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563A -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563A
KR20160076563A KR1020140186710A KR20140186710A KR20160076563A KR 20160076563 A KR20160076563 A KR 20160076563A KR 1020140186710 A KR1020140186710 A KR 1020140186710A KR 20140186710 A KR20140186710 A KR 20140186710A KR 20160076563 A KR20160076563 A KR 20160076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yarn
area
section
discharg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361B1 (ko
Inventor
이동은
임기웅
박정은
조윤보
Original Assignee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filed Critical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to KR102014018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3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217Spinnerette forming conjugate, composite or hollow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ⅰ) 동심원 형태로 배열된 2개의 분리벽(3,4)에 의해 내부공간이 복합방사구금의 내측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A)과 상대적으로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2영역(B)으로 구획되며 (ⅱ) 상기 제1영역(A)에는 이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의 토출공(1)들이 형성되어 있고 (ⅲ) 상기 제2영역(B)에는 이형단면의 토출공(2)들이 형성된 복합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를 통해 방사함과 동시에 폴리아미드 폴리머 또는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는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을 통해 복합방사하여 혼섬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종래 염색특성이 다른 2개의 세데니어 원사를 공기교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공기교락으로 인한 혼섬 불균일 또는 품질 불균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도 간소화되고 제조비용도 절감된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혼섬사는 멜란지 효과, 다시 말해 멜란지 톤의 미려한 시각효과와 동시에 이형단면을 통한 드라이한 촉감이 발현됨과 동시에 모세관 현상으로 흡한속건성도 뛰어나 경량 박지 원단용 원사로 유용하다.

Description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blended yarn with excellent absorption/dry property and melange effect}
본 발명은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방사 방식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원사들을 공기교락하는 공정 없이도 뛰어난 멜란지 효과와 흡한속건성을 동시에 발현하는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단에 있어서 멜란지(melange)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염색 특성이 다른 두 개의 원사를 공기 교락를 통하여, 인터레이싱 원사 (Interlace Textured Yarn : 이하 ”ITY”라고 한다) 또는 에어텍스츄어링 원사(Air Textured Yarn : 이하 “ATY”라고 한다)로 제조하게 된다. 멜란지 효과란 방적사에서 제일 먼저 통용된 기술로, 검정색으로 염색이 되어 있는 스테이플 섬유 (staple fiber)와 염색이 되어 있지 않는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를 서로 혼타하여 방적 공정을 거치면, 방적사의 흰색부분에서 검은색 부분이 반점처럼 나타남으로써 원단상에서 멀리서 보면 그레이(gray)한 색상으로 보이나, 자세히 보면 검정부분과 흰색 부분이 혼합되어 있는 효과를 말한다. 이러한 방적 기법을 필라멘트에서 구현하는 통상의 방법으로는 이미 제조 완료된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원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원사를 서로 공기 교락을 시켜서 한 개의 원사로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중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양이온 염료로 염색을 시켜 멜란지톤을 발현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이미 제조 완료된 폴리아미드 필라멘트 원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원사를 서로 공기 교락을 시켜,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를 산성염료로 염색을 시켜서 멜란지톤을 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원사 대비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는 산성염료의 사용으로 색상이 밝고, 폴리우레탄 코팅시에 이염이 되지 않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의 소프트한 촉감이 원단의 감촉을 좋게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여름용 멜란지 원단을 개발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를 폴리아미드 필라멘트 또는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와 에어텍스츄어링 또는 인터레이싱 하여 흡한속건 기능을 갖는 ATY 또는 ITY를 제조하였으나, 상기 방법은 공기교락을 하는 공정비용이 발생하며, 모사로 사용되는 원사의 데니어가 낮아야만 경량의 원단을 사용할 수 있었다.
최근 경량 박지 원단의 사용량의 증가로 인하여, 경량박지 원단에 있어 멜란지 톤의 색상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하여, 2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20데니어 폴리아미드 원사를 서로 인터레이스 가공을 통하여 ITY를 제조, 사용하였다. 그러나 20데니어의 경우 생산량이 낮아지므로 고정비의 증가로 인하여, 원사 가격이 높으며, 또한 인터레이스 공정에서 인터레이스의 개수의 변화로 인하여 불량이 발생할 경우, 불량으로 인한 손해 발생으로 대부분의 업체에서는 다량으로 전개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멜란지 효과를 구현하는 원사를 제조하는 종래 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026호에서는 편평 태섬도의 원사와 세섬도의 원형단면 원사를 합방사 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다. 이 경우는 태섬도의 염착성능과 세섬도의 염착 성능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편평사의 난반사에 따른 광택과 사의 굵기 차이에 따른 농담효과를 낼수 있으나, 염착 성능이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염색법의 차이에 의한 다양한 색상의 적용이 불가하며, 1가지 염료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색의 농담의 차이로만 표현하는데 한계성을 가질 수 밖에 없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8293호에서는 분할형 복합섬유를 복합방사할 때 분할사의 삼각모양 단면부분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용하고, 별모양 단면부분은 폴리아미드계 폴리머를 적용하여 멜란지 효과를 갖는 원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다. 이로 제조된 원사 중 폴리아미드 폴리머를 염색하면 멜란지톤을 얻을 수가 있었다. 이러한 방법은 2개의 폴리머를 한 단면으로 방사하기 때문에, 방사 연신비율의 조절이 용이하고 분할사에 의한 마이크로한 터치도 얻을수 있으나, 극세사의 제조방법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폴리에스테르의 필라멘트가 가늘어 색이 올라오는 폴리아미드의 색상을 모두 커버하는 효과가 나타나, 색상의 뚜렷한 차이에 의한 멜란지톤 발현이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흡한속건 기능은 스포츠 원단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사로 이형단면을 통한 모세관 현상으로 흡한속건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흡한속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이형단면 제조기술은 구금의 형태 및 방사 조건의 설정이 중요하며, 동시에 원단의 조직 및 밀도 등도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흡한속건사는 대부분의 합섬업체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다채널을 통한 이형단면을 형성하여, 모세관 현상을 극대화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흡한속건사는 아웃도어, 스포츠웨어에서는 일반적인 소재로 사용되고 있어서, 시장에서는 많은 부분 시각적인 측면에서 차별성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멜란지와 같은 효과를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와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원형단면사와의 공기교락 공정을 통해 차별화된 색상 발현을 제공하고 있으나, 가격적인 측면으로 인하여, 고가의 브랜드만 적용하고 있으며, 앞서 언급했던 ITY 제조공정에서의 인터레이스 불량 발생으로 인한 원단 불량으로 의류의 일부분인 패치 정도로만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뛰어난 흡한속건 기능과 균일한 멜란지 효과를 동시에 발현하는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혼섬사 제조시 염색특성이 상이한 2종의 원사를 공기교락 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공기교락으로 인한 혼섬불균일이나 품질저하를 방지하고, 제조공정이 간소화하고, 제조비용도 저렴한 방법으로 흡한속건성과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ⅰ) 동심원 형태로 배열된 2개의 분리벽(3,4)에 의해 내부공간이 복합방사구금의 내측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A)과 상대적으로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2영역(B)으로 구획되며 (ⅱ) 상기 제1영역(A)에는 이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의 토출공(1)들이 형성되어 있고 (ⅲ) 상기 제2영역(B)에는 이형단면의 토출공(2)들이 형성된 복합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를 통해 방사함과 동시에 폴리아미드 폴리머 또는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을 통해 복합방사하여 혼섬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종래 염색특성이 다른 2개의 세데니어 원사를 공기교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공기교락으로 인한 혼섬 불균일 또는 품질 불균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도 간소화되고 제조비용도 절감된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혼섬사는 멜란지 효과, 다시 말해 멜란지 톤의 미려한 시각효과와 동시에 이형단면을 통한 드라이한 촉감이 발현됨과 동시에 모세관 현상으로 흡한속건성도 뛰어나 경량 박지 원단용 원사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방사구금의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 제조된 혼섬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 1로 제조된 혼섬사의 단면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 2로 제조된 혼섬사의 단면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 3으로 제조된 혼섬사의 단면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동심원 형태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1분리벽(3) 및 제2분리벽(4)에 의해서 내부공간은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내측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A)과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내주부분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제2분리벽(4)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상기 제1영역(A) 보다 상대적으로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2영역(B)으로 구획되고 (ⅱ) 상기 제1영역(A) 에는 이형단면 및 원형단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면형태를 갖는 토출공(1)들이 형성되어 있고 (ⅲ) 상기 제2영역(B)에는 이형단면을 갖는 토출공(2) 들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와 폴리아미드 폴리머를 복합방사하거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와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복합방사하여 혼섬사를 제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복합방사구금의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는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이형단면의 토출공(2)을 통해 방사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폴리머 또는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는 상기 제1영역(A)에 형성된 이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의 토출공(1)을 통해 복합방사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복합방사된 방사물을 냉각, 연신 및 권취하여 본 발명의 혼섬사를 제조한다.
상기 복합방사구금 중 제1분리벽(3)은 복합방사되는 2종의 폴리머들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하고 제2분리벽(4)은 제2영역(B)에서 토출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가 복합방사 구금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폴리머 및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와 비교시 연신성이 낮은 특징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영역(A)에 형성되어 이들을 토출하는 토출공(1)의 단면을 원형으로 하거나, 제2영역(B)에 형성되어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토출하는 토출공(2) 보다 이형도가 낮은 이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영역(A)과 제2영역(B)내에 형성된 토출공(1,2)들의 전체홀수대비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의 홀수 비율은 30~50%이고, 제2영역(B)내에 형성된 토출공(2)의 홀수 비율은 5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의 홀수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혼섬사의 멜란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거나 2종의 모노필라멘트 간의 연신성 차이가 심해져 루프나 모우가 발생되어 혼섬사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복합방사 구금 중 상기 제1영역(A)의 면적 : 제2영역(B)의 면적비율은 25: 75 ~ 50:50인 것이 토출공(1,2)들의 홀수비율을 상기 범위와 같이 형성하는데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 폴리아미드 폴리머 또는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토출비를 5:5 ~ 7:3으로 조절해 주는 것이 혼섬사의 멜란지 효과 및 품질 향상에 바람직하다.
상기 제1영역(A)에 형성된 토출공(1) 및 제2영역에 형성된 토출공(2)들을 통해 방사되는 각각의 모노필라멘트(단사)들은 섬도가 0.5~5데니어이고 혼섬사의 총섬도는 10~300데니어, 바람직하기로는 10~75데니어인 것이 의류용 원사, 특히 박지 원단용 원사로 유용하다.
상기 방법으로 복합방사되는 혼섬사는 (ⅰ) 이형단면인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들과 (ⅱ) 이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인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 또는 이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인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들이 혼재된 형태를 구비하며, 인터레이스 개수는 80개/m ~ 150개/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섬사를 산성염료 또는 캐치온 염료로 염색하게 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는 염색되지 않고, 상기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 또는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들은 염색되어 멜란지 효과를 발현한다.
또한, 상기 혼섬사는 이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 전부 또는 일부가 이형단면을 구비하기 때문에 우수한 흡한속건성이 발현한다.
본 발명은 종래 염색특성이 다른 2개의 세데니어 원사를 공기교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공기교락으로 인한 혼섬 불균일 또는 품질 불균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도 간소화되고 제조비용도 절감된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혼섬사는 멜란지 효과, 다시 말해 멜란지 톤의 미려한 시각효과와 동시에 이형단면을 통한 드라이한 촉감이 발현됨과 동시에 모세관 현상으로 흡한속건성도 뛰어나 경략 박지 원단용 원사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일례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 형태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1분리벽(3) 및 제2분리벽(4)에 의해서 내부공간은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내측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A)과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내주부분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제2분리벽(4)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상기 제1영역(A) 보다 상대적으로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2영역(B)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영역(A)에는 폭이 0.07㎚인 슬릿상의 이형단면을 갖는 토출공(1) 14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영역(B)에는 폭이 0.07㎚인 슬릿상의 이형단면을 갖는 토출공(2) 22개가 형성되어 있는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들을 통해 방사함과 동시에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들을 통해 복합방사한 후 냉각존을 거쳐 2.64배의 연신비율로 연신하고 4,100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토출비를 6:4로 하였다.
제조된 혼섬사의 단면구조를 도 2와 같았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섬사를 이용하여 32게이지 싱글환편원단을 제조한 후, 캐치온 염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싱글환편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염가공하여 염가공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염가공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 형태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1분리벽(3) 및 제2분리벽(4)에 의해서 내부공간은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내측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A)과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내주부분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제2분리벽(4)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상기 제1영역(A) 보다 상대적으로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2영역(B)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영역(A)에는 폭이 0.06㎚인 슬릿상의 이형단면을 갖는 토출공(1) 18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영역(B)에는 폭이 0.06㎚인 슬릿상의 이형단면을 갖는 토출공(2) 18개가 형성되어 있는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들을 통해 방사함과 동시에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들을 통해 복합방사한 후 냉각존을 거쳐 2.66배의 연신비율로 연신하고 4,100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토출비를 5:5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섬사를 이용하여 32게이지 싱글환편원단을 제조한 후, 캐치온 염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싱글환편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염가공하여 염가공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염가공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 형태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1분리벽(3) 및 제2분리벽(4)에 의해서 내부공간은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내측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A)과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내주부분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제2분리벽(4)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상기 제1영역(A) 보다 상대적으로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2영역(B)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영역(A)에는 폭이 0.06㎚인 슬릿상의 이형단면을 갖는 토출공(1) 12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영역(B)에는 폭이 0.06㎚인 슬릿상의 이형단면을 갖는 토출공(2) 8개가 형성되어 있는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들을 통해 방사함과 동시에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들을 통해 복합방사한 후 냉각존을 거쳐 2.58배의 연신비율로 연신하고 4,100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토출비를 5:5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섬사를 이용하여 32게이지 싱글환편원단을 제조한 후, 캐치온 염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싱글환편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염가공하여 염가공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염가공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4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 형태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1분리벽(3) 및 제2분리벽(4)에 의해서 내부공간은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내측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A)과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내주부분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제2분리벽(4)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상기 제1영역(A) 보다 상대적으로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2영역(B)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영역(A)에는 폭이 0.07㎚인 슬릿상의 이형단면을 갖는 토출공(1) 29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영역(B)에는 원형단면을 갖는 토출공(2) 19개가 형성되어 있는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들을 통해 방사함과 동시에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들을 통해 복합방사한 후 냉각존을 거쳐 2.74배의 연신비율로 연신하고 4,100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토출비를 6:4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섬사를 이용하여 32게이지 싱글환편원단을 제조한 후, 캐치온 염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싱글환편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염가공하여 염가공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염가공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829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별표 모양의 세그멘트 1개에 의해 삼각형 모양의 세그멘트 8개가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삼각형 세그멘트들의 총면적 : 별표모양의 세그멘트 면적 비가 70 : 30인 분할형 복합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나일론 폴리머를 상기 별표모양의 세그멘트 영역을 통해 방사하면서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삼각형 모양의 세그멘트 8개를 통해 복합방사한 후 냉각존을 거쳐 연신 및 권취하여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섬사를 이용하여 32게이지 싱글환편원단을 제조한 후, 캐치온 염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싱글환편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염가공하여 염가공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섬사의 단면사진은 도 3과 같았고, 제조된 염가공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2
이형단면의 모노필라멘트 36개가 집속된 5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와 원형단면의 모노필라멘트 24개가 집속된 45데니어의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를 300m/분의 사속과 1.5kgf/㎠의 압력으로 인터레이스 노즐내로 통과시키면서 인터레이싱 95데니어/36필라멘트의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섬사를 이용하여 32게이지 싱글환편원단을 제조한 후, 캐치온 염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싱글환편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염가공하여 염가공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섬사의 단면사진은 도 4와 같았고, 제조된 염가공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 형태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1분리벽(3) 및 제2분리벽(4)에 의해서 내부공간은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내측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A)과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내주부분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제2분리벽(4)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상기 제1영역(A) 보다 상대적으로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2영역(B)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영역(A)에는 원형단면을 갖는 토출공(1) 14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영역(B)에는 원형단면을 갖는 토출공(2) 22개가 형성되어 있는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들을 통해 방사함과 동시에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들을 통해 복합방사한 후 냉각존을 거쳐 2.64배의 연신비율로 연신하고 4,100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토출비를 6:4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섬사를 이용하여 32게이지 싱글환편원단을 제조한 후, 캐치온 염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싱글환편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염가공하여 염가공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섬사의 단면사진은 도 5와 같았고, 제조된 염가공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구분 원단불량율(%) 멜란지지톤 흡수높이(10분) 건조시간(분)
실시예 1 0 양호 120㎜ 42
실시예 2 0 양호 118㎜ 41
실시예 3 0 양호 110㎜ 45
실시예 4 0 양호 122㎜ 40
비교실시예 1 0 미흡 80㎜ 62
비교실시예 2 10 양호 108㎜ 48
비교실시예 3 0 양호 57㎜ 69
표 1에서 원단 불량율(%)은 서로 다른 시기에 원사 및 염가공 원단을 10회 생산 후 원단상의 위단, 교락 불량등과 같은 불량이 발생된 회수를 측정하여 구하였고, 흡수높이 및 건조시간은 KSK0815 방식으로 측정하였고, 멜란지톤은 전문가의 관능검사 결과를 양호와 미흡으로 구분하였다.
A : 복합방사구금의 내부공간 중 제1영역
B : 복합방사구금의 내부공간 중 제2영역
1 :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
2 :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
3 : 제1분리벽
4 : 제2분리벽

Claims (8)

  1. (ⅰ) 동심원 형태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1분리벽(3) 및 제2분리벽(4)에 의해서 내부공간은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내측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A)과 상기 제1분리벽(3)에 의해 내주부분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제2분리벽(4)에 의해 외주부분이 감싸져 복합방사구금의 단면상에서 상기 제1영역(A) 보다 상대적으로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2영역(B)으로 구획되고 (ⅱ) 상기 제1영역(A) 에는 이형단면 및 원형단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면형태를 갖는 토출공(1)들이 형성되어 있고 (ⅲ) 상기 제2영역(B)에는 이형단면을 갖는 토출공(2) 들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들을 통해 방사함과 동시에 폴리아미드 폴리머 및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폴리머를 상기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들을 통해 복합방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 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방사된 방사물을 냉각, 연신 및 권취하는 공정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 폴리아미드 폴리머 또는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토출비를 5:5 ~ 7:3으로 조절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A)과 제2영역(B)내에 형성된 토출공(1,2)들의 전체 홀수대비 제1영역(A)내에 형성된 토출공(1)의 홀수 비율이 3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A)과 제2영역(B)내에 형성된 토출공(1,2)들의 전체 홀수대비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의 홀수비율이 5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합방사구금 중 상기 제1영역(A)의 면적 : 제2영역(B)의 면적 비율은 25:75~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A) 내에 형성된 토출공(1) 및 상기 제2영역(B) 내에 형성된 토출공(2)을 통해 방사된 모노필라멘트(단사)는 섬도가 0.5~5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섬사의 인터레이스 개수는 80개/m ~ 150개/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20140186710A 2014-12-23 2014-12-23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2128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710A KR102128361B1 (ko) 2014-12-23 2014-12-23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710A KR102128361B1 (ko) 2014-12-23 2014-12-23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563A true KR20160076563A (ko) 2016-07-01
KR102128361B1 KR102128361B1 (ko) 2020-06-30

Family

ID=5650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710A KR102128361B1 (ko) 2014-12-23 2014-12-23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3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15A (ko) * 2017-06-26 2019-01-04 조대현 다기능성 복합섬유 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다기능성 복합섬유 혼섬사
KR20190001014A (ko) * 2017-06-26 2019-01-04 조대현 다기능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다기능성 혼섬사
KR20210147795A (ko) * 2020-05-31 2021-12-07 주식회사 대영합섬 블라인드용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512A (ja) * 1993-05-24 1996-11-05 コートールズ ファイバース(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ィド 紡糸口金
JPH09291430A (ja) * 1996-04-23 1997-11-11 Toray Ind Inc 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0439A (ja) * 2000-01-18 2001-07-27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異染性混繊糸
JP2004176190A (ja) * 2002-11-25 2004-06-24 Nippon Ester Co Ltd 混繊糸用紡糸口金及びこれを用いた異染性混繊糸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512A (ja) * 1993-05-24 1996-11-05 コートールズ ファイバース(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ィド 紡糸口金
JPH09291430A (ja) * 1996-04-23 1997-11-11 Toray Ind Inc 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0439A (ja) * 2000-01-18 2001-07-27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異染性混繊糸
JP2004176190A (ja) * 2002-11-25 2004-06-24 Nippon Ester Co Ltd 混繊糸用紡糸口金及びこれを用いた異染性混繊糸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15A (ko) * 2017-06-26 2019-01-04 조대현 다기능성 복합섬유 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다기능성 복합섬유 혼섬사
KR20190001014A (ko) * 2017-06-26 2019-01-04 조대현 다기능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다기능성 혼섬사
KR20210147795A (ko) * 2020-05-31 2021-12-07 주식회사 대영합섬 블라인드용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361B1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585841B (zh) 扁平复丝纱线织造织物及其纺织材料
KR101881826B1 (ko) 흡한속건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CN109112655B (zh) 原配色丝及其制备工艺
KR20160076563A (ko)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759478B1 (ko) 실크 커버링 복합사
KR101884666B1 (ko)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MXPA02004584A (es) Hilado o hilo de filamentos multiples de poliester grueso y delgado.
EP0996781B2 (en) A yarn for articifial grass, a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yarn and a field of artificial grass in which said yarn is incorporated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2153A (ko) 고신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JP6582518B2 (ja) 交絡混繊捲縮糸およびカーペット
CN219010613U (zh) 一种三明治针织面料
CN102864512B (zh) 一种双十字形截面显深色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433503B1 (ko) 중공사가 혼합된 염반 방적사 및 그 제조방법
JP2005211111A (ja) カーペット
CN111101236B (zh) 用于针织牛仔布的自卷曲弹性混纤丝及其制备方法
KR101170783B1 (ko) 멜란지 효과를 갖는 교락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교락사
JP4433880B2 (ja) カーペット用捲縮糸およびカーペット
KR101943925B1 (ko) 소모조용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0262A (ko) 멜란지 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5114A (ko) 폴리에스테르 복합 태세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4685288B2 (ja) 立体編物
JP2007070757A (ja) 原着ポリ乳酸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ーペット
KR20200073299A (ko) 감성적 및 기능적 특성이 우수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823981B1 (ko) 멜란지 모노 듀오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