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112A - snoRNA, 조성물 및 용도 - Google Patents

snoRNA, 조성물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112A
KR20160079112A KR1020167015086A KR20167015086A KR20160079112A KR 20160079112 A KR20160079112 A KR 20160079112A KR 1020167015086 A KR1020167015086 A KR 1020167015086A KR 20167015086 A KR20167015086 A KR 20167015086A KR 20160079112 A KR20160079112 A KR 20160079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rna
expression
test compound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438B1 (ko
Inventor
쟝-레네 마르탱
Original Assignee
상뜨로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쉐 샹띠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뜨로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쉐 샹띠피크 filed Critical 상뜨로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쉐 샹띠피크
Publication of KR2016007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A01K67/0275Genetically modified vertebrates, e.g. transgenic
    • A23L1/3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05Natural 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uracil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5Mur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2Type of nucleic acid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20/00Applications; Uses
    • C12N2320/30Special therapeutic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48Screening for cosme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Diabet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Obes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RNA 서열의 약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작은 핵소체 RNAs (snoRNAs) 의 용도와 관련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snoRNAs 이 노화의 메카니즘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발명의 snoRNAs 는 특히 환자의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노화의 유해 효과에 맞서 싸우고, 전형적으로는 변성 질환, 라민병증 (laminopathy), 당뇨병, 비만증 또는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는 환자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snoRNAs 는 또한 불임증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noRNA 를 발현할 수 있는 벡터, 세포, 유전적으로 개질된 동물 및 조성물, 및 노화의 메카니즘과 관련되는 병상, 이상 또는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활성인 분자의 식별을 위한 도구로서 본 발명의 언급된 산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snoRNA, 조성물 및 용도 {SNORNA, COMPOSITIONS AND USES}
본 발명은 특정 RNA 서열의 약제로서의 용도와 관련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작은 핵소체 RNAs (snoRNAs) 의 용도와 관련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snoRNAs 이 노화의 메카니즘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발명의 snoRNAs 를 사용하여 특히 대상의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노화의 유해 효과에 맞서 싸우고, 전형적으로는 변성 질환, 특히 신경변성 질환, 라민병증 (laminopathy), 특히 허친슨-길포드 증후군 (Hutchinson-Gilford syndrome) (HGPS) (선천성 조로증으로도 알려짐), 당뇨병, 비만증 또는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 더욱 일반적으로는 대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snoRNAs 는 또한 불임증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snoRNA 를 발현할 수 있는 벡터, 세포, 트랜스제닉 동물 및 조성물, 및 노화의 메카니즘과 관련되는 병상, 이상, 장애 또는 겉보기 또는 기능 저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활성인 분자의 식별을 위한 도구로서 임의의 상기 본 발명의 산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화의 메카니즘 (즉, 나이가 듦에 따른 생존 및 생식 능력의 진행성 저하) 은 수 세기 동안 사회 및 과학계를 골치아프게 했다. 현재 2 개의 이론이 지배적이며, 하나는 노화가 유전적으로 미리 프로그래밍된 진화 경로로부터 초래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노화가 세포 및 분자 손상이 축적되는 존재의 정상적 결과라는 것이다. 이러한 손상은 자유 라디칼, 결손 미토콘드리아, 체세포 돌연변이, 텔로머의 진행성 단축, 프로그래밍된 세포사 및 손상된 세포의 증식 등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적 손상을 포함할 것이다 (Semsei I. (2000) On the nature of aging. Mech Aging Dev 117:93-108).
효모 및 마우스와 같은 유기체에서, 칼로리 감소가 수명 연장에 결정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Sohal, R S, Weindruch, R (1998) Oxidative stress, caloric restriction, and aging. Science 273:59-63; Finch, C E, Revkun, G. (2001) The genetics of aging. Annu. Rev. Genom. Hum. Genet. 2:435-462). 최근의 연구들은 칼로리 제한이 또한 인간을 포함하는 영장류에서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을 밝혔다 (Roth, G S, Lasnikov, V, Lesnikov, M, Ingram, D K, Land, M A (2001) Dietary caloric restriction prevents the age-related decline in plasma melatonin levels of rhesus monkeys. J Clin Endocrinol Metab. 86: 3292-5; Roth G S, Lane M A, Ingramn D K, Mattison J A, Elahi D, Tobin J D, Muller D, Metter E J (2002) Biomarkers of caloric restriction may predict longevity in humans. Science. 297: 811-813; Walford R L, Mock D, Verdery R, MacCallum T. (2002) Calorie restriction in biosphere 2: alterations in physiologic, hematologic, hormon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humane restricted for a 2-year period.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7: 211-24). 불행히도, 대부분의 인간은 이러한 발견으로부터 유익을 얻는데 필요한 엄격한 식이를 따르는 능력이 없을 것 같다.
수년 간, 많은 연구 그룹들은 노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 및 신호전달 경로를 식별하는데 전념해 왔다. 여기에서 보고되는 연구들은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벌레 예쁜꼬마선충 (Caenorhabditis elegans) 및 파리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Drosophila melanogaster) 를 포함하는 수많은 유기체에서 수행되었고 (Fontana et al., 2010), 증가하는 유전자 목록을 식별하는 것을 허용했다. 그들 중 다수는 호르몬 신호전달에 관여하고, 많은 종류의 진핵생물 유기체에서 보존되어 있다. 적어도 하등 종의 경우에, 일생의 시작시 발달 및 성장을 책임지는 경로는 평생 동안의 영향을 유지하고 심지어는 그것의 지속시간을 부분적으로 조절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들 연구는 또한 대상의 수명을 평가함에 있어서 대사 능력 및 스트레스 저항성의 중요성을 간접적으로 밝혔다.
예를 들어, 예쁜꼬마선충의 clk-1 유전자의 돌연변이체는 반응성 산소 종의 미토콘드리아외 생산을 감소시키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Hekimi, S, Guarente, L. (2003) Genetics and the specificity of the aging process. Science 299:1351-1354). 특허 WO 98/17823 은 장수 및 발달 과정에 있어서의 clk-1 유전자의 기능을 기재한다. 이 특허는 특히 clk-1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의해 개체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청구한다.
Methuselah 유전자 (이는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에 대해 코드함) 의 돌연변이는 또한 초파리의 수명을 대략 35% 만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었다 (US 6,303,768).
텔로머 단축도 세포 노화의 원인이 되는 메카니즘으로서 알려져 있다. 척추동물에서, 텔로머라아제는 리보핵산단백질 (RNP) 역전사효소이며, 이 효소는 분열하는 진핵생물 세포에서 염색체 말단에 텔로머 DNA 를 부가하여 텔로머 길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Kiss, 2002). 인간에서, 텔로머라아제 snoRNA 의 H/ACA 박스에서의 돌연변이는 다면발현성 유전 질환, 선천성 이상각화증을 야기하며, 이들 질환을 갖는 환자는 더 짧은 텔로미어를 보인다 (Mitchell et al., 1999; Vulliamy et al., 2001). 노화의 메카니즘을 해독하고 새로운 치료 표적을 식별하여 노화 과정을 지연시키고/거나 노화의 유해 효과에 맞서 싸우려는 과학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용가능한 수단은 여전히 불충분하다. 생활 조건의 전반적 개선과 조합된 의학적 진보가 이미 인간 집단에게, 단지 수십년 내에, 기대 수명을 매우 의미 있는 방식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허용한 현재, "잘 나이드는 것", 즉 노령과 일반적으로 연관되는 질환 및 불편함이 없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에 대한 필요가 더욱더 느껴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노화의 메카니즘에서의 특별한 관여를 입증한 관심의 RNA 서열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히 노화의 메카니즘을 중단시키고 노화와 연관되는 유해 효과에 맞서 싸움으로서 대상의 수명을 극적으로 증가시키는 이들 서열의 능력을 보여줬다. 본 발명의 서열은 또한 노화와 연관되는 질환 예컨대 변성 질환, 라민병증 및 암, 뿐만 아니라 당뇨병 및 비만증에 맞서 싸운다. 본 발명의 서열은 불임증 또는 생식불능증 (즉, 임신의 어려움 또는 임신 무능력) 의 치료 뿐만 아니라 대상, 특히 성적 성숙에 도달한 대상, 바람직하게는 노인 대상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데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주제는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서열 SEQ ID NO: 1, 상동 (homologous) 서열, 바람직하게는 이종상동 (orthologous) 서열, 또는 기능적 유사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또는 합성 RNA 서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초파리에서 발견된 RNA 서열 SEQ ID NO: 1 이 영장류 및 인간과 같은 포유류, 및 마우스 및 래트와 같은 설치류에서의 이종상동 서열에 상응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인간 기원의 서열 SEQ ID NO: 2 및 마우스 기원의 서열 SEQ ID NO: 3 및 SEQ ID NO: 4 로부터 선택되는 단리된 또는 합성 RNA 서열의, 이 명세서에 기재된 응용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서의, 용도를 포괄한다. 이 명세서의 표 1 에서 식별되는 서열 SEQ ID NO: 2, 3, 4, 9, 11, 13, 15, 17, 19, 21, 22, 24, 26, 및 28 은 SEQ ID NO: 1 에 이종상동인 서열의 예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관심의 RNA 서열에 대해 코드하는 DNA 서열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NA 서열의 시험관내, 생체외 또는 생체내 발현을 허용하는 벡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NA 서열을 포함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된 세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산물 및 식이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생체내,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에서 상기 RNA 서열의 발현을, 연속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회복 또는 조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RNA 서열, 벡터, 세포 또는 조성물의 용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관심의 RNA 서열, 전형적으로는 서열 SEQ ID NO: 3 및 SEQ ID NO: 4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의 발현을 방지 또는 조정, 바람직하게는 변경하도록 게놈이 유전자 조작된 트랜스제닉 마우스이다.
본 발명은 또한 노화 또는 스트레스의 유해 효과에 맞서 싸우는, 또는 불임증에 맞서 싸우는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본 발명의 RNA 서열을 발현하지 않거나 상기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는 세포 또는 세포 집단,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노출, ii) 만약에 있다면, 상기 세포(들) 또는 상기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표현형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효과의 평가, 및 iii) 상기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 상기 시험 화합물의 효능과 상관관계가 있는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의 회복의 확인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노화 또는 스트레스의 유해 효과에 맞서 싸우는, 또는 불임증에 맞서 싸우는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본 발명에 따른 RNA 서열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집단의 노출; ii) 만약에 있다면, 상기 세포 또는 세포 집단의 표현형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효과의 평가, 및 iii) 상기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 상기 시험 화합물의 효능과 상관관계가 있는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의 증가의 확인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핵산, 벡터, 카세트 및/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키트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한 초파리의 수명에 대한 핵소체 DNA 의 작은 서열의 영향의 입증으로부터 초래된다 (snoRNA:Ψ28S-1153, "youth" 로 호칭됨, 이 명세서에서 SEQ ID NO: 1 로서 식별됨). 이러한 snoRNA 는 초파리 게놈과 연관되는 snoRNAs 의 체계적 스크리닝의 일부로서 식별되었으며 (Huang et al., 2005), 지금까지 그것에 어떠한 기능도 밝혀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서열을 특성분석했고, snoRNA:Ψ28S-1153 을 함유하는 초파리 게놈의 F4 영역의 632 개의 염기쌍의 게놈 결실이 초파리의 수명을 대략 30% 만큼 단축시킨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줬다. 그 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를 들어 이러한 snoRNA 에 대해 코드하는 게놈 DNA 를 함유하는 트랜스진를 사용하는, 이러한 RNA 서열의 과발현이 초파리의 수명을 대략 100% 만큼 극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입증했다. 본 발명의 RNA 서열을 과발현하는 파리는 2 배까지 오래 산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마우스 및 인간에서 이종상동 "youth" 서열의 발현을 식별 및 탐지했다.
본 발명의 RNA 서열 및 다른 산물의 특징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것으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는 대상, 전형적으로는 동물 또는 곤충, 예를 들어 포유류 또는 설치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에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원래 초파리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에서 식별된 서열 SEQ ID NO: 1 의 기능적 특징을 갖는 단리된 또는 합성 리보뉴클레오티드 서열 (RNA 서열) 과 관련된다.
"약제" 는 예방 또는 치유 특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약제는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대상에서 비정상적인 또는 단순히 바람직하지 않은 노화 과정과 관련되는 병리, 이상 또는 장애를 치유, 치유 촉진, 완화 또는 예방하기 위해 의도된다.
초파리에서, 관심의 RNA 서열은 그 자체로 염색체 2R 에 위치하는 영역 F4 로서 식별되는 게놈 영역에 포함된다. 이러한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연구된 초파리의 첫번째 종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의 경우에, 148 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된다. 그것은 이 명세서에서 SEQ ID NO: 1 로서 식별된다.
서열 SEQ ID NO: 1 의 상동체/이종상동체 뿐만 아니라 기능적 유사체 및 변이체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목적인 관심의 서열이다.
용어 "상동체" 는 본 발명의 문맥에서 그것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이러한 초파리의 첫번째 종에서 식별된 서열 SEQ ID NO: 1 과 동일하거나 충분히 근사하여, 또다른 종 (초파리, 곤충, 또는 임의의 기타 동물) 에서의 그것의 등가물로서 여겨지는 구조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서열은 그것이 SEQ ID NO: 1 과, 또는 SEQ ID NO: 1 의 적어도 50 개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분절과, 예를 들어, blastN 서열 정렬 프로그램 (Altschul et al., 1990), 또는 RNA 구조로부터 DNA 서열 및 그들의 서열 유사성을 식별하는 "INFERence of RNA ALignment" 에 관한 INFERNAL 프로그램에 의해 얻어지는, 적어도 70%, 80% 또는 8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또는 95 %,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 97, 98 또는 99% 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경우에 서열 SEQ ID NO: 1 의 상동체로서 여겨진다. 2 개의 상이한 종의 2 개의 상동 유전자 서열은 그들이 2 개 종의 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에 존재하는 특유의 서열의 자손인 경우에 이종상동체로 여겨진다.
동일성의 백분율은 2 개의 서열을 최적 정렬을 수행하여 비교함으로써 확인된다. 동일성의 백분율은 2 개 서열의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잔기가 보이는 위치의 수를 확인하고, 위치의 총 수로 나누고, 100 을 곱하여 계산된다. 2 개 서열의 최적 정렬은, 예를 들어, 국소 상동성 검색 알고리즘 (Smith & Watherman, 1981)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동등한 시스템으로 얻어질 수 있다.
용어 "유사체" 는 자연에 존재하고 그로부터 단리된, 또는 인공적으로 생산된 화학적 화합물이고 그것이 모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기능적으로-동등한 RNA 서열) 의 내생적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그것이 모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내생적 기능을 모두 갖는 임의의 모방체를 지칭한다. 유사체 화합물의 예는, 예를 들어, 동일한 유전자의 스플라이싱을 허용하는 서열에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정 목적은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의 Ir56d, buttonhead (버튼헤드), klarsicht (클라르시흐트), CG3262, CG30502 (지방산 2-하이드롤라제 - fa2h), CG11125, CG9339, 및 CG40006 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스플라이싱을 허용하는 SEQ ID NO: 1 에 유사한 서열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실험은, 예를 들어, 유전자 CG9339 (skywalker 로 호칭됨) (Uytterhoeven et al., 2011) 가 F4 돌연변이체에서 정확하게 스플라이싱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했으며, 이는 youth snoRNA 가 이러한 유전자의 대안적 스플라이싱에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도 17 참조). 유사한 결과가 또한 klarsicht (클라르시흐트) 유전자의 전사체 (Canton-S 야생형 대조군 파리에서보다 F4 돌연변이에서 덜 스플라이싱된 RNA 가 관찰됨) (도 18A), 뿐만 아니라 유전자 fa2h 에 대해 코드하는 유전자 CG30502 (도 18B) 에서도 얻어졌으며, 후자는 인간에서 다양한 형태의 탈수초화, 예컨대 철의 축적과 관련되는 신경변성, 백색질형성장애 (전형적으로는 fa2h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된 것) 및 유전 강직하반신마비 (전형적으로는 SPG35 유전 강직하반신마비) 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Dick et al., 2008; 2010; Pierson et al., 2012).
용어 "기능적 변이체" 는 본 발명의 문맥에 기재된 응용을 허용하는, 이 출원에 기재된 부모 서열에 비해 하나 이상의 개질 또는 돌연변이 (즉,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염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 를 갖는 임의의 핵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기준 서열의 상동체, 바람직하게는 이종상동체로 여겨지는 서열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상기 기준 서열의 기능적 변이체의 예이다. 그러한 서열은 천연, 재조합 또는 합성일 수 있다.
서열 SEQ ID NO: 1 은 진화를 통하여 고도로 보존된 서열이고, 많은 동물 종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서열이 게놈이 알려진 초파리의 12 개의 다른 종에 존재한다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 그러므로 RNA 서열 SEQ ID NO: 1 에 상동/이종상동인 서열의 예는 또한 이 명세서의 표 1 에서 식별된 RNA 서열 SEQ ID NO: 9, 11, 13, 15, 17, 19, 21, 22, 24, 26, 및 28 을 포함한다 (도 9 참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또한 인간에서 염색체 11 상에, 위치 12822722-12822811 에 위치하는 이종상동 RNA 서열을 식별했다. 그것은 이 명세서에서 SEQ ID NO: 2 로서 식별되는 서열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또한 마우스에서 염색체 15 상에, 위치 30336889-30337017 (SEQ ID NO: 7) 에 그리고 염색체 18 상에, 위치 6495012-6495091 (SEQ ID NO: 8) 에 위치하는 2 개의 이종상동 RNA 서열을 식별했다 (이들은 이 명세서에서 각각 SEQ ID NO: 3 및 4 로 식별되는 서열이다).
초파리, 인간 및 마우스에서 식별된 관심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아래 표 1 에 나열되어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주제는 표적 유전자를 식별하기 위한 RNA 서열 SEQ ID NO: 1 의 용도로서, 상기 서열 SEQ ID NO: 1 은 바람직하게는 Ir56d, buttonhead (버튼헤드), klarsicht (클라르시흐트), CG3262, CG30502 (지방산 2-하이드롤라제: fa2h) 및 CG11125, CG9339, CG40006 로부터 선택되는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유전자 내의 표적 서열을 인지할 수 있고, 상기 표적 서열은 바람직하게는 SEQ ID NO: 31 (TGGTTGAATTCACAAAA), SEQ ID NO: 32 (TTGAATTCACAAAATA), SEQ ID NO: 33 (AATTCACAAAATAGGC), SEQ ID NO: 34 (AAGCGTTAGATATTAA), SEQ ID NO: 35 (ACATCTGCGGATAAGA), SEQ ID NO: 36 (AAGCTTTGCGTTTTGA), 및 SEQ ID NO: 37 (AGAAGCTTTGCGTTTT), 또는 그의 유사 서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관심의 RNA 서열은 바람직하게는 snoRNAs 형태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snoRNAs" 는 모든 진핵생물 세포에 존재하는 비-코딩 RNA 의 그룹을 망라한다. snoRNAs 는 핵, 더욱 특히 인에 위치하며, 거기에서 단백질과 연합되어 작은 핵소체 리보핵산단백질 또는 snoRNPs 를 형성한다. snoRNAs 는 일반적으로는 전구 mRNA (pre-mRNA) 인트론으로부터 생산된다. 진화적 규모에서, 이들 비-코딩 RNAs 는 고세균류로부터 포유류까지 존재한다. snoRNAs 는 여러 기능, 예컨대 리보솜 RNA 의 개질, 예컨대 다양한 클래스의 RNA 의 2'-O-리보오스 메틸화 또는 슈도우리딜화를 수행할 수 있다. snoRNAs 는 리보솜 RNAs 의 핵산분해 과정 또는 심지어는 텔로머 DNA 의 합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Kiss, 2002; Kiss et al., 2010; Ye, 2007). snoRNAs 의 2 가지 주요 클래스가 존재한다: 하나는 C/D 박스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H/ACA 박스를 포함한다 (도 2A). C/D 박스는 특정 부위에서 2'-O-리보오스 메틸화를 위한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며, 한편 H/ACA 박스는 우리딘의 슈도우리딘으로의 전환을 유도한다 (Kiss, 2002; Gardner et al., 2010; Huang et al., 2005) (도 2B).
초파리의 첫번째 종에서 식별된, 관심의 snoRNA:Ψ28S-1153 (youth) 은 H/ACA 클래스에 속하며, 즉, 그것의 구조가 H/ACA 박스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그것은 리보솜 RNA 의 성숙 동안 슈도우리딜화 (즉, 우리딘의 슈도우리딘으로의 전환) 에 관여할 것이고, 특정 유전자의 단백질 합성을 조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noRNAs 는 화학적으로 개질되어, 전형적으로는 뉴클레아제에 대한 snoRNAs 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snoRNAs 의 더 나은 친화도/선택성 및 그러므로 더 나은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질은 전형적으로는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시드간 연결과 관련된다. 상기 개질은 당,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는 당의 2' 위치), 뉴클레오시드의 질소함유 염기 (이는 전형적으로는 위치 2, 4 또는 6 에서 치환기를 포함함) 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포스페이트 기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개질은, 예를 들어, 아미노화, 할로겐화, 예를 들어 불소화, 또는 알킬화, 예를 들어 메틸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개질된 당 기는, 예를 들어, 2'-O-메틸 및 2'-O-메톡시에틸 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개질된 뉴클레오티드는 헤테로시클릭 DNA 또는 RNA 염기와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없는 헤테로시클릭 염기를 포함하는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뉴클레오시드간 연결의 개질은, 예를 들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메틸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및 포스포셀레네이트 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관심의 RNA 서열의 발현을 책임지는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서열 (DNA) 과 관련된다. RNA 서열 SEQ ID NO: 1 의 발현을 허용하는 DNA 서열은 본 발명에서 SEQ ID NO: 5 로서 식별된 서열이고, RNA 서열 SEQ ID NO: 2 의 발현을 허용하는 DNA 서열은 본 발명에서 SEQ ID NO: 6 로서 식별된 서열이고, RNA 서열 SEQ ID NO: 3 의 발현을 허용하는 DNA 서열은 본 발명에서 SEQ ID NO: 7 로서 식별된 서열이고, RNA 서열 SEQ ID NO: 4 의 발현을 허용하는 DNA 서열은 본 발명에서 SEQ ID NO: 8 로서 식별된 서열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심의 RNA 서열의 발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Q ID NO: 5, SEQ ID NO: 6, SEQ ID NO: 7, SEQ ID NO: 8, SEQ ID NO: 10, SEQ ID NO: 12, SEQ ID NO: 14, SEQ ID NO: 16, SEQ ID NO: 18, SEQ ID NO: 20, SEQ ID NO: 22, SEQ ID NO: 24, SEQ ID NO: 26, SEQ ID NO: 28, 및 SEQ ID NO: 30 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리된 또는 합성 DNA 서열과 관련된다.
snoRNA 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NA 는 화학적으로 개질될 수 있다 (상기 가능한 화학적 개질 참조).
본 발명은 또한, 본문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관심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재조합체 발현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용어 발현 카세트는 본 발명에 따른 관심 RNA 서열이 발현되게 하는 핵산 서열 및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조절 부위를 포함하는 핵산 구축물/구축을 나타낸다. 표현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은 성분이 핵산 서열 (관심 RNA 서열의 발현을 담당) 의 발현 및/또는 관심 RNA 서열의 표적화가 전사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존재하도록 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프로모터 서열은 발현 제어와 양립가능한 위치에서 핵산 서열의 업스트림에 위치한다. 관심 RNA 서열의 발현 및/또는 표적화를 지연시키지 않는 것이면, 조절자 요소와 코딩 서열 사이에 스페이서 서열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숙주 세포 또는 숙주 유기체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관심 RNA 서열이 발현될 수 있게 하는 이전에 정의한 바와 같은 카세트 또는 핵산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 벡터는 환형 또는 다르게는 단일 또는 이중가닥의 DNA 또는 RNA 일 수 있다. 이는 통상 플라스미드, 파지, 바이러스 벡터 (예를 들어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아데노바이러스-관련 벡터, 렌티바이러스 벡터, 폭스바이러스 벡터, 헤르페스성 벡터 등 중에서 선택됨), 코스미드 또는 인공 염색체이다. 유리하게는, 이는 진핵생물 세포, 바람직하게는 동물 세포, 통상 인간 세포, 바람직하게는 장 또는 난소 기원의 세포를 형질전환시킬 수 있는 벡터이다. 이러한 벡터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특허 출원 WO 06/085016 또는 [Barton and Medzhitov, 2002; Tiscornia et al., 2004; Xia et al., 2002 et Shen et al., 2003] 에 의한 논문에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심 RNA 서열이 발현될 수 있게 하는 한 바람직한 벡터는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벡터 또는 파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초파리에서 특히 사용가능한 한 바람직한 벡터는, Gal4 전사 인자의 업스트림에, 소정의 조직 내에서 소정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특정 DNA 서열, 예컨대 Myo1A-Gal4, snail-Gal4, Su (H)-GBE-Gal4, 델타-Gal4 가 삽입되어 있는 pChs-Gal4 벡터이다. 동시에, 관심 효과 유전자 (여기서는 snoRNA) 를 포함하는 제 2 벡터 (pUAs-snoRNA) 는 바람직하게는 UAS (업스트림 활성화 서열 (Upstream Activating Sequence)) 조절 서열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며, 이러한 서열은 P[GAL4] 전사 인자에 의해 인지된다. 이러한 2 개 벡터 각각은 유전자이식에 의해 동물에 도입된다. 이들 2 가지 동물주는 교차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P[GAL4] 이원 발현 시스템으로 지칭한다 (Brand and Perrimon, 1993; Elliott and Brand, 2008).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 Myo1A-Gal4, snail-Gal4, Su(H)-GBE-Gal4 및 델타-Gal4 벡터는 장 세포에서 상기 RNA 서열이 발현되게 하는 조절자 요소 및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한편, nanos-Gal4, 또는 MTD-(모계-튜불린)-Gal4 벡터는 난소에서 상기 RNA 서열이 발현되게 하는 조절자 요소 및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벡터는 또한 복제 기원, 선별 유전자, 리포터 유전자 및/또는 재조합 서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벡터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표준 분자 생물학 기법, 예를 들어 제한, 라이게이션, 클로닝, 복제 등에 의해 효소를 사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 있어서 벡터의 구체예는 실험 부분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벡터는 예를 들어 P[GAL4] 이원 시스템 (상기 언급됨) 을 포함할 수 있다 (Brand and Perrimon, 1993; Elliott and Brand, 2008).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NA 서열을 포함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구축물 또는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된 세포에 관한 것이다.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장 또는 난소 세포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는 장 줄기 세포, 장벽모세포, 내장세포, 장-내분비 세포, 영양 세포 또는 난모세포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심 RNA 서열의 발현을 시험관내, 생체외 또는 생체내에서 연속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회복 또는 조절, 통상 증폭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 통상 RNA 서열, DNA 서열, 벡터 또는 세포 (본 발명에 따른) 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SEQ ID NO: 3 및 SEQ ID NO: 4 중 어느 것의 발현이 방지 또는 개질, 예를 들어 증가 또는 감소, 바람직하게는 발현이 변형되도록, 숙련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법을 사용하여 그의 게놈 (통상 SEQ ID NO: 7 또는 SEQ ID NO: 8) 이 유전적으로 개질된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CRE/LOX 시스템의 사용을 포함하는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상동 재조합 (녹-인, 녹-아웃, 녹-다운) 기법에 의해 유전적으로 개질된다.
본 발명은 또한 RNA 서열, DNA 서열, 구축물, 벡터 또는 세포 (본 발명에 따른) 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RNA 서열은 시험관내에서 매우 안정하며 매우 저항성이 있다. 그러나 치료할 대상에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유리하게는 식이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표현 "식이적으로-허용가능한 지지체" 는, 본 발명에 따른 RNA 서열, 구축물, 벡터 또는 세포 (그러한 서열을 포함하는) 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이 위험하지 않게 삼키고 소화하게 하며, 치료 작용이 생성되기 전에 이를 변형시킬 수 있는 어떠한 공격, 특히 식품 소화에 관련된 공격으로부터 상기 서열을 보호할 수 있는 운반체를 나타낸다.
표현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지지체" 는 본 발명에 따른 RNA 서열, 구축물, 벡터 또는 세포 (그러한 서열을 포함하는) 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하기 기재된 가능한 투여 경로 중 하나에 따라 위험하지 않게 투여될 수 있게 하는 운반체를 나타낸다.
유리하게는, 본 조성물의 운반체는 본 발명에 따른 관심 RNA, 구축물 또는 발현 벡터가 치료할 대상의 세포, 이상적으로는 본문에서 확인된 바와 같은 특정 세포에 침투하는 것을 촉진하고/하거나 그 효능을 손상시킬 수 있는 임의의 손상으로부터 RNA, 구축물 또는 발현 벡터를 보호한다.
운반체의 선택 뿐 아니라 운반체 중의 활성 물질 함량은 일반적으로 활성 물질의 용해도 및 화학적 특성, 투여 방식 및 치료할 대상의 특징에 따라 결정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사용할 수 있는 운반체 또는 지지체는 자연적 양이온성 중합체 예컨대 키토산 또는 아텔로콜라겐, 또는 합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L-리신), 폴리에틸렌이민 (PEI) 또는 덴드리머 (본 발명의 핵산과 복합체를 형성함); 리포좀; 양이온성 리포좀; 갈락토실화 리포좀; 표적 세포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로 코팅된 면역리포좀과 같은 세포 유형을 표적화할 수 있게 하는 리간드로 코팅된 리포좀 (Zheng et al., 2009); 중합체에 의해 형성된 나노입자 내에 위치한 리포좀 (Carmona et al., 2009) 또는 폴리양이온 및 폴리음이온의 다중층 필름을 포함한다.
부형제 예컨대 락토오스, 나트륨 시트레이트, 탄산칼슘, 제2인산칼슘 및 붕해제 예컨대 전분, 알긴산, 및 윤활제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및 탈크와 조합된 특정 복합 실리케이트를 정제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로젠지 제조를 위해, 락토오스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수성 현탁액은 현탁을 촉진시키는 유화제 또는 작용제를 함유한다. 희석제 예컨대 수크로오스, 에탄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아쥬반트 예컨대 알루미늄 염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계면활성제 (예컨대 리소레시틴, 플루로닉 폴리올, 폴리음이온, 펩티드 및 유액), 완전 및 불완전 프로인드 아쥬반트, MPL-TDM 아쥬반트 (모노포스포릴 지질 A, 합성 트레할로오스 디코리노미콜레이트), 티로신, 알루미늄, 사포닌 예컨대 StimulonTM, 및 사이토카인을 또한 첨가하여 조성물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RNA 서열은 주사가능 미세구체, 생분해성 입자, 중합체성 화합물 (예컨대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글리콜산), 비드 또는 리포좀 (생성물의 제어형 또는 지속형 방출을 제공할 수 있음) 과 같은 작용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식이적으로-허용가능한 지지체의 예는 예를 들어, 당류, 사포닌류 등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또한, 라민병증 (laminopathy) 치료, 특히 허친슨-길포드 (Hutchinson-Gilford) 증후군 또는 HGPS (조로증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인간에서 조기 및 가속화된 노화로 이루어짐), 비만, 당뇨병, 암, 퇴행성 질환, 특히 신경퇴행성 (예를 들어 백질이영양증 또는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 (여전히 SPG35 로서 확인됨)), 스트레스 또는 불임 치료에 사용가능한 작용제 중에서 바람직하게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타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만 치료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은 예를 들어, 렙틴 또는 이의 유도체 중 하나일 수 있다.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은 예를 들어, 인슐린 또는 이의 유도체 중 하나일 수 있다.
암 치료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은 예를 들어, DNA 복제 억제제 (예컨대 DNA 결합제, 특히 삽입 또는 알킬화 화합물), 항-대사산물 작용제 (예컨대 DNA 중합효소 억제제 또는 토포이소머라아제 I 또는 II 억제제), 유사분열 방지제 (예를 들어 알칼로이드) 및 암성 종양의 증식을 차단하는 작용제 (예컨대 티로시나아제 억제제 또는 단일클론 항체) 에서 선택되는 종래의 세포독성 화학치료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NA (가능하게는 본문에서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생성물을 사용하여 발현되거나 이로 구성됨) 및 기타 활성 화합물(들) 은, 동일한 조성물에서 이용가능한 경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성물 (핵산 서열, 벡터, 세포, 조성물) 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정맥내, 경구, 설하,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피하, 점막, 근육내, 폐내, 비강내, 질내 등의 투여용으로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물은 경구 투여용으로 조정되며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제시된다. 생성물은 식품, 정제, 캡슐, 알약, 당제, 로젠지, 과립 또는 경구 용액의 형태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용액, 유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이다. 정맥내, 피내 또는 피하 투여의 경우, 이는 통상 주사액의 형태이다.
관심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또한 전기천공에 의해 대상의 근육 내로 또는 피부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투약량 (또는 치료적-유효량) 은, 원하는 효과 (즉, 수명 연장, 노화, 스트레스 및/또는 불임의 유해 영향에 대한 대항) 가 이루어지도록 숙련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된다. 생성물의 특정 용량은 관련된 대상 및 원하는 적용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이는 대상의 체중,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경로, 흡수 및 배출 속도, 및 하나 이상의 기타 활성 분자와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여러 인자에 의존적이다.
단일 용량 또는 여러 용량으로 인간 대상에게 투여되는 대상의 총 1 일 용량은 예를 들어, 1 kg 당 1 μg 내지 20 mg, 바람직하게는 100 μg 내지 5 mg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여는 매주, 매일 또는 심지어 1 일 수 회 반복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NA 또는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0.05 내지 20 mg 의 RNA,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mg 의 RNA 를 포함하는 단위 용량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관심 RNA 서열은 치료 조성물, 예를 들어 백신에 사용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관심 RNA 서열은 미용 조성물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생성물의 적용
본 발명은 특히,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심 RNA 서열 또는 DNA 서열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는, 본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또한 i) 노화 매커니즘과 관련된 병리적 측면, 이상, 장애 또는 겉보기 또는 기능적인 악화를 예방 또는 치료하고, ii) 대상의 수명을 연장하거나, iii) 스트레스에 대한 대상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특정 양상에서, 본 발명은 i) 노화 매커니즘과 관련된 병리적 측면, 이상, 장애 또는 겉보기 또는 기능적인 악화를 예방 또는 치료하고, ii) 대상의 수명을 연장하거나, iii) 스트레스에 대한 대상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의도된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치료적-유효량으로의 이러한 생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양상에서, 본 발명은 미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이러한 생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문헌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용어 "치료" 는 증상의 개선 또는 해결, 질환 또는 노화 과정 진행 감속, 질환 진행 중단 또는 질환 해결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노화 과정(들) 의 지연 및 이러한 과정(들) 에 관련된 병리적 측면 및 유해 영향에 대한 대항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RNA 서열의 놀라운 효능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자는 특히, 서열 SEQ ID NO: 1 의 snoRNA:Ψ28S-1153 의 초파리에서의 과발현이 상기 초파리의 수명을 극적으로 두 배로 만든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특히, 이들은 snoRNA:Ψ28S-1153 에 대한 돌연변이 초파리가 40 일령에서 야생형 초파리보다 더 많은 신경퇴행성 병변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도 12). 일반적으로, snoRNA:Ψ28S-1153 을 과발현하는 초파리는 뇌 병변을 적게 갖거나, 심지어 갖지 않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snoRNA 의 보호 성질이 신경퇴행성 병리 측면에 관련된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더불어, 본 발명자는 snoRNA:Ψ28S-1153 을 과발현하는 40 일령 초파리가 야생형 초파리보다 양호한 감각운동 성능 (운동 활성을 정량화하는 시험 동안 이동한 거리에 의해 표시함) 을 가지며, 따라서 노화 매커니즘과 연관된 유해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 13).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관심 RNA 서열의 과발현이 대상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노화 매커니즘을 지연시키고, 이러한 매커니즘과 연관된 유해 영향에 대항하게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특히, 이들은 상기 과발현이 신경보호적이며 특히 퇴행성 질환, 특히 신경퇴행성, 통상 뇌에서의 탈수초화를 초래하는 철 축적과 연관된 신경퇴행성 질환, 예를 들어 fa2h 유전자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에 의해 초래된 신경퇴행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백질이영양증 (통상 fa2h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된 것들) 또는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 (통상 SPG35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 가 치료되도록 한다. 이는 또한 당뇨병, 암 또는 생식력 또는 불임 문제가 예방 또는 치료되게 하며 (도 14), 또한 치료된 대상의 운동 활성 유지에 유리하다.
"대상" 은 그의 성별 또는 연령에 관계없이 이러한 치료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것인 임의의 생명체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대상은 성인 대상이다. 대상은 초파리와 같은 곤충, 또는 동물, 예를 들어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영장류 또는 인간) 또는 설치류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또는 래트)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상은 i) 관심 RNA 서열을 발현하지 않거나 상기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고, ii) Delta/Notch (델타/노치) 경로의 검출가능한 세포적 증식 또는 조절결여를 담당하는 단식, 열 쇼크, 산화 스트레스 (예컨대 파라콰트 노출) 또는 스트레스 (장 내) 와 같은 스트레스 조건을 경험하고 있는 대상 (특히 성적 성숙 시기에 도달한 대상, 바람직하게는 연장자 대상) 이고/이거나, iii) 노화와 관련되거나 노화에 의해 촉진되는 질환, 통상 퇴행성 질환, 특히 신경퇴행성, 라민병증 예컨대 조로증, 비만, 당뇨병, 암 또는 생식력 문제 (특히 불임 또는 불임증 포함) 을 앓고 있는 대상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가능성이 있는 대상의 게놈은 i) 본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관심 서열의 RNA 를 발현하지 않고, ii) 상기 관심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거나, iii) 상기 관심 RNA 서열의 무-발현 또는 비정상 (즉, 비-기능적) 발현을 책임지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DNA 서열을 함유한다.
DNA 서열의 정상 (야생형) 형태는 예를 들어, 이전에 확인된 서열 SEQ ID NO: 5, SEQ ID NO: 6, SEQ ID NO: 7, SEQ ID NO: 8, SEQ ID NO: 10, SEQ ID NO: 12, SEQ ID NO: 14, SEQ ID NO: 16, SEQ ID NO: 18, SEQ ID NO: 20, SEQ ID NO: 22, SEQ ID NO: 24, SEQ ID NO: 26, SEQ ID NO: 28 및 SEQ ID NO: 30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정상 형태의 DNA 서열에 영향을 줄, 즉 본 발명에 따른 관심 RNA 서열의 발현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돌연변이는 통상,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티드의 결실, 부가 및/또는 치환 중에서 선택된다.
용어 "장수" 또는 "수명" 은 대상이 이상적 조건 하 및 질환 또는 사고의 부재 하에 생존하는 생물학적 종으로서 프로그래밍되는 수명을 나타낸다. "최대 장수" 또는 "최대 수명" 은 소정의 종의 개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수명이다. 실제적 목적으로, 대상의 최대 장수는 집단 일원 중 하나에 의해 도달된 최대 연령에 의해 추정된다. "평균 장수" 또는 "평균 수명" 은 소정이 집단의 50% 가 생존하는 연령이다.
"수명 연장" 에 대한 치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광범위하게 인지된 방법은 최대 장수 또는 평균 장수를 참조로 한다. 치료가 대조 대상군에 비해 대상군의 최대 또는 평균 장수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경우, 수명 연장 및 노화 지연이 존재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초파리에서 성적 성숙도는 평균적으로 1 일령에 도달된다. 평균 수명은 대략 30 일이다. 최대 수명은 초파리 수명 및 초파리 주 및 생존 또는 사육 조건에 따라 대략 60 내지 80 일로 이루어진다. 마우스에서, 성적 성숙도는 평균적으로 출생 후 42 일에 도달된다. 평균 수명은 대략 832 일이다. 인간에서, 성적 성숙도는 9 내지 14 세에 도달된다. 평균 수명은 남성에 있어서는 73 세이고 여성에 있어서는 79 세이다. 최대 수명은 현재 122 세, 5 개월 14 일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노화" 는 아동기 및 사춘기에 걸친 성숙에서 대상의 기능적 쇠퇴까지의 범위의 점차적 및 자연적 변화 과정이다. 따라서 노화는 발생 및 성숙의 긍정적 요소 및 쇠퇴의 부정적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관심 RNA 서열은 대상의 최대 또는 평균 장수 (또는 수명) 를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서열은 대상 또는 성인 대상의 하위집단 (예를 들어 성별 및/또는 연령 (즉, 최소 연령 또는 최대 연령에 의해, 또는 연령 창 (age window) 에 의해) 정의됨) 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노화를 지연시킨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초파리 뿐 아니라 포유동물, 예컨대 마우스, 특히 인간의 수명이 대략 50% 또는 심지어 100% 로 연장되면서, 노화 상태 개선이 통상적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RNA 서열을 사용하여, "노화의 유해 영향" 에 또한 대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러한 표현은 노화의 부정적 요소, 즉 대상의 쇠퇴를 의미한다. 생리학적 수용력의, 연령에 따른 진행성 쇠퇴는 한 기관에서 또 다른 기관으로 다양하며 한 대상에서 또 다른 대상으로 다양하다. 대상의 생리학적 쇠퇴는 환경적 자극에 반응하는 능력 감소 및 질환 및 장애에 대한 감수성 및 취약성의 증가를 초래한다. 노화의 유해 영향은 대상의 약화에 영향을 주며 그의 사망을 촉발시킬 수 있는 원치않는 변화의 축적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화는 발생, 선천적 노화, 가능한 유전적 이상, 환경 및 질환 (대상에 영양을 주거나 영향을 주었던) 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을 사용하여, 퇴행성 질환, 특히 신경퇴행성, 통상 중추신경계 및/또는 말초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퇴행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뇌에서의 탈수초화를 초래하는 철 축적과 연관된 신경퇴행성 질환, 특히 fah2 유전자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된 신경퇴행성 질환이 예방 또는 치료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질이영양증 (통상 fa2h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연결된 것들) 또는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 (통상 SPG35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 가 치료되게 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근질환, 헌터 증후군, 선천성이상각화증, 프라더-윌리 증후군,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다발성 경화증 및 루게릭병 (ALS) 에서 선택되는 병리적 측면을 예방 또는 치료할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라민병증 예컨대 허친슨-길포드 증후군 (또는 조로증), 하악골 형성이상 (mandibuloacral dysplasia (MAD)), 에메리-드레이푸스 (Emery-Dreifuss) 근육 위축병, 비정형 웨르너 (Werner) 증후군, 제한적 피부병(restrictive dermatopathy), 치명적인 태아 운동불능, 및 LIRLLC (전신지방조직위축증, 인슐린-저항성 당뇨병, 백반흑피증 구진 (leukomelanodermic papules), 간 지방증 및 비대형 심근증), 바람직하게는 허친슨-길포드 증후군을 예방 또는 치료할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당뇨병 또는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할 것이다.
이는 또한 암 또는 신생물 과정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관여할 수 있다. 암은 통상 암종, 육종, 림프종, 흑색종, 소아 종양 또는 백혈병 중에서 선택된다. 이는 예를 들어,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전립선암, 식도암, 결장암, 직장암, 신장암, 폐암, 갑상선암, 골육종, 흑색종, 백혈병, 신경모세포종 등일 수 있다.
한 특정 구현예서, 본 발명은 자유 라디칼에 의해 유도된 암 예컨대 결장암 및 위암에 대항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이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을 사용하여 불임 또는 불임증 문제에 대항할 수 있다. "불임" 또는 "불임증" 은 임신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임신을 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용 맥락에서, 대상은 통상 성적으로 성숙하며 예를 들어 조산, 생식의 어려움을 갖는 여성이다. 통상 대상은 불임증, 불임이거나 출산력에 있어서 때이르거나 조산 유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관심 RNA 서열은 불임 치료를 허용하거나 치료된 대상의 생식력 회복, 증가, 증진 또는 자극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문에서 기재된 것들과 같은 노화 매커니즘 또는 스트레스에 관련된 병리적 측면, 이상, 장애, 유해 영향 또는 겉보기 또는 기능적 악화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험 화합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노화 또는 스트레스의 유해 영향 뿐 아니라 이러한 스트레스 또는 이러한 노화 매커니즘과 연관된 병리적 측면에 대항하기 위한, 또는 불임에 대항하기 위한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시험 화합물" 은 노화의 유해 영향, 스트레스 또는 불임에 대하여 대항하는데 있어서 잠재적으로 관여된 임의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는 자연적 또는 화학적 분자, 금속, 방사선 조사제 등일 수 있다.
화합물을, 그의 잠재적 치료 효능, 즉 노화 또는 스트레스의 유해 영향 및 질환,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라민병증, 퇴행성 질환 또는 암을 예방, 치료하거나 또는 치료를 증진시키고, 당뇨병 또는 비만을 예방, 치료하거나 치료를 증진시키고, 또는 불임을 예방, 치료하거나 치료를 증진시키는 그의 능력에 대해 시험할 수 있다.
화합물을 또한, 그의 잠재적 미용적 효능, 즉 대상의 물리적 외관을 향상시키고, 노화 매커니즘에 관련된 대상의 명백한 악화에 보다 양호하게 대항하는 그의 능력에 대해 시험할 수 있다. 시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표피, 체모 및/또는 모세관계, 손톱, 입술, 외부 생식 기관, 치아 또는 점막의 미용적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제 1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기재된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i) 본 발명에 따른 RNA 서열을 발현하지 않거나, 상기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는 세포, 세포 집단 또는 조직;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노출 단계,
ii)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세포(들) 또는 상기 조직 또는 상기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표현형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영향 평가 단계, 및
iii) 상기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 활성 회복 및/또는 상기 시험 화합물의 효능과 상호연관되는 상기 RNA 서열 발현의 측정 단계.
상기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은 대조군 값을 참조로 하여 평가 또는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대조군 값은, 상기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는, 또는 발현하지 않는 세포, 세포 집단 또는 조직에서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의 상기 RNA 서열의 발현 및/또는 활성 수준으로부터 확립될 수 있다.
시험 화합물에 노출된, 세포, 세포의 집단, 조직 또는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존재하는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은, 본 발명의 상기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또는 상기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지 않거나 또는 발현하는 세포, 세포의 집단 또는 조직에서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보다 더 큰 경우, 시험 화합물은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을 갖는다.
제 2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서 기술된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i) 본 발명에 따른 RNA 서열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세포의 집단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를 포함하는 조직의 노출,
ii)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세포 또는 세포 집단 또는 상기 조직의 표현형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평가, 및
iii) 상기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의 측정,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의 증가는 상기 시험 화합물의 효능과 연관됨.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 따르면, 대조군 값이 상기 RNA 서열을 발현하는 세포 또는 세포 집단에서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의 수준으로부터 확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험 화합물에 노출된 세포 또는 세포 집단에 존재하는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이 상기 RNA 서열을 발현하는 세포 또는 세포 집단에서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보다 더 큰 경우, 시험 화합물은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능을 갖는다.
RNA 서열의 발현 및/또는 활성 수준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통상적으로는 정량적 PCR 또는 면역조직화학 (관심 snoRNA 에 의해 조절된 유전자/단백질에 대항하는 항체에 의해 염색) 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다.
치료적 효과는 또한 예를 들면 세포 분할 개수 측정 등에 의해 세포의 수명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시험 화합물에 노출된 세포 또는 세포 집단은 창자 또는 난소 기원이다. 바람직한 세포는 상기 텍스트에서 언급된 세포들 중에서, 전형적으로는 장벽모세포, 장세포, 장-내분비 세포, 장 줄기 세포, 영양 세포, 전형적으로 난소 챔버, 난모세포, 난원세포의 영양 세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측면 및 이점은 하기의 도면 및 실시예를 판독하면 드러날 것이며, 이때 이들은 설명적인 것으로서 제한하지 않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도면 범례
도 1: youth snoRNA 및 F4 결실의 위치, 유전자좌 P[Gal4]4C 의 게놈 영역의 맵
도 2: A) H/ACA 박스 모티프, B) 슈도우리딜화 도해. (Kiss et al., (2010) Molecular Cell, 37, 597-606 발췌).
도 3: 암컷 파리의 수명. 경과일 수의 함수로서 살아있는 파리 개수의 누적 질병 (%). Cont-CS = 야생형 대조군 파리. F4= F4 돌연변이체, G5= G5 게놈 snoRNA 트랜스진 (transgene) 을 갖는 파리, F4;G5= F4 돌연변이체 유전 백그라운드에서 G5 snoRNA 트랜스진을 갖는 파리 (야생형 표현형을 회복시키기 위함) (괄호: 파리 개수).
도 4: 3-일령 마우스에서 수행된 스트레스 저항성 시험 (열 쇼크, 단식, 파라쿼트).
A) 열 쇼크: F4 돌연변이체는 대조군보다 보다 저항적이다 (오직 암컷). snoRNA (G5) 를 과발현하는 파리뿐 아니라, 트랜스진이 제공된 F4 돌연변이체 (F4;G5) 는 대조군보다 보다 저항적이다 (암컷 및 수컷).
B) 단식: F4 돌연변이체는 대조군보다 보다 저항적이다 (수컷 및 암컷). snoRNA 과발현 파리 (G5) 는 보다 저항적이다 (오직 암컷). 트랜스진이 제공된 F4 돌연변이체 암컷 파리 (F4;G5) 는 대조군 파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야생형은 트랜스진에 의해 회복된다.
C) 파라쿼트: F4 돌연변이체는 대조군보다 더욱 저항적이다 (수컷 및 암컷). snoRNA 과발현 파리 (G5) 는 보다 저항적이다 (오직 암컷). 트랜스진이 제공된 F4 돌연변이체 파리 (F4;G5) 는 대조군 파리와 유사하고, 따라서 야생형이 트랜스진에 의해 회복된다.
도 5: 창자 및 난소에서의 인 시츄 하이브리드화
A) 야생형 대조군 마우스 (Canton-S) 에서, snoRNA 가 창자의 상피 세포에서 발현된다. 청색: DAPI 에 의한 핵의 DNA 염색. 적색: snoRNA 염색. snoRNA 염색 (적색 포인트) 는 뚜렷하고 핵의 것에 보완적이란 점 (청색) 에 주목하고, 이는 상기 후자가 핵소체에 위치하고 있음이 증명된다.
B) F4 돌연변이체 (snoRNA 결실) 에서, 청색 염색이 관찰되나 (DAPI) 적색 염색은 관찰되지 않는데, 이는 snoRNA 가 결실되어 발현되지 않기 때문이다.
C) 대조군 파리, 야생형 (Canton-S). snoRNA 는 난소 영양 세포에서 발현된다.
D) F4 돌연변이체 파리. snoRNA 는 난소에서 발현되지 않는다.
도 6: 리포터 유전자 GFP (UAS-GFP) 의 발현을 구동하는 4 개의 별개의 Gal4 드라이버 라인을 통한 창자의 상피 세포에서 snoRNA 의 표적화 발현. 인 시츄 하이브리드화에 의한 snoRNA 의 발현 검출 (적색 및/또는 오렌지색) (좌측 컬럼: a1,b1,c1,d1,e1), DAPI 로의 핵 염색 (청색) (두번째 컬럼: a2,b2,c2,d2,e2), 면역염색에 의한 GFP 의 발현 (FITC (녹색) 에 의해 드러난 항-GFP 항체) (세번째 컬럼: a3,b3,c3,d3,e3). 우측 컬럼 (a4,b4,c4,d4,e4) 공동-국소화를 보여주는 이전의 3 종의 이미지의 중첩. (A) 에서만 이중 염색이 존재하는 것에 주의하며 (Myo1A-Gal4), 이는 snoRNA 가 오직 장세포에서만 발현됨을 나타낸다. A) Myo1A-Gal4 (Myo1A-Gal4;UAS-mCD8-GFP) 의 통제 하에 장세포 내 snoRNA 의 표적화 발현. B) F4 돌연변이체 유전 백그라운드에서 Myo1A-Gal4 에 의한 장세포에서의 표적화 발현 (Myo1A-Gal4, F4/F4;UAS-snoRNA-8M/+). C) 장줄기 세포 (ISC) 를 염색하는 esg-Gal4 (esg-Gal4,UAS-GFP) 의 통제 하에 창자에서의 표적화 발현. D) 장벽모세포를 염색하는 Su(H)-Gal4 (Su(H)-GBE-Gal4;UAS-mCDB-GFP) 의 통제 하에 창자에서의 표적화 발현. E) 장 줄기 세포 (ISC) 를 염색하는 Delta-Gal4 의 통제 하에 창자에서의 표적화 발현 (Dl-Gal4,UAS-GFP).
도 7: snoRNA (UAS-8M) 의 발현을 구동하는 3 종의 여타의 개별 Gal4 드라이버 라인을 통한 창자 상피의 기타 세포 유형에서 snoRNA 의 표적화 발현 (snoRNA 가 기타 세포 유형에서 이소적으로 (ectopically) 발현될 수 있음을 나타냄).
A) esg-Gal4 의 통제 하에 표적화 발현 (esg-Gal4, F4/F4;UAS-8M/+)
B) Su(H)-Gal4 의 통제 하에 표적화 발현 (Su(H)-GBE-Gal4, F4/F4;UAS-8M/+)
C) Delta-Gal4 의 통제 하에 표적화 발현 (Delta-Gal4,F4/F4;UAS-8M/+).
도 8: 3일령 파리의 창자에서 snoRNA 의 표적화 발현 후 각종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F4 돌연변이체 유전 백그라운드에서 snoRNA 의 재발현)
A) 단식: Myo1A-Gal4 의 통제 하에 snoRNA (UAS-8M) 의 표적화 발현. 2 개의 대조군 라인에 비해 snoRNA (Myo,F4/F4; 8M/+) 를 발현하는 파리에서 저항성 증가가 분명히 드러난다.
B) 단식: esg-Gal4 의 통제 하에 snoRNA (UAS-8M) 의 표적화 발현. 2 개의 대조군 라인에 비해 snoRNA (esg,F4/F4; 8M) 를 발현하는 파리에서 저항성 증가가 분명히 드러난다.
C) 단식: Su(H)-Gal4 의 통제 하에 snoRNA (UAS-8M) 의 표적화 발현. 2 개의 대조군 라인에 비해 snoRNA (Su(H),F4/F4; 8M) 발현 파리에서 분명한 저항성 증가가 있다.
D) 36℃ 에서의 열 쇼크: Su(H)-Gal4 의 통제 하에 snoRNA (UAS-8M) 의 표적화 발현. 2 개의 대조군 라인에 비해 snoRNA (Su(H),F4/F4; 8M) 를 발현하는 파리에서 분명한 저항성 증가가 있다.
도 9: A) 게놈이 공지되어 있는 초파리의 12 종에서의 상동성; B) 12 종의 초파리의 공통 구조.
도 10: 염색체 11 상 인간 상동체
도 11: Mus musculus (마우스-1 및 마우스-2) 에서의 상동 유전자.
도 12: 뇌 조직학: 40-일령 파리의 뇌에서 가시적인 신경퇴행. 대조군 파리 (Canton-S 야생형) (a1) 는 신경퇴행 병변 (vacuoles/gaps) 을 제시하나, F4 돌연변이 파리 (a2) 는 보다 더한 병변을 제시한다. 돌연변이 유전 백그라운드에서 snoRNA 발현 파리 (구제됨: F4;G5) (b1) 는 CS 및 F4 보다 더 적은 병변을 제시하고 snoRNA 과발현 파리 (G5) (b2) 도 그러하다. 특이적으로 장세포에서 snoRNA 를 재발현하는 F4 돌연변이 파리 (Myo,F4/F4;UAS-SnoRNA) (c2) 도 또한 이를 발현하지 않는 것 (Myo,F4/F4) (c1) 보다 더 적은 병변을 갖는다. (d) 에서, 이들 각종 유전자형을 위한 어린 파리 (4일령) 및 성충의 파리 (40일령) 에서 병변의 정량화. 상기 모든 결과는 snoRNA 의 발현이 성충의 파리에서 신경퇴행 병변에 대해 보호한다는 점을 나타냈다 (0, +, ++, +++ = 그들의 수 및 영역에 기반한 병변의 중증도)
도 13: 7 시간의 레코딩 동안 이동된 거리에 의해 여기서 나타낸 비디오 트래킹에 의해 정량화된 감각운동 매개변수 (운동 활성). 40일령 파리를 어린 4-일령 파리와 비교한다. A) 암컷에 의해 이동된 거리. B) 수컷에 의해 이동된 거리.
도 14: 파리 생식력 (A) 암컷/일 및 B) 17 일 후에 암컷 당 낳은 알 개수) 모든 F4 돌연변이는 대조군 (CS) 보다 조금 더 많은 알을 낳지만, 약간 지체된다. F4 돌연변이 (F4;G4 - 또한 F4;4M 로 지칭) 에서 트랜스진 (snoRNA) 의 발현은 생식력을 저감시킨다. 트랜스진 (G4- 또한 4M 으로도 지칭) 의 과발현은 생식력 (낳은 알의 수) 을 증가시킨다 .
도 15: 창자 상피의 도해 (Jiang and Edgar, Exp. Cell. Res., 2011 발췌).
A) 성체 초파리에서의 창자 상피 재생 모델.
B) 초파리 (배아, 유충, 번데기, 성충) 및 포유류에서의 장-내분비 세포에서의 노치 (Notch) 기능 모델. Dl= Delta, N= Notch, NO = Notch 시그널 부재. 이 도해는 초파리의 창자 상피와 인간의 그것 간의 완전한 유사성을 분명히 보여준다.
도 16: 초파리에서 창자 항상성 및 재생 (중간 창자) 을 조절하는 레트로-대조군 메커니즘 (Jiang and Edgar, Exp. Cell. Res., 2011 발췌). (도 15 와 동일 약어).
도 17: youth snoRNA 는 유전자 CG9339 (skywalker) 의 대안적인 스플라이싱에 관여된다. 비교용 RT-PCR 을 F4 돌연변이에서 이들 유전자의 일부가 야생형 파리 (Control-CS) 와 비교시 정확히 스플라이싱하지 않는지 여부를 보기 위해 일부 잠재적 표적 유전자에서 실시한다. 그중에서도, 유전자 CG9339 (skywalker) 의 345-400-432-462 bp 의 4 개의 전사물을 분석했다. 사용 RNA 가 미량의 DNA 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는 점을 증명하기 위해 RNA 포함 대조군 (미리 RT 부재) 과 마찬가지로 내부 대조군으로서 rp49 유전자 (300-bp 단편) 를 이용한다. F4 돌연변이에서 유전자 CG9339 (skywalker) 의 소형 345-bp 전사의 부재에 주목한다 (화살표).
도 18: youth snoRNA 는 2 종의 기타 유전자들의 RNA 수준 조절에 관여된다: klarsicht 및 유전자 CG30502 (fa2h). A) klarsicht 에 있어서, 464-bp 단편 (엑손에 포함됨) 의 증폭은 야생형 대조군 파리 (Canton-S) 에서보다 F4 돌연변이에서 전사 생성물이 덜 존재한다는 점을 나타낸다. B) fa2h 에 있어서, 429-bp 단편 (엑손에 포함됨) 의 증폭은 야생형 대조군 파리 (Canton-S) 에서 보다 F4 돌연변이에서 덜 전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9: klarsicht 역할 기술 모델. A) klarsicht 는 그의 KASH 도메인을 통해 핵막의 내부 표면 상 위치된 라미나 (lamina) 와 상호작용한다 (Patterson et al., 2004). B) 핵 라민 (lamin) 의 구조 및 기능을 보여주는 개략도. 상기 라민은 핵막의 내부 표면에 위치되고 핵 안정성을 유지하며 염색질을 조직화하고 핵막 소공 (NPC) 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라민과 상호작용하는 몇몇의 단백질을 또한 도해한다 (Coutinho et al., Immunity & Ageing, 2009 에 의거).
도 20: youth snoRNA 의 이종상동성 포유류 서열을 마우스 및 인간에서 발현시킨다 (마우스 및 인간 상동체의 RT-PCR 에 의한 검출). 이들 snoRNA 의 발현은, 이들이 매우 작용적일 가능성이 있음을 지시한다. 인간에게서, 159-bp snoRNA (SEQ ID NO: 2) 가 창자 및 뇌에서 발현되고, 난소 및 신장에서 약간 발현된다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 붉은색 별표로 표시). 마우스에서, 129-bp snoRNA-1 (SEQ ID NO: 3) 이 오직 뇌에서 발현된다. 대조적으로, 122-bp snoRNA-2 (SEQ ID NO: 4) 가 창자, 뇌 및 난소에서 발현되나 신장에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도 21: youth snoRNA 에 대해 돌연변이된 파리 (F4 돌연변이) 는 지방체 비대를 보인다. 그의 유의미한 변화가 40-일령 성충 파리에서 그들의 각 대조군 (또한 40일령) 과 비교시 관찰된다. 이들 병변은 세포자멸사를 겪는 세포를 라벨링하는 활성화 항-카스파아제-3 (caspase-3) 항체 라벨링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A) "CS" 대조군 파리. 백색 점선에 의해 둘러싸인 지방체는 꽤 균일하고 매끄럽다. B) F4 돌연변이 파리: 큰 세포 응집체를 주목한다 (백색 화살표). C) snoRNA 트랜스진을 가진 파리 (G5) 에서: 지방체 (응집체 부재) 는 "CS" 대조군의 지방체를 닮았다. D) F4 돌연변이 유전 백그라운드에서 G5 트랜스진을 가진 파리에서 (F4;G5), 이들 파리는 단지 몇몇의 응집체를 보이고, 이들 응집체는 더 작았는데, 이는 트랜스진이 부분적으로 돌연변이로 인해 지방체 병변을 구제한다는 점을 지시한다. 이들 결과는 탄수화물 및 지방의 대사 파괴를 강력히 시사한다.
실험부
1) 유전자좌 P[GAL4]4C 에 위치된 snoRNA:Ψ28S-1153 ( youth ) 의 유전적 및 분자 특징 분석
이 실험은 중심 복합체 및 특히 타원체의 구조와 기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및 초파리에서의 운동 거동과 관계된 신경 기반 연구의 일부이다. 이 문맥에서, P[GAL4] 인핸서 트랩 라인의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해 타원체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된 P[GAL4]4C 라인 동정을 허용했다 (도 1). 상이한 유전적 접근, 특히 파상풍 독소의 표적화 발현이 이들 뉴런을 차단하는 것이 운동 활성에서 결핍을 야기한다는 점을 보인다 (Martin et al., 2002). 제 2 단계에서, 이들 뉴런을 상세히 더 잘 추가로 특징분석하기 위해 운동 활성에 관여된 신경 네트워크 내 그들의 기능을 측정하고, P[GAL4]4C 라인의 삽입 유전자좌를 유전적 및 분자적으로 특징 분석했다. PCR-rescue 를 실시 및 허용하여, 염색체 2 R 상, (우측: 즉, 오른쪽 부문), 위치 50 A 에서, 두 유전자: CG13333 및 CG13334 사이에서 P[GAL4]4C 의 P-엘리멘트의 삽입 포인트를 밝혔다 (도 1). 이어서, 두 유전자의 각각의 표현형 및 기능을 밝힐 수 있게 하기 위해, 돌연변이를 P-엘리멘트의 재-적출에 의해 (점프-아웃 (jump-out), 또는 복귀돌연변이체로 지칭되는 유전적 접근에 의해) 이들 사이에서 생성하였다. F4 명명된 632 개의 염기쌍 (bp) 의 소형 결핍을 그에 따라 수득했다 (도 1).
snoRNA:Ψ28S-1153 을, 초파리 게놈에서 모든 잠재적 소형 핵소체 RNA (snoRNA) 의 Huang et al. (2005) 에 의해 행해진 체계적 스크리닝의 일부로서 위치 67331 에서의 상기 유전자좌에서 (도 1) 동정했다. 그러나, 해당 문헌은 snoRNA:Ψ28S-1153 과 임의의 기능을 연계하지 않고 임의의 특정 snoRNA 를 구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문맥 하에서, 소형 F4 결실 부재의 상기 snoRNA 는 정확히 배치되었고 구조적으로 및 작동적으로 특성화되었다. 이와 같이, 상기 snoRNA 는 148 개의 염기쌍 (bp) 으로 이루어지고 이의 구조는 H/ACA 박스를 포함한다.
2) F4 결실의 표현형 특징분석: 수명 감소.
P[GAL4] 4C 라인의 라벨링된 고리 뉴런에서 파상풍 독소의 표적화된 발현을 통해 파리의 운동 활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와 동시에, 본 발명자들은 이들 파리가 매우 짧은 수명을 갖는다는 점을 관찰하여, F4 파리 (유전자좌 4C 에서 돌연변이화) 의 수명뿐 아니라 P[GAL4]4C/UAS-파상풍-독소 파리의 수명을 정확히 정량화하기로 결심하였다. 그에 따라, F4 파리는 (야생형 대조군 파리와 비교시 약 30% 의) 짧은 수명을 가지는데, 이는 snoRNA 결실이 수명 (장수) 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도 3). 본 발명자들은 또한 상기 영향이 파리의 성별에 따라 상이하다는 점을 관찰하였고, 이때 상기 영향은 수컷에서보다 암컷에서 훨씬 보다 두드러졌다.
3) 야생형 표현형 회복 목적을 위해 ("구제 (rescue)"), snoRNA (youth) 의 게놈 영역을 포함하는 트랜스제닉 라인의 발생
F4 돌연변이의 표현형은 실제로 snoRNA 의 결실로 인한 것이라는 점을 입증하기 위해, snoRNA 를 포함하는 상기 영역의 1723 bp 의 게놈 DNA 서열 (66377 에서 68100) 을 갖는 트랜스제닉 초파리의 라인 (도 1) 및 그의 조절자 서열을 제조했다. 보다 명확하게, 1723-bp 영역으로부터의 게놈 단편을 PCR 로써 증폭시키고, pCaSper-4 벡터 (상기 벡터는 어떠한 프로모터/조절자 서열을 함유하지 않음) 내로 Xba1 제한 부위를 통해 삽입했다. 이어서, 트랜스제닉 파리를 표준 기술에 따라 생성하고, 동일 트랜스진을 발현하나 게놈 내 구별되는 위치에 삽입시킨 파리 라인을 수득했다 (독립 삽입: G4, G5).
다음으로, 트랜스진이 기능하고 F4 돌연변이를 구제할 수 있음 (즉, 야생형 표현형을 회복하고, 다시 말해 F4 결실이 없이 관찰된 것과 동등한 수명을 회복하는 것) 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F4 유전 돌연변이의 문맥 하에서 이들 트랜스제닉 라인을 표준 유전자 교차 (F4;G4 및 F4;G5) 에 의해 도입했다. 따라서, 트랜스진은 수명 감소를 담당하는 돌연변이로 인한 표현형을 구제할 수 있음이 입증될 수 있었다 (도 3) (예를 들어, F4 대 F4;G5 참조). 더욱이, 야생형 게놈 (정상) 에 위치된 상기 트랜스진 (2 개의 내인성 카피 대신 snoRNA 4 카피가 존재 하므로, 상기 snoRNA 의 과발현에 해당함) (G5) 는 수명을 증가시킨다 (심지어는 F4;F5 의 경우 수명이 두배로 증가하거나 또는 G5 에 대해서는 약 30% 증가한다) (도 3). 이에 따라 이 실험은 동물의 수명이 상기 snoRNA 의 과발현에 의해 (또는 이의 발현 수준의 개질에 의해) 증가될 수 있음이 분명히 밝혀졌다. 요약하면, 상기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상응하거나 또는 동등한 영역 (F4 로 불리우는 632 개의 염기쌍) 에서 소형 게놈 결실 (도 1) 은 수명을 단축시키나, 유전자 치료에 의한 (상기 snoRNA 의 게놈 DNA 를 함유하는 트랜스진을 통한) 과발현은 동일한 돌연변이를 구제할뿐 아니라 치료 대상의 수명을 현저하게 연장 (두배로) 시킨다 (도 3).
4) 스트레스 저항성 시험
현재 장수 작용의 유전자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이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snoRNA 의 과발현이 단식, 열 쇼크 및 산화 스트레스 (파라쿼트에 의해 유도됨) 와 같은 스트레스 조건 하에서 관련 대상자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 바 있고 그의 확인을 얻었다 (도 4).
A) 열 저항성 시험 (열-쇼크 시험)
3 일 동안 사료 포함 표준 관에서 수컷 및 암컷을 함께 키웠다. 3 일령때, 수컷 및 암컷을 20 마리의 그룹으로 분리하여 사료 포함 표준 관에 분포시킨다. 파리에 열 쇼크를 가하기 위해, 파리를 포함하는 관을 36℃ 의 인큐베이터에 놓는다. 죽은 파리의 개수를 매 6 시간마다 계수한다. 열 쇼크 (36℃) 에 대해서, 도 4A 에서, F4 돌연변이 파리 (오직 암컷) 가 대조군 파리보다 더 저항적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그러나, G5 파리 (수컷 및 암컷) 는 대조군 및 F4 돌연변이보다 더 저항적인 반면, F4 돌연변이에서 G5 트랜스진의 발현 결과로 (F4;G5 파리) 이들 파리가 또한 대조군 파리 및 F4 돌연변이 파리보다도 훨씬 더 저항적이라는 것을 명시한다.
B) 단식 시험
열 저항성 시험과 같이, 수컷과 암컷을 함께 3 일 동안 사료 포함 표준관에서 키운다. 3 일령때, 수컷과 암컷을 20 마리의 그룹으로 분리해서 여과지 및 400 ㎕ 의 물 (건조 방지용) 함유 관에 분포시킨다. 파리를 습한 방, 24℃ 에서 유지하고, 죽은 파리의 개수를 매 6 시간 마다 계수한다. 단식에 대해, 도 4B 에서, F4 돌연변이 파리 (수컷 및 암컷) 가 대조군 파리보다 더 저항적임에 주목한다. 나아가, G5 파리 (암컷) 은 훨씬 더 저항적인 반면, F4 돌연변이에 트랜스진의 발현 (F4;G5) 이 정상의 생존율을 복구한다 (암컷).
C) 산화 스트레스 (파라쿼트) 에 대한 저항성
파라쿼트 (1,1'-디메틸-4,4'-바이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 는 NADH 를 감소시키고, 이는 안정적인 파라쿼트 라디칼을 생성하여, 산소와 반응해 ROS (반응적 산소 종) 을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ROP 는 세포 손상을 유발한다 (Rzezniczak et al., 2011). 앞서의 시험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컷과 암컷을 3일 동안 사료 함유 표준관에 함께 키운다. 3 일령 때, 수컷 및 암컷을 20 마리의 그룹으로 분리하여 비어 있는 표준관에 분포시켜 이들을 6 시간 동안 단식시킨다. 이후, 파리를 여과지 및 1% 수크로오스 중 희석된 20 mM 파라쿼트 450 ㎕ 함유 관에 옮겨 음식 섭취를 촉진한다. 파리를 습한 방에 24℃ 에서 유지시키고, 죽은 파리의 개수를 매 6 시간 마다 계수한다.
산화 스트레스에 대해, 도 4C 에서, F4 돌연변이 파리 (또한 수컷에 있어 강한 동향이 존재하나, 암컷만) 가 대조군 파리보다 더 저항적임에 주목한다. 마찬가지로, 암컷 G5 파리가 대조군보다 더 저항적이고 F4 돌연변이와 유사하지만, F4 돌연변이에서 트랜스진의 발현 (F4;G5) 이 파리 (대조군 파리와 동등) 생존율을 회복시킨다.
요약하면, F4 돌연변이 파리는 대조군 파리보다 더 저항적이고, 과발현 (G5) 은 상기 저항성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수컷보다 암컷에서 보다 현저하고 일관적인 효과). 나아가, 양 시험 (단식 및 산화 스트레스) 에서, F4 돌연변이의 트랜스진 발현 (F4;G5) 은 파리 생존율, 특히 암컷에서의 생존율을 회복시킨다. 따라서, 장수와는 반대로 (F4 돌연변이가 수명을 줄임), F4 돌연변이는 어린 3일령 파리에서 행한 3 가지 스트레스 시험에서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이 효과는 snoRNA 의 게놈 트랜스진에 의해 회복될 수 있다 (두 시험에서). 결론적으로, "youth" snoRNA 의 발현 조정 (억제, 감소 또는 증가) 이 시험 대상의 수명을 바꾼다.
5) snoRNA 의 공간-시간 발현 프로파일의 측정 (인 시츄 하이브리드화)
어떤 세포 및/또는 조직에서 관심 snoRNA 가 발현되고 작용하는지 측정하기 위해, 상기 snoRNA 의 공간-시간 발현 프로파일을 본 발명의 맥락 하 성체 파리에서 인 시츄 하이브리드화 (HIS) 로써, 항-센스 sno RNA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티라미드를 라벨링 증폭에 이용하였다. 수컷 및 암컷 모두에서, youth snoRNA 가 창자벽 (상피) 에서 발현되고 (도 5A), 예상된 바와 같이 F4 돌연변이에서는 부재하였다 (도 5B). 더욱 구체적으로, 이중 라벨링과 조합하여, 창자의 각종 세포 유형에 대해 특이적인 P[Gal4] 라인을 사용하여, youth snoRNA 가 장세포의 핵소체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이때 주된 및 대다수의 세포가 창자 상피를 형성하며 (도 6A), 여타의 세포 유형 (도 6B, C, D, E) 에서는 발현되지 않음이 증명되었다. 나아가, 암컷에서, 이것은 난소에서, 더욱 특히 영양 세포에서 발현되었다 (도 5C 및 5D).
6) 창자 상피 외의 세포 유형에서 snoRNA 의 표적화 발현
3 종의 기타 구별되는 Gal4 드라이버 라인의 이용을 통해, 창자 상피 외 세포 유형에서 snoRNA (UAS-8M) 의 표적화 발현 (이소성: ectopic) 을 행했다: esg-Gal4 (esg-Gal4,F4/F4;UAS-8M/+) 및 Delta-Gal4 (Delta-Gal4,F4/F4;UAS-8M/+) 는 장 줄기 세포 (ISC) 를 표적화하나, Su(H)-Gal4 (Su(H)-GBE-Gal4, F4/F4; UAS-8M/+) 는 장벽모세포를 표적화한다 (도 7). 이들 결과는 하기를 입증한다: 1) snoRNA 가 기타 세포 유형에서 이소적으로 발현될 수 있고, 2) 이러한 이소성 발현은 또한 특정 스트레스에 대해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도 8). 요약하면, 이들 결과는 snoRNA 가 또한 창자 상피 이외의 세포 유형에서 발현되는 경우 보호를 부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7) 스트레스 저항성의 구제를 도모하는 snoRNA 의 표적화된 (선택적) 발현
본 발명자는, 두 가지 독립적인 접근으로써, 창자 세포에서의 표적화된 발현이 스트레스 저항성 표현형을 회복하는데 충분하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게놈 트랜스진 라인으로부터 행해진 인 시츄 하이브리드화 기술에 의해, (또 다른 독립 삽입 (G4) 와 함께 이는 수명을 증가시킴: G5) snoRNA 가 창자 세포에서 발현되고, 수명 조절을 위해, 창자 세포에서 snoRNA 의 발현이 충분하다는 점이 입증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snoRNA 를 오직 창자 세포에서 P[Gal4] 두부분의 발현 시스템을 이용해 표적화하였다. 플라스미드 벡터 (p[UAS-SnoRNA]) 를 구축하고, 이때 관심 snoRNA (오직 148 bp) 를, Gal4 의 조절자 요소 (Upstream Activating Sequence: UAS) 의 제어 하에 둔다. 이어서, 트랜스제닉 파리 라인 (UAS-SnoRNA: 4M, 5M 및 8M) 을 생성시켰다. 표적화 발현을 위해, 특히 창자 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공지된 트랜스진 (pChs-Gal4)를 함유하는 트랜스제닉 파리의 소위 "드라이버" 라인 (플라스미드 벡터 라인 Myo1A-Gal4, esg-Gal4 (escargot-Gal4), Su(H)GBE-Gal4, 및 Dl-Gal4 (Delta-Gal4)) 을 이용했다 (Jiang and Edgar, 2011; Takashima et al., 2011). 다음으로, 이들 각종 트랜스진을 F4 돌연변이 유전자 백그라운드에 배치하고, 인 시츄 하이브리드화로써 snoRNA 가 실질적으로 이들 각종 유형의 창자 세포에서 (도 6 및 7) 그의 표적화 발현 후에 (esg-Gal4,F4/F4;UAS-SnoRNA-8M) (Myo1A-Gal4,F4/F4;UAS-SnoRNA-8M) (Su(H)-GBE-Gal4,F4/F4;UAS-SnoRNA-8M) (F4/F4; Delta-Gal4,/UAS-SnoRNA-8M) 발현됨 (도 6 및 7) 을 입증하였다. 그 결과는 상기 표적화 발현 (F4 돌연변이) 이 스트레스 저항 표현형 (단식 및 열 쇼크) 을 실질적으로 회복시킴을 나타낸다 (도 8).
이들 실험은 분명히 이러한 snoRNA 를 창자 세포에서 더욱 특히 장세포에서 조작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스트레스 저항성을 회복시키는데 충분하다는 점을 분명히 보인다. 이들 실험은 초파리에서 실시되었지만, 창자의 상피 세포에서 snoRNA 의 과발현 또는 재발현 (발현 회복 또는 구제) 이 포유동물, 특히 인간의 수명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는 것을 허용한다.
8) 마우스 및 인간 포함, 포유동물에서 및 초파리의 여러 종에서 youth 서열의 상동체의 동정
서열 상동체 연구는, 이들 snoRNA 가 또한 게놈을 이용할 수 있는 11 종의 여타 초파리에 존재함을 나타내었다 (도 9A) (또한, 12 종의 초파리의 공통 구조 참조: 도 9B).
나아가, 상동체 연구, 특히 RNA 구조 (INFERNAL 소프트웨어 이용) 을 통한 상기 연구는 염색체 11 상, 위치: 12822722-12822811 에서 인간 내 상동체 동정을 허용했다 (도 10). 마우스에서, 2 종의 상동체가 또한 동정되었다: 염색체 15 상, 위치: 30336889-30337017; 및 염색체 18 상, 위치: 6495012-6495091 (도 11A 및 11B).
초파리에서와 같이, 상기 유전자 및/또는 합성 유사체의 (유전적으로 또는 경구 투여에 의한 또는 주입에 의한) 과발현은 인간 수명을 연장시킬 것이라는 점이 매우 개연성이 있다. 이러한 발현은 또한 각종 퇴행 질환의 해로운 작용에 대항해 보호할 수 있다.
9) 신경-변성 및 신경-보호에서의 snoRNA 의 역할
F4 파리가 매우 짧은 수명을 가지고 있으므로, snoRNA (G5) 를 과발현하는 파리가 더 오래 사는 반면, 나이든 파리 (40 일령) 를 임의의 신경병성 병변의 존재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뇌에 존재하는 더 큰 또는 더 작은 크기의 더 많거나 적은 구멍). 전반적으로, 대조군 파리 (Canton-S) 에서, 파리의 대략 60% 에 병변이 존재한다 (그러나 CS 파리 중 50% 가 40 일에 이미 사망한 것을 명시함) (도 12) [추가 상세사항에 대해: 반-정량적 분석을 위해 도 12d 를 참조함]. F4 돌연변이체에서, 모든 파리 (100%) 가 병변을 가지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대조군의 것보다 좀더 심각한 반면 (구멍의 크기 및 수), F4;G5 파리는 상당히 적은 구멍 (파리의 오직 약 10%) 을 갖고, 상기 구멍은 또한 크기가 더 작다. 최종적으로, G5 파리에서, CS 대조군과 대략 동일한 백분율의 파리에 병변이 존재하지만 (대략 40%) 상기 병변은 명확하게 덜 심각하다 (도 12d). 요약하면, 게놈 트랜스진 (F4;G5) 은 부분적으로 신경퇴화 표현형을 구제하는 반면, snoRNA (G5) 의 과발현은 신경퇴화에 대항하여 보호한다.
10) 감각운동 파라미터의 보호에서의 snoRNA 의 역할.
유사하게는, snoRNA 에 의해 제공되는 신경보호가 감각운동 파라미터와 같은 생리학적 파라미터에 대한 영향을 갖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40 일보다 더 많은 나이의 파리의 운동력 (locomotor) 활동성을 정량화하였고 (비디오-추적에 의해) (Martin, 2004), 4 일령의 어린 파리와 비교하였다 (도 13). 첫번째로, 4 일령 파리 및 40 일령 파리 사이의 큰 차이가 관찰된다; 40 일령 파리는 4 일령 파리에 의해 이동하는 거리의 3 분의 1 을 이동한다. 그러나, 나이든 40 일령 파리에서, snoRNA (G5) 를 과발현하는 파리는 대조군 파리 (Canton-S), F4 돌연변이체, 및 유전적 돌연변이체 백그라운드에서 snoRNA 를 발현하는 것들 (F4;G5) 보다 더 많이 걷는다. 상기 효과는 암컷보다 수컷에서 더욱 현저하다. 요약하면, 나이든 40 일령 파리에서, snoRNA 를 과발현하는 파리가 대조군 파리보다 더 양호한 감각운동 수행력을 갖는다는 것을 보았다. 이들 결과는 노화 메커니즘과 연관된 유해한 영향에 대한 snoRNA 의 보호적 특성을 입증한다.
11) 난소에서의 snoRNA 의 기능 시험: 생식력에서의 역할 (생식)
암컷에서, snoRNA 는 또한 난소에서 그리고 더욱 정확하게는 영양 세포에서 발현된다 (도 5C,D).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또한 돌연변이체 파리 (F4) 가 또한 생식력 변화 (생식자 (reproducer) 표현형) 를 갖는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F4 돌연변이체는 대조군 파리 (CS) 보다 좀더 많은 알을 낳는다 (도 14). 돌연변이체 유전 백그라운드 (F4;G4) 에 snoRNA 를 가진 파리는 대조군 파리보다 알을 적게 (감소된 생식력) 낳는 반면, snoRNA (G4) 를 과발현하는 파리는 대조군 파리보다 알을 많이 낳는다 (도 14). 이들 결과는 명백하게 난소에서 snoRNA 에 의해 발휘되는 중요한 효과 및 암컷에서 생식력에 대한 이의 영향을 입증한다.
12) snoRNA (경구 경로 또는 주입에 의한 투여) 로의 처리.
snoRNA 는 경구로 (입으로) 또는 주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다른 투여 경로, 예컨대 예를 들어, 흡입 및 국부/피부 적용은 또한 사용되는 벡터의 유형에 따라 달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로서 수행된 실험은, snoRNA 의 경구 투여가, 가능한 제공된 이의 안정성 및 시험관 내 저항성 뿐 아니라 창자 벽의 세포 (장벽모세포, 장세포, ISC) 에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이의 능력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관심의 snoRNA 의 투여는 따라서 다르게는 부재할 것인 (또는, 다른 말로는,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구제하기 위해) 또는, 필요한 경우, 더 많은 호르몬 및 대사 평형을 유지하면서 창자 벽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과발현을 허용할 것인 발현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3) 암 치료.
포유동물 및 초파리 (Drosophila) 모두에서, delta/notch 유전자가 창자 (gut) 창시자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반면, Wnt 신호 경로가 ISC 의 유지 및 증식에 참여한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마찬가지로, 사이토카인 신호 경로 (Upd/Jak/Stat) 및 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경로는 ISC 의 증식을 조절한다 (도 15-16) (Jiang and Edgar, 2011; Takashima et al., 2011).
본 실험은 본 발명에 따른 관심의 snoRNA 가 특정 유전자, 예컨대 notch, delta, JNK, EGFR 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15), 그 조절결여가 창자 상피의 과증식 및 따라서 암을 유발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Jiang and Edgar, 2011; Takashima et al., 2011). 본 발명의 관심의 SnoRNA 는 특히 EGFR 의 발현을 조절하는 이의 능력을 통해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고, 초파리 (Drosophila) 및 포유동물의 창자 내의 ISC 의 증식 조절에서 EGFR 신호 경로는 사실상, 특히 잘 보존된다 (도 16) [여러 치료법은 현재 2 개의 항-EGFR 모노클로날 항체 (세툭시맙 및 파니투무맙) 을 포함하여, 대장암의 치료를 위해 임상 실험 중이다 (Amado et al., 2008; Di Nicolantonio et al, 2008)].
14) 인간에서 조기 및 가속화된 노화로 이루어지는 허친슨-길포드 증후군 (Hutchinson-Gilford syndrome: HGPS) (또한 조로증으로서 알려짐) 에서의 관심의 ("youth") snoRNA 의 관여.
youth snoRNA 가 klarsicht 유전자의 스플라이싱 (스플라이싱된 RNA 의 정량) 을 조절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도 18A). 상기 유전자는 핵의 내부 멤브레인에 위치하고 조로증 (인간에서 조기 및 가속화된 노화를 야기하는 질병) 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라미나 (lamina) 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밝혀졌다 (Patterson et al., 2004) (도 18B). 조로증은 8 백만 명 중 한명에게 발병하는 희귀 질환이다 (Scaffidi and Misteli, 2006; Broers et al., 2006; Cohen et al., 2001; Cau et al., 2014; Coutinho et al., 2009). youth snoRNA 는, klarsicht 유전자의 조절에서 이의 표현형 (장수에의 관여) 및 이의 관여를 통해, 예컨대 허친슨-길포드 (Hutchinson-Gilford) 증후군 또는 조로증, 하악골 형성이상 (mandibuloacral dysplasia (MAD)), 에메리-드레이푸스 (Emery-Dreifuss) 근육 위축병, 비정형 웨르너 (Werner) 증후군, 제한적 피부병 (restrictive dermatopathy), 치명적인 태아 운동불능, 및 LIRLLC (전신지방조직위축증, 인슐린-저항성 당뇨병, 백반흑피증 구진 (leukomelanodermic papules), 간 지방증, 및 비대형 심근증) (Hutchison, 2002; Broers et al, 2006), 특히 허친슨-길포드 (Hutchinson-Gilford) 증후군 (조로증) 을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가망성을 제공한다.
15) 지방산 2-하이드롤라제 (fa2h) 유전자 스플라이싱의 조절, 및 그 결과 상기 유전자와 연관된 다양한 형태의 신경퇴화에의 관심의 (" youth ") snoRNA 의 관여.
youth snoRNA 가 지방산 2-히드록실라아제 (fa2h) 를 코딩하는 유전자 CG30502 의 스플라이싱 (스플라이싱된 RNA 의 양) 을 조절하는 지를 입증하였다 (도 18B). 상기 유전자는 지방산 생합성 과정 및 더욱 특히 복합 지질, 예컨대 스핑고지질 및 세라마이드의 대사 과정에 관여된다 (Carvalho et al., 2010). 인간에서, 상기 fa2h 는 다양한 형태의 신경퇴화 (탈수초화 (demyelinization)), 예컨대 뇌에서의 철 축적과 연관된 것들, 특정 백질이영양증, 및 마지막으로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 (SPG35) 와 연관되어 있다 (Kruer et al., 2010; Pierson et al., 2012; Schneider and Bhatia, 2010). 이의 표현형 (F4 돌연변이체에서 관찰된 장수 및/또는 지방체 비대에의 관여) 및 fa2h 유전자의 조절에서의 이의 관여로 인해, youth snoRNA 는 상기 언급된 신경병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신규한 가망성을 제공한다.
16) 창자와 뇌 사이의 대사 및 신경-내분비 관계 (뇌-내장 축)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snoRNA 돌연변이체 (F4) 는 복부에서 및 머리통 내의 뇌 주변 모두에서 가시적인, 지방체 비대증을 나타낸다 (도 21). 게다가, 트리글리세라이드 정량화는 상기 비대증 (그러므로 파리의 "비만" 정성자 (qualifier)) 을 확인해주었다. 상기 표현형은 창자 내의 snoRNA 의 발현, 신경병성 병변 및 증가된 수명 사이의 대사성 및/또는 신경내분비 관계를 암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대사 붕괴는 인슐린 신호 경로의 관여를 암시하고, 상기 경로는 초파리 장수에 관여하는 많큼 횟수로 기재된다 (Tatar et al., 2001; Bai et al., 2012; Partridge et al., 2011; Fontana et al., 2010). 활성화된 항-캐스파아제-3 에 대항하여 지시되는 면역조직화학 마커는, 성체 초파리 (Drosophila) 에서, 뇌의 주변에 위치한 지방이 F4 돌연변이체에서 크게 파괴되는 (즉, 비대해진) 반면, snoRNA (트랜스진 G5) 의 과발현에 의해 뿐만아니라 구제 (발현의 복원) (F4; G5) 에서 보호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21). 상기 결과는 snoRNA 가 이것을 발현하는 유기체를 지방체 내의 변화로부터, 및 따라서, 연장에 의해, 비만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입증한다. 게다가, 인슐린 수용체 (InR) 돌연변이 및 F4 돌연변이체에 수반되는 유전적 상호작용 실험 (이중 돌연변이체) 은 snoRNA 의 돌연변이가 인슐린 수용체 돌연변이의 표현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21 및 이의 주석 참고). 이들 결과는 인슐린 신호 경로, snoRNA 및 장수 사이의 연결의 존재 (직접적 또는 간접적이든) 를 보여준다. 이전 결과는 snoRNA 의 돌연변이 및/또는 조절결여가 탄수화물 및 지질 대사를 붕괴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youth snoRNA 는 따라서 당뇨병 및 비만 둘다를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가망성을 제공한다.
17) 인간 및 마우스에서의 관심의 (" youth ") snoRNA 의 발현.
RT-PCR 접근법에 의해, 포유동물에서 명확하게 발현되는 youth snoRNA (초파리에서 처음 확인됨) 에 대한, 상동 서열, 더욱 정확하게는 이종상동성 서열의 존재를 입증하였다 (도 20). 인간에서, 159-bp snoRNA (SEQ ID NO: 2) 는 창자 및 뇌에서 그리고 난소 및 신장에서 약간 발현된다. 마우스에서, 129-bp snoRNA-1 (SEQ ID NO: 3) 은 오직 뇌에서 발현되고, 122-bp snoRNA-2 (SEQ ID NO: 4) 는 창자, 뇌 및 난소에서 발현되나, 신장에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는 아마도 기능적인 것일, 인간 및 마우스 모두에서 상기 snoRNA 의 발현을 지지한다.
참조문헌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SEQUENCE LISTING <11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120> SNO ARN Compositions & Utilisations <130> B1365PC00 <160> 37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48 <212> RNA <213> Drosophila melanogaster <400> 1 aaagcguuag auauuaaacu gugguugaau ucacaaaaua ggccacaguu augcaauaaa 60 cgcuagaaaa aaaacgguag uauuuaauaa cguguugacu aacaucugcg gauaagaagc 120 uuugcguuuu gagguacuaa ccacagua 148 <210> 2 <211> 15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2 guaaguguag ccuagaaauu ggggcuggau uugaaaauua gccccaauuc ugcaauuuuc 60 accgcaauaa aagcuucucc aguuauacau ggugauuggu cuugaugggc uauuguggac 120 agaggagggu gcuagguugg gguggacggg gccacagcu 159 <210> 3 <211> 129 <212> RNA <213> Mus musculus <400> 3 aaagggguug aagaauggua uggauucaga augaacuauc agagaaacuc cagagccagc 60 aggaaacauu auagagccuu ugcuacaaug uccuguuucu uucuuggcuu uuaguucugu 120 uccacagau 129 <210> 4 <211> 122 <212> RNA <213> Mus musculus <400> 4 gaaagcauuu aauauuuacc aauaguuuau uccgagcuag gguaaagcag ucagugcuag 60 aaaaaugaga aaacacaaua cauaagaccu cucaagggga gaugcuguua cuguauauac 120 ug 122 <210> 5 <211> 147 <212> DNA <213> Drosophila melanogaster <400> 5 aaagcgttag atattaaact gtggttgaat tcacaaaata ggccacagtt atgcaataaa 60 cgctagaaaa aaacggtagt atttaataac gtgttgacta acatctgcgg ataagaagct 120 ttgcgttttg aggtactaac cacagta 147 <210> 6 <211> 159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6 gtaagtgtag cctagaaatt ggggctggat ttgaaaatta gccccaattc tgcaattttc 60 accgcaataa aagcttctcc agttatacat ggtgattggt cttgatgggc tattgtggac 120 agaggagggt gctaggttgg ggtggacggg gccacagct 159 <210> 7 <211> 129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7 aaaggggttg aagaatggta tggattcaga atgaactatc agagaaactc cagagccagc 60 aggaaacatt atagagcctt tgctacaatg tcctgtttct ttcttggctt ttagttctgt 120 tccacagat 129 <210> 8 <211> 122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8 gaaagcattt aatatttacc aatagtttat tccgagctag ggtaaagcag tcagtgctag 60 aaaaatgaga aaacacaata cataagacct ctcaagggga gatgctgtta ctgtatatac 120 tg 122 <210> 9 <211> 149 <212> RNA <213> Drosophila simulans <400> 9 aaagcguuag guauaaaccu gugguugaau ucacaaaaua ggccacaguu augcaauaaa 60 cgcuagaaaa aaaacgguag uauuuaauaa cguguugacu aacaucugcg gauaaaacag 120 cuuugcguuu ugagguacua accacagua 149 <210> 10 <211> 149 <212> DNA <213> Drosophila simulans <400> 10 aaagcgttag gtataaacct gtggttgaat tcacaaaata ggccacagtt atgcaataaa 60 cgctagaaaa aaaacggtag tatttaataa cgtgttgact aacatctgcg gataaaacag 120 ctttgcgttt tgaggtacta accacagta 149 <210> 11 <211> 149 <212> RNA <213> Drosophila sechellia <400> 11 aaagcguuag guauuaaccu gugguuuaau ucacaaaaua ggccacaguu augcaauaaa 60 cgcuagaaaa aaaacgguag uauuuaauaa cguguugacu aacaucugcg gauaaaauag 120 cuuugcguuu ugagguacua accacagua 149 <210> 12 <211> 149 <212> DNA <213> Drosophila sechellia <400> 12 aaagcgttag gtattaacct gtggtttaat tcacaaaata ggccacagtt atgcaataaa 60 cgctagaaaa aaaacggtag tatttaataa cgtgttgact aacatctgcg gataaaatag 120 ctttgcgttt tgaggtacta accacagta 149 <210> 13 <211> 147 <212> RNA <213> Drosophila yakuba <400> 13 caagcguugu auaauauuaa acuguggaaa cuucacaaau aggccacagu uaugcaagaa 60 acgcuagaaa aacuugguag uauuuaauaa cgugcugacu aacgucugcg gauaaaagcu 120 uugcguuuug agguacuaac cacauua 147 <210> 14 <211> 147 <212> DNA <213> Drosophila yakuba <400> 14 caagcgttgt ataatattaa actgtggaaa cttcacaaat aggccacagt tatgcaagaa 60 acgctagaaa aacttggtag tatttaataa cgtgctgact aacgtctgcg gataaaagct 120 ttgcgttttg aggtactaac cacatta 147 <210> 15 <211> 148 <212> RNA <213> Drosophila erecta <400> 15 caugcguuga auaauauuaa acuguggacg aauucccaaa uaagccacag uuaugcaaga 60 aacgcuagaa aaaauaggua guauuuaaua acgugcugac uaacaucugc ggauaagagc 120 uuugcguuuu gagguacuaa ccacaaua 148 <210> 16 <211> 148 <212> DNA <213> Drosophila erecta <400> 16 catgcgttga ataatattaa actgtggacg aattcccaaa taagccacag ttatgcaaga 60 aacgctagaa aaaataggta gtatttaata acgtgctgac taacatctgc ggataagagc 120 tttgcgtttt gaggtactaa ccacaata 148 <210> 17 <211> 148 <212> RNA <213> Drosophila ananassae <400> 17 uuaggcguuc aaaacauuaa acguuggcug auuuaugauu aggcuagugu uaugcacgca 60 acgcuagaga aaauugguag uauuuaauaa ugcguuggug gcaaaucuau cgauuuugau 120 cuucgcauuu ugagguacua gcacaguu 148 <210> 18 <211> 148 <212> DNA <213> Drosophila ananassae <400> 18 ttaggcgttc aaaacattaa acgttggctg atttatgatt aggctagtgt tatgcacgca 60 acgctagaga aaattggtag tatttaataa tgcgttggtg gcaaatctat cgattttgat 120 cttcgcattt tgaggtacta gcacagtt 148 <210> 19 <211> 145 <212> RNA <213> Drosophila pseudoobscura <400> 19 cauggcgcuc aaacauuaau cgguggccug auccacacgu cggccacauu uaugcacgca 60 gcgccagaua auaguaggca gcauuuaaua auguauuggu uccaaaugac ucagacuuuu 120 gcauuuugag guguuagcca caacg 145 <210> 20 <211> 145 <212> DNA <213> Drosophila pseudoobscura <400> 20 catggcgctc aaacattaat cggtggcctg atccacacgt cggccacatt tatgcacgca 60 gcgccagata atagtaggca gcatttaata atgtattggt tccaaatgac tcagactttt 120 gcattttgag gtgttagcca caacg 145 <210> 21 <211> 145 <212> RNA <213> Drosophila persimilis <400> 21 cauggcgcuc aaacauuaau cgguggccug auccacacgu cggccacauu uaugcacgca 60 gcgccagaua auaguaggca gcauuuaaua auguauuggu uccaaaugac ucagacuuuu 120 gcauuuugag guguuagcca caaag 145 <210> 22 <211> 145 <212> DNA <213> Drosophila persimilis <400> 22 catggcgctc aaacattaat cggtggcctg atccacacgt cggccacatt tatgcacgca 60 gcgccagata atagtaggca gcatttaata atgtattggt tccaaatgac tcagactttt 120 gcattttgag gtgttagcca caaag 145 <210> 23 <211> 149 <212> RNA <213> Drosophila willistoni <400> 23 agaggcguuc aacauuuaac uuuagccguu cuuuuaaacu aagcuauuug uuaugcaagu 60 aacgcuagaa uauaauuucu gcaacauuua auaaugcuuu ggucguauac uaacaaaaau 120 cucagcauuu ugaggugucu gcuacaauu 149 <210> 24 <211> 149 <212> DNA <213> Drosophila willistoni <400> 24 agaggcgttc aacatttaac tttagccgtt cttttaaact aagctatttg ttatgcaagt 60 aacgctagaa tataatttct gcaacattta ataatgcttt ggtcgtatac taacaaaaat 120 ctcagcattt tgaggtgtct gctacaatt 149 <210> 25 <211> 141 <212> RNA <213> Drosophila mojavensis <400> 25 cccugcguug agcaguaaau ugucgcugau ugauaauuag gcgacgauaa ugcaaacaac 60 gguagaaaaa acuaacgaca uuuaauaaua cauugaccac uaaaucccau gaacauugca 120 uuuugaggug ucgcgacaug u 141 <210> 26 <211> 141 <212> DNA <213> Drosophila mojavensis <400> 26 ccctgcgttg agcagtaaat tgtcgctgat tgataattag gcgacgataa tgcaaacaac 60 ggtagaaaaa actaacgaca tttaataata cattgaccac taaatcccat gaacattgca 120 ttttgaggtg tcgcgacatg t 141 <210> 27 <211> 142 <212> RNA <213> Drosophila virilis <400> 27 uuaugcguuc aacaguaaau ugucgccgau agauuacuag gcgacaguua ugcaaggcaa 60 cgcuagaaua agcagacgac auuuaauaau gcauuggccg acaaacucca cggccuuugc 120 guuuugaggu gucgccacau gu 142 <210> 28 <211> 142 <212> DNA <213> Drosophila virilis <400> 28 ttatgcgttc aacagtaaat tgtcgccgat agattactag gcgacagtta tgcaaggcaa 60 cgctagaata agcagacgac atttaataat gcattggccg acaaactcca cggcctttgc 120 gttttgaggt gtcgccacat gt 142 <210> 29 <211> 141 <212> RNA <213> Drosophila grimshawi <400> 29 uugugcguuc gacaguaaau uuucgaugac uguagauagg cgaaaauuau gcaaggcaac 60 gcuagaccaa uuagaugacg acauuuaaua augcauuggc cgauuaacuc agaucuugca 120 uuuugaggug ucgccacaug u 141 <210> 30 <211> 141 <212> DNA <213> Drosophila grimshawi <400> 30 ttgtgcgttc gacagtaaat tttcgatgac tgtagatagg cgaaaattat gcaaggcaac 60 gctagaccaa ttagatgacg acatttaata atgcattggc cgattaactc agatcttgca 120 ttttgaggtg tcgccacatg t 141 <210> 31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ence cible au sein du g?e Ir56d <400> 31 tggttgaatt cacaaaa 17 <210> 32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ence cible au sein du g?e buttonhead <400> 32 ttgaattcac aaaata 16 <210> 33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ence cible au sein du g?e klarsicht <400> 33 aattcacaaa ataggc 16 <210> 34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ence cible au sein du g?e CG3262 <400> 34 aagcgttaga tattaa 16 <210> 35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ence cible au sein des g?es CG30502 et CG11125 <400> 35 acatctgcgg ataaga 16 <210> 36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ence cible au sein du g?e CG9339 <400> 36 aagctttgcg ttttga 16 <210> 37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ence cible au sein du g?e CG40006 <400> 37 agaagctttg cgtttt 16

Claims (21)

  1.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서열 SEQ ID NO: 1, 이종상동 (orthologous) 서열, 또는 기능적 유사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또는 합성 RNA 서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상동 서열이 인간 기원의 것이고 서열 SEQ ID NO: 2 로 이루어지거나, 마우스 기원의 것이고 서열 SEQ ID NO: 3 및 SEQ ID NO: 4 로부터 선택되는 서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NA 서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이 소형 핵소체 RNA (snoRN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NA 서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유사 서열이 Ir56d, buttonhead (버튼헤드), klarsicht (클라르시흐트), CG3262, CG30502 (fa2h), CG11125, CG9339, 및 CG40006 로부터 선택되는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Drosophila melanogaster) 유전자의 스플라이싱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NA 서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또는 대상에서 노화의 유해 영향에 맞서 싸우는데 사용하기 위한 RNA 서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에서 변성 질환, 특히 신경변성 질환, 라민병증 (laminopathy), 당뇨병, 비만증 또는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RNA 서열.
  7. 제 6 항에 있어서, 암이 자유 라디칼에 의해 유도된 암인 RNA 서열.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에서 불임증의 치료 또는 생식력의 자극을 위한 RNA 서열.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이 동물 또는 곤충, 전형적으로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 심지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을 발현하지 않거나 상기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는 대상, 단식, 열 쇼크 또는 산화 스트레스와 같은 스트레스 조건을 경험하고 있는 대상, 및/또는 신경변성 질환, 라민병증, 당뇨병, 비만증, 암 또는 생식력 문제를 앓고 있는 대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NA 서열.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를 발현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는 대상의 게놈이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DNA 서열을 함유하고, 상기 서열이 SEQ ID NO: 5, SEQ ID NO: 6, SEQ ID NO: 7 및 SEQ ID NO: 8 중에서 선택되는 야생 상태이고; 상기 돌연변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염기 쌍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NA 서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에 대해 코드하는 DNA 서열.
  12. 바람직하게는 창자 또는 난소 세포 내에서 RNA 서열의 발현을 촉진하는 프로모터 및/또는 조절자 요소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벡터 및 파지 중에서 선택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의 발현을 허용하는 벡터.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을 포함하는 또는 제 12 항에 따른 벡터를 사용하여 형질전환된 세포.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 제 12 항에 따른 벡터 또는 제 13 항에 따른 세포 및 식이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5.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에서 RNA 서열의 발현을 연속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회복 또는 조정하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 제 12 항에 따른 벡터, 제 13 항에 따른 세포 또는 제 14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16. 서열 SEQ ID NO: 3 및 SEQ ID NO: 4 중 하나 및/또는 다른 것의 게놈에서 상기 서열 중 하나 및/또는 다른 것의 발현을 방지 또는 변경하도록 변경된 트랜스제닉 마우스.
  17.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을 발현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는 세포, 또는 세포 집단의; 또는 제 16 항에 따른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시험 화합물에 대한 노출, ii) 만약에 있다면, 상기 세포(들) 또는 상기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표현형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효과의 평가, 및 iii)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의 회복이 상기 시험 화합물의 효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상기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효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노화 또는 스트레스의 유해 효과, 라민병증, 당뇨병, 비만증에 맞서 싸우고 또는 불임증에 맞서 싸우는 시험 화합물의 치료적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을 발현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RNA 서열의 비정상적 형태를 발현하는 세포, 또는 세포 집단의 시험 화합물에 대한 노출, ii) 만약에 있다면, 상기 세포(들) 의 표현형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효과의 평가, 및 iii)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의 회복이 상기 시험 화합물의 효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상기 시험 화합물의 치료적 효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9.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을 포함하는 제 13 항에 따른 세포의 또는 제 13 항에 따른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의 집단의 시험 화합물에 대한 노출, ii) 만약에 있다면, 상기 세포 또는 상기 세포 집단의 표현형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효과의 평가, 및 iii)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의 증가가 상기 시험 화합물의 효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상기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효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노화 또는 스트레스의 유해 효과, 라민병증, 당뇨병, 비만증에 맞서 싸우고 또는 불임증에 맞서 싸우는 시험 화합물의 미용적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NA 서열을 포함하는 제 13 항에 따른 세포의 또는 제 13 항에 따른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의 집단의 시험 화합물에 대한 노출, ii) 만약에 있다면, 상기 세포 또는 상기 세포 집단의 표현형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효과의 평가, 및 iii) 상기 RNA 서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의 증가가 상기 시험 화합물의 효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상기 시험 화합물의 치료적 효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출된 세포 또는 세포의 집단이 창자 또는 난소 기원의 것인 방법.
KR1020167015086A 2013-11-07 2014-11-07 snoRNA, 조성물 및 용도 KR102269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60889 2013-11-07
FR1360889A FR3012739A1 (fr) 2013-11-07 2013-11-07 Sno arn,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PCT/EP2014/073991 WO2015067727A1 (fr) 2013-11-07 2014-11-07 Sno arn,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112A true KR20160079112A (ko) 2016-07-05
KR102269438B1 KR102269438B1 (ko) 2021-06-24

Family

ID=5187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086A KR102269438B1 (ko) 2013-11-07 2014-11-07 snoRNA, 조성물 및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951332B2 (ko)
EP (1) EP3066199B1 (ko)
JP (2) JP6879738B2 (ko)
KR (1) KR102269438B1 (ko)
CN (1) CN106232816B (ko)
AU (1) AU2014345581B2 (ko)
BR (1) BR112016010342B1 (ko)
CA (1) CA2929732A1 (ko)
DK (1) DK3066199T3 (ko)
EA (1) EA037923B1 (ko)
ES (1) ES2671326T3 (ko)
FR (1) FR3012739A1 (ko)
HU (1) HUE037525T2 (ko)
NO (1) NO3066199T3 (ko)
PT (1) PT3066199T (ko)
TR (1) TR201807186T4 (ko)
WO (1) WO2015067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2739A1 (fr) * 2013-11-07 2015-05-08 Centre Nat Rech Scient Sno arn,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CN112020557A (zh) * 2018-03-27 2020-12-01 罗切斯特大学 用于假尿苷化的核酸分子
CN111826432A (zh) * 2019-04-18 2020-10-27 南京大学 细胞去服务化状态的分子标记物检测及其调控方法
WO2021175966A1 (en) 2020-03-04 2021-09-10 Ninovax Products for suppressing or reduc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a snorna and uses thereof in the treatment of cancer
CN116694759B (zh) * 2023-02-17 2023-12-15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Scarna12基因调节细胞增殖与存活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68749A1 (en) 1996-10-21 1998-04-30 Mcgill University Structural and functional conservation of the c. elegans clock gene clk-1
US6303768B1 (en) 1998-08-07 2001-10-1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uselah ge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R2882062B1 (fr) 2005-02-14 2007-06-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Vecteurs d'expression stable et de longue duree de sirna et leurs applications
FR3012739A1 (fr) * 2013-11-07 2015-05-08 Centre Nat Rech Scient Sno arn,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CBI, GenBank accession no. AJ809559.1 (2007.10.16.) 1부.* *
비특허문헌 1: RNA. 2005 *
비특허문헌 3: AGEING RES REV. 2013 *
비특허문헌 4: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20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71326T3 (es) 2018-06-06
EA037923B1 (ru) 2021-06-07
TR201807186T4 (tr) 2018-06-21
CN106232816A (zh) 2016-12-14
US9951332B2 (en) 2018-04-24
EP3066199A1 (fr) 2016-09-14
WO2015067727A1 (fr) 2015-05-14
BR112016010342B1 (pt) 2023-01-31
HUE037525T2 (hu) 2018-09-28
JP6879738B2 (ja) 2021-06-02
AU2014345581B2 (en) 2021-03-11
JP2017502650A (ja) 2017-01-26
AU2014345581A1 (en) 2016-06-23
JP2020010707A (ja) 2020-01-23
EA201690951A1 (ru) 2016-10-31
KR102269438B1 (ko) 2021-06-24
US20160298112A1 (en) 2016-10-13
FR3012739A1 (fr) 2015-05-08
PT3066199T (pt) 2018-06-05
CN106232816B (zh) 2021-08-06
BR112016010342A2 (pt) 2017-12-12
NO3066199T3 (ko) 2018-08-18
DK3066199T3 (en) 2018-06-06
CA2929732A1 (fr) 2015-05-14
EP3066199B1 (fr)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ang et al. MicroRNA-153 negatively regulates the expression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and amyloid precursor-like protein 2
JP2020010707A (ja) snoRNA、組成物、及び使用
JP4179562B2 (ja) ハンチンチン遺伝子の発現抑制
CA2927240C (en) Dynamin 2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centronuclear myopathies
KR20090037968A (ko) 베타-마이오신 중사슬의 발현을 활성화하는 마이크로-rna의 동정
Xu et al. The microRNA miR-17 regulates lung FoxA1 expression during lipopolysaccharide-induced acute lung injury
Xue et al. AAV-Txnip prolongs cone survival and vision in mouse models of retinitis pigmentosa
Jiang et al. Setdb1-mediated histone H3K9 hypermethylation in neurons worsens the neurological phenotype of Mecp2-deficient mice
EP3027753B1 (en) Neurocalcin delta inhibitors and therapeutic and non-therapeutic uses thereof
Umutoni et al. H3K27me3 demethylase UTX regulates the differentiation of a subset of bipolar cells in the mouse retina
WO2014191630A2 (en) Non-human animal model encoding a non-functional manf gene
US20050085436A1 (en) Method to treat conditions associated with insulin signalling dysregulation
Sreedharan Neuronal death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what can we learn from genetics?
US2002019266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herapeutic use of an atonal-associated sequence for a gastrointestinal condition
JP2018512874A (ja) 再生医療のためのベクターおよび方法
US20130011845A1 (en) Microrna regulating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and method for screening material for controlling the action of a target thereof
US9309514B2 (en) G protein-coupled purinergic receptor Gpr17 mediates orexigenic effects of FoxO1 in AgRP neurons
Lee et al. Neuroprotective role of Hippo signaling by microtubule stability control in C. elegans
Luyckx Towards improved understanding of neuroglobins significance in cytoprotection and neurodevelopment using overexpression and knockout models
Cheung The Role of BERP in Mammalian Systems
Singh et al. The MicroRNA miR‐8 is a positive regulator of pigmentation and eclosion in Drosophila
Madoń Characterisation of the imprinted genes in mouse: Grb10 and Dlk1
Howe et al. Oncogenes and cell prolif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