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400A -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400A
KR20160077400A KR1020140186584A KR20140186584A KR20160077400A KR 20160077400 A KR20160077400 A KR 20160077400A KR 1020140186584 A KR1020140186584 A KR 1020140186584A KR 20140186584 A KR20140186584 A KR 20140186584A KR 20160077400 A KR20160077400 A KR 20160077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pinch roll
entry
roll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7400A/ko
Publication of KR2016007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기를 통하여 추출되는 스트립의 후공정 진입을 유도하고, 스트립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는 연주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을 가압하여 압연기로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수단과, 상기 압연기와 상기 진입유도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진입유도수단과 연계되어 상기 스트립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고 상기 압연기로 상기 스트립의 진입을 유도하는 스트립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스트립이 압연기의 롤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스트립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여 최종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APPARATUS FOR GUIDING APPROACH OF STRIP}
본 발명은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주기를 통하여 추출되는 스트립의 후공정 진입을 유도하고, 스트립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연속 압연공정은 연속압연기를 통하여 일정 두께의 스트립(strip)을 연속적으로 압연하여 생성하고, 연연속이 가능한 두께로 압연한 후 후공정으로 패스 롤을 통과하여 다듬질 설비로 진행시키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연주기의 세그먼트를 통하여 추출되는 스트립이 후공정으로 진입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후공정의 워크롤(1)에 진입되는 과정에서, 연주기의 세그먼트를 통하여 추출된 스트립(S)의 전단에 굴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워크롤(1)의 전단에 배치되어 스트립(S)의 진입을 유도하는 패스롤(2)은 아이들링만 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스트립(S)의 진입을 가이드 하지 못하므로, 스트립(S)의 전단에 굴곡된 부분에 의하여 스트립(S)이 워크롤(1)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고 워크롤(1)에 추돌하여 대형 설비의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연주기를 통하여 추출된 스트립(S)의 표면에는 스크랩(scrap)이 묻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스크랩을 제거하지 않고 압연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최종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을 가압하여 압연기로 진입을 유도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트립이 압연기로 진입되기 전에 스트립 표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는, 연주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을 가압하여 압연기로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수단; 및 상기 압연기와 상기 진입유도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진입유도수단과 연계되어 상기 스트립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고, 상기 압연기로 상기 스트립의 진입을 유도하는 스트립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진입유도수단은 상기 연주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1 핀치롤; 상기 제1 핀치롤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핀치롤;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핀치롤을 상기 제1 핀치롤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핀치롤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핀치롤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로드가 상기 핀치롤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핀치롤을 이동시키는 핀치롤 액츄에이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입유도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핀치롤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핀치롤을 회전시키는 제1 핀치롤 구동모터; 및 상기 핀치롤 지지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핀치롤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핀치롤을 회전시키는 제2 핀치롤 구동모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핀치롤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핀치롤 구동모터는 상기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핀치롤 및 상기 제2 핀치롤을 회전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진입유도수단은 상기 연주기로부터 스트립이 추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스트립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스트립이 진입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2 핀치롤을 상기 제1 핀치롤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을 가압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립 이송수단은 상기 압연기와 상기 진입유도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스트립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스트립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트립 이물제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패스롤;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패스롤 회전축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패스롤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패스롤 구동모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패스롤 구동모터는 상기 진입유도수단을 통하여 진입하는 스트립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을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상기 패스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트립 이송부는 복수의 상기 패스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패스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패스롤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패스롤 냉각수 분사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립 이물제거부는 상기 스트립 이송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스트립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후드커버; 상기 후드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의 일측면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의 타측면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는 제2 분사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 이물제거부는 상기 후드커버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되게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로드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후드커버를 회동시키는 후드커버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 이물제거부는 상기 후드커버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커버의 표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후드커버 냉각수 분사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따르면,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을 가압하여 압연기로 진입을 유도하여 스트립이 압연기의 롤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의 파손을 예방하여 설비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조업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공정을 진행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이 압연기로 진입되기 전에 스트립 표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어 최종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의 이물제거부를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는 연주기(미도시)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S)을 가압하여 압연기(R)로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수단(100)과, 상기 압연기와 상기 진입유도수단(1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진입유도수단(100)과 연계되어 상기 스트립(S)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고 상기 압연기(R)로 상기 스트립(S)의 진입을 유도하는 스트립 이송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진입유도수단(100)은 상기 연주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1 핀치롤(120)과, 상기 제1 핀치롤(120)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핀치롤(130),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핀치롤(130)을 상기 제1 핀치롤(12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승강부(140)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핀치롤(12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회전되게 고정되고, 상기 제2 핀치롤(130)은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제1 핀치롤(120)과 상기 제2 핀치롤(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승강부(140)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핀치롤(130)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핀치롤 지지블록(141)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되고 로드가 상기 핀치롤 지지블록(141)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핀치롤(130)을 이동시키는 핀치롤 액츄에이터(142)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핀치롤 지지블록(141)은 상기 제2 핀치롤(130)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핀치롤 액츄에이터(142)도 한쌍으로 마련되어 한쌍의 상기 핀치롤 지지블록(141)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제2 핀치롤(130)을 승강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물론, 상기 제2 핀치롤(130)을 승강 이동시키는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계적 동작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입유도수단(10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핀치롤(12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핀치롤(120)을 회전시키는 제1 핀치롤 구동모터(150)와, 상기 핀치롤 지지블록(141)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핀치롤(13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핀치롤(130)을 회전시키는 제2 핀치롤 구동모터(160)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제1 핀치롤 구동모터(150)와, 제2 핀치롤 구동모터(160)는 상기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S)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S)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핀치롤(120) 및 상기 제2 핀치롤(130)을 회전시키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연주기를 통하여 추출되는 스트립(S)의 전단이 진입될 시 상기 제2 핀치롤(13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스트립(S)의 진입을 보다 쉽게 하고, 스트립(S)이 진입된 후에는 상기 제2 핀치롤(130)을 하강시켜 상기 스트립(S)을 마찰력에 의하여 이송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1 핀치롤 구동모터(150) 및 제2 핀치롤 구동모터(160)를 구동하여 상기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S)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S)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핀치롤(120)과 제2 핀치롤(130)을 회전시켜 상기 스트립(S)의 진입을 유도한다. 여기서, 스트립(S)이 연속적으로 진입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핀치롤(120)과 제2 핀치롤(13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트립(S)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입유도수단(100)은 상기 연주기로부터 스트립(S)이 추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스트립 감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스트립(S)이 진입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2 핀치롤(130)을 상기 제1 핀치롤(120)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S)을 가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핀치롤(130)이 상기 제1 핀치롤(120)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스트립(S)이 상기 제2 핀치롤(130)과 상기 제1 핀치롤(120) 사이를 통과하는 시점에 상기 제2 핀치롤(130)을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S)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으로, 상기 스트립(S)의 전단이 휘어있는 경우에도 스트립(S)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스트립(S)이 진입하는 시점에 상기 제2 핀치롤(130)을 이동시켜 스트립(S)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립(S)의 휘어있는 전단을 어느 정도 펴지게 할 수 있어, 이 후 압연기로의 진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이송수단(200)은 상기 압연기(R)와 상기 진입유도수단(100)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S)을 이송하는 스트립 이송부(220),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트립(S)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트립 이물제거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스트립 이송부(2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패스롤(22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패스롤(221) 회전축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패스롤(221)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패스롤 구동모터(222)로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패스롤 구동모터(222)는 상기 진입유도수단(100)을 통하여 진입하는 스트립(S)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S)을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상기 패스롤(221)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동작으로, 상기 스트립(S)을 상기 압연기(R)로 안정적으로 진입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이송부(220)는, 도 5를 참고하면, 복수의 상기 패스롤(22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패스롤(22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패스롤(221)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패스롤 냉각수 분사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연주기를 통하여 추출되는 스트립(S)이 고온으로 진입되기 때문에 상기 패스롤(221)을 냉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패스롤 냉각수 분사부(223)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의 냉각수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스트립 이물제거부(230)는,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스트립 이송부(220)의 상측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스트립(S)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후드커버(231)와, 상기 후드커버(231)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S)의 일측면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232),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S)의 타측면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는 제2 분사노즐(233)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분사노즐(232)과 상기 제2 분사노즐(233)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의 냉각수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패스롤(221)을 통하여 이송되는 스트립(S)의 양측면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스트립(S)의 표면의 이물을 제거한 후 압연기(R)로 상기 스트립(S)을 진입시켜 최종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드커버(231)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회동되게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로드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후드커버(231)를 회동시키는 후드커버 액츄에이터(234)를 더 구비한다.
이는, 상기 패스롤(221)을 통하여 스트립(S)이 이송될 때는 상기 후드커버(231)가 상기 스트립(S)의 상측으로 이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드커버(231)가 상기 스트립 이송부(220)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설비의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후드커버 액츄에이터(234)를 동작하여 상기 후드커버(231)를 회동시켜 상기 후드커버(231) 하측을 노출시켜 정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후드커버(231)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커버(231)의 표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후드커버 냉각수 분사부(2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고온의 스트립(S)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후드커버(231)가 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드커버(231)를 냉각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후드커버 냉각수 분사부(235)는 외부 냉각수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진입유도수단(100)을 통하여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S)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진입되는 스트립(S)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패스롤(221) 상으로 스트립(S)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며, 압연기(R)로 진입되기 전에 스트립 이물제거부(230)에 의하여 상기 스트립(S) 표면의 이물을 제거한 후 상기 스트립(S)을 압연기(R)로 진입시켜 후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S : 스트립 R : 압연기
100 : 진입유도수단 110 : 지지프레임
120 : 제1 핀치롤 130 : 제2 핀치롤
140 : 승강부 141 : 핀치롤 지지블록
142 : 핀치롤 액츄에이터 150 : 제1 핀치롤 구동모터
160 : 제2 핀치롤 구동모터 200 : 스트립 이송수단
210 : 베이스 프레임 220 : 스트립 이송부
221 : 패스롤 222 : 패스롤 구동모터
223 : 패스롤 냉각수 분사부 230 : 스트립 이물제거부
231 : 후드커버 232 : 제1 분사노즐
233 : 제2 분사노즐 234 : 후드커버 액츄에이터
235 : 후드커버 냉각수 분사부

Claims (13)

  1. 연주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을 가압하여 압연기로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수단; 및
    상기 압연기와 상기 진입유도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진입유도수단과 연계되어 상기 스트립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고, 상기 압연기로 상기 스트립의 진입을 유도하는 스트립 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유도수단은,
    상기 연주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1 핀치롤;
    상기 제1 핀치롤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핀치롤;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핀치롤을 상기 제1 핀치롤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승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핀치롤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핀치롤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로드가 상기 핀치롤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핀치롤을 이동시키는 핀치롤 액츄에이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유도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핀치롤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핀치롤을 회전시키는 제1 핀치롤 구동모터; 및
    상기 핀치롤 지지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핀치롤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핀치롤을 회전시키는 제2 핀치롤 구동모터;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치롤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핀치롤 구동모터는,
    상기 연주기로부터 추출되는 스트립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핀치롤 및 상기 제2 핀치롤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유도수단은,
    상기 연주기로부터 스트립이 추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스트립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스트립이 진입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2 핀치롤을 상기 제1 핀치롤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이송수단은,
    상기 압연기와 상기 진입유도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스트립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스트립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트립 이물제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패스롤;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패스롤 회전축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패스롤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패스롤 구동모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패스롤 구동모터는,
    상기 진입유도수단을 통하여 진입하는 스트립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을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상기 패스롤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이송부는,
    복수의 상기 패스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패스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패스롤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패스롤 냉각수 분사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이물제거부는,
    상기 스트립 이송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스트립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후드커버;
    상기 후드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의 일측면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의 타측면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는 제2 분사노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이물제거부는,
    상기 후드커버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되게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로드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후드커버를 회동시키는 후드커버 액츄에이터;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이물제거부는,
    상기 후드커버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커버의 표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후드커버 냉각수 분사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KR1020140186584A 2014-12-22 2014-12-22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KR20160077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584A KR20160077400A (ko) 2014-12-22 2014-12-22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584A KR20160077400A (ko) 2014-12-22 2014-12-22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400A true KR20160077400A (ko) 2016-07-04

Family

ID=5650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584A KR20160077400A (ko) 2014-12-22 2014-12-22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74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5706A (zh) * 2020-06-01 2020-09-29 滁州帝邦科技有限公司 一种双位水冷的导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5706A (zh) * 2020-06-01 2020-09-29 滁州帝邦科技有限公司 一种双位水冷的导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9876B (zh) 一种线路板加工用自动旋转的上板传送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320126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CN203900115U (zh) 侧导辊带钢对中装置
KR20160077400A (ko)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JP5276946B2 (ja) 切断装置
KR20120044180A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20110038970A (ko) 강판 스트립 녹 제거장치
CN203638668U (zh) 用于型钢转运的成排台架
KR101536907B1 (ko) 노즐 검사 장치
KR100761748B1 (ko)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구간내 피딩테이블의스트립 유도장치
KR101377511B1 (ko) 압연기용 디스케일러
CN203484732U (zh) 拉弯矫直机圆盘剪前纠正装置
KR20160076398A (ko) 코팅롤 표면 청소장치
KR101353790B1 (ko) 스트립 장력조정 장치
KR20090069836A (ko) 냉연 강판 수절장치용 에지와이퍼
CN216334783U (zh) 一种热轧带肋钢筋试生产用输送装置
KR101204844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1377512B1 (ko) 소재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22108B1 (ko) 열간압연 설비용 에지히터 장치
KR101309981B1 (ko) 판재 터닝장치
KR20030035698A (ko) 프레셔 롤을 이용한 스케일 집진장치
KR200451566Y1 (ko) 스케일 제거 장치
KR101424475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357950A (zh) 拉弯矫直机圆盘剪前纠正装置
KR20120033107A (ko) 압연라인의 완제품 마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