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666B1 -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666B1
KR101884666B1 KR1020170110014A KR20170110014A KR101884666B1 KR 101884666 B1 KR101884666 B1 KR 101884666B1 KR 1020170110014 A KR1020170110014 A KR 1020170110014A KR 20170110014 A KR20170110014 A KR 20170110014A KR 101884666 B1 KR101884666 B1 KR 101884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section
yarn
denie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초현
Original Assignee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섬유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0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Abstract

본 발명의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상이한 섬도를 갖는 이형단면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로 구성되어 총섬도가 35~45데니어이고, 강도가 5.5~6.0g/d이고, 신도가 17~20%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유점도가 1.0~1.1이고, 올리고머 함량이 0.5~0.6중량%이고, 디에틸렌글리콜 함유량이 0.8~0.9중량%이고, 이산화티탄(TiO2) 함유량이 300~400ppm 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L 값이 87~89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a 값이 -1.4 ~ -1.6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b 값이 3.0~3.2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나일론 6와 유사한 염색특성을 구비하여 다양한 컬러로 염색이 용이하고, 모노필라멘트들 간의 염색차가 적고, 양호한 흡한속건성, 강도, 신도 및 내구성을 구비하고, 일광견뢰도 및 광택도 우수하다.
그로 인해, 본 발명으로 고밀도 니트편물을 제조하면 다기능성, 구체적으로 우수한 경량성, 신축성, 흡한속건성, 드레이프성 및 염색성 등이 동시에 구현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으로 제조된 고밀도 니트 편물은 스포츠용 의류 소재 및 캐쥬얼용 의류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Multi-functional polyester yarn with fine denier and non-round cross section/diffrent monofilament denier}
본 발명은 다기능성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나일론 6와 유사한 염색특성을 구비하면서도 흡한속건성, 드레이프성, 강도 및 신도 등이 우수하여 스포츠용 의류나 캐쥬얼용 의류를 제조하는 원사로 유용한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사섬도가 서로 상이하며 단면 형태가 이형(Non-round) 형태인 모노필라멘트 들로 구성되어 총섬도가 30~50데니어로 세섬도인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라고 정의한다.
종래에는 스포츠 의류용 고밀도 편물 또는 캐쥬얼 의류용 고밀도 편물을 제조하는 원사로는 염색특성이 양호한 나일론 6 원사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나일론 6 원사는 제조원가가 고가이며 일광견뢰도 및 광택이 나쁜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스포츠 의류용 고밀도 편물 등을 제조하는 원사로서 나일론 6 원사 대신에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염색특성이 나빠 다양한 컬러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스포츠 의류용 고밀도 편물 등을 제조하는 원사로서 단면형태가 이형(Non-round) 인 모노필라멘트들로 이루어진 이형단면 나일론 6 원사를 사용하여 고밀도 편물의 흡한속건성, 드레이프성 등을 향상시키는 방법도 사용되어 왔으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광택 및 일광견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였다.
이형단면 멀티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는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6528호에서는 단면형상이 6엽형인 방사구금 홀을 통해 폴리머를 방사(토출)하여 꽃잎형 이형단면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201호에서는 단면형상이 8엽형인 방사구금 홀을 통해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방사(토출)하여 꽃잎형 이형단면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0508호에서는 시스성분 폴리머 토출용 슬릿 5~8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코어성분 폴리머 토출공이 형성된 복합방사 구금 홀을 통해 시스성분 폴리머와 코어성분 폴리머를 복합방사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한 다음 상기 복합섬유 내 코어성분 폴리머를 용출시켜 중공형 이형단면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7465호에서는 다분할 방사노즐을 통해 폴리머를 방사(토출)하여 이형단면의 다분할 중공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방법으로 모노필라멘트의 단면 형태를 이형(Non-round)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모노필라멘트간의 염색차가 심하게 발생하고, 드레이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나일론 6 원사와 같이 우수한 염색특성을 구비하면서도 나일론 6 원사 보다 광택 및 일광견뢰도(내광성)이 뛰어나고, 모노필라멘트들 간의 염색차가 심하게 발생되지 않고, 양호한 강도, 신도, 드레이프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하여 스포츠 또는 캐쥬얼용 고밀도 니트 편물을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상이한 섬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유점도가 1.0~1.1이고, 올리고머 함량이 0.5~0.6중량%이고, 디에틸렌글리콜 함유량이 0.8~0.9중량%이고, 이산화티탄(TiO2) 함유량이 300~400ppm 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L 값이 87~89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a 값이 -1.4 ~ -1.6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b 값이 3.0~3.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 / 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나일론 6와 유사한 염색특성을 구비하여 다양한 컬러로 염색이 용이하고, 모노필라멘트들 간의 염색차가 적고, 양호한 흡한속건성, 강도, 신도 및 내구성을 구비하고, 일광견뢰도 및 광택도 우수하다.
그로 인해, 본 발명으로 고밀도 니트편물을 제조하면 다기능성, 구체적으로 우수한 경량성, 신축성, 흡한속건성, 드레이프성 및 염색성 등이 동시에 구현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으로 제조된 고밀도 니트 편물은 스포츠용 의류 소재 및 캐쥬얼용 의류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단면 사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의 단면 모식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사장치의 저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해도형 복합방사 장치에 포함된 분배판의 단면 개략도.
도 5는 도 4의 해도형 복합방사 장치로 방사되어 해성분(2)을 용출하기 이전 상태인 해도형 복합섬유의 단면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상이한 섬도를 갖는 이형단면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로 구성되어 총섬도가 35~45데니어이고, 강도가 5.5~6.0g/d이고, 신도가 17~20%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유점도가 1.0~1.1이고, 올리고머 함량이 0.5~0.6중량%이고, 디에틸렌글리콜 함유량이 0.8~0.9중량%이고, 이산화티탄(TiO2) 함유량이 300~400ppm 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L 값이 87~89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a 값이 -1.4 ~ -1.6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b 값이 3.0~3.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상이한 섬도를 갖는 이형단면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은 모두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면서 모노필라멘트 모두가 동일한 섬도를 갖는 것이 아니라 이들 중 일부는 섬도가 동일하고 나머지 일부는 섬도가 서로 상이하거나,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 모두의 섬도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돌기부를 갖는 삼각 단면 형태를 구비하면서 단면에 내접하는 삼각형의 중심점(P)으로부터 3개의 돌기부들 중 1개의 돌기부 까지의 거리(L1)가 상기 중심점(P)으로부터 3개 돌기부들 중 나머지 2개의 돌기부 까지의 거리(L2) 대비 1.2~1.5배인 것이 염색성, 촉감 및 흡한속건성을 개선하는데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유점도가 1.0~1.1이고, 올리고머 함량이 0.5~0.6중량%이고, 디에틸렌글리콜 함유량이 0.8~0.9중량%이고, 이산화티탄(TiO2) 함유량이 300~400ppm 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L 값이 87~89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a 값이 -1.4 ~ -1.6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b 값이 3.0~3.2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 등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되거나, 염색성이 떨어지거나, 내광성이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일례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구금 장치(D)의 저면에 동심원을 따라 배열된 삼각 단면 형태의 토출공(B)들을 통해 고유점도, 올리고머 함량 및 색차 값 등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액을 방사한 후, 상기 토출공(B)을 통해 방사되는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을 집속한 다음 응고, 건조 및 연신하여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또 다른 일례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성분 토출공(B)과 해성분 토출용 슬릿(A)들을 구비하는 분배판(D)이 설치된 해도형 복합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도 5와 같은 단면 형태의 해도형 복합섬유를 방사한 다음, 상기 해도형 복합섬유를 물에 침지시켜 해도형 복합섬유 중 해성분(2)을 용출시켜 도 1과 같이 도성분인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들로만 구성된 실크-라이크 합성섬유 원사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도성분 토출공(B)으로는 고유점도, 올리고머 함량 및 색차 값 등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액을 토출, 방사하고, 상기 해성분 토출용 슬릿(A)으로는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토출, 방사해 준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 / 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나일론 6와 유사한 염색특성을 구비하여 다양한 컬러로 염색이 용이하고, 모노필라멘트들 간의 염색차가 적고, 양호한 흡한속건성, 강도, 신도 및 내구성을 구비하고, 일광견뢰도 및 광택도 우수하다.
그로 인해, 본 발명으로 고밀도 니트편물을 제조하면 다기능성, 구체적으로 우수한 경량성, 신축성, 흡한속건성, 드레이프성 및 염색성 등이 동시에 구현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으로 제조된 고밀도 니트 편물은 스포츠용 의류 소재 및 캐쥬얼용 의류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게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구금 장치(D)의 저면에 동심원 상으로 형성된 삼각단면 형태의 토출공(B)들을 통해서 고유점도가 1,048이고, 올리고머 함량이 0.55중량%이고, 디에틸렌글리콜 함유량이 0.82중량% 이고, 이산화티탄 함유량이 345ppm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L값이 88이고, a값이 -1.5이고, b값이 3.1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액을 방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돌기부를 갖는 삼각 단면 형태를 구비하면서 L1 거리가 L2 거리대비 1.3배이고 섬도가 서로 상이한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 형성하였다.
다음으로는, 방사된 상기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 36가닥을 집속한 후 응고, 수세 및 연신하여 연신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연신사를 가연(Draw-Texturing) 가공하여 총섬도가 40데니어인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성분 토출공(B)과 해성분 토출용 슬릿(A)들을 구비하는 분배판(D)이 설치된 해도형 복합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도성분 토출공(B)을 통해서는 고유점도가 1,067이고, 올리고머 함량이 0.52중량%이고, 디에틸렌글리콜 함유량이 0.85중량% 이고, 이산화티탄 함유량이 330ppm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L값이 89이고, a값이 -1.4이고, b값이 3.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액을 방사하고 상기 해성분 토출용 슬릿(A)을 통해서 수용성 폴리머(폴리비닐알코올)을 방사하여 도 5와 같은 단면 형태를 갖는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조한 다음, 상기 해도형 복합섬유를 물에 침지시켜 해도형 복합섬유 중에서 해도형(2)을 용출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돌기부를 갖는 삼각 단면 형태를 구비하면서도 L1 거리가 L2 거리 대비 1.4배이고 섬도가 서로 상이한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는, 방사된 상기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을 집속한 후 응고, 수세 및 연신하여 연신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연신사를 에어텍스츄어링 가공하여 총섬도가 40데니어인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구금 장치(D)의 저면에 동심원 상으로 형성된 삼각단면 형태의 토출공(B)들을 통해서 고유점도가 0.655이고, 올리고머 함량이 1.78중량%이고, 디에틸렌글리콜 함유량이 1.24중량% 이고, 이산화티탄 함유량이 1,943ppm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L값이 76.3이고, a값이 -3.9이고, b값이 7.3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액을 방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돌기부를 갖는 삼각 단면 형태를 구비하면서 L1 거리가 L2 거리대비 1.6배이고 섬도가 서로 상이한 모노필라멘트(1)들 형성하였다.
다음으로는, 방사된 상기 모노필라멘트(1)들을 집속한 후 응고, 수세 및 연신하여 연신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연신사를 에어텍스츄어링 가공하여 총섬도가 40데니어인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실시예 1
강도(g/d) 5.8 5.9 5.3
신도(%) 19 18 12
드레이프성 양호 양호 불량
염색성 양호 양호 불량
광택 양호 양호 불량
표1의 드레이프성, 염색성 및 광택은 전문가 10인의 관능검사 결과 전문가 8명 이상이 우수하다고 판정되면 "양호"로, 전문가 7명 이하가 우수하다고 판정하면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Y :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1 :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
P :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의 단면에 내접하는 삼각형의 중심점
L1,L2,L3 : 모노필라멘트의 단면에 내접하는 삼각형의 중심점(P)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돌기부 까지의 거리
D : 방사장치 또는 분배판
B : 토출공
A : 토출용 슬릿

Claims (2)

  1.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상이한 섬도를 갖는 이형단면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들로 구성되어 총섬도가 35~45데니어이고, 강도가 5.5~6.0g/d이고, 신도가 17~20%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유점도가 1.0~1.1이고, 올리고머 함량이 0.5~0.6중량%이고, 디에틸렌글리콜 함유량이 0.8~0.9중량%이고, 이산화티탄(TiO2) 함유량이 300~400ppm 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L 값이 87~89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a 값이 -1.4 ~ -1.6이고, 색차계로 측정한 b 값이 3.0~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1)는 3개의 돌기부를 갖는 삼각 단면 형태를 구비하면서 단면에 내접하는 삼각형의 중심점(P)으로부터 상기 3개의 돌기부들 중 1개 돌기부 까지의 거리(L1)가 상기 중심점(P)으로부터 상기 3개의 돌기부들 중 나머지 2개의 돌기부까지의 거리(L2) 대비 1.2~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KR1020170110014A 2017-08-30 2017-08-30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KR101884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14A KR101884666B1 (ko) 2017-08-30 2017-08-30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14A KR101884666B1 (ko) 2017-08-30 2017-08-30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666B1 true KR101884666B1 (ko) 2018-08-29

Family

ID=6343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014A KR101884666B1 (ko) 2017-08-30 2017-08-30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6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9843A (zh) * 2019-12-20 2020-05-01 攀枝花东方钛业有限公司 塑料体系钛白粉应用性能的检测方法
KR20210142438A (ko) * 2020-05-18 2021-11-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다엽형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하이 엣지를 가지는 다엽형의 유사 실크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원단
KR102416210B1 (ko) * 2021-10-12 2022-07-0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Uv차단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808A (ja) 2007-04-17 2008-11-06 Nippon Ester Co Ltd 異繊度異伸度混繊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808A (ja) 2007-04-17 2008-11-06 Nippon Ester Co Ltd 異繊度異伸度混繊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9843A (zh) * 2019-12-20 2020-05-01 攀枝花东方钛业有限公司 塑料体系钛白粉应用性能的检测方法
KR20210142438A (ko) * 2020-05-18 2021-11-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다엽형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하이 엣지를 가지는 다엽형의 유사 실크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원단
KR102356900B1 (ko) 2020-05-18 2022-01-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다엽형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하이 엣지를 가지는 다엽형의 유사 실크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원단
KR102416210B1 (ko) * 2021-10-12 2022-07-0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Uv차단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666B1 (ko) 다기능성 세섬도 이형단면/이섬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KR101594290B1 (ko)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 단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스트레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008255B (zh) 具有良好伸缩性的聚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543113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S59223314A (ja) 異染性複合ポリエステル繊維
KR102073484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8361B1 (ko) 흡한속건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2153A (ko) 고신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KR20040088608A (ko) 동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 복합사 및 그제조방법
KR101822434B1 (ko) 실크-라이크 폴리에스테르 원사
KR102402950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ity 복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5237B1 (ko) 폴리에스터 시스코어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197100B1 (ko) 원단의 유연성을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351B1 (ko) 이수축 혼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KR100481094B1 (ko) 다층분할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9304B1 (ko) 카치온 가염형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0411770B1 (ko)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
JP2009074188A (ja) 丸編地および繊維製品
KR101960856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0528A (ko) 원단의 터치감을 부드럽게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JPH09228181A (ja) 斑 糸
KR100490789B1 (ko) 초극세섬유의제조방법
KR20240014211A (ko)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