과치 표시부(T)와, 각 진동센서(2)(3)(4)(5) 원음 그래프가 표시되는 표시부(L)가 각각 배치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진동센서(2)(3)(4)(5)의 부착 위치 및 용도를 설정할 수 있고, 각 진동센서(2)(3)(4)(5)별로 분석기법에 의한 그래프를 선택하여 볼 수 있으며, 진동센서(2)(3)(4)(5)를 중복 선택하면 그래프가 같이 표시되어 비교분석이 가능하며, 진동센서(2)(3)(4)(5)별 주파수 밴드별로 판정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재검사 없이 판정기준치 수정 후 조회하면 재판정이 가능하여 분석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음 그래프 표시부(L)로 표시되는 그래프는 분리 가공된 그래프이므로 소리로 들을 수 없으나, 원음 재생기능과 연동되고 프로세서 바(Process Bar)가 구성되어 실행되므로 전체 소리, 또는 프로세서 바(Process Bar)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의 소리를 선택하여 들으면서 그래프를 분석할 수 있다.
도 11 ~ 도 15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음(異音) 측정 과정 흐름도로, 도 12는 대역분리 판정기법에 따른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이고, 도 13은 이동평균 판정기법에 따른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이고, 도 14는 이동분산 판정기법에 따른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이고, 도 15 이음(異音) 측정방법에서 에러에 따른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체가 순차적이거나 비순차적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대역분리 판정기법이나, 이동평균 판정기법이나, 이동분산 판정기법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기법으로 이음(異音)이 측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 도 11 ~ 도 15에 따른 이음 측정과정을 설명하면, 자동차 파워시트 이음(異音) 측정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메인화면이 화면 표시되는 상태에서(S1 단계), 이음(異音)을 측정하는 경우와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되(S2 단계),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가 선택되면(S3 단계)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제품 및 부품정보를 입력시켜 기존 이음(異音) 데이터를 조회한 후(S4 단계) 기존 이음(異音)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한 다음(읽어 들인 다음)(S5 단계), 선택한 부품의 설정 대역을 적용하는 단계(S14 단계)로 이행하고, 상기 단계(S3 단계)에서 이음(異音)을 측정하는 경우 단독 또는 팝(POP)서버 연동 중 하나를 선택하고(S6 단계), 단독으로 선택되면(S7 단계) 제품정보 및 부품을 선택하고(S8 단계), 단독으로 선택되지 않으면 제품 및 부품선택 정보가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다가(S9 단계) 정보수신이 완료되면(S10 단계), 진동센서(2)(3)(4)(5)를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해당 위치에 부착하여(S11 단계) 측정이 완료될 때까지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12 단계), 측정이 완료되면(S13 단계) 선택한 부품의 설정 대역을 적용하게 된다(S14 단계).
도 12는 대역분리 판정기법에 따른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로, 선택한 부품의 설정 대역이 적용되면(S14 단계) 설정주파수를 대역(8밴드)분리하고(S15 단계) 대역 분리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16 단계), 데이터베이스의 대역(N) 분리 데이터를 독출한 다음(READ한 다음)(S17 단계) 대역(N) 분리 판정기준치를 적용하여(S18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와 대역(N) 분리 판정기준치를 비교하되(S19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가 대역(N) 분리 판정기준치가 이상이면 대역(N) 분리 데이터 에러를 뜻하는 "NG"가 모니터상에 화면 표시되고(S20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가 대역(N) 분리 판정기준치 미만이면 대역(N) 분리 데이터가 정상임을 뜻하는 "OK"가 모니터상에 화면 표시되고(S21 단계), 앞서 분리된 대역(N)이 8밴드 미만이면 상기 S17 단계로 돌아가 8밴드 이상이 될 때까지 데이터베이스의 대역(N) 분리 데이터를 계속 독출하고(S22 단계), 분리 대역(N)이 8밴드 이상이면 대역중에 NG(에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되(S23 단계) 대역중에 NG(에러)가 존재하면 대역 분리 전체 "NG"를 표시한 다음(S24 단계) 다음 단계(S26 단계)로 이행하고, 대역중에 NG(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대역 분리 전체 "OK"를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한다(S25 단계).
도 13은 이동평균 판정기법에 따른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로, 대역이 1이면(N=1)(S26 단계) 데이터베이스의 대역(N) 분리 데이터를 독출한 다음(READ한 다음)(S27 단계) 대역(N) 분리 데이터를 이동분산화한 다음(S28 단계) 대역(N) 이동분산 판정기준치를 적용하여(S29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와 대역(N) 이동분산 판정기준치를 비교하되(S30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가 대역(N) 이동분산 판정기준치가 이상이면 대역(N) 이동분산 데이터 에러를 뜻하는 "NG"가 모니터상에 화면 표시되고(S31 단계) 다음 단계(S32 단계)로 이행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가 대역(N) 이동분산 판정기준치 미만이면 대역(N) 이동분산 데이터가 정상임을 뜻하는 "OK"가 모니터상에 화면 표시되고(S32 단계), 앞서 분리된 대역(N)이 8밴드 미만이면 상기 S27 단계로 돌아가 8밴드 이상이 될 때까지 데이터베이스의 대역(N) 분리 데이터를 독출하고, 분리 대역(N)이 8밴드 이상이면 대역중에 NG(에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되(S33 단계) 대역중에 NG(에러)가 존재하면 이동분산 전체가 에러 임을 "NG"로 표시한 다음(S35 단계) 다음 단계(S37 단계)로 이행하고, 대역중에 NG(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분산 전체가 정상임을 뜻하는 "OK"를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한다(S36 단계).
도 14는 이동분산 판정기법에 따른 이음(異音) 측정방법 흐름도로, 대역이 1이면(N=1)(S37 단계) 데이터베이스의 대역(N) 분리 데이터를 독출한 다음(READ한 다음)(S38 단계) 대역(N) 분리 데이터를 이동평균화한 다음(S39 단계) 대역(N) 이동평균 판정기준치와 각도 판정기준치를 적용하여(S40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와 대역(N) 이동평균 판정기준치를 비교하되(S41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가 대역(N) 이동평균 판정기준치 이상이면 대역(N) 이동평균 데이터 에러를 뜻하는 "NG"가 모니터상에 화면 표시되고(S42 단계) 다음 단계(S46 단계)로 이행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가 대역(N) 이동평균 판정기준치 미만이고 그래프 각도가 각도 판정기준치 이상이면 그래프 각도 에러를 뜻하는 "NG"가 모니터상에 화면 표시되고(S44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 데이터가 대역(N) 이동평균 판정기준치 미만이고 그래프 각도가 각도 판정기준치 미만이면 대역(N) 이동평균 데이터와 그래프 각도가 정상임을 뜻하는 "OK"가 모니터상에 화면 표시되고(S45 단계), 앞서 분리된 대역(N)이 8밴드 미만이면 상기 S38 단계로 돌아가 8밴드 이상이 될 때까지 데이터베이스의 대역(N) 분리 데이터를 독출하고, 분리 대역(N)이 8밴드 이상이면 대역중에 NG(에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되(S47 단계) 대역중에 에러가 존재하면 대역(N) 이동평균 전체가 에러임을 뜻하는 "NG"를 표시한 다음(S35 단계) 다음 단계(S50 단계)로 이행하고, 대역중에 NG(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평균 전체가 정상임을 뜻하는 "OK"를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한다(S36 단계).
도 15 이음(異音) 측정방법에서 에러에 따른 처리 흐름도로, 대역 분리 전체가 에러(NG)이면(S50 단계) 검사완료 전체가 에러임을 뜻하는 "NG"를 표시한 다음(S51 단계) 다음 단계(S55 단계)로 이행하고, 대역 분리 전체가 정상이면 이동 분산 에러 여부를 판단하되(S52 단계) 이동 분산이 에러(NG)이면(S52 단계) 검사완료 전체가 에러임을 뜻하는 "NG"를 표시한 다음(S51 단계) 다음 단계(S55 단계)로 이행하고, 이동 분산이 정상이면 이동평균 전체의 에러 여부를 판단하되 이동평균 전체가 에러(NG)이면(S53 단계) 검사완료 전체가 에러임을 뜻하는 "NG"를 표시한 다음(S51 단계) 다음 단계(S55 단계)로 이행하고, 이동평균 전체가 에러없이 정상이면 검사완료 전체가 정상임을 뜻하는 "OK"를 표시하고(S54 단계), 이어 측정모드가 아니면(S55 단계) 종료하고, 측정모드이면 단독 측정여부를 판단하되(S56 단계) 단독 측정이면 종료하고, 단독 측정이 아니면 팝서버(POP Server)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고(S57 단계) 종료되며, 팝서버(POP Server)는 전송된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전후 슬라이딩기능과 높낮이조절기능 및 등판각도조절기능 등 각 기능별 전장품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 각 동작부(연결부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측정한 다음 신호처리하여 그래프 형태의 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 각종 판정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쉽고 정확하면서 객관적인 판정이 이루어지며, 또한 진동/소음감지수단 만으로 감지가 어려운 이음(異音)을 감지하는 감성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이음(異音) 판정에 따른 오류나 오차없이 정확한 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파워시트의 이음(異音) 판정이 신속 정확히 이루어지므로 판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며, 양품의 자동차 파워시트를 차량에 장착시켜 우수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 (2)(3)(4)(5)--진동센서
(6)(7)--우퍼레일(upper rail) (8)--큐션커버(Cushion Cover)
(10)--이음(異音) 측정장치 (11)(12)(13)(14)--신호입력부
(15)(16)(17)(18)--A/D 컨버터 (19)--DAQ 카드 및 그 제어부
(20)--컴퓨터 (21)--인터페이스
(22)--팝서버 (23)--파워시트 검사기
(25)--모니터 (26)--음향출력부

Claims (8)

  1. (a) 복수의 진동/소음 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감지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b) 진동/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가 동작할 때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c) 감지된 진동/소음 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분리 처리한 다음 그래프 형태로 모니터에 화면 출력하는 단계;
    (d) 모니터 그래프 상의 주파수 밴드별 이상 파형을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g)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최종 양, 불 판정을 완료하는 단계;
    로 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2. (a) 복수의 진동/소음 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감지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b) 진동/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가 동작할 때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c) 감지된 진동/소음 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분리 처리한 다음 그래프 형태로 모니터에 화면 출력하는 단계;
    (e) 모니터 그래프 상의 음압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g)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최종 양, 불 판정을 완료하는 단계;
    로 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3. (a) 복수의 진동/소음 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감지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b) 진동/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가 동작할 때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c) 감지된 진동/소음 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분리 처리한 다음 그래프 형태로 모니터에 화면 출력하는 단계;
    (f) 모니터 그래프 상의 단발성 및 반복성 진동 소음을 분리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g)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최종 양, 불 판정을 완료하는 단계;
    로 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4. (a) 복수의 진동/소음 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감지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b) 진동/감지수단으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가 동작할 때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c) 감지된 진동/소음 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분리 처리한 다음 그래프 형태로 모니터에 화면 출력하는 단계;
    (d) 모니터 그래프 상의 주파수 밴드별 이상 파형을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e) 모니터 그래프 상의 음압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f) 모니터 그래프 상의 단발성 및 반복성 진동 소음을 분리하여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양,불을 판정하는 단계;
    (g)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최종 양, 불 판정을 완료하는 단계;
    로 된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5.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1)의 복수 개소에 부착되어 진동 소음을 검출하는 제1, 2, 3, 4 진동센서(2)(3)(4)(5);
    제1, 2, 3, 4 진동센서(2)(3)(4)(5)의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신호입력부(11)(12)(13)(14);
    제1, 2, 3, 4 진동센서(2)(3)(4)(5)로부터 각각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15)(16)(17)(18);
    A/D 컨버터(15)(16)(17)(18)로부터 입력되는 다채널 데이터를 수집하는 DAQ(Data Acquisition) 카드 및 그 제어부(19);
    제1, 2, 3, 4 진동센서(2)(3)(4)(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측정 및 데이터 처리용 컴퓨터(20);
    측정 상태, 또는 입력 상태가 화면 출력되고 각종 측정모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의 입력과 변경 및 선택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니터(25);
    작업자가 채널별 이음(異音)을 청취할 수 있는 음향출력부(26);
    를 포함하는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팝서버(22) 및 파워시트 검사기(23)와 컴퓨터(2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21);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모니터에 화면 출력되는 메인화면은,
    검사시작버튼(A)과, 화면캡처버튼(B)과, 상세보기버튼(C)과, 출력버튼(D)과, 그래프설정버튼(E)과, 필터설정버튼(F)과, 사용환경관리버튼(G)과, 조회버튼(H)과, 각 진동센서(2)(3)(4)(5) 별로 원음을 들을 수 있는 복수의 원음듣기버튼(I)이 나열되고,
    상기 버튼부 하단에는 QC 불량 판정 상세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J)와, 센서별, 주파수 밴드별 판정내용을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K)와, 센서별 원음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부(L)와, 듣기 실행시 재생위치를 프로세서 바(Process Bar)로 표시하는 표시부(M)와, 종료버튼(N)을 포함하는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세보기버튼(C)을 클릭하여 다른 창으로 열리는 상세보기 화면구성은,
    각 진동센서(2)(3)(4)(5) 별로 원음을 들을 수 있는 원음듣기버튼(O)과, 선택된 판정기법 표시부(P)와, 그래프 표시 센서별 선택 상태 표시부(Q)와, 센서별 그래프 색상 선택 표시부(R)와, 판정기준치 표시부(S)와, 결과치 표시부(T)와, 각 진동센서(2)(3)(4)(5) 원음 그래프가 표시되는 표시부(L), 를 포함하는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장치.
KR1020140190786A 2014-12-26 2014-12-26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 KR20160079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86A KR20160079438A (ko) 2014-12-26 2014-12-26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86A KR20160079438A (ko) 2014-12-26 2014-12-26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38A true KR20160079438A (ko) 2016-07-06

Family

ID=5650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786A KR20160079438A (ko) 2014-12-26 2014-12-26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94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1193A (zh) * 2016-10-31 2017-03-22 济南中维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背景噪声自适应的异常声音检测方法及系统
CN107941526A (zh) * 2017-12-18 2018-04-20 华南智能机器人创新研究院 一种用于流水线的汽车仪表盘总成异响检测设备
CN108534888A (zh) * 2018-03-28 2018-09-14 南日 一种时钟弹簧的噪音检测设备
CN109443518A (zh) * 2018-10-22 2019-03-08 中国矿业大学 一种基于蓝牙的便携式车辆制动摩擦噪声检测仪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52B1 (ko) 2001-10-22 2005-03-17 한일이화주식회사 시트조립체의 슬라이딩 동작 검사장치
KR100883143B1 (ko) 2008-03-05 2009-02-10 (주) 우석엔지니어링 차량의 시트프레임 용접검사장치
KR100969384B1 (ko) 2008-09-26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음/진동 진단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52B1 (ko) 2001-10-22 2005-03-17 한일이화주식회사 시트조립체의 슬라이딩 동작 검사장치
KR100883143B1 (ko) 2008-03-05 2009-02-10 (주) 우석엔지니어링 차량의 시트프레임 용접검사장치
KR100969384B1 (ko) 2008-09-26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음/진동 진단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1193A (zh) * 2016-10-31 2017-03-22 济南中维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背景噪声自适应的异常声音检测方法及系统
CN107941526A (zh) * 2017-12-18 2018-04-20 华南智能机器人创新研究院 一种用于流水线的汽车仪表盘总成异响检测设备
CN107941526B (zh) * 2017-12-18 2023-11-17 华南智能机器人创新研究院 一种用于流水线的汽车仪表盘总成异响检测设备
CN108534888A (zh) * 2018-03-28 2018-09-14 南日 一种时钟弹簧的噪音检测设备
CN109443518A (zh) * 2018-10-22 2019-03-08 中国矿业大学 一种基于蓝牙的便携式车辆制动摩擦噪声检测仪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785B2 (en) On-board ultrasonic frequency spectrum and image generation
KR20160079438A (ko) 자동차 파워시트 앗세이의 이음 측정방법 및 그 이음 측정장치
US6925879B2 (en) Vibration analyzer and method
CN109547910B (zh) 电子设备声学组件性能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181595B2 (ja) 検査システム、異常特定方法
US20100329471A1 (en) Ambient noise compensation system
CN107026953B (zh) 诊断设备和诊断系统
GB2446035A (en) Audio data representing vibration/fault characteristics in industrial machines
CN111276160A (zh) 一种音频检测方法和装置
CN110601776A (zh) 一种车载无线模块性能测试方法及系统
KR20190081614A (ko) 초음파를 이용한 용접부의 용접품질 검사 시스템
JP2001108518A (ja) 異常検知方法および装置
US20070093985A1 (en) Aid device for setting inspection standard
Cerrato-Jay et al. Automatic detection of buzz, squeak and rattle events
JP2002505785A (ja) ディスクドライブ故障解析装置および方法
JP2005283227A (ja) 異音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9117083A (ja) 振動解析システム、および振動解析方法
CN113596698A (zh) 一种麦克风收音监控装置及方法
KR101947549B1 (ko) 차량용 avn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KR20130073069A (ko) 오디오 이상 유무 자가 진단 가능한 음원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CN112927720A (zh) 一种音频异常的检测方法及装置
JP2014057140A (ja) エレベータ用外部連絡装置の検査装置
JP5018415B2 (ja) 部材の検査方法
CN114268893B (zh) 蓝牙音频设备播放异常的检测方法、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3419910B (zh) 音频功能测试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