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456A -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456A
KR20160074456A KR1020167006255A KR20167006255A KR20160074456A KR 20160074456 A KR20160074456 A KR 20160074456A KR 1020167006255 A KR1020167006255 A KR 1020167006255A KR 20167006255 A KR20167006255 A KR 20167006255A KR 20160074456 A KR20160074456 A KR 20160074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fixing member
airbag
plate portion
peripher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로 우키타
마사유키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6007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7Reaction canist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7Reaction canist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178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60R2021/26082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로서, 고정 부재가, 플레이트부의 하면측으로부터 상기 인플레이터를 지지 고정하고 있는 하측 고정 부재이고, 하측 고정 부재가, 통 형상 벽부와 일단부측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통 형상 벽부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감입될 수 있는 내표면 형상의 것이고, 플랜지부가 복수의 볼트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하측 고정 부재가, 플레이트부의 하면측에 있어서, 통 형상 벽부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접촉되며, 플랜지부가 플레이트부의 하면에 접촉되어 있고, 에어백과 하측 고정 부재가 에어백, 플레이트부 및 하측 고정 부재의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이다.

Description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STRUCTURE FOR AFFIXING INFLATOR AND AIRBAG}
본 발명은 자동차에 탑재하는 에어백 장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플레이터는 에어백과 함께 모듈 케이스 내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에어백 모듈로서 사용되고 있다.
인플레이터를 모듈 케이스에 고정할 때, 통상은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예를 들어, JP-A No.10-29493의 도 23, 도 24)를 이용하여 모듈 케이스에 고정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US-A No.5,547,213의 도 4, 도 5에는, 둥근 접시 형상의 설치 장치(30)로 인플레이터(80)를 고정한 구조가 나타나 있다.
US-A No.5,518,266의 도 1에는, 설치판(14)과 유지링(18)을 사용하여, 팽창기(12)와 에어백(16)을 팽창기 설치 플랜지(38)에 고정한 구조가 나타나 있다.
JP-A No.7-117611은 팽창 장치를 용접에 의해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를 불필요로 하며(단락 번호 0004, 0005), 그 대신에 체결 고정할 수 있는 유지 브래킷(22)(도 5, 도 6, 단락 번호 0030, 0031)을 사용한 것이다.
JP-B No.4560881의 도 1에는 인플레이터(4)를 누름부(20)와 수용부(14)를 조합하여 고정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발명 1과 발명 2를 포함한다.
발명 1은,
모듈 케이스의 플레이트부(50)에 대하여, 인플레이터(10)와 에어백(40)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인플레이터(10)와 에어백(40)의 고정 구조로서,
인플레이터(10)의 외각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11)이 대략 원기둥 형상의 것이고,
축 방향의 일단부면(12)측의 주위벽면(11a)에 가스 배출구(14)를 갖고 있고,
축 방향의 타단부면(13)측의 주위벽면에는, 타단부면(13)측으로 하우징(11)의 외경이 작아지고 있음으로써 형성된 하측 환 형상 단차면(16)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플레이트부(50)의 하면(50b)측으로부터 상기 인플레이터(10)를 지지 고정하고 있는 하측 고정 부재(30)이고,
하측 고정 부재(30)가,
통 형상 벽부(31)와 일단부측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2)를 갖고 있는 것이고,
통 형상 벽부(31)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하측 환 형상 단차면(16)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감입될 수 있는 내표면 형상의 것이고,
플랜지부(32)가 복수의 볼트 구멍(33)을 갖고 있는 것이고,
인플레이터(10)와 에어백(40)의 고정 구조가,
인플레이터(10)가, 모듈 케이스의 플레이트부(50)에 형성된 구멍에 대하여, 가스 배출구(14)를 갖고 있는 주위벽면(11a)이 플레이트부(50)의 상면(50a)측이 되고, 하측 환 형상 단차면(16)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이 플레이트부(50)의 하면(50b)측이 되도록 감입되어 있고,
에어백(40)이, 플레이트부(50)의 상면(50a)측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가스 배출구(14)를 포함하는 주위벽면(11a)을 감싸도록 하여 백 개구부로부터 씌워져 있고,
하측 고정 부재(30)가, 플레이트부(50)의 하면(50b)측에 있어서, 통 형상 벽부(31)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환 형상 단차면(16)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접촉되며, 플랜지부(32)가 플레이트부(50)의 하면(50b)에 접촉되어 있고,
에어백(40)과 하측 고정 부재(30)가 에어백(40), 플레이트부(50) 및 하측 고정 부재의 플랜지부(32)를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60)와 너트(61)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인플레이터(10)와 에어백(40)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발명 2는,
모듈 케이스의 플레이트부 (50)에 대하여, 인플레이터(10)와 에어백(40)이 2개의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인플레이터(10)와 에어백(40)의 고정 구조로서,
인플레이터(10)의 외각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11)이 대략 원기둥 형상의 것이고,
축 방향의 일단부면(12)측의 주위벽면(11a)에 가스 배출구(14)를 갖고 있고,
축 방향의 양 단부면(12, 13)측의 주위벽면에는, 각각의 단부면(12, 13)측으로 하우징(11)의 외경이 작아지고 있음으로써 형성된 상측 환 형상 단차면(15)과 하측 환 형상 단차면(16)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2개의 고정 부재가, 플레이트부(50)의 상면(50a)측으로부터 인플레이터(10)를 지지 고정하고 있는 상측 고정 부재(20)와, 플레이트부(50)의 하면(50b)측으로부터 인플레이터(10)를 지지 고정하고 있는 하측 고정 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측 고정 부재(20)가, 복수의 볼트 구멍(22)을 갖는 환 형상 평면부(21)와, 환 형상 평면부(21)의 외주부로부터 늘어뜨려 설치된 환 형상 외주벽부(23)를 갖고 있는 것이고,
하측 고정 부재(30)가,
통 형상 벽부(31)와 일단부측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2)를 갖고 있는 것이고,
통 형상 벽부(31)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환 형상 단차면(16)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을 감입할 수 있는 내표면 형상의 것이고,
플랜지부(32)가 복수의 볼트 구멍(33)을 갖고 있는 것이고,
인플레이터(10)와 에어백(40)의 고정 구조가,
인플레이터(10)가, 모듈 케이스의 플레이트부(50)에 형성된 구멍에 대하여, 가스 배출구(14)를 갖고 있는 주위벽면이 플레이트부(50)의 상면(50a)측이 되고, 하측 환 형상 단차면(16)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이 플레이트부(50)의 하면(50b)측이 되도록 감입되어 있고,
에어백(40)이, 플레이트부(50)의 상면(50a)측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가스 배출구(14)를 포함하는 주위벽면을 감싸도록 하여 백 개구부로부터 씌워져 있고,
상측 고정 부재(20)가, 플레이트부(50)의 상면(50a)측에 있어서, 환 형상 평면부(21)가 에어백(40)을 개재하여 플레이트부(50)에 접촉되며, 또한 환 형상 평면부(21)의 내주부가 상측 환 형상 단차면(15)에 접촉되도록 하여 인플레이터 하우징(11)에 감입되어 있고,
하측 고정 부재(30)가, 플레이트부(50)의 하면(50b)측에 있어서 통 형상 벽부(31)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환 형상 단차면(16)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접촉되며, 플랜지부(32)가 플레이트부(50)의 하면(50b)에 접촉되어 있고,
상측 고정 부재(20), 에어백(40) 및 하측 고정 부재(30)가 상측 고정 부재(20), 에어백(40), 플레이트부(50) 및 하측 고정 부재의 플랜지부(32)를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60)와 너트(61)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인플레이터(10)와 에어백(40)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것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플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정면측의 고정 부재, 에어백, 모듈 케이스(플레이트부)는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JP-A No.10-29493과 같은 플랜지부를 갖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사용하면, 모듈 케이스로의 고정 작업이 용이하며, 충분한 고정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플랜지부는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같은 내압성은 불필요한데도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동일한 재질이며 동일한 두께의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설치 강도의 유지와 에어백 모듈 전체의 경량화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관점에서는 개량의 여지가 있다.
US-A No.5,547,213의 도 4, 도 5로부터는 설치 강도가 충분하다고는 인정되지 않는다.
US-A No.5,518,266의 설치판(14)과 유지링(18)은 팽창기 설치 플랜지(38)와 동등 이상의 두께를 갖고 있어, 경량화의 면에서 충분하지 않다.
JP-A No.7-117611은 유지 브래킷(22) 자체의 경량화에 대해서는 완전히 기재되어 있지 않다.
JP-B No.4560881은 경량화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모듈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 구조를 갖는 에어백 모듈과 비교하면, 전체를 보다 경량화할 수 있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 발명 1 또는 발명 2의 바람직한 형태 (1), (2) 및 (3)을 기재한다.
(1)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과 동일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 부재의 두께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두께보다도 작은 것인,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2)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과 상이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 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이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보다도 비중이 작은 것인,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3) 상기 고정 부재가 수지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는, 종래 기술과 같이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모듈 케이스에 고정하고 있었던 것과는 상이하며, 상기 플랜지부를 불필요로 하고, 별도 부재를 사용하여 인플레이터를 모듈 케이스에 고정하는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는 인플레이터의 모듈 케이스로의 고정 강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과, 에어백 모듈 전체의 경량화의 양쪽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외경은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최대 외경(D)과 높이(H)의 관계(H/D)가 0.5 내지 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범위 외의 것일 수도 있다.
고정 강도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외형과 고정 부재의 형상을 서로 관련시켜 조합함으로써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은, 축 방향의 타단부면측의 주위벽면에는, 타단부면측으로 하우징의 외경이 작아지고 있음으로써 형성된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갖고 있다.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은 하우징의 외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짐으로써 형성된 환 형상 경사면일 수도 있고, 계단 형상 단차를 포함하는 환 형상 평면일 수도 있다.
하측 고정 부재의 통 형상 벽부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감입될 수 있는 내표면 형상의 것이다. 주위벽면의 외표면 형상과 하측 고정 부재의 통 형상 벽부의 내표면 형상이 일치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지만, 감입될 수 있는 것이면 일치할 필요는 없다.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과 고정 부재의 통 형상 벽부는 서로 접촉 상태에 있기 때문에 고정 강도가 높아진다.
나아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의 외경 또는 하측 고정 부재의 통 형상 벽부의 내경의 크기를 조정하여, 하측 고정 부재의 통 형상 벽부에 대하여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이 압입되도록 하면, 보다 고정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백 모듈 전체의 경량화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할 수 있다.
(I) 고정 부재와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을 동일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했을 때, 고정 부재의 두께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두께보다도 작아지도록 한다.
인플레이터 하우징에는, 작동시에 내측으로부터 높은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내압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가 필요로 된다.
그러나,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별도 부재의 고정 부재이면 상기한 내압성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고정 부재의 두께를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두께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두께를 작게 할 수 있으면, 공업적인 대량 생산을 고려하면 사용 금속 재료의 절감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제조 비용도 낮출 수 있게 된다.
(II) 고정 부재와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을 상이한 금속으로 했을 때, 고정 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으로서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보다도 비중이 작은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스테인리스나 철을 포함하는 것일 때, 고정 부재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금속을 사용했을 때에도, 상기 (I)과 마찬가지로 보다 두께를 작게 할 수도 있다.
(III) 고정 부재를 금속이 아닌, 수지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수지는 공지된 것이며, 합성 수지 및 천연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일 수도 열경화성 수지일 수도 있다. 또한, 주지된 수지용의 충전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체는 수지와 무기 섬유, 유기 섬유 또는 금속 섬유의 복합체, 수지와 금속박 또는 금속 박판과의 복합체, 수지와 무기 재료(탄소 섬유 재료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박판(무기 재료와 수지를 포함하는 박판)의 복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는 상기 발명과 마찬가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모듈 케이스에 고정하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상기 플랜지부를 불필요로 하고, 별도 부재를 사용하여 인플레이터를 모듈 케이스에 고정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는 상기 발명과 비교하면, 고정 부재로서 2개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의 모듈 케이스로의 고정 강도가 보다 높아져 있지만, 고정 부재의 수가 많아져 있는 만큼 질량은 증가되어 있다.
고정 강도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외형과 고정 부재의 형상을 서로 관련시켜 조합함으로써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은 상측 환 형상 단차면과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갖고 있으며, 상측 환 형상 단차면에 대하여 상측 고정 부재가 고정되고,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대하여 하측 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 환 형상 단차면과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은 모두 하우징의 외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짐으로써 형성된 환 형상 경사면일 수도 있고, 계단 형상 단차를 포함하는 환 형상 평면일 수도 있고, 어느 한쪽이 환 형상 경사면이며, 다른쪽이 계단 형상 단차를 포함하는 환 형상 평면일 수도 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축 방향의 상하로부터 2개의 고정 부재로 지지되게 되기 때문에, 고정 강도가 높아진다.
나아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의 외경과 하측 고정 부재의 통 형상 벽부의 내경의 크기를 조정하여, 하측 고정 부재의 통 형상 벽부에 대하여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이 압입되도록 하면, 보다 고정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백 모듈 전체의 경량화에 있어서는, 상측 고정 부재와 하측 고정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상기한 (I) 내지 (III)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측 고정 부재와 하측 고정 부재를 동일한 재질의 금속이나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했을 때에는, 상측 고정 부재의 두께를 보다 작게 하여 경량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이 모듈 케이스에 대하여 높은 고정 강도로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체가 경량화되어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 1과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플레이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인플레이터(10)의 외각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11)은 대략 원기둥 형상의 것이며, H/D(D는 최대 외경)가 0.5 내지 0.8의 범위인 것이다.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은 전체가 균일 두께인 것이며, 두께 0.5 내지 2.0mm 정도의 금속제의 것이다.
하우징(11)은 일단부면(12)으로부터 타단부면(13)을 향해(축 X 방향), 순서대로 상측 주위벽면(11a), 중간 주위벽면(11b), 하측 주위벽면(11c)을 갖고 있다.
상측 주위벽면(11a)의 외경(D1), 중간 주위벽면(11b)의 외경(D), 하측 주위벽면(11c)의 외경(D2)의 대소 관계는 D>D2>D1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지만, D가 최대이면, D1과 D2는 동일한 크기일 수도, D1>D2일 수도 있다.
일단부면(12)측의 상측 주위벽면(11a)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14)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주위벽면(11a)과 중간 주위벽면(11b)의 사이에는, 일단부면(12)을 향해 외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된 상측 환 형상 단차면(15)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주위벽면(11b)의 외경(D)과 상측 주위벽면(11a)의 외경(D1)은 D1/D=0.90 내지 0.98 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하측 주위벽면(11c)과 중간 주위벽면(11b)의 사이에는, 일단부면(13)을 향해 외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된 하측 환 형상 단차면(16)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주위벽면(11b)의 외경(D)과 하측 주위벽면(11c)의 외경(D2)은 D2/D=0.90 내지 0.98 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상측 고정 부재(20)와 하측 고정 부재(30)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측 고정 부재(20)는 복수의 볼트 구멍(22)을 갖는 환 형상 평면부(21)와, 환 형상 평면부(21)의 외주부로부터 늘어뜨려 설치된 환 형상 외주벽부(23)를 갖고 있다.
환 형상 평면부(21)의 내측 구멍의 외경은, 주위벽면(11a)과 상측 환 형상 단차면(15)의 경계 부분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환 형상 평면부(21)는 인플레이터(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에어백(40)을 고정하는 것이며, 환 형상 외주벽부(23)는 가스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충돌시켜 가스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에어백(40) 내에 도입되기 쉽게 하는 것이다.
상측 고정 부재(2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과 동일한 철제의 것일 때 내압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두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두께보다도 얇게,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두께가 1.0mm이면 0.1 내지 0.5mm로 할 수 있다.
상측 고정 부재(2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이 철제의 것일 때,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두께가 1.0mm이면 두께 0.5 내지 1.0mm 정도의 수지제로 할 수 있다.
하측 고정 부재(30)는 통 형상 벽부(31)와, 일단부측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2)를 갖고 있다.
통 형상 벽부(31)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중간 주위벽면(11b), 환 형상 단차면(16), 하측 주위벽면(11c)의 표면 형상과 일치하고 있는 내표면 형상의 것이다. 여기서, 통 형상 벽부(31)의 중간 주위벽면(11b)과 하측 주위벽면(11c)에 대응하는 벽면의 내경은, 중간 주위벽면(11b)의 외경(D)과 하측 주위벽면(11c)의 외경(D2)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플랜지부(32)는 복수의 볼트 구멍(33)을 갖고 있다.
하측 고정 부재(3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과 동일한 철제의 것일 때 내압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두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두께보다도 얇게,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두께가 1.0mm이면 0.5 내지 0.8mm로 할 수 있다.
하측 고정 부재(3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이 철제의 것일 때,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두께가 1.0mm이면 두께 2.5 내지 4.0mm 정도의 알루미늄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고정 부재(20)는 사용하지 않고, 고정 부재로서 하측 고정 부재(3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측 고정 부재(20)와 하측 고정 부재(30)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또한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때, 상측 고정 부재(20)의 두께쪽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고정 부재(20)의 두께를 하측 고정 부재(30)의 두께의 50 내지 90%의 범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의해 인플레이터(10)와 에어백(40)의 고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플레이터(10)는, 모듈 케이스의 플레이트부(50)에 미리 형성된 구멍에 대하여 감입되어 있다.
이때,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상측 주위벽면(11a)과 상측 환 형상 단차면(15)이 플레이트부(50)의 상면(50a)으로부터 나오고, 하측 주위벽면(11c), 하측 환 형상 단차면(16) 및 중간 주위벽면(11b)의 일부가 플레이트부의 하면(50b)으로부터 나오도록 하여 감입되어 있다.
중간 주위벽면(11b)의 잔부는 플레이트부(50)의 구멍의 내주면과 접촉한 상태가 되어 있다.
에어백(40)은 개구부(백 개구부)가 있는 주머니 형상의 것이며, 통상은 나일론을 포함하는 것이다.
에어백(40)은 플레이트부(50)의 상면(50a)측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가스 배출구(14)를 포함하는 상측 주위벽면(11a)을 감싸도록 하여 개구부로부터 씌워져 있다.
상측 고정 부재(20)는, 플레이트부(50)의 상면(50a)측에 있어서, 환 형상 평면부(21)가 에어백(40)을 개재하여 플레이트부(50)에 접촉되고, 또한 환 형상 평면부(21)의 내주부가 상측 주위벽면(11a)과 상측 환 형상 단차면(15)의 경계부에 접촉되도록 하여 인플레이터 하우징(11)에 감입되어 있다. 상측 고정 부재(20)는 상측 환 형상 단차면(15)에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측 고정 부재(30)는, 플레이트부(50)의 하면(50b)측에 있어서, 통 형상 벽부(31)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1)의 중간 주위벽면(11b), 하측 환 형상 단차면(16) 및 하측 주위벽면(11c)에 접촉되고, 플랜지부(32)가 플레이트부의 하면(50b)에 접촉되어 있다.
상측 고정 부재(20), 에어백(40) 및 하측 고정 부재(30)는 상측 고정 부재(20)의 볼트 구멍(22), 에어백(50)의 개구부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구멍, 플레이트부(50)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구멍, 및 하측 고정 부재(30)의 플랜지부(32)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60)와 너트(6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의 바람직한 고정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트부(50)에 대하여, 상측 고정 부재(20), 에어백(40) 및 하측 고정 부재(30)를 볼트(60)와 너트(61)로 설치한다.
그 후, 하측 고정 부재(30)쪽으로부터 인플레이터(10)를 감입한다.
이때, 상측 주위벽면(11a)의 외경(D1), 중간 주위벽면(11b)의 외경(D), 하측 주위벽면(11c)의 외경(D2)의 대소 관계는 D>D2>D1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입 작업은 용이하다.
또한 통 형상 벽부(31)의 중간 주위벽면(11b)과 하측 주위벽면(11c)에 대응하는 벽면의 내경은, 중간 주위벽면(11b)의 외경(D)과 하측 주위벽면(11c)의 외경(D2)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입한 후, 통 형상 벽부(31)에 의해 중간 주위벽면(11b)과 하측 주위벽면(11c)이 외측으로부터 가압되도록 되기 때문에(즉, 압입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고정 강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히,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의 범위에 포함하고,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하는 전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5)

  1. 모듈 케이스의 플레이트부에 대하여,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로서,
    인플레이터의 외각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이 대략 원기둥 형상의 것이고,
    축 방향의 일단부면측의 주위벽면에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고,
    축 방향의 타단부면측의 주위벽면에는, 타단부면측으로 하우징의 외경이 작아지고 있음으로써 형성된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플레이트부의 하면측으로부터 상기 인플레이터를 지지 고정하고 있는 하측 고정 부재이고,
    하측 고정 부재가,
    통 형상 벽부와 일단부측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통 형상 벽부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감입될 수 있는 내표면 형상의 것이고,
    플랜지부가 복수의 볼트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가,
    인플레이터가, 모듈 케이스의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구멍에 대하여,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는 주위벽면이 플레이트부의 상면측이 되고,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이 플레이트부의 하면측이 되도록 감입되어 있고,
    에어백이, 플레이트부의 상면측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는 주위벽면을 감싸도록 하여 백 개구부로부터 씌워져 있고,
    하측 고정 부재가, 플레이트부의 하면측에 있어서, 통 형상 벽부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접촉되며, 플랜지부가 플레이트부의 하면에 접촉되어 있고,
    에어백과 하측 고정 부재가 에어백, 플레이트부 및 하측 고정 부재의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2. 모듈 케이스의 플레이트부에 대하여,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이 2개의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로서,
    인플레이터의 외각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이 대략 원기둥 형상의 것이고,
    축 방향의 일단부면측의 주위벽면에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고,
    축 방향의 양 단부면측의 주위벽면에는, 각각의 단부면측으로 하우징의 외경이 작아지고 있음으로써 형성된 상측 환 형상 단차면과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2개의 고정 부재가, 플레이트부의 상면측으로부터 인플레이터를 지지 고정하고 있는 상측 고정 부재와, 플레이트부의 하면측으로부터 인플레이터를 지지 고정하고 있는 하측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측 고정 부재가, 복수의 볼트 구멍을 갖는 환 형상 평면부와, 환 형상 평면부의 외주부로부터 늘어뜨려 설치된 환 형상 외주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하측 고정 부재가,
    통 형상 벽부와 일단부측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통 형상 벽부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을 감입할 수 있는 내표면 형상의 것이고,
    플랜지부가 복수의 볼트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가,
    인플레이터가, 모듈 케이스의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구멍에 대하여,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는 주위벽면이 플레이트부의 상면측이 되고, 하측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이 플레이트부의 하면측이 되도록 감입되어 있고,
    에어백이, 플레이트부의 상면측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는 주위벽면을 감싸도록 하여 백 개구부로부터 씌워져 있고,
    상측 고정 부재가, 플레이트부의 상면측에 있어서, 환 형상 평면부가 에어백을 개재하여 플레이트부에 접촉되며, 또한 환 형상 평면부의 내주부가 상측 환 형상 단차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감입되어 있고,
    하측 고정 부재가, 플레이트부의 하면측에 있어서 통 형상 벽부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환 형상 단차면을 포함하는 주위벽면에 접촉되며, 플랜지부가 플레이트부의 하면에 접촉되어 있고,
    상측 고정 부재, 에어백 및 하측 고정 부재가 상측 고정 부재, 에어백, 플레이트부 및 하측 고정 부재의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과 동일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 부재의 두께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두께보다도 작은 것인,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과 상이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 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이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보다도 비중이 작은 것인,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수지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KR1020167006255A 2013-10-22 2014-10-01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KR201600744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8799 2013-10-22
JP2013218799A JP6215646B2 (ja) 2013-10-22 2013-10-22 インフレータとエアバッグの固定構造
PCT/JP2014/076249 WO2015060080A1 (ja) 2013-10-22 2014-10-01 インフレータとエアバッグの固定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456A true KR20160074456A (ko) 2016-06-28

Family

ID=5299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255A KR20160074456A (ko) 2013-10-22 2014-10-01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96055B2 (ko)
EP (1) EP3061656B1 (ko)
JP (1) JP6215646B2 (ko)
KR (1) KR20160074456A (ko)
CN (1) CN105683001B (ko)
WO (1) WO2015060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2679B2 (en) * 2014-08-08 2017-06-20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or retainer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JP6951182B2 (ja) * 2016-12-16 2021-10-20 株式会社ダイセル リテーナおよびガス発生器
CN110087762B (zh) * 2016-12-16 2022-04-15 株式会社大赛璐 固定件及气体发生器
CN108177628B (zh) * 2017-12-13 2023-10-20 上海临港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功能的安全气囊保持支架
JP7420615B2 (ja) * 2020-03-24 2024-01-23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インフレータ取付用治具及び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88Y2 (ko) * 1989-08-02 1993-03-25
CA2079025A1 (en) * 1991-10-17 1993-04-18 Paul E. Strahl Air bag cushion rivetless retainer ring, axial pin methd
US5425548A (en) 1993-10-14 1995-06-20 Morton International, Inc. Air bag module with a centrally mounted toroidal inflator using a clamshell inflator retention system
US5518266A (en) 1994-10-20 1996-05-21 Trw Inc. Vehicle safety apparatus including inflatable restraint
US5501484A (en) 1995-03-20 1996-03-26 Morton International, Inc. Rivetless cushion retaining ring with tabs which lock the ring in place after rotation
US5503426A (en) * 1995-09-01 1996-04-02 Morton International, Inc. Method of attaching a mounting bracket to an airbag inflator
US5547213A (en) * 1995-09-01 1996-08-20 Morton International, Inc. Press-on inflator mount
US6234521B1 (en) 1996-04-08 2001-05-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bag inflator and an airbag apparatus
JPH1029493A (ja) 1996-04-08 1998-02-03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5741024A (en) * 1996-05-31 1998-04-21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cover attachment and method of attaching a module cover to an airbag module
US5826913A (en) * 1996-10-25 1998-10-27 Trw Inc. Air bag with retaining ring
JP4560881B2 (ja) 2000-04-21 2010-10-1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350800B2 (en) * 2006-04-06 2008-04-01 Arc Automotive, Inc. Air bag inflator vibration damper
US7926837B2 (en) * 2009-02-03 2011-04-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with inflation fluid deflector
JP5392909B2 (ja) * 2009-09-25 2014-01-2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2071754A (ja) * 2010-09-29 2012-04-12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4094739A (ja) * 2012-10-10 2014-05-22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6085453B2 (ja) * 2012-11-13 2017-02-22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014559B2 (ja) * 2013-07-31 2016-10-25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の取付構造及び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1656A1 (en) 2016-08-31
EP3061656A4 (en) 2017-06-21
CN105683001A (zh) 2016-06-15
US20160214559A1 (en) 2016-07-28
US9896055B2 (en) 2018-02-20
EP3061656B1 (en) 2019-09-04
JP2015080975A (ja) 2015-04-27
CN105683001B (zh) 2017-12-26
WO2015060080A1 (ja) 2015-04-30
JP6215646B2 (ja)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4456A (ko)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JP5410639B2 (ja) 車両のための取付け装置
CN105402134B (zh) 一种挡油罩及具有所述挡油罩的涡旋压缩机
US8556290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ling element
CN110696547A (zh) 车辆用轮毂
US9539977B2 (en) Airbag apparatus
US11667256B2 (en) Airbag module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CN107299846B (zh) 车辆上减小或产生发动机声音的声音产生装置及排气系统
JP2012081807A (ja) タンク搭載構造
CN106460622A (zh) 具有整体安装件的排气处理装置
CN202510315U (zh) 安装于压缩机中的防撞结构
JP2009511352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特に膝エアバッグに用いられる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CN210637283U (zh) 一种汽车空调风机总成安装结构
CN101660531A (zh) 压缩机的固定装置
CN210510082U (zh) 一种空气弹簧
CN216768358U (zh) 一种更换气动膜片调节阀膜片的工具
CN103723108B (zh) 充气机组件
US11440365B2 (en) Strut mount
KR100685238B1 (ko)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US10099167B2 (en) Device for the detachable fastening of a drying agent cartridge to a housing of a compressed-air treatment installation of a vehicle
US10919480B2 (en) Retainer and gas generator
CN207106713U (zh) 摩托车后尾灯
JP2006096217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9618071B2 (en) Engine mount structure for apparatus equipped with engine
CN107044405A (zh) 一种空压机用一体式中心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