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572A -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 Google Patents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572A
KR20160078572A KR1020140187936A KR20140187936A KR20160078572A KR 20160078572 A KR20160078572 A KR 20160078572A KR 1020140187936 A KR1020140187936 A KR 1020140187936A KR 20140187936 A KR20140187936 A KR 20140187936A KR 20160078572 A KR20160078572 A KR 20160078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lab
casting
cast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138B1 (ko
Inventor
정제숙
송석철
심영섭
고영주
조용석
박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138B1/ko
Priority to CN201580070934.5A priority patent/CN107427872B/zh
Priority to JP2017533763A priority patent/JP6549232B2/ja
Priority to PCT/KR2015/010830 priority patent/WO2016104925A1/ko
Publication of KR2016007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21B1/46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in a non-continuous process, i.e. the cast being cut befor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21B1/463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in a continuous process, i.e. the cast not being cut befor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연주기에서 주편을 생산하는 연속주조단계, 상기 주편을 압연기에서 압하하는 압연단계 및 상기 연속주조단계와 상기 압연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상기 압연단계 이후 공정의 중단 여부에 따라 상기 주편을 절단 후 이탈시키거나, 이탈되었던 주편을 인입시키는 선택출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출입단계는,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중단되면, 상기 연속주조단계에서 전달되는 주편을 절단하여 상기 연주기에서 상기 압연기로 연결되는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주편출외단계 및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다시 수행되면, 이탈되었던 상기 주편을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시키는 주편인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연주압연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정 라인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주편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연주기에서 응고된 주편의 고온을 이용하여 압연을 수행하는 공정은 설비비와 운영비가 기존 공정대비 저렴하기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압연을 실시할 수 있는 연주압연장치(1')는, 연주기(10')에서 일정 두께의 주편(2')을 생산하면, 상기 주편(2')은 압연기(40')에서 압하되어 압연 제품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연기(40')에 상기 주편(2')이 인입되기 전에 가열로(30')에서 압연을 위한 온도로 상기 주편(2')을 가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압연기(40') 이후의 작업을 실시하는 장치 구성 등의 고장 등에 의해서, 상기 연주압연공정이 정지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도 상기 연주기(10')에서는 계속하여 주편(2')을 생산하여 배출되는데, 이렇게 배출되는 주편(2')은 절단되어 버려짐으로써, 상기 압연 제품으로 생산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 라인이 중단되는 경우에 주편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수율을 향상시키는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연주기에서 주편을 생산하는 연속주조단계, 상기 주편을 압연기에서 압하하는 압연단계 및 상기 연속주조단계와 상기 압연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상기 압연단계 이후 공정의 중단 여부에 따라 상기 주편을 절단 후 이탈시키거나, 이탈되었던 주편을 인입시키는 선택출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출입단계는,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중단되면, 상기 연속주조단계에서 전달되는 주편을 절단하여 상기 연주기에서 상기 압연기로 연결되는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주편출외단계 및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다시 수행되면, 이탈되었던 상기 주편을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시키는 주편인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최종적으로 생산되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주편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주편을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길이만큼 절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편을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이탈단계 및 이탈된 상기 주편을 적치시키는 적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상기 절단단계와 이탈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후행 주편과 이격되도록, 절단된 주편을 상기 주경로 상에서 가속하여 이동시키는 가속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절단단계는, 상기 주편을 가열하는 가열로로 상기 주편이 진입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상기 연주기의 잔류 용강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주편인입단계는,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된 주편을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시키는 진입단계 및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된 주편을 가열로에서 가열하여, 상기 압연단계로 전달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주편을 생산하는 연주기, 상기 연주기와 연계되며, 상기 주편을 압하하여 압연강판을 생산하는 압연기, 상기 연주기와 상기 압연기 사이에 구비되며, 최종적으로 생산되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주편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주편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기와 압연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을 가열하는 가열로 및 상기 가열로에 구비되며, 절단된 상기 주편을 상기 가열로에서 이탈시키거나, 이탈된 주편을 상기 가열로로 인입시키는 운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로는 상기 연주기에서 압연기로 연결되는 주경로에 수직한 방향의 일측면만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는 공정 라인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주편을 낭비하지 않고, 압연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서, 연주압연공정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업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연주압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에서 가열로 주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에서 선택출입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에서 주편출외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에서 주편인입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1)는 공정 라인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주편(2)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1)는 공정 라인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주편(2)을 낭비하지 않고, 압연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어서, 연주압연공정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업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우선 구체적인 연주압연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후에 연주압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1)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1)에서 가열로(30) 주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1)는 주편(2)을 생산하는 연주기(10), 상기 연주기(10)와 연계되며, 상기 주편(2)을 압하하여 압연강판을 생산하는 압연기(40), 상기 연주기(10)와 상기 압연기(40) 사이에 구비되며, 최종적으로 생산되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주편(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주편(2)을 절단하는 절단기(20), 상기 절단기(20)와 압연기(4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2)을 가열하는 가열로(30) 및 상기 가열로(30)에 구비되며, 절단된 상기 주편(2)을 상기 가열로(30)에서 이탈시키거나, 이탈된 주편(2)을 상기 가열로(30)로 인입시키는 운반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로(30)는 상기 연주기(10)에서 압연기(40)로 연결되는 주경로에 수직한 방향의 일측면만 개방된 형상(30a)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압연기(40) 이후의 설비에 의한 공정의 중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되는 주편(2)을 버리지 않고 일측에 적층시켰다가, 상기 설비가 정상으로 조정된 후에 압연기(40)로 보내져서 압연 제품으로 생산 배출될 수 있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연주기(10)는 주조 공정을 통하여 용강으로부터 주편(2)을 생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주기(10)는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용강을 공급하며, 공급된 용강은 열량을 빼앗기면서 주편(2)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주편(2)은 세그먼트롤(Segment Roll)과 핀치롤(Pinch Roll)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이동되어 후술할 압연기(40)로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연주기(10)는 상기 용강의 응고 속도에 의존하여 주편(2)을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된 주편(2)을 연속적으로 전달받아 후술할 압연기(40)로 압하하여 주편(2)을 생산하는 것은 속도의 제약이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연주기(10)는 상기 턴디쉬에 제공된 용강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주편(2)을 생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압연기(40) 이후의 공정이 중단되더라도, 상기 용강이 소모될 때까지 상기 주편(2)의 생산을 중단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압연기(40) 이후 공정 중단 중에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되는 주편(2)은 절단되어 버려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절단기(20), 운반유닛(50), 가열로(30)에 의해서, 상기 주편(2)을 버리지 않고 상기 주편(2)을 압연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연기(40)는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된 주편(2)을 공급받아 압하하여 주편(2)을 생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압연기(40)는 한 쌍의 압연롤이 구비된 압연스탠드의 상기 압연롤 사이로 상기 주편(2)을 통과시키면서 압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연스탠드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연기(40)는 제공되는 위치에 따라서는 제1압연부, 제2압연부로 구별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압연부는 상기 연주기(10)의 출측인 후단과 연결되어 제공되는 압연기(40)로써, 상기 제2압연부와 협력하여 주편(2)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 제2압연부는 상기 제1압연부에서 생산된 1차 압하된 주편(2) 또는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된 주편(2)을 직접 전달받아 최종적인 2차 압하된 주편(2)을 생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열로(30)는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되어 제공되는 주편(2)을 승온 또는 보온시켜 상기 압연기(4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로(30)는 상기 연주기(10)의 출측과 상기 압연기(40) 입측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열로(30)는 후술할 절단기(20)에 의해서 절단된 주편(2)을 상기 연주기(10)와 압연기(40)를 연결하는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 일측이 개방된 형상(30a)으로 제공될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절단된 상기 주편(2)을 상기 주경로의 수직한 측방으로 이동하여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가열로(30)의 측벽 일부가 개방된 형성(30a)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 3에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면이 'ㄷ' 형상인 가열로(30) 벽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로(30)는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 유도가열을 이용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로(30)는 일례로 코일판, 제어부 등이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코일판은 유도가열을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판의 가열 정도 등을 조정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코일판은 유도기전력에 의한 가열을 위한 유도코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코일을 이용하여 가열을 하면, 상기 주편(2)을 가열하는 온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의해서 상기 가열로(30)가 제공되는 위치에 따라서 가열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점차적으로 가열량을 증가시키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절단기(20)는 상기 주편(2)의 일부를 절단하는 역할을 하며, 절단된 주편(2)을 인출하는 후술할 운반유닛(50)과 연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기(20)는 상기 연주기(10) 출측과 상기 가열로(30) 입측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기(20)가 절단하는 상기 주편(2)의 길이는, 최종적으로 생산되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주편(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단된 주편(2)은, 상기 압연기(40) 이후의 공정이 정상적으로 실시될 수 있게 된 경우에, 다시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되어 압연제품인 압연강판으로 생산되어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압연강판이 코일링된 제품으로 배출되기 위해서, 상기 길이로 절단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하여, 상기 절단기(20)는 상기 주편(2)이 상기 가열로(30)에 진입한 후에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절단기(20)와 상기 가열로(30) 사이의 거리가 최종적으로 생산되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주편(2)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공되면, 전체 연주압연 라인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가열로(30) 내부로 진입된 후에 상기 주편(2)을 절단함으로써, 상기 연주압연 라인을 상대적으로 짧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운반유닛(50)은 절단된 상기 주편(2)을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하거나, 이탈되었던 주편(2)을 상기 주경로 상으로 인입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연기(40) 이후의 공정이 중단되는 상황이 되면, 상기 운반유닛(50)은 상기 절단기(20)에서 절단된 상기 주편(2)을 상기 가열로(30)에서 이탈시키게 되며, 다시 상기 압연기(40) 이후의 공정이 정상 실시되면, 이탈되었던 상기 주편(2)을 상기 가열로(30)로 인입시켜 다시 압연제품을 생산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에서 선택출입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연주기(10)에서 주편(2)을 생산하는 연속주조단계, 상기 주편(2)을 압연기(40)에서 압하하는 압연단계 및 상기 연속주조단계와 상기 압연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상기 압연단계 이후 공정의 중단 여부에 따라 상기 주편(2)을 절단 후 이탈시키거나, 이탈되었던 주편(2)을 인입시키는 선택출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출입단계는,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중단되면, 상기 연속주조단계에서 전달되는 주편(2)을 절단하여 상기 연주기(10)에서 상기 압연기(40)로 연결되는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주편출외단계 및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다시 수행되면, 이탈되었던 상기 주편(2)을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시키는 주편인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 중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연속주조단계에서 생산되는 주편(2)을 버리지 않고 일측에 적층시켰다가, 공정이 다시 정상으로 조정된 후에 상기 주편(2)을 압연단계로 보내서 압연 제품으로 생산 배출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상기 연속주조단계는 주편(2)을 생산하는 단계로써, 용강을 주형에서 응고시켜 주편(2)으로 형성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연주기(10)의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용강을 공급하며, 공급된 용강은 열량을 빼앗기면서 주편(2)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주편(2)은 세그먼트롤과 핀치롤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다음 단계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압연단계는 주편(2)을 압하하여 강판 제품으로 생산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연속주조단계에서 생산된 주편(2)을 공급받아 압하하여 강판 제품을 생산할 수도 있고, 상기 연속주조단계와는 별도로 생산된 주편(2)을 공급받아 강판 제품을 생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연단계는 다수의 단계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처음 공급된 상기 주편(2)을 최종 생산되는 제품의 두께보다 두껍지만 처음 공급된 주편(2)보다는 얇게 형성된 1차 압하된 주편(2)을 형성하는 제1압연단계 및 상기 제1압연단계에서 1차 압하된 주편(2)을 최종 제품의 두께로 2차 압하하는 제2압연단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러한 압연단계 이후에서는 사고 등의 이유로 조업이 중단될 수 있는데, 이때에도 상기 연속주조단계에서는 상기 용강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주편(2)을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되는 주편(2)이 절단되어 버려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선택출입단계를 제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상기 선택출입단계는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의 중단 또는 정상 수행 여부에 따라서, 상기 주편(2)을 절단하여, 상기 연주기(10)와 압연기(40)를 연결하는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거나, 이탈되었던 주편(2)을 인입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사고 등의 이유로 중단되면,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되는 주편(2)을 절단하여 상기 주경로 외측으로 이탈시켜 적치하고, 이후에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정상 실시되면, 다시 상기 적치되었던 주편(2)을 인입시켜 공정을 다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선택출입단계는 주편출외단계, 주편인입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상기 압연단계 이후 공정의 중단시에도 상기 연속주조단계에서 계속하여 생산되어 배출되는 주편(2)을 절단하여, 상기 주경로의 외측으로 상기 절단된 주편(2a)을 임시적으로 이탈시켜 놓는 단계이다.
즉, 상기 주편출외단계에서는 절단기(20)에 의해서 주편(2)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일측이 개방된 가열로(30) 내의 절단된 주편(2a)을 상기 운반유닛(50)을 이용하여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상기 연주기(10)에 제공된 용강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진행되게 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압연제품인 코일 하나의 중량이 약 20톤이고, 상기 연주기(10)의 래들에 제공되는 용강의 최대 용량이 약 200톤이기 때문에, 최대 10회의 주편출외단계가 일례로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상기 연주기(10)의 잔류 용강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절단단계, 이탈단계, 적치단계, 가속단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주편인입단계는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정상으로 실시될 수 있게 조정되면, 상기 주편출외단계에서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된 상기 주편(2)을 다시 상기 주경로 상으로 인입시켜 압연강판을 생산할 수 있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주편인입단계는 진입단계, 가열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에서 주편출외단계를 나타낸 순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최종적으로 생산되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주편(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주편(2)을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길이만큼 절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편(2)을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이탈단계 및 이탈된 상기 주편(2)을 적치시키는 적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상기 절단단계와 이탈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후행 주편(2)과 이격되도록, 절단된 주편(2)을 상기 주경로 상에서 가속하여 이동시키는 가속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절단단계는, 상기 주편(2)을 가열하는 가열로(30)로 상기 주편(2)이 진입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주편출외단계의 구체적인 단계로서, 절단단계, 이탈단계, 적치단계, 가속단계 등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단단계는 상기 연주기(10)에서 배출되고 있는 주편(2)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절단되는 상기 주편(2)은 이후에 다시 주경로 상으로 인입되어 압연제품인 코일로 생산되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주편(2)이 절단되는 길이는 최종 생산되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주편(2)의 길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절단단계는 상기 절단기(20)에 의해서 상기 주편(2)을 절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단단계에서는 상기 주편(2)이 상기 가열로(30)에 진입된 이후의 시점에 상기 주편(2)을 절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연주압연 라인을 상대적으로 짧게 제공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하였다.
상기 이탈단계는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상기 주편(2)을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연주기(10)와 압연기(40)를 연결하는 주경로 상에서 절단된 상기 주편(2)을 일측으로 이탈시킴으로써, 정상적으로 실시되고 있지 않은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으로 상기 주편(2)이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적치단계는 상기 이탈단계에서 이탈되어 제공되는 주편(2)을 상기 주경로의 외측에 적치시키는 단계이다. 즉, 절단되어 배출되는 주편(2a)이 한 개일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주편(2a)이 절단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절단 주편(2a)을 적층 보관함으로써, 상기 절단된 주편(2a)이 보관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속단계는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주편(2a)이 이탈단계 전에 후행하는 주편(2)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단계로써, 절단된 주편(2a)을 가속하여 후행하는 주편(2)에서 멀어지게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속단계에서는 상기 주편(2)이 이동하는 주경로 상의 구동롤의 회전속도를 상승시켜, 상기 주편(2a)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에서 주편인입단계를 나타낸 순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주편인입단계는,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된 주편(2)을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시키는 진입단계 및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된 주편(2)을 가열로(30)에서 가열하여, 상기 압연단계로 전달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주편인입단계의 구체적 단계를 제시한 것으로, 진입단계, 가열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한 것이다.
상기 진입단계는 상기 주경로 외측에 적치된 상기 절단 주편(2a)을 상기 주경로 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진입단계에서는 상기 운반유닛(50)이 상기 주편(2)이 이탈될 때와 반대 구동으로 상기 주경로 상으로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주경로 외측에 적치되었던 주편(2a)이 상기 주경로 상으로 인입되면서, 압연단계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주편(2a)을 상기 압연단계에서 압연을 실시하기 위한 온도로 승온시키는 단계이다.
즉, 외측에 적치되어 있었던 절단 주편(2a)은 냉각되었기 때문에, 이를 승온시키기 위해서, 상기 가열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편(2a)을 가열하는 것은 상기 가열로(30)로 상기 주편(2a)을 인입시켜서 가열하게 할 수 있으며, 목표 온도까지 승온하기 위해서, 상기 주편(2a)을 전후로 이동시키며 가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1 : 연주압연장치 2 : 주편
10: 연주기 20: 절단기
30: 가열로 40: 압연기
50: 운반유닛

Claims (7)

  1. 연주기에서 주편을 생산하는 연속주조단계;
    상기 주편을 압연기에서 압하하는 압연단계; 및
    상기 연속주조단계와 상기 압연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상기 압연단계 이후 공정의 중단 여부에 따라 상기 주편을 절단 후 이탈시키거나, 이탈되었던 주편을 인입시키는 선택출입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출입단계는,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중단되면, 상기 연속주조단계에서 전달되는 주편을 절단하여 상기 연주기에서 상기 압연기로 연결되는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주편출외단계; 및
    상기 압연단계 이후의 공정이 다시 수행되면, 이탈되었던 상기 주편을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시키는 주편인입단계;
    를 포함하는 연주압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최종적으로 생산되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주편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주편을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길이만큼 절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편을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이탈단계; 및
    이탈된 상기 주편을 적치시키는 적치단계;
    를 포함하는 연주압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상기 절단단계와 이탈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후행 주편과 이격되도록, 절단된 주편을 상기 주경로 상에서 가속하여 이동시키는 가속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주압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단계는, 상기 주편을 가열하는 가열로로 상기 주편이 진입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압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출외단계는, 상기 연주기의 잔류 용강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압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인입단계는,
    상기 주경로 상에서 이탈된 주편을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시키는 진입단계; 및
    상기 주경로 상으로 진입된 주편을 가열로에서 가열하여, 상기 압연단계로 전달하는 가열단계;
    를 포함하는 연주압연방법.
  7. 주편을 생산하는 연주기;
    상기 연주기와 연계되며, 상기 주편을 압하하여 압연강판을 생산하는 압연기;
    상기 연주기와 상기 압연기 사이에 구비되며, 최종적으로 생산되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주편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주편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기와 압연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을 가열하는 가열로; 및
    상기 가열로에 구비되며, 절단된 상기 주편을 상기 가열로에서 이탈시키거나, 이탈된 주편을 상기 가열로로 인입시키는 운반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로는 상기 연주기에서 압연기로 연결되는 주경로에 수직한 방향의 일측면만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압연장치.
KR1020140187936A 2014-12-24 2014-12-24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KR101676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36A KR101676138B1 (ko) 2014-12-24 2014-12-24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CN201580070934.5A CN107427872B (zh) 2014-12-24 2015-10-14 连铸轧制方法及连铸轧制装置
JP2017533763A JP6549232B2 (ja) 2014-12-24 2015-10-14 連続鋳造圧延方法及び連続鋳造圧延装置
PCT/KR2015/010830 WO2016104925A1 (ko) 2014-12-24 2015-10-14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36A KR101676138B1 (ko) 2014-12-24 2014-12-24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572A true KR20160078572A (ko) 2016-07-05
KR101676138B1 KR101676138B1 (ko) 2016-11-15

Family

ID=5615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936A KR101676138B1 (ko) 2014-12-24 2014-12-24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49232B2 (ko)
KR (1) KR101676138B1 (ko)
CN (1) CN107427872B (ko)
WO (1) WO20161049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771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9075A (ko) * 2010-06-22 2011-12-28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조강류의 금속 압연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주조 및 연속 압연 방법과 플랜트
KR101417230B1 (ko) * 2011-12-28 2014-08-06 주식회사 포스코 배치 및 연연속 압연 겸용 시스템 및 압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2604A (ja) * 1987-04-08 1988-10-19 Hitachi Ltd 連鋳直結圧延方法及び装置
DE4017928A1 (de) * 1990-06-05 1991-12-12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warmgewalzten baendern oder profilen aus stranggegossenem vormaterial
JP2845087B2 (ja) * 1993-05-13 1999-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鋳造熱間圧延連続設備
JP2910490B2 (ja) * 1993-03-25 1999-06-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鋳造熱間圧延連続設備及び鋳造熱間圧延連続設備の運転方法
TW245661B (ko) * 1993-01-29 1995-04-21 Hitachi Seisakusyo Kk
TW336184B (en) * 1995-01-11 1998-07-11 Tippins Inc Intermediate thickness slab caster and inline hot strip and plate line, method of processing metal slabs and slab container
IT1280207B1 (it) * 1995-08-02 1998-01-05 Danieli Off Mecc Procedimento di colata continua per prodotti lunghi e relativa linea di colata continua
DE102008020412A1 (de) * 2007-08-24 2009-02-26 Sms D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Metallbandes durch Gießwalzen
DE102008003222A1 (de) * 2007-09-13 2009-03-19 Sms Demag Ag Kompakte flexible CSP-Anlage für Endlos-, Semi-Endlos- und Batchbetrieb
AT506603B8 (de) * 2008-04-04 2010-03-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e giess-walz-verbundanl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9075A (ko) * 2010-06-22 2011-12-28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조강류의 금속 압연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주조 및 연속 압연 방법과 플랜트
KR101417230B1 (ko) * 2011-12-28 2014-08-06 주식회사 포스코 배치 및 연연속 압연 겸용 시스템 및 압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771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KR20190050430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EP3705198B1 (en) 2017-11-03 2022-06-01 Posco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apparatus and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7872A (zh) 2017-12-01
JP6549232B2 (ja) 2019-07-24
KR101676138B1 (ko) 2016-11-15
CN107427872B (zh) 2020-01-07
JP2018500179A (ja) 2018-01-11
WO2016104925A1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380B2 (ja) 鋳造・圧延・複合設備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764523B2 (ja) 連続運転モードで運転可能な生産設備と故障発生時の生産設備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US97960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a combined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system
WO2006106376A8 (en)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metal strips and sheets without solution of continuity between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KR101998966B1 (ko)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JP2013532069A (ja) 板製品のための圧延方法およびそれに関する圧延ライン
CN103624081A (zh) 铸造轧制复合设备的中间轧机区域
JP5801042B2 (ja) 熱間圧延方法
KR101665068B1 (ko) 다단 주편 적치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편이송 라인 장치 및 주편이송 라인 장치 운용방법
KR101676138B1 (ko)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JP2018518369A (ja) 鋳造圧延方式において、金属的なストリップ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788081B1 (ko) 연속 주조 및 압연 공정에서 금속 스트립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1778483B1 (ko) 연주압연장치 및 방법
KR20120063713A (ko) 연속주조설비의 롤 세그먼트
RU2518821C2 (ru) Ввод в эксплуатацию чистовой группы клетей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в совмещенной литейно-прокатной установке
KR101736573B1 (ko)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KR101949039B1 (ko) 쌍롤형 주조장치의 주편 인발장치
KR101042206B1 (ko)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KR101921022B1 (ko)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KR20120133107A (ko)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UA9068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ент и листов без разрыва между непрерывным литьем и прокаткой
JP2003010903A (ja) 棒鋼の圧延方法及び圧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