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170A -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170A
KR20160078170A KR1020140189049A KR20140189049A KR20160078170A KR 20160078170 A KR20160078170 A KR 20160078170A KR 1020140189049 A KR1020140189049 A KR 1020140189049A KR 20140189049 A KR20140189049 A KR 20140189049A KR 20160078170 A KR20160078170 A KR 20160078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plate
heating
plate
cfrp
composi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733B1 (ko
Inventor
송문종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189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7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impregnat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은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를 상호 겹친 상태로 지그 상의 전자 마그네틱 상에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상부로 하여 로딩하는 로딩단계; 상기 지그의 상부에 구성되는 작동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히팅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CFRP 복합판재에 대해 알루미늄 판재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히팅금형의 둘레에 일체로 구성된 금속 가이더를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지그 상의 전자 마그네틱을 작동하여 자력으로 상기 금속 가이더를 끌어당겨 상기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를 상호 압착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의 상태에서, 히팅금형을 열원으로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가열하면서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를 비점까지 가열하여 용융수지 내에 발생되는 고압버블이 접합 경계면에서 터지면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을 거칠게 하여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상기 접합부 표면에 침투 및 고화시켜 접합하는 가열접합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WELDING METHOD FOR ALUMINIUM SHEET AND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SHEE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본딩이나 체결부품 없이 강판과 CFRP 복합판재를 히팅금형에 의한 접촉 가열을 열원으로 하여 접합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분야에서 두 금속판재를 상호 겹치기 접합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레이저 용접이나, 스폿 용접기를 이용한 전기저항 용접이 주로 적용된다.
도 1에서는 일반적인 레이저 용접 시스템에 의해 레이저 용접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저빔(LB)을 이용하여 강판 소재를 용접하기 위한 일반적인 레이저 용접 시스템은 로봇(1)의 아암(3) 선단에 레이저 헤드(5)가 설치되고, 이 레이저 헤드(5)는 레이저 발진기(7)와 연결된다.
상기 로봇(1)은 로봇 제어기(C)에 의해 거동 제어되어 상기 레이저 헤드(5)를 소재(9)의 용접패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레이저빔(LB)이 조사되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체의 고강도 경량화의 추세에 따라 차체 소재로 금속판재 또는 비철금속판재뿐만 아니라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이하, CFRP라 칭함)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적용하는 사례가 빈번해 졌다.
탄소섬유를 이용한 CFRP는 강도, 탄성률, 경량성,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높은 성능이 요구되는 항공이나 자동차 분야에서는 주요한 재료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으며, 경제적인 조건만 해결되면 향후 사용이 더욱 확대되고, CFRP의 제조량이 비약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의 CFRP는 탄소섬유를 주로 에폭시나 플라스틱 등의 수지의 심으로 제조하여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즉, CFRP는 탄소섬유를 와인딩 모양이나 직물 모양으로 제조한 후, 수지류에 함침하여 경화시킨 것으로서, 고강도, 고탄성의 경량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첨단 복합 재료이며, 비금속재이다.
이러한 CFRP에서 수지류는 경도가 우수한 반면, 인장강도가 약해 쉽게 끊어지고, 탄소섬유는 인장강도가 높지만 굽힘 반발력이 없기 때문에 이 둘을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탄소섬유는 같은 부피의 스틸에 비해 1/4의 무게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인장강도는 10배나 강하여 강성 확보에 유리하며, 성형성 역시 좋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CFRP를 차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대체하기 어려운 부분에 적용되는 강판 또는 알루미늄 판재 등과의 접합이 가능해야 하는데, 두 소재의 물성적 특성에 의해 종래와 같이 레이저 용접이나 스폿 용접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주로 본딩이나 체결부품을 이용한 기계적 접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종래의 접합방법에 따른 본딩이나 기계적 접합을 위해서는 설계치수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단계에서부터 치수가 고려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레이아웃 상의 자유도가 낮은 단점이 있어 새로운 접합방법의 연구개발이 시급한 문제이다.
상기와 같은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별도의 본딩이나 체결부품 없이 알루미늄 판재와 CFRP 복합판재를 겹쳐서 전자 마그네틱의 자력을 이용하여 상호 압착한 상태로, 히팅금형에 의한 접촉 가열을 통해 알루미늄 판재와 CFRP 복합판재의 비점(boiling point) 차이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있어서,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를 상호 겹친 상태로 지그 상의 전자 마그네틱 상에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상부로 하여 로딩하는 로딩단계; 상기 지그의 상부에 구성되는 작동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히팅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CFRP 복합판재에 대해 알루미늄 판재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히팅금형의 둘레에 일체로 구성된 금속 가이더를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지그 상의 전자 마그네틱을 작동하여 자력으로 상기 금속 가이더를 끌어당겨 상기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를 상호 압착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의 상태에서, 히팅금형을 열원으로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가열하면서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를 비점까지 가열하여 용융수지 내에 발생되는 고압버블이 접합 경계면에서 터지면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을 거칠게 하여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상기 접합부 표면에 침투 및 고화시켜 접합하는 가열접합단계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접합단계는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면에 대하여 히팅금형이 접촉 가열하여 알루미늄 판재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이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에 부분 용입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이 비점에 도달하면,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의 용융수지 내부에 발생되는 고압버블이 급격하게 팽창하여 접합 경계면에서 터지면서 상기 부분 용입 상태인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을 거칠게 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거칠어진 표면에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침투되는 단계; 상기 열원을 제거하고, 자연냉각을 통해 상기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가 냉각되도록 하여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거칠어진 표면에 침투된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고화되도록 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접합단계에서, 상기 열원에 의한 입열량은 2kJ/min ~ 2.4kJ/min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접합단계에서, 상기 히팅금형은 전후진 구동하는 작동 실린더를 전진 구동하여 상기 히팅금형을 상기 알루미늄 판재에 접촉하여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FRP 복합판재의 비점은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FRP 복합판재의 비점은 240℃ ~ 260℃ 온도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CFRP 복합판재에 대해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겹쳐서 전자 마그네틱의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알루미늄 판재와 CFRP 복합판재를 상호 압착한 상태로,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히팅금형에 의해 접촉 가열하여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를 비점까지 가열함으로써,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압버블이 터지면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을 거칠게 하고, 거칠어진 접합부 표면에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침투 및 고화되도록 하여 접합하는 것으로, 본딩이나 접착제 테이핑 또는 기계적 접합에 비하여 자동화 라인의 구현이 쉽고, 체결부품 등, 접합 부재료를 배제할 수 있어 설계치수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딩 접합은 접착제 정적온도를 유지 관리해야 하는 반면, 주변 온도에 따른 접합강도의 편차가 없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용접 시스템에 의해 레이저 용접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따른 가열접합단계의 세부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따라 접합된 시편의 접합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따른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따른 가열접합단계의 세부 공정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은 알루미늄 판재(13)와 CFRP 복합판재(11)를 겹친 상태로 자력에 의해 상호 압착하여 히팅금형(30)에 의한 접촉 가열을 열원으로 알루미늄 판재(13)와 CFRP 복합판재(11)의 비점(boiling point) 차이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것으로, 크게 로딩단계(S1), 압착단계(S2), 가열접합단계(S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은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비점이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융점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설정되는 조건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통상의 알루미늄 판재(13)의 융점이 약 660℃ 라면,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비점은 240℃ ~ 260℃ 온도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먼저, 상기 로딩단계(S1)는 CFRP 복합판재(11)와 알루미늄 판재(13)를 상호 겹친 상태로 지그(17) 상의 전자 마그네틱(19) 상면에 상기 알루미늄 판재(13)를 상부로 하여 로딩한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 판재(13)는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상기 CFRP 복합판재(11)와 함께 상기 지그(17) 상의 전자 마그네틱(19)의 상면에 로딩되고, 상기 CFRP 복합판재(11)와 알루미늄 판재(13)는 상호 접합부에 아무런 선처리 없이 상호 겹쳐진다.
이어서, 금속판재(13)와 CFRP 복합판재(11)는 상기 지그(17) 상의 전자 마그네틱(19)에 의해 상기 압착단계(S3)를 진행한다.
즉, 상기 압착단계(S3)는 상기 지그(17)의 상부에 구성되는 작동 실린더(40)의 작동로드 선단에 장착되는 상기 히팅금형(30)을 먼저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히팅금형(30)은 둘레에 금속 가이더(21)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히팅금형(30)의 하강으로 상기 CFRP 복합판재(11)에 대해 알루미늄 판재(13)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히팅금형(30)의 둘레에 일체로 구성된 상기 금속 가이더(21)를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지그(17) 상의 전자 마그네틱(19)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제어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전자 마그네틱(19)이 자화하여 발생되는 강한 자력으로 상기 금속 가이더(21)를 더욱 강하게 끌어당겨 상기 CFRP 복합판재(11)와 알루미늄 판재(13)를 상호 압착시킨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접합단계(S3)는 상기 전자 마그네틱(19)의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상기 금속 가이더(21)가 상기 CFRP 복합판재(11)와 알루미늄 판재(13)를 상호 일정압으로 압착한 상태에서, 히팅금형(30)에 의한 접촉 가열을 열원으로 하여 상기 알루미늄 판재(13)를 가열하고, 가열된 알루미늄 판재(13)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11)를 비점까지 가열되면, 이때 CFRP 복합판재(11)의 용융수지(R)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압버블(B)이 접합 경계면에서 터지면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접합부 표면(F)을 거칠게 하여 이 거칠어진 접합부 표면(F)에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용융수지(R)가 침투되어 고화됨으로써,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가열접합단계(S3)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가열접합단계(S3)는 가열단계(S31), 표면처리단계(S32), 수지침투단계(S33), 및 냉각단계(S34)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가열단계(S31)는 상기 지그(17) 상에서 전자 마그네틱(19)의 자력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11)와 알루미늄 판재(13)가 상호 압착된 상태로,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상면에 대하여 히팅금형(30)이 접촉된 상태로 접촉 가열을 진행하며, 가열되는 알루미늄 판재(13)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접합부 일정영역(Z)을 가열하고,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접합부 표면(F)은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접합부 일정영역(Z)에 부분 용입(PP; Partial Penetration)된다.
이때, 열원인 히팅금형(30)의 접촉 가열에 의해 알루미늄 판재(13)와 CFRP 복합판재(11)에 입열되는 입열량은 2kJ/min ~ 2.4kJ/min 범위내에서 설정되고, 상기 히팅금형(30)는 작동 실린더(40)의 작동로드 선단에 장착되며, 내부에 히팅코일(31)이 구성되어 상기 작동 실린더(40)의 전진 구동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에 접촉된 상태로 제어기(C)의 제어신호에 따라 알루미늄 판재(13)를 접촉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히팅금형(30)는 출력제어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가열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처리단계(S32)는 상기와 같이, 가열단계(S31)에서, 알루미늄 판재(13)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접합부 일정영역(Z)이 비점(약 250℃)에 도달하면, 이 비점에서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접합부 일정영역(Z)의 용융수지(R) 내부에 고압버블(B)이 발생하여 급격하게 팽창하면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와 CFRP 복합판재(11)의 접합 경계면으로 이동하여 터지면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부분 용입(PP; Partial Penetration) 상태인 접합부 표면(F)에 데미지를 주어 접합부 표면(F)을 거칠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접합부 표면(F)이 거칠다함은 상기 고압버블(B)이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와 CFRP 복합판재(11)의 접합 경계면 근처에서 급격한 압력 상승에 따라 팽창하여 터지면서 입열량에 의해 연화되어 CFRP 복합판재(11)의 용융부에 부분적으로 용입된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접합부 표면(F)에 데미지를 입혀 불규칙적인 미세 홈(G)을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상기 수지침투단계(S33)는 상기와 같이 표면처리단계(S32)가 진행됨과 동시에,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거칠어진 접합부 표면(F)에 용융상태의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용융수지(R)가 침투된다.
즉, 상기 표면처리단계(S32)와 상기 수지침투단계(S33)는 열원인 히팅금형(30)에 의한 가열이 종료될 때까지는 고압버블(B)이 계속 터지면서 알루미늄 판재(13)의 접합부 표면(F)을 거칠게 하고, 상기 거칠어진 접합부 표면(F)에 용융상태의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용융수지(R)가 침투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어서, 상기 냉각단계(S34)가 진행되는데, 상기 냉각단계(S34)에서는 상기 열원인 히팅금형(30)를 통한 접촉 가열을 중지하고, 자연냉각을 통해 상기 CFRP 복합판재(11)와 알루미늄 판재(13)가 서서히 냉각되도록 하여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거칠어진 접합부 표면(F)에 침투된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용융수지(R)가 자연 고화되도록 하여 접합이 완료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따라 접합된 시편의 접합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된 시편의 단면을 확대하여 살펴보면, CFRP 복합판재(11)와 알루미늄 판재(13)의 절단면의 A, B, C 영역의 각 접합 경계부에서, 상기 고압버블(B)이 터지면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13)의 접합부 표면(F)에 형성된 불규칙적인 미세 홈(G) 내부로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용융수지(R)가 침투하여 고화된 앵커 효과(AE; anchor effect)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 효과(즉, 투묘 효과)에 의해 상기한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는 기계적 결합력을 가지며 접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은 히팅금형(30)에 의한 접촉 가열을 열원으로 알루미늄 판재(13)와 CFRP 복합판재(11)의 비점 차이를 이용하여 접합한 것과 같이, CFRP 복합판재(11)에 접합되는 소재로 알루미늄 판재(13)에 초점을 맞춘 접합방법이기는 하나, 스틸판재나, 마그네슘 합금강판 등도 상기 CFRP 복합판재(11)와의 비점 차이를 이용하여 접합에 응용할 수 있으며, 열원 제어를 통하여 동일한 접합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의하면, CFRP 복합판재(11)의 비점에서 CFRP 복합판재(11)의 용융수지(R)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압버블(B)이 터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판재(13)의 접합부 표면(F)을 거칠게 하고, 거칠어진 접합부 표면(F)에 상기 CFRP 복합판재(11)의 용융수지(R)가 침투 및 고화되도록 하여 앵커 효과(anchor effect)에 의해 접합하는 것으로, 기존의 본딩이나 접착제 테이핑 또는 기계적 접합에 비하여 자동화 라인의 구현이 쉽다.
또한, 소재가 되는 알루미늄 판재(13)와 CFRP 복합판재(11)에 대하여 별도의 선처리가 필요 없으며, 소재마다 상이한 열전도도와, 비점에서 발생되는 고압버블(B)의 불규칙한 유동궤적을 제어한다면, 건전한 접합영역(Z)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품 등, 접합 부재료를 배제할 수 있어 설계치수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딩 접합은 접착제 정적온도를 유지 관리해야 하는 반면, 주변 온도에 따른 접합강도의 편차가 없다.
또한, CFRP 복합판재(11)와 접합되는 판재를 알루미늄 판재(13)와 같은 비철금속판재 외에 스틸판재, 마그네슘 합금강판 등의 철금속판재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1: CFRP 복합판재
13: 알루미늄 판재
17: 지그
19: 전자 마그네틱
21: 금속블럭
30: 히팅금형
31: 히팅코일
40: 작동 실린더
C: 제어기
F: 접합부 표면
G: 미세홈
PP: 부분 용입
R: 용융수지
B: 고압버블
Z: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
AE: 앵커 효과

Claims (9)

  1.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있어서,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를 상호 겹친 상태로 지그 상의 전자 마그네틱 상에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상부로 하여 로딩하는 로딩단계;
    상기 지그의 상부에 구성되는 작동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히팅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CFRP 복합판재에 대해 알루미늄 판재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히팅금형의 둘레에 일체로 구성된 금속 가이더를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지그 상의 전자 마그네틱을 작동하여 자력으로 상기 금속 가이더를 끌어당겨 상기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를 상호 압착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의 상태에서, 히팅금형을 열원으로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가열하면서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를 비점까지 가열하여 용융수지 내에 발생되는 고압버블이 접합 경계면에서 터지면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을 거칠게 하여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상기 접합부 표면에 침투 및 고화시켜 접합하는 가열접합단계;
    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접합단계는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면에 대하여 히팅금형이 접촉 가열하여 알루미늄 판재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이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에 부분 용입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이 비점에 도달하면,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의 용융수지 내부에 발생되는 고압버블이 급격하게 팽창하여 접합 경계면에서 터지면서 상기 부분 용입 상태인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을 거칠게 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거칠어진 표면에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침투되는 단계;
    상기 열원을 제거하고, 자연냉각을 통해 상기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가 냉각되도록 하여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거칠어진 표면에 침투된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고화되도록 하여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접합단계에서, 상기 열원에 의한 입열량은 2kJ/min ~ 2.4kJ/min 범위내에서 설정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접합단계에서, 상기 히팅금형은 전후진 구동하는 작동 실린더를 전진 구동하여 상기 히팅금형을 상기 알루미늄 판재에 접촉하여 가열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FRP 복합판재의 비점은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설정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FRP 복합판재의 비점은
    240℃ ~ 260℃ 온도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7.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에 있어서,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를 상호 겹친 상태로 지그 상의 전자 마그네틱 상에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상부로 하여 로딩하는 로딩단계;
    상기 지그의 상부에 구성되는 작동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히팅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CFRP 복합판재에 대해 알루미늄 판재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히팅금형의 둘레에 일체로 구성된 금속 가이더를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지그 상의 전자 마그네틱을 작동하여 자력으로 상기 금속 가이더를 끌어당겨 상기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를 상호 압착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의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면에 대하여 히팅금형을 열원으로 2kJ/min ~ 2.4kJ/min 범위내에서 입열 가열하여 알루미늄 판재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이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에 부분 용입되도록 하는 가열단계;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이 비점에 도달하면, CFRP 복합판재의 접합부 일정영역의 용융수지 내부에 발생되는 고압버블이 급격하게 팽창하여 접합 경계면에서 터지면서 상기 부분 용입 상태인 알루미늄 판재의 접합부 표면을 거칠게 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거칠어진 표면에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침투되는 수지침투단계;
    상기 열원을 제거하고, 자연냉각을 통해 상기 CFRP 복합판재와 알루미늄 판재가 냉각되도록 하여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거칠어진 표면에 침투된 상기 CFRP 복합판재의 용융수지가 고화되도록 하여 접합하는 냉각단계;
    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접합단계에서, 상기 히팅금형은 전후진 구동하는 작동 실린더를 전진 구동하여 상기 알루미늄 판재에 접촉되어 가열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FRP 복합판재의 비점은
    240℃ ~ 260℃ 온도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1020140189049A 2014-12-24 2014-12-24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10229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049A KR102299733B1 (ko) 2014-12-24 2014-12-24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049A KR102299733B1 (ko) 2014-12-24 2014-12-24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170A true KR20160078170A (ko) 2016-07-04
KR102299733B1 KR102299733B1 (ko) 2021-09-09

Family

ID=5650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9049A KR102299733B1 (ko) 2014-12-24 2014-12-24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75B1 (ko) 2017-04-24 2018-06-11 주식회사 명진테크 소재 성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732A (ko) * 2005-09-01 2008-05-13 고꾸리쯔 다이가꾸 호우징 오사까 다이가꾸 금속-수지 접합 방법 및 금속-수지 복합체, 유리-수지 접합방법 및 유리-수지 복합체, 및 세라믹-수지 접합 방법 및세라믹-수지 복합체
KR20120050213A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강판의 접합방법
JP2013173248A (ja) * 2012-02-24 2013-09-05 Hitachi Ltd レーザ接合方法
KR20130105876A (ko) * 2010-12-27 2013-09-26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성형형, 성형 지그, 및 성형 방법
KR20130133195A (ko) * 2010-11-30 2013-12-06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접합 부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732A (ko) * 2005-09-01 2008-05-13 고꾸리쯔 다이가꾸 호우징 오사까 다이가꾸 금속-수지 접합 방법 및 금속-수지 복합체, 유리-수지 접합방법 및 유리-수지 복합체, 및 세라믹-수지 접합 방법 및세라믹-수지 복합체
KR20120050213A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강판의 접합방법
KR20130133195A (ko) * 2010-11-30 2013-12-06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접합 부재의 제조 방법
KR20130105876A (ko) * 2010-12-27 2013-09-26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성형형, 성형 지그, 및 성형 방법
JP2013173248A (ja) * 2012-02-24 2013-09-05 Hitachi Ltd レーザ接合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75B1 (ko) 2017-04-24 2018-06-11 주식회사 명진테크 소재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733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mbiase et al. Two-steps clinching of aluminum and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heets
JP6079791B2 (ja) 金属−樹脂接合体の製造方法
Ageorges et al. Resistance welding of metal/thermoplastic composite joints
US9925717B2 (en) Method for connecting a surface-structured workpiece and a plastic workpiece
US20170129163A1 (en) Device and process for welding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parts
JP6523617B2 (ja) 異種素材接合方法
JPWO2008133296A1 (ja) ステンレス鋼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JP4577960B2 (ja) 非磁性部材の接合方法
KR102299732B1 (ko)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Haberstroh et al. Thermal direct joining of hybrid plastic metal components
KR102300339B1 (ko) 금속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20160033528A (ko) 금속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CN106313526B (zh) 一种塑料金属一体化热压成型装置及方法
KR20160078170A (ko)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102299731B1 (ko) 금속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102300340B1 (ko) 금속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102300341B1 (ko)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20160082288A (ko) 판재 접합용 파스너
KR20160076940A (ko) 알루미늄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20180078041A (ko) 이종소재 접합방법
KR20170014258A (ko)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JP6045432B2 (ja) 繊維強化樹脂積層体の接合方法及び繊維強化樹脂成形体
JP2020040368A (ja) 塗装金属素形材と樹脂材との複合体の製造方法
Allaer et al. Infrared welding of carbon fabric reinforced thermoplastics
TWI754948B (zh) 纖維熱塑複材對金屬的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