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486A -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운동 해석 방법, 표시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운동 해석 방법, 표시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486A
KR20160076486A KR1020150183916A KR20150183916A KR20160076486A KR 20160076486 A KR20160076486 A KR 20160076486A KR 1020150183916 A KR1020150183916 A KR 1020150183916A KR 20150183916 A KR20150183916 A KR 20150183916A KR 20160076486 A KR20160076486 A KR 2016007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rotation angle
change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야 고다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7Striking surfaces with impact indicating means, e.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86Timers, rhythm indicators or pac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3Recognition of whole body movements, e.g. for sport trai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0Athle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8/00Aspects of pattern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 G06F2218/12Classification; Matching
    • G06F2218/14Classification; Matching by matching peak patter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윙에서의 운동구의 샤프트부의 축 둘레에 발생하는 회전각의 변화를 구하는 각도 검출부와, 상기 스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중 적어도 일부의 평가를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행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장치.

Description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운동 해석 방법, 표시 장치 및 기록 매체{EXERCISE ANALYSIS DEVICE, EXERCISE ANALYSIS SYSTEM, EXERCISE ANALYSIS METHOD,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운동 해석 방법, 표시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골프 스윙에는, 어드레스(address)로부터 임팩트(impact)에 이르기까지의 기간 중에, 하프웨이 백(halfway back), 톱(top), 네추럴 언콕(natural-uncock), 하프웨이 다운(halfway down) 등의 몇 개의 체크 포인트가 있으며, 골퍼가 이상적인 스윙을 목표로 하기 위해서는, 각 체크 포인트에서 양호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지름길이다.   
종래, 골프 스윙을 체크하려면, 스윙 동작의 촬영이 유효하게 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거동 계측 장치(카메라)에 의해서 골프 클럽의 페이스 로테이션을 계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2-239627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는, 페이스 로테이션의 계측 결과를 골프 클럽의 번수(番手) 선정에 이용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간단하게 또한 객관적으로 스윙을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몇개의 형태에 의하면, 간단하게 또한 객관적으로 스윙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운동 해석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본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는,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윙에서의 운동구의 샤프트부의 축 둘레에 발생하는 회전각의 변화를 구하는 각도 검출부와, 상기 스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중 적어도 일부의 평가를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행하는 평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적용예 1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는, 유저의 스윙의 적어도 일부를 간단하게 또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적용예 2] 
상기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에서, 상기 평가부는, 스윙 개시로부터 하프웨이 백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테이크 백(take back)의 평가를 행해도 괜찮다. 따라서, 적용예 2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는, 유저의 테이크 백에 대해 특히 상세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적용예 3] 
상기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에서, 상기 평가부는, 톱으로부터 하프웨이 다운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다운 스윙의 평가를 행해도 괜찮다. 따라서, 본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는, 유저의 다운 스윙에 대해 특히 상세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적용예 4] 
상기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에서, 상기 평가부는, 스윙 개시에서의 상기 회전각과 임팩트에서의 상기 회전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운동구를 취급하는 유저의 자세의 평가를 행해도 괜찮다. 따라서, 본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는, 예를 들면 유저의 임팩트나 어드레스 등의 자세에 대해 특히 상세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적용예 5] 
본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와, 상기 관성 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시스템은, 유저의 스윙을 간단하게 또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적용예 6] 
본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방법은,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윙에서의 운동구의 샤프트부의 축 둘레에 발생하는 회전각의 변화를 구하는 각도 검출 공정과, 상기 스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중 적어도 일부의 평가를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행하는 평가 공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적용예 6에 관한 운동 해석 방법은, 유저의 스윙을 간단하게 또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적용예 7] 
본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방법은, 상기 평가 공정이, 스윙 개시로부터 하프웨이 백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테이크 백의 평가를 행한다.   
[적용예 8] 
본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방법은, 상기 평가 공정이, 톱으로부터 하프웨이 다운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다운 스윙의 평가를 행한다.   
[적용예 9] 
본 적용예에 관한 운동 해석 방법은, 상기 평가 공정이, 스윙 개시에서의 상기 회전각과 임팩트에서의 상기 회전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운동구를 취급하는 유저의 자세의 평가를 행한다.   
[적용예 10] 
본 적용예에 관한 표시 장치는,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윙에서의 운동구의 샤프트부의 축 둘레에 발생하는 회전각의 변화와, 상기 스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는 평가를 표시한다.    
[적용예 11] 
본 적용예에 관한 기록 매체는,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윙에서의 운동구의 샤프트부의 축 둘레에 발생하는 회전각의 변화를 구하는 각도 검출 순서와, 상기 스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중 적어도 일부의 평가를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행하는 평가 순서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는 운동 해석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본 적용예에 관한 기록 매체는, 유저의 스윙을 간단하게 또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게 또한 객관적으로 스윙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운동 해석 시스템의 예로서의 스윙 해석 시스템의 개요의 설명도. 
도 2는 센서 유닛의 장착 위치 및 방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 유저가 행하는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스윙 해석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어드레스시에서의 골프 클럽(3)과 글로벌 좌표계 ∑XYZ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스윙 해석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  
도 7은 제1 동작 검출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
도 8의 (A)는 스윙시의 3축 각속도를 그래프 표시한 도면, 도 8의 (B)는 3축 각속도의 합성값을 그래프 표시한 도면, 도 8의 (C)는 3축 각속도의 합성값의 미분값을 그래프 표시한 도면. 
도 9는 제2 동작 검출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스윙 평가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 
도 11은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를 나타내는 도면(초급 골퍼인 경우).  
도 12는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를 나타내는 도면(상급 골퍼인 경우).  
도 13은 평가 결과의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초급 골퍼인 경우).  
도 14는 평가 결과의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상급 골퍼인 경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요건이라는 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운동 해석 시스템의 일례로서 골프 스윙의 해석을 행하는 스윙 해석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스윙 해석 시스템 
1-1. 스윙 해석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스윙 해석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스윙 해석 시스템(1)은, 센서 유닛(10)(관성 센서의 일례) 및 스윙 해석 장치(20)(운동 해석 장치의 일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센서 유닛(10)은, 3축의 각 축 방향에 생기는 가속도와 3축의 각 축 둘레에 생기는 각속도를 계측 가능하고, 골프 클럽(3)(운동구의 일례)에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10)은, 3개의 검출축(x축, y축, z축) 중 1축, 예를 들면 y축을 샤프트의 장축 방향에 맞추어, 골프 클럽(3)의 샤프트의 일부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유닛(10)은, 타구시의 충격이 전해지기 어렵고, 스윙시에 원심력이 걸리지 않은 그립에 가까운 위치에 장착된다. 샤프트(샤프트부의 일예)는, 골프 클럽(3)의 헤드를 제외한 손잡이의 부분이며, 그립도 포함된다.   
유저(2)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골프 볼(4)을 타구하는 스윙 동작을 행한다. 도 3은, 유저(2)가 행하는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2)는, 먼저, 골프 클럽(3)을 쥐고, 골프 클럽(3)의 샤프트의 장축이 타겟 라인(타구의 목표 방향)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어드레스의 자세를 취하며, 소정 시간 이상(예를 들면, 1초 이상) 정지(靜止)한다(S1). 다음으로, 유저(2)는, 스윙 동작을 행하여, 골프 볼(4)을 타구한다(S2).
유저(2)가 도 3에 나타내는 순서에 따라서 골프 볼(4)을 타구하는 동작을 행하는 동안, 센서 유닛(10)은, 소정 주기(예를 들면 1ms)로 3축 가속도와 3축 각속도를 계측하고, 계측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스윙 해석 장치(20)에 송신한다. 센서 유닛(10)은, 계측한 데이터를 곧바로 송신해도 괜찮고, 계측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유저(2)의 스윙 동작의 종료후 등의 소망의 타이밍에 계측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해도 괜찮다. 센서 유닛(10)과 스윙 해석 장치(20)와의 사이의 통신은, 무선 통신이라도 좋고, 유선 통신이라도 좋다. 혹은, 센서 유닛(10)은, 계측한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등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해 두고, 스윙 해석 장치(20)는, 해당 기록 매체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읽어내도록 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스윙 해석 장치(20)는, 센서 유닛(10)이 계측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스윙에서의 양부를 평가한다. 그리고, 스윙 해석 장치(20)는, 평가 결과를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 스윙 해석 장치(20)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 등의 휴대 기기나 퍼스널 컴퓨터(PC)라도 좋다.   
1-2. 스윙 해석 시스템의 구성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스윙 해석 시스템(1)의 구성예(센서 유닛(10) 및 스윙 해석 장치(2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유닛(10)은, 가속도 센서(12), 각속도 센서(14), 신호 처리부(16) 및 통신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12)는, 서로 교차하는(이상적으로는 직교하는) 3축 방향 각각에 생기는 가속도를 계측하고, 계측한 3축 가속도의 크기 및 방향에 따른 디지털 신호(가속도 데이터)를 출력한다.   
각속도 센서(14)는, 서로 교차하는(이상적으로는 직교하는) 3축 각각의 축 둘레에 생기는 각속도를 계측하고, 계측한 3축 각속도의 크기 및 방향에 따른 디지털 신호(각속도 데이터)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6)는, 가속도 센서(12)와 각속도 센서(14)로부터, 각각 가속도 데이터와 각속도 데이터를 받아 시각(時刻) 정보를 부여하여 미도시의 기억부에 기억하고, 기억한 계측 데이터(가속도 데이터와 각속도 데이터)에 시각 정보를 부여하여 통신용 포맷에 맞춘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부(18)에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12) 및 각속도 센서(14)는, 각각 3축이, 센서 유닛(10)에 대해서 정의되는 xyz 직교좌표계(센서 좌표계 ∑XYZ)의 3축(x축, y축, z축)과 일치하도록 센서 유닛(10)에 장착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제로는 장착각의 오차가 생긴다. 그래서, 신호 처리부(16)는, 장착각 오차에 따라 미리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가속도 데이터 및 각속도 데이터를 xyz 좌표계(센서 좌표계 ∑XYZ)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게다가, 신호 처리부(16)는, 가속도 센서(12) 및 각속도 센서(14)의 온도 보정 처리를 행해도 괜찮다. 혹은, 가속도 센서(12) 및 각속도 센서(14)에 온도 보정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가속도 센서(12)와 각속도 센서(14)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라도 괜찮고, 이 경우는, 신호 처리부(16)가, 가속도 센서(12)의 출력 신호와 각속도 센서(14)의 출력 신호를 각각 A/D 변환하여 계측 데이터(가속도 데이터와 각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통신용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면 된다.
통신부(18)는, 신호 처리부(16)로부터 받은 패킷 데이터를 스윙 해석 장치(20)에 송신하는 처리나, 스윙 해석 장치(20)로부터 제어 커맨드(command)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16)에 보내는 처리 등을 행한다. 신호 처리부(16)는, 제어 커맨드에 따른 각종 처리를 행한다.   
스윙 해석 장치(20)는, 처리부(21), 통신부(22), 조작부(23), 기억부(24), 표시부(25), 음(音) 출력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22)는, 센서 유닛(10)으로부터 송신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부(21)에 보내는 처리나, 처리부(21)로부터의 제어 커맨드를 센서 유닛(10)에 송신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조작부(23)는, 유저(2)로부터의 조작 데이터를 취득하여, 처리부(21)에 보내는 처리를 행한다. 조작부(23)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형 디스플레이, 버튼, 키, 마이크 등이라도 좋다.   
기억부(24)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이나 플래시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각종 IC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24)는, 처리부(21)가 각종의 계산 처리나 제어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24)에는, 처리부(21)에 의해서 읽어내어지고, 스윙 해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스윙 해석 프로그램(240)이 기억되어 있다. 스윙 해석 프로그램(240)은 미리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어도 괜찮고, 처리부(21)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로부터 스윙 해석 프로그램(240)을 수신하여 기억부(24)에 기억시켜도 괜찮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24)에는, 골프 클럽(3)의 사양을 나타내는 클럽 사양 정보(242) 및 센서 장착 위치 정보(244)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유저(2)가 조작부(23)를 조작하여 사용하는 골프 클럽(3)의 제품번호를 입력(혹은, 제품번호 리스트로부터 선택)하고, 기억부(24)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제품번호마다의 사양 정보(예를 들면, 샤프트의 길이, 중심의 위치, 라이각(lie角), 페이스각(face角), 로프트각(loft角) 등의 정보 등) 중, 입력된 제품번호의 사양 정보를 클럽 사양 정보(242)로 한다. 혹은, 센서 유닛(10)을 정해진 소정 위치(예를 들면, 그립으로부터 20cm의 거리 등)에 장착하는 것으로서, 해당 소정 위치의 정보가 센서 장착 위치 정보(244)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기억부(24)는, 처리부(21)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며, 조작부(23)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처리부(21)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행한 연산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게다가, 기억부(24)는, 처리부(21)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중, 장기적인 보존이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해도 괜찮다.   
표시부(25)는, 처리부(21)의 처리 결과를 문자, 그래프, 표, 애니메이션, 그 외의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부(25)는, 예를 들면, CRT, LCD, 터치 패널형 디스플레이, HMD(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이라도 좋다. 또, 1개의 터치 패널형 디스플레이에서 조작부(23)와 표시부(25)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해도 괜찮다.  
음 출력부(26)는, 처리부(21)의 처리 결과를 음성이나 버저음 등의 소리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음 출력부(26)는, 예를 들면, 스피커나 버저 등이라도 좋다.
처리부(21)는,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센서 유닛(10)에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처리나, 센서 유닛(10)으로부터 통신부(22)를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각종의 계산 처리나, 그 외의 각종의 제어 처리를 행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부(21)는, 스윙 해석 프로그램(240)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동작 검출부(211), 각도 검출부(214), 평가부(215), 표시 처리부(217)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처리부(21)는, 통신부(22)가 센서 유닛(10)으로부터 수신한 패킷 데이터를 받고, 받은 패킷 데이터로부터 시각 정보 및 계측 데이터를 취득하며, 이들을 대응지어 기억부(24)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또, 처리부(21)는,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2)의 스윙에서의 각 동작의 타이밍(계측 데이터의 계측 시각)을 검출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또, 처리부(21)는, 계측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속도 데이터를 예를 들면 소정의 계산식에 적용시키는 것에 의해, 센서 유닛(10)의 자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또, 자세 변화는, 예를 들면, 각 축 방향의 회전각(롤각(roll角), 피치각(pitch角), 요각(yaw角), 쿼터니온(quaternion)(4원수(元數)), 회전 행렬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 처리부(21)는, 계측 데이터에 포함되는 가속도 데이터를 예를 들면 시간 적분하는 것에 의해, 센서 유닛(1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또, 위치 변화는, 예를 들면, 각 축 방향의 속도(속도 벡터)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처리부(21)는, 각 시점에서의 샤프트의 자세를, 유저(2)의 정지시(어드레스의 계측 시각 t0)를 기준으로 하여 계측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이하의 공정 (1)~(4)를 행한다.   
(1) 처리부(21)는, 시각 t0의 계측 데이터(가속도 데이터 및 각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측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프셋량을 계산하고, 스윙에서의 계측 데이터로부터 오프셋량을 감산하여 바이어스(bias) 보정한다.   
(2) 처리부(21)는, 시각 t0에서의 가속도 데이터(즉 중력 가속도 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클럽 사양 정보(242)와, 센서 장착 위치 정보(244)에 근거하여, 지상에 대해서 고정되어야 할 XYZ 직교좌표계(글로벌 좌표계 ∑XYZ)를 정한다.
예를 들면, 글로벌 좌표계 ΣXYZ의 원점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0에서의 헤드의 위치로 설정되고, 글로벌 좌표계 ∑XYZ의 Z축은, 연직 상향 방향(즉 중력 가속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며, 글로벌 좌표계 ∑XYZ의 X축은, 시각 t0에서의 센서 좌표계 ∑XYZ의 x축과 동일 방향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글로벌 좌표계 ∑XYZ의 X축을, 타겟 라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3) 처리부(21)는, 골프 클럽(3)의 자세를 나타내는 샤프트 벡터 VS를 정한다. 샤프트 벡터 VS의 선택 방법은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프 클럽(3)의 샤프트의 장축 방향을 향한 단위 벡터를 샤프트 벡터 VS로서 사용한다.   
(4) 처리부(21)는, 글로벌 좌표계 ∑XYZ에서의 시각 t0의 샤프트 벡터 VS를, 초기 샤프트 벡터 VS(t=t0)로 두고, 초기 샤프트 벡터 VS(t=t0)와, 센서 유닛(10)의 자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바이어스 보정후)에 근거하여, 글로벌 좌표계 ∑XYZ에서의 각 시각의 샤프트 벡터 VS(t)를 계산한다.    
또, 여기에서는, 계측 데이터의 바이어스 보정을 처리부(21)가 행했지만, 센서 유닛(10)의 신호 처리부(16)가 행해도 괜찮고, 가속도 센서(12) 및 각속도 센서(14)에 바이어스 보정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처리부(21)는, 기억부(24)에 대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의 읽기/쓰기 처리를 행한다. 처리부(21)는, 통신부(22)로부터 받은 시각 정보와 계측 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부(24)에 기억시키는 처리 외에, 계산한 각종의 정보 등을 기억부(24)에 기억시키는 처리도 행한다.   
처리부(21)는, 표시부(25)에 대해서 각종의 화상(처리부(21)가 생성한 운동 해석 정보(평가 결과)에 대응하는 화상, 문자, 기호 등)을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표시 처리부(217)는, 유저(2)의 스윙 운동이 종료한 후, 자동적으로, 혹은, 유저(2)의 입력 조작에 따라 처리부(21)가 생성한 운동 해석 정보(평가 결과)에 대응하는 화상이나 문자 등을 표시부(25)에 표시시킨다. 혹은, 센서 유닛(10)에 표시부를 마련해 두고, 표시 처리부(217)가, 통신부(22)를 통해서 센서 유닛(10)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센서 유닛(10)의 표시부에 각종의 화상이나 문자 등을 표시시켜도 괜찮다.
처리부(21)는, 음 출력부(26)에 대해서 각종의 소리(음성이나 버저음 등도 포함함)를 출력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처리부(21)는, 유저(2)의 스윙 운동이 종료한 후, 자동적으로, 혹은, 소정의 입력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의 정보를 읽어내어 음 출력부(26)에 스윙 해석용 소리나 음성을 출력시켜도 괜찮다. 혹은, 센서 유닛(10)에 음 출력부를 마련해 두고, 처리부(21)는, 통신부(22)를 통해서 센서 유닛(10)에 각종의 소리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여, 센서 유닛(10)의 음 출력부에 각종의 소리나 음성을 출력시켜도 괜찮다.
또, 스윙 해석 장치(20) 혹은 센서 유닛(10)에 진동 기구를 마련해 두고, 해당 진동 기구에 의해 각종의 정보를 진동 정보로 변환하여 유저(2)에 제시해도 괜찮다.   
1-3. 스윙 해석 장치의 처리 
[스윙 해석 처리]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스윙 해석 장치(20)의 처리부(21)에 의한 스윙 해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이다. 스윙 해석 장치(20)(컴퓨터의 일례)의 처리부(21)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스윙 해석 프로그램(240)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도 6의 플로우 차트의 순서로 스윙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도 6의 플로우 차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처리부(21)는, 센서 유닛(10)의 계측 데이터를 취득한다(S10). 처리부(21)는, 공정 S10에서, 유저(2)의 스윙(정지 동작도 포함함)에서의 최초의 계측 데이터를 취득하면 리얼 타임으로 공정 S20 이후의 처리를 행해도 괜찮고, 센서 유닛(10)으로부터 유저(2)의 스윙 운동에서의 일련의 계측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취득한 후에, 공정 S20 이후의 처리를 행해도 괜찮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센서 유닛(10)으로부터 취득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2)의 정지 동작(어드레스 동작)(도 3의 스텝 S1의 동작)을 검출한다(S20). 처리부(21)는, 리얼 타임으로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정지 동작(어드레스 동작)을 검출한 경우에, 예를 들면, 소정의 화상이나 소리를 출력하거나, 혹은, 센서 유닛(10)에 LED를 마련해 두고 해당 LED를 점등시키는 등에 의해, 유저(2)에 정지 상태를 검출한 것을 통지하며, 유저(2)는, 이 통지를 확인한 후에 스윙을 개시해도 괜찮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센서 유닛(10)으로부터 취득한 계측 데이터(유저(2)의 정지 동작(어드레스 동작)에서의 계측 데이터), 클럽 사양 정보(242) 및 센서 장착 위치 정보(244) 등을 이용하여, 센서 유닛(10)의 초기 위치와 초기 자세를 계산한다(S30).   
다음으로, 처리부(21)는, 센서 유닛(10)으로부터 취득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윙에서의 각 동작(구체적으로는, 스윙 개시, 하프웨이 백, 톱, 하프웨이 다운, 임팩트 등)을 검출한다(S40). 이 동작 검출 처리의 순서의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처리부(21)는, 공정 S40의 처리와 병행하거나 혹은 전후로 하여, 센서 유닛(10)으로부터 취득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윙에서의 센서 유닛(10)의 위치와 자세를 계산한다(S50).   
다음으로, 처리부(21)는, 공정 S40에서 검출한 각 동작의 계측 시각과, 스윙에서의 샤프트 회전각에 근거하여, 유저(2)의 스윙을 평가한다(S60). 또, 스윙의 평가 처리에 관한 순서의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공정 S60에서의 스윙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부(25)에 표시시키고(S70), 처리를 종료한다. 또, 표시 처리에 관한 순서의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도 6의 플로우 차트에서, 가능한 범위에서 각 공정의 순서를 적절히 바꾸어도 괜찮다.   
[제1 동작 검출 처리] 
도 7은, 제1 동작 검출 처리(도 6의 공정 S40의 처리의 일부)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이다. 제1 동작 검출 처리의 검출 대상은, 스윙 개시, 톱, 임팩트이다. 제1 동작 검출 처리는, 동작 검출부(211)로서의 처리부(21)의 동작에 대응한다. 이하, 도 7의 플로우 차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처리부(21)는, 기억부(24)에 기억된 계측 데이터(가속도 데이터 및 각속도 데이터)를 바이어스 보정한다(S200).   
다음으로, 처리부(21)는, 공정 S200에서 바이어스 보정한 각속도 데이터(시각 t마다의 각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시각 t에서의 각속도의 합성값 n0(t)의 값을 계산한다(S210). 예를 들면, 시각 t에서의 각속도 데이터를 x(t), y(t), z(t)로 하면, 각속도의 합성값 n0(t)는, 다음의 식 (1)에서 계산된다.    
[수식 1]
Figure pat00001
유저(2)가 스윙을 행하여 골프 볼(4)을 쳤을 때의 3축 각속도 데이터 x(t), y(t), z(t)의 일례를, 도 8의 (A)에 나타낸다. 도 8의 (A)에서, 가로축은 시간(msec), 세로축은 각속도(dps)이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각 시각 t에서의 각속도의 합성값 n0(t)을 소정 범위로 정규화(스케일 변환)한 합성값 n(t)로 변환한다(S220). 예를 들면, 계측 데이터의 취득 기간에서의 각속도의 합성값의 최대치를 max(n0)로 하면, 다음의 식 (2)에 의해, 각속도의 합성값 n0(t)가 0~100의 범위로 정규화한 합성값 n(t)으로 변환된다.    
[수식 2]
Figure pat00002
도 8의 (B)는, 도 8의 (A)의 3축 각속도 데이터 x(t), y(t), z(t)로부터 3축 각속도의 합성값 n0(t)를 식 (1)에 따라서 계산한 후에 식 (2)에 따라서 0~100로 정규화한 합성값 n(t)를 그래프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의 (B)에서, 가로축은 시간(msec), 세로축은 각속도의 합성값이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각 시각 t에서의 정규화 후의 합성값 n(t)의 미분 dn(t)를 계산한다(S230). 예를 들면, 3축 각속도 데이터의 계측 주기를 Δt로 하면, 시각 t에서의 각속도의 합성값의 미분(차분(差分)) dn(t)는 다음의 식 (3)에서 계산된다.
[수식 3]
Figure pat00003
도 8의 (C)는, 도 8의 (B)의 3축 각속도의 합성값 n(t)로부터 그 미분 dn(t)를 식 (3)에 따라서 계산하고, 그래프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의 (C)에서, 가로축은 시간(msec), 세로축은 3축 각속도의 합성값의 미분값이다. 또, 도 8의 (A) 및 도 8의 (B)에서는 가로축을 0~5초로 표시하고 있지만, 도 8의 (C)에서는, 임팩트의 전후의 미분값의 변화를 알 수 있도록, 가로축을 2초~2.8초로 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합성값의 미분 dn(t)의 값이 최대가 되는 시각과 최소가 되는 시각 중, 앞의 시각을 임팩트의 계측 시각 t3로서 특정한다(S240)(도 8의 (C) 참조). 통상의 골프 스윙에서는, 임팩트의 순간에 스윙 속도가 최대가 된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리고, 스윙 속도에 따라 각속도의 합성값의 값도 변화한다고 생각되어지므로, 일련의 스윙 동작 중에서 각속도의 합성값의 미분값이 최대 또는 최소가 되는 타이밍(즉, 각속도의 합성값의 미분값이 정(正)의 최대치 또는 부(負)의 최소치가 되는 타이밍)을 임팩트의 타이밍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 임팩트에 의해 골프 클럽(3)이 진동하기 때문에, 각속도의 합성값의 미분값이 최대가 되는 타이밍과 최소가 되는 타이밍이 쌍으로 되어 생긴다고 생각되어지지만, 그 중의 앞의 타이밍이 임팩트의 순간이라고 생각되어진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임팩트의 계측 시각 t3보다 전에서 합성값 n(t)이 0에 가까워지는 극소점의 시각을 톱의 계측 시각 t2로서 특정한다(S250)(도 8의 (B) 참조). 통상의 골프 스윙에서는, 스윙 개시 후, 톱에서 일단 동작이 멈추고, 그 후, 서서히 스윙 속도가 크게 되어 임팩트에 이른다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임팩트의 타이밍보다 전에서 각속도의 합성값이 0에 가까워져 극소가 되는 타이밍을 톱의 타이밍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톱의 계측 시각 t2의 전후에서 합성값 n(t)이 소정의 문턱값 이하의 구간을 톱 구간으로서 특정한다(S260). 통상의 골프 스윙에서는, 톱에서 일단 동작이 멈추므로, 톱의 전후에서는 스윙 속도가 작다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톱의 타이밍을 포함하여 각속도의 합성값이 소정의 문턱값 이하의 연속한 구간을 톱 구간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톱 구간의 개시 시각보다 전에서 합성값 n(t)이 소정의 문턱값 이하가 되는 최후의 시각을 스윙 개시의 계측 시각 t1로서 특정하고(S270)(도 8의 (B) 참조), 처리를 종료한다. 통상의 골프 스윙에서는, 정지한 상태로부터 스윙 동작을 개시하고, 톱까지 스윙 동작이 멈추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톱의 타이밍보다 전에서 각속도의 합성값이 소정의 문턱값 이하가 되는 최후의 타이밍을 스윙 동작의 개시의 타이밍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 톱의 계측 시각 t2보다 전에, 합성값 n(t)가 0에 가까워지는 극소점의 시각을 스윙 개시의 계측 시각으로 특정해도 괜찮다.   
또, 도 7의 플로우 차트에서, 가능한 범위에서 각 공정의 순서를 적절히 바꾸어도 괜찮다. 또, 도 7의 플로우 차트에서는, 처리부(21)는, 3축 각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임팩트 등을 특정하고 있지만, 3축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임팩트 등을 특정할 수도 있다.   
[제2 동작 검출 처리] 
도 9는, 제2 동작 검출 처리(도 6의 공정 S40의 처리의 일부)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이다. 제2 동작 검출 처리의 검출 대상은, 하프웨이 백, 하프웨이 다운이다. 제2 동작 검출 처리는, 동작 검출부(211)로서의 처리부(21)의 동작에 대응한다. 이하, 도 9의 플로우 차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처리부(21)는, 스윙 개시의 계측 시각 t1으로부터 임팩트의 계측 시각 t3까지의 소정 기간(시각 t1~t3)의 각 시각 t에서의 샤프트 벡터 VS(t)를 계산한다(S280).   
다음으로, 처리부(21)는, 각 시각 t에서의 샤프트 벡터 VS(t)의 Z축 성분을 참조하여, 소정 기간(시각 t1~t3)에서 샤프트 벡터 VS(t)의 Z축 성분이 제로가 되는 2개의 시각을 검출한다(S290).   
다음으로, 처리부(21)는, 2개의 시각 중 앞의 시각을 하프웨이 백의 계측 시각 tb로서 특정한다(S300).   
또, 처리부(21)는, 2개의 시각 중 뒤의 시각을 하프웨이 다운의 계측 시각 td로서 특정하고(S310), 처리를 종료한다.   
또, 여기서 말하는 「하프웨이 백」은, 스윙 개시 후의 최초로 골프 클럽(3)의 샤프트가 수평(XY평면과 평행)이 되는 시점인 것을 가리키고 있으며, 여기서 말하는 「하프웨이 다운」은, 하프웨이 백 다음에 골프 클럽(3)의 샤프트가 수평이 되는 시점인 것을 가리키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샤프트 벡터 VS(t)의 Z축 성분이 최초로 제로가 되는 시각을 하프웨이 백의 계측 시각 tb로 간주하고, Z축 성분이 다음에 제로가 되는 시각을 하프웨이 다운의 계측 시각 td로 간주했다.   
또, 도 9의 플로우 차트에서는, 샤프트 벡터 VS(t)의 Z축 성분만을 사용하므로, 공정 S280에서의 샤프트 벡터 VS(t)의 X축 성분 및 Y축 성분의 산출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9의 플로우 차트에서는, 샤프트가 수평이 되는 시각을 검출하기 위해서 샤프트 벡터 VS(t)의 Z축 성분을 사용했지만, 다른 지표, 예를 들면, 샤프트의 자세를 나타내는 쿼터니온의 일부의 성분 등을 사용해도 괜찮다.   
또, 도 9의 플로우 차트에서, 가능한 범위에서 각 공정의 차례를 적절히 바꾸어도 괜찮다.  
[스윙의 평가 처리] 
도 10은, 스윙의 평가 처리(도 6의 공정 S60)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이다. 스윙의 평가 처리는, 주로 각도 검출부(214) 및 평가부(215)로서의 처리부(21)의 동작에 대응한다. 이하, 도 10의 플로우 차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처리부(21)는, 스윙 개시의 계측 시각 t1으로부터 임팩트의 계측 시각 t3까지의 소정 기간(시각 t1~t3)의 각 시각 t에서의 샤프트 회전각 θ(t)을 계산한다(S610).  
시각 t에서의 샤프트 회전각 θ(t)은, 시각 t에서의 골프 클럽(3)의 샤프트의 중심축의 둘레의 회전각으로서, 여기에서는 시각 t1에서의 회전각을 기준으로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샤프트 회전각 θ(t)은, 센서 유닛(10)이 생성한 y축 둘레의 각속도 데이터를, 시각 t1으로부터 시각 t까지의 구간에 걸쳐서 시간 적분하는 것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덧붙여서, 골프 클럽(3)이 오른손잡이용인 경우, 처리부(21)는, 골프 클럽(3)을 쥔 유저(2)로부터 보아 우회전의 방향을 +θ 방향으로 설정하고, 골프 클럽(3)이 왼손잡이용인 경우는, 골프 클럽(3)을 쥔 유저(2)로부터 보아 좌회전의 방향을 +θ 방향으로 설정한다. 또, 처리부(21)는, 골프 클럽(3)이 오른손잡이용인지 왼손잡이용인지에 대한 판별을, 예를 들면, 클럽 사양 정보(242)에 근거하여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 나타내는 것은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의 일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 회전각 θ(t)의 기준은, 시각 t1에서의 샤프트 회전각 θ(t=t1)이므로, 시각 t1에서의 샤프트 회전각 θ(t=t1)의 값은, 제로이다. 또, 샤프트 회전각 θ(t)은, 백스윙의 기간(시각 t1~t2) 중에 크게 되는 경향이 있고, 다운 스윙의 기간(시각 t2~t3) 중에 작게 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소정 기간(시각 t1~t3)에서의 샤프트 회전각 θ의최대치(최대 회전각 θmax)를, 스윙 전체를 대략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서 구한다(S611).   
여기서, 도 11에 나타내는 것은, 골프 초급자에 의한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의 일례이며, 도 12에 나타내는 것은, 골프 상급자(예를 들면 프로 골퍼)에 의한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의 일례이다. 도 11, 도 12를 비교하면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최대 회전각 θmax는, 골프 초급자 보다도 골프 상급자의 쪽이 작게 되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골프 초급자는, 헤드의 무게에 의해 흔들려 손목의 회전량이 과다하게 되기 쉬운 것에 대해, 골프 상급자는, 헤드의 무게에 저항하여 손목을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서, 프로 골퍼의 최대 회전각 θmax는, 큰 경우라도, 겨우 50deg 정도이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최대 회전각 θmax가 미리 정해진 이상(理想) 상한값 Ta 미만에 들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여(S612),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유저(2)의 스윙이 전체적으로 양호(손목 회전량이 적절)하다는 취지의 평가 결과를 취득하고(S613),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2)의 스윙이 전체적으로 불량(손목 회전량이 과다)하다는 취지의 평가 결과를 취득한다(S614). 또, 이상 상한값 Ta의 값은, 예를 들면, 여러 프로 골퍼에 있어서의 최대 회전각과 동일한 정도(50deg)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테이크 백의 계측 시각 tb에서의 샤프트 회전각 θ(t=tb)으로부터, 스윙 개시의 계측 시각 t1에서의 샤프트 회전각 θ(t=t1)를 감산하는 것에 의해, 테이크 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인 차분(差分) Δb를 산출한다(S615).
여기서, 도 11, 도 12를 비교하면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차분 Δb는, 골프 초급자 보다도 골프 상급자의 쪽이 작은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골프 초급자는, 손목의 회전에 의지하여 테이크 백하는 것이 많은 것에 대해, 골프 상급자는, 손목의 회전에 의지하지 않고 신체의 회전을 사용하여 테이크 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차분 Δb가 소정의 임계치 Tb 미만에 들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여(S616),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유저(2)의 테이크 백 동작이 양호(손목 회전량이 적절)하다는 취지의 평가 결과를 취득하고(S617),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2)의 테이크 백 동작이 불량(손목 회전량이 과다)하다는 취지의 평가 결과를 취득한다(S618).   
다음으로, 처리부(21)는, 톱의 계측 시각 t2로부터 하프웨이 다운의 계측 시각 td까지의 기간(t2~td) 중에서의 샤프트 회전각 θ(t)의 변화폭 Δc를, 다운 스윙의 평가 지표로서 산출한다(S619). 변화폭 Δc는, 예를 들면, 기간(t2~td)에서의 최대의 샤프트 회전각으로부터, 기간(t2~td)에서의 최소의 샤프트 회전각을 감산하는 것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 도 12를 비교하면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변화폭 Δc는, 골프 초급자 보다도 골프 초급자의 쪽이 작은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골프 초심자는, 다운 스윙에서 헤드가 눕는 경향이 있는 것에 대해, 골프 상급자는, 다운 스윙에서 헤드가 세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변화폭 Δc가 임계치 Tc 미만에 들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여(S620),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유저(2)의 다운 스윙이 양호하다(헤드가 세워져 있다)는 취지의 평가 결과를 취득하고(S621),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2)의 다운 스윙이 불량이다(헤드가 누워 있다)는 취지의 평가 결과를 취득한다(S622).   
다음으로, 처리부(21)는, 임팩트의 계측 시각 t3에서의 샤프트 회전각 θ3를, 임팩트 자세의 평가 지표로서 참조한다(S623).   
여기서, 도 11, 도 12를 비교하면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샤프트 회전각 θ3는, 골프 초급자는 정(正)의 값이 되는 것이 많은 것에 대해, 골프 상급자는 거의 확실히 부(負)의 값이 된다. 왜냐하면, 골프 초급자는, 임팩트시에 핸드 퍼스트(hand-first)의 자세(손의 위치가 헤드 보다도 타겟측에 가까워진 자세)를 취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 것에 대해, 골프 상급자는, 임팩트시에 핸드 퍼스트의 자세를 거의 확실히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처리부(21)는, 샤프트 회전각 θ3가 제로 미만에 들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여(S624),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유저(2)의 임팩트 자세가 양호하다(핸드 퍼스트의 자세가 취해지고 있다)는 취지의 평가 결과를 취득하고(S635),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2)의 임팩트 자세가 불량하다(핸드 퍼스트의 자세가 취해지지 않는다)는 취지의 평가 결과를 취득하고(S626), 처리를 종료한다.
또, 도 10의 플로우 차트에서, 가능한 범위에서 각 공정의 순서를 적절히 바꾸어도 괜찮다.   
[평가 결과의 표시 처리] 
도 13, 도 14는, 평가 결과의 표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표시 처리는, 주로 표시 처리부(217)로서의 처리부(21)의 동작에 대응한다.
처리부(21)는, 평가 처리(도 10)의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을 작성하고, 작성한 화상을 예를 들면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5)에 표시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것은, 예를 들면 유저(2)가 골프 초급자로서, 모든 평가에서 부정적인 평가 결과(공정 S614, S618, S622, S626)가 얻어진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이며, 도 14에 나타내는 것은, 예를 들면 유저(2)가 골프 상급자로서, 모든 평가에서 긍정적인 평가 결과(공정 S613, S617, S621, S625)가 얻어진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화상은,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이미지와 함께, 메시지 Ia~Id를 표시한 것이다. 도 13에서 부호 Ta로 나타내는 것은, 샤프트 회전각 θ의 이상 상한값이다.   
메시지 Ia는, 스윙 동작이 전체적으로 불량(손목 회전량이 과다)하다는 취지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 Ia의 표시처는, 예를 들면, 이상 상한값 Ta를 나타내는 직선의 근방이다.  
메시지 Ib는, 테이크 백 동작이 불량(손목 회전량이 과다)하다는 취지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 Ib의 표시처는, 예를 들면,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 중, 테이크 백에 대응한 부분이다.   
메시지 Ic는, 다운 스윙이 불량하다(헤드가 누워 있다)는 취지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 Ic의 표시처는, 예를 들면,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 중, 다운 스윙에 대응한 부분이다.  
메시지 Id는, 임팩트 자세가 불량하다(핸드 퍼스트의 자세가 취해지고 있지 않다)는 취지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 Id의 표시처는, 예를 들면,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 중, 임팩트에 대응한 부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화상은,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이미지와 함께, 메시지 Ia'~Id'를 표시한 것이다. 도 14에서 부호 Ta로 나타내는 것은, 샤프트 회전각 θ의 이상 상한값이다.  
메시지 Ia'는, 스윙 동작이 전체적으로 양호(손목 회전량이 적절)하다는 취지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 Ia'의 표시처는, 이상 상한값 Ta를 나타내는 직선의 근방이다.  
메시지 Ib'는, 테이크 백 동작이 양호(손목 회전량이 적절)하다는 취지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 Ib'의 표시처는,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 중, 테이크 백에 대응한 부분이다.   
메시지 Ic'는, 다운 스윙이 양호하다(헤드가 세워져 있다)는 취지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 Ic'의 표시처는,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 중, 다운 스윙에 대응한 부분이다.  
메시지 Id'는, 임팩트 자세가 양호하다(핸드 퍼스트의 자세가 취해져 있다)는 취지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 Id'의 표시처는,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 커브 중, 임팩트에 대응한 부분이다.   
1-4.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처리부(21)는,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여 샤프트 회전각 θ를 검출하고, 샤프트 회전각 θ의 변화(시간 변화)에 근거하여 스윙의 평가를 행한다.  
샤프트 회전각 θ는, 각속도 센서 등의 관성 센서에 의해 간단하게 취득할 수 있는 양이지만, 샤프트 회전각 θ의 시간 변화에는, 스윙에 있어서 중요한 운동 중 하나인 손목의 운동이 강하게 반영된다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처리부(21)는, 유저의 스윙을 간단하게 또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처리부(21)는, 스윙의 평가를 몇 개의 체크 포인트마다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1)는, 스윙의 평가를, 예를 들면, 테이크 백, 다운 스윙, 임팩트 각각에 대해 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처리부(21)는, 유저의 스윙을 상세하게 평가할 수 있다.  
2. 변형예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골프 클럽(운동구의 일례)을 취급하는 유저의 스윙의 자세로서, 임팩트에서의 핸드 퍼스트의 자세를 평가했지만, 다른 타이밍에서의 다른 자세를 평가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에서의 핸드 퍼스트의 자세를, 임팩트에서의 핸드 퍼스트의 자세와 마찬가지로 평가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의 처리부(21)는, 평가 결과의 통지 형태로서 화상을 채용했지만, 예를 들면 광 강도의 시간 변화 패턴, 색의 시간 변화 패턴, 소리의 강도의 변화 패턴, 소리의 주파수의 변화 패턴, 진동의 리듬 패턴 등, 다른 통지 형태를 채용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부(21)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센서 유닛(10)측에 탑재해도 괜찮다. 또, 센서 유닛(10)의 일부의 기능을, 처리부(21)측에 탑재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부(21)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스윙 해석 장치(20)의 외부 장치(태블릿 PC, 노트 PC, 데스크탑 PC, 스마트 폰, 네트워크 서버 등)가 실행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취득한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스윙 해석 장치(20)가 네트워크 서버 등의 외부 장치로 전송(업로드)해도 괜찮다. 유저는, 업 로드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스윙 해석 장치(20) 또는 외부 장치(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등)에서 열람하거나 다운로드하거나 해도 괜찮다.   
또, 스윙 해석 장치(2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Head Mount Display), 스마트 폰 등의 다른 휴대 정보 기기라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유닛(10)의 장착처를, 골프 클럽(3)의 그립으로 했지만, 골프 클럽(3)의 다른 부위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유닛(10)이 계측한 3축 각속도의 합성값으로서 식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곱합의 평방근(平方根)을 이용하여, 유저(2)의 스윙에서의 각 동작을 검출하고 있지만, 3축 각속도의 합성값으로서, 이것 이외에도, 예를 들면, 3축 각속도의 제곱합, 3축 각속도의 합 혹은 그 평균값, 3축 각속도의 곱 등을 이용해도 괜찮다. 또, 3축 각속도의 합성값을 대신하여, 3축 가속도의 제곱합 혹은 그 평방근, 3축 가속도의 합 혹은 그 평균값, 3축 가속도의 곱 등의 3축 가속도의 합성값을 이용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도 센서(12)와 각속도 센서(14)가, 센서 유닛(10)에 내장되어 일체화되어 있지만, 가속도 센서(12)와 각속도 센서(14)는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다. 혹은, 가속도 센서(12)와 각속도 센서(14)가, 센서 유닛(10)에 내장되지 않고, 골프 클럽(3) 또는 유저(2)에 직접 장착되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유닛(10)과 스윙 해석 장치(20)가 별체이지만, 이들을 일체화하여 골프 클럽(3) 또는 유저(2)에 장착 가능하게 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골프 스윙을 해석하는 스윙 해석 시스템(스윙 해석 장치)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테니스나 야구 등의 여러가지 운동의 스윙을 해석하는 스윙 해석 시스템(스윙 해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일례로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예를 들면, 기능, 방법 및 결과가 동일한 구성, 혹은 목적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의 본질적이지 않은 부분을 치환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구성 또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공지 기술을 부가한 구성을 포함한다.
1 : 스윙 해석 시스템 2 : 유저
3 : 골프 클럽 4 : 골프 볼
10 : 센서 유닛 12 : 가속도 센서
14 : 각속도 센서 16 : 신호 처리부
18 : 통신부 20 : 스윙 해석 장치
21 : 처리부 22 : 통신부
23 : 조작부 24 : 기억부
25 : 표시부 26 : 음 출력부
211 : 동작 검출부 214 : 각도 검출부
215 : 평가부 217 : 표시 처리부
240 : 스윙 해석 프로그램 242 : 클럽 사양 정보
244 : 센서 장착 위치 정보

Claims (15)

  1.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윙에서의 운동구의 샤프트부의 축 둘레에 발생하는 회전각의 변화를 구하는 각도 검출부와,
    상기 스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중 적어도 일부의 평가를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행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스윙 개시로부터 하프웨이 백(halfway-back)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테이크 백(take-back)의 평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톱으로부터 하프웨이 다운(halfway-down)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다운 스윙의 평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스윙 개시에서의 상기 회전각과 임팩트에서의 상기 회전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운동구를 다루는 유저의 자세의 평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스윙 개시에서의 상기 회전각과 임팩트에서의 상기 회전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운동구를 다루는 유저의 자세의 평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운동 해석 장치와,
    상기 관성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시스템.
  7. 청구항 3에 기재된 운동 해석 장치와,
    상기 관성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시스템.
  8. 청구항 4에 기재된 운동 해석 장치와,
    상기 관성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시스템.
  9.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윙에서의 운동구의 샤프트부의 축 둘레에 발생하는 회전각의 변화를 구하는 각도 검출 공정과,
    상기 스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중 적어도 일부의 평가를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행하는 평가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평가 공정은,
    스윙 개시로부터 하프웨이 백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테이크 백의 평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평가 공정은,
    톱으로부터 하프웨이 다운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다운 스윙의 평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방법.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평가 공정은,
    스윙 개시에서의 상기 회전각과 임팩트에서의 상기 회전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운동구를 다루는 유저의 자세의 평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평가 공정은,
    스윙 개시에서의 상기 회전각과 임팩트에서의 상기 회전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운동구를 다루는 유저의 자세의 평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해석 방법.
  14.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윙에서의 운동구의 샤프트부의 축 둘레에 발생하는 회전각의 변화와,
    상기 스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는 평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관성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윙에서의 운동구의 샤프트부의 축 둘레에 발생하는 회전각의 변화를 구하는 각도 검출 순서와,
    상기 스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중 적어도 일부의 평가를 상기 회전각의 변화에 근거하여 행하는 평가 순서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는 운동 해석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150183916A 2014-12-22 2015-12-22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운동 해석 방법, 표시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1600764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8535 2014-12-22
JP2014258535A JP2016116721A (ja) 2014-12-22 2014-12-22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運動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486A true KR20160076486A (ko) 2016-06-30

Family

ID=5612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916A KR20160076486A (ko) 2014-12-22 2015-12-22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운동 해석 방법, 표시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175647A1 (ko)
JP (1) JP2016116721A (ko)
KR (1) KR201600764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7038B2 (ja) * 2014-02-13 2016-11-16 美津濃株式会社 計測システム、および計測装置
JP2018094248A (ja) * 2016-12-15 2018-06-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3793B2 (ja) * 2019-03-27 2023-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イング解析方法、及びスイング解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627A (ja) 2011-05-19 2012-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の選定方法および設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9705B2 (en) * 2003-10-09 2015-10-06 William B. Priester Multi-rotor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sculpting
JP2008528195A (ja) * 2005-01-26 2008-07-31 ベントレー・キネ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運動動作の分析及び指示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9240677A (ja) * 2008-03-31 2009-10-22 Mizuno Corp スイング分析装置
JP2015077351A (ja) * 2013-10-18 2015-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運動解析方法、運動解析装置および運動解析プログラム
JP2015084955A (ja) * 2013-10-30 2015-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運動解析装置および運動解析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627A (ja) 2011-05-19 2012-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の選定方法および設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5647A1 (en) 2016-06-23
JP2016116721A (ja)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6109B2 (ja)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運動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64904B2 (en) Motion analysis device and motion analysis system
US9962591B2 (en) Motion analysis method, program, and motion analysis device
US10843040B2 (en) Exercise analysis device, exercise analysis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exercise analysis system
WO2015141173A1 (ja) 運動解析方法、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89568A1 (en) Exercise analysis device, exercise analysis system, exercise analysis method, and program
JP6054331B2 (ja) ゴルフクラブ用の改善されたフィッティングシステム
JP2017023637A (ja) スイング診断方法、スイング診断プログラム、記録媒体、スイング診断装置及びスイング診断システム
JP2016067408A (ja) センサー、演算装置、運動計測方法、運動計測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9516A (ja) ゴルフスイング解析装置
KR20170043560A (ko) 운동 해석 방법,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2016067409A (ja) センサー、運動計測システム及び運動計測方法
JP2017023639A (ja) スイング診断装置、スイング診断システム、スイング診断方法、スイング診断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7023638A (ja) スイング診断装置、スイング診断システム、スイング診断方法、スイング診断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5141183A1 (ja)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運動解析方法、運動解析情報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76485A (ko)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운동 해석 방법, 표시 장치 및 기록 매체
US20170011652A1 (en) Motion analysis method, motion analysis apparatus, motion analysis system, and program
KR20160076486A (ko)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운동 해석 방법, 표시 장치 및 기록 매체
JP2017023636A (ja) スイング診断装置、スイング診断システム、スイング診断方法、スイング診断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6055028A (ja) 運動解析方法、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5156893A (ja) 傾斜角計測方法、傾斜角計測装置、傾斜角計測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315181B2 (ja) 運動解析方法、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30805A1 (en) Motion analysis method, motion analysis device, and program
JP2017029515A (ja) ゴルフスイング解析装置、ゴルフ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ゴルフスイング解析方法、及びゴルフスイング解析プログラム
JP2017046732A (ja) スイング解析装置、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スイング解析方法、スイング解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