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931A - 유압 펌프 - Google Patents

유압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931A
KR20160075931A KR1020140184529A KR20140184529A KR20160075931A KR 20160075931 A KR20160075931 A KR 20160075931A KR 1020140184529 A KR1020140184529 A KR 1020140184529A KR 20140184529 A KR20140184529 A KR 20140184529A KR 20160075931 A KR20160075931 A KR 20160075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ump
fluid
discharge
valve bloc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익
이성춘
문병춘
조준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931A/ko
Priority to PCT/KR2015/009310 priority patent/WO2016098999A1/ko
Publication of KR2016007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마련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제1 유압펌프; 타측에 마련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제2 유압펌프; 및 상기 제1 유압펌프와 상기 제2 유압펌프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 블락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블락은, 내부에 상기 제1 유압펌프 또는 상기 제2 유압펌프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토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토출유로는, 상기 제1 유압펌프 또는 상기 제2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토출측 키드니홀; 상기 외부와 연결되는 토출홀; 및 상기 토출측 키드니홀과 상기 토출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는, 키드니 홀로부터 기설정 간격만큼은 대칭 구간으로 형성하고, 기설정 간격 이후부터 유체 토출홀까지는 완만한 곡선 구간으로 형성하여, 유체 토출유로가 받는 응력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주물 후 추가 기계가공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압 펌프{Hydraulic Pump}
본 발명은 유압 펌프에 관한 것이다.
유압 펌프는 전동기나 엔진 등에 의하여 얻어진 기계적 에너지를 받아서 유체에 압력과 유량의 유체 에너지를 주어 유압모터나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장치의 기본 동력원이다. 유압 펌프에는 정 용량형 펌프(1회전당의 토출량을 변동할 수 없는 펌프)와 가변 용량형 펌프(1회전당의 토출량을 변동할 수 있는 펌프)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정 용량형 펌프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정 용량형 펌프는, 밀폐된 유실의 유량변화에 의해 유체를 흡입, 토출하며 흡입과 토출쪽은 격리되어 있어서 부하가 변동하여 펌프의 토출압력이 변화하여도 펌프의 토출량은 거의 일정하여 유압을 이용한 장치에 적합하다.
정 용량형 펌프는, 엔진 RPM이 상승하면 할수록 유체의 유량이 비례적으로 커지게되어 고 엔진 RPM 영역에서는 필요이상으로 유량을 발생시켜 유체구동시스템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압력으로 펌프의 구동에 엔진의 출력을 추가로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유체압력생성으로 인한 동력 손실을 막고, 연비를 개선하여,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는 주로 엔진 RPM에 따라 펌프에서 토출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가변 용량형 펌프가 사용되고 있다.
가변 용량형 펌프는, 펌프의 용량을 최소에서부터 최대까지 변화시킬 수 있는 펌프로, 펌프 축이 회전함에 따라 실린더 자체가 펌프의 케이스 내에서 회전하면 피스톤은 실린더와 함께 회전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피스톤은 경사판이 기울어짐에 따라 피스톤의 행정이 바뀌어 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양이 변화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변 용량형 펌프의 사용에도 유체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토출하는 작업에 의해 내구성이 쉽게 낮아지게 되어 유지 보수가 많이 필요하게되고, 그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의 유체에 의해 펌프 내부 구성 부품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하여 내구 안전도를 향상시키고, 주물 후 추가가공 기계가공량을 줄여 생산 단가를 줄이기 위한 유압 펌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는, 일측에 마련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제1 유압펌프; 타측에 마련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제2 유압펌프; 및 상기 제1 유압펌프와 상기 제2 유압펌프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 블락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블락은, 내부에 상기 제1 유압펌프 또는 상기 제2 유압펌프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토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토출유로는, 상기 제1 유압펌프 또는 상기 제2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토출측 키드니홀; 상기 외부와 연결되는 토출홀; 및 상기 토출측 키드니홀과 상기 토출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토출측 키드니홀과 연결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연결 제1부; 및 상기 연결 제1부와 상기 토출홀을 연결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 제2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제1부는, 상기 연결부의 30% 내지 40%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토출유로는, 내부에 상기 제1 유압펌프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 유체 토출유로; 및 내부에 상기 제2 유압펌프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2 유체 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토출유로는, 상기 제1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토출측 제1 키드니홀; 상기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 블락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제1 토출홀; 및 상기 토출측 제1 키드니홀과 상기 제1 토출홀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체 토출유로는, 상기 제2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토출측 제2 키드니홀; 상기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 블락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구비되는 제2 토출홀; 및 상기 토출측 제2 키드니홀과 상기 제2 토출홀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토출측 제1 키드니홀과 연결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연결 제1부; 및 상기 제1 연결 제1부와 상기 제1 토출홀을 연결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연결 제2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토출측 제2 키드니홀과 연결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 연결 제1부; 및 상기 제2 연결 제1부와 상기 제2 토출홀을 연결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 연결 제2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체 토출유로 및 상기 제2 유체 토출유로는, 상기 제1 토출홀과 상기 제2 토출홀 사이를 이등분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점 대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 블락은, 상기 제1 유압펌프 또는 상기 제2 유압펌프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토출부는, 상기 유체 유입부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는, 고압으로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두 개의 토출홀을 좌우가 아닌 상하로 배치시켜, 유압 펌프의 크기를 줄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시키고, 밸브 블락과 좌측 및 우측 유압펌프와의 볼트 체결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는, 레귤레이터로 공급되는 유로의 위치를 센서로 공급되는 직선 유로 상에 분기되도록 배치시켜, 유체 토출유로 상에서 분기점(유로 교차점)이 1개로 줄어들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직선 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분기점이 받는 응력이 더 작아져 내구 안전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는, 키드니 홀로부터 기설정 간격만큼은 대칭 구간으로 형성하고, 기설정 간격 이후부터 유체 토출홀까지는 완만한 곡선 구간으로 형성하여, 유체 토출유로가 받는 응력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주물 후 추가 기계가공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는, 유압 펌프 내 유체가 흐르는 유로 중 직선 유로와 직선 유로 상의 연결지점을 곡률이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 지점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제작 시 주물 형상을 곡률로 기형성하여 제작함으로써, 추가 기계가공을 줄일 수 있게되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압 펌프의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키드니홀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개념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개념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유체 메인토출유로와 센서 유체공급유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센서 유체공급유로와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종래의 유압펌프를 구동한 경우 키드니홀이 받는 응력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해석결과를 도시한 구조해석결과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를 구동한 경우 키드니홀이 받는 응력이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해석결과를 도시한 구조해석결과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유압 펌프의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유압 펌프(1)에 대해서 하기에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유압 펌프(1)는, 2단의 가변유량 피스톤타입 펌프이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1)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펌프(1)는, 구동축(10), 제1 유압펌프(100), 제2 유압펌프(200), 파일럿 펌프(300) 및 밸브 블락(400)을 포함한다.
유압 펌프(1)는, 일측에 마련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제1 유압펌프(100) 및 타측에 마련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제2 유압펌프(200), 즉, 좌,우 대칭인 2 개의 피스톤 펌프인 제1 유압펌프(100) 및 제2 유압펌프(2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밸브 블락(400)이 제1 유압펌프(100)와 제2 유압펌프(20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유압펌프(100) 및 제2 유압펌프(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유압펌프(100) 및 제2 유압펌프(200) 내에는, 복수 개의 피스톤(112,212)이 방사형으로 삽입되어 있는 실린더 블락(113,213) 및 피스톤(112,212)과 연결된 피스톤 슈(114,214)가 밀착되어 있으며 최대 및 최소유량을 조정할 수 있는 사판(Swach Plate; 111,211)이 구성되어 있으며, 사판(111,211)의 각도를 조정하는 스크루(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있고, 실린더 블락(113,213)과 사판(111,211)은 구동축(10)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사판(111,211)은 회전하지 않고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며, 구동축(10)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112,212)이 회전하게 되면, 피스톤(112,212)은, 사판(111,211)을 따라 미끄러지며, 실린더 블락(113,213)의 실린더 내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제1 유압 펌프(100)와 제2 유압 펌프(200)는 밸브 블락(400)에 의해 연결 고정되며, 이때 볼트 체결에 의해서 결합된다. 밸브 블락(400)에는, 각 펌프(100,200)로 유입되는 유체를 공급하고, 각 펌프(100,200)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파일럿 펌프(300)는, 파일럿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유체를 순환시켜주기 위한 펌프를 말한다. 파일럿 펌프(300)는, 제2 유압 펌프(200)의 일측(바람직하게는 우측)에 위치하며, 기어타입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유압 펌프(1)를 바탕으로 하여 개선된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1)의 밸브 블락(400)은, 밸브 블락 우면부(410), 밸브 블락 후면부(420), 밸브 블락 좌면부(430) 및 밸브 블락 전면부(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1)는 도 1에서 설명하는 유압 펌프(1)에서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밸브 블락 우면부(410)는, 밸브 블락(400)의 우측면에 위치하며, 제2 유압 펌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밸브 블락 우면부(410)는, 구동축(10)에 의해 중심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제2 유압 펌프(200)와 맞닿는 면으로 제2 유압 펌프(200)의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실린더 블락(213) 또는 밸브 플레이트(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블락 우면부(410)는, 중심부에 구동축(10)에 관통된 구동축 관통홀(4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축 관통홀(413)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흡입측 제2 키드니홀(411)과 타측에는 토출측 제2 키드니홀(412)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측 제2 키드니홀(411)은 외부로부터(바람직하게는 유압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 유체가 제2 유압펌프(200)로 공급되기 위한 홀(hole)이며, 토출측 제2 키드니홀(412)은,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유체를 사용하는 작업장치(도시하지 않음)) 토출하기 위한 홀이다.
밸브 블락 우면부(410)는, 제2 유압 펌프(200)를 밸브 블락(400)에 결속시키기 위해, 밸브 블락(400)의 상부를 결속시키는 제2 유압펌프-제1 볼팅 체결부(481a), 밸브 블락(400)의 중앙부를 결속시키는 제2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482a) 및 밸브 블락(400)의 하부를 결속시키는 제2 유압펌프-제3 볼팅 체결부(48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482a)는, 후술할 밸브 블락 후면부(420)에 구성되는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과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밸브 블락 후면부(420)는, 후술할 밸브 블락 전면부(440)의 반대편 즉, 밸브 블락(400)의 후측면에 위치하며, 제1 유압펌프(100) 및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유체를 사용하는 작업장치)로 토출시킬 수 있다.
밸브 블락 후면부(420)는, 제1 유압펌프(1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과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은 밸브 블락 후면부(4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은, 밸브 블락 후면부(4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은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과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반드시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은 상측에 위치되고,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은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과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은, 밸브 블락 후면부(4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하 대칭인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밸브 블락 후면부(420)를 상하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선대칭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종래에는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과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이 가로상으로 좌우의 위치에 구비되어, 밸브 블락의 길이가 길어져 전체 유압 펌프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와 같이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과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이 상하의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유압 펌프(1)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며(구체적으로는 가로의 길이가 효과적으로 줄어들게 됨), 이를 통해 유압을 통해 구동하는 기계들(바람직하게는 건설장비; 도시하지 않음)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과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은, 제1 유압펌프(100)와 제2 유압펌프(200)를 밸브 블락(400)에 결속시키기 위한 볼팅 체결부(제1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도시하지 않음) 및 제2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482a))가 밸브 블락 우면부(410) 및 밸브 블락 좌면부(430)에 구성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으로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과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의 사이에는, 제1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 및 제2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482a)가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과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이 가로상으로 좌우의 위치에 구비되어, 밸브 블락 후면부에서는 제1 유압펌프(100)와 제2 유압펌프(200)를 결속시킬 수 있는 볼팅 체결부를 형성할 수 없어, 제1 유압펌프(100)와 제2 유압펌프(200)의 결속력이 작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과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의 사이에 제1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 및 제2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482a)가 형성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제1 유압펌프(100)와 제2 유압펌프(200)를 결속시킬 수 있는 볼팅 체결부가 종래보다 더 많이 형성되어(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측, 하측뿐만 아니라 중앙측도 결속시켜 6개의 볼팅 체결부가 형성되어있음) 제1 유압펌프(100)와 제2 유압펌프(200)의 결속력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밸브 블락 좌면부(430)는, 밸브 블락(400)의 좌측면에 위치하며, 제1 유압 펌프(100)와 연결될 수 있다. 밸브 블락 좌면부(430)는, 구동축(10)에 의해 중심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제1 유압 펌프(100)와 맞닿는 면으로 제1 유압 펌프(100)의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실린더 블락(113) 또는 밸브 플레이트(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블락 좌면부(430)는, 중심부에 구동축(10)에 관통된 구동축 관통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축 관통홀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흡입측 제1 키드니홀(도시하지 않음)과 타측에는 토출측 제1 키드니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측 제1 키드니홀은 외부로부터(바람직하게는 유압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 유체가 제1 유압펌프(100)로 공급되기 위한 홀(hole)이며, 토출측 제1 키드니홀은, 제1 유압펌프(1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바람직하게는 유체를 사용하는 작업장치(도시하지 않음)) 토출하기 위한 홀이다.
밸브 블락 좌면부(430)는, 제1 유압 펌프(100)를 밸브 블락(400)에 결속시키기 위해, 밸브 블락(400)의 상부를 결속시키는 제1 유압펌프-제1 볼팅 체결부(481b), 밸브 블락(400)의 중앙부를 결속시키는 제1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도시하지 않음) 및 밸브 블락(400)의 하부를 결속시키는 제1 유압펌프-제3 볼팅 체결부(48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는, 밸브 블락 후면부(420)에 구성되는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1)과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4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밸브 블락 전면부(440)는, 밸브 블락 후면부(420)의 반대편 즉, 밸브 블락(400)의 전측면에 위치하며, 외부(바람직하게는 압유 저장탱크)로부터 유체를 유입받아 제1 유압펌프(100) 및 제2 유압펌프(200)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블락 전면부(440)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유입받아 제1 유압펌프(100) 및 제2 유압펌프(200)로 공급하는 유체 유입유로(4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체 유입유로(441)는, 밸브 블락 전면부(440)의 중앙에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되어 흡입측 제1 키드니홀 및 흡입측 제2 키드니홀(4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1)는, 고압으로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두 개의 토출홀(421,422)을 좌우가 아닌 상하로 배치시켜, 유압 펌프(1)의 크기를 줄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키고, 밸브 블락(400)과 좌측 및 우측 유압펌프(100,200)와의 볼트 체결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키드니홀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1)의 밸브 블락(400)은, 유체 토출유로(4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1)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하는 유압 펌프(1)에서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1)의 밸브블락(400)은, 내부에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유체를 사용하는 작업장치;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외부는 이와 동일하다.)로 토출하는 유체 토출유로(450)를 포함한다.
유체 토출유로(450)는, 제1 유압펌프(1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 유체 토출유로(450a)와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2 유체 토출유로(450b)를 포함한다.
제1 유체 토출유로(450a)는, 제1 유압펌프(100)와 연결되는 토출측 제1 키드니홀(451a), 외부와 연결되며 밸브 블락(400)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CC)을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제1 토출홀(453a) 및 제1 키드니홀(451a)과 제1 토출홀(453a)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452a)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측 제1 키드니홀(451a)은, 제1 유압펌프(100)에서 압축된 유체가 제1 유체 토출유로(450a)로 유입되는 공간이며, 사람의 콩팥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며, 제1 연결부(452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52a)는, 토출측 제1 키드니홀(451a)과 제1 토출홀(453a)이 연결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제1 연결 제1부(4521a)와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연결 제2부(4522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제1부(4521a)는, 제1 연결 제1부(4521a)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BB)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측 제1 키드니홀(451a)과 제1 연결 제2부(4522a) 사이에 구비되고, 제1 연결부(452a)의 30% 내지 40%의 영역을 차지할 수 있고, 제1 연결 제2부(4522a)는, 제1 연결 제1부(4521a)와 제1 토출홀(453a) 사이에 구비되고, 제1 연결 제1부(4521a)와 제1 토출홀(453a)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유체 토출유로(450b)는, 제2 유압펌프(200)와 연결되는 토출측 제2 키드니홀(451b), 외부와 연결되며 밸브 블락(400)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CC)을 기준으로 하측에 구비되는 제2 토출홀(453b) 및 제2 키드니홀(451b)과 제2 토출홀(453b)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452b)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측 제2 키드니홀(451b)은,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가 제2 유체 토출유로(450b)로 유입되는 공간이며, 사람의 콩팥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며, 제2 연결부(452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52b)는, 토출측 제2 키드니홀(451b)과 제2 토출홀(453b)이 연결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제2 연결 제1부(4521b)와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 연결 제2부(4522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 제1부(4521b)는,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BB)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측 제2 키드니홀(451b)과 제2 연결 제2부(4522b) 사이에 구비되고, 제2 연결부(452b)의 30% 내지 40%의 영역을 차지할 수 있고, 제2 연결 제2부(4522b)는, 제2 연결 제1부(4521b)와 제2 토출홀(453b) 사이에 구비되고, 제2 연결 제1부(4521b)와 제2 토출홀(453b)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 블락(4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 토출유로(450)의 형상을 적어도 일부가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BB)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체 토출유로(450)가 받는 응력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유압 펌프(1)의 내구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실험자료를 도 6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6a는 종래의 유압펌프를 구동한 경우 키드니홀이 받는 응력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해석결과를 도시한 구조해석결과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를 구동한 경우 키드니홀이 받는 응력이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해석결과를 도시한 구조해석결과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흰색, 파랑, 초록, 노랑, 빨강 순으로 갈 수록 응력집중도가 커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6a 및 6b에서 좌측은 제1 유압펌프(100)에서 토출된 유체에 의한 응력을 받는 토출측 제1 키드니홀(451a)의 구조해석결과이며, 우측은 제2 유압펌프(200)에서 토출된 유체에 의한 응력을 받는 토출측 제2 키드니홀(451b)의 구조해석결과이다.
도 6a의 좌측도를 살펴보면, 종래에 제1 유압펌프에 의해 토출측 제1 키드니홀이 받는 응력은, 상측에는 703MPa, 하측에는 502MPa로 받아 그 응력의 크기가 크게 도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b의 좌측도를 살펴보면 제1 유압펌프(100)에 의해 토출측 제1 키드니홀(451a)이 받는 응력은 상측은 320MPa, 하측은 333MPa로 받아 그 응력의 크기가 확연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a의 우측도를 살펴보면, 종래에 제2 유압펌프(200)에 의해 토출측 제1 키드니홀(451a)이 받는 응력은, 상측에는 370MPa, 하측에는 1267MPa로 받아 그 응력의 크기가 매우 크게 도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b의 우측도를 살펴보면 제2 유압펌프(200)에 의해 토출측 제1 키드니홀(451a)이 받는 응력은 상측은 321MPa, 하측은 332MPa로 받아 그 응력의 크기가 두드러지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자료를 통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1)는, 토출측 제1 키드니홀(451a)이 받는 응력의 크기가 줄어듦으로 인해, 내구성이 강화되고, 파손의 위험성이 줄어들어 유압펌프(1)의 구동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도출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1)는, 키드니 홀(451a,451b)로부터 기설정 간격만큼은 대칭 구간으로 형성하고, 기설정 간격 이후부터 유체 토출홀까지는 완만한 곡선 구간으로 형성하여, 유체 토출유로(450)가 받는 응력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주물 후 추가 기계가공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4a는 종래의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개념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개념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1)의 밸브 블락(400)은, 밸브 블락 우면부(410), 밸브 블락 후면부(420), 밸브 블락 좌면부(430) 및 밸브 블락 전면부(440), 유체 토출유로(450),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 및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블락(400)의 밸브 블락 우면부(410), 밸브 블락 후면부(420), 밸브 블락 좌면부(430) 및 밸브 블락 전면부(44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하는 유압 펌프(1)에서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유체 토출유로(450)는, 밸브 블락(400)의 내부에 구비되고,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유체를 사용하는 작업장치;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외부는 이와 동일하다.)로 토출한다. 유체 토출유로(450)는, 유체 메인토출유로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체 메인토출유로는 본 실시예에서 유체 토출유로(450)로 기재한다.
유체 토출유로(450)는,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와 연결되는 키드니홀(451a,451b), 외부와 연결되는 토출홀(453a,453b) 및 키드니홀(451a,451b)과 토출홀(453a,453b)을 연결하며 곡선을 이루는 연결부(452a,452b)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토출유로(450)는, 분기되는 분기점이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토출유로(450)는, 후술할 센서 유체공급유로(470)가 분기될 수 있으며, 유체 토출유로(450)의 키드니홀(451a,451b)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직선부분에서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분기하는 경우 분기점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는, 곡선부분에서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분기하는 경우 분기점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보다 매우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곡선을 이루는 부분이 아닌 키드니홀(451a,451b)의 하측에서만 분기되도록 하여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대한 실험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 이에 갈음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를 살펴보면, 유체 토출유로(450)의 곡선부분에서 후술할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a)가 추가로 분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유체 토출유로(450)의 곡선부분에 분기점이 발생되어 유체 토출유로(450)가 받는 응력의 크기가 매우 크고 그에 따라 내구성이 약해져 유압펌프(1)의 구동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곡선을 이루는 부분이 아닌 키드니홀(451a,451b)의 하측에서만 센서 유체공급유로(470)가 분기되도록 하고,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는, 유체 토출유로(450)가 아닌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에서 분기되도록 하여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압 펌프(1)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구동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는, 후술할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에서 분기되어, 바람직하게는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의 직선구간에서 분기되어,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를 유동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압축된 유체를 사용하는 제2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장치는,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의 토출 유량을 조절하는 사판(111,211)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일 수 있다.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는, 유체 제2 부토출유로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체 제2 부토출유로는 본 실시예에서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로 기재한다.
도 4a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a)는,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분기되어,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고압의 유체를 직접적으로 공급받아 응력의 집중이 매우 컸으며, 직선구간이 아닌 곡선구간에서 분기되어 분기위치에 따른 응력의 집중이 심화됨으로써, 내구성이 약화되고 심할 경우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를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에서 분기되도록 하여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고압의 유체를 직접적으로 공급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의 직선구간에서 분기되도록 하여 응력의 집중을 분산시켜 응력 집중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내구성을 강화하고 구동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을 가지며,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분기되어,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압축된 유체를 사용하는 제1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치는,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는, 유체 제1 부토출유로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체 제1 부토출유로는 본 실시예에서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로 기재한다.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는, 유체 토출유로(450)의 키드니홀(451a,451b)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분기되어,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센서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1)는, 레귤레이터로 공급되는 유로(460b)의 위치를 센서로 공급되는 유로(470) 상에 분기되도록 배치시켜, 유체 토출유로(450) 상에서 분기점(유로 교차점)이 1개로 줄어들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센서로 공급되는 유로(470)의 직선 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분기점이 받는 응력이 더 작아져 내구 안전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유체 메인토출유로와 센서 유체공급유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의 밸브블락의 센서 유체공급유로와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1)의 밸브 블락(400)은, 유체 토출유로(450),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 및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하는 유압 펌프(1)에서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유체 토출유로(450)는,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가 유동한다. 구체적으로, 유체 토출유로(450)는,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와 연결되는 키드니홀(451a,451b), 외부와 연결되는 토출홀(453a,453b) 및 키드니홀(451a,451b)과 토출홀(453a,453b)을 연결하며 곡선을 이루는 연결부(452a,452b)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 키드니홀(451a,451b)과 연결부(452a,452b)를 연결하는 지점은, 단차가 형성되어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 경우, 키드니홀(451a,451b)과 연결부(452a,452b)를 연결하는 지점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연결 지점에 고압의 유체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고 심할 경우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드니홀(451a,451b)과 연결부(452a,452b)를 연결하는 지점(CC)은,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 즉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키드니홀(451a,451b)과 연결부(452a,452b)를 연결하는 지점(CC)에서는 고압의 유체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완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압 펌프(1)의 구동신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드니홀(451a,451b)과 연결부(452a,452b)를 연결하는 지점(CC)은,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주물 제작시 하나의 틀로 형성하게되어 추가적인 기계가공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제작 비용의 절감효과도 추가적으로 누릴 수 있다.
유체 토출유로(450)는, 밸브 블락(400)의 내부에 구비되고,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유체를 사용하는 작업장치;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외부는 이와 동일하다.)로 토출한다.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연결부(452a,452b)와 토출홀(453a,453b)은, 곡선 구간만을 가지는 제2 유로일 수 있다.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곡률을 가지는 부분, 즉 곡선구간에서는 분기점을 가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토출유로(450)는, 곡선을 이루는 부분이 아닌 키드니홀(451a,451b)의 하측에서만 분기되도록 하여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대한 실험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 이에 갈음하도록 한다.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는, 후술할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에서 분기되어, 바람직하게는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의 직선구간에서 분기되어,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를 유동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압축된 유체를 사용하는 제2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장치는,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의 토출 유량을 조절하는 사판(111,211)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일 수 있다.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와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를 연결하는 지점 즉,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의 직선구간에서 분기되는 분기 지점(DD)은,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 즉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와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를 연결하는 지점(DD)에서는 고압의 유체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완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압 펌프(1)의 구동신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의 직선구간에서 분기되는 분기 지점(DD)은,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주물 제작시 하나의 틀로 형성하게되어 추가적인 기계가공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제작 비용의 절감효과도 추가적으로 누릴 수 있다.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는, 적어도 일부 유로가 직선 구간을 가지는 제1 유로일 수 있으며,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와 연결되는 분기점을 가질 수 있다.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을 가지며, 유체 토출유로(450)에서 분기되어,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압축된 유체를 사용하는 제1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치는,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는, 유체 토출유로(450)의 키드니홀(451a,451b)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분기되어, 제1 유압펌프(100) 또는 제2 유압펌프(200)에서 압축된 유체를 센서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와 유체 토출유로(450)의 키드니홀(451a,451b)과 연결되는 지점(EE)은,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 즉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와 유체 토출유로(450)의 키드니홀(451a,451b)과 연결되는 지점(EE)에서는 고압의 유체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완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압 펌프(1)의 구동신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 유체공급유로(470)와 유체 토출유로(450)의 키드니홀(451a,451b)과 연결되는 지점(EE)은,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주물 제작시 하나의 틀로 형성하게되어 추가적인 기계가공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제작 비용의 절감효과도 추가적으로 누릴 수 있다.
센서 유체공급유로(470)는, 적어도 일부 유로가 직선 구간을 가지는 제1 유로일 수 있으며,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460b)와 연결되는 분기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1)는, 유압 펌프(1) 내 유체가 흐르는 유로(450,460b,470) 중 또는 키드니홀(451a,451b)과 연결부(452a,452b)의 연결지점(CC), 직선 유로와 직선 유로 상의 연결지점(EE) 또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구간을 가지는 곡선유로와 직선유로 상의 연결지점(DD)을 곡률이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 지점(CC,DD,EE)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제작 시 주물 형상을 곡률로 기형성하여 제작함으로써, 추가 기계가공을 줄일 수 있게되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유압 펌프 10: 구동축
100: 제1 유압 펌프 111: 사판
112: 피스톤 113: 실린더 블락
114: 피스톤 슈 200: 제2 유압 펌프
211: 사판 212: 피스톤
213: 실린더 블락 214: 피스톤 슈
300: 파일럿 펌프 400: 밸브블락
410: 밸브블락 우면부 411: 흡입측 제2 키드니홀
412: 토출측 제2 키드니홀 413: 구동축 관통홀
420: 밸브블락 후면부 421: 제1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
422: 제2 유압펌프 유체 토출홀 430: 밸브블락 좌면부
440: 밸브블락 전면부 441: 유체 유입유로
450: 유체 토출유로 450a: 제1 유체 토출유로
450b: 제2 유체 토출유로 451a: 토출측 제1 키드니홀
451b: 토출측 제2 키드니홀 452a: 제1 연결부
4521a: 제1 연결 제1부 4522a: 제1 연결 제2부
452b: 제2 연결부 4521b: 제2 연결 제1부
4522b: 제2 연결 제2부 453a: 제1 토출홀
453b: 제2 토출홀 460a: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
460b: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 470: 센서 유체공급유로
481a: 제2 유압펌프-제1 볼팅 체결부 481b: 제1 유압펌프-제1 볼팅 체결부
482a: 제2 유압펌프-제2 볼팅 체결부 483a: 제2 유압펌프-제3 볼팅 체결부
483b: 제1 유압펌프-제3 볼팅 체결부
AA: 제1 연결 제1부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
BB: 밸브 블락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
CC: 키드니홀과 연결부를 연결하는 지점
DD: 레귤레이터 유체공급유로와 센서 유체공급유로를 연결하는 지점
EE: 센서 유체공급유로와 유체 토출유로의 키드니홀과 연결되는 지점

Claims (7)

  1. 일측에 마련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제1 유압펌프;
    타측에 마련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제2 유압펌프; 및
    상기 제1 유압펌프와 상기 제2 유압펌프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 블락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블락은,
    내부에 상기 제1 유압펌프 또는 상기 제2 유압펌프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토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토출유로는,
    상기 제1 유압펌프 또는 상기 제2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토출측 키드니홀;
    상기 외부와 연결되는 토출홀; 및
    상기 토출측 키드니홀과 상기 토출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토출측 키드니홀과 연결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연결 제1부; 및
    상기 연결 제1부와 상기 토출홀을 연결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 제2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제1부는,
    상기 연결부의 30% 내지 40% 영역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토출유로는,
    내부에 상기 제1 유압펌프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 유체 토출유로; 및
    내부에 상기 제2 유압펌프에서 압축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2 유체 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토출유로는,
    상기 제1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토출측 제1 키드니홀;
    상기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 블락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제1 토출홀; 및
    상기 토출측 제1 키드니홀과 상기 제1 토출홀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체 토출유로는,
    상기 제2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토출측 제2 키드니홀;
    상기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 블락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구비되는 제2 토출홀; 및
    상기 토출측 제2 키드니홀과 상기 제2 토출홀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토출측 제1 키드니홀과 연결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연결 제1부; 및
    상기 제1 연결 제1부와 상기 제1 토출홀을 연결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연결 제2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토출측 제2 키드니홀과 연결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되, 상하(上下)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 연결 제1부; 및
    상기 제2 연결 제1부와 상기 제2 토출홀을 연결하며, 상측 곡선의 곡률 방향과 하측 곡선의 곡률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 연결 제2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토출유로 및 상기 제2 유체 토출유로는,
    상기 제1 토출홀과 상기 제2 토출홀 사이를 이등분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점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블락은,
    상기 제1 유압펌프 또는 상기 제2 유압펌프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토출부는,
    상기 유체 유입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KR1020140184529A 2014-12-19 2014-12-19 유압 펌프 KR20160075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529A KR20160075931A (ko) 2014-12-19 2014-12-19 유압 펌프
PCT/KR2015/009310 WO2016098999A1 (ko) 2014-12-19 2015-09-03 유압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529A KR20160075931A (ko) 2014-12-19 2014-12-19 유압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931A true KR20160075931A (ko) 2016-06-30

Family

ID=5612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529A KR20160075931A (ko) 2014-12-19 2014-12-19 유압 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75931A (ko)
WO (1) WO20160989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85Y2 (ja) * 1990-06-19 1995-02-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タンデム型斜板式油圧ポンプのケーシング構造
JP3574196B2 (ja) * 1994-12-27 2004-10-06 株式会社カワサキプレシジョンマシナリ 油圧ピストンポンプモータ
JPH10235684A (ja) * 1997-02-27 1998-09-08 Sekisui Chem Co Ltd 成形用金型
JP2989814B1 (ja) * 1998-09-24 1999-12-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斜板式油圧ポンプ
KR20080067890A (ko) * 2007-01-17 2008-07-22 송상훈 유압기의 서보 유압펌프와 이를 이용한 건설기계동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8999A1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6189B2 (en) Well service pump
US7588430B2 (en) Screw compressor
US7431019B2 (en) Fuel supply device
US8469680B2 (en) Valve body for pumps
JP4730317B2 (ja)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RU2529298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в гидравлическую систему
US20170009761A1 (en) Hydraulically Driven Bellows Pump
US11168675B2 (en) Motor vehicle pump arrangement
KR101862868B1 (ko) 유압구동기를 이용한 유압제어장치
CN101939543A (zh) 流体工作设备
CN102619715A (zh) 一种平衡式大流量轴向柱塞泵
KR20140033307A (ko) 이중 배출 펌프
ZA202000880B (en) Pump system for handling a slurry medium
WO2017137498A1 (en) Pump
CN202851526U (zh) 液压装置
CN110985325A (zh) 一种轴向柱塞泵马达及工程机械
KR20160075931A (ko) 유압 펌프
KR20160075933A (ko) 유압 펌프
KR20160075932A (ko) 유압 펌프
KR20160071590A (ko) 유압 펌프
CN104696227B (zh) 旋转式压缩机
CA2972636C (en) Oil-injected vacuum pump element
CN205154628U (zh) 中背压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热泵热水器
CA3002258C (en) Reciprocating pump with improved cross-bore
US3389660A (en) Pump with pressure relie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