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409A -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 Google Patents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409A
KR20160070409A KR1020140177309A KR20140177309A KR20160070409A KR 20160070409 A KR20160070409 A KR 20160070409A KR 1020140177309 A KR1020140177309 A KR 1020140177309A KR 20140177309 A KR20140177309 A KR 20140177309A KR 20160070409 A KR20160070409 A KR 20160070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bucket
eccentric weigh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148B1 (ko
Inventor
오재헌
최윤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14017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1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Abstract

본 발명은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굴삭기 기반 기계식 진동 수확기를 이용해 수실수로부터 수실류를 낙과시켜 수확하는 과정에서 낙과되는 수실류를 집과 망을 이용해 받아 집과 버킷 내부로 집과시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실류 수확시 집과 수거 과정에 필요한 노동 강도를 낮추고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실류의 낙과 손상을 줄여 상품성을 높이고 이에 따른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DEVICE OF COLLECTING TREE FRUIT}
본 발명은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굴삭기 기반 기계식 진동 수확기를 이용해 수실수로부터 수실류를 낙과시켜 수확하는 과정에서 낙과되는 수실류를 받아 좀더 쉽게 집과시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실류의 수확 작업은 수실류의 저장과 판매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며, 적기에 수확하지 않을 시 가격과 품질에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금까지의 수실류의 수확 방법은 대나무 장대에 의존한 인력 수확 방법이 대부분이어서, 수고가 높은 경우 낙하 및 안전 사고의 발생위험이 커 수실류 재배 경영자에게 매우 큰 부담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실류의 수확 기간이 매우 길어져 적기에 수확하지 못하거나 아예 수확을 포기하는 경우까지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들어 굴삭기를 기반으로 하여 굴삭기의 유압력을 이용해 수실수 가지에 진동을 가하여 수실류를 낙과 수확하는 기계식 진동 수확기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계식 진동 수확기를 이용해 수실류를 낙과시켜 수확하더라도 여전히 지면에 낙과된 수실류의 주워 모으는 집과 수거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집과 수거 과정 역시 인력에 의존하게 됨에 따라 많은 노동력과 작업 시간이 요구되고, 수실류가 낙과 과정에서 손상되어 상품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일례로, 가로수로 사용된 은행나무의 경우 은행나무 열매를 제때 수확하지 못하여 낙과시 손상을 입은 은행나무 열매가 악취를 유발하고 가로 경관의 저해시켜 매년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기계식 진동 수확기를 이용해 수실류를 낙과 수확하고 이 과정에서 낙과되는 수실류의 받아 자동 집과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과 손상을 줄이고 손상된 낙과 수실류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의 개발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7994호(등록일자 2014년02월20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 기반 기계식 진동 수확기를 이용해 수실수로부터 수실류를 낙과시켜 수확하는 과정에서 낙과되는 수실류를 받아 좀더 쉽게 집과시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는, 굴삭기 암 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집과 버킷; 및 상기 굴삭기의 유압력을 이용해 상기 집과 버킷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집과 버킷 주위 외측으로 접고 펼쳐져 수실수로부터 낙과 수확되는 수실류를 받아 상기 집과 버킷에 집과시키는 집과 망;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집과 버킷은 후방 일측에 상기 굴삭기 암 단부에 체결하기 위한 굴삭기 체결대가 형성되고, 전방 일측에 수실수의 주간이 삽입되게 수실수 삽입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집과된 수실류를 담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버킷; 및 상기 버킷의 바닥부 일측 개방구를 여닫히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도어를 여닫으며 상기 버킷 내에 집과된 수실류를 상기 개방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는 도어 개폐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개폐 도어의 회전축 상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도어가 회동하며 여닫히도록 회동시키는 전동 모터; 및 상기 개폐 도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도어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동 모터를 가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과 망은 상기 버킷의 가장지리를 따라 외측으로 경사지며 접고 펼쳐지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기지대들 사이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망체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버킷의 후방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지지대; 상기 버킷의 양측 상방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무동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대; 및 상기 버켓의 전방 상측에서 상기 수실수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각각 상기 굴삭기의 유압력을 이용해 가동되는 유압회동실린더에 의해 접고 펼쳐지도록 동력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동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대와 상기 가동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망체가 상기 버킷의 상기 수실수 삽입홈의 전방 개방부 상측을 폐쇄하며 펼쳐질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지지대들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망체는 상기 굴삭기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투명 망체 또는 그물 망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킷 상에서 구비되는 완충 블록들에 의해 자유 진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굴삭기의 유압력을 이용해 상기 수실수 삽입홈부 내에 삽입된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고 간접 진동 방식으로 가진시켜 수실류를 수확하도록 하는 그립 가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 가진기는 상기 버킷 상에서 구비되는 완충 블록들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가진기 하우징; 상기 가진기 하우징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굴삭기의 유압 라인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가동되는 집게 핑거들을 이용해 상기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아 고정하는 집게부; 및 상기 가진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 설치되어 상기 굴삭기의 유압 라인에 연결되는 유압 모터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속도차를 가지고 회전하는 복수의 편심추들을 통해 수실수의 고유진동수에 맞게 진폭을 조절하여 가진시키는 가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게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제1 집게 핑거;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의 상기 제1 집게 핑거 타일측에서 상기 제1 집게 핑거와 쌍을 이루며 상기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아 고정하도록 상기 유압 실린더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집게 핑거; 및 상기 제1 집게 핑거를 상기 제2 집게 핑거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진부는 상기 편심추들을 서로 다른 방향과 속도차를 가지고 회전시켜 상기 편심추들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변위를 조절하는 가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진 수단은 서로 체인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프라켓들, 서로 치형 결합되는 복수의 기어들 및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진기 하우징 내부 중심부에 설치되는 편심추 회전축 상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끼워지는 상기 편심추들을 속도차를 가지고 개별 회전시키도록 상기 각 편심추들에 일체로 형성되는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 상기 편심추 회전축 주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종동축들 상에서 각각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종동 스프라켓; 상기 편심추 회전축 주위의 일측에서 상기 유압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 구동축 상에서 상기 편심추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각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들을 직결하거나 복수의 상기 종동 스프라켓들을 경유하여 연결되게 설치되는 모터 구동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들 및/또는 상기 모터 구동 스프라켓은 서로 다른 잇수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추는 상기 편심추 회전축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터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제1 모터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을 통해 제1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이 내접하며 정회전하도록 직결되는 제1 편심추; 및 상기 편심추 회전축 상에서 상기 제1 편심추와 축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이격 설치되어 이에 대응되게 상기 모터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제2 모터 구동 스프라켓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종동 스프라켓들을 경유하는 체인을 통해 제2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을 외접시켜 역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편심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실린더를 조작 가능하게 상기 굴삭기의 유압 라인 상에 연결하는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는 상기 굴삭기의 유압 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유압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 상기 굴삭기의 유압 탱크를 연결하는 메인 유압 회수 라인에 합지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로부터 유압을 회수하도록 연결하는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 상기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과 상기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을 상에 병렬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로 유압이 공급 및 회수되는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밸브; 상기 유압 실린더와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사이에서 상기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과 상기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 상에 병렬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1 유량 제어 밸브; 상기 메인 유압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유압 모터로 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모터 유압 공급 라인; 상기 메인 유압 회수 라인에 합지되어 상기 유압 모터로부터 유압을 회수하도록 연결하는 모터 유압 회수 라인; 상기 모터 유압 공급 라인과 상기 모터 유압 회수 라인 상에 병열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압 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2 유량 제어 밸브; 및 상기 유압 모터와 상기 제2 유량 조절 밸브 사이에서 상기 모터 유압 공급 라인과 상기 모터 유압 회수 라인 상에 병렬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편심추들의 관성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에 따르면, 굴삭기 기반 기계식 진동 수확기를 이용해 수실수로부터 수실류를 낙과시켜 수확하는 과정에서 낙과되는 수실류를 집과 망을 이용해 받아 집과 버킷 내부로 집과시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실류 수확시 집과 수거 과정에 필요한 노동 강도를 낮추고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실류의 낙과 손상을 줄여 상품성을 높이고 이에 따른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가 굴삭기게 장착되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를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의 집과 망 접고 펼침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집과 망의 접고 펼침을 위한 유압회전실린더 유압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 부분의 개폐 도어의 여닫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개폐 도어의 개폐 동작을 위한 전기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로부터 그립 가진기의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그립 가진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그린 가진기에 대한 분해 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그립 가진기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그립 가진기에 대한 유압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가 굴삭기게 장착되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를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100)는 굴삭기(1) 기반 기계식 진동 수확기인 그립 가진기(150)를 이용해 수실수로부터 수실류를 낙과시켜 수확하는 과정에서 낙과되는 수실류를 받아 집과시켜 수거할 수 있도록 집과 버킷(110)과 집과 망(120)으로 구성된다.
집과 버킷(110)은 굴삭기 암(10) 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집과 망(120)을 통해 집과된 수실류들을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버킷(111)과 개폐 도어(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킷(111)은 후방 일측에 상기 굴삭기 암(10) 단부에 체결하기 위한 굴삭기 체결대(112)가 형성되고 전방 일측에 수실수의 주간이 삽입되게 수실수 삽입홈(111a)이 형성되며 내부에 집과된 수실류를 담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개폐 도어(113)는 버킷(111)의 바닥면 일측에 개방 형성되는 개방구(111b)를 여닫히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킷(111) 내에 집과된 수실류를 개방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집과 망(120)은 굴삭기(1)의 유압력을 이용해 버킷(111)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버킷(111) 주위 외측으로 접고 펼쳐져 수실수로부터 낙과 수확되는 수실류를 받아 버킷(111) 내에 집과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대(121, 122, 123)들과 망체들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21, 122, 123)들은 버킷(111)의 가장지리를 따라 외측으로 경사지며 접고 펼쳐지도록 한 쌍의 고정 지지대(121), 세 쌍의 회전 지지대(122) 및 한 쌍의 가동 지지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버킷(111)의 형상 및 사이즈에 따라 지지대들의 개수를 가감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고정 지지대(121)들은 버킷(111)의 후방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회전 지지대(122)들은 버킷(111)의 양측 상방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무동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동 지지대(123)들은 버켓(111)의 전방 상측에서 수실수 삽입홈(111a)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각각 굴삭기(1)의 유압력을 이용해 가동되는 유압회동실린더(127)에 의해 접고 펼쳐지도록 동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 지지대(121)들, 회전 지지대(122)들 및 가동 지지대(123)들은 이들 사이 사이에 걸어 고정되는 망체(126)들이 버킷(111)의 수실수 삽입홈(111a)주위의 상측으로 대략 원추형을 이루며 외측 펼쳐지게 버킷(111) 가장자리로부터 사선 형태로 체결 고정된다.
특히, 가동 지지대(123)들은 회전 지지대(122)들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망체(126)가 버킷(111)의 수실수 삽입홈(111a)의 전방 개방부 상측을 덮으며 펼쳐질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편, 고정 지지대(121)들, 회전 지지대(122)들 및 가동 지지대(123)들 사이 사이를 연결하는 망체(126)들은 다양한 재질 천막이나 그물 망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고정 지지대(121)들 사이를 연결하는 망체(126a)는 굴삭기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투명 비닐 천막이나 그물 망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지지대(121)들 사이에 걸려 고정되는 망체(126a)는 그물 망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도 4는 도 1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의 집과 망 접고 펼침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집과 망의 접고 펼침을 위한 유압회전실린더 유압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1)의 유압력을 이용해 유압회전실린더(127)들로 가동 지지대(123)들을 각각의 고정 지지대(121)들 쪽으로 각회전시키게 되면, 가동 지지대(123)에 인접하는 회전 지지대(123)로부터 부채모양으로 순차적으로 접혀 이들 사이 사이에 걸려 고정된 망체(126)들이 접혀 집과 망(120)의 접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집과 망(120)이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삭기(1)를 이용해 좀더 용이하게 장비의 운용 및 이동을 수행할 수 잇도록 한다.
반대로, 접혀 있던 가동 지지대(126)들을 유압회전실린더(127)를 이용해 버킷(111) 전방쪽으로 각회전시키게 되면, 가동 지지대(123)들를 따라 회전 지지대(122)들이 부채 모양으로 순차적으로 펼쳐지며 버킷(111)의 수실수 삽입홈(111a) 내에 주가지가 삽입된 수실수 주위를 감싸도록 펼쳐져 그립 가진부(150)로 가진시켜 낙과되는 수실류들을 받아 버킷(111) 내부로 집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압회전실린더들(127)은 각각 굴삭기(1) 유압 펌프(30; 도 12 참조)를 연결하는 메인 유압 공급 라인(31; 도 12 참조)로부터 정방향 유압 공급 라인(128a)과 역방향 유압 공급 라인(128b)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력을 이용해 상기한 가동 지지대(123)들을 각각 시계 방향으로 정회시킴과 아울러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전술한 바와 같은 집과 망(120)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압회전실린더(127)들과 굴삭기(1)의 유압 펌프(30)를 연결하는 정방향 유압 공급 라인(128a)과 역방향 유압 공급 라인(128b) 상에는 각각 감압 밸브(129a, 129b)들이 설치하여 굴삭기(1)의 유압 펌프(3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 압력을 유압회전실린더(127)에 맞게 감압시켜 주도록 한다.
이처럼, 버킷(111)의 수실수 삽입홈(111a) 내에 삽입된 수실수의 주가지를 그립 가진기(150)로 잡고 진동을 가하여 수실류를 낙과시켜 수확하는 과정에서, 버킷(111) 주위로 펼쳐진 집과 망(120)을 이용해 낙과되는 수실류를 받아 버킷(111) 내부로 집과시켜 줌으로써 수실류 수확시 집과 수거 과정에 필요한 노동 강도를 낮추고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실류의 낙과 손상을 줄여 상품성을 높이고 이에 따른 악취 발생을 방지하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버킷(111) 내부에 집과 수거되어 쌓인 수실류는 버킷(111) 바닥면에 구비된 개폐 도어(113)를 통해 개방구(111b)를 개방하여 수실류 수거를 위한 수거용 컨테이너 등의 내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버킷(111)의 개폐 도어(113) 회전축 일측에는 개폐 도어(113)를 회동시켜 개방구(111b)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 수단이 구비된다.
도 6은 도 3의 Ⅵ 부분의 개폐 도어의 여닫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개폐 도어의 개폐 동작을 위한 전기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어 개폐 수단은 개폐 도어(113)의 회전축 상에 연결되어 개폐 도어(113)가 회동하며 여닫히도록 회동시키는 전동 모터(115) 및 개폐 도어(113)의 회전축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개폐 도어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동 모터(115)를 가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116, 117)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개폐 도어(113)의 개방 동작은 토글 스위치(118)을 통해 개폐 도어(113)를 개방하기 위한 전기 신호(A)가 인가하게 되며, 릴리즈(119)를 통해 굴삭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동 모터(115)가 정회전하는 방향으로 인가하여 개방 도어(113)을 시계 방향으로 정회전시켜 버킷(111) 바닥면에 형성된 개방구(111b)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때, 개방 도어(113)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로 방구(111b)를 개방하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116)에 의해 전동 모터(115)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 차단하여 구동 모터(115)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처럼, 개방 도어(113)의 개방 동작을 통해 버킷(111) 바닥면에 형성된 개방구(111b)를 열어 개방해줌으로써, 버킷(111) 내부에 집과되어 쌓인 수실류를 수거 컨테이너 내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 도어(113)의 닫힘 동작은 토글 스위치(118)를 통해 개폐 도어를 닫기 위한 전기 신호(B)를 인가하게 되면, 릴리즈(119)를 통해 굴삭기(1)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동 모터(115)가 역회전하는 방향으로 인가하여 개방 도어(113)을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버킷(111) 바닥면에 형성된 개방구를 닫아 폐쇄하도록 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개방 도어(113)가 개방구(111b)를 닫아 폐쇄하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전동 모터(115)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 모터(115)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은 도 2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로부터 그립 가진기의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그립 가진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그린 가진기에 대한 분해 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립 가진기(150)는 버킷(111) 상에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완충 블록(111c)들에 의해 자유 진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굴삭기의 유압력을 이용해 버킷(111)의 수실수 삽입홈(111a) 내에 삽입된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고 간접 진동 방식으로 가진시켜 수실류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립 가진기(150)는 가진기 하우징(160),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아 고정하기 위한 집게부(180), 수실수의 고유진동수에 맞추어 가진시키도록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진부(170) 및 집게부(180) 및 가진부(170)를 가동 제어하기 위한 그립 가진 유압 회로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가진기 하우징(160)은 베이스 플레이트(161), 베이스 플레이트(161) 상부 일측에 체결되어 가진부(170)를 수납 설치하기 위한 원통형의 하우징 몸체(162) 및 하우징 몸체(162)의 상측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163)들로 이루어진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61)는 버킷(111) 내부에 구비된 완충 블록(111c)들에 상에 올려져 그립 가진기가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고 간접 진동 전달 방식으로 가진시킬 수 있도록 자유 진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다.
집게부(180)는 제1 집게 핑거(182), 제2 집게 핑거(183), 유압 실린더(181) 및 연동바(18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60)의 베이스 플레이트(161) 전단부에 설치되어 굴삭기(1)의 유압 라인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181)에 의해 가동되는 집게들을 이용해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아 고정하도록 한다.
제1 집게 핑거(182)는 하우징(160)의 베이스 플레이트(161) 전단부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제2 집게 핑거(183)는 상기 제1 집게 핑거(182) 타일측에서 이와 쌍을 이루며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아 고정하도록 유압 실린더(18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 집게 핑거(182)와 상기 제2 집게 핑거(183)는 연동바(184)에 의해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1 집게 핑거(182)와 제2 집게 핑거(183) 사이에서 연동바(184)의 앞쪽으로는 스톱바(185)가 형성되어, 유압 실린더(181)에 의해 가동되는 제2 집게 핑거(183)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8의 그립 가진기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집게부(180)는 굴삭기(1)에 연결된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190)를 통해 유압 실린더(181)로 유압력을 일방향으로 전달하여 유압 실린더(181)가 제2 집게 핑거(183)의 후단부를 밀어 연동바(184)에 링크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제1 집게 핑거(182) 쪽으로 접히도록 회동함과 동시에 연동바(184)에 의해 연결된 제1 집게 핑거(182)가 타일측에 축(182a)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히도록 회동하여 결국, 서로를 향해 접혀진 제1 집게 핑거(182)와 제2 집게 핑거(183)들 사이에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게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유압 실린더(181)가 제2 집게 핑거(183)의 후단부를 잡아 당겨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회동함과 동시에 연동바(184)에 의해 연결된 제1 집게 핑거(182)가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회동하게 되어 결국, 제1 집게 핑거(182)와 제2 집게 핑거(183) 사이에 잡혀 있던 수실수의 주가지를 놓아주게 된다.
다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진부(170)는 상기 가진기 하우징(160)의 하우징 몸체(162) 내부에 수납 설치되어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190)를 통해 굴삭기(1)의 유압 라인에 연결되는 유압 모터(171)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편심추(174,175)들을 통해 수실수의 고유진동수에 맞게 진폭을 가진시킬 수 있도록 가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진 수단은 복수의 스프라켓들과 체인들로 이루어져 각각의 편심추(174, 175)들을 서로 방향과 속도차를 가지고 회전시켜, 편심추(174, 175)들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변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진 수단은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4a, 175a)들, 종동 스프라켓(176a)들, 모터 구동 스프라켓(172a, 172b)들 및 이들은 연결하는 체인(177, 178)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 모터(171)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편심추(174,175)들을 통해 수실수의 고유진동수에 맞게 진폭을 가진시킬 수 있는 한 서로 치형 결합되는 기어들, 벨트 연결되는 풀리들 및 이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먼저,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4a, 175a)들은 가진기 하우징(160)의 하우징 몸체(162) 내부 중심부에 설치되는 편심추 회전축(173) 상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끼워지는 상기 편심추(174, 175)들이 속도차를 가지고 개별 회전시키도록 상기 각 편심추(174, 175)들에 일체로 형성된다.
종동 스프라켓(176a)들은 편심추(174, 175)들의 회전시 간섭 받지 않도록 편심추 회전축(173) 주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종동축(176)들 상에서 각각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5a)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 구동 스프라켓(172a, 172b)들은 상기 편심추 회전축(173) 주위의 일측에서 유압 모터(1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 구동축(172) 상에서 편심추(174, 175)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각각의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4a, 175a)들을 직결하거나 복수의 종동 스프라켓(176a)들을 경유하여 연결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편심축 구동 스프라켓(174a, 175a)들 및/또는 모터 구동 스프라켓(172a, 172b)들은 각각 편심추(174, 175)들이 서로 속도차를 가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잇수비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편심추(174) 및 제2 편심추(175)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차를 이용해 편심추(174, 175)들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변위를 수실수의 고유진동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편심추(174)는 편심추 회전축(173)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도록 모터 구동축(172) 상에 설치되는 제1 모터 구동 스프라켓(172a)과 체인(177)을 통해 제1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4a)가 서로 내접하며 시계 방향으로 정회전하도록 직결된다.
그리고, 제2 편심추(175)는 편심추 회전축(173) 상에서 제1 편심추(174)와 축고정판(179)을 사이에 두고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이격 설치되어 이에 대응되게 모터 구동축(172) 상에 설치되는 제2 모터 구동 스프라켓(172b)으로부터 3개의 종동 스프라켓(176a)들을 경유하는 체인(178)을 통해 제2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5a)을 외접시켜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편심추(174) 및 제2 편심추(175)가 속도차를 가지고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4a)과 제2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5a)의 잇수비가 1:1.2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확하기 위한 수실수의 종류에 따라 진동 변위를 가변시킬 수 있는 한 좀더 다양하게 잇수비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제1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4a)과 제2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175a)의 잇수비 이외에도 상기 제1 모터 구동 스프라켓(172a)과 제2 모터 구동 스프라켓(172b)의 잇수비를 통해서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유압 모터(171)에 의한 구동 속도, 편심추(174, 175)들의 회전 방향 및 편심추들의 속도차를 이용해 수확하고자 하는 수실수의 고유진동수에 맞추어 가진시킬 진동의 진폭을 다양하게 가변시킴으로써, 호두, 밤, 대추, 매실, 은행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실류 수확 작업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그립 가진기에 대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190)를 통해 굴삭기의 유압력을 이용해 상기한 가진부(170)의 유압 모터(171)와 집게부(180)의 유압 실린더(181)를 운전 제어하게 된다.
상기한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190)는 집게부(180)의 유압 실린더(181)를 가동 제어하기 위한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191),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192), 방향 전환 밸브(193) 및 제1 유량 제어 밸브(194)와, 가진부(170)의 유압 모터(171)를 가동 제어하기 위한 모터 유압 공급 라인(195), 모터 유압 회수 라인(196), 제2 유량 제어 밸브(197) 및 체크 밸브(19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191)은 굴삭기(1)의 유압 펌프(30)를 연결하는 메인 유압 공급 라인(31)으로부터 분지되어 유압 실린더(181)로 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하고,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191)은 굴삭기(1)의 유압 탱크(40)를 연결하는 메인 유압 회수 라인(41)에 합지되어 유압 실린더(81)로부터 유압을 회수하도록 연결한다.
방향 전환 밸브(193)는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191)과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192) 상에 병렬 연결되게 설치되어, 유압 실린더(181)로 유압이 공급 및 회수되는 방향을 전환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유량 제어 밸브(194)는 유압 실린더(181)와 방향 전환 밸브(193) 사이에서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191)과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192) 상에 병렬 연결되게 설치되어, 유량 조절을 통해 유압 실린더(181)로 공급되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방향 전환 밸브(193)와 제1 유량 제어 밸브(194)를 통해 유압 실린더(181)로 공급되는 유압의 공급 방향과 세기를 조절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부(180)의 제1 집게 핑거(182) 및 제2 집게 핑거(183)가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도록 접히거나 놓도록 펼쳐지는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제1 집게 핑거(182) 및 제2 집게 핑거(183) 사이에 수실수의 주가지를 붙잡아 고정하는 파지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량 제어 밸브(194)를 통해 유압 실린더(181)로 공급되는 유압의 세기를 수실수의 종류에 따라 설정해 줌으로써, 집게부(180)의 제1 집게 핑거(182) 및 제2 집게 핑거(183)로 수실수 주가지를 붙잡아 고정하는 과정에서 수실수의 주가지가 파손 및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유압 공급 라인(195)은 메인 유압 공급 라인(31)으로부터 분지되어 유압 모터(171)로 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하고, 모터 유압 회수 라인(196)은 메인 유압 회수 라인(41)에 합지되어 유압 모터(171)로부터 유압을 회수하도록 연결한다.
제2 유량 제어 밸브(197)는 모터 유압 공급 라인(195)과 모터 유압 회수 라인(196) 상에 병열 연결되게 설치되어, 유량 조절을 통해 유압 모터(171)로 공급되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처럼, 제2 유량 제어 밸브(197)를 통해 가진부(170)의 유압 모터(171)로 공급되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 모터(171)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제1 편심추(174) 및 제2 편심추(175)에 의해 발생할 진동 변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압 모터(171)와 제2 유량 조절 밸브(197) 사이에서 모터 유압 공급 라인(195)과 모터 유압 회수 라인(196) 상에 병렬 연결되게 체크 밸브(198)를 설치하여, 상기한 의 관성 회전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진동 정지시 제1 및 제2 편심추(174, 175 )들의 관성 회전으로 인해 유압 모터(171)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190)를 통해 그립 가진기(150)의 집게부(180)를 통한 수실수 주가지 그립 동작 제어나, 가진부(170)의 편심추들을 이용한 진동 발생을 제어하는 과정은 굴삭기(1)의 운전석 내부에서 발판 및 파이럿 유압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기적인 유압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1)는 굴삭기 기반 기계식 진동 수확기이 집게 가진기(150)를 이용해 수실수로부터 수실류를 낙과시켜 수확함과 아울러 집게 가진기를 이용해 수실류를 낙과 수확하는 과정에서 낙과되는 수실류를 집과 망(120)을 이용해 받아 집과 버킷(110) 내부로 집과시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실류 수확시 집과 수거 과정에 필요한 노동 강도를 낮추고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실류의 낙과 손상을 줄여 상품성을 높이고 이에 따른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굴삭기 10: 굴삭기 암
30: 유압 펌프 31: 메인 유압 공급 라인
40: 유압 탱크 41: 메인 유압 회수 라인
100: 집과 장치 110: 고정 프레임
111: 버킷 111a: 수실수 삽입홈
111b: 개방구 111c: 완충 블록
112: 굴삭기 체결대 113: 개폐 도어
115: 전동 모터 116, 117: 리미트 스위치
118: 토글 스위치 119: 릴리즈
120: 집과 망 121: 고정 지지대
122: 회전 지지대 123: 가동 지지대
126: 망체 126a: 그물 망체
127: 유압회전실린더 128a: 정방향 유압 공급 라인
128b: 역방향 유압 공급 라인 129a, 129b: 감압 밸브
150: 그립 가진기 160: 가진기 하우징
161: 베이스 플레이트 162: 하우징 몸체
163: 커버 플레이트 170: 가진부
171: 유압 모터 172: 모터 구동축
172a: 제1 모터 구동 스프라켓 172b: 제2 모터 구동 스프라켓
173: 편심추 회전축 174: 제1 편심추
174a: 제1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 175: 제2 편심추
175a: 제2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 176: 종동축
176a: 종동 스프라켓 177, 178: 체인
180: 집게부 181: 유압 실린더
182: 제1 집게 핑거 183: 제2 집게 핑거
184: 연동바 185: 스톱바
190: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 191: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
192: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 193: 방향 전환 밸브
194: 제1 유량 제어 밸브 195: 모터 유압 공급 라인
196: 모터 유압 회수 라인 197: 제2 유량 제어 밸브
198: 체크 밸브

Claims (15)

  1. 굴삭기 암 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집과 버킷; 및
    상기 굴삭기의 유압력을 이용해 상기 집과 버킷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집과 버킷 주위로 접고 펼쳐져 수실수로부터 낙과 수확되는 수실류를 받아 상기 집과 버킷으로 집과시키는 집과 망;을 포함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집과 버킷은,
    후방 일측에 상기 굴삭기 암 단부에 체결하기 위한 굴삭기 체결대가 형성되고, 전방 일측 중심부에 수실수의 주간이 삽입되게 수실수 삽입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집과된 수실류를 담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버킷; 및
    상기 버킷의 바닥면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를 여닫히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포함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개폐 도어를 여닫으며 상기 버킷 내에 집과된 수실류를 상기 개방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는 도어 개폐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개폐 도어의 회전축 상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도어가 회동하며 상기 개방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회동시키는 전동 모터; 및
    상기 개폐 도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도어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동 모터를 가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집과 망은,
    상기 버킷의 가장지리를 따라 외측으로 경사지며 접고 펼쳐지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기지대들 사이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망체;를 포함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버킷의 후방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지지대;
    상기 버킷의 양측 상방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무동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대; 및
    상기 버켓의 전방 상측에서 상기 수실수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각각 상기 굴삭기의 유압력을 이용해 가동되는 유압회동실린더에 의해 접고 펼쳐지도록 동력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동 지지대;를 포함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가동 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대와 상기 가동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망체가 상기 버킷의 상기 수실수 삽입홈의 개방 상측을 덮으며 펼쳐질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고정 지지대들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망체는 상기 굴삭기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투명 비닐 천막 또는 그물 망체로 이루어지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8. 제2항에서,
    상기 버킷 상에서 구비되는 완충 블록들에 의해 자유 진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굴삭기의 유압력을 이용해 상기 버킷의 수실수 삽입홈부 내에 삽입된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고 간접 진동 방식으로 가진시켜 수실류를 수확하도록 하는 그립 가진기;를 더 포함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그립 가진기는,
    상기 버킷 상에서 구비되는 완충 블록들 상에 올려져 고정 설치되는 가진기 하우징;
    상기 가진기 하우징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굴삭기의 유압 라인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가동되는 집게 핑거들을 이용해 상기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아 고정하는 집게부; 및
    상기 가진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 설치되어 상기 굴삭기의 유압 라인에 연결되는 유압 모터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속도차를 가지고 회전하는 복수의 편심추들을 통해 수실수의 고유진동수에 맞게 진폭을 조절하여 가진시키는 가진부;를 포함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제1 집게 핑거;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의 상기 제1 집게 핑거 타일측에서 상기 제1 집게 핑거와 쌍을 이루며 상기 수실수의 주가지를 잡아 고정하도록 상기 유압 실린더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집게 핑거; 및
    상기 제1 집게 핑거를 상기 제2 집게 핑거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동바;를 포함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편심추들을 서로 다른 방향과 속도차를 가지고 회전시켜 상기 편심추들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변위를 조절하는 가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진 수단은,
    서로 체인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프라켓들, 서로 치형 결합되는 복수의 기어들 및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간접 진동식 수실류 수확기.
  12. 제11항에서,
    상기 가진 수단은,
    상기 가진기 하우징 내부 중심부에 설치되는 편심추 회전축 상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끼워지는 상기 편심추들을 속도차를 가지고 개별 회전시키도록 상기 각 편심추들에 일체로 형성되는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
    상기 편심추 회전축 주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종동축들 상에서 각각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종동 스프라켓;
    상기 편심추 회전축 주위의 일측에서 상기 유압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 구동축 상에서 상기 편심추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각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들을 직결하거나 복수의 상기 종동 스프라켓들을 경유하여 연결되게 설치되는 모터 구동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성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각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들 및/또는 상기 모터 구동 스프라켓은 서로 다른 잇수비를 가지고 형성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편심추는,
    상기 편심추 회전축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터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제1 모터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을 통해 제1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이 내접하며 정회전하도록 직결되는 제1 편심추; 및
    상기 편심추 회전축 상에서 상기 제1 편심추와 축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이격 설치되어 이에 대응되게 상기 모터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제2 모터 구동 스프라켓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종동 스프라켓들을 경유하는 체인을 통해 제2 편심추 구동 스프라켓을 외접시켜 역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편심추;로 이루어지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15. 제9항에서,
    상기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실린더를 조작 가능하게 상기 굴삭기의 유압 라인 상에 연결하는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 가진기 유압 회로부는,
    상기 굴삭기의 유압 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유압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
    상기 굴삭기의 유압 탱크를 연결하는 메인 유압 회수 라인에 합지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로부터 유압을 회수하도록 연결하는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
    상기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과 상기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을 상에 병렬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로 유압이 공급 및 회수되는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밸브;
    상기 유압 실린더와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사이에서 상기 실린더 유압 공급 라인과 상기 실린더 유압 회수 라인 상에 병렬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1 유량 제어 밸브;
    상기 메인 유압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유압 모터로 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모터 유압 공급 라인;
    상기 메인 유압 회수 라인에 합지되어 상기 유압 모터로부터 유압을 회수하도록 연결하는 모터 유압 회수 라인;
    상기 모터 유압 공급 라인과 상기 모터 유압 회수 라인 상에 병열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압 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2 유량 제어 밸브; 및
    상기 유압 모터와 상기 제2 유량 조절 밸브 사이에서 상기 모터 유압 공급 라인과 상기 모터 유압 회수 라인 상에 병렬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편심추들의 관성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KR1020140177309A 2014-12-10 2014-12-10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KR10174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309A KR101748148B1 (ko) 2014-12-10 2014-12-10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309A KR101748148B1 (ko) 2014-12-10 2014-12-10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409A true KR20160070409A (ko) 2016-06-20
KR101748148B1 KR101748148B1 (ko) 2017-07-03

Family

ID=5635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309A KR101748148B1 (ko) 2014-12-10 2014-12-10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14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7320A (zh) * 2018-02-01 2018-06-29 武汉理工大学 智能定位自输送采果辅助机
CN108575300A (zh) * 2018-06-28 2018-09-28 福建工程学院 一种枣类果实的太阳能电动采摘小车
KR20180002991U (ko) * 2017-04-10 2018-10-18 백순관 과실수 수확장치
CN108934469A (zh) * 2016-12-25 2018-12-07 青岛开疆拓土农业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全自动智能大枣果叶分离收获机
CN109479510A (zh) * 2018-12-27 2019-03-19 湖南农业大学 基于平行四边形抬臂伸缩机构的采枣装置
CN110050583A (zh) * 2019-04-25 2019-07-26 江苏大学 一种可连续作业的冬枣采收机收集装置
CN110810006A (zh) * 2019-12-25 2020-02-21 无为县万祠农机专业合作社 一种用于果树果实的采摘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8668B (zh) * 2018-12-27 2020-03-03 湖南农业大学 一种抬臂伸缩式采枣装置的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994B1 (ko) 2012-09-25 2014-03-03 대한민국 그물망을 이용한 오디 수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17B1 (ko) * 2007-03-15 2007-09-06 박정열 중장비용 바이브레이터 니퍼
KR100803689B1 (ko) * 2007-07-09 2008-02-20 김명구 진동 기능을 갖는 집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994B1 (ko) 2012-09-25 2014-03-03 대한민국 그물망을 이용한 오디 수집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4469B (zh) * 2016-12-25 2021-01-26 青岛开疆拓土农业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全自动智能大枣果叶分离收获机
CN108934469A (zh) * 2016-12-25 2018-12-07 青岛开疆拓土农业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全自动智能大枣果叶分离收获机
CN109168603A (zh) * 2016-12-25 2019-01-11 青岛开疆拓土农业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智能化大枣收获机
CN109168603B (zh) * 2016-12-25 2021-02-05 林向亮 一种农业智能化大枣收获机
KR20180002991U (ko) * 2017-04-10 2018-10-18 백순관 과실수 수확장치
CN108207320A (zh) * 2018-02-01 2018-06-29 武汉理工大学 智能定位自输送采果辅助机
CN108575300A (zh) * 2018-06-28 2018-09-28 福建工程学院 一种枣类果实的太阳能电动采摘小车
CN108575300B (zh) * 2018-06-28 2023-06-20 福建工程学院 一种枣类果实的太阳能电动采摘小车
CN109479510A (zh) * 2018-12-27 2019-03-19 湖南农业大学 基于平行四边形抬臂伸缩机构的采枣装置
CN109479510B (zh) * 2018-12-27 2020-03-03 湖南农业大学 基于平行四边形抬臂伸缩机构的采枣装置
CN110050583A (zh) * 2019-04-25 2019-07-26 江苏大学 一种可连续作业的冬枣采收机收集装置
CN110050583B (zh) * 2019-04-25 2021-09-10 江苏大学 一种可连续作业的冬枣采收机收集装置
CN110810006B (zh) * 2019-12-25 2021-01-08 无为县万祠农机专业合作社 一种用于果树果实的采摘装置
CN110810006A (zh) * 2019-12-25 2020-02-21 无为县万祠农机专业合作社 一种用于果树果实的采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148B1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148B1 (ko)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CN202210969U (zh) 联合收割机的传动结构及脱粒分选结构
KR101844416B1 (ko) 패류 선별기
KR101748145B1 (ko) 간접 진동식 수실류 수확기
JP2010252705A (ja) 根菜類収穫機
CN105478336A (zh) 太子参全自动脱泥装置
JP2979298B2 (ja) 貝類の採集機
CN205142896U (zh) 一种朝天椒采摘及秸秆清理设备
CN202218525U (zh) 联合收割机的传动结构
CN105325117A (zh) 一种朝天椒采摘及秸秆清理设备
CN111213474B (zh) 一种花生果实与根须分离装置及其工作方法
CN103392452B (zh) 一种花生摘果机
CN201758572U (zh) 绞龙式啤酒花采收机
AU2012317191B2 (en) A bucket for screening and crushing inert material
ES2383800B1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separar plásticos de una masa mezclada de residuos orgánicos.
KR20190057187A (ko)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WO2008023088A1 (en) Apparatus for cleaning especially wooden material
KR100804074B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9205180A (zh) 一种多链斗采砂洗选设备
CN2330184Y (zh) 板栗苞剥离机
KR200427299Y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04350681U (zh) 一种沙棘脱粒筛选机
JP2012110291A (ja) 園芸用土解し装置
JP6317002B1 (ja) 草刈機
CN116890409B (zh) 一种秧膜分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