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497A -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 - Google Patents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497A
KR20160070497A KR1020140177522A KR20140177522A KR20160070497A KR 20160070497 A KR20160070497 A KR 20160070497A KR 1020140177522 A KR1020140177522 A KR 1020140177522A KR 20140177522 A KR20140177522 A KR 20140177522A KR 20160070497 A KR20160070497 A KR 20160070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um
plate
platinum alloy
clad
shee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성
연병훈
양승호
윤원규
Original Assignee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497A/ko
Publication of KR2016007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5/00Alloys based on noble metals
    • C22C5/04Alloys based on a platinum group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a)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적층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예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예열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교차압연하여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The manufacturing method of clad plate and the clad plate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백금을 포함하는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에 관한 것이다.
LCD와 같은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리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예를 들어, 용해장치, 도가니, 부싱 등)는 고온에서 내구성 및 강도가 좋은 클래드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유리 부품은 1400℃ 이상에서 용해된 유리물을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이를 제조하는 장치는 1400℃ 이상의 온도에서도 내구성 및 강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유리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에 백금 조직 내에 산화물이 분산된 백금합금 클래드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백금합금 클래드는 미세하게 분산된 산화물 입자가 고온에서의 결정립계 이동을 억제하여 고온에서 장치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백금합금 클래드는 순수 백금에 비해 유리물에 잔존하는 불순물과의 반응성이 높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입계 파괴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은 순수 백금으로 이루어지고, 유리물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백금합금 클래드로 이루어지도록 순수 백금과 백금합금 클래드가 접합된 복합 클래드를 유리 부품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순수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접합시킨 복합 클래드 판재를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순수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의 접합을 위해 플라즈마 처리할 경우 용융에 의한 열 영향부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산화물이 제거됨에 따라 고온에서 높은 강도를 가지는 복합 클래드 판재를 얻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52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온에서도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적층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예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예열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교차압연하여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는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적층한 후 둘레를 예비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금합금 판재는, 백금합금 판재 100중량%를 기준으로, 로듐을 5 내지 20중량%; 지르코늄(Zr), 사마륨(Sm), 이트륨(Y), 유로퓸(Eu) 및 하프늄(H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를 0.02 내지 1중량%; 및 백금(Pt)을 80 내지 94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예열온도는 800 내지 1200℃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의 교차압연은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 사이로 상기 백금 판재와 상기 백금합금 판재를 통과시키되, 상기 제1 가압롤러의 축과 상기 제2 가압롤러의 축이 이루는 교각이 3° 내지 6°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은 교차압연을 통해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녹이지 않고 고체 상태로 접합시키기 때문에 클래드 판재에 열 영향부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클래드 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1.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백금을 포함하는 2개의 판재를 서로 적층하여 클래드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각 판재의 적층
먼저,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각각 준비한 후 서로 적층시킨다.
상기 백금 판재는 순수 백금과 미량의 불순물(예를 들어, O, C, S 등)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조법 또는 분말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금합금 판재는 백금과 다양한 원소로 이루어진 것으로, 백금합금 판재도 주조법 또는 분말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백금합금 판재를 이루는 다양한 원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로듐(Rh)과, 지르코늄(Zr), 사마륨(Sm), 이트륨(Y), 유로퓸(Eu) 및 하프늄(H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백금합금 판재는 백금합금 판재 100중량%를 기준으로, 로듐(Rh)이 5 내지 20중량%; 지르코늄(Zr), 사마륨(Sm), 이트륨(Y), 유로퓸(Eu) 및 하프늄(H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가 0.02 내지 1중량%; 및 백금(Pt)이 80 내지 94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로듐(Rh)이 5중량% 미만이면 클래드 판재의 고용강화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하면 고용강화 및 산화물의 분산강화가 과해져 클래드 판재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르코늄(Zr), 사마륨(Sm), 이트륨(Y), 유로퓸(Eu) 및 하프늄(H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도 0.02중량% 미만이면 클래드 판재 내 산화물의 분산강화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1중량%를 초과하면 산화물의 분산강화가 과해져 클래드 판재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외곽 둘레 라인(즉, 적층체의 테두리)를 예비접합시키는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의 외곽 둘레 라인을 예비접합하지 않고 예열 및 교차압연을 진행할 경우 각 판재가 서로 엇갈린 상태로 접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적층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의 외곽 둘레 라인을 예비접합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용접, 브레이징, 기계적 결합법 등을 들 수 있다.
b) 적층체 예열
다음, 적층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예열한다. 이와 같이 적층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예열할 경우 각 판재 조직의 밀도가 높아져 클래드 판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적층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예열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대기 중에서 8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0.5 내지 2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열 조건이 0.5시간 이하 또는 800℃ 미만이면 예열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교차압연시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될 수 있으며, 2시간 이상 또는 1,200℃를 초과하면 교차압연시 전단력에 의해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의 계면이 국부적으로 용융되거나 결정립이 성장하여 클래드 판재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c) 교차압연을 통한 접합
마지막으로 예열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또는 예비접합 후 예열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교차압연하여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서로 접합시킨다. 여기서 교차압연은 서로 교차배치된 2개의 가압롤러 사이에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투입하여 가압함으로써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교차압연은 제1 기압롤러(21)와 제2 가압롤러(22) 사이로 백금 판재(11)와 백금합금 판재(12)가 적층된 적층체를 통과시키되, 제1 가압롤러(21)의 축(X)과 제2 가압롤러(22)의 축(Y)이 이루는 교각(θ)의 크기가 3° 내지 6°인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각(θ)의 크기가 3° 미만이면 압연시 전단력이 충분하지 않아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의 결합력(접합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6°를 초과하면 압연시 뒤틀림이 발생하여 클래드 판재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가 서로 충분히 결합될 수 있도록 교차압연시 압하율은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차압연을 통해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접합시키기 때문에 복합한 장비 없이 클래드 판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가압롤러 폭의 한도 내라면 각 판재의 폭 방향에 대한 크기의 제한 없이 클래드 판재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E-Beam, 레이저 등의 열원용접, 또는 플라즈마용접 등으로 각 판재를 접합시켜 클래드 판재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열원용접은 열원이 도달하는 깊이까지만 각 판재를 서로 접합시킬 수 있어, 판재의 폭의 크기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플라즈마용접은 플라즈마 장비 및 진공 챔버 등의 장비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합을 실시하기 위한 환경이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가압롤러의 간단한 장비에 장비만으로 각 판재를 서로 고르게 접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클래드 판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열원용접, 또는 플라즈마용접은 모두 열을 이용하여 각 판재를 접합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판재의 접합부위에 열 영향부가 형성되어 제조되는 클래드 판재의 내구성 및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클래드 판재를 제조할 경우 열 영향부 형성이 최소화된 클래드 판재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 클래드 판재에 대한 부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2. 클래드 판재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클래드 판재는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교차압연하여 접합시키는 과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각 판재가 용융되는 일없이 고체 상태로 접합이 이루어져 용융에 의한 열 영향부의 형성이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열 영향부의 형성이 최소화되면 클래드 판재 조직 내에 산화물이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높은 내구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래드 판재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으나, 고온에서 높은 내구성 및 강도가 요구되는 장치(특히, LCD에 적용되는 유리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형태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클래드 판재의 제조
순수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Pt 잔량, Rh 10wt%, Zr-Oxide 0.3wt%의 조성)를 적층한 후 레이저 용접 방법으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가 적층된 적층체의 외곽 둘레 라인을 예비접합시켰다. 다음, 예비접합된 접층체를 800℃에서 1시간 동안 예열시켰다.
그 다음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각 축이 이루는 교각 5°) 사이에 예열된 적층체를 통과시켜 클래드 판재를 제조하였다(압하율 60%).
[비교예 1]
순수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Pt 잔량, Rh 10wt%, Zr-Oxide 0.3wt%의 조성)를 플라즈마용접하여 클래드 판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를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및 EBSD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가 견고하게 접합된 클래드 판재가 제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3을 참조하면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 사이에 조대한 열 영향부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a)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적층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예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예열된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교차압연하여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백금 판재와 백금합금 판재를 적층한 후 둘레를 예비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합금 판재는,
    백금합금 판재 100중량%를 기준으로,
    로듐을 5 내지 20중량%;
    지르코늄(Zr), 사마륨(Sm), 이트륨(Y), 유로퓸(Eu) 및 하프늄(H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를 0.02 내지 1중량%; 및
    백금(Pt)을 80 내지 94중량%로 포함하는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예열온도는 800 내지 1200℃인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교차압연은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 사이로 상기 백금 판재와 상기 백금합금 판재를 통과시키되, 상기 제1 가압롤러의 축과 상기 제2 가압롤러의 축이 이루는 교각이 3° 내지 6°인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
KR1020140177522A 2014-12-10 2014-12-10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 KR20160070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22A KR20160070497A (ko) 2014-12-10 2014-12-10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22A KR20160070497A (ko) 2014-12-10 2014-12-10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497A true KR20160070497A (ko) 2016-06-20

Family

ID=5635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522A KR20160070497A (ko) 2014-12-10 2014-12-10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49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484B2 (ja) * 1992-03-25 1999-02-17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酸化物分散強化白金と白金との複合材料の製造方法
KR20020090579A (ko) * 2001-05-28 2002-12-05 배동현 스테인레스-알루미늄의 3중 클래드판 제조 방법
KR20080005293A (ko) 2005-04-26 2008-01-10 디에터 뵈트거 플로트 배스로 유리 용융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KR20110122755A (ko) * 2009-05-13 2011-11-10 다나카 기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산화물 분산형 강화백금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87246B1 (ko) * 2010-04-05 2012-10-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크로스롤 압연에 의한 마그네슘 합금 판재 압연방법
KR101288592B1 (ko) * 2011-03-17 2013-07-22 희성금속 주식회사 산화물 분산강화형 백금-로듐 합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484B2 (ja) * 1992-03-25 1999-02-17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酸化物分散強化白金と白金との複合材料の製造方法
KR20020090579A (ko) * 2001-05-28 2002-12-05 배동현 스테인레스-알루미늄의 3중 클래드판 제조 방법
KR20080005293A (ko) 2005-04-26 2008-01-10 디에터 뵈트거 플로트 배스로 유리 용융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KR20110122755A (ko) * 2009-05-13 2011-11-10 다나카 기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산화물 분산형 강화백금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87246B1 (ko) * 2010-04-05 2012-10-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크로스롤 압연에 의한 마그네슘 합금 판재 압연방법
KR101288592B1 (ko) * 2011-03-17 2013-07-22 희성금속 주식회사 산화물 분산강화형 백금-로듐 합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711B1 (ko) 스퍼터링 타겟 및 그 제조방법
TWI403600B (zh) 濺鍍靶及接合型濺鍍靶及其製作方法
Pan et al. Effects of electric field on interfacial microstructure and shear strength of diffusion bonded α-Al2O3/Ti joints
WO2013154193A1 (ja) 真空複層ガラスおよびシール部材並びに真空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CN109500128A (zh) 一种镁铝钢层状复合板及其制备方法
EP2431487B1 (en) Oxide-dispersion-strengthened platinum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TW201718890A (zh) 鈦複合材以及熱軋用鈦材
JP2003226966A (ja) 大型ターゲット材
KR20160070497A (ko)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클래드 판재
JP2014087805A (ja) 耐食性Ni基合金とアルミニウムまたはアルミニウム合金からなる複合部材
JP2004204253A (ja) ターゲット
KR101560455B1 (ko) 방전 플라즈마 소결을 이용한 LCD Glass 제조용 산화물 분산 강화형 백금­로듐 합금의 제조 방법
Nagasaka et al. Development of tubing technique for high-purity low activation vanadium alloys
CN108349047B (zh) 接合用组合物
RU231127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JP5233486B2 (ja) 無酸素銅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及び無酸素銅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の製造方法
TW200944483A (en) Processing method of laminating glass substrate
Yu et al. Effect of microstructure and microtexture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fracture behaviour of friction stir-welded AZ31/AZ61 joint
DE202010007081U1 (de)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gasdichten Ultraschall-Lötverbindung
KR20160051578A (ko) 재활용 스퍼터링 타겟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활용 스퍼터링 타겟
Fu et al. Joining of oxide dispersion strengthened Eurofer steel via spark plasma sintering
KR20140111535A (ko)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 접합방법 및 그 접합방법을 이용한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 접합 구조물
JP2006159223A (ja) AlまたはAl合金接合体の製法
RU270990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варных соединений термоупрочняемых алюминиевых сплавов с высоким пределом выносливости
JPS6363583A (ja) Ni基超合金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