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869A -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7869A KR20160077869A KR1020140188308A KR20140188308A KR20160077869A KR 20160077869 A KR20160077869 A KR 20160077869A KR 1020140188308 A KR1020140188308 A KR 1020140188308A KR 20140188308 A KR20140188308 A KR 20140188308A KR 20160077869 A KR20160077869 A KR 20160077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unit
- ship
- gas
- sin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9/23—Containers for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4—Arrangements of inflating valves or of contro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2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 시 부력을 발생하여 침몰을 방지하거나 침몰을 지연시키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운행간 발생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로 침몰하게 되는 선박의 침몰 방지 및 지연을 위해, 평상시에는 선박 내 단위공간의 일측에 보관되어 있다가, 위급상황 시 사용자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단위공간을 채워 고정되고, 내부에는 사람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상기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도록 가스나 기체를 공급해주는 가스주입부; 상기 가스주입부가 작동하도록 사용자가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작동부; 및 상기 스위치작동부의 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주입부가 작동하여 상기 에어백에 가스나 기체를 주입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에어백에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에어백 전개 후에도 사람의 이동이 용이하며, 상기 이동통로에 요철부와 지지부가 부설되어 선박의 기울임에도 사람들은 상하좌우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스 주입 및 외부의 공기주입으로 에어백을 신속하게 전개시킨 후 유지 시킴으로써, 선박의 침몰을 지연시킬 수 있고, 별도의 에어백 고정 장치 없이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선박의 부력 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 시 부력을 발생하여 침몰을 방지하거나 침몰을 지연시키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운행간 발생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로 침몰하게 되는 선박의 침몰 방지 및 지연을 위해 상기 선박 내부에 에어백을 신속하게 전개하는 한편 상기 에어백의 지속적인 부력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람들의 이동에 용이하도록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통로 내부에 요철부와 지지부가 부설된 상기 에어백의 구조를 제공하는 한편 별도의 에어백 고정 장치 없이 상기 에어백을 고정할 수 있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투함은 전시 또는 작전 시 적군의 함포, 어뢰, 기뢰, 폭뢰 등 무장에 의해 선체 또는 갑판부의 손상을 입을 확률이 매우 높다. 또한, 선체의 손상 발생시, 평소 승조원의 비상 탈출훈련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침수로 인해 짧은 시간 내 군함의 침몰이 수반됨으로써 많은 인명 손실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 다른 사례로, 여객화물겸용 운반선과 여객선과 같은 선종의 경우에는 다른 선종에 비해 많은 수의 사람들이 탑승하기 때문에 손상 복원성의 계산 기준 및 탈출시간의 분석 등 생존성 향상을 위해 관련 규정의 적용 수위를 점차 높여가고 있는 추세지만, 여전히 충돌 및 좌초로 인한 침몰 참사는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군함과 여객선 등의 사고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선박은 순간적으로 강한 외부 충격에 의해 선체에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되고, 그로 인한 급격한 침수로 인해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많은 인명사고가 수반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선박의 침몰에 따른 막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침몰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침몰 방재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2867호에서는 선체의 양측벽 내측 면에 부력재를 부착하되, 상기 부력재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공기 또는 헬륨 등의 기체가 충전되는 튜브나 스티로폼 등의 부력을 가지는 발포물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재의 외측면을 감싸 이 부력재를 선체에 고정시키는 마감재가 갖추어진 것으로 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켜 선체를 보할 수 있으며, 선체의 바닥 일부가 파손 또는 전복 등의 해난 사고시 침몰을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는 부력을 가지는 양측벽을 잡고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침몰방지용 선박에 관한 내용이다.
하지만,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2867호는 선박의 건조시 별도의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별도의 부력재를 추가하므로 기존의 선박에 설치하기 곤란하고, 선박이 침몰하는 위급한 상황에서는 승객은 선박의 별도의 부력재가 추가된 양측벽을 잡고 있어야 하지만, 이럴 경우 승객의 신체는 이미 바다에 몸이 일부 잠겨있을 것이고 이로 인해 저체온증이나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4753호에서는 선체의 손상에 따른 침수로부터 기인하는 침몰 상황의 발생 시 추가의 부력을 생성을 통한 침몰 시간을 지연시킴으로 승조원 및 사람의 탈출 시간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인명 피해의 발생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4753호는 선체 내부에서 전개되어 부력을 발생하는 에어백의 경우 벽면의 장치로부터 전개되어 공간을 모두 채우는 형태로서, 공간에 인명이 있는 경우 팽창된 에어백에 의해 질식할 우려가 있고, 통로가 없어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만약 일부 영역만 전개되도록 만들어진 에어백의 경우는 큰 부력에 의해 이동되어 통로가 막힐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을 전개하여 부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형성된 에어백을 가진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의 중간 중간에 요철부나 지지부가 부설되어 선박이 기울어져 있더라도 에어백을 통해 상하좌우 이동이 용이한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백을 가스와 함께 외부 공기를 주입하여 신속하게 전개시킨 후 유지하도록 하여 선박이 침몰하는 것을 지연할 수 있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지막 목적은 에어백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도 에어백을 단단히 고정하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선박 내 단위공간의 일측에 보관되어 있다가, 위급상황 시 사용자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단위공간을 채워 고정되고, 내부에는 사람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상기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도록 가스나 기체를 공급해주는 가스주입부; 상기 가스주입부가 작동하도록 사용자가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작동부; 및 상기 스위치작동부의 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주입부가 작동하여 상기 에어백에 가스나 기체를 주입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스주입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에어백에 주입하여 신속히 전개함과 아울러 부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외부공기주입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공기주입장치는, 상기 선박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해상에 부유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공기흡입부; 상기 외부공기흡입부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상기 선박 내부로 전달하는 외부공기전달부; 및 상기 외부공기전달부를 통해 전달받은 공기를 상기 에어백에 주입할 수 있도록 펌프가 구비된 외부공기주입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의 표면에는 사람들이 잡거나 밟고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더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요철부는 돌기나 고리 형태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의 중간에는 사람들이 잡거나 밟고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가 더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또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보관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는 에어백에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에어백 전개 후에도 사람의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에어백의 중간 중간에 요철부와 지지부가 부설되어 선박의 기울임에도 사람은 상하좌우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가스 주입 및 외부의 공기주입으로 에어백을 신속하게 전개시킨 후 유지함으로써, 선박의 침몰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별도의 에어백 고정 장치 없이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몰방지용 선박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에어백 모듈이 선체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부력 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에어백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외부공기주입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내부의 이동통로에 대한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로내 요철부의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전개시 이동통로 및 지지부의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실 및 복도에서 전개된 에어백 모습이다.
도 2는 종래의 에어백 모듈이 선체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부력 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에어백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외부공기주입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내부의 이동통로에 대한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로내 요철부의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전개시 이동통로 및 지지부의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실 및 복도에서 전개된 에어백 모습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부력 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에어백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외부공기주입장치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내부의 이동통로에 대한 모습,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로내 요철부의 모습,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전개시 이동통로 및 지지부의 모습,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실 및 복도에서 전개된 에어백 모습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부력 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는, 평상시에는 선박 내 단위공간의 일측에 보관되어 있다가, 위급상황 시 사용자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단위공간을 채워 고정되고, 내부에는 사람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로(210)가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200), 상기 에어백(200)이 전개될 수 있도록 가스나 기체를 공급해주는 가스주입부(600), 상기 가스주입부(600)가 작동하도록 사용자가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작동부(400) 및 상기 스위치작동부(400)의 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주입부(600)가 작동하여 상기 에어백(200)에 가스나 기체를 주입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200)의 경우에는 평상시에는 단위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각각의 선실(110), 복도(120), 화물칸 등등의 일측면에 보관되어 있다가 위급한 상황에 사용자(선장, 승무원 및 승객)의 작동신호에 따라서 전개되며, 상기 에어백(200)의 전개시 단위공간 내부 전체를 채워 별다른 고정 장치 없이도 단위공간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별다른 고정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부력에 의해 에어백이 움직여 복도(120)나 선실(110)의 통로 등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막아 탈출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200)은 단위공간 내부 전체를 채우지만, 내부에는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동통로(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팽창된 에어백에 의해 질식을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나 통로가 없어 다른 공간으로 이동을 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200)을 전개하는 방식을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작동부(400)를 통해 작동 신호를 보내 작동되도록 하였지만, 선박(100) 내, 외부에 감지기를 부착하고 갑자기 변화된 상황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작동부(400)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상기 에어백(200)이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에어백(200)을 전개하기 위해 상기 가스주입부(6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백(200)을 전개하는 방법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다.
다음에는 에어백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설명하도록 하겠다. 에어백을 순간적으로 부풀리는데 사용하는 물질은 나트륨과 질소로 이루어진 아지드화나트륨(NaN3, sodium azide)이라는 물질이다. 이 물질은 350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도 불이 붙지 않으며, 충돌이 일어날 때 폭발하지 않는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차량이나 선박 내에 저장해두기에 매우 안전한 물질이다. 이러한 물질에 산화철이라는 화합물을 섞어 놓으면, 격렬히 반응하며 질소를 생성하는데 이를 이용한 것이 바로 에어백이다.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은 구조는 다음과 같다. 에어백이 장착된 운전대에는 접혀져 있는 에어백과 아지드화나트륨 캡슐, 약간의 산화철(Fe2O3), 그리고 기폭장치가 들어있다. 충돌 시에 스위치가 작동하여 전류가 기체발생장치 내의 점화기를 작동시키면 순간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하여 불꽃이 생긴다. 이때 아지드화나트륨 캡슐을 터트려 산화철과 반응하게 만들고 아지드화나트륨을 나트륨과 질소로 분해된다. 이때 나오는 질소 가스가 에어백을 채워 부풀어지게 한다. 아지드화나트륨에서는 질소가 질량 퍼센트로 65% 들어 있는데, 충돌 시에 생성된 불꽃에 의해 0.04초 이내에 화합물들이 분해되면서 많은 양의 질소 기체가 발생한다. 이때 생기는 나트륨은 산화철과 섞이면서 산화나트륨을 만드는데, 이것은 금속 나트륨보다 훨씬 안전하다. 발생한 질소는 압력이 낮은 에어백 속으로 들어가 이를 부풀리고 시간이 지나면 작은 구멍을 통해서 점점 빠져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동차 탑승자는 충격을 적게 받게 되고, 에어백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자동차의 에어백과 동일한 시스템으로 상기 에어백(200)을 전개하지만,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의 경우 에어백을 부풀리고 시간이 지나면 작은 구멍을 통해서 점점 빠져나가서 에어백이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하지만, 이렇게 될 경우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선박(100)에 적용할 경우 상기 에어백(200)를 전개시킨 가스나 기체가 빠짐으로써 부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상기 선박(100)이 침몰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주입부(600)와 병렬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에어백(200)에 주입하여 신속히 전개함과 아울러 부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외부공기주입장치(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공기주입장치(300)는, 상기 선박(10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해상에 부유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공기흡입부(310)와 상기 외부공기흡입부(310)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상기 선박(100) 내부로 전달하는 외부공기전달부(320) 및 상기 외부공기전달부(320)를 통해 전달받은 공기를 상기 에어백(200)에 주입할 수 있도록 펌프가 자체적으로 구비된 외부공기주입부(330)로 구성된다.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가스주입부(600)와 외부공기주입장치(300)가 동시에 작동을 하더라도 상기 가스주입부(600)는 굉장히 짧은 시간에 상기 에어백(200) 내부를 채울 수 있으나, 상기 외부공기주입장치(300)의 경우에는 상기 선박(10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해상에 부유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 전달 및 공급을 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는 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초 상기 에어백(200)을 전개시키는 것은 상기 가스주입부(600)의 역할이며, 상기 외부공기주입장치(300)는 전개된 상기 에어백(200)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선박(100)이 기울어지거나 침몰하는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도록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상기 외부공기흡입부(310)는 해상에 부유하기 위해서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거나 플로트(float)가 부설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상기 에어백(200)을 전개하는 방법 및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상기 에어백(200)의 내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에어백(200)은 평소에는 단위공간의 일측에 보관되어 있고, 사용자의 작동신호에 따라 단위공간을 채우며 고정되고, 내부에는 사람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로(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로(210)의 형태는 원형이나 다각형이나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람들이 상기 이동통로(210)의 표면에는 사람들이 잡거나 밟고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부(230)가 더 부설된다.
상기 이동통로(210)를 따라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으나, 상기 에어백(200)이 전개되었을 때에는 일반적인 상황일 경우보다는 상기 선박(100)이 기울어져 있거나 침몰하고 있는 위급한 상황일 경우이다. 이렇게 상기 선박(100)이 기울어져 있을 때, 상기 이동통로(210)를 통해 사람들이 이동하면 상기 이동통로(210)가 경사져 있을 것이다.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서는 사람들이 걸어서 이동할 수도 있겠지만, 많이 기울어져 있을 경우에는 사람들이 기어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통로(210)의 표면에 상기 요철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면 사람들이 상기 요철부(230)를 잡거나 밟고 경사진 상기 이동통로(210)를 좀 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요철부(230)의 형태는 어떤 특정 형태보다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 이유로 특정한 형태, 특정한 방향으로만 부설될 경우, 상기 선박(100)이 어떤 방향으로 기울지 예측할 수가 없기에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어떤 방향으로 기울더라도 사람들이 잡거나 밟고 디딜 수 있는 돌기나 고리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겠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210)를 가로질러 사람들이 잡거나 밟고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220)가 더 부설된다.
상기 요철부(230) 이외에도 상기 지지부(220)가 부설되어 있어 사람들의 이동을 좀 더 용이하며, 사람들이 상기 요철부(230)를 이용하여 기울어진 상기 선박(100) 내부를 이동하다가 보면 어린아이나 노약자 및 여성들의 경우 체력적으로 많이 힘들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로(210)의 중간에 가로질러 부설되는 상기 지지부(220)에 걸터앉거나 기대어 잠시 휴식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220) 역시 어떤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기보다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이동통로(210)를 통해 이동하는데 있어서 불편이 없어야 할 것이며, 사람들이 잡거나 밟고 디딜 때에도 불편함이 없어야 할 것이고, 중간에 걸터앉거나 기대어 휴식을 취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또는-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200)은 평상시에는 단위공간의 일측에 보관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에어백(200)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을 경우, 상기 에어백(200)의 외면이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된 상기 에어백(200)은 위급한 상황에서 손상된 부분으로 바람이 세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보관 케이스(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백(200)이 보관되던 단위공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에어백(200)을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관 케이스(240)는 상기 에어백(200)이 터지는 쪽의 면이 도어 형태로 열릴 수 있도록 경첩 등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혹여나 상기 보관 케이스(240)가 열리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에어백(200)을 상기 보관 케이스(24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단도(모터 등)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선박
110 - 선실
120 - 복도
200 - 에어백
210 - 이동통로
220 - 지지부
230 - 요철부
240 - 보관 케이스
300 - 외부공기주입장치
310 - 외부공기흡입부
320 - 외부공기전달부
330 - 외부공기주입부
400 - 스위치작동부
500 - 제어부
600 - 가스주입부
110 - 선실
120 - 복도
200 - 에어백
210 - 이동통로
220 - 지지부
230 - 요철부
240 - 보관 케이스
300 - 외부공기주입장치
310 - 외부공기흡입부
320 - 외부공기전달부
330 - 외부공기주입부
400 - 스위치작동부
500 - 제어부
600 - 가스주입부
Claims (8)
- 평상시에는 선박 내 단위공간의 일측에 보관되어 있다가, 위급상황 시 사용자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단위공간을 채워 고정되고, 내부에는 사람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상기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도록 가스나 기체를 공급해주는 가스주입부;
상기 가스주입부가 작동하도록 사용자가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작동부; 및
상기 스위치작동부의 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주입부가 작동하여 상기 에어백에 가스나 기체를 주입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주입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에어백에 주입하여 신속히 전개함과 아울러 부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외부공기주입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주입장치는,
상기 선박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해상에 부유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공기흡입부;
상기 외부공기흡입부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상기 선박 내부로 전달하는 외부공기전달부; 및
상기 외부공기전달부를 통해 전달받은 공기를 상기 에어백에 주입할 수 있도록 펌프가 구비된 외부공기주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표면에는 사람들이 잡거나 밟고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더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돌기나 고리 형태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중간에는 사람들이 잡거나 밟고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가 더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또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보관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8308A KR101649802B1 (ko) | 2014-12-24 | 2014-12-24 |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8308A KR101649802B1 (ko) | 2014-12-24 | 2014-12-24 |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7869A true KR20160077869A (ko) | 2016-07-04 |
KR101649802B1 KR101649802B1 (ko) | 2016-08-19 |
Family
ID=5650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8308A KR101649802B1 (ko) | 2014-12-24 | 2014-12-24 |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980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55276A (zh) * | 2018-12-26 | 2019-03-12 | 西安新竹防务科技有限公司 | 船用一体式快速充气气囊装置 |
CN114937392A (zh) * | 2022-05-26 | 2022-08-23 |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 | 一种舰船损害管制用应急训练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867Y1 (ko) | 2000-06-07 | 2000-11-15 | 김득남 | 전기온수기용 열교환관 |
KR20080022642A (ko) * | 2006-09-07 | 2008-03-12 | 백승만 | 선체인양용 부력발생방법 |
KR20120042141A (ko) * | 2010-10-22 | 2012-05-03 | 한국해양연구원 |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
KR20120050111A (ko) * | 2010-11-10 | 2012-05-1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침몰 방재 장치 및 침몰 방재 시스템 |
KR20120114753A (ko) | 2011-04-08 | 2012-10-17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침몰 지연장치 |
KR20140083952A (ko) * | 2014-06-03 | 2014-07-04 | 윤종식 |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
-
2014
- 2014-12-24 KR KR1020140188308A patent/KR1016498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867Y1 (ko) | 2000-06-07 | 2000-11-15 | 김득남 | 전기온수기용 열교환관 |
KR20080022642A (ko) * | 2006-09-07 | 2008-03-12 | 백승만 | 선체인양용 부력발생방법 |
KR20120042141A (ko) * | 2010-10-22 | 2012-05-03 | 한국해양연구원 |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
KR20120050111A (ko) * | 2010-11-10 | 2012-05-1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침몰 방재 장치 및 침몰 방재 시스템 |
KR20120114753A (ko) | 2011-04-08 | 2012-10-17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침몰 지연장치 |
KR20140083952A (ko) * | 2014-06-03 | 2014-07-04 | 윤종식 |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55276A (zh) * | 2018-12-26 | 2019-03-12 | 西安新竹防务科技有限公司 | 船用一体式快速充气气囊装置 |
CN109455276B (zh) * | 2018-12-26 | 2024-01-16 | 西安新竹防务科技有限公司 | 船用一体式快速充气气囊装置 |
CN114937392A (zh) * | 2022-05-26 | 2022-08-23 |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 | 一种舰船损害管制用应急训练装置 |
CN114937392B (zh) * | 2022-05-26 | 2023-07-21 |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 | 一种舰船损害管制用应急训练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9802B1 (ko) | 2016-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23166B2 (ja) | 潜水艦 | |
WO2018043116A1 (ja) |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小型飛行体 | |
CN104875863A (zh) | 一种船舶防倾覆装置 | |
KR101694864B1 (ko) | 선박 침몰 예방장치 | |
CN105015728A (zh) | 一种船舶气囊式抗倾覆装置 | |
KR101630737B1 (ko) |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 |
US3268925A (en) | Life-saving raft | |
KR20120114753A (ko) | 선박의 침몰 지연장치 | |
KR101649802B1 (ko) |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 |
KR20120019084A (ko) | 선박의 침몰 방지 시스템 | |
JPH11342893A (ja) | エアーバック方式による船舶の転覆防止装置 | |
KR20020048139A (ko) |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 |
KR20150118712A (ko) |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 |
KR20200014542A (ko) |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 |
KR102131246B1 (ko) |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 |
KR20190047961A (ko) | 선박 또는 해양 설비용 탈출 장치 | |
JP3037368U (ja) | 自動車 | |
JPH0478694A (ja) | 船舶の船体保護装置 | |
KR102086037B1 (ko) |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 |
CN2785640Y (zh) | 多功能安全防护气囊 | |
KR20110012040U (ko) | 부력보충용 팽창튜브를 갖는 선박 | |
KR200225105Y1 (ko) |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 |
KR100856789B1 (ko) | 비행기 및 선박용 안전장치 | |
JP2000318683A (ja) | ライフジャケット | |
KR101795001B1 (ko) | 기울어져 가는 선박의 침몰을 지연시키는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