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832A -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832A
KR20160072832A KR1020160061256A KR20160061256A KR20160072832A KR 20160072832 A KR20160072832 A KR 20160072832A KR 1020160061256 A KR1020160061256 A KR 1020160061256A KR 20160061256 A KR20160061256 A KR 20160061256A KR 20160072832 A KR20160072832 A KR 2016007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ode
current
microcurrent
pro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전스
Priority to KR102016006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2832A/ko
Publication of KR2016007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61F2005/411Peni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61F2005/418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by electrical st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전립선 부위에 미세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에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파워 링 디바이스(10)는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유닛(111) 및 상기 베이스 유닛(111)의 한쪽 끝으로부터 일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유닛(112)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1); 고정 유닛(112)의 끝 부분에 결합되어 착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 유닛(12); 및 베이스 유닛(111)에 제1 위치에 형성된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되어 미세전류 형성 유닛(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도 전극(143)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A Device of Power Ring for Treating Sexual Dysfunction and Impro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전립선 부위에 미세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에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 성기능 장애로 조루증, 발기 부전 또는 조루증과 같은 것이 있고 심인성 원인과 기질성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기능 장애는 약물 치료, 수술 또는 심리 치료에 의하여 치료될 수 있다. 또한 샘 조직과 섬유 근조직으로 구성된 부속 생식샘에 해당하는 전립샘은 정액을 생성 및 분비하는 기능을 하면서 정자에 영향을 공급하고 적절한 이온 농도와 산성을 유지하게 하고, 아연 성분이 존재하여 세균 감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전립샘 또는 전립선과 관련된 질병으로 전립선염, 전립선비대증 또는 전립선암과 같은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전립선 관련 질병은 일반적으로 약물 요법 또는 전기 자극 치료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치료가 될 수 있지만 완전하게 치료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만성전립선염의 경우 단시일에 완치를 할 수 있는 독립적인 치료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치료를 위하여 복합적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전립선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50336호 전립선 및 요실금 겸용 치료 제어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봉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에 히터와 진동체를 구비한 상태에서 남성의 직장에 삽입되어 전립선에 열과 진동을 자극하는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 봉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에 히터, 진동체, 전기 자극체를 구비한 상태에서 여성의 질에 삽입되어 방광에 열과 진동, 저주파 전기를 자극하는 요실금 치료용 프로브; 케이블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 및 요실금 치료용 프로브 중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합 단자 및 상기 통합 단자에 연결된 장치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인지 요실금 치료용 프로브인지를 식별하여 식별된 상태에 따라 해당 프로브에 히터 및 진동체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체;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체의 외부를 감싸는 패킹으로 이루어진 전립선 및 요실금 겸용 치료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성기능 장애 치료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10-2009-0041839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음경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 귀두 부분을 포함한 음경의 형상과 대응되는 전반부와 후반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후반부의 두께는 음경에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전반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되고, 상기 전반부의 끝단에 남성의 체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공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상기 후반부의 선단 내측에 남성의 체액이 후반부 아래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기 위한 유입 방지 돌기가 형성된 음경 보형물에 대하여 개시한다.
전립선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1278757호 전립선 강화를 위한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급수 배관으로부터 급수된 세정수를 저수하는 세정수 저장 탱크; 상기 세정수 저장 탱크로부터 출수되는 세정수를 배출하는 연결 배관과 연결되며, 세정수에 내부 전립선 강화용 회음부 자극제를 혼합시켜 배출시키는 회음부 자극제 보관함; 및 상기 회음부 자극제 보관함으로부터 배출되는 회음부 자극제 혼합 세정수를 노즐공을 통해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전립선 강화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남성의 성기능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시된 선행기술은 장치 자체가 복잡하여 예를 들어 수면 중 또는 일상생활 과정에서 사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해당 부위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어려우면서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문헌1: 특허공개번호 10-2009-0041839(이헌국, 2009년04월29일 공개) 성기능 장애 극복을 위한 음경 보형물 선행문헌2: 등록실용신안번호 20-0450336(박화순, 2010년09월24일 공개) 전립선 및 요실금 겸용 치료 제어 장치 선행문헌3: 등록특허번호 10-1278757(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년06월25일 공개) 전립선 강화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남성의 생식기에 착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착용 부위에 미세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에 의하여 전립선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파워 링 디바이스는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한쪽 끝으로부터 일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유닛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 고정 유닛의 끝 부분에 결합되어 착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 유닛; 및 베이스 유닛에 제1 위치에 형성된 미세전류 형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되어 미세전류 형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도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착용 유닛은 플렉시블 소재(flexible material)로 상기 개방된 링 형상의 직경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전극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칩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는 착용이 간단하고, 외부에서 무선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가 간단하면서 지속적으로 전립선 부위에 자극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전립선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이 가능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조건에 적합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는 수면 중 또는 일상생활 과정에서 사용이 가능하면서 이와 동시에 휴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1a,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흐름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10)는 남성의 성기에 고정되는 베이스 몸체(11); 베이스 몸체(11)의 끝 부분에 결합되는 착용 부분(12) 및 베이스 몸체(11)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몸체(11)에 전극 유닛(14)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1)는 인체에 무해한 인조 가죽, 부직포, 섬유, 합성수지 또는 펄프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착용 유닛(12)은 베이스 몸체(11)가 남성의 성기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전극 유닛(14)이 인체에 접촉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쉽게 휘어질 수 있고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내부에 배치된 금속 편조, 금속 나선 또는 금속 스트립과 같은 굽힘 소재 및 이를 둘러싼 합성수지, 섬유 또는 부직포와 같은 보호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 유닛(12)은 베이스 몸체(11)에 형성된 링 형상 또는 환형 부분의 일부가 될 수 있고, 베이스 몸체(11)에 견고하게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은 베이스 몸체(11)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면서 미세 전류의 흐름을 위한 하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작동과 관련된 다양한 부품 또는 소자가 수용될 수 있다. 전극 유닛(14)은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으로부터 발생된 미세전류의 남성의 성기로 유도하기 위한 단자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극 유닛(14)은 베이스 몸체(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도체에 의하여 미세전류 형성 유닛(13)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 디바이스(10)는 미세전류의 흐름에 의하여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치료하면서 이와 동시에 성기능 장애를 향상시킨다. 이와 동시에 전립선과 같은 질병의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10)는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유닛(111) 및 상기 베이스 유닛(111)의 한쪽 끝으로부터 일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유닛(112)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1); 고정 유닛(112)의 끝 부분에 결합되어 착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 유닛(12); 및 베이스 유닛(111)에 제1 위치에 형성된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되어 미세전류 형성 유닛(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도 전극(143)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남성의 생식기와 같은 곳에 착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립선 부위에 다양한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또한 파워 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속옷에 결합되어 전립선 부위에 접촉이 되도록 착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워 링 디바이스(10)는 다양한 형태로 전립선 부위에 접촉될 수 있고 본 발명은 파워 링 디바이스(10)은 착용 방식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유닛(111)은 예를 들어 실리콘, 가죽, 섬유, 펄프 또는 합성수지 소재와 같은 절연체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리고 베이스 유닛(111)의 한쪽 면은 음경 또는 생식기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유닛(111)의 한쪽 면에 적어도 하나의 유도 전극(143)이 배치될 수 있다. 유도 전극(143)은 베이스 유닛(111)이 음경 또는 생식기와 접촉하는 부위를 기준으로 적절한 수로 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면적 접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면적 접촉 구조는 접촉면이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면 형상이 되는 것을 말하고 면적 접촉 구조는 곡면 접촉 형상이 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1)의 한쪽 부분에 링 형상 또는 환형이 되도록 연장되는 고정 유닛(112)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 유닛(112)은 예를 들어 한쪽 부분이 개방된 형상이 될 수 있다. 고정 유닛(112)은 음경 또는 생식기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파워 링 디바이스(10)가 음경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유닛(112)의 안쪽에 음경에 접촉 가능하도록 연결 단자 유닛(144)가 배치될 수 있고 연결 단자 유닛(144)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전극(143)과 연결 단자 유닛(144)은 베이스 유닛(111)과 고정 유닛(112)을 따라 배치된 연결 도체(14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전극(143), 연결 도체(141), 인체 및 연결 단자 유닛(144)은 미세 전류의 흐름을 위한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도체(141)는 유도 전극(143)과 연결 단자 유닛(144)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임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유도 전극(143) 또는 연결 단자 유닛(144)은 동일 또는 유사한 전도성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서로 다른 전도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 유닛(112)의 끝 부분에 착용 유닛(12)이 연결될 수 있고, 착용 유닛(12)은 고정 유닛(112)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착용 유닛(12)의 적어도 일부는 쉽게 휘어지거나 또는 쉽게 구부려지고, 휘어지거나 또는 구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 유닛(12)은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아릴레이트(PAR), 사이클릭 코폴리머(COC),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테프론, 폴리에틸렌아크릴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착용 유닛(12)의 내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기거나 꼬인 금속선이 결합된 플렉시블 판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소재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 착용 유닛(12)은 쉽게 휘어지고 이와 동시에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파워 링 디바이스(10)가 음경 또는 생식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링 형상 또는 환형의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착용 유닛(12)은 커넥터 부분(122) 및 조절 부분(1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 부분(122)은 전체적으로 얇은 판형이 되면서 끝 부분이 말리거나 길이 방향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는 마무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유닛(112)의 끝 부분의 두께 면에 커넥터 부분(122)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홈의 안쪽에 마무리 형상 수용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22)은 견고한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조절 부분(121)은 위에서 설명된 쉽게 휘어지거나 구부려질 수 있는 플렉시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조절 부분(121)은 적어도 2개의 연장 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연장 가지는 서로 다른 길이 또는 서로 다른 소재 특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착용 유닛(12)은 고정 유닛(112)과 유사한 폭 또는 유사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고정 유닛(112)이 연장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착용 유닛(12)은 고정 유닛(112)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 유닛(12)은 고정 유닛(112)과 별도로 제조되어 사용 과정에서 적절한 연장 길이를 가지는 착용 유닛(12)과 결합될 수 있다. 착용 유닛(12)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 유닛(112)에 결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연장 길이를 가지는 다른 착용 유닛(12)에 의하여 교체될 수 있다. 구조에 따라 고정 유닛(112)과 착용 유닛(1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 유닛(112)이 착용 유닛(12)과 유사한 소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소재 또는 형상을 가지는 착용 유닛(12)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10)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유닛(112)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이 배치될 수 있다. 미세 전류 형성 유닛(13)은 전체적으로 예를 들어 기계 방식의 로터리 스위치와 같은 외관을 가질 수 있고 외부 면에 미세전류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작동 표시 등(115)이 배치될 수 있다.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은 내부에 배치된 미세전류 발생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통신 칩과 같은 미세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소자 또는 부품, 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또는 리모컨과 같은 무선 작동 장치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의 외관을 형성하는 스위치를 회전시켜 미세전류 발생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10)는 다양한 구조로 작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이 반드시 고정 유닛(112)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은 베이스 프레임(11)과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옷 또는 겉옷을 착용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1)은 음경에 고정되고 그리고 적절한 배선에 의하여 연결된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이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베이스 프레임(11)은 미세전류 형성 유닛(13)과 독립된 모듈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커넥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져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의 작동에 의하여 유도 전극(143), 연결 도체(141), 인체 및 연결 단자 유닛(144)에 의하여 형성된 회로에 미세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10)에 의하여 미세전류가 흐르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워 링 디바이스의 작동 구조는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21); 착용 부위에 대한 접촉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 유닛(21)으로 전달하는 접촉 센서(22); 작동 조건이 저장된 조건 탐색 유닛(211); 적어도 하나의 전립선 부위에 접촉되는 단자를 가지는 전극 유닛(24); 및 제어 센서(21)에 의하여 전극 유닛(24)의 전류 흐름을 조절하는 스위치 유닛(2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21)은 접촉 센서(22)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 유닛(23)을 조절하여 전극 유닛(24)을 통하여 흐르는 미세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어 유닛(21)의 작동은 통신 칩(15)을 통하여 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유닛(21) 또는 통신 칩(15)은 위에서 설명된 미세전류 형성 유닛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전극 유닛(24)은 유도 전극 또는 연결 단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센서는 베이스 프레임 또는 착용 유닛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제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된 파워 링 디바이스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파워 링 디바이스의 전체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S)는 미세 전류의 발생이 가능한 임의의 전압 전원 또는 전류 전원이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펄스 형태의 미세 전류의 발생이 가능한 펄스 발생기가 될 수 있다. 미세 전류는 1,000 ㎂이하의 전류를 말하고 생체 전류와 유사한 크기를 말한다. 미세 전류는 펄스 형태로 발생될 수 있고 주기적으로 인체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전류는 사각 파형의 펄스가 될 수 있고 1초에 수회 내지 수십 회의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인체에 인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인지 전류가 일정 주기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 10, 20초 또는 40초의 단위로 미세전류 발생기(S)는 인지 전류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인지 전류는 미세전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의미한다. 인지 전류는 계속적인 미세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미세전류의 흐름이 인지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인지 전류는 예를 들어 미세전류 크기의 2 내지 5배의 크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세전류 또는 인지 전류는 다양한 방법으로 미세전류 발생기(S)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세전류 발생기(S)는 제어 유닛(21)의 제어에 의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미세전류 또는 인지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접촉 센서(22)는 파워 링 디바이스의 인체에 대한 접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접촉 센서(22)는 특히 전극 유닛(24)의 접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접촉 센서(22)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극 유닛(24)에 또는 전극 유닛(24)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접촉 센서(22)는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접촉 센서(22)는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센서(22)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습도와 같은 다른 인체 상태의 탐지를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센서(22)에서 탐지된 정보는 제어 유닛(21)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 유닛(21)은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미세전류 발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접촉 센서(22)는 자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자극 유닛은 예를 들어 저주파 발생기 또는 온열 발생기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자극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링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세전류의 발생 형태 또는 접촉 센서(22)에 설치되는 탐지 센서 또는 자극 유닛의 작동 형태는 제어 유닛(21)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미세전류의 작동 지시를 전송받으면 조건 탐색 유닛(211)으로부터 조건을 탐색할 수 있다. 조건 탐색을 위하여 제어 유닛(21)은 필요에 따라 접촉 센서(22)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유닛(24)의 접속 상태, 신체의 온도 또는 전립선 부위의 습도와 같은 신체 조건을 탐지하여 작동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조건 탐색 유닛(211)은 신체 상태, 시간 또는 주위 환경에 따른 작동 조건을 미리 저장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통신 유닛(25)을 통하여 작동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작동 조건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미세전류의 크기, 파형 또는 인가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시간대에 따른 미세전류의 인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조건은 접촉 센서(22)에 설치된 인체 탐지 센서의 작동 조건 또는 자극 유닛의 작동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25)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또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25)은 링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작동 상황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링 디바이스는 자체적으로 작동 스위치를 가지거나 또는 외부의 지시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독립적인 리모컨에 의하여 링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지시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조건 탐색 유닛(211)이 통신 유닛(25)을 통하여 갱신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작동 상황이 통신 유닛(25)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링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엘이디 표시등과 같은 작동 표시 등을 가질 수 있는 그리고 작동 상황이 통신 유닛(25)을 통하여 미리 결정된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링 디바이스는 팬티와 같은 속옷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작동 상황이 외부에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 상황이 외부에 표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25)을 통하여 일정 주기로 작동 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신호가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리모컨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접촉 센서(22)에 의하여 만약 작동 상태에 이상이 있다는 것이 탐지된다면 접촉 센서(22)는 제어 유닛(21) 또는 경보 유닛(26)으로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경보 유닛(26)은 통신 유닛(25)을 통하여 미리 결정된 장치로 해당 경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접촉 센서(22)에 의하여 일정 주기로 전극 유닛(24)의 작동 상태 또는 체온과 같은 것이 탐지될 수 있고 그리고 일정 주기로 탐지된 정보가 제어 유닛(2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링 디바이스의 작동 상황을 탐지하여 통신 유닛(25)을 통하여 외부 장치 또는 자체 작동 표시 등에 표시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S)는 전극 유닛(24)을 통하여 인가되는 미세전류의 발생원이 되고 전원 및 펄스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은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전원이 될 수 있다. 펄스 발생기는 전극 유닛(24)에 가해지는 펄스 발생을 위한 것으로 톱니파 또는 사각파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펄스 발생기가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미세전류 발생기(S)에서 인지 전류가 발생될 수도 있다. 다만 인지 전류는 접촉 센서(22)에서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전극 유닛(24)을 통하여 인가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S)는 스위치 유닛(23)을 통하여 전극 유닛(24)에 연결될 수 있다. 전극 유닛(24)은 다수 개의 전극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위치 유닛(23)은 각각의 전극 단자에 대한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접촉 센서(22)에 의하여 각각의 전극 단자에 대한 접촉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 제어 유닛(21)은 접촉 센서(22)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전극 단자에 연결된 스위치 유닛(23)에 포함된 각각의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 상태에 따른 스위치 유닛(23)의 제어는 단락 상태에서 발생되는 큰 자극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미세전류 발생기(S)와 스위치 유닛(23) 사이에 스위치 제어 유닛(231)이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 제어 유닛(231)은 스위치의 개폐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거나 또는 전류가 흐름이 갑자기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로 스위치 제어 유닛(231)은 스위치 유닛(13)에서 발생되는 정전하의 발생을 방지하지면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만약 스위치 유닛(13)에서 특정 스위치의 작동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된 것이 탐지되면 스위치 제어 유닛(231)은 미세전류발생기(S)에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시킬 수 있고 이를 제어 유닛(21)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21)은 전달된 정보에 따라 스위치 유닛(23)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만약 오류가 발생되었다면 오작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 제어 유닛(231)은 스위치 자체를 보호하면서 스위치의 이상 작동 상태를 탐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치 제어 유닛(231)은 예를 들어 지연 회로를 포함하거나 또는 스위치 유닛(23)의 개폐 과정에서 전류의 흐름을 분배시키는 회로를 분배 회로를 가질 수 있다.
전극 유닛(24)은 인체에 접촉되는 다수 개의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미세전류 발생기(S)에서 발생된 미세전류는 전극 유닛(24)을 통하여 인체로 흐르고 그리고 다시 전극 유닛(14)으로 또는 다른 접지 전극으로 흐를 수 있다.
전극 유닛(24)에 대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는 미세전류의 흐름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31)에서 발생된 미세전류는 유입 전극 유닛(32)을 통하여 배출 전극유닛(34)으로 흐를 수 있다. 유입 전극 유닛(32)과 배출 전극 유닛(34) 사이에 확인 전극 유닛(33)이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배출 전극 유닛(34)의 전압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배출 전극 유닛(34)으로 유입되는 미세전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유닛(35)이 설치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인지 전극(R1) 및 제2 인지 전극(T1)이 배치될 수 있고, 조절 유닛(35)에 의하여 제2 인지 전극(T1)의 전압이 조절되어 인지 전류의 크기, 방향 또는 주기가 제어될 수 있다. 유입 전극 유닛(32)은 위에서 설명된 유도 전극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배출 전극(34)은 연결 단자 유닛이 될 수 있다. 또한 그 역이 될 수 있다.
전원(S)은 도 2에서 설명이 된 미세전류 발생기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펄스 형태의 미세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유입 전극 유닛(32) 및 배출 전극 유닛(24)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전극 단자(T1~TN, G1~GM)를 포함할 수 있고 확인 전극 유닛(33)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확인 단자(C1~CK)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위치 유닛이 또한 설치될 수 있다.
유입 전극 유닛(32)은 전립선 부위에 설치되고 유입 전극 단자(T1~TN)은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고 링 디바이스의 구조에 따라 인체에 접촉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유입 전극 유닛(32)은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전극 단자로 이루어진 패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입 전극 단자(32)로 유입된 미세 전류는 배출 전극 유닛(34)으로 흐를 수 있고 배출 전극 유닛(34)은 예를 들어 접지 전극이 될 수 있다. 미세전류는 인체를 통하여 흐르고 그리고 인체 자체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미세전류가 인체 내부의 요구되는 부위로 유입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확인 전극 유닛(33)이 설치될 수 있다. 확인 전극 단자(C1~CK)는 전원(31)과 연결되지 않고 그리고 접지 또는 조절 유닛(35)과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입 전극 단자(T1~TN) 및 배출 전극 단자(G1~GM)과 구분된다. 그리고 유입 전극 유닛(32)으로 유입된 전류의 양과 확인 전극 유닛(33)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양을 서로 다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작을 수 있다. 확인 전극 단자(C1~CK)는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전립선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하여 유입된 전류의 경로에 분산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접촉 센서는 확인 전극 유닛(33)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탐지하여 미세전류의 흐름을 추측할 수 있고 그리고 유입 전극 유닛(32) 또는 배출 전극 유닛(34)의 접촉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유입 전극 유닛(32)을 통하여 유입된 미세전류는 배출 전극 유닛(34)으로 흐를 수 있다. 다수 개의 배출 전극 단자(G1~GM)은 서로 다른 인체 부위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배출 전극 단자(G1~GM)는 접지 전극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전원(31)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 전극 단자(G1~GM)은 유입 전극 단자(T1~TN)의 위치를 고려하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배출 전극 단자(G1~GM)로 유입되는 미세전류의 크기는 동일한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인체의 상태 또는 전극 단자의 접촉 상태에 따라 각각의 배출 전극 단자(G1~GM)를 흐르는 전류의 양이 서로 다를 수 있고 그리고 너무 작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조절 유닛(35)은 각각의 배출 전극 단자(G1~GM)의 전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조절 유닛(35)의 작동에 의하여 각각의 배출 전극 단자(G1~GM)를 흐르는 미세전류의 크기가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립선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하여 요구되는 경로를 통하여 미세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배출 전극 단자(G1~GM)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예를 들어 접촉 센서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그리고 제어 유닛에 의하여 조절 유닛(35)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작동 과정에서 일정 주기로 인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인지 전류는 일정한 주기로 흐를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된 제1 인지 전극(R1) 및 제2 인지 전극(T1)을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조절 유닛(35)에 의하여 제2 인지 전극(T1)의 전압의 전압이 제어되는 것에 의하여 인지 전류의 크기 또는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미세전류의 흐름의 유도되는 과정에서 인체의 변화가 탐지 유닛(37)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탐지 정보가 제어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탐지 정보는 예를 들어 온도 변화, 습도 변화, 압력 및 습도 변화와 같은 것을 의미한다. 또는 탐지 정보는 미세전류가 유도된 시간의 경과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전원(31)에 의하여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크기가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탐지된 정보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원(31)의 전류 공급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의 전극 유닛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남자의 음경 또는 생식기에 착용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는 착용 및 제어가 간단하면서 지속적으로 전립선 부위에 자극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전립선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링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이 가능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사용 조건에 적합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파워 링 디바이스 11: 베이스 프레임
12: 착용 유닛 13: 미세 전류 형성 유닛
21: 제어 유닛 22: 접촉 센서
23: 스위치 유닛 24: 전극 유닛
25: 통신 유닛 26: 경보 유닛
31: 전원 32: 유입 전극 유닛
33: 확인 전극 유닛 34: 배출 전극 유닛
35: 조절 유닛
111: 베이스 유닛 112: 고정 유닛
115: 작동 표시 등 121: 조절 부분
122: 커넥터 부분 141: 연결 도체
143: 유도 전극 144: 연결 단자 유닛
211: 조건 탐색 유닛 231: 스위치 제어 유닛

Claims (2)

  1. 남성의 성기에 착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파워 링 디바이스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유닛(111) 및 베이스 유닛(111)의 한쪽 끝으로부터 일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유닛(112)으로 이루어져 남성 성기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11);
    고정 유닛(112)의 끝 부분에 결합되어 착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 유닛(12);
    고정 유닛(112)의 안쪽에 음경에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단자를 가지는 연결 단자 유닛(144); 및
    베이스 유닛(111)의 제1 위치에 형성되어 펄스 형태의 미세 전류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형성 유닛(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베이스 유닛(111)의 제2 위치에 배치되어 미세전류 형성 유닛(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도 전극(143)으로 이루어지고,
    착용 유닛(12)은 플렉시블 소재(flexible material)로 상기 개방된 링 형상의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의 성기에 미세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칩(25)을 더 포함하는 남성의 성기에 미세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KR1020160061256A 2016-05-19 2016-05-19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KR20160072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56A KR20160072832A (ko) 2016-05-19 2016-05-19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56A KR20160072832A (ko) 2016-05-19 2016-05-19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960 Division 2014-12-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61A Division KR20170040138A (ko) 2017-02-20 2017-02-20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832A true KR20160072832A (ko) 2016-06-23

Family

ID=5635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256A KR20160072832A (ko) 2016-05-19 2016-05-19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28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2418A1 (en) * 2016-09-03 2018-03-08 Ohh- Med Medical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CN108143483A (zh) * 2017-12-27 2018-06-12 武汉博激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电阻激光溶脂治疗头皮肤感应装置
CN108969887A (zh) * 2018-06-28 2018-12-11 温州医科大学附属第医院 一种延缓早泄的装置
EP3603439A4 (en) * 2017-03-30 2020-11-25 Naturalwelltech Co., Ltd. WAVE PRODUCTION ACCESSORY USING A SAWTETH WAVEFOR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839A (ko) 2007-10-25 2009-04-29 이헌국 성기능 장애 극복을 위한 음경 보형물
KR200450336Y1 (ko) 2010-04-26 2010-09-24 박화순 전립선 및 요실금 겸용 치료 제어 장치
KR101278757B1 (ko) 2012-10-25 2013-06-25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립선 강화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839A (ko) 2007-10-25 2009-04-29 이헌국 성기능 장애 극복을 위한 음경 보형물
KR200450336Y1 (ko) 2010-04-26 2010-09-24 박화순 전립선 및 요실금 겸용 치료 제어 장치
KR101278757B1 (ko) 2012-10-25 2013-06-25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립선 강화를 위한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2418A1 (en) * 2016-09-03 2018-03-08 Ohh- Med Medical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US9913981B1 (en) 2016-09-03 2018-03-13 Ohh-Med Medical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CN110087589A (zh) * 2016-09-03 2019-08-02 奥赫迈迪医疗有限公司 用于治疗勃起功能障碍的方法和装置
EP3506860A4 (en) * 2016-09-03 2020-05-13 OHH- Med Medical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ERECTION DISORDER
US10729904B2 (en) 2016-09-03 2020-08-04 Ohh-Med Medical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US11452869B2 (en) 2016-09-03 2022-09-27 Ohh—Med Medical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EP3603439A4 (en) * 2017-03-30 2020-11-25 Naturalwelltech Co., Ltd. WAVE PRODUCTION ACCESSORY USING A SAWTETH WAVEFORM
CN108143483A (zh) * 2017-12-27 2018-06-12 武汉博激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电阻激光溶脂治疗头皮肤感应装置
CN108969887A (zh) * 2018-06-28 2018-12-11 温州医科大学附属第医院 一种延缓早泄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1118A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penile, scrotal, anal, vaginal and clitoral tissue
US5800502A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living tissue
KR20160072832A (ko)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KR200450336Y1 (ko) 전립선 및 요실금 겸용 치료 제어 장치
CN106232177A (zh) 治疗失禁的装置
CN106456971B (zh) 身体接触的便携式治疗仪
US20060074356A1 (en) Probe module for treating prostate diseases and portable prostate medical treatment apparatus
CN105848710B (zh) 用于刺激神经的装置和方法
US5871533A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living tissue
CN108814570A (zh) 一种理疗仪及参数确定方法
KR20170040138A (ko)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KR20190130089A (ko) 스마트 웨어러블 미세전류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8350A (ko) 비침습적 방광 배뇨 관리 시스템
WO2013011474A2 (en) Nerve stimulation system
KR101633439B1 (ko) 미세 전류에 의한 전립선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KR20180043762A (ko)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KR20200117945A (ko)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US1196390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eating an approaching physiological event and increasing an intensity of the event
JP2021509317A (ja) 射精のコントロール
EP0801583A1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penile, scrotal, anal, vaginal and clitoral tissue
TW202241541A (zh) 用於治療女性患者的骨盆疼痛和外生殖器疼痛的神經刺激裝置
KR20140116596A (ko) 근전도를 이용한 무선 치료 장치
JP2022517997A (ja) 到達するのを治療するための解剖学的な生理学的事象装置及び方法
KR200326016Y1 (ko) 비뇨기 질환 치료장치의 삽입전극부 구조
KR101666420B1 (ko)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