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634A -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634A
KR20160071634A KR1020140179020A KR20140179020A KR20160071634A KR 20160071634 A KR20160071634 A KR 20160071634A KR 1020140179020 A KR1020140179020 A KR 1020140179020A KR 20140179020 A KR20140179020 A KR 20140179020A KR 20160071634 A KR20160071634 A KR 2016007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boundary
tunnel
safety level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934B1 (ko
Inventor
조원범
정준화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7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9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은 (a) 터널 외측에 설치된 휘도계를 통해 외부휘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외부휘도를 안전수준에 따라 측정식에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를 산정하는 단계; (c) 상기 경계부 휘도를 통해 시간대별 상기 터널의 경계부 휘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경계부 휘도값에 의하여 시간대별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Luminance control method of Tunnel Boundary}
본 발명은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경계부 휘도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시각적 순응유지를 할 수 있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터널은 도로 상에서 거의 유일하게 공간적으로 폐쇄된 구간이며, 주간에도 시인성 확보를 위한 조명이 필요한 구간이다. 터널 조명은 입구부, 기본부 및 출구부 조명으로 구분하며 터널의 조명 설계 및 운영 시 특히 중요한 요소는 주간의 터널 경계부(threshold zone) 조명, 즉, 휘도수준 결정이다. 경계부는 터널 입구, 혹은 태양에 의한 입구 그림자 선으로부터 터널 안쪽으로 정지거리만큼까지의 구역이며, 터널 외부의 밝은 환경과 터널내부의 비교적 어두운 환경이 공존하여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순응하기 가장 어려운 구간이기 때문이다.
경계부 휘도는 설계속도로 주행하는 운전자가 기준점, 즉, 도로 방향으로는 터널 입구에서 정지거리만큼 떨어진 거리, 수직 방향으로는 운전자 눈높이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터널 입구에 존재하는 장해물을 식별할 수 있는 수준까지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터널의 경계부 휘도는 외부휘도와 경계부 휘도의 관계에 따라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순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터널의 외부휘도는 터널의 방위, 지형 등의 영향으로 그 변화추세가 터널마다 다르며, 동일 터널에서도 계절적인 영향 등으로 외부휘도가 시시각각 변화한다.
따라서 터널별로 운전자의 안정성 확보 및 에너지 절약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적정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별도로 정하여 운영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휘도에 따라 터널 경계부 휘도를 제어하여 블랙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계부 휘도에 따라 조명을 조절하여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은 (a) 터널 외측에 설치된 휘도계를 통해 외부휘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외부휘도를 안전수준에 따라 측정식에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를 산정하는 단계; (c) 상기 경계부 휘도를 통해 시간대별 상기 터널의 경계부 휘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경계부 휘도값에 의하여 시간대별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휘도는 상기 터널 입구경계로부터 차량의 정지거리에 설치된 상기 휘도계를 통해 하늘, 터널 입구, 도로의 면적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산출된 휘도값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는 상기 터널을 진입하는 운전자가 상기 외부휘도와 상기 경계부 휘도 조건에서 상기 터널 내 위험요소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수준마다 상기 측정식을 각각 대입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
Figure pat00001
)는 속도 80km/h인 도로의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02
) 95%일 때 [측정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04
)를 측정식 1에 대입하고, [측정식 2]
Figure pat00005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06
) 90%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07
)를 측정식 2에 대입하고, [측정식 3]
Figure pat00008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09
) 8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10
)를 측정식 3에 대입하고, [측정식 4]
Figure pat00011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12
) 7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13
)를 측정식 4에 대입하여 산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
Figure pat00014
)는 속도 100km/h인 도로의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15
) 95%일 때 [측정식 5]
Figure pat00016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17
)를 측정식 5에 대입하고, [측정식 6]
Figure pat00018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19
) 90%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20
)를 측정식 6에 대입하고, [측정식 7]
Figure pat00021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22
) 8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23
)를 측정식 7에 대입하고, [측정식 8]
Figure pat00024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25
) 7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26
)를 측정식 8에 대입하여 산정할 수 있다.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는 상기 경계부 휘도값에 따라 시간별로 일정 시간동안 휘도수준을 유지하며 상기 터널 경계부에 구비된 조명을 단계별로 제어하며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a) 터널 외측에 설치된 휘도계를 통해 외부휘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외부휘도를 안전수준에 따라 측정식에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를 산정하는 단계; (c) 상기 경계부 휘도의 밝기 수준에 따른 안전성, 경제성, 기술적 구현 중 적어도 하나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최소안전수준(P1)을 설정하는 단계; (d) 사고 발생률이 높은 시간대별 사고율에 따른 사고안전수준(P2)을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터널의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차량의 속도변화가 많아져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통량 집중 시간대에 따른 교통안전수준(P3)을 설정하는 단계; (f) 사고율이 높고 교통량도 집중되는 시간대의 집중안전수준(P4)을 설정하는 단계; (g) 상기 경계부 휘도를 통해 시간대별 상기 터널의 경계부 휘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h) 상기 경계부 휘도값에 따라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t)을 설정하는 단계; (i) 시간대별 상기 동일 최소 유지시간(t)동안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는 상기 터널을 진입하는 운전자가 상기 외부휘도와 상기 경계부 휘도 조건에서 상기 터널 내 위험요소에 대처할 수 있는 상기 안전수준마다 상기 측정식을 각각 대입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
Figure pat00027
)는 속도 80km/h인 도로의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28
) 95%일 때 [측정식 1]
Figure pat00029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30
)를 측정식 1에 대입하고, [측정식 2]
Figure pat00031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32
) 90%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33
)를 측정식 2에 대입하고, [측정식 3]
Figure pat00034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35
) 8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36
)를 측정식 3에 대입하고, [측정식 4]
Figure pat00037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38
) 7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39
)를 측정식 4에 대입하여 산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
Figure pat00040
)는 속도 100km/h인 도로의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41
) 95%일 때 [측정식 5]
Figure pat00042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43
)를 측정식 5에 대입하고, [측정식 6]
Figure pat00044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45
) 90%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46
)를 측정식 6에 대입하고, [측정식 7]
Figure pat00047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48
) 8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49
)를 측정식 7에 대입하고, [측정식 8]
Figure pat00050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51
) 7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52
)를 측정식 8에 대입하여 산정할 수 있다.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는 상기 안전수준에 따라 시간대별 조명 휘도를 상기 조명의 성능유지 및 운전자 시각 순응 유지를 위해 동일한 휘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에 의하면, 외부휘도를 측정식에 대입하여 터널 내부의 경계부 휘도값을 단계별로 제어하여 블랙홀 현상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휘도와 경계부 휘도값에 따라 터널 경계부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80km/h 도로의 외부휘도와 측정식에 따른 경계부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00km/h 도로의 외부휘도와 측정식에 따른 경계부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수준에 따라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알고리즘.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를 단계별로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00에서는 터널(10) 외측에 설치된 휘도계(100)를 통해 터널(10)의 외부휘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휘도계(100)는 터널(10) 외측과 내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널(10)의 외부휘도에 따라 상기 터널(10)의 내부휘도를 측정하여 상기 터널(10)을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블랙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부휘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널(10) 입구경계로부터 차량의 정지거리(SD)에 설치된 휘도계(100)를 통해 측정되거나 하늘, 터널(10) 입구, 도로의 면적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산출된 휘도값을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1200과 단계 S1300에서는 단계 S1100에서 측정한 외부휘도에 따라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200)는 상기 터널(10)을 진입하는 운전자가 상기 외부휘도와 상기 경계부 휘도(200) 조건에서 상기 터널(10) 내 위험요소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수준마다 상기 측정식을 각각 대입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식은 설계속도 80km/h인 도로일 때와 설계속도 100km/h인 도로일 때 안전수준을 95%, 90%, 85%, 75%로 설정할 때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안전수준에 대해서는 보간법을 활용하여 도 3과 같이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설계속도 80km/h인 도로에서 안전수준(
Figure pat00053
)이 95%일 때는 측정식1에
[측정식 1]
Figure pat00054
휘도계(100)를 통하여 측정된 외부휘도(
Figure pat00055
)를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계속도 80km/h인 도로에서 안전수준(
Figure pat00056
)이 90%일 때는 측정식2에
[측정식 2]
Figure pat00057
외부휘도(
Figure pat00058
)를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계속도 80km/h인 도로에서 안전수준(
Figure pat00059
)이 85%일 때는 측정식3에
[측정식 3]
Figure pat00060
외부휘도(
Figure pat00061
)를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속도 80km/h인 도로에서 안전수준(
Figure pat00062
)이 75%일 때는 측정식4에
[측정식 4]
Figure pat00063
외부휘도()를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계속도 100km/h인 도로에서 안전수준(
Figure pat00065
)이 95%일 때는 측정식5에
[측정식 5]
Figure pat00066
휘도계(100)를 통하여 측정된 외부휘도(
Figure pat00067
)를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계속도 100km/h인 도로에서 안전수준(
Figure pat00068
)이 90%일 때는 측정식6에
[측정식 6]
Figure pat00069
외부휘도(
Figure pat00070
)를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계속도 80km/h인 도로에서 안전수준(
Figure pat00071
)이 85%일 때는 측정식7에
[측정식 7]
Figure pat00072
외부휘도(
Figure pat00073
)를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속도 80km/h인 도로에서 안전수준(
Figure pat00074
)이 75%일 때는 측정식8에
[측정식 8]
Figure pat00075
외부휘도(
Figure pat00076
)를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측정식 1 내지 측정식 4에 의하여 산정된 경계부 휘도(200)는 도 3과 같이 그래프로 표현되고 측정식 5 내지 측정식 8에 의하여 산정된 경계부 휘도(200)는 도 4와 같이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수준은 외부휘도 조건에서 경계부 휘도(200)가 높아질수록 안전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단계 S1400은 단계 S1300에서 측정식에 의하여 산정한 터널(10)의 경계부 휘도(200)를 통해 시간대별로 경계부 휘도값(210)을 그래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값(210)은 사고율이 높거나 교통량이 집중되는 시간대 등 다양한 시간대에 경계부 휘도값(210)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500은 단계 S1400에서 설정한 경계부 휘도값(210)에 의하여 시간대별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는 등기구의 성능유지 및 운전자 시각순응 유지를 위해 동일한 휘도가 시간대별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를 단계별로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알고리즘이다.
단계 S2100은 터널(10) 외측에 설치된 휘도계(100)를 통해 터널(10)의 외부휘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2200과 단계 S2300에서는 단계 S2100에서 측정한 외부휘도에 따라 경계부 휘도(200)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200)는 상기 터널(10)을 진입하는 운전자가 상기 외부휘도와 상기 경계부 휘도(200) 조건에서 상기 터널(10) 내 위험요소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수준마다 상기 측정식을 각각 대입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식은 설계속도 80km/h인 도로일 때와 설계속도 100km/h인 도로일 때 안전수준을 95%, 90%, 85%, 75%로 설정할 때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안전수준에 대해서는 보간법을 활용하여 도 3과 같이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단계 S2400에서는 상기 경계부 휘도(200)의 밝기 수준에 따른 안전성, 경제성, 기술적 구현 중 적어도 하나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최소안전수준(P1)(300)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500에서는 사고 발생률이 높은 시간대별 사고율에 따른 사고안전수준(P2)(400)을 설정할 수 있다. 사고 발생률이 높은 시간대에는 더 높은 안전수준인 더 밝은 휘도가 필요할 수 있다.
단계 S2600에서는 상기 터널(10)의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차량의 속도변화가 많아져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통량 집중 시간대에 따른 교통안전수준(P3)(500)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700에서는 사고율이 높고 교통량도 집중되는 시간대의 집중안전수준(P4)(600)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800에서는 측정식에 의하여 산정한 터널(10)의 경계부 휘도(200)를 통해 시간대별로 경계부 휘도값(210)을 그래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값(210)은 사고율이 높거나 교통량이 집중되는 시간대 등 다양한 시간대에 경계부 휘도값(210)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 휘도값(2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대 별로 최소안전수준(P1)(300)을 75%으로, 사고율 높은 시간대(오후 12시~오후 2시)의 사고안전수준(P2)(400)을 90%로, 교통량 집중 시간대(오후 4시~오후 6시)의 교통안전수준(P3)(500)을 85%로, 사고율도 높고 교통량도 집중되는 시간대(오전 8시~오전 10시)의 집중안전수준(P4)(600)을 95%로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2900에서는 상기 경계부 휘도값(210)에 따라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t)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는 등기구의 성능유지 및 운전자 시각순응 유지를 위해 동일한 휘도가 시간대별로 유지될 수 있다.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은 각각의 안전수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의 휘도값은 각각의 안전수준의 경계부 휘도값(210)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안전수준(P1)(300)의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의 경계부 휘도값(210)은 안전수준 75%의 측정식 결과값일 수 있고, 사고안전수준(P2)(400)의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의 경계부 휘도값(210)은 안전수준 90%의 측정식 결과값일 수 있으며, 교통안전수준(P3)(500)의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의 경계부 휘도값(210)은 안전수준 85%의 측정식 결과값일 수 있다. 그리고 집중안전수준(P4)(600)의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의 경계부 휘도값(210)은 안전수준 95%의 측정식 결과값일 수 있다.
단계 S3000은 단계 S2900에서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의 안전수준에 따른 경계부 휘도값(210)에 의하여 시간대별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수준에 따라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알고리즘이다.
단계 S4110에서 터널(10)의 경계부 휘도값(210)을 적용할 시간대가 사고율이 높은 시간대인 사고안전수준(P2)(400)이 적용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20은 단계 S4110에서 사고안전수준(P2)(400)가 적용가능하면 상기 터널(10)의 경계부 휘도값(210)을 적용할 시간대가 교통량 집중 시간대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교통량 집중 시간대는 단계 S4410에서 사고율이 높다고 판단하였으므로 안전수준을 95%로 적용하는 집중안전수준(P4)(600)를 적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30은 단계 S4120에서 집중안전수준(P4)(600)를 적용할 수 있으면 집중안전수준(P4)(600)의 안전수준인 95%를 적용하고 집중안전수준(P4)(600)를 적용할 수 없으면 집중안전수준(P2)의 안전수준인 90%를 적용하고 외부휘도 증가 시간대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40은 단계 S4130에서 외부휘도 증가 시간대이면 집중안전수준(P4)(600)의 안전수준인 95% 또는 사고안전수준(P2)(400)의 안전수준인 90%를 현재부터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t)동안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4150은 단계 S4130에서 외부휘도 증가 시간대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전에 적용한 집중안전수준(P4)(600)의 안전수준인 95% 또는 사고안전수준(P2)(400)의 안전수준인 90%를 이전부터 연장하며 현재까지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t)동안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4210은 단계 S4110에서 사고안전수준(P2)(400)가 적용가능하지 않으면 사고율이 낮다고 판단하여 터널(10)의 경계부 휘도값(210)을 적용할 시간대가 사고율은 높지 않고 교통량이 집중되는 시간대인 교통안전수준(P3)(500)이 적용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220은 단계 S4210에서 교통안전수준(P3)(500)를 적용할 수 있으면 외부휘도 증가 시간대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230은 단계 S4220에서 외부휘도 증가 시간대이면 교통안전수준(P3)(500)의 안전수준인 85%를 현재부터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t)동안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4240은 단계 S4220에서 외부휘도 증가 시간대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전에 적용한 교통안전수준(P3)(500)의 안전수준인 85%를 이전부터 연장하며 현재까지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t)동안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4310은 단계 S4210에서 교통안전수준(P3)(500)를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최소안준수준(P1)이라 판단하여 외부휘도 증가 시간대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320은 단계 S4310에서 외부휘도 증가 시간대이면 최소안전수준(P1)(300)의 안전수준인 75%를 현재부터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t)동안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4330은 단계 S4310에서 외부휘도 증가 시간대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전에 적용한 최소안전수준(P1)(300)의 안전수준인 75%를 이전부터 연장하며 현재까지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t)동안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터널 100: 휘도계
200: 경계부 휘도 300: 최소안전수준
400: 사고안전수준 500: 교통안전수준
600: 집중안전수준

Claims (11)

  1. (a) 터널 외측에 설치된 휘도계를 통해 외부휘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외부휘도를 안전수준에 따라 측정식에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를 산정하는 단계;
    (c) 상기 경계부 휘도를 통해 시간대별 상기 터널의 경계부 휘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경계부 휘도값에 의하여 시간대별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휘도는 상기 터널 입구경계로부터 차량의 정지거리에 설치된 상기 휘도계를 통해 측정된 휘도 또는 하늘, 터널 입구, 도로의 면적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산출된 휘도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 휘도는 상기 터널을 진입하는 운전자가 상기 외부휘도와 상기 경계부 휘도 조건에서 상기 터널 내 위험요소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수준마다 상기 측정식을 각각 대입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 휘도(
    Figure pat00077
    )는 속도 80km/h인 도로의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78
    ) 95%일 때
    [측정식 1]
    Figure pat00079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80
    )를 측정식 1에 대입하고,
    [측정식 2]
    Figure pat00081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82
    ) 90%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83
    )를 측정식 2에 대입하고,
    [측정식 3]
    Figure pat00084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85
    ) 8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86
    )를 측정식 3에 대입하고,
    [측정식 4]
    Figure pat00087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88
    ) 7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89
    )를 측정식 4에 대입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 휘도(
    Figure pat00090
    )는 속도 100km/h인 도로의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91
    ) 95%일 때
    [측정식 5]
    Figure pat00092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93
    )를 측정식 5에 대입하고,
    [측정식 6]
    Figure pat00094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95
    ) 90%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96
    )를 측정식 6에 대입하고,
    [측정식 7]
    Figure pat00097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098
    ) 8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099
    )를 측정식 7에 대입하고,
    [측정식 8]
    Figure pat00100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101
    ) 7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102
    )를 측정식 8에 대입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는 상기 경계부 휘도값에 따라 시간별로 일정 시간동안 휘도수준을 유지하며 상기 터널 경계부에 구비된 조명을 단계별로 제어하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7. (a) 터널 외측에 설치된 휘도계를 통해 외부휘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외부휘도를 안전수준에 따라 측정식에 대입하여 경계부 휘도를 산정하는 단계;
    (c) 상기 경계부 휘도의 밝기 수준에 따른 안전성, 경제성, 기술적 구현 중 적어도 하나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최소안전수준(P1)을 설정하는 단계;
    (d) 사고 발생률이 높은 시간대별 사고율에 따른 사고안전수준(P2)을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터널의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차량의 속도변화가 많아져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통량 집중 시간대에 따른 교통안전수준(P3)을 설정하는 단계;
    (f) 사고율이 높고 교통량도 집중되는 시간대의 집중안전수준(P4)을 설정하는 단계;
    (g) 상기 경계부 휘도를 통해 시간대별 상기 터널의 경계부 휘도값을 설정하는 단계;
    (h) 상기 경계부 휘도값에 따라 동일 휘도 최소 유지시간(t)을 설정하는 단계;
    (i) 시간대별 상기 동일 최소 유지시간(t)동안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 휘도는 상기 터널을 진입하는 운전자가 상기 외부휘도와 상기 경계부 휘도 조건에서 상기 터널 내 위험요소에 대처할 수 있는 상기 안전수준마다 상기 측정식을 각각 대입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 휘도(
    Figure pat00103
    )는 속도 80km/h인 도로의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104
    ) 95%일 때
    [측정식 1]
    Figure pat00105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106
    )를 측정식 1에 대입하고,
    [측정식 2]
    Figure pat00107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108
    ) 90%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109
    )를 측정식 2에 대입하고,
    [측정식 3]
    Figure pat00110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111
    ) 8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112
    )를 측정식 3에 대입하고,
    [측정식 4]
    Figure pat00113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114
    ) 7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115
    )를 측정식 4에 대입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 휘도(
    Figure pat00116
    )는 속도 100km/h인 도로의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117
    ) 95%일 때
    [측정식 5]
    Figure pat00118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119
    )를 측정식 5에 대입하고,
    [측정식 6]
    Figure pat00120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121
    ) 90%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122
    )를 측정식 6에 대입하고,
    [측정식 7]
    Figure pat00123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124
    ) 8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125
    )를 측정식 7에 대입하고,
    [측정식 8]
    Figure pat00126

    상기 안전수준(
    Figure pat00127
    ) 75%일 때 상기 외부휘도(
    Figure pat00128
    )를 측정식 8에 대입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경계부 조명 휘도는 상기 안전수준에 따라 시간대별 조명 휘도를 상기 조명의 성능유지 및 운전자 시각 순응 유지를 위해 동일한 휘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KR1020140179020A 2014-12-12 2014-12-12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KR10164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020A KR101644934B1 (ko) 2014-12-12 2014-12-12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020A KR101644934B1 (ko) 2014-12-12 2014-12-12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34A true KR20160071634A (ko) 2016-06-22
KR101644934B1 KR101644934B1 (ko) 2016-08-03

Family

ID=5636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020A KR101644934B1 (ko) 2014-12-12 2014-12-12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9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953A (ja) * 1992-08-31 199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ンネル照明制御装置
KR20140074565A (ko) * 2012-12-10 2014-06-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 조명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458396B1 (ko) * 2013-08-21 2014-11-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터널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63398B1 (ko) * 2014-04-30 2014-11-19 주식회사 아이라이트 터널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조명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953A (ja) * 1992-08-31 199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ンネル照明制御装置
KR20140074565A (ko) * 2012-12-10 2014-06-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 조명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458396B1 (ko) * 2013-08-21 2014-11-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터널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63398B1 (ko) * 2014-04-30 2014-11-19 주식회사 아이라이트 터널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조명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934B1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160A (ko) 에너지 절약형 터널 휘도제어 시스템 및 그 조명제어방법
KR101928471B1 (ko) 교통상황을 인지하여 동작하는 지능형 가로등 장치
CN107864541A (zh) 隧道照明智能调光方法
CN111970785B (zh) 一种智慧路灯的应急led路灯控制方法与系统
CN103415113A (zh) 一种led隧道灯系统及led隧道灯的亮度控制方法
CN105472844A (zh) 一种路灯控制方法及装置
KR101423513B1 (ko) 터널용 조명 장치를 이용한 터널 조명 시스템
KR101644934B1 (ko) 터널 경계부 휘도 제어 방법
KR101462734B1 (ko) 터널 조명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458396B1 (ko) 터널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Buraczynski et al. Tunnel lighting systems
CN110455552A (zh) 一种智能车辆室内复合场景测试方法
KR101463398B1 (ko) 터널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조명제어방법
CN108010012B (zh) 隧道入口黑洞效应评价方法
CN103702473A (zh) 一种隧道灯
CN204922649U (zh) 一种可调明暗变化的低高度隧道灯
KR20140052578A (ko) 터널 조명 제어 장치
CN107990243A (zh) 一种多维度复合配光路灯
KR101381941B1 (ko) 엘이디 터널등 디밍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4867412A (zh) 一种用于隧道的诱导逃生系统
JP2015056256A (ja) 車両用灯火器の自動点滅装置
CN104408938B (zh) 智能卡口车距检测装置及方法
KR20150024031A (ko) 터널 내외의 휘도 분석을 통한 터널출입구 부분의 밝기 조절장치
KR100840272B1 (ko) 터널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Sędziwy et al. A new approach to power consumption reduction of street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