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781A -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781A
KR20160077781A KR1020140188104A KR20140188104A KR20160077781A KR 20160077781 A KR20160077781 A KR 20160077781A KR 1020140188104 A KR1020140188104 A KR 1020140188104A KR 20140188104 A KR20140188104 A KR 20140188104A KR 20160077781 A KR20160077781 A KR 20160077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inous rice
ceramic ball
rice
grou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819B1 (ko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김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희 filed Critical 김주희
Priority to KR102014018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8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2Aerated, foamed, cellular or porous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4Low calorie, low sodium or hypoallerg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은, 찹쌀을 물에 침지하여 발효시킨 후 분쇄한 찹쌀 가루를 반죽하고, 반죽된 찹쌀 가루를 증숙 및 건조해서 찹쌀 바탕을 형성하는 단계와, 세라믹볼을 준비하는 단계와, 세라믹볼을 가열하는 단계와, 찹쌀 바탕을 세라믹볼에 매립해서 팽화시키는 단계와, 세라믹볼에서 찹쌀 바탕을 꺼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KOREAN TRADITIONAL COOKIE MADE BY NON-FRIED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ROF}
본 발명은 기름에 튀기지 않고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과자인 한과(韓菓)는 순 우리말로 과줄이라고 하며, 서양의 과자나 중국의 한과(漢菓)와 구분하여 부르는 우리나라 전통의 과자이다. 한과는 쌀, 밀가루, 견과류 등을 주재료로 하고 꿀과 기름 등을 부재료로 하여 만든 우리나라 전통 과자로서, 한과의 종류는 만드는 방법 및 재료에 따라서 유밀과류, 유과류, 다식류, 정과류, 숙실과류, 과편류, 엿강정류, 당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유과류(유과)는 기름에 튀긴 것으로 산자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쌀의 소비촉진과 함께 슬로 푸드(slow foo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전통 음식인 한과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한과는 제품이 완성되기까지 약 한달 정도가 소요되는 슬로우 푸드이며 또한 설탕 및 화학 첨가제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는 자연 건강 식품이다.
한과는 제조과정에서 콩기름 등을 이용하여 튀기는 공정을 수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건조 성형된 찹쌀 반대기에 해당하는 찹쌀 바탕이 부풀어 올라서 바삭한 식감을 갖게 된다. 그러나 기름에 튀긴 찹쌀 바탕에 기름이 잔존하기 때문에 느끼한 맛을 줄 수 있고, 장시간 보관시 기름이 산폐하기 쉬운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한과 제조과정에서 찹쌀 바탕을 기름에 튀긴 후 조청을 발라서 튀밥을 묻히는데, 종래의 튀밥은 일반미를 단순히 뻥튀기한 것으로 단순한 맛과 모양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936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탕 처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기름에 튀긴 제품과 거의 유사한 식감을 내면서도 기름을 제거하거나 최소로 하여 담백한 맛을 갖고 제품의 칼로리를 낮추는 비유탕 처리한 한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튀밥의 단조로운 형상 및 맛을 해결하고 도정된 일반미 튀밥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정하지 않은 찰벼를 직접 튀겨서 만든 매화 꽃 형상을 갖는 튀밥을 포함하는 비유탕 처리한 한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은, 찹쌀을 물에 침지하여 발효시킨 후 분쇄한 찹쌀 가루를 반죽하고, 반죽된 찹쌀 가루를 증숙 및 건조해서 찹쌀 바탕을 형성하는 단계와, 세라믹볼을 준비하는 단계와, 세라믹볼을 가열하는 단계와, 찹쌀 바탕을 세라믹볼에 매립해서 팽화시키는 단계와, 세라믹볼에서 찹쌀 바탕을 꺼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라믹볼은 실리카,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베리리아 및 황토로 된 세라믹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볼은 지름이 3~20mm일 수 있다. 그리고 세라믹볼은 180~300℃로 가열될 수 있다.
쌀 바탕은 수분율이 5~15% 정도로 건조될 수 있다. 그리고 찹쌀 바탕은 가열된 세라믹볼에 1~5분 정도 매립될 수 있다.
찹쌀 바탕을 팽화시키는 단계에서 세라믹볼에 콩기름을 소량 투입할 수 있다.
찹쌀 튀밥에는 매화 튀밥이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화 튀밥은, 도정하지 않은 찰벼에 물을 뿌린 후 밀폐된 용기에 담아서 숙성하는 단계와, 숙성된 찰벼를 가열하여 볶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유탕 처리된 한과는 상기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름을 제거하거나 최소로 해서 담백한 맛을 내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열량이 낮은 비유탕 처리한 한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유탕 처리에 의해서 기존에 기름에 튀긴 제품과 거의 유사한 식감을 낼 수 있는 비유탕 처리한 한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한 한과 제조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한 한과 제조방법에서, 찹쌀 바탕을 비유탕 처리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비유탕 처리를 위한 세라믹볼을 준비해서 가열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한 한과 제조방법에 의해 팽창된 찹쌀 바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한 한과의 제조방법에서 매화 티밥을 제작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숙성된 찰벼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찰벼가 튀겨지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화 튀밥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한 한과 제조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한 한과 제조방법은, 찹쌀을 세척 및 발효하는 단계, 발효된 찹쌀을 고운 가루 형태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찹쌀에 콩물을 추가하여 반죽하는 단계, 찹쌀 반죽을 증숙한 후 교반하는 단계, 성형 및 건조해서 찹쌀 바탕을 형성하는 단계, 찹쌀 바탕을 비유탕 처리하는 단계 그리고 비유탕 처리한 찹쌀 바탕에 튀밥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찹쌀을 세척한 후 찹쌀을 발효하는 단계에서, 찹쌀을 28~32℃의 맑은 물에 침지한 후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약 10~20일 정도 발효시킨다. 발효를 위한 물의 온도가 28℃ 미만인 경우 발효가 안되거나 진행이 느리고, 물의 온도가 32℃ 초과인 경우 부패하기 쉽다. 발효 과정에서 약간의 냄새가 나지만, 발효 과정에 의해서 유익한 미생물이 생성된다. 발효된 찹쌀을 추가로 세척할 수 있다.
발효된 찹쌀을 고운 가루 형태로 분쇄하여 찹쌀 가루를 형성한다. 발효된 찹쌀은 두 번 이상의 분쇄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분쇄 과정은 일반적인 분쇄 기계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지만, 수작업에 의해서도 진행될 수 있다.
분쇄된 찹쌀 가루를 반죽하기에 앞서서 반죽에 사용될 콩물을 제조한다. 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콩으로는, 대두, 녹두, 완두, 강낭콩, 검정콩 등 다양한 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콩의 종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콩을 물에 침지하여 하루 정도 물에 불린 후 콩물을 추출한다. 추후 찹쌀 가루를 반죽한 후 증숙할 때, 콩물은 그 단백질 성분에 의해서 조직이 서로 잘 붙고 엉기게 하며 과자의 식감을 더욱 부드럽게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콩물을 첨가하지 않고 찹쌀 가루를 반죽할 수도 있다.
찹쌀 가루에 콩물을 첨가하여 묽게 반죽한다. 그리고 반죽한 찹쌀을 필요에 따라서 하루 이상 숙성하는데, 이는 부드러운 식감을 얻기 위한 것이다.
반죽한 찹쌀 가루를 스팀 등을 이용하여 4~5시간 증숙하여 골고루 익도록 한다.
증숙된 찹쌀 반죽은 교반되는데, 이로 인해 공기가 반죽에 골고루 혼합되어서 과자 내부에 포자가 형성된다. 과자 내부에 포함된 포자가 많을수록 씹는 식감이 향상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교반은 찹쌀 반죽을 더욱 부드럽고 찰지게 만든다.
교반된 찹쌀 반죽은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 및 건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찹쌀 바탕이 반대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성형 및 건조 방법은, 우선 교반한 찹쌀 반죽을 틀 등에 부어서 원하는 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때, 틀에는 발효 감자 전분이 첨가될 수 있다. 발효 감자 전분은 찹쌀 반죽이 열에 의해 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찹쌀 반죽을 성형한 후 건조를 수행할 수 있고, 1차 건조, 성형 및 2차 건조의 순서로 진행할 수도 있다. 성형 및 건조에 의해서 반대기 형상을 갖는 찹쌀 바탕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은 비유탕 처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찹쌀 반죽의 수분율이 낮으면 쉽게 팽창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찹쌀 반죽의 수분율이 높은 경우에도 비유탕 처리에 의해서 굽혀지는 과정에서 딱딱해져서 잘 부서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은 찹쌀 반죽의 수분율이 5~15%로 건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찹쌀 바탕을 제작하기 위해서, 찹쌀 세척 및 발효, 분쇄, 콩물 제조, 반죽, 증숙, 교반, 1차 건조, 성형, 2차 건조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찹쌀 바탕은 반드시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서 제작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공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또는 상기 공정 이외 다른 공정을 추가하여 제작될 수 있다.
완성된 찹쌀 바탕을 기름을 사용하지 않는 비유탕 처리에 의해서 구워서 팽창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찹쌀 바탕의 내부에서 공기 팽창 및 수분 기화에 의한 팽창압이 형성되어 기공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은 비유탕 처리를 위해서 가열된 세라믹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비유탕 처리에 의해서 굽혀진 찹쌀 바탕에는 튀밥이 부착된다. 조청을 60~90℃로 가열한 후 굽혀져서 팽창된 찹쌀 바탕(도4 참조)에 얇게 코팅을 한 후 튀밥을 찹쌀 바탕에 부착한다. 튀밥을 부착하기 위해서 조청을 가열하는 온도가 90℃를 초과하는 경우 조청이 경화되기 때문에, 조청은 90℃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한다.
비유탕 처리에 의해서 굽혀진 찹쌀 바탕에는 종래 단조로운 형상을 갖는 튀밥이 부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화 튀밥이 부착될 수도 있다 매화 튀밥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도 5를 참고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에서, 비유탕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찹쌀 바탕을 비유탕 처리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비유탕 처리를 위한 세라믹볼(120)을 준비해서 가열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한 한과 제조방법에 의해 굽혀서 팽창된 찹쌀 바탕(100)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 방법은, 세라믹볼(120)을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세라믹볼(120)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찹쌀 바탕(100)을 세라믹볼(120)에 매립한 후 세라믹볼(120)을 혼합하면서 굽는 단계와, 세라믹볼(120)에서 찹쌀 바탕을 꺼낸 후 세라믹볼(120)을 털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세라믹볼(120)은 세라믹 재질을 갖는 것으로 대체적으로 구 형상을 갖는다. 세라믹볼(120)의 직경은 3~20mm에 해당할 수 있는데, 직경이 3mm 미만인 경우에는 세라믹볼(120)이 찹쌀 바탕(10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직경이 20mm 초과인 경우에는 볼이 커서 찹쌀 바탕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과자의 팽창이 일정하지 않아서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세라믹볼(120)은 높은 비열을 갖기 때문에 전달된 열기를 쉽게 잃지 않아서 찹쌀 바탕을 굽기에 유리하다. 또한, 세라믹볼(120)은 도 3와 같이 찹쌀 바탕(100)에 비해서 크기가 작고 다루기가 편하기 때문에 찹쌀 바탕(100)을 세라믹볼(120)에 완전히 매립한 상태에서 가열할 수 있어서, 찹쌀 바탕(100)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열하여 팽창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세라믹볼(120)의 재료로서 실리카,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및 베리리아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세라믹볼(120)의 재료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실리카(SiO2)는 단순산화물로서 내수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열팽창계수가 작은 장점을 갖지만 용융점이 1730℃로 높아 제조비가 높은 단점도 갖는다. 따라서 실리카에 Na2O 또는 CaO 등을 첨가함으로써 용융점을 저하시키고 용이하게 성형 및 제조할 수 있다.
알루미나(Al2O3)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고 내열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며 강도 및 경도가 높아서 기계 재료 또는 절삭 공구로 널리 사용된다.
지르코니아(ZrO2)는 우수한 내열성을 갖지만, 1100℃와 2370℃에서 결정구조의 상변태가 발생하여 큰 체적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종래부터 지르코니아에 MgO, CaO, Y2O3를 고용시킨 안정화 지르코니아(stabilized zirconia, SZ)가 내열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강도와 인성을 높이기 위해 부분안정화 지르코니아(PSZ)나 지르코니아 다결정체(TZP)도 개발되었다.
마그네시아(MgO)는 단순 산화물 세라믹과 비교하여 용융점(2800℃)이 높지만, 기계적 성질은 다소 낮은 편이다. 또한, 고온에서의 크리프 변형과 열팽창계수가 크기 때문에 구조 재료로서의 이용에는 한계가 있지만, 내화물(耐火物)로는 많이 사용된다.
베리리아(BeO)는 내열성, 내충격성, 열전도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하여 초고온 내화물로서 사용된다.
세라믹볼(120)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을 갖는 용기(122)에 거의 가득 찰 정도의 수만큼 준비한다. 그리고 비유탕 처리에 앞서서 세라믹볼(120)을 세척할 수도 있다.
세라믹볼(120)을 준비한 후 가열장치(124)를 이용해서 세라믹볼(120)을 가열한다. 가열장치(124)는 가스 또는 석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세라믹볼(120)은 180~300℃ 정도로 가열될 수 있는데, 세라믹볼(120)이 180℃ 미만으로 가열되는 경우에는 팽창하는 정도가 약하고 300℃ 초과해서 가열되는 경우에는 찹쌀 바탕이 타게 된다. 물론, 세라믹볼(120)의 가열 온도는 찹쌀 바탕(100)의 크기, 세라믹볼(120)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세라믹볼(120)이 원하는 온도로 가열된 경우, 찹쌀 바탕(100)을 세라믹볼(120) 속에 완전히 매립하여 찹쌀 바탕(100)을 구워서 팽화시킨다. 가열된 세라믹볼(120)은 찹쌀 바탕(100)에 고온의 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하게 되는데, 이 열에 의해서 찹쌀 바탕(100)이 팽창해서 도 4와 같이 팽화된 찹쌀 바탕이 된다. 찹쌀 바탕(100)을 세라믹볼(120)을 이용하여 비유탕 처리하는 과정에서,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되는 동안 세라믹볼을 찹쌀 바탕(100)과 비비듯이 혼합해서 지속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세라믹볼(120)을 이용해서 찹쌀 바탕(100)을 비유탕 처리하는 시간은 1~5분 정도일 수 있다. 비유탕 처리 시간이 1분 미만인 경우에는 부풀어 오르는 찹쌀 바탕(100)이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5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찹쌀 바탕(100)이 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은, 찹쌀 바탕(100)의 특정한 면 또는 일 부분만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세라믹볼(120)에 완전히 매립한 후 전체를 180~300℃의 고온에서 균일하게 가열하기 때문에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찹쌀 바탕(10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팽창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찹쌀 바탕(100)을 비유탕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욱 팽창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름(예를 들면, 콩기름)을 조리 스푼으로 1~5큰술 뿌린 후 세라믹볼(120)에 잘 섞어서 조리하면 더 부드러운 식감과 함께 더욱 두껍게 부풀려진 과자를 생산할 수 있다.
일정 시간 구워서 팽창된 찹쌀 바탕(100)은 세라믹볼(120)에서 꺼내진다. 그리고 찹쌀 바탕(100)을 떨어서 세라믹볼(120)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은, 기름을 사용하지 않거나 극소량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담백한 맛을 내면서도 기존에 기름에 튀긴 제품과 유사한 식감을 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를 이용해서 제조된 한과는 기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량도 낮다는 장점을 갖는다.
비유탕 처리에 의해서 팽창된 찹쌀 바탕(1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화 튀밥이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유탕 처리한 한과의 제조방법에서 매화 티밥을 제작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숙성된 찰벼에 대한 도면이고, 도 7은 찰벼가 튀겨지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화 튀밥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화 튀밥 제조방법은, 도정하지 않은 찰벼에 물을 뿌린 후 밀폐된 용기에 담아서 숙성하는 단계와, 숙성된 찰벼를 가열하여 볶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정하지 않은 찰벼에 분무기 등으로 물을 뿌려준 후 밀폐된 용기에 담아서 하루 정도 숙성을 한다(도 6 참조). 숙성을 하는 이유는, 분사된 수분이 찰벼에 골고루 퍼져서 균일한 습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찰벼 껍질에 수분이 침투해서 찰벼를 볶을 때 잘 튀겨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숙성된 찰벼를 가열한 팬에 투입한 후 주걱으로 볶아주면 콩 볶는 소리와 함께 찰벼가 튀겨진다. 이때, 가열 온도는 180~280도 범위에서 하는데, 180도 이하에서는 찰벼가 충분히 튀겨지지 않고 280도 이상에서는 찰벼가 타버린다.
이와 같이 튀겨진 매화 튀밥이 도 8에 예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단조로운 형상을 갖는 튀밥과는 달리 부피가 더욱 팽창해서 매화 모양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매화 모양을 갖는 매화 튀밥은 비유탕 처리된 찹쌀 바탕(120)에 조청 등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한과의 외관이 더욱 미려하게 된다.
종래에는 튀밥의 재료로서 대부분 일반미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도정된 찹쌀을 뻥튀기 기계로 튀기면 기계에 달라 붙게 되는 문제점에 의한 것이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화 튀밥은 찰벼를 튀기기 때문에 일반미에 비해서 식감이 쫄깃하고 부드러우며, 일반미 뻥튀기에 비해 더욱 고소하고 단맛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매화 튀밥의 재료인 찰벼는 도정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정에 의한 미네랄 등의 영양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찹쌀 바탕
120: 세라믹볼
122: 용기
124: 가열장치

Claims (9)

  1. 찹쌀을 물에 침지하여 발효시킨 후 분쇄한 찹쌀 가루를 반죽하고, 반죽된 찹쌀 가루를 증숙 및 건조해서 찹쌀 바탕을 형성하는 단계;
    세라믹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볼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찹쌀 바탕을 상기 세라믹볼에 매립해서 팽화시키는 단계;
    상기 세라믹볼에서 상기 찹쌀 바탕을 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볼은 실리카,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및 베리리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볼은 지름이 3~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 바탕은 수분율이 5~15% 정도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볼은 180~300℃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 바탕은 가열된 상기 세라믹볼에 1~5분 정도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 바탕을 팽화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세라믹볼에 콩기름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 튀밥에는 매화 튀밥이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화 튀밥은,
    도정하지 않은 찰벼에 물을 뿌린 후 숙성하는 단계; 및
    숙성된 찰벼를 가열하여 볶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한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유탕 처리된 한과.
KR1020140188104A 2014-12-24 2014-12-24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104A KR101661819B1 (ko) 2014-12-24 2014-12-24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104A KR101661819B1 (ko) 2014-12-24 2014-12-24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781A true KR20160077781A (ko) 2016-07-04
KR101661819B1 KR101661819B1 (ko) 2016-09-30

Family

ID=5650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104A KR101661819B1 (ko) 2014-12-24 2014-12-24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125B1 (ko) 2018-04-10 2019-10-31 지두환 딸기한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69B1 (ko) 2007-06-28 2008-01-30 박종래 한과 모재의 팽화장치
KR101458571B1 (ko) * 2013-07-04 2014-11-05 농업회사법인 당암명가당암전통생강한과 주식회사 비유탕 한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유탕 한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69B1 (ko) 2007-06-28 2008-01-30 박종래 한과 모재의 팽화장치
KR101458571B1 (ko) * 2013-07-04 2014-11-05 농업회사법인 당암명가당암전통생강한과 주식회사 비유탕 한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유탕 한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여러가지 한과/산자의 종류와 간단한 레시피. 다음 블로그, [online], 2012.04.19., [2016.06.15. 검색], 인터넷:<URL: http://blog.daum.net/missleecafe/16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819B1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7802A (ko) 고구마 빵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구마빵
KR102074254B1 (ko) 소화가 잘되는 빵의 제조방법
KR20110033341A (ko) 쌀가루를 함유한 호두과자 제조방법
KR20150127865A (ko) 생강가루를 이용한 기능성 전통한과의 제조방법
KR102529029B1 (ko) 인삼 마들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삼 마들렌
KR101094761B1 (ko) 쌀호떡 제조방법
KR101661819B1 (ko) 비유탕 처리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747B1 (ko) 케이크 장식용 반죽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크 장식용 반죽물
KR101704977B1 (ko) 과일이 부착된 한과 제조방법
KR101894286B1 (ko) 글루텐-프리 슈 패스트리의 제조방법
KR100451057B1 (ko) 찰보리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842192B1 (ko) 쌀가루를 이용한 전 또는 부침개의 제조방법
US20070190215A1 (en) Method of making a pizza crust
CN104605272A (zh) 一种米花糖的加工工艺
KR102539825B1 (ko) 쌀 마들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쌀 마들렌
KR101660132B1 (ko) 곡물이 부착된 한과 제조방법
KR101137501B1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국수의 제조방법
KR20080077471A (ko) 시즈닝된 누에 번데기 및 시즈닝 방법
KR102074256B1 (ko) 글루텐 성분을 최소화하는 빵의 제조방법
KR102061414B1 (ko) 프로틴이 함유된 모닝빵 제조방법
CN110393263A (zh) 一种真空冷冻干燥面条的制备方法
KR102539826B1 (ko) 콩 마들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콩 마들렌
CN109090186A (zh) 一种荷花饼及其制作方法
KR20140074429A (ko) 찹쌀을 주재료로 하여 비유탕처리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2672A (ko) 누룽지빵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