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238B1 -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238B1
KR100685238B1 KR1020060035802A KR20060035802A KR100685238B1 KR 100685238 B1 KR100685238 B1 KR 100685238B1 KR 1020060035802 A KR1020060035802 A KR 1020060035802A KR 20060035802 A KR20060035802 A KR 20060035802A KR 100685238 B1 KR100685238 B1 KR 10068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nipple
packing
boiler
low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민
Original Assignee
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환 filed Critical 최영환
Priority to KR102006003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2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기 홈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제1공급관의 일측 단부가 결합 되고 상부에는 제2공급관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중공이 형성된 닛플과; 상기 제2공급관의 상기 단부에 결합되는 패킹; 및 상기 제2공급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닛플의 상기 상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패킹의 형상에 대응하는 패킹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체결너트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디스크부와 상기 닛플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몸통을 포함하여 상기 패킹이 상기 닛플의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는 용접공정이 필요로 하지 않아 하부케이싱의 홈에 닛플이 억지끼움 체결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게 되어 제작 시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파이프(Pipe), 배관, 체결, 패킹(Parking), 닛플(Nipple)

Description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Structure for combination of boiler supply pipes}
100 : 하부케이싱 110 : 홈
120 : 리세스 200 : 닛플
210 : 제1공급관 220 : 제2공급관
230 : 패킹안착면 240 : 지지턱
300 : 패킹 400 : 체결너트
410 : 디스크부 420 : 몸통
430 : 단 500 : 와셔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도1은 종래의 보일러 공급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케이싱에 정면도이다.
도5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닛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체결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배관과 수도공급배관 등의 제1공급관을 보일러 조립체 내부의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과 연결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는 연료 또는 온수의 이동 통로로 사용되는 공급관과 공급관을 연결시키는 닛플이 구성된다.
이러한 닛플의 종류는 유압 니플, 에스에스유(SSU) 니플, 동용접 니플 등이 있고, 사용 용도에 따라 그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게 변형되어 왔으며, 보일러에 사용된 공급관은 동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용접 닛플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종래의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보일러 공급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보일러의 내부에 연료 공급관 또는 냉수, 온수를 운송하는 공급관이 형성되며, 보일러의 공급관과 공급관을 연결하는데 닛플이 장착된다.
상기 닛플이 하부케이싱(60)에 피스(40)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닛플(30)의 상단에 제2공급관(10)이 삽입 장착되며, 상기 닛플(30) 하부에 제1공급관(20)이 삽 입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 제2공급관(10)을 상기 닛플(30)에 고정 하기 위해 용접을 하여 용접부위(50)가 형성된다.
이러한 닛플은 금속 재질인 동용접 닛플이 사용됨으로써 제2공급관을 장착하기 위해 용접 공정의 추가로 제작비가 추가되고, 대량생산시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기 곤란하다. 또한 용접으로 인해 상기 닛플과 제2공급관의 탈 부착이 어렵게 됨으로써 보일러를 수리하기 위해 상기 닛플과 하부케이싱의 탈부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닛플의 재질과 공급관의 체결 구조를 변경하여 제작단가를 낮추고, 균일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닛플과 하부케이싱을 탈부착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기 홈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제1공급관의 일측 단부가 결합 되고 상부에는 제2공급관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중공이 형성된 닛플과; 상기 제2공급관의 상기 단부에 결합되는 패킹; 및 상기 제2공급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닛플의 상기 상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패킹의 형상에 대응하는 패킹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체결너트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디스크부와 상기 닛플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몸통을 포함하여 상기 패킹이 상기 닛플의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닛플이 제2공급관을 연결할 때 용접공정이 필요 없게 되고, 기밀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공급관은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 공급관을 포함하고, 직수 공급관과, 난방수 공급관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급관은 제1공급관에서 공급된 연료, 직수 난방수등을 보일러 내부의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닛플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생산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과 상기 체결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구비 할 수 있다. 상기 와셔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닛플에 연결되었을 때 기밀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부의 내측에는 상기 와셔에 대응하는 단(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와셔(500)가 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공급관은 동관 또는 주름관 또는 엑스-엘(XL)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공급관이 동관 또는 주름관 또는 엑스-엘 파이프로 구성됨 으로써 사용되는 위치와 용도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닛플이 상기 홈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지지턱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닛플이 상기 하부케이싱을 관통하여 밑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닛플은 상기 하부케이싱에 볼트체결 또는 피스체결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닛플은 상기 하부케이싱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상기 닛플이 상기 하부케이싱에 억지 끼워 맞춤됨으로써 탈부착이 간편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기 홈에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닛플이 억지 끼워 맞춤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4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케이싱에 정면도이고, 도5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닛플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체결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복수 개의 홈(110)이 형성되는 상기 하부케이싱(100)과, 상기 하부케이싱(100)의 홈에 장착되는 닛플(200)과, 상기 닛플(200)과 접촉되며, 제2공급관(220)의 끝단부에 결합 되는 패킹(300)과, 상기 닛플(200)과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400)가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싱(100)에는 복수개의 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홈(11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리세스(120, recess)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케이싱(100)은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1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1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상기 리세스(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세스(120)와 상기 리세스(120)사이의 돌출부가 상기 홈(110)에 상기 닛플(200)이 체결될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절되도록 하여 상기 닛플(200)이 상기 홈(110)에 억지 끼움 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홈(110)의 평균직경이 상기 닛플(200)의 외주면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닛플(200)을 상기 하부케이싱(100)에 결합할 때 장착되는 위치와 필요에 따라서 볼트 체결 되거나 피스 체결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닛플(200)에는 상기 하부케이싱(100)의 홈(1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턱(240)과, 상기 지지턱(240)의 아래에 형성된 이탈방지홈(250)과, 상기 닛플(200) 상부의 내주면에는 패킹(300) 형상과 대응되는 패킹안착면(23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240)은 상기 닛플(200) 중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240)은 상기 하부케이싱(100)의 홈(110)의 외주면에 걸림 되어 상기 닛플(200)이 상기 하부케이싱(100)의 홈(110)을 관통하여 밑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홈(250)은 상기 지지턱(240)의 아래에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 지홈(250)은 상기 하부케이싱(100)에 억지 끼움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닛플(200)이 상기 하부케이싱(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패킹안착면(230)은 상기 닛플(200) 끝단의 내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이하 설명되는 패킹(3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패킹(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안착면(230)에 상기 패킹(300)이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패킹(300)은 고무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300)은 상기 제2공급관(220)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패킹안착면(230)에 안착되어 기밀유지를 함으로써 냉수, 온수, 연료 등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300)과 상기 닛플(200)의 기밀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와셔(500)가 패킹(30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공급관(220)은 동관 또는 주름관, 또는 엑스-엘 파이프로 구성됨으로써 사용되는 위치와 용도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제2공급관(220)으로 복수개의 요(凹)홈이 있는 주름관을 채택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셔(500)를 주름관의 요(凹)홈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공급관(210)과 상기 닛플의 연결 구성은 상기 제2공급관(220)의 구성과 대동소이하게 구성 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닛플(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너트(400)가 나사 결합되는데 상기 체결너트(400)는 상단에 형성된 디스크부(410)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통(42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부(410)는 상기 제2공급관(220)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2공급관(220)이 삽입되며, 상기 디스크부(410)의 내부에는 상기 와셔(50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와셔(500)가 정 위치에 고정 될 수 있게 단(430)을 형성한다. 상기 몸통(420)은 내주면에 나사산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닛플(200) 외주면의 나사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닛플(200)에 장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닛플과 체결너트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생산 재료의 원가 절감을 하고, 공급관과 닛플의 연결시 용접공정을 제거할 수 있어 균일한 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에 의하면 용접공정이 필요로 하지 않아 하부케이싱의 홈에 닛플이 억지끼움 체결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게 되어 제작 시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기 홈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제1공급관의 일측 단부가 결합 되고 상부에는 제2공급관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중공이 형성된 닛플;
    상기 제2공급관의 상기 단부에 결합되는 패킹; 및
    상기 제2공급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닛플의 상기 상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패킹의 형상에 대응하는 패킹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체결너트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디스크부와 상기 닛플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몸통을 포함하여 상기 패킹이 상기 닛플의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닛플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과 상기 체결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의 내측에는 상기 와셔에 대응하는 단(段)이 형성된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관은 동관 또는 주름관 또는 엑스-엘(XL)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닛플이 상기 홈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닛플은 상기 하부케이싱에 볼트체결 또는 피스체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닛플은 상기 하부케이싱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기 홈에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KR1020060035802A 2006-04-20 2006-04-20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KR10068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02A KR100685238B1 (ko) 2006-04-20 2006-04-20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02A KR100685238B1 (ko) 2006-04-20 2006-04-20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238B1 true KR100685238B1 (ko) 2007-02-22

Family

ID=3810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802A KR100685238B1 (ko) 2006-04-20 2006-04-20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80B1 (ko) 2015-09-17 2017-08-29 최성환 하이브리드 콘덴싱 보일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484A (ja) * 1993-02-05 1994-08-23 Teikoku Kinzoku Kk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配管の継手部
JPH09133214A (ja) * 1995-11-08 1997-05-20 Chubu Sukegawa Kogyo Kk 管継手の接続方法
KR0134887Y1 (ko) * 1995-07-24 1999-02-18 조홍구 관이음쇠
JPH11257570A (ja) 1998-03-11 1999-09-21 Nippon Grease Nipple Kk 高温流体を通すフッ素樹脂製管状部材用のフッ素樹脂製継手
KR20010018126A (ko) * 1999-08-17 2001-03-05 조홍구 관 연결구
KR20010054724A (ko) * 1999-12-08 2001-07-02 권윤노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및 회수기의 관연결구 또는 볼밸브연결구조
KR20060027975A (ko) * 2004-09-24 2006-03-29 (주)천일금속 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484A (ja) * 1993-02-05 1994-08-23 Teikoku Kinzoku Kk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配管の継手部
KR0134887Y1 (ko) * 1995-07-24 1999-02-18 조홍구 관이음쇠
JPH09133214A (ja) * 1995-11-08 1997-05-20 Chubu Sukegawa Kogyo Kk 管継手の接続方法
JPH11257570A (ja) 1998-03-11 1999-09-21 Nippon Grease Nipple Kk 高温流体を通すフッ素樹脂製管状部材用のフッ素樹脂製継手
KR20010018126A (ko) * 1999-08-17 2001-03-05 조홍구 관 연결구
KR20010054724A (ko) * 1999-12-08 2001-07-02 권윤노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및 회수기의 관연결구 또는 볼밸브연결구조
KR20060027975A (ko) * 2004-09-24 2006-03-29 (주)천일금속 관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80B1 (ko) 2015-09-17 2017-08-29 최성환 하이브리드 콘덴싱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013B2 (en) Water inlet device for mounting a valve body on a deck
KR100685238B1 (ko) 보일러 공급관 연결구조
CN101418869B (zh) 供暖水流速控制阀
KR100878840B1 (ko) 급수분배기의 분배관
JP5047173B2 (ja) パイプ用のメス型迅速連結フィッティング要素
RU2658449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концевого уплотнения направляющей-распределителя для топлива для бензинового двигателя с непосредственным впрыском
KR20160074456A (ko)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의 고정 구조
KR20120079683A (ko) 파이프 연결구
CN201121787Y (zh) 箍环长度可线性调节型抱箍
JP2006307872A (ja) 水栓継手
KR20090063992A (ko) 자동변속기용 오일쿨러 장착유닛
KR101132794B1 (ko) 이종 냉매관용 서비스밸브 결합구조
KR101153412B1 (ko) 공기 조화기용 서비스밸브
CN201190842Y (zh) 具有多通路的隔板连接器
KR200349668Y1 (ko) 냉각호스 연결용 커플링
KR100948782B1 (ko) 압륜을 이용한 접속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배관의 결합구조
KR20010029350A (ko) 에어콘용 냉매 파이프의 연결구조
CN214822445U (zh) 车辆、车身及减振器的安装结构
JP2906137B2 (ja) 水栓継手
KR101500272B1 (ko) 관이음 조립체
US20190153708A1 (en) Composite Faucet Structure Made of Plastic and Metal Materials
KR200245305Y1 (ko) 언더싱크형 정수기의 유출콕 결합구조
KR102072406B1 (ko) 압륜 어셈블리
KR200414884Y1 (ko) 결합 클램프
JPH08260533A (ja) 水栓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