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797A - 인입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런 장치를 구비한 주방 설비 - Google Patents

인입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런 장치를 구비한 주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797A
KR20160072797A KR1020150178119A KR20150178119A KR20160072797A KR 20160072797 A KR20160072797 A KR 20160072797A KR 1020150178119 A KR1020150178119 A KR 1020150178119A KR 20150178119 A KR20150178119 A KR 20150178119A KR 20160072797 A KR20160072797 A KR 20160072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ceiving element
guide
present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베르트 바이딩어
프란츠 후버
Original Assignee
그라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그라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7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A47B88/0085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7Adjustably or detach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 A47B2088/0088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 요소(12)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하며, 인입 요소는 장치에 의해 벽 부분(16, 17) 상에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고, 장치는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안내 레일을 갖는 안내 유닛(24, 25)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안내 유닛(24, 25)은 장치의 수용 요소(44)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요소가 벽 부분(16, 17)의 내부 측부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수용 요소는 돌출 관통 결합 부분을 구비하고, 이 돌출 관통 결합 부분은 벽 부분(16, 17)의 벽 개구를 통해 결합되도록 설계되고, 조절 수단이 제공되며, 이 조절 수단은 관통 결합 부분 상에 작용하고, 조절 수단에 의해 안내 유닛(24, 25)이 그 위에 체결되어 있는 수용 요소(44)가 수직 방향으로 조절되고 구속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입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런 장치를 구비한 주방 설비 {DEVICE FOR GUIDING A PUSH-IN ELEMENT, AND KITCHEN INSTALLATION HAVING SUCH A DEVICE}
장치에 의해 벽 부분 상에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는 인입 요소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예로서,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두 개의 레일과, 부하 전달 베어링 수단을 구비하며, 이 부하 전달 베어링 수단은 레일들 사이에서 작용하고, 관련 레일들의 활주 이동을 위한 구름 접촉 본체를 구비한다. 예로서, 주방 가구를 위한 가구 분야에서, 예로서, 오븐 내의 베이킹 트레이 또는 래크 및/또는 서랍이나 선반을 안내하기 위해 이런 장치가 사용된다. 소위 부분 연장 기구는 고정 레일 또는 캐리어 레일과 인출 레일을 포함하며, 이 인출 레일은 인입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체 연장 기구는 더 큰 연장 길이를 가능하게 하며, 이를 위하여, 중심 레일이 추가로 존재한다.
부분 연장 또는 전체 연장 기구는 벽 부분의, 예로서, 기초 가구 구조의 기초 구조 벽의 또는 주방 기기의 측부 벽의 내부 측부에 직접적으로 체결되거나, 오븐의 경우에서와 같이, 예로서, 오븐 머플의 벽 부분 상에 존재하는 격자 구조를 거쳐 체결된다.
특히, 주방 설비 또는 오븐의 경우에, 안내부는 한편으로는 엄격한 요건, 예로서, 내열성을 충족하여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소형 구조로 그리고 신뢰적 및/또는 안정적 디자인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사용자 친화적인 배열의 견지에서 기술적 및 경제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상술한 장치 및 주방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인입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로부터 출발하며, 이 인입 요소는 장치에 의해 벽 부분 상에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고, 이 장치는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안내 레일을 구비한 안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안내 유닛이 장치의 수용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요소가 벽 부분의 내부 측부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수용 요소는 돌출 관통 결합 부분을 구비하고, 이 돌출 관통 결합 부분은 벽 부분 내의 벽 개구를 통해 결합되도록 설계되며, 조절 수단이 제공되고, 이 조절 수단은 관통 결합 부분 상에 작용하며, 이 조절 수단에 의해 안내 유닛이 그에 체결되어 있는 수용 요소가 수직 방향으로 조절 및 구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장치 및 인입 요소가 그 내부에 제공되는 내부에서 직접적 개입 없이 안내 유닛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리하게 벽 부분 상의 격자 구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격자 구조는 외형을 교란시키고, 벽 부분의 내부에 설치 공간의 양을 요구한다. 또한, 격자 구조는 높이가 조절될 수 없다. 이는 오븐 머플의 내부 체적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동일한 벽 부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안내 유닛의 조절은 안내 유닛 또는 그 고정 레일의 벽 부분 상에서의 위치에 관련하며, 인출 레일 또는 중앙 레일의 고정 레일에 관한 변위나 끼워접어넣는 동작의 기능과는 관여하지 않는다.
수용 요소는 인입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의 일부이지만, 안내 유닛의 일부는 아니다. 안내 유닛은 특히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안내부의 형태이다.
수용 요소와 안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고정된다.
예로서, 오븐 머플 같은 주방 설비의 내부의, 주변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는, 내부 체적 외측으로부터 조절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부는 서로 대향 배치된 수직 벽 부분에 의해 경계지워진다. 이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상기 장치를 취급하는 사용자를 위해 오븐 머플 그리고, 이에 따라 장치가 높은 온도에 있게 되는 시기인 오븐 내에서의 고온 동작 동안 또는 조리 동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 시기는 공간이 추가로 규제되는 동시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을 상승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히 조리 동안에도 어떠한 어려움도 없이 가열된 오븐 머플의 내부의 개별 선반의 높이 위치를 변경하도록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비교적 긴 조리 과정 동안 및/또는 더 높거나 더 낮은 열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유리하다.
수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평탄하고, 벽 부분의 내부 측부 상에 지지된다. 특히 수용 요소의 평탄한 평면형 측부는 벽 부분의 내부 측부에 대해 접촉하도록 기능한다. 관통 결합 부분은 특히 벽 부분의 벽 두께를 다소 초과하는 돌출부에 의해 수용 요소의 평탄한 측부상에서 돌출한다.
관통 결합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벽 부분을 통해, 또는, 그 두께를 통해, 벽 부분에 할당된 수용 요소의 측부로부터 외향으로 결합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벽 부분의 외부 측부 상에서 돌출한다. 벽 부분의 외측으로부터 수용 요소에, 그리고, 따라서, 그 위에 설치된 안내 유닛 상에 작용하여 상기 안내 유닛을 외측으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 요소의 형성된 구속 수단은 조절 목적을 위해 불능화되고 그후 복원된다.
조절은 각각의 수용 요소를 사용하여 대향 안내 유닛에 대하여 동일하게 그리고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여기서, 공통 인입 요소 또는 예로서, 베이킹 트레이가 대향 안내 유닛 상에 놓여져 있다.
이는 오븐의 대향 벽 부분 상에, 예로서, 동일한 안내부가 본 발명에 따른 대응 장치와 함께 특히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제공되며, 따라서, 특히 높이가 동일하게 외측으로부터 또는 오븐 외측이나 벽 부분 외측으로부터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위에 안내 유닛이 존재하는 수용 요소의 조절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다른, 다양한 설치 위치에서 안내 유닛을 위치설정 및 구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용 요소는 안내 유닛이 본 발명에서 사용을 위해 종래의 안내 유닛에 관하여 변경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안내 유닛이 수용 요소에 연결되는 것만이 요구되며, 이는 예로서 나사 연결 또는 체결결합이나 클립식 결합에 의해 기본 구조 벽과 안내 유닛 사이의 종래의 연결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은 캐리에 레일에 대해 이루어진다.
또한, 아낸 유닛은 고정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고정 레일은 벽 부분에 할당될 수 있고, 수용 요소는 고정 레일 상에 존재한다. 특히, 수용 요소는 고정 레일의 수직 부분 상에 체결된다. 고정 레일은 일반적으로 시트 금속 재료이며, 이는 다수회에 걸쳐 굴곡된다. 수용 요소는 유리하게는 예로서 상향 방향으로 자유 상태인 수직 림 상에 체결될 수 있고, 벽 부분에 관하여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안내 유닛은 유리하게는 인입 요소에 할당될 수 있는 인출 레일과 인출 레일의, 그리고, 가능하게는 중심 레일의 활주 동작 장착을 위한 부하 전달 베어링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주제의 유리한 변형은 적어도 두 개의 안내 유닛이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따라서, 둘 이상의 안내 유닛이 결합적으로 수용 요소 상에 수용되고 그와 함께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안내 유닛 사이의 수직 거리는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된다.
각 경우에 둘 이상의 안내 유닛의 결합적 및 동일한 조절이 두 벽 부분, 즉, 좌측 및 우측 상의 각각의 수용 요소에 의해, 예로서 대향 벽 부분 상에서 오븐 내에서 또는 가구 유닛 상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대향 벽 상에는 베이킹 트레이 같은 둘 이상의 인입 요소가 각각 측방향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안내 유닛을 통해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정확히 두 개의 안내 유닛이 제1 벽 부분의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에 관하여 대응적으로 위치된 정확히 두 개의 안내 유닛을 갖는 대응 수용 요소가 제1 벽 부분에 대향하여 위치된 벽 부분 상에서 대향 수용 요소 상에 제공된다.
또한, 서로에 관해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복수의 안내 유닛이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깊이 방향 또는 안내 유닛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변위 방향으로, 함께 추진되는 안내 유닛이 정렬되거나 예로서, 공통 수직방향을 따라 위치된 전방 단부를 갖는다. 길이 방향에서, 안내 유닛은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및/또는 수평적으로 배향된다.
수용 요소 상에 결합적으로 복수의 안내 유닛을 수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특히 일반적으로 오븐의 경우에 인입 요소가 복수의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레벨들에 수용되기 때문이다. 각 레벨은 인입 요소가 각 경우에 각각의 안내 유닛을 통해 측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일 측부 상의 복수의 안내 유닛은 제1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하고 대향 측부 상의 다른 안내 유닛은 제2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한다. 대향한 수용 요소들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벽 부분 상에서 동일하게, 그리고,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
또한, 둘 이상의 안내 유닛이 바람직하게는 벽 부분에 의해 경계지워진 내부 체적의 깊이를 따라 공통 수용 요소 상에서 서로에 관해 오프셋되는 배열도 가능하다. 오프셋된 안내 유닛은 다른 수직 높이에서 또는 동일한 수직 높이에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 위치에서 벽 부분 상에 장치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 수단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 제안된다. 고정 수단은 조절 위치에서 수용 요소를 구속할 수 있고, 수용 요소를 다시 방면할 수 있다. 구속은 바람직하게는 정적 부하를 받을 수 있는 고정 벽 부분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관통 결합 부분 및 관련 벽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안내 유닛이 무단차 방식으로 또는 사전결정된 유닛 간격에 대응하는 계단식으로 벽 부분 상에서 원하는 높이 위치로 조절될 수 있으며, 계단식 방식에서 수용 요소, 그리고, 이에 따라, 안내 유닛을 위한 다수의 서로 다른 높이 위치가 벽 개구를 따라 가능하다.
오븐은 일반적으로 서로 대향 위치되어 벽 부분을 형성하는 측방향 벽과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상부 측부 및 바닥 표면을 구비하는 오븐 머플을 가진다.
오븐 머플의 대향 벽들은 일반적으로 각 경우에 외향 방향으로 그들에 인접하게 사이공간을 가지며, 측부에 존재하는 가구 유닛 또는 기본 오븐 구조의 벽이 이 사이공간을 외향 방향으로 뒤따른다. 사이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조절 및/또는 고정 수단을 수용한다. 고정 수단을 구동부 같은 다른 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 측방향 사이공간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사이공간은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열적으로 오븐 머플의 가열가능한 내부 체적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이는 고정 수단을 위해 유리하다.
수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레일의 단부 측부 종방향 부분에 존재한다. 따라서, 안내 유닛이 소형 및 재료 절약적 방식으로 수용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안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수용 요소를 통해 벽 부분 상에 체결된다. 고정 레일의 단부 측부 종방향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레일의 전방 일부 길이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고정 레일의 전체 길이의 약 30 내지 50%에 걸쳐 연장한다.
또한, 수용 요소는 평탄한 재료의 형태인 것이 유리하다. 특히, 판형의 평탄한 재료, 특히, 얇은 금속 시트가 이 목적을 위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은 수 밀리미터, 예로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밀리미터의 재료 두께를 수용 요소가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특히, 수용 요소는 그 전체 범위에 걸쳐 균일하거나 일정한 재료 두께를 갖는다. 수용 요소는 예로서 사각형 기초 형상의 내열성 및 내식성 스테인레스 스틸 재료 또는 코팅된 시트 금속 재료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통 결합 부분이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하여야 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특히, 이들 관통 결합 부분은 서로 동일하며, 예로서,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오프셋된다. 이는 특히 양호한, 벽 부분에 대한 안내 및 부착과 이동 기능 및 장착을 달성한다. 관통 결합 부분은 예로서, 얇은 돌출 횡단부재이고, 이들은 안내 유닛의 인출 레일의 변위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특히 수용 요소의 외부 측부 상에서 동일한 높이로 제공된다. 관통 결합 부분은 예로서, 세 개의 측부 상에서 절결되고 소정 각도로 굴곡된 수용 요소의 재료 부분일 수 있다. 벽 부분 내의 각각의 벽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결합 부분이 예로서, 활주 안내 방식으로 벽 개구에서의 안내로 변위될 수 있도록 관통 결합 부분과 조화된다.
또한, 정확히 하나의 안내 유닛이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개별 안내 유닛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대응 배열이 유리하게 대향 벽 부분에 존재하며, 그 결과, 개별 인입 요소 또는 예로서 베이킹 트레이의 높이 위치는 양 측부에서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오븐의 내부 체적 내에서 인입 요소의 원하는 높이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 요소를 위한 최대 조절 거리는 관통 결합 부분의 높이를 고려하여 벽 개구의 수직방향 범위에 의해 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 따라서, 복수의 수용 요소가 안내 유닛 상에 존재하여야 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안내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된 두 개의 수용 요소가 제공된다. 이는 예로서, 비교적 길고 예로서, 상기 안내부를 지지 및 조절하기 위해 더 높은 부하를 받게 될 수 있는 안내부의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서로에 할당되면서 대향 벽 부분들 상에 배열될 수 있는 수용 요소를 특히 모터에 의해 조절하기 위한 구동 배열체를 제공한다. 구동 배열체는, 수용 요소가 벽 부분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연계된 수용 요소의 연합적 제어 및 매끄러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조화된다. 이는 서로 대향 배치된 연계된 수용 요소의 적절한 개시 위치에 기초하며, 그리고, 따라서, 그 표면 영역 범위가 조절 동작 동안 수평으로 유지되는 인입 요소가 연계된 안내 유닛을 통해 대향한 수용 요소들 상에 지지된다. 구동 배열체에 의해 조절이 수행되는 경우, 두 개의 조절 요소는 동일하게 또는 조절 간격 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조절 거리만큼 동시에 조절된다. 인입 요소는 단지 병진적 방식으로 그리고 수직방향으로만 이동하며, 따라서, 예로서, 오븐 내에서의 조리 동안, 베이킹 트레이가 원치않는 기울어짐 없이 조절될 수 있다. 베이킹 트레이 상에 위치된 식품은 미끄러지지 않으며, 트레이 내의 오목부 내에 수집된 임의의 액체가 흘러나올 수 없다. 이는 구동 배열체없이, 특히, 예로서, 부주의를 감안하여 상술한 시나리오가 배제될 수 없는 손에 의한 조절에 관련하여 유리하다.
구동 배열체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서로 대향 배치된 수용 요소의 조절은 유리하게는 특히 정확히 하나의 전기 모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예로서 벨트 구동 또는 기어휠 구동 배열체를 갖는 또는 기어휠이나 피니온 및/또는 래크, 마찰 휠, 및/또는 벨트 등을 갖는 이동가능한 작동기 또는 전달 요소를 구동하기 위해 기능한다. 따라서, 조절이 벽 부분의 각각의 외부 측부로부터 또는 외측으로부터 공간절약적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기어휠 구동 배열체의 경우에, 각각의 수용 판, 예를 들어,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정합 기어 휠이 각각 결합하여, 구동 모드에서 수직방향 상향 또는 하향으로 수용 판을 이동시키는 치형 형상부를 각각의 수용 판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한 구멍이 기어휠 등의 크기설정가능한 부분의 관통 결합을 위해 벽 부분에 제공되어야 한다.
각각의 기어휠은 예로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샤프트 또는 회전 샤프트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조절은 샤프트, 그리고, 따라서, 기어휠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전기 모터는 선택가능한 회전 방향을 갖는 스위칭 요소를 사용하여 조작자에 의해 온 및 오프 상태로 절환될 수 있다.
샤프트는 예로서 벽 부분 또는 오븐 머플의 외측과 오븐의 주변 하우징 사이에 존재 또는 장착될 수 있다.
토크 전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래의 전달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전기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연계된 가구 유닛 또는 오븐의 전방의 제어 패널로부터의 연결 라인 및 공급 라인을 통해 조절 또는 동작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배열체가 스핀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로서, 러그가 수용 요소로부터 펀칭 타출되거나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그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며, 관통 개구를 갖는 스핀들 너트가 상기 러그 상에 고정된다. 관통 개구는 내부 나사를 가지며, 이 내부 나사는 특히 수직방향으로 배향되면서 스핀들 너트의 관통 개구 내로 연장하는 회전가능한 스핀들의 외부 나사와 상호작용한다.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스핀들에 의해, 스핀들 너트는 스핀들의 외부 나사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는 수용 요소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대응 배열은 두 개의 수용 요소를 초래하며, 따라서, 각각의 안내 유닛을 갖는 두 개의 수용 요소가 대응적으로 조절된다. 구멍은 수용 요소의 조절 높이에 걸쳐 벽 부분에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 중 하나에 따른 장치를 갖는 주방 가구 유닛 또는 오븐 설비 같은 주방 설비에 관련한다.
특히, 주방 설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향한 측벽 부분 상에 동일한 장치를 갖는 가열가능한 공동 또는 머플을 구비한 오븐이다.
오븐 머플에서, 두 개의 측방향 벽 부분 상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예로서, 둘 이상의 안내 유닛이 각각의 높이 조절가능한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한다. 이는 추가적으로 예로서, 그 위 및/또는 아래에 동일한 방식으로 각 벽 부분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내 유닛이 고정 위치 수용 요소 상에 체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벽 부분 내의 벽 개구는 특히 개별 슬롯의 형태로 설계되거나, 예로서, 서로 평행하게 오프셋된 복수의 수직 슬롯이 벽 부분 내에 형성된다. 수용 요소 상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결합 부분이 각 슬롯을 통해 연장한다. 또한, 복수의 관통 결합 부분이 공통 벽 개구 내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가능하게는 개선된 안내 특성에 대한 향상을 제공한다.
이는 둘 이상의 슬롯, 특히 서로 상하로 수직방향으로 존재하는 수직 슬롯 및 그에 평행하면서 깊이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오프셋된 슬롯이 수용 요소 상의 대응 관통 결합 부분에 추가로 하나의 수용 요소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을 다양한 개략적으로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 조절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설비의 정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조절 상태에서 도 1에 따른 주방 설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조절 상태에서 도 1에 따른 주방 설비의 오븐 머플을 도시한다.
도 4는 다른 조절 상태에서 도 2에 따른 주방 설비의 오븐 머플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모습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주방 설비를 도시하며, 주방 설비의 하우징 벽은 부분 파단 상태로 예시되어 있다.
도 6은 부분 단면 또는 파단 상태로 측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도 5에 따른 주방 설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으로부터 선 A-A에 따른 단면에서 취한 주방 설비의 후면도이다.
도 8은 도 6으로부터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5에 따른 모습에서 도 5로부터의 주방 설비에 대한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주방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은 부분 단면 상태로 측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도 9에 따른 주방 설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으로부터 선 B-B에 따른 단면에서 취한 주방 설비의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로부터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는 일부 경우에 대응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1은 오븐(1) 형태로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설비의 정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본 바와 같은 사시도를 도시한다. 개략적으로 예시된 오븐(1)은 오븐 벽(2, 3), 바닥(4), 바닥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단 패널(5) 및 후방 오븐 벽을 갖는 오븐 하우징을 구비한다. 오븐(1)의 전방 측부는 상부 영역에서, 커버 패널(6)을 포함하며, 이 커버 패널은 오븐(1)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같은 요소를 위한, 그리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패널(7)을 구비한다. 제어 패널(7)의 세부사항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오븐 도어(8)는 커버 패널(6) 아래에 존재하며, 도어는 오븐(1)의 오븐 머플(9)의 내부 체적(10)에 대한 사용자 접근로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전방 측부의 하부 영역에서 피봇 방식으로 수용된다. 도 1, 2, 5, 6, 9 및 10 각각은 그 완전 개방 상태에서 오븐 도어(8)를 도시하고 있다.
오븐 머플(9)은 내부 체적(10)을 둘러싸며, 후방 벽(11)에 의해 후방 측부 상에서 폐쇄되어 있다.
오븐 머플(9)은 상부 부분(14), 바닥(15) 및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 배향 측부 벽(16, 17)을 구비한다.
예로서 내부 체적(1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 또는 팬이나 조명 수단 같은 오븐(1) 또는 오븐 머플(9)의 다른 세부사항은 예시되어 있지 않다.
도 1 및 도 2에서, 예로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래크(12) 형태로 설계된 인입 요소는 오븐 머플(9)의 내부 체적(10)에 수용된다. 도면은 래크(12)를 오븐(1) 또는 오븐 머플(9) 내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 래크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향된 금속 바아로 형성된다.
예로서, 래크(12) 또는 트레이 같은 최대 세 개의 인입 요소가 오븐(1) 또는 오븐 머플(9) 내에 수평으로 오프셋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인입 요소는 래크(12) 위쪽에 수용되고, 하나의 다른 인입 요소는 래크 아래쪽에 수용된다. 수용된 인입 요소를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높이 조절 및 수평 인출 방향(P1) 및 수평 인입 방향(P2)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안내 장치(20) 및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안내 장치(21)가 측부 벽(16, 17) 각각의 내측에 제공된다. 측부 벽(16, 17) 상의 안내 장치(20)는 서로 대향 배치되고, 대응 구조로 이루어지며, 안내 장치(21)도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대응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는 측부 벽(17) 상의 안내 장치(20) 및 안내 장치(21)만을 도시하며, 측부 벽(16) 상의 안내 장치(20, 21)는 가려져 있다. 측부 벽(17)에 관한 정보가 후술되며, 이는 측부 벽(16)에 대해서 대응적으로 적용된다.
안내 장치(20)는 수용 요소를 포함하며, 이 수용 요소는 캐리어 판(22)의 형태로 설계되면서 판형으로, 특히 본 경우에는 직사각형 시트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안내 장치(21)는 수용 요소로서 캐리어 판(22)보다 현저히 덜 높은 캐리어 판(23)을 포함한다. 캐리어 판(22, 23)은 측부 벽(17)의 내부 측부(19)에 대하여 전체 표면 영역위에서 접촉하는 내부 표면 측부를 가지며, 서로 상하로 또는 수직방향으로 서로에 관하여 오프셋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캐리어 판(22, 23)은 두 개의 수직 조절 방향(P3)에 따라 측부 벽(17) 상에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로서, 부분 연장 기구의 형태로 동일하게 설계된 두 개의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안내 유닛(24, 25)이 단일 부재 상부 캐리어 판(22) 상에 존재한다.
안내 유닛(24, 25)과 동일한 다른 안내 유닛(26)이 하부 캐리어 판(23) 상에 수용된다. 안내 유닛(24, 25, 26)은 각 경우에 측방향 지지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방향(P1, P2)으로 래크(12)의 관련 인입 요소의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각 인입 요소의 다른 측부는 각각 연계된 안내 유닛을 통해 대응적으로 지지되는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들 연계된 안내 유닛은 볼 수 없지만 측부 벽(16)의 내측에서 동일한 수직 높이에 제공된다.
도 3 및 도 4에는 어떠한 인입 요소도 존재하지 않거나 래크(12)가 예시되어 있지 않다. 도 4는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안내 유닛(26)을 예시하며, 따라서, 예로서, 그 위에 지지된 베이킹 트레이가 접근될 수 있고 다시 내부 체적(10) 내로 밀어넣어져서 오븐(1)이 동작하는 동안 베이킹 트레이 상의 식품이 조리될 수 있다.
안내 유닛(24, 25, 26) 각각은 고정된 위치에 있는 고정 레일(27)에 의해 각 경우에 각각의 수용 요소(22 또는 23)에 연결된다.
고정 레일(27)에 추가로, 안내 유닛(24, 25, 26) 각각은 그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출 레일(28) 및 베어링 수단(보이지 않음)을 구비하며, 인출 레일(28)은 인입 요소에 대하여 접촉하는 후방 후크(29)를 구비한다.
래크(12)는 안내 유닛(25)의 인출 레일(28) 상에 지지된 측방향 주연부(13)를 구비하고, 대향 안내 유닛 상의 대응하는 다른 인출 레일 상에 지지된 대향 측방향 주연부(보이지 않음)를 구비한다.
슬롯(30 내지 33)이 방향(P3)으로의 상부 캐리어 판(22)의 수직방향 높이 조절을 위해 또는 도 1 및 도 3에 따른 상부 조절 위치로부터 도 2 및 도 4에 따른 하부 조절 위치로의 조절을 위해 측부 벽(17) 상에 존재한다. 동일한 슬롯(30 내지 33)이 측부 벽(16) 상에서 상부 캐리어 판(22)이 조절되게 하기 위해 측부 벽(16)에 형성된다. 측부 벽(17)의 슬롯(30 내지 33)은 캐리어 판(22)에 의해 내측에서 가려져 있다.
슬롯(30 내지 33)은 측부 벽을 바로 통과하는 좁은 직선형 개구 형태로 측부 벽(16, 17)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상부 슬롯(30, 31)이 오븐 머플(9)의 깊이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오프셋 배치되고, 또한, 마찬가지로 두 개의 슬롯(32, 33)도 그러한 경우가 유리하다. 슬롯(32)이 단지 재료 브리지에 의해 분리되어, 슬롯(30)과 정렬되어 슬롯(30)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슬롯(33)이 슬롯(31) 정확히 아래에 형성되고, 슬롯(31)과 정렬되며, 마찬가지로 슬롯(33)의 상부 단부와 슬롯(31)의 하부 단부 사이에 분리 재료 브리지를 갖는다.
각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적절하게 조화된 캐리어 판(22)의 관통 결합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길이의 슬롯(30 내지 33) 각각에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되며, 예로서 스터브 또는 재료 횡단부재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관통 결합 부분(보이지 않음)은 슬롯(30 내지 33)의 길이의 단지 일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관통 결합 부분은 캐리어 판(22)의 표면 영역 측부로부터 돌출하며, 이 캐리어 판의 표면 영역 측부는 내부 측부(19)에 대향 위치되어 캐리어 판(22)의 외부 측부를 형성한다. 정확히 네 개의 관통 결합 부분 또는 슬롯(30 내지 33) 당 하나의 관통 결합 부분이 캐리어 판(22)의 외측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오븐 머플(9) 외측으로부터 작용을 받게 되는 관통 결합 부분에 의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안내 유닛(24, 25)이 조절 수단을 통해 결합적으로 그리고 동일하게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리어 판(22)은 조절 수단에 의해 원하는 조절 위치에 구속된다.
안내 유닛(26)을 갖는 하부 캐리어 판(23)은 바람직하게는 외측에서 마찬가지로 돌출하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 결합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통 결합 부분은 슬롯(34, 35) 내에 체결되고, 따라서, 캐리어 판(23)은 캐리어 판(22)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절 수단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조절 및 구속될 수 있다. 슬롯(34, 35)은 동일한 거리이지만, 슬롯(30 내지 33)보다 더 짧고, 그 결과, 안내 유닛(26)은 안내 유닛(24, 25)보다 더 적은 범위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 판(22, 23)의 각각의 조절은 유리하게는 각각의 측부 벽(16, 17) 상에서, 그리고, 이에 따라 제 위치에 배치된 인입 요소 또는 래크(12)와 함께 동시에, 그리고,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요소 또는 래크는 수평(H)에 관하여 어떠한 기울어짐도 받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설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대안 오븐(36)을 도시한다. 유사하게, 매우 개략적으로 예시된 오븐(36)은 상부 캐리어 판(44)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배열체(37)가 오븐(1)과는 다르다. 하부 캐리어 판(23)은 제 위치에 고정된다. 기어휠 구동부의 형태로 구성된 구동 배열체(37)에 의해, 측부 벽(16) 상의, 그리고, 동등하게, 측부 벽(17) 상의 상부 캐리어 판(44)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하게 그리고 동시에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예로서, 커버 패널(6)의 제어 패널(7) 내의 조작 수단(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컴퓨터를 구비한 더 높은 수준의 제어 유닛(구체적으로 예시되지 않음)에 추가로, 구동 배열체(37)는 구동 유닛(38), 예로서,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구동 배열체(37)는 힘 전달 요소(39), 예로서, 연속 치형 벨트 또는 체인을 구비하며, 이는 구동 유닛(38)에 의해 작동되고, 두 개의 수평 샤프트(4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두 개의 구동 방향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순환 구동될 수 있다. 하나의 샤프트(41)는 측부 벽(16) 외측에서 연장하고, 다른 샤프트(41)는 측부 벽(17) 외측에서 연장한다. 두 개의 샤프트(41) 각각은 그 전방에 자유 단부, 기어 휠(42) 또는 기어휠 구동부(40)의 피니언을 갖는다.
각 경우에 그 치형 윤곽부(45)에 의해, 기어휠(42)은 각 경우에 연계된 상부 캐리어 판(44) 내의 치형 형상부(43) 내로 체결된다. 이 목적을 위해, 구멍(46) 또는 개구가 기어휠(42)의 영역에서 측부 벽(16, 17)에 존재한다.
따라서 샤프트(41)의 피동 회전은 샤프트(4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P3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향 또는 하향으로 두 개의 연계된 캐리어 판(44)이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도 7은 상기 샤프트의 후방 단부에서 적절한 결합 지점에서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샤프트(41)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힘 전달 요소(39)를 통한, 예로서, 벨트 구동부에 의한 힘 또는 토크 전달을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구동 유닛(52)을 갖는 구동 배열체(48)의 유형만이 오븐(36)과는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오븐(47)을 도시한다. 이를 위해, 러그(50)가 캐리어 판(49)으로부터 펀칭 타출 또는 굴곡 젖힘되거나 그위에 체결되며, 측부 벽(16, 17)을 통해 결합하고, 따라서, 내부 나사식 스핀들 너트(51)가 측부 벽(16, 17) 외측에서 러그(50) 상에 수용되며, 스핀들 너트(51)는 대응 캐리어 판(49)에 고정된다. 회전가능한,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스핀들(53)이 측부 벽(16, 17)의 외측에 존재하며, 상기 스핀들은 관련 스핀들 너트(51)의 내부 나사부와 맞물리는 외부 나사부(54)를 구비한다. 스핀들(53)은 벨트 같은 힘 전달 요소(55)에 의해 구동되며, 이는 구동 유닛(52)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스핀들(53)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캐리어 판(49) 및 이에 따라 선반(12)이 그 위에 수용되어 있는 안내 유닛(24, 25)이 동일한 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된다. 조절된 캐리어 판(49)은 예로서, 자가 로킹 기구에 의해 그 높이 위치에서 구속된다.
비록 이러한 구속 수단이 예시되어 있지 않지만, 모든 예시적 실시예는 캐리어 판을 구속하기 위한 임의의 원하는 구속 수단을 가질 수 있다.
1 오븐
2 오븐 벽
3 오븐 벽
4 바닥
5 상단 패널
6 커버 패널
7 제어 패널
8 오븐 도어
9 오븐 머플
10 내부 체적
11 후방 벽
12 래크
13 주연부
14 부분
15 바닥
16 측부 벽
17 측부 벽
18 내부 측부
19 내부 측부
20 안내 장치
21 안내 장치
22 캐리어 판
23 캐리어 판
24 안내 유닛
25 안내 유닛
26 안내 유닛
27 고정 레일
28 인출 레일
29 후크
30 슬롯
31 슬롯
32 슬롯
33 슬롯
34 슬롯
35 슬롯
36 오븐
37 구동 배열체
38 구동 유닛
39 힘 전달 요소
40 기어휠 구동부
41 샤프트
42 기어휠
43 치형 형상부
44 캐리어 판
45 치형 윤곽
46 구멍
47 오븐
48 구동 배열체
49 캐리어 판
50 러그
51 스핀들 너트
52 구동 유닛
53 스핀들
54 외부 나사부
55 힘 전달 요소

Claims (13)

  1. 인입 요소(12)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20, 21)로서, 인입 요소는 장치(20, 21)에 의해 벽 부분(16, 17) 상에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고, 장치(20, 21)는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안내 레일(27, 28)을 갖는 안내 유닛(24 내지 26)을 구비하는, 인입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안내 유닛(24 내지 26)은 장치(20, 21)의 수용 요소(22, 23, 44, 49)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요소가 벽 부분(16, 17)의 내부 측부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수용 요소(22, 23, 44, 49)는 돌출 관통 결합 부분을 구비하고, 돌출 관통 결합 부분은 벽 부분(16, 17)의 벽 개구를 통해 결합되도록 설계되고, 조절 수단이 제공되고, 조절 수단은 관통 결합 부분 상에 작용하며, 조절 수단에 의해 안내 유닛(24 내지 26)이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수용 요소(22, 23, 44, 49)가 수직 방향으로 조절되고 구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유닛(24 내지 26)은 고정 레일(27)을 포함하고, 고정 레일은 벽 부분(16, 17)에 할당될 수 있으며, 수용 요소(22, 23, 44, 49)가 고정 레일(27)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안내 유닛(24, 25)이 수용 요소(22, 44, 49)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관하여 수직방향으로 오프셋 배치된 복수의 안내 유닛(24, 25)이 수용 요소(22, 44, 49)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 위치에서 벽 부분(16, 17) 상에 장치(20, 21)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요소(22, 44, 49)는 고정 레일(27)의 단부 측부 길이방향 부분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요소(22, 44, 49)는 평탄한 재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요소(22, 44, 49)는 수 밀리미터의 재료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 결합 부분은 수용 요소(22, 44, 49)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확히 하나의 안내 유닛(26)이 수용 요소(23)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용 요소가 안내 유닛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게 할당되고 대향 벽 부분(16, 17) 상에 배열될 수 있는 수용 요소(44, 49)를 특히 모터에 의해 조절하기 위한 구동 배열체(37, 4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20, 21)를 구비하는 주방 가구 유닛 또는 오븐 설비(1, 36, 47) 같은 주방 설비.

KR1020150178119A 2014-12-15 2015-12-14 인입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런 장치를 구비한 주방 설비 KR20160072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4106052.9U DE202014106052U1 (de) 2014-12-15 2014-12-15 Vorrichtung zur Führung eines Schubelements und Küchen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202014106052.9 2014-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797A true KR20160072797A (ko) 2016-06-23

Family

ID=5483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119A KR20160072797A (ko) 2014-12-15 2015-12-14 인입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런 장치를 구비한 주방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033968B1 (ko)
KR (1) KR20160072797A (ko)
CN (1) CN105725547B (ko)
DE (1) DE202014106052U1 (ko)
ES (1) ES2942616T3 (ko)
PL (1) PL3033968T3 (ko)
SI (1) SI3033968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0609U1 (de) * 2017-02-06 2018-05-16 Grass Gmbh Vorrichtung zur Anbringung eines Trägerelements für Gegenstände in einem Korpus
CN108852033B (zh) * 2018-09-19 2020-03-27 平顶山市奥仕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电烤箱
CN113749436B (zh) * 2020-06-01 2022-11-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抽屉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9691A (en) * 1955-08-22 1960-01-05 Moffats Ltd Mechanism for adjusting the height of racks in range ovens
FR2395421A1 (fr) * 1977-06-22 1979-01-19 Magnus Hagen Systeme reglable de montage, de fixation et d'ancrage avec un fer en u
JPS5715454Y2 (ko) * 1977-09-01 1982-03-31
US5429043A (en) * 1994-10-24 1995-07-04 Becker; Ruby Power operated adjustable oven rack
AU8464998A (en) * 1998-07-29 2000-02-21 Jong Ryul Park Apparatus for prefabricating furniture
TWI229592B (en) * 2001-05-10 2005-03-21 Salice Arturo Spa A pullout guide for a drawer
DE20210571U1 (de) * 2002-07-09 2003-03-06 Hettich Paul Gmbh & Co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Führungsschiene an einer Wand
DE102004026882A1 (de) * 2004-05-27 2005-12-22 E.G.O. Elektro-Gerätebau GmbH Gar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Gargutträger
DE102008031943A1 (de) * 2008-02-14 2009-08-20 Gronbach Forschungs- Und Entwicklungs Gmbh & Co. Kg Funktionsrahmen für einen Backofen oder dergleichen
EP2187134B1 (en) * 2008-11-18 2013-06-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Oven, especially domestic oven
DE102009029463A1 (de) * 2009-09-15 2011-03-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einem höhenverstellbaren Garraumelement
EP2748536A1 (en) * 2011-08-22 2014-07-02 Arçelik Anonim Sirketi An oven comprising a movable support
AT512748B1 (de) * 2012-04-13 2017-04-15 Blum Gmbh Julius Einstell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Lage einer Schu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3968A1 (de) 2016-06-22
CN105725547A (zh) 2016-07-06
CN105725547B (zh) 2019-04-12
EP3033968B1 (de) 2023-01-25
SI3033968T1 (sl) 2023-06-30
PL3033968T3 (pl) 2023-07-17
DE202014106052U1 (de) 2016-03-16
ES2942616T3 (es)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4843B2 (en) Adjustable shelv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140246008A1 (en) Bottom-loading cooking appliance
US8936333B2 (en) Appliance and a rack assembly for the same
KR20160072797A (ko) 인입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런 장치를 구비한 주방 설비
GB2196109A (en) Oven with movable food carriers
KR101617283B1 (ko)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EP3803239B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pull-out trolley
WO2011128859A2 (en) Household cooking appliance
EP2026014A1 (en) A cooking appliance
EP1818620B1 (en) Oven having a pull out door with integral heating element and cooking grids
KR102047305B1 (ko)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US20150101590A1 (en) Spring loaded shelf for an oven appliance
EP1201998B1 (en) Cooking oven
US20090293857A1 (en) Domestic Appliance and a Cookable Product Holding Device Therefor
US20060086352A1 (en) Domestic appliance, especially a high fitment device comprising a wall mounting device
EP1929209B1 (de) Hocheinbau-gargerät
KR100727161B1 (ko) 가열 조리기기
KR101233246B1 (ko) 슬라이딩 랙걸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WO2020139219A1 (en) An oven comprising a height-adjustable rail
US3291967A (en) Domestic range
US20230148387A1 (en) Slide and lock appliance handle mounting
CN209763211U (zh) 一种升降式调节的集成橱柜烟机
US20230175704A1 (en) Oven appliance or door assembly having a restrictor plate to prevent contact
EP2704616B1 (en) Built-in grill
EP1767866A2 (de) Gar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