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476A -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476A
KR20160078476A KR1020167014330A KR20167014330A KR20160078476A KR 20160078476 A KR20160078476 A KR 20160078476A KR 1020167014330 A KR1020167014330 A KR 1020167014330A KR 20167014330 A KR20167014330 A KR 20167014330A KR 20160078476 A KR20160078476 A KR 20160078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rame
light source
hous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237B1 (ko
Inventor
준야 하야카와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2Housings with variable shape or dimensions, e.g. by means of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s or by movement of parts forming telescopic extensions of the housing body

Abstract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광 출사 장치는, 소정의 평면을 따르는 영역 내에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6(6R))와, 광원부(6(6R))가 설치되는 프레임(5)과, 상기 소정의 평면에 대한광원부(6(6R))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7)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평면에 대한 광원부(6(6R))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7)가 프레임(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소정의 평면에 대한 당해 프레임(5)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6(6R))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LIGHT OUTPUT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리 정해진 좌표 입력 영역 내에서 조작되는 지시 도구(예를 들면, 펜(pen) 등)의 위치를 검출하는 좌표 입력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좌표 입력 장치로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 상에 당해 표시면을 따르는 광(적외광(infrared light))의 층을 형성하고, 상기 지시 도구에 의해 표시면 내의 소정의 위치가 지시되었을 때에, 당해 지시 도구에서 반사된 광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지시 도구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하는 좌표 입력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좌표 입력 장치는, 표시 장치의 표시면을 구성하는 좌표 입력 유효 영역과, 당해 좌표 입력 영역을 따르는 상기 광의 층을 형성하는 투광부(light projection unit) 및 수광부(light receiving unit)를 갖는 복수의 센서 유닛과, 좌표 입력 유효 영역의 외측 3변에 배치되고,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재귀 반사부(retroreflective unit)와, 제어·연산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좌표 입력 장치에서는, 좌표 입력 유효 영역 내에서의 지시 도구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광량 분포의 변화 범위를 복수의 센서 유닛에 의해 검출하고, 그 변화 범위의 수 및 지시 도구의 펜 다운(pen-down)수에 기초하여, 좌표 입력 유효 영역 내에 있어서의 좌표값을 제어·연산 유닛이 산출한다.
이러한 좌표 입력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 유닛의 투광부는, 적외광을 발하는 적외 LED(Light Emitting Diode) 및, 당해 적외광을 대략 90°의 범위에 투광하는 투광 렌즈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투광부는, 상측 후드에 고정되어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4757144호
여기에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좌표 입력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화상이 표시되는 좌표 입력 유효 영역 상에, 당해 좌표 입력 유효 영역을 따르는 광의 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좌표 입력 장치에서는, 투광부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상기 투광부가 부착되는 벽의 요철이나 부품 교차 등에 의해, 입력면(예를 들면, 스크린 등)과 광의 투사 각도의 사이에 편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어, 적절히 상기 광의 층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상기 센서 유닛을 양호한 정밀도로 고정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당해 센서 유닛의 부착이 복잡화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 출사 장치는, 소정의 평면을 따르는 영역 내에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소정의 평면에 대한 상기 광원부로부터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소정의 평면에 대한 광원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소정의 평면에 대한 당해 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에 설치된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소정의 평면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프레임은, 지점부(pivotal portion)를 갖고, 상기 조정 기구는,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소정의 평면에 대한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레임은, 지점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조정 기구는,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평면에 대한 프레임의 기울기를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에 설치된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소정의 평면에 대하여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지점부는, 상기 조정 기구에 대하여 상기 광의 출사 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조정 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측에 설치되고, 상기 소정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광의 출사 방향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조정 기구 및 제2 조정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점부가 조정 기구에 대하여 광의 출사 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교차하는 방향의 일단(一端)측에 위치하는 제1 조정 기구 및, 타단(他端)측에 위치하는 제2 조정 기구의 각각에 의해, 광의 출사 방향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평면에 대한 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에 설치된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상기 소정의 평면에 대하여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조정 기구 및 상기 제2 조정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측의 단부(端部)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는 독립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에 걸어 맞추고, 상기 축 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을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레임과는 독립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부재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축 부재가 회전운동되면, 축 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부재가 이동하여, 축 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프레임이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정의 평면에 대한 프레임의 기울기를, 축 부재의 회전운동에 맞추어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제1 조정 기구 및 제2 조정 기구의 각각이 구비하고 있으면, 프레임의 기울기를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축 부재는, 당해 축 부재의 주면(circumferential surface)에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를 갖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과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축 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 부재를 축 부재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소정의 평면에 대한 프레임의 기울기를 매우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소정의 평면에 대하여 매우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광원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조정 기구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동축의(coaxial) 회전운동축을 갖고, 상기 축 부재와 걸어 맞추어,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운동과 함께 상기 축 부재를 회전운동시키는 전달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를 사용자가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전달 부재와 걸어 맞추는 축 부재를 간접적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조작 부재를 회전운동시키는 것만으로,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축 부재를 직접 회전운동시키면, 축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프레임이나 고정 부재가 변형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달 부재를 통하여 조작 부재가 축 부재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당해 변형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작 부재를 피복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의 조정이 종료된 후에, 조작 부재를 커버 부재에 의해 피복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고 조작 부재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이 변경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작 부재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가 위치하는 하우징의 주위에, 조작 부재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조작 부재를 파지하는 손가락이 침입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가 설치된 하우징의 면을 따라 조작 부재를 회전운동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힘이 조작 부재에 전달되기 쉬워져, 당해 하우징의 면에 대하여 조작 부재가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나 전달 부재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당해 광 출사 장치가 낙하했을 때에 상기 프레임과 맞닿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광원부와 상기 하우징의 접촉을 억제하는 완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 출사 장치의 낙하시에 완충부가 프레임과 맞닿음으로써, 하우징과 광원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에 충격 대책을 시행하는 일 없이, 낙하의 충격에 의한 광원부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 출사 장치가 낙하한 후에도, 소정의 평면에 대하여 조정된 프레임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로서는, 프레임에 대하여 광원부측의 하우징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과 당해 하우징 내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핀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완충부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 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 출사 장치의 제조 공정의 복잡화 및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의 선단(先端)부(프레임과의 맞닿음부)는, 볼록 형상 및 오목 형상 중 어느 것으로도 채용 가능하지만, 오목 형상으로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에서는, 수신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 의해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따르는 영역 내에 광을 출사하여, 상기 표시면을 따르는 광의 층을 형성하는 상기 광 출사 장치와, 상기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광 출사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의 반사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와, 상기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검출 결과에 따른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생성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 출사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광 출사 장치로부터 소정 범위에 출사되는 광을 상기 표시면을 적절히 따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광의 층과 표시면의 거리를 비교적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광 출사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지시 도구를 이용하여, 표시면에 표시된 화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부위를 연속하여 지시하는 조작(더블 클릭과 같은 조작), 즉, 당해 광의 층에 대하여 연속하여 지시 도구를 삽발(inserting into and removing)하는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출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출사 장치의 저면(底面)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버를 제거한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어퍼 케이스(upper case)의 표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어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어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광 출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라이트 커튼 유닛(light curtain unit)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라이트 커튼 유닛을 저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로우어 케이스(lower case)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천면(top surface)측으로 조정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저면(bottom surface)측으로 조정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부의 조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10)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출사 장치(1), 프로젝터(PJ), 스크린(SC) 및, 화상 생성 장치(GN)(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이 화상 표시 시스템(10)에서는, 광 출사 장치(1)는, 스크린(SC)을 따라 광(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광)을 출사하여, 당해 스크린(SC)을 따르는 광의 층을 형성한다. 또한, 프로젝터(PJ)는, 상기 화상 생성 장치(GN)로부터 수신된 화상을 피(被)투사면(표시면)인 스크린(SC)에 투사하여, 당해 화상을 시인 가능하게 표시한다. 이 외에, 프로젝터(PJ)는, 스크린(SC)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영역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를 구비하고, 당해 촬상 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을 화상 생성 장치(GN)에 송신한다. 또한, 화상 생성 장치(GN)는, 화상 표시 영역에 있어서, 광 출사 장치(1)로부터 출사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지시 도구에 의해 반사된 광의 반사 위치(손가락이나 지시 도구 등에 의한 지시 위치)를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해석한다. 그리고, 화상 생성 장치(GN)는, 당해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반사 위치를 점이나 선으로 나타낸 화상을 생성하고, 당해 화상을 프로젝터(PJ)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시스템(10)에서는, 스크린(SC) 상에서의 손가락이나 지시 도구의 궤적을 포함하는 화상이 당해 스크린(SC)에 표시되게 된다.
이하, 화상 표시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 출사 장치(1)는, 소정의 평면을 따르는 광의 층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출사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SC)이 설치되는 벽면(WS)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광 출사 장치(1)는, 소정의 평면인 스크린(SC)을 따르는 영역(상호 작용 영역(LE)) 내에 광의 층을 형성한다.
또한, 광 출사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 상술한다.
[프로젝터의 구성]
프로젝터(PJ)는, 상기 벽면(WS)에 고정된 서스펜션 금구(suspension metal fixture)(M)에 의해 매달려, 천정면(RS)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프로젝터(PJ)는, 내부에 설치된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을 변조하여, 상기 화상 생성 장치(GN)로부터 수신되는 화상 정보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SC)의 피투사면(SC1) 상에 확대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이 외에, 프로젝터(PJ)는, 피투사면(SC1)으로의 화상의 투사 범위(화상 표시 범위)를 포함하는 촬상 영역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CM)를 구비하고, 당해 촬상 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을 화상 생성 장치(GN)에 송신한다. 이 촬상 장치(CM)는, 화상 생성 장치(GN)와 함께, 본 발명의 검출 장치를 구성한다.
[화상 생성 장치의 구성]
화상 생성 장치(GN)는,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 등으로 구성되고, 프로젝터(PJ)로부터 송신되는 촬상 화상을 취득하여, 취득된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반사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영역의 범위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실행함으로써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반사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피투사면(SC1)에 있어서의 지시 도구 등에 의한 지시 위치의 좌표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생성 장치(GN)는, 취득된 지시 위치를 점이나 선으로 나타낸 화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화상은, 프로젝터(PJ)에 송신된다.
[광 출사 장치의 구성]
이하, 광 출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광 출사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광 출사 장치(1)의 저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 출사 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장치 본체(3)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2)을 구비한다.
하우징(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부(2B), 천면부(2A), 정면부(2C), 배면부(2D), 좌측면부(2E) 및, 우측면부(2F)를 가진다. 이들 중, 저면부(2B)는, 상기 벽면(WS)(도 1 참조)에 광 출사 장치(1)가 설치되었을 때에, 당해 벽면(WS)과 대향한다. 또한, 천면부(2A)는, 저면부(2B)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또한, 정면부(2C)는, 후술하는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배면부(2D)는, 당해 정면부(2C)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천면부(2A)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정면부(2C)와 정면으로 마주 대했을 때에, 좌측면부(2E)는 좌측에 위치하고, 우측면부(2F)는 우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하우징(2)은, 어퍼 케이스(21)와, 로우어 케이스(22)와, 커버(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어퍼 케이스(21)는, 천면부(2A)와, 정면부(2C), 배면부(2D), 좌측면부(2E) 및 우측면부(2F)의 각각의 일부를 구성한다. 로우어 케이스(22)는, 저면부(2B)와, 정면부(2C), 배면부(2D), 좌측면부(2E) 및 우측면부(2F)의 각각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들 중, 로우어 케이스(22)에는, 저면부(2B), 정면부(2C) 및 좌측면부(2E)에 걸치는 좌측 오목부(2G)와, 저면부(2B), 정면부(2C) 및 우측면부(2F)에 걸치는 우측 오목부(2H)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3)는, 어퍼 케이스(21)에 부착되는 것이고, 당해 어퍼 케이스(21)에 조작 부재로서 설치되는 다이얼(dial; 211)(도 4 및 도 5 참조)을 피복한다.
저면부(2B)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모서리부에 구멍부(도시 생략)를 갖고, 당해 각 구멍부에는 나사(S1)가 끼워 맞춰져 있다. 이들 나사(S1)는, 천면부(2A)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로우어 케이스(22)와 어퍼 케이스(21)가 나사 고정된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좌측 오목부(2G) 내에는, 후술하는 광원부(6)를 구성하는 제1 광원부(6L)(도 8 및 도 9 참조)가 노출된다. 그리고, 제1 광원부(6L)는, 도 3에 있어서의 L1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일점쇄선의 범위에, 광을 확산시켜 출사한다.
우측 오목부(2H) 내에는, 후술하는 광원부(6)를 구성하는 제2 광원부(6R)(도 6 및 도 7 참조)가 노출된다. 그리고, 제2 광원부(6R)는, 도 3에 있어서의 L2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일점쇄선의 범위에, 광을 확산시켜 출사한다.
이들 제1 광원부(6L) 및 제2 광원부(6R)에 의해 형성되는 광의 층(각각 일점쇄선 내에 형성되는 광의 층)의 일부는 서로 겹치고, 이들 광의 층에 의해, 피투사면(SC1)(도 1)의 전체 면이 당해 광의 층에 의해 덮인다.
도 4는, 커버(23)를 제거한 상태의 광 출사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당해 상태의 광 출사 장치(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어퍼 케이스(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23)를 제거하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어퍼 케이스(21)의 표면(21A)(즉, 천면부(2A))에 위치하는 2개의 다이얼(211)과 2개의 오목부(215)가 노출된다.
다이얼(211)(좌측면부(2E)측 및 우측면부(2F)측에 위치하는 다이얼을, 각각 211L, 211R이라고 함)은, 본 발명의 조작 부재에 상당하고, 천면부(2A)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다이얼(21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12), 축부(213) 및 기어(214)를 각각 가진다.
본체부(21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2) 외(外)에 위치한다. 이 본체부(212)는, 다이얼(211)을 회전운동시킬 때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이고, 당해 본체부(212)의 측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213)는, 본체부(212)의 대략 중앙 부분에 나사 고정된 봉 형상 부재이고, 천면부(2A)에 형성된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된다.
기어(214)는, 하우징(2) 내에 위치하고, 상기 축부(213)에 있어서의 본체부(212)측과는 반대측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 기어(214)는, 본체부(212)와 함께 축부(213)를 회전운동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한다. 환언하면, 본체부(212)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축부(213)를 통하여 본체부(212)에 접속된 기어(214)는, 당해 본체부(212)의 회전운동 방향과 동(同)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기어(214)는, 후술하는 조정 기구(7)를 구성하는 기어(721)와 맞물려, 당해 기어(721)를 회전운동시킨다. 즉, 기어(214)는, 본 발명의 전달 부재에 상당한다.
오목부(215)(좌측면부(2E)측 및 우측면부(2F)측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각각 215L, 215R이라고 함)는, 대응하는 다이얼(211)(본체부(212))의 주위에 위치하고, 당해 다이얼(211)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215)는, 예를 들면, 본체부(212)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를 삽입 가능한 정도의 깊이로 형성된다.
[장치 본체의 구성]
도 6은, 어퍼 케이스(21)를 제거한 광 출사 장치(1)를 천면측에서, 또한,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어퍼 케이스(21)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장치 본체(3)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트 커튼 유닛(4)과 기판(8)을 구비하고, 이들은 로우어 케이스(22)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중, 기판(8)은, 라이트 커튼 유닛(4)에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당해 라이트 커튼 유닛(4)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이다. 이 기판(8)과 라이트 커튼 유닛(4)은, 케이블(8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라이트 커튼 유닛의 구성]
도 8은, 라이트 커튼 유닛(4)을 천면측에서, 또한,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라이트 커튼 유닛(4)을 저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라이트 커튼 유닛(4)은, 상기 피투사면(SC1)을 따르는 영역 내에 광을 출사하여, 상기 광의 층(광의 커튼)을 형성하는 기능과, 당해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라이트 커튼 유닛(4)은,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5)과,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6)와, 피투사면(SC1)에 대한 프레임(5)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광원부(6)에 의한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7)를 구비한다.
[프레임의 구성]
프레임(5)은, 평판 형상의 금속제 부재이고, 광원부(6) 및 조정 기구(7)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5)에 있어서, 로우어 케이스(22)의 저면(22A)(도 6 및 도 7)과 대향하는 면에는, 광원부(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에 있어서의 정면부(2C)(도 6 및 도 7)측의 단부의 양단(兩端) 근방(좌측면부(2E)측 및 우측면부(2F)측의 단부 근방)에는, 조정 기구(7)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5)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점부(51)와, 당해 지점부(51)의 주위에 위치하는 구멍부(53L, 53R), 구멍부(54)를 가진다.
지점부(51)는, 어퍼 케이스(21)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의 광원부(6)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과는 반대측(즉, 배면부(2D)측)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지점부(51)는, 선단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조정 기구(7)에 의해 프레임(5)의 기울기(광의 출사 방향)의 조정을 행할 때에, 당해 프레임(5)의 지점(회전운동 중심)이 된다. 이러한 지점부(5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L1 방향의 연장선과 L2 방향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우어 케이스(22) 내에는, 당해 로우어 케이스(22) 내에 배치된 프레임(5)을 누르는 누름 부재(24)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누름 부재(24)는, 지점부(51)에 따른 위치에 설치되고, 당해 누름 부재(24)에 있어서의 프레임(5)에 대향하는 면에는, 지점부(51)의 선단부가 맞닿는다. 이러한 누름 부재(24)는, 당해 누름 부재(24) 및 상기 구멍부(53L)를 삽입 통과하는 나사(S2)와, 누름 부재(24) 및 구멍부(53R)를 삽입 통과하는 나사(S2)에 의해, 로우어 케이스(22)에 고정된다.
[광원부의 구성]
광원부(6)는, 상기와 같이, 프레임(5)에 있어서의 로우어 케이스(22)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광원부(6)는, 프레임(5)에 있어서 좌측면부(2E)측에 위치하는 제1 광원부(6L)와, 우측면부(2F)측에 위치하는 제2 광원부(6R)를 가진다.
이들 제1 광원부(6L) 및 제2 광원부(6R)의 각각은, 소정의 평면인 피투사면(SC1)을 따르는 영역 내에 광을 출사한다. 구체적으로, 제1 광원부(6L)는, 상기 L1 방향(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각도의 대략 균일한 광의 층을 형성하고, 제2 광원부(6R)는, 상기 L2 방향(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각도의 대략 균일한 광의 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광원부(6L)에 의해 형성되는 광의 층과, 제2 광원부(6R)에 의해 형성되는 광의 층은, 피투사면(SC1)의 중앙에서 서로 겹치고, 각 광의 층에 의해, 피투사면(SC1) 전체가 덮인다. 이들 광의 층에 의해, 상기 상호 작용 영역(LE)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광원부(6L) 및 제2 광원부(6R)는, 각각,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체 광원(61), 광학 장치(62), 지지 부재(63) 및 히트 싱크(heat sink; 64)를 각각 구비한다.
고체 광원(61)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광을 출사하는 LD(Laser Diode)이고, 전술의 기판(8)에 의해 점등이 제어된다.
광학 장치(62)는, 고체 광원(6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피투사면(SC1)을 따라 확산시켜 출사한다. 이 광학 장치(62)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평행화 렌즈(collimating lens) 및 파웰 렌즈(Powell lens)를 가진다. 이들 중, 파웰 렌즈는, 고체 광원(61)으로부터 출사되어 평행화 렌즈에 의해 평행화된 광을, 피투사면(SC1)을 따르는 소정 범위 내에 균등하게 확산시켜 출사한다.
지지 부재(63)는, 상기 광학 장치(62)를 지지하는 것이고, 프레임(5)에 고정된다.
히트 싱크(64)는, 상기 고체 광원(61)에 의한 광의 출사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히트 싱크(64)는, 당해 고체 광원(61)과 열전도 가능하게 접속되고, 당해 고체 광원(61)으로부터 전도된 열을 방열하고, 이에 따라, 고체 광원(61)을 냉각한다.
여기에서, 로우어 케이스(22)에 있어서의 광원부(6)의 위치를 설명한다.
도 10은, 로우어 케이스(22)를 천면측에서, 또한,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즉, 도 10은, 도 6의 상태로부터 장치 본체(3)를 제거한 상태의 로우어 케이스(2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로우어 케이스(2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21)를 가진다.
개구부(221)는, 로우어 케이스(22)의 저면에, 상기 광원부(6)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라이트 커튼 유닛(4)이 로우어 케이스(22)에 부착되면, 당해 개구부(221)를 통하여, 광원부(6)가 저면부(2B)측으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광원부(6L)는, 좌측 오목부(2G) 내에 위치하고, 제2 광원부(6R)는, 우측 오목부(2H) 내에 위치하고, 각 광원부(6L, 6R)는, 상기와 같이, 피투사면(SC1)을 따라 광을 출사한다.
이 외에, 로우어 케이스(22)는, 돌기(222), 위치 결정 핀(223) 및 보스(boss; 224L, 224R, 225L, 225R, 226), 핀(227)을 가진다.
돌기(222)는, 로우어 케이스(22)의 저면(22A)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당해 돌기(222)에는, 탄성 지지 부재로서의 스프링 부재(228)(도 11 참조)가 끼워 넣어진다. 이 스프링 부재(228)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저면(22A)에 맞닿음과 함께, 프레임(5)의 저면부(2B)측의 면에 맞닿아, 당해 프레임(5)을 누름 부재(24)측에 탄성 지지한다.가 끼워 넣어진다. 이 스프링 부재(228)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저면(22A)에 맞닿음과 함께, 프레임(5)의 저면부(2B)측의 면에 맞닿아, 당해 프레임(5)을 누름 부재(24)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위치 결정 핀(223)은, 상기 구멍부(54)를 삽입 통과하여, 로우어 케이스(22)에 대하여 라이트 커튼 유닛(4)(프레임(5))을 위치 결정한다.
보스(224L, 224R)는, 상기 누름 부재(24)를 고정하는 나사(S2)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을 갖고, 이에 따라, 누름 부재(24)는, 프레임(5)을 사이에 두도록 로우어 케이스(22)에 고정된다.
보스(226)는, 저면(22A)의 네 모서리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나사(S1)가 저면부(2B)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나사(S1)는, 상기와 같이, 어퍼 케이스(21)와 나사 결합한다.
핀(227)은, 개구부(221)의 정면부(2C)측 근방의 위치에, 저면(22A)으로부터 천면부(2A)측으로 각각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복수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대략 L자 형상의 개구부(221)에 있어서의 정면부(2C)측의 단연(end edge) 중, 한쪽의 변연(side edge)의 정면부(2C)측의 양단 근방에 각각 1개씩, 다른 한쪽의 변연의 정면부(2C)측의 양단 근방에 각각 1개씩, 합계 4개의 핀(227)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핀(227)은, 라이트 커튼 유닛(4)을 하우징(2) 내에 수납했을 때에, 저면(22A)과 프레임(5)의 사이에 위치하고, 광 출사 장치(1)가 낙하했을 때에 프레임(5)(상세하게는, 프레임(5)에 있어서의 광원부(6)의 배치측의 면)과 맞닿아, 상기 광원부(6)와 저면(22A)의 접촉을 억제하는 본 발명의 완충부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핀(227)은, 로우어 케이스(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출(射出) 성형 등에 의해 로우어 케이스(22)를 성형할 때에 동시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핀(227)의 선단면(어퍼 케이스(21)측의 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반구면 형상 등의 볼록 형상이나 오목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정 기구의 구성]
조정 기구(7)는, 도 6∼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5)에 있어서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측(정면부(2C)측)에 배치되고, 피투사면(SC1)에 대한 당해 프레임(5)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이 조정 기구(7)는, 프레임(5)의 정면부(2C)측의 단부(광원부(6)에 의한 광의 출사 방향측의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 부재(71)와, 당해 단부에 있어서의 좌측면부(2E)측에 위치하는 제1 조정 기구(72L) 및, 우측면부(2F)측에 위치하는 제2 조정 기구(72R)를 가진다. 즉, 조정 기구(7)는, 피투사면(SC1)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프레임(5)을 본 경우에,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확산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조정 기구(72L) 및 제2 조정 기구(72R)를 가진다.
[고정 부재의 구성]
고정 부재(71)는, 일부가 프레임(5)에 있어서의 상기 정면부(2C)측의 단부를 덮도록 로우어 케이스(22)에 고정된다. 이 고정 부재(71)의 좌측면부(2E)측 및 우측면부(2F)측에는, 복수의 구멍부(7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구멍부(711)에는, 로우어 케이스(22)의 상기 보스(225L, 225R)에 고정되는 나사(S3)(도 6 참조)가 끼워 넣어지고, 이에 따라, 고정 부재(71)는, 로우어 케이스(22)에 나사 고정된다. 즉, 고정 부재(71)는, 프레임(5)과는 독립적으로 로우어 케이스(22)에 고정된다.
[제1 조정 기구 및 제2 조정 기구의 구성]
도 11은, 로우어 케이스(22) 및 제2 조정 기구(72R)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환언하면, 도 11은, 도 7에 있어서의 ⅩⅠ-ⅩⅠ선 단면도이다.
제1 조정 기구(72L) 및 제2 조정 기구(72R)는, 도 8,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기어(721)와, 축 부재(722)(도 9 및 도 11)와, 이동 부재(723)(도 9 및 도 11)를 구비한다.
기어(721)는, 상기 고정 부재(71)에 있어서의 어퍼 케이스(21)측의 면(71A)에 배치되고, 축 부재(722)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조정 기구(72L)의 기어(721)는, 다이얼(211L)의 기어(214)와 맞물리고, 제2 조정 기구(72R)의 기어(721)는, 다이얼(211R)의 기어(214)와 맞물린다.
축 부재(722)는, 기어(721)의 대략 중앙 부분에, 당해 기어(721)의 중심축을 따라 나사 고정된다. 그리고, 당해 축 부재(722)에 있어서의 기어(721)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고정 부재(71) 및 프레임(5)을 관통한다.
이동 부재(723)는, 축 부재(722)에 있어서 프레임(5)을 관통한 단부에 설치된다. 즉, 이동 부재(723)는, 프레임(5)에 대하여 로우어 케이스(22)측(저면부(2B)측)에 위치한다. 이 이동 부재(723)는, 기어(721)가 회전운동되면, 축 부재(722)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부재(722)는, 그 주면에 당해 축 부재(722)의 중심축을 따르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나사 결합부(7221)를 갖고, 상기 이동 부재(723)는, 당해 이동 부재(723)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부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 홈(7231)으로, 당해 나사 결합부(7221)와 나사 결합한다. 또한, 이동 부재(723)는, 프레임(5)에 형성된 끼워 맞춤부(52)에 끼워 맞추어지고, 이에 따라, 당해 이동 부재(723)는, 축 부재(72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로 프레임(5)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얼(211)이 회전운동되고, 당해 다이얼(211)의 기어(214)와 맞물리는 기어(721)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운동되면, 당해 기어(721)의 회전운동에 따라 축 부재(722)가 회전운동한다. 이 축 부재(722)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이동 부재(723)가 천면부(2A)측 또는 저면부(2B)측, 즉, 축 부재(722)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이러한 축 부재(722)의 선단부(저면부(2B)측의 단부) 근방에는, 축 부재(722)로부터의 이동 부재(723)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72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축 부재(722)의 주위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부재(725)가, 중심축을 축 부재(722)와 대략 일치시키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725)의 일단은 고정 부재(71)와 맞닿고, 타단은 프레임(5)과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 부재(725)는, 프레임(5)을 이동 부재(723)에 누름 탄성 지지하게 되어, 이동 부재(723)의 이동에 맞추어 축 부재(722)의 중심축을 따라 프레임(5)을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조정 기구에 의한 출사 방향 조정]
이하, 상기 조정 기구(7)에 의한 광원부(6)로부터 출사된 광의 출사 방향의 조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이얼(211R)을 조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다이얼(211L)(도 4 및 도 5 참조)을 조작했을 때의 출사 방향 조정은, 다이얼(211R)(도 4 및 도 5 참조)을 조작한 경우와 대략 동일하다.
도 11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프레임(5)은, 로우어 케이스(22)의 저면(22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5)은, 상기 스프링 부재(228)에 의해 천면부(2A)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고, 누름 부재(24)에 있어서의 저면부(2B)측의 면에 지점부(51)의 선단부가 맞닿아 있다. 한편, 돌기(222)는, 프레임(5)과 직접 맞닿아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프레임(5)은, 돌기(222)와 누름 부재(24)의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갖고 로우어 케이스(22)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프레임(5)은, 조정 기구(7)에 의해 지점부(51)를 중심으로 하여 경사 가능하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저면부(2B)측으로 조정한 후의 광 출사 장치(1)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어퍼 케이스(21) 등, 광 출사 장치(1)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의 도 13도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천면부(2A)에 부착된 다이얼(211R)을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A1 방향 중 한쪽(천면부(2A)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축부(213)를 중심축으로 하여 기어(214)도 동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기어(214)는, 기어(721)와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기어(214)가 회전운동되면, 기어(721)는, 당해 기어(214)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기어(721)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축 부재(722)도 동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지만, 당해 축 부재(722)에 나사 결합하는 이동 부재(723)는, 프레임(5)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723)는, 저면부(2B)측으로 이동하고, 스프링 부재(725)에 의해 당해 이동 부재(723)를 향해 탄성 지지된 프레임(5)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점부(51)를 경도(inclination)의 중심(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저면부(2B)측으로 기울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레임(5)이 저면부(2B)측으로 기울면, 당해 프레임(5)에 부착된 광원부(6)도 동일하게 저면부(2B)측으로 기울고, 제2 광원부(6R)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도 저면부(2B)측으로 기울게 된다. 이에 따라, 피투사면(SC1)을 따르는 소정의 영역 내에 출사되는 광의 층(상호 작용 영역(LE))과 피투사면(SC1)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정된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천면부(2A)측으로 조정한 후의 광 출사 장치(1)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광 출사 장치(1)의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이얼(211R)을 상기 A1 방향 중 다른 한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기어(214)를 통하여, 기어(721)가, 당해 다이얼(211R)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기어(721)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축 부재(722)도 동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동 부재(723)는 기어(721)와 동 방향으로는 회전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723)는, 축 부재(722)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당해 축 부재(722)의 중심축을 따라 도 12에 나타낸 경우와는 반대측, 즉, 천면부(2A)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723)에 대하여 탄성 지지된 프레임(5)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점부(51)를 경도의 중심으로 하여, 이동 부재(723)의 이동에 맞추어 천면부(2A)측으로 기울게 된다. 그리고, 당해 프레임(5)이 기욺으로써, 상기 제2 광원부(6R)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도 천면부(2A)측으로 기울게 된다. 이에 따라, 피투사면(SC1)을 따르는 소정의 영역 내에 출사되는 광의 층(상호 작용 영역(LE))과 피투사면(SC1)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정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5)은, 스프링 부재(228)에 의해 프레임(5)을 누름 부재(24)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광 출사 장치(1)의 낙하시 등, 하우징(2)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프레임(5)은, 스프링 부재(228)로부터의 탄성 지지를 물리치는 방향(저면부(2B)측)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광원부(6)(제1 광원부(6L) 및 제2 광원부(6R))가 로우어 케이스(22)(저면(22A))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이 생각된다.
반면에, 하우징(2)에 상기 충격이 가해져, 프레임(5)이 저면부(2B)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완충부로서의 상기 복수의 핀(227)의 선단부가 프레임(5)에 맞닿음으로써, 프레임(5)의 저면부(2B)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당해 프레임(5)에 부착된 제1 광원부(6L) 및 제2 광원부(6R)의 각각이 로우어 케이스(22)(저면(22A))에 접촉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복수의 핀(227)이 완충부로서 기능함으로써, 제1 광원부(6L) 및 제2 광원부(6R)의 파손이 방지된다.
[피투사면에 대한 광의 출사 방향 조정]
도 14는,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의 조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 출사 장치(1)의 조정 방법은,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한다.
스크린(SC)의 피투사면(SC1)의 좌측 하단(下端)부에, 돌출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핀(P1)을 설치한다. 마찬가지로, 피투사면(SC1)의 우측 하단부에는, 돌출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핀(P2)을 설치한다. 이들 제1 핀(P1) 및 제2 핀(P2)은,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피투사면(SC1)측의 단부가, 해당 피투사면(SC1)과는 반대측의 단부보다 굵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광 출사 장치(1)에서는, 프레임(5)에 설치된 지점부(51)와 제1 핀(P1)을 연결하는 직선(T1) 상에, 제1 조정 기구(72L)를 구성하는 축 부재(722)의 중심축이 위치하고, 지점부(51)와 제2 핀(P2)을 연결하는 직선(T2) 상에, 제2 조정 기구(72R)를 구성하는 축 부재(722)의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상기 벽면(WS)(도 1 참조)에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우선, 제1 광원부(6L)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1 핀(P1)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얼(211L)을 회전운동시켜, 상기 피투사면(SC1)의 좌측 하단부에 있어서, 제1 광원부(6L)에 의해 형성되는 광의 층(상호 작용 영역(LE))과 피투사면(SC1) 사이의 치수를, 예를 들면, 약 1㎜ 정도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 조정시에, 지점부(51), 축 부재(722), 제2 핀(P2)은 직선(T2)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직선(T2)을 축으로 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상기 프로젝터(PJ)가 갖는 촬상 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즉, 상기 제1 핀(P1)은, 피투사면(SC1)측의 단부로부터 해당 피투사면(SC1)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의 층과 피투사면(SC1) 사이의 거리가 커지면, 촬상 화상에 있어서 검출되는 적외광의 반사 위치가 상기 직선(T1) 상에서 변화된다. 이 때문에, 당해 반사 위치에 기초하여 다이얼(211L)을 회전운동시켜, 제1 광원부(6L)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광의 층과 피투사면(SC1) 사이의 치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이 후에, 다이얼(211R)을 회전운동시켜, 상기 피투사면(SC1)의 우측 하단부에 있어서, 제2 광원부(6R)에 의해 형성되는 광의 층(상호 작용 영역(LE))과 피투사면(SC1) 사이의 치수를, 예를 들면, 약 1㎜ 정도가 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이러한 조정은, 제1 광원부(6L)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이 조정시에, 지점부(51), 축 부재(722), 제1 핀(P1)은 직선(T1)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직선(T1)을 축으로 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에 의해, 제1 핀(P1)측의 조정은 직선(T2)을 축으로 하여 조정을 행하고, 제2 핀(P2)측의 조정은 직선(T1)을 축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광원부(6L, 6R)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광의 층과, 피투사면(SC1) 사이의 치수를 적은 조정 회수로 용이하게 적절한 값으로 할 수 있다. 즉, 지점부(51), 축 부재(722) 및, 제1 핀(P1)이 직선(T1) 상에 위치하고, 지점부(51), 축 부재(722) 및, 제2 핀(P2)이 직선(T2)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광원부(6L) 및 제2 광원부(6R)의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층과 피투사면(SC1)의 치수를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1 광원부(6L)에 의한 광의 출사 방향을 먼저 조정하고, 제2 광원부(6R)에 의한 광의 출사 방향을 나중에 조정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정하는 순서는 반대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광 출사 장치(1)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10)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소정의 평면(피투사면(SC1))에 대한 광원부(6)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7)가 프레임(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프레임(5)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 방향측의 기울기를 피투사면(SC1)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5)에 설치된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피투사면(SC1)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광 출사 장치(1)로부터 소정 범위에 출사되는 광을 피투사면(SC1)(표시면)을 적절히 따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광의 층(상호 작용 영역(LE))과 피투사면(SC1)의 거리를 비교적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광 출사 장치(1)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지시 도구를 이용하여, 피투사면(SC1)에 표시된 화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부위를 연속하여 지시하는 조작(더블 클릭과 같은 조작), 즉, 상호 작용 영역(LE)에 대하여 연속하여 지시 도구를 삽발하는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 시스템(10)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프레임(5)은, 조정 기구(7)에 대하여 광의 출사 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점부(51)를 갖고 있기 때문에, 조정 기구(7)는, 지점부(51)를 중심으로 하여 피투사면(SC1)에 대한 프레임(5)의 기울기를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5)에 설치된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피투사면(SC1)에 대하여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프레임(5)에 있어서의 피투사면(SC1)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광의 출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일단측(좌측면부(2E)측)에 위치하는 제1 조정 기구(72L) 및, 타단측(우측면부(2F)측)에 위치하는 제2 조정 기구(72R)의 각각에 의해, 피투사면(SC1)에 대한 프레임(5)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5)에 설치된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피투사면(SC1)에 대하여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프레임(5)과는 독립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부재(7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축 부재(722)가 회전운동되면, 축 부재(722)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부재(723)가 이동하여, 축 부재(722)의 중심축을 따라 프레임(5)이 이동된다. 이에 따라, 피투사면(SC1)에 대한 프레임(5)의 기울기를, 축 부재(722)의 회전운동에 맞추어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제1 조정 기구(72L) 및 제2 조정 기구(72R)의 각각이 구비하고 있으면, 프레임(5)의 기울기를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축 부재(722)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 부재(723)를 축 부재(722)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피투사면(SC1)에 대한 프레임(5)의 기울기를 매우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피투사면(SC1)에 대하여 매우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조작 부재(다이얼(211))를 사용자가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전달 부재(기어(214))와 걸어 맞추는 축부(213)를 간접적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의 외부에 설치된 본체부(212)를 회전운동시키는 것만으로, 하우징(2)의 내부에 수납된 프레임(5)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축 부재(722)를 직접 회전운동시키면, 축 부재(722)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프레임(5)이나 고정 부재(71)가 변형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것에 대하여, 광 출사 장치(1)에 의하면, 기어(214)를 통하여 다이얼(211)이 축 부재(722)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당해 변형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의 조정이 종료된 후에, 다이얼(211)을 커버 부재(커버(23))에 의해 피복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고 다이얼(211)이 회전운동하여,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이 변경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이얼(211)의 본체부(212)가 위치하는 하우징(2)의 주위에, 당해 다이얼(211)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오목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본체부(212)를 파지하는 손가락이 침입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212)가 설치된 하우징(2)의 면(천면부(2A))을 따라 본체부(212)를 회전운동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힘이 본체부(212)에 전달되기 쉬워져, 당해 하우징(2)의 천면부(2A)에 대하여 다이얼(211)이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다이얼(211)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프레임(5)과 하우징(2)의 사이(구체적으로는, 프레임(5)과 당해 프레임(5)에 있어서의 광원부(6)측의 면에 대향하는 저면(22A)의 사이)에는, 완충부로서의 복수의 핀(227)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광 출사 장치(1)의 낙하시 등, 상기 충격이 하우징(2)에 가해졌을 때에, 프레임(5)에 당해 복수의 핀(227)의 선단부가 맞닿기 때문에, 하우징(2)에 광원부(6)가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 출사 장치(1)가 낙하한 후에도, 피투사면(SC1)에 대하여 조정된 프레임(5)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후의 광원부(6)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재로서의 핀(227)은, 하우징(2)(로우어 케이스(2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완충 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 출사 장치(1)의 제조 공정의 복잡화 및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 출사 장치(1)는, 제1 광원부(6L) 및 제2 광원부(6R)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광원부의 수는,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광 출사 장치(1)는, 제1 조정 기구(72L) 및 제2 조정 기구(72R)를 갖는 조정 기구(7)를 구비한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조정 기구(72L) 및 제2 조정 기구(72R) 중, 한쪽만이라도 좋다. 이 경우, 당해 조정 기구의 배치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 출사 장치(1)는, 1개의 상호 작용 영역(LE)(즉, 1개의 광의 층)을 형성한다고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서로 겹쳐지는 복수의 광의 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 광의 파장을 바꾸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어느 층까지 지시 도구가 삽입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피투사면에 대한 지시 도구 등의 높이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 출사 장치(1)의 하우징(2)은, 커버(23)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 출사 장치(1)의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한 후에, 다이얼(211)을 뜻하지 않게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다이얼(211)을 고정하는 로크(lock) 기능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즉, 커버(23)는 없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211)을 구성하는 기어(214)는, 기어(721)와 맞물린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어(721)와 기어(214)의 사이에 추가로 1개 기어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각각의 다이얼(211)을 조작할 때에 회전운동시키는 방향과 축 부재(722)의 회전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여, 보다 광원부(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축 부재(722)에 스프링 부재(725)를 설치하고, 로우어 케이스(22)의 돌기(222)에 스프링 부재(228)를 설치한다고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탄성 지지력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고,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 기구(7)에 의해 프레임(5)의 기울기를 조정할 때의 지점이 되는 지점부(51)를 당해 프레임(5)에 배치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점부(51)는, 하우징(2)(예를 들면, 어퍼 케이스(21))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누름 부재(24)에 있어서의 프레임(5)과 대향하는 면에, 반구 형상의 지점부를 설치하고, 당해 지점부에 프레임(5)이 맞닿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돌기(222)의 선단부를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당해 선단부에 프레임(5)이 맞닿도록,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된 누름 부재가 당해 프레임(5)을 누르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부로서의 핀(227)은 개구부(221)의 정면부(2C)측에 복수 설치된다고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핀(227)의 수는,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광원부(6L)측 및 제2 광원부(6R)측에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1개라도 좋다. 핀(227)의 배치 위치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완충재로서의 복수의 핀(227)의 선단부(프레임(5)과의 맞닿음면)는, 평면 형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당해 선단부는, 오목 형상 및 볼록 형상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당해 선단부가 오목 형상이면, 프레임(5)과 접촉하여 변형되는 선단부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에 따라, 볼록 형상보다 선단부를 변형시키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선단부의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외에, 선단부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 출사 장치(1)의 낙하 등에 의해 하우징(2)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우어 케이스(22)의 저면(22A)(평면)으로부터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했지만, 핀(227)의 형상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로우어 케이스(22)(하우징(2))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덧붙여, 핀(227) 대신에, 또는, 당해 핀(227)에 추가하여,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투사면(SC1)을 스크린(SC)으로 구성했지만, 예를 들면, 화이트 보드라도 좋다. 이 경우, 광 출사 장치(1)는, 화이트 보드가 부착되는 벽면과 동일한 벽면에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화이트 보드가 자립식(freestanding)이었을 경우에는, 광 출사 장치(1)를 화이트 보드에 직접 부착해도 좋다. 나아가서는, 스크린(SC)을 이용하지 않고, 프로젝터(PJ)가 벽면에 화상을 투사하는 경우에는, 당해 벽면을 피투사면(소정의 평면)으로 하여 광 출사 장치(1)를 배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장치를 구성하는 촬상 장치(CM)는, 프로젝터(PJ)에 설치되어 있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프로젝터와 촬상 장치는 별체(separate devices)라도 좋다.
또한, 화상 생성 장치(GN)는, 당해 촬상 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지시 도구 등에 의한 사용자의 지시 위치를 검출한다고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가, 프로젝터(PJ)에 의한 피투사면(SC1)에 있어서의 지시 위치를 검출하고, 당해 피투사면(SC1)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영역 내의 지시 위치의 좌표를 해석하여, 당해 좌표를 화상 생성 장치(GN)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화상 표시 시스템(10)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프로젝터(PJ)를 구비하고, 당해 프로젝터(PJ)에 의해 화상이 투사 및 표시되는 스크린(SC)의 피투사면(SC1)을, 본 발명의 소정의 평면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PJ) 및 스크린(SC) 대신에, 액정, 플라즈마(plasma) 및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를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 당해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을, 본 발명의 소정의 평면으로 하면 좋다.
1 : 광 출사 장치
2 : 하우징
5 : 프레임
6 : 광원부
7 : 조정 기구
10 : 화상 표시 시스템
21 : 어퍼 케이스
22 : 로우어 케이스
23 : 커버
51 : 지점부
71 : 고정 부재
72L : 제1 조정 기구
72R : 제2 조정 기구
723 : 이동 부재
211 : 다이얼
213 : 축부
214, 721 : 기어
215 : 오목부
227 : 핀(완충부)
722 : 축 부재
CM : 촬상 장치(검출 장치)
GN : 화상 생성 장치(검출 장치, 화상 생성 장치)
PJ : 프로젝터(표시 장치)
SC1 : 피투사면(소정의 평면, 표시면)

Claims (11)

  1. 소정의 평면을 따르는 영역 내에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소정의 평면에 대한 상기 광원부로부터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지점부를 갖고,
    상기 조정 기구는,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소정의 평면에 대한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는, 상기 조정 기구에 대하여 상기 광의 출사 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조정 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측에 설치되고, 상기 소정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광의 출사 방향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조정 기구 및 제2 조정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기구 및 상기 제2 조정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측의 단부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는 독립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에 걸어 맞추고, 상기 축 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을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당해 축 부재의 주면(circumferential surface)에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를 갖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과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조정 기구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동축의(coaxial) 회전운동축을 갖고, 상기 축 부재와 걸어 맞추어,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운동과 함께 상기 축 부재를 회전운동시키는 전달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작 부재를 피복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작 부재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당해 광 출사 장치가 낙하했을 때에 상기 프레임과 맞닿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광원부와 상기 하우징의 접촉을 억제하는 완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사 장치.
  11. 수신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 의해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따르는 영역 내에 광을 출사하여, 상기 표시면을 따르는 광의 층을 형성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출사 장치와,
    상기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광 출사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의 반사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와,
    상기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검출 결과에 따른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생성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KR1020167014330A 2013-10-31 2014-10-28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 KR101806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26820A JP6273775B2 (ja) 2013-10-31 2013-10-31 光出射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JP-P-2013-226820 2013-10-31
PCT/JP2014/005453 WO2015064091A1 (ja) 2013-10-31 2014-10-28 光出射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476A true KR20160078476A (ko) 2016-07-04
KR101806237B1 KR101806237B1 (ko) 2017-12-07

Family

ID=5300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330A KR101806237B1 (ko) 2013-10-31 2014-10-28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86140B2 (ko)
EP (1) EP3065034B1 (ko)
JP (1) JP6273775B2 (ko)
KR (1) KR101806237B1 (ko)
CN (1) CN105637457B (ko)
RU (1) RU2016121167A (ko)
TW (1) TWI550475B (ko)
WO (1) WO201506409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7144B2 (ja) 2006-08-22 2011-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0600A (ja) 2000-04-06 2001-10-19 Casio Comput Co Ltd 座標入力システム
JP4759189B2 (ja) * 2001-09-19 2011-08-31 株式会社リコー 座標入力装置
JP2003263906A (ja) * 2002-03-07 2003-09-19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TWI337717B (en) * 2007-04-12 2011-02-21 Tpo Displays Corp An image display system with a optical touch panel
JP5445321B2 (ja) * 2010-05-13 2014-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式検出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451538B2 (ja) * 2010-06-15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CN102331884A (zh) * 2010-07-13 2012-01-25 华宝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可触控投影画面的投影系统
JP5466609B2 (ja) * 2010-09-24 2014-04-09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光学式位置検出装置及び再帰性反射板ユニット
TW201239706A (en) * 2011-03-17 2012-10-01 Sunplus Innovation Technology Inc Optical touch system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JP5796733B2 (ja) * 2011-03-23 2015-10-21 ソニー株式会社 光信号出力装置、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システム、撮像装置、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グラム
US8890848B2 (en) * 2011-06-02 2014-11-18 Uc-Logic Technology Corp. Optical touch device
JP2014170136A (ja) * 2013-03-04 2014-09-18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TWI533179B (zh) * 2013-10-25 2016-05-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光學觸控系統、觸控偵測方法及電腦程式產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7144B2 (ja) 2006-08-22 2011-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5034A1 (en) 2016-09-07
CN105637457A (zh) 2016-06-01
CN105637457B (zh) 2018-08-28
US9886140B2 (en) 2018-02-06
TWI550475B (zh) 2016-09-21
JP2015088013A (ja) 2015-05-07
US20160246448A1 (en) 2016-08-25
EP3065034A4 (en) 2017-06-07
TW201523397A (zh) 2015-06-16
EP3065034B1 (en) 2019-12-25
JP6273775B2 (ja) 2018-02-07
KR101806237B1 (ko) 2017-12-07
RU2016121167A (ru) 2017-12-05
WO2015064091A9 (ja) 2016-04-28
WO2015064091A1 (ja)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600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IDAR Optics Alignment
KR20080098374A (ko)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조명 및 개체 검출 방법과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스템
JP5174285B1 (ja) 情報取得装置及び情報取得装置を搭載する物体検出装置
US7514668B2 (en) Optical navigation device that utilizes a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VCSEL) configured to emit visible coherent light
KR102063105B1 (ko) 이동 단말기
US9170684B2 (en) Optical navigation device
US20150035804A1 (en) Optical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system with input function
KR101806237B1 (ko)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
US9300928B2 (en) Light out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output apparatus
US9367175B2 (en) Camera module for optical touchscreen
US20060109248A1 (en) Pseudo trackball optical pointing apparatus
CN110858049B (zh) 光射出装置和图像显示系统
US20110181506A1 (en) Optical pointing device
EP2643744A1 (en) Optics for pencil optical input computer peripheral controller
KR20140083665A (ko) 휴대용 단안 홍채 이미지 캡쳐 장치
JP2014187644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