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305B1 -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 Google Patents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305B1
KR102047305B1 KR1020180025025A KR20180025025A KR102047305B1 KR 102047305 B1 KR102047305 B1 KR 102047305B1 KR 1020180025025 A KR1020180025025 A KR 1020180025025A KR 20180025025 A KR20180025025 A KR 20180025025A KR 102047305 B1 KR102047305 B1 KR 10204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cavity
shelf
shelf fram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667A (ko
Inventor
정한진
김상우
김수연
이항복
조유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305B1/ko
Priority to EP19160053.5A priority patent/EP3534072B1/en
Priority to US16/290,143 priority patent/US10941946B2/en
Publication of KR2019010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티 공간의 후방 벽체 양측 단부 쪽에 승강 구조를 설치하여 승강 구조가 조리실에 해당하는 캐비티의 양측면 쪽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여 조리실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캐비티 공간의 후방에서 상기 승강 구조의 전방에 상기 승강 구조를 조리 공간과 구획하는 리어 커버를 설치하여 캐비티 내부의 조리 공간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튈 수 있는 이물이 승강 구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캐비티의 후방에 고정점을 둔 캔틸레버 형태의 선반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선반을 자동으로 승강할 수 있는 오븐이다.

Description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An Oven Equipped with Auto-ElevatingTray}
본 발명은 오븐의 캐비티에 설치되는 선반의 높이가 요리의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자동 승강 구조가 적용된 오븐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소정의 밀폐된 공간 내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켜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오븐 내부에는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tray)가 설치된다. 선반은 어떠한 음식물을 요리할 것인가에 따라 상기 밀폐된 공간, 즉 캐비티(cavity) 내에서 그 높이가 결정된다.
종래에는 오븐에서 어떠한 음식물을 조리할 것인가를 선택하면, 그에 맞는 최적의 선반 높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려주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참고하여 오븐의 선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사용자는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캐비티에서 선반을 꺼낸 후, 다시 표시된 정보의 높이로 선반을 집어 넣음으로써, 하고자 하는 요리에 적합한 최적의 높이에 선반을 위치시킨 후 오븐을 작동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141797호(특허문헌 1)에는 오븐의 선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링크 구조를 적용하여 링크의 회전 반경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오븐의 선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선반 높이 조절 구조는 링크의 길이의 두 배 이상으로 선반의 높이 조절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선반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이다. 아울러 링크 구조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캐비티의 체적 확보에 불리하다. 아울러 이는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켜야 하는 수동 조작 방식으로서 오븐 도어를 열고 작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7-10476호(특허문헌 2)에는 캐비티의 측면에 랙과 피니언 구조를 적용하고, 기어박스와 외부동기전동기를 통해 랙과 피니언을 작동시켜 선반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선반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기어박스와 외부동기전동기가 캐비티의 측면에 설치되므로, 캐비티의 폭을 늘이지 못하면서 오븐의 폭만 크게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88740호(특허문헌 3)에는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 조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일련의 시퀀스에 따라 트레이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빌트 인 오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븐 구조 역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달하는 모터(16)와 풀리(15)가 캐비티의 측면에 설치되므로, 여전히 캐비티의 폭을 늘이지 못하면서 오븐의 폭만 크게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특허문헌 1 내지 3의 오븐은, 선반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해 승강구조가 선반의 양측, 즉 캐비티의 양측 벽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 구조의 배치는 선반(트레이) 승강 장치와 관련된 구성이 조리 공간 내부에 노출되어 있어 조리물에서 튄 오물이 승강 장치의 구성에 붙는 등 오염의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오염으로 인해 승강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141797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7-104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8874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븐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오븐의 캐비티 내부에 설치된 선반의 높이를 자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선반의 승강 장치를 캐비티의 측면에 두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선반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븐의 본체 크기와 대비하여 캐비티의 체적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캐비티 내부에 설치된 선반의 높이를 자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븐의 캐비티 조리 공간 내에 선반을 승강시키는 구조물이 노출되지 아니하여, 승강 구조의 오염으로 인해 캐비티 내부에 설치된 선반의 높이를 승강시키는 작동에 대한 오류가 일어날 염려가 없는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비티 공간의 후방 벽체 양측 단부 쪽에 승강 구조를 설치하여 승강 구조가 조리실에 해당하는 캐비티의 양측면 쪽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여 조리실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오븐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캐비티 공간의 후방에서 상기 승강 구조의 전방에 상기 승강 구조를 조리 공간과 구획하는 리어 커버를 설치하여 캐비티 내부의 조리 공간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튈 수 있는 이물이 승강 구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븐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리어 커버는 오븐의 캐비티 후방에 설치된 열기 순환용 팬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 순환을 도모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단순히 승강 장치의 오염을 막는 기능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열기 순환을 도모하는 기능을 함께 하게 된다.
캐비티 공간의 후방에 승강 구조를 설치하면, 캐비티 후방 벽체에 고정된 캔틸레버 상에 선반이 올려지므로, 승강 구조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멘트를 충분히 지탱하면서도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승강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승강 랙에 승강 동력을 전달하는 지점을 적어도 오븐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두 지점에 두어 캔틸레버 구조의 선반을 지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선반을 지탱하는 승강 랙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티의 후방 벽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승강가이드 레일의 지지를 받아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캔틸레버 구조의 선반을 지탱하며 부드럽게 승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캐비티 내에서 상기 승강 랙의 후방에는 승강 랙의 승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선반랙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선반의 소정의 높이에는 홀이 마련되며, 상기 홀은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승강 랙이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홀과 가체결되어 그 높이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승강된 선반의 높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고정 선반랙의 홀은 상기 승강 랙에 설치되는 선반과는 또 다른 선반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고정 선반랙이 복수 개의 선반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더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오븐의 캐비티 공간의 후방을 규정하고, 캐비티 내부 공간으로 열기가 유입되는 중앙 에어홀(371)이 중앙부에 마련된 캐비티 리어패널(37)을 포함한다.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중앙부 후방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오븐의 캐비티 공간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팬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에 의해 가압된 공기는 상기 중앙 에어홀(371)을 통해 캐비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앙 에어홀(371)을 회피하여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안내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 안내부(50)가 가열 공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지나치게 가열될 우려가 없고, 승강 안내부(50)가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방해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승강안내부(50)와 맞물리는 승강연결부(73, 74)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안내부(50)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 랙(70)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안내부(50)는 승강 랙(70)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전달함과 함께 상기 승강 랙(7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승강 안내부(50)는 동력 전달 없이 승강 랙(70)의 승강 이동만을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랙(70)은 상기 승강안내부(50)보다 좌우방향으로 더 바깥쪽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를 구비한다. 승강 랙(70)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도 함께 승강하여 그 높이가 결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에 연결되는 제1선반프레임(80)과, 상기 제1선반프레임(80)에 거치되는 제1선반(88)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캐비티 내에서 상기 제1선반의 높이는 상기 승강 랙(70)의 승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프레임(80)은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선반(88)과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선반(88)의 상부 공간과 상기 승강안내부(50)가 설치된 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는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리어커버(4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안내부(50)는 상하로 연장된 볼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볼스크류와 맞물리는 승강연결부는 상기 승강 랙(70)에 고정된 볼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안내부(50)는 승강 랙(70)의 상하 방향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이동 궤적을 규제함은 물론, 승강 랙(70)의 승강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볼스크류의 일측 단부는 모터 등의 회전구동수단에 직접 연결되거나 감속기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볼스크류의 타측 단부는 상기 캐비티의 벽체에 고정된 서포트(53)에 의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53)가 고정된 벽체는 캐비티 리어패널(37)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랙(70)과 승강안내부(50)는 캐비티 리어패널(37)에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오븐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승강안내부(50)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보다 측방향으로 더 안쪽에서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승강안내부(51)와, 상기 제1승강안내부(51)와 인접 배치되는 제2승강안내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승강안내부(51, 52)는 모두 볼스크류일 수 있다. 그리고 제1볼스크류(51)와 제2볼스크류(52)는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안내부(52)는 상기 제1승강안내부(51)보다 측방향으로는 더 안쪽에, 그리고 전후방향으로는 더 후방에 배치된다. 두 승강안내부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후방 단부가 고정된 캔틸레버 구조를 가지는 제1선반프레임(80)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지탱하게 된다. 상기 두 승강안내부는 좌우 방향으로도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두 승강안내부의 전후 방향 간격을 좁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어커버(40)는 좌우 방향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며 상기 제1승강안내부(51)와 상기 제2승강안내부(52)를 커버하는 경사면부(43)를 포함한다. 이는 두 승강안내부를 커버하는 기능을 가짐은 물론, 경사면부가 캐비티 내부의 열기 유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함께 한다.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바(7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쪽에 배치된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는 일체로 승강되고, 제1선반(88)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리어커버(40)는 상기 크로스바(72)가 승강하는 공간을 커버하도록 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바(72)는 상기 제2승강안내부(52)와 연결되고,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72)와 캐비티 리어패널(37) 간의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캐비티의 내부 공간은 더 확보된다. 이에 따라 리어커버(40) 역시 캐비티 리어패널(37)과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어커버(40)의 중앙부에는 중앙 에어홀(401)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중앙 에어홀(371)과 연통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40)는 스페이서(42)를 통해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에 고정됨으로써, 리어커버(40)가 모듈처럼 캐비티 리어패널(37)에 먼저 조립된 상태에서 오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은 그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승강가이드부(375)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랙(70)에는 상기 제1승강가이드부(375)에 의해 상하 방향 승강이 안내되는 제2승강가이드부(7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가이드부(375)는 레일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2승강가이드부(78)는 홈 형태일 수 있다. 제2승강가이드부(78)에는 상기 레일 형상의 제1승강가이드부(375)와 구름 마찰하는 롤러와 같은 구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는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선반프레임(80)이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과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 사이에는,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에 고정되고,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 및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에 모두 이격 배치되는 고정 선반랙(6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선반랙(6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는, 제2선반프레임(9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선반프레임 연결부(6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프레임 연결부(61)는 홀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랙(70)의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 후방에는 상기 제2선반프레임 연결부(61)에 가체결되는 가고정부재(76)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정 선반랙(60)은 승강 랙(70)이 승강한 뒤 제 자리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가 체결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2 이상의 선반을 설치할 때 수동으로 설치하는 제2선반(98)의 프레임(9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함께 제공한다. 이로써 제1선반과 제2선반, 그리고 제1선반프레임과 제2선반프레임의 폭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반의 승강 구조가 캐비티의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반의 승강 구조가 선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반의 승강 구조에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튀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오븐의 캐비티 내부의 공기 순환을 더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선반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선반의 승강 구조의 일부가 다른 선반을 설치하는 구조로서 함께 사용되므로,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도 오븐을 보다 다양한 양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에서 도어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를 제거한 상태에서 오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어 본체 내부의 캐비티의 측벽과 상부벽을 제거한 상태에서 캐비티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선반과 캐비티의 코너 프레임과 플로어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선반프레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리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볼스크류와 승강 랙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볼스크류에 의해 승강 랙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승강 랙에 내장된 볼너트를 도시하기 위해 승강 랙의 일부를 생략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승강 랙에 설치된 가고정부재가 고정 선반랙에 가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4에서 또 다른 선반프레임이 고정 선반랙에 하나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오븐 내부의 선반 승강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오븐의 구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븐(10)은 음식물을 수용하고 가열하는 공간인 캐비티(32)를 구비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정면에 마련된 도어(20)를 포함한다. 본체(30)의 바디(31)에는 캐비티(32)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팬 등의 수단이 수용되고, 바디(31)의 캐비티(32)는 정면으로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을 구비한다.
도어(20)는 하부에 수평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풀 다운 방식, 또는 좌측이나 우측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어(20)를 닫으면 캐비티(32)의 전방 개구부가 막혀 캐비티(32) 내부 공간은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캐비티(32) 내부에는 음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제1선반(88)이 구비되고, 상기 제1선반(88)은 서랍 방식으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는 제1선반프레임(80) 상에 놓여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20)를 열고 제1선반프레임(80)을 인출한 뒤, 제1선반프레임(80)에 거치되어 있는 제1선반(88) 상에 음식물을 올려 놓은 뒤, 다시 제1선반프레임(80)을 캐비티(32) 내부로 집어 넣을 수 있다.
캐비티(32)의 후방 벽 쪽에는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홀이 설치되고, 에어홀의 후방에 마련된 팬(미도시)가 회전함에 따라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에어홀을 통해 캐비티(3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의 바디(31)에서 캐비티(32) 상부에는 오븐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 등이 수용되는 상부공간(33)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캐비티(32) 내부에 설치되는 제1선반(8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선반의 승강 구조]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선반의 승강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캐비티의 저면에는 캐비티 플로어패널(39)이 마련되어 상기 캐비티의 하부 경계면을 규정하고, 캐비티의 후면에는 캐비티 리어패널(37)이 마련되어 상기 캐비티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양측 단부에는 캐비티 내부 공간을 순환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유선형의 커브를 구비하는 코너프레임(38)이 설치된다. 코너프레임(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오목한 호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 플로어패널(39) 상부에는 제1선반프레임(80)과 제1선반(88)이 배치된다. 제1선반프레임(80)은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과 구동력의 전달 수단은 캐비티의 후방에 마련된다.
상기 구동수단과 구동력 전달 수단은 리어커버(40)의 후방에 마련된다. 상기 리어커버(40)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튀는 이물질에 의해 구동수단과 구동력 전달수단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캐비티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고, 캐비티 내부를 유동하는 열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한다.
상기 리어커버(40)는 캐비티 리어패널(37)보다 전방에서 캐비티 리어패널(37)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들의 사이는 스페이서(42)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리어커버(40)는 스페이서(42)에 의해 캐비티 리어패널(37)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42)를 통해 리어커버(40)를 캐비티 리어패널(37)에 고정한 상태에서 캐비티 리어패널(37)을 본체(30)에 조립하면, 캐비티 내에 리어커버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리어커버(40)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부터 열기가 토출되는 중앙 에어홀(401)과, 상기 중앙 에어홀 주변에 마련된 주변 에어홀(402)을 구비한다. 이는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에 마련된 중앙 에어홀(371) 및 주변 에어홀(372)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서, 캐비티 리어패널(37) 후방에 있는 팬(미도시)에 의해 순환하는 열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40)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리어커버(40)는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과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보다는 약간 좁은 폭을 가진다. 이렇게 캐비티 리어패널(37)과 리어커버(40)의 폭의 차이에 의해 노출되는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양측 부위 전방에는 상기 제1선반프페임(80)을 거치할 수 있는 승강 랙(70)의 양단부가 노출된다.
특히 승강 랙(70)의 양단부에는 상부에 상하로 긴 장공 형태의 상부 끼움홀(711)이 마련되고, 그와 인접한 바로 하부에 대략 원형의 홀 형상을 가지는 하부 끼움홀(712)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 끼움홀(711)과 하부 끼움홀(712)은 상기 제1선반프레임(80)과 연결되는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를 구성한다. 즉 승강 랙(70)이 리어커버(40)보다 더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이다.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는 랙부재(75)에 끼움홀(711, 712)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제1선반프레임(80)의 후방 양측 단부에는, 상기 끼움홀(71)과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랙 체결부(81)가 구비된다. 상기 랙 체결부(81)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크(811)와 돌기(812)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811)는 상기 상부 끼움홀(711)에 끼워지고, 상기 돌기(812)는 상기 하부 끼움홀(712)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811)가 상기 상부 끼움홀(711)에 끼워지고 상기 돌기(812)가 상기 하부 끼움홀(712)에 끼워지도록 하면, 상기 제1선반프레임(80)의 자중에 의해 상기 후크의 걸고리 부분이 상기 승강 랙(70)의 후면에 걸리게 되어 제1선반프레임(80)이 캔틸레버 형태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선반프레임(80)과 거기에 놓여지는 제1선반(88)의 자중은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에 모멘트로서 작용하게 되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멘트를 적절히 지지하여 상하 승강 가능한 승강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승강 랙(7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크로스바(72)의 양단부에 각각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가 마련된 형태이며, 상기 크로스바(72)는 중앙 에어홀(371) 등을 통해 유동하는 열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자중을 줄이면서도, 강도는 유지할 수 있는 수준에서 중앙부가 좌우로 길게 장공 형태로 트여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크로스바(72)는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에 매우 가깝게 배치되어, 크로스바(72)가 캐비티의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는 크로스바(72)보다 더 전방에 배치된다.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가 크로스바(72)보다는 캐비티 리어패널(37)로부터 더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 후방의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제1선반프레임(80)과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의 착탈 동작을 위한 공간을 좀 더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보다 좌우 측방향으로 내측에는 제1승강연결부(73)가 배치된다. 제1승강연결부(73)는 상하로 연장되는 제1승강안내부(51)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제1승강연결부(73)보다 좌우 측방향으로 내측이면서 그보다 더 후방에는 제1승강연결부(74)가 배치된다. 제2승강연결부(74)는 상하로 연장되는 제2승강안내부(52)에 끼워진다.
상기 제1승강연결부(73)와 상기 제2승강연결부(74)는 전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캔틸레버 구조로 설치된 제1선반(88)에 의해 승강 랙(70)에 가해지는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1승강연결부와 제2승강연결부는 좌우방향으로도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승강연결부와 제2승강연결부의 전후 방향 위치가 서로 일부 중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승강연결부와 제2승강연결부의 전후 방향 거리를 좁게 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랙(70)은 리어커버(40)와 간섭되지 않도록 그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동시에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과 간섭되지 않도록 그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즉 승강 랙(70)은 리어커버와 캐비티 리어패널(37)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리어커버(40)가 캐비티 리어패널(37)과 가까이 배치될수록, 그만큼 캐비티(32)의 내부 공간이 더 확보된다.
이에, 상기 승강 랙(70)은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고 세워진 형태의 판재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 랙(70)의 상기 제1승강연결부(73)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지는 아니하면서 상기 제2승강연결부(74)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승강연결부(74)는 상기 크로스바(72)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지는 아니하면서 상기 제1승강연결부(73)보다 더 후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 랙(70)에서 상기 크로스바(72)와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 사이에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가 상기 크로스바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도록 판재를 벤딩한 형태의 벤딩부(77)가 구비되고, 제1승강연결부(73)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보다는 안쪽이면서 상기 벤딩부(77)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공간에서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연결부(73)가 벤딩부(77)의 코너부에 배치되면, 제1승강연결부(73)가 승강 랙(70)과 인접하는 부위가 더 확보된다.
승강 랙(70)의 승강 작동 구조의 일 예로서, 상기 승강 랙(70)의 승강 동력은 별도로 전달되고, 상기 제1승강연결부(73)와 제2승강연결부(74)는 상기 제1승강안내부(51)와 제2승강안내부(52)에 의해 각각 상하 이동 궤적이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승강안내부(51)와 제2승강안내부(52)를 제1볼스크류와 제2볼스크류로 구성하고, 상기 제1승강연결부(73)와 제2승강연결부(74)를 상기 제1볼스크류와 제2볼스크류에 결합되는 제1볼너트와 제2볼너트로 구성하여서, 상기 제1볼스크류(51)와 제2볼스크류(5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승강 랙(70)의 승강 구동과 승강 안내를 동시에 하도록 한 구조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볼스크류를 사용하면, 승강 안내와 승강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선반의 승강 구조를 보다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볼스크류(51)와 제2볼스크류(52)의 일측 단부(상단부)는 캐비티 리어패널(37)에 마련된 서포트(53)에 의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볼스크류와 제2볼스크류(52)의 타측 단부(하단부)는 미도시된 모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감속기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지지될 수 있다.
좌측의 제1볼스크류와 제2볼스크류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우측의 제1볼스크류와 제2볼스크류는 다른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볼스크류(51)와 제2볼스크류(52)는 캐비티 리어패널(37)에 고정된 서포트(5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승강 랙(70)은 상기 제1승강안내부(51)와 제2승강안내부(5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리어패널 역시 스페이서를 통해 캐비티 리어패널에 고정되므로, 이들을 모듈화하여 승강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안내부(51)와 제2승강안내부(52)는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중앙 에어홀로부터 회피되어 있어 지속적인 열풍의 노출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선반(80)에 의해 가해지는 모멘트에 의해 상기 승강 랙(70)의 하부는 그 상부보다,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 쪽으로 더 변형되고, 이에 따라 승강 랙(70)의 하부가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전면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과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아예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전면이면서 상기 제1승강안내부(51)와 제2승강안내부(52)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레일 형태의 제1승강가이드부(375)를 형성하고, 승강 랙(70)의 후면에, 상기 레일(375)과 접하여 승강 안내될 수 있는 홈 형태의 제2승강가이드부(78)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가이드 구조는, 승강 안내뿐만 아니라, 제1선반(80)에 의해 승강 랙(70)에 가해지는 모멘트의 지지구조를 캐비티 리어패널(37)에도 추가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캔틸레버 구조로 지탱되어야 하는 제1선반(88)에 놓여진 음식물의 하중이 크더라도, 이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승강가이드부(78)는 레일에 얹어지는 홈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상하 방향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 구조 등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벤딩부(77)에 의해 양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승강 랙(70)의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커버(40)에도 경사면부(43)를 부가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커버(40)는 상기 승강 랙(70)의 크로스바(72)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양단부(41)는 경사면부(43)를 통해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와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과 상기 승강 랙(70) 및 이와 관련된 승강 안내부(51, 52, 53 등) 구조가 설치된 공간을 구획하면서도,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에 더하여 상기 경사면부(43) 구조는 캐비티 내부의 열기 유동을 보다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기능을 함께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에는, 고정 선반랙(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 선반랙(60)은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끼움홀(61)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홀(61)은 4개 구비된다.
각 끼움홀(61)은 상하 방향으로 트인 장공 형태의 상부 끼움홀(611)과, 그 하부에 마련된 원형 홀 형태의 하부 끼움홀(612)을 포함한다. 이들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승강 랙(70)의 끼움홀(7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 선반랙(60)의 끼움홀(61) 역시 캐비티 리어패널(37)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고정 선반랙(60)은, 캐비티 내에 2 이상의 선반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 추가로 설치되는 제2선반(98)의 제2선반프레임(90)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상기 고정 선반랙(60)의 끼움홀(61)은 상기 승강 랙(70)의 끼움홀(7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승강 랙(70)와 제1선반프레임의 조립을 위해, 두 끼움홀(61, 71)이 형성된 부재 사이에도 소정의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 끼움홀(61) 간의 폭과 좌우 끼움홀(71) 간의 폭을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제2선반 및 제2선반프레임을 제1선반 및 제1선반프레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선반랙(6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선반프레임(80, 90)이 캐비티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 선반랙(60)은, 상기 승강 랙(70)의 가 고정 구조를 함께 제공한다. 가령,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랙(70)의 끼움홀(71) 후방에 판스프링과 같은 가고정부재(76)를 마련하고, 상기 승강 랙(70)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승강하여, 상기 가고정부재(76)가 상기 끼움홀(61)에 끼워지도록 하면, 승강 랙(70)이 해당 높이 위치를 더 확실히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고정부재(76)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의 랙 체결부(81)와는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승강 랙의 승강 구조에서, 캐비티 리어패널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공간이 요구되는 구조는 고정 선반랙(70),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61), 승강연결부(73, 74) 정도이며, 이들은 모두 캐비티 리어패널의 양측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선반을 자동 승강시키기 위해 추가된 구조가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체적은 최소화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오븐
20: 도어
30: 본체
31: 바디
32: 캐비티
33: 상부공간
37: 캐비티 리어패널
371: 중앙 에어홀
372: 주변 에어홀
375: 제1승강가이드부(레일)
38: 코너프레임
39: 캐비티 플로어패널
40: 리어커버
401: 중앙 에어홀
402: 주변 에어홀
41: 양단부
42: 스페이서
43: 경사면부(곡면부)
50: 승강안내부
51: 제1볼스크류(제1승강안내부)
52: 제2볼스크류(제2승강안내부)
53: 서포트
60: 고정 선반랙
61: 끼움홀(제2선반프레임 연결부)
611: 상부 끼움홀
612: 하부 끼움홀
70: 승강 랙
71: 끼움홀(제1선반프레임 연결부)
711: 상부 끼움홀
712: 하부 끼움홀
72: 크로스바
73: 제1볼너트(제1승강연결부)
74: 제2볼너트(제2승강연결부)
75: 랙부재
76: 가고정부재
77: 벤딩부
78: 제2승강가이드부(홈)
80: 제1선반프레임
81: 랙 체결부
811: 후크
812: 돌기
88: 제1선반
90: 제2선반프레임
91: 랙 체결부
98: 제2선반

Claims (10)

  1. 오븐의 캐비티 공간의 후방을 규정하는 캐비티 리어패널(37);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안내부(50);
    상기 승강안내부(50)와 맞물리는 승강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안내부(50)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 랙(70);
    상기 승강 랙(70)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안내부(50)보다 측방으로 더 바깥쪽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에 연결되는 제1선반프레임(80);
    상기 제1선반프레임(80)에 거치되는 제1선반(88); 및
    상기 제1선반(88)이 승강하는 공간인 조리실과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승강안내부(50)는 상기 조리실을 향해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고,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는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리어커버(40);를 포함하는 오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부(50)는 상하로 연장된 볼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볼스크류와 맞물리는 승강연결부는 상기 승강 랙(70)에 고정된 볼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스크류의 일측 단부는 회전구동수단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볼스크류의 타측 단부는 상기 캐비티의 벽체에 고정된 서포트(53)에 의해 회전 지지되는 오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부(50)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보다 측방향으로 더 안쪽에서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승강안내부(51)와, 상기 제1승강안내부(51)와 인접 배치되는 제2승강안내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안내부(52)는 상기 제1승강안내부(51)보다 측방향으로는 더 안쪽에, 그리고 전후방향으로는 더 후방에 배치된 오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40)는 좌우 방향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며 상기 제1승강안내부(51)와 상기 제2승강안내부(52)를 커버하는 경사면부(43)를 포함하는 오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바(7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리어커버(40)는 상기 크로스바(72)가 승강하는 공간을 커버하며,
    상기 리어커버(40)의 중앙부에는 중앙 에어홀(401)이 마련되고,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중앙부에는 중앙 에어홀(371)이 마련된 오븐.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40)는 스페이서(42)를 통해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에 고정된 오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은 그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승강가이드부(375)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랙(70)에는 상기 제1승강가이드부(375)에 의해 상하 방향 승강이 안내되는 제2승강가이드부(78)가 마련된 오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는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의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과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 사이에는,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에 고정되고, 상기 캐비티 리어패널(37) 및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에 모두 이격 배치되는 고정 선반랙(60)이 마련된 오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선반랙(6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는, 제2선반프레임(9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선반프레임 연결부(61)가 마련된 오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선반프레임 연결부(61)는 홀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랙(70)의 제1선반프레임 연결부(71) 후방에는 상기 제2선반프레임 연결부(61)에 가체결되는 가고정부재(76)가 마련된 오븐.
KR1020180025025A 2018-03-02 2018-03-02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KR10204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025A KR102047305B1 (ko) 2018-03-02 2018-03-02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EP19160053.5A EP3534072B1 (en) 2018-03-02 2019-02-28 Oven equipped with automatically ascending/descending tray
US16/290,143 US10941946B2 (en) 2018-03-02 2019-03-01 Oven equipped with automatically ascending/descending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025A KR102047305B1 (ko) 2018-03-02 2018-03-02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667A KR20190104667A (ko) 2019-09-11
KR102047305B1 true KR102047305B1 (ko) 2019-11-21

Family

ID=6565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025A KR102047305B1 (ko) 2018-03-02 2018-03-02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41946B2 (ko)
EP (1) EP3534072B1 (ko)
KR (1) KR102047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5824S1 (en) * 2019-06-25 2022-03-15 Lg Electronics Inc. Oven range
USD980013S1 (en) * 2019-06-28 2023-03-07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US11339971B2 (en) * 2019-09-13 2022-05-24 Guangdong Midea Kitchen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Oven with automatic control of pan elev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2827A1 (de) * 2004-08-27 2006-03-02 E.G.O. Elektro-Gerätebau GmbH Backofen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US20140026882A1 (en) * 2012-07-27 2014-01-30 Ssw Holding Company, Inc. Assembly for attachment to rear wall of appliance cavity
WO2017102247A1 (en) * 2015-12-18 2017-06-22 BSH Hausgeräte GmbH An oven having an adjustable height ra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9691A (en) * 1955-08-22 1960-01-05 Moffats Ltd Mechanism for adjusting the height of racks in range ovens
US3059634A (en) * 1960-01-20 1962-10-23 Susan B Brinkman Power operated oven rack
US3043290A (en) * 1961-03-01 1962-07-10 Moffats Ltd Oven rack elevating and lowering mechanism
US3976000A (en) * 1975-02-27 1976-08-24 The Hoover Company Rotatable and vertically adjustable rack
JPS597878Y2 (ja) * 1980-09-11 1984-03-1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テ−ブル・グリル
JPS5754332A (en) 1980-09-19 1982-03-31 Nec Corp Forming method for thermonitride silicon film
US5429043A (en) * 1994-10-24 1995-07-04 Becker; Ruby Power operated adjustable oven rack
KR970010476U (ko) 1995-08-31 1997-03-29 가스오븐렌지의 선반높이 자동조절장치
KR970010476A (ko) 1995-08-31 1997-03-27 한승준 주차브레이크 레버
US5938959A (en) * 1998-04-07 1999-08-17 Testrite Baparoma International Llc Oven with automatically movable shelf
ES2343229B1 (es) * 2007-07-13 2011-07-19 Teka Industrial, S.A. Horno con sistema automatico de desplazamiento vertical de bandejas.
KR101617283B1 (ko) * 2009-05-04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WO2013026789A1 (en) * 2011-08-22 2013-02-28 Arcelik Anonim Sirketi An oven comprising a movable support
US9109804B2 (en) * 2013-02-25 2015-08-18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vertically adjustable rack
KR20150141797A (ko) 2014-06-10 201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1688740B1 (ko) 2015-08-13 2016-12-22 오종찬 체결용 홀드가 구비된 무릎 지지대
KR102475320B1 (ko) * 2016-04-26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오븐
EP3276264A1 (de) * 2016-07-29 2018-01-31 Apparatebau Gronbach Srl Bewegungseinrichtung für ein küchengerät, sowie küchengerät mit einer solchen bewegungsein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2827A1 (de) * 2004-08-27 2006-03-02 E.G.O. Elektro-Gerätebau GmbH Backofen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US20140026882A1 (en) * 2012-07-27 2014-01-30 Ssw Holding Company, Inc. Assembly for attachment to rear wall of appliance cavity
US9297539B2 (en) 2012-07-27 2016-03-29 Ssw Holding Company, Inc. Assembly for attachment to rear wall of appliance cavity
WO2017102247A1 (en) * 2015-12-18 2017-06-22 BSH Hausgeräte GmbH An oven having an adjustable height rac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41946B2 (en) 2021-03-09
KR20190104667A (ko) 2019-09-11
EP3534072B1 (en) 2021-04-07
US20190271475A1 (en) 2019-09-05
EP3534072A1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305B1 (ko)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AU2006317793B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ovens
US4780597A (en) Electrical baking and roasting oven
KR101617283B1 (ko)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520498B1 (ko) 회전 랙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KR20080109571A (ko)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NZ543764A (en) Oven with vertically moveable shelf in drawer
TWI477247B (zh) Kitchen with lift hanging cabinet
US5693246A (en) Microwave oven having a vertically adjustable radiant heater
KR20190120881A (ko)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KR101683085B1 (ko)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WO2017102247A1 (en) An oven having an adjustable height rack assembly
US6069344A (en) Convection feature for use in ovens
KR20180001198A (ko) 자동 숯불구이 장치
CN105725547A (zh) 用于引导推入式元件的装置,以及具有所述装置的厨房设备
JP2010213967A (ja) 昇降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水周り家具
CN210399030U (zh) 一种灶具升降机构
JP2021132799A (ja) 調理器
CN215190270U (zh) 一种具有门体的家用电器
KR100222987B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90062007A (ko) 조리기기
CN213721501U (zh) 一种空气炸烤箱
KR100697462B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KR20220153475A (ko) 조리장치
CN114207358A (zh) 抽屉式加热烹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