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971A - 메일 단자 핀구조 - Google Patents

메일 단자 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971A
KR20160070971A KR1020140178096A KR20140178096A KR20160070971A KR 20160070971 A KR20160070971 A KR 20160070971A KR 1020140178096 A KR1020140178096 A KR 1020140178096A KR 20140178096 A KR20140178096 A KR 20140178096A KR 20160070971 A KR20160070971 A KR 20160070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ion
positioning
terminal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3042B1 (ko
Inventor
신승환
임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7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0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일 단자 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를 포함한 메일 단자 핀구조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의 일측면과 상기 접속부의 일측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동일 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메일 단자 핀구조{PIN STRUCTURE OF MALE TERMINAL}
본 발명은 단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메일 단자의 핀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형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상보적인 암형 전기 단자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 조립체를 수납하는 절연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특히,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는 진동을 받거나,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과의 진동 공진에 의해 가끔 증폭된다. 차량의 전체 수명 기간 동안 암형 단자에 속한 단자 표면과 수형 단자에 속한 단자 표면 간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기 단자들에 있어서, 전기적 접촉 성능을 저감시키지 않고 그러한 수형/암형 단자 조립체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또한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메일 단자 핀구조는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클램핑함으로써 와이어에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 연결부(10)와, 와이어 연결부(10)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와이어 단부에서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20)와, 위치 결정부(20)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30)로 이루어진다.
와이어 연결부(10)는 일측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어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와이어의 둘레를 압착할 수 있도록 상호 근접한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20)는 와이어 연결부(10)의 일단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천공된 잠금 윈도우(21)가 구비됨으로써 위치 결정부(20)는 주변의 하우징(미도시) 내에서 메일 단자를 위치시키고 잠금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30)는 피메일 단자에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피메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위치 결정부(20)보다 작은 폭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단부는 뾰족하게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속부(30)와 위치 결정부(20)의 연결을 위하여 접속부(30)와 위치 결정부(20) 사이에는 이음부(40)가 구비되는데, 이음부(40)는 위치 결정부(20)의 일단부에서 접속부(30)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과 높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음부(40)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그 상면과 하면이 위치 결정부(20)에서 접속부(30)로 갈수록 각각 하향 및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위치 결정부(20)와 접속부(30)가 연결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메일 단자 핀구조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부(20)와 접속부(30)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점진적으로 폭과 높이가 작아지도록 상면, 하면, 측면이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이음부(40)로 인하여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결합시에 위치 결정부(20)에 대하여 접속부(30)가 휘어짐으로 인하여 조립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상호 체결시에 메일 단자에 구비된 접속부가 위치 결정부에 대하여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위치 결정부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메일 단자 핀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는,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를 포함한 메일 단자 핀구조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의 일측면과 상기 접속부의 일측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동일 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결정부의 일측면과 상기 접속부의 일측면은 상기 와이어 연결부가 개구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별도의 이음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와 연결되는 상기 이음부의 일측면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속부와 연결되는 상기 이음부의 일측면은 상기 와이어 연결부가 개구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부와 상기 접속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굴곡진 정도는 그 곡률 반경이 0.5 m 이상 1 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상호 체결시에 메일 단자에 구비된 접속부가 위치 결정부에 대하여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메일 단자 핀구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는,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100)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100)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200)와, 상기 위치 결정부(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300)를 포함한 메일 단자 핀구조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200)의 일측면(220)과 상기 접속부(300)의 일측면(310)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동일 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와이어 연결부(100)는 메일 단자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 일측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어 그 내면에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안착된 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압착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 연결부(100)는 와이어의 피복이 제거된 도체 영역을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재(110)와,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재(120)로 구성된다.
메일 단자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이 되는 도체 압착부재(110)의 폭은 피복 압착부재(1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도체 압착부재(110)가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도체 영역이 와이어의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보다 직경이 작으므로 피복 압착부재(120)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있다.
반대로, 메일 단자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이 되는 피복 압착부재(120)의 폭은 도체 압착부재(1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피복 압착부재(120)가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도체 영역이 와이어의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도체 압착부재(110)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 연결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구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내면에 안착되면 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는 형태로 외형이 변형된 후에 그 형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전이 가능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결정부(200)는 와이어 연결부(100)의 일단부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부재로서 그 종단면은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부(200)의 상면 일측에는 메일 단자가 피메일 단자와 체결시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잠금 윈도우(210)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부(200)의 일측면(220)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후술할 접속부(300)의 평탄하게 형성된 일측면(310)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300)는 실질적으로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로서 접속부(300)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음부(400) 혹은 위치 결정부(200)보다는 작은 폭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부(300)의 일측면(310)은 위치 결정부(200)의 일측면(220)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와 체결시에 위치 결정부(200)에 대하여 접속부(300)가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접속부(300)의 일측면(310)과 위치 결정부(200)의 일측면(220) 및 이음부(400)의 일측면이 각각 평탄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면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시에 발생하는 저항을 지지하는 힘이 위치 결정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생하기 때문에 저항력을 높임으로써 접속부(300)가 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접속부(300) 자체의 굽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 결정부(200)의 일측면(220)과 접속부(300)의 일측면(310)은 와이어 연결부(100)가 개구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와이어 연결부(100)가 개구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부(200)의 일측면이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는 길이를 더 길게 확보할 수 있게 때문이다.
한편, 위치 결정부(200)와 접속부(300) 사이에는 접속부(30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별도의 이음부(4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음부(400)로 인하여 이음부(400)를 기준으로 이음부(400)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위치 결정부(200)와 접속부(300)의 연결이 구조적으로 더욱 보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음부(400)와 접속부(300)가 연결되는 영역의 일측면(410)은 굴곡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이음부(400)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밖에 없는 접속부(300)와 이음부(400)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단차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단차 영역에서 피로 강도가 약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단차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음부(400)와 접속부(300)가 연결되는 영역의 일측면(410)은 와이어 연결부(100)가 개구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이음부(400)와 접속부(300)가 연결되는 영역의 굴곡진 정도는 그 곡률 반경이 0.5 mm 이상 1 mm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음부(400)와 접속부(300)가 연결되는 영역의 곡률 반경이 0.5 mm 미만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단차진 형태와 크게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피로 강도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될 수 밖에 없으며, 이음부(400)와 접속부(300)가 연결되는 영역의 곡률 반경이 1 mm 초과로 형성될 경우에는 접속부(300)의 일단부가 두꺼워져서 피메일 단자와의 원활한 체결이 불가능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는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상호 체결시에 메일 단자에 구비된 접속부가 위치 결정부에 대하여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와이어 연결부 110 : 도체 압착부재
120 : 피복 압착부재 200 : 위치 결정부
210 : 잠금 윈도우 300 : 접속부
400 : 이음부

Claims (6)

  1.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100)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100)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200)와;
    상기 위치 결정부(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300)를 포함한 메일 단자 핀구조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200)의 일측면(220)과 상기 접속부(300)의 일측면(310)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동일 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200)의 일측면(220)과 상기 접속부(300)의 일측면(310)은 상기 와이어 연결부(100)가 개구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200)와 상기 접속부(300)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30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별도의 이음부(4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300)와 연결되는 상기 이음부(400)의 일측면(410)은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300)와 연결되는 상기 이음부(400)의 일측면(410)은 상기 와이어 연결부(100)가 개구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400)와 상기 접속부(300)가 연결되는 영역의 굴곡진 정도는 그 곡률 반경이 0.5 mm 이상 1 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KR1020140178096A 2014-12-11 2014-12-11 메일 단자 핀구조 KR101723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96A KR101723042B1 (ko) 2014-12-11 2014-12-11 메일 단자 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96A KR101723042B1 (ko) 2014-12-11 2014-12-11 메일 단자 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71A true KR20160070971A (ko) 2016-06-21
KR101723042B1 KR101723042B1 (ko) 2017-04-05

Family

ID=5635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096A KR101723042B1 (ko) 2014-12-11 2014-12-11 메일 단자 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867A (ko)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세미파워렉스 단자홀 손상방지형 단자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1082A1 (en) 2001-02-13 2002-08-15 Takao Murakami Male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084371A (ja) * 2011-10-06 2013-05-09 Sumitomo Wiring Syst Ltd 雄端子金具
JP2014225388A (ja) 2013-05-16 2014-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雄端子金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1082A1 (en) 2001-02-13 2002-08-15 Takao Murakami Male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084371A (ja) * 2011-10-06 2013-05-09 Sumitomo Wiring Syst Ltd 雄端子金具
JP2014225388A (ja) 2013-05-16 2014-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雄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042B1 (ko)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2089B1 (en) Contact with enhanced transition region
US9231316B2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having an insertion groove
US9502784B2 (en) Terminal attached aluminum electric wire
JP2004528692A (ja) フラット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の使用方法及び装置
WO2007094406A1 (ja) 端子付電線
US11600937B2 (en) Electrical terminal for flat flexible cables
US8585431B2 (en) Electrical connection clamp
US8758054B2 (en) Terminal fitting
EP0849834A2 (en)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electric wire and terminal
US20180138600A1 (en) Terminal and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KR101723042B1 (ko) 메일 단자 핀구조
JP6786312B2 (ja) 圧着端子
JP2020187895A (ja) 圧接端子、端子付き電線、及び、コネクタ
JP2020187896A (ja) コネクタ
US10096925B2 (en) Connector
US11296441B2 (en) Electrical terminal for flat flexible cables
KR100993098B1 (ko) 고정용 압착밴드, 이를 이용하여 차폐 커넥터와 일괄형 편조차폐선을 결합하는 방법 및, 차폐 커넥터 구조체
US8870612B2 (en) Crimped terminal
US7985104B2 (en) Shield sleeve for a plug connector
KR20200029254A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압착장치
KR20160070974A (ko) 메일 단자 핀구조
US11677167B2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and terminal crimping device
WO2016186021A1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KR102657454B1 (ko) 수직형 커넥터
JP2001203015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