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191A -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 Google Patents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191A
KR20160078191A KR1020140189124A KR20140189124A KR20160078191A KR 20160078191 A KR20160078191 A KR 20160078191A KR 1020140189124 A KR1020140189124 A KR 1020140189124A KR 20140189124 A KR20140189124 A KR 20140189124A KR 20160078191 A KR20160078191 A KR 20160078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supporting
center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수
Original Assignee
정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수 filed Critical 정지수
Priority to KR102014018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8191A/ko
Publication of KR20160078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A47B65/15Partitions, e.g. divid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쪽에서 책을 지지하는 제1,2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고 책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바닥부,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되고 제1바닥부에 대해 좌우로 이동되는 제2바닥부, 그리고 상기 제1바닥부의 끝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왼쪽지지부와 오른쪽지지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LENGTH CONTROLLABLE BOOKSHELF}
본 발명은 책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책의 부피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하고, 책꽂이 변형 시에는 자석을 이용해 더 튼튼하게 고정하는 폭 조절이 책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일정한 장소에 비치하거나 정리하기 위해 책꽂이를 이용한다. 이러한 책꽂이는 여러 단으로 이루어져 각각 단에는 칸막이가 형성되어있거나, 책상 등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책꽂이는 변형이 불가능하여 책이 적을 경우에는 공간이 많이 남아 책이 자주 쓰러지고 책이 많은 경우에는 넣을 공간이 부족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쉽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폭조절이 용이한 책꽂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쪽에서 책을 지지하는 제1,2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고 책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바닥부,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되고 제1바닥부에 대해 좌우로 이동되는 제2바닥부, 그리고 상기 제1바닥부의 끝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왼쪽지지부와 오른쪽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왼쪽지지부와 오른쪽지지부는 제1바닥부 또는 제2바닥부와 밀착되도록 아래로 회전되어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 폭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는 하단부분 중앙에 고정자석1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하단부분 중앙에 고정자석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닥부와 제2바닥부는 제1바닥부와 제2바닥부를 구성하며, 가로로 놓여 전후방으로 서로 하나씩 번갈아가며 위치하는 복수의 바닥부재, 제1바닥부의 끝에서 바닥부들의 높이를 맞춰 주는 바닥부 받침1, 제2바닥부의 끝에서 바닥부들의 높이를 맞춰 주는 바닥부 받침2, 제1바닥부에 결합되고 바닥부 받침2가 삽입되는 고정부재, 책꽂이를 최대한 축소시켰을 시에 바닥부 받침2를 고정시키는 연결홈, 그리고 고정부재(250)와 맞물려 폭 조절 정도를 제한하는 바닥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왼쪽지지부와 오른쪽지지부는 지지부 상단부분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자석, 지지부 정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자석, 제1바닥부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 그리고 지지부에 부착되어 있고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연결되는 일자봉을 포함한다.
상기 왼쪽지지부와 오른쪽지지부는 지지자석이 서로 붙어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중앙자석 또한 서로 붙어 지지부를 고정시켜 지지부가 세로로 서있을 때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지지부재와 일자봉을 통해 제1바닥부 또는 제2바닥부와 밀착되도록 아래로 회전되어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 폭을 고정시키며, 제1바닥부 또는 제2바닥부와 밀착되었을 때, 지지자석은 각각 고정자석과 붙어 지지부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책의 부피에 따라 책꽂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변형 시에도 튼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책꽂이를 펼쳤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상태에서 왼쪽지지부와 오른쪽지지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책꽂이를 접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책꽂이를 밑에서 봤을 때의 바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책꽂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책꽂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책꽂이를 펼쳤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양쪽에서 책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110)가 배치된다. 제1, 2고정부(100,110)는 사각판 형태로 양쪽에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1고정부(100)와 연결되고 책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바닥부(200)와 상기 제2고정부(110)와 연결되고 제1바닥부(200)에 대해 좌우로 이동되는 제2바닥부(21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닥부(200)의 끝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왼쪽지지부(300)와 오른쪽지지부(310)로 구성된다.
상기 왼쪽지지부(300)와 오른쪽지지부(310)는 제1바닥부(200) 또는 제2바닥부(210)와 밀착되도록 아래로 회전되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110) 사이 폭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100)는 하단부분 중앙에 고정자석1(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110) 하단부분 중앙에 고정자석2(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닥부(200)와 제2바닥부(210)는 제1바닥부(200)와 제2바닥부(210)를 구성하며, 가로로 놓여 전후방으로 서로 하나씩 번갈아가며 위치하는 복수의 바닥부재(200,201,202,210,211), 제1바닥부(200)의 끝에서 바닥부들의 높이를 맞춰 주는 바닥부 받침1(220), 제2바닥부(210)의 끝에서 바닥부들의 높이를 맞춰 주는 바닥부 받침2(240), 제1바닥부(200)에 결합되고 바닥부 받침2(240)가 삽입되는 고정부재(250), 책꽂이를 최대한 축소시켰을 시에 바닥부 받침2(240)를 고정시키는 연결홈(251), 그리고 고정부재(250)와 맞물려 폭 조절 정도를 제한하는 바닥 돌기(230)를 포함한다.
상기 왼쪽지지부(300)와 오른쪽지지부(310)는 지지부 상단부분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자석(320,321), 지지부 정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자석(330,331), 제1바닥부(200)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340), 그리고 지지부에 부착되어 있고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연결되는 일자봉(350)을 포함한다.
상기 왼쪽지지부(300)와 오른쪽지지부(310)는 지지자석(320,321)이 서로 붙어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중앙자석(330,331) 또한 서로 붙어 지지부를 고정시켜 지지부가 세로로 서있을 때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지지부재(340)와 일자봉(350)을 통해 제1바닥부(200) 또는 제2바닥부(210)와 밀착되도록 아래로 회전되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110) 사이 폭을 고정시키며, 제1바닥부(200) 또는 제2바닥부(210)와 밀착되었을 때, 지지자석(320,321)은 각각 고정자석(330,331)과 붙어 지지부를 고정시킨다.
100...제1고정부 110...제2고정부
120...고정자석1 121...고정자석2
200...제1바닥부 210...제2바닥부
200,201,202,210,211...바닥부재 220...바닥부 받침1
240...바닥부 받침2 250...고정부재
251...연결홈 230...바닥 돌기
300...왼쪽지지부 310...오른쪽지지부
320,321...지지자석 330,331...중앙자석
340...지지부재 350...일자봉

Claims (5)

  1. 양쪽에서 책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110);
    상기 제1고정부(100)와 연결되고 책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바닥부(200);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되고, 제1바닥부에 대해 좌우로 이동되는 제2바닥부(210);
    상기 제1바닥부의 끝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왼쪽지지부(300)와 오른쪽지지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지지부(300)와 오른쪽지지부(310)는,
    제1바닥부(200) 또는 제2바닥부(210)와 밀착되도록 아래로 회전되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110) 사이 폭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00)는,
    하단부분 중앙에 고정자석1(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110)는,
    하단부분 중앙에 고정자석2(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부(200)와 제2바닥부(210)는,
    제1바닥부(200)와 제2바닥부(210)를 구성하며, 가로로 놓여 전후방으로 서로 하나씩 번갈아가며 위치하는 복수의 바닥부재(200,201,202,210,211); 제1바닥부(200)의 끝에서 바닥부들의 높이를 맞춰 주는 바닥부 받침1(220); 제2바닥부(210)의 끝에서 바닥부들의 높이를 맞춰 주는 바닥부 받침2(240); 제1바닥부(200)에 결합되고, 바닥부 받침2(240)가 삽입되는 고정부재(250); 책꽂이를 최대한 축소시켰을 시에 바닥부 받침2(240)를 고정시키는 연결홈(251); 및 고정부재(250)와 맞물려 폭 조절 정도를 제한하는 바닥 돌기(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지지부(300)와 오른쪽지지부(310)는,
    지지부 상단부분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자석(320,321); 지지부 정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자석(330,331); 제1바닥부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340); 지지부에 부착되어 있고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연결되는 일자봉(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5. 제 1,2,4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지지부(300)와 오른쪽지지부(310)는,
    지지자석이 서로 붙어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중앙자석 또한 서로 붙어 지지부를 고정시켜 지지부가 세로로 서있을 때 움직이지 않도록 함;
    지지부재와 일자봉을 통해 제1바닥부(200) 또는 제2바닥부(210)와 밀착되도록 아래로 회전되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110) 사이 폭을 고정시킴;
    제1바닥부(200) 또는 제2바닥부(210)와 밀착되었을 때, 지지자석은 각각 고정자석과 붙어 지지부를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KR1020140189124A 2014-12-24 2014-12-24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KR20160078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124A KR20160078191A (ko) 2014-12-24 2014-12-24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124A KR20160078191A (ko) 2014-12-24 2014-12-24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191A true KR20160078191A (ko) 2016-07-04

Family

ID=5650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9124A KR20160078191A (ko) 2014-12-24 2014-12-24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8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4463A (zh) * 2019-04-10 2019-06-11 东北林业大学 可伸缩式书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4463A (zh) * 2019-04-10 2019-06-11 东北林业大学 可伸缩式书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953B1 (ko) 조립식 선반
KR10169770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장
KR20160078191A (ko) 폭 조절이 용이한 책꽂이
JP5930461B2 (ja) 仕切板取付装置
JP2019155012A (ja) 天板昇降式什器
JP2010022621A (ja) 上棚付きデスク装置
KR20100118711A (ko) 연장 조립이 용이한 양면형 책 진열대
KR101585832B1 (ko) 책상 연결장치
KR10155533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꽂이
KR101131177B1 (ko) 서가용 선반의 지지구조
JP2018068974A (ja) 天板付き什器
KR200419238Y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책꽂이
JP3231001U (ja) パンフレット枠
KR20190083761A (ko) 높은 책도 꽂을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절 가능한 책꽂이
KR200476195Y1 (ko) 모듈형 상품 진열대
KR200481400Y1 (ko) 책꽂이 조립체
EP2873353A3 (en) Foldable rack, especially for exhibition purposes
KR20040038942A (ko) 레일 및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책선반(서가)
JP2017225797A (ja) 本立て
KR101120041B1 (ko) 선반조립이 용이한 서가
JP7154552B1 (ja) 本棚
JP3224582U (ja) 多段折りたたみ式本棚
KR101562797B1 (ko) 조립식 가구 세트
JP2005342377A (ja) 書棚付き机
KR200479281Y1 (ko) 휴대용 조립식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