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119A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119A
KR20160069119A KR1020140174628A KR20140174628A KR20160069119A KR 20160069119 A KR20160069119 A KR 20160069119A KR 1020140174628 A KR1020140174628 A KR 1020140174628A KR 20140174628 A KR20140174628 A KR 20140174628A KR 20160069119 A KR20160069119 A KR 20160069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kctc
strain
fermented
bacillus subtil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637B1 (ko
Inventor
김해성
Original Assignee
김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3546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6911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성 filed Critical 김해성
Priority to KR1020140174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6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7/155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4Low calorie, low sodium or hypoallerg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국장 유래의 바실러스 속 균주를 접종하여 항산화 효과와 같은 생리활성 효과가 증진된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신균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 발효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Fermentation Process of a Garlic Using New Strain of Bacillus subtilis }
본 발명은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에 의해 생리활성 효과가 증진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청국장에서 유래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및 숙성시킨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늘을 많이 먹는 사람들은 대장암, 방광암, 위암에 걸릴 위험이 낮은 것으로 밝혀져 암예방 효과가 있다고 인정을 받고 있다. 또한 마늘은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고 혈소판 응집을 억제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심장병이나 중풍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독일에서는 마늘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기능식품이 콜레스테롤 저하제로 허가받아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마늘이 피로회복이나 정력증강에도 도움이 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마늘성분의 보충제는 하루 600 내지 1000mg 복용이 권장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음식으로 마늘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으므로 굳이 보충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된다. 마늘을 많이 먹으면 속쓰림 같은 위장 증상을 보이긴 해도 심각한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가루 효과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900 mg의 마늘가루가 총콜레스테롤을 25% 감소시키고, 특히 혈관에 좋은 역할을 하는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을 50%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늘의 알리신(Allicin) 성분이 피를 엉키게 하지 않는 항혈전 작용과 피속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마늘이 혈당을 11.6%정도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항산화 작용으로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 속의 유황 화합물은 체내의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강력한 항산화작용이 있다. 피속의 활성 산소는 혈관을 손상시키거나 일부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마늘은 미국 국립 암연구소가 추천한 첫번째 항암식품이기도 하다.
마늘에는 많은 종류의 유기 및 무기화합물이 들어 있다. 그중에서 알린(alliin)이라는 황을 포함한 화합물은 그 자체만으로는 특별한 냄새가 별로 없다. 그러나 사람들이 마늘에 상처를 입히거나 균 또는 벌레의 침입을 받으면, 마늘에 포함된 효소인 알리나제(allinase)가 알린을 알리신(allicin)으로 바꾼다. 알리신은 피톤치드(phytoncide)의 일종이며, 항균, 항진균성 특성이 있다. 마늘은 다른 종류의 백합과 식물보다 alli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파쇄 과정에서 마늘에 존재하는 alliin은 allinase의 작용을 받게 되어 alliin이 allicin, pyruvate 및 암모니아 상태로 분해되며, 이렇게 생성된 allicin 역시 매우 불안정한 화합물로서 여러 형태의 함 황화합물로 쉽게 전환된다. 그 중 diallyl disulfide, diallyl sulfide, allyl propyl disulfide, methyl trisulfide가 주요 화합물로서 allicin과 더불어 이들 함 황화합물이 마늘의 매운 맛을 나타내는 주된 화합물로서 알려져 있다.
양파(onion)에도 알린을 비롯한 황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들어 있다. 마늘이나 양파를 요리하다 보면, 독한 냄새나 강한 맛이 없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굽거나 찌는 과정에서 마늘이나 양파에 열이 가해지고, 이때 알리신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마늘이나 양파에 포함된 효소 알리나제는 열에 약해, 조리 과정에서 손상을 입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러면 알리신이 만들어지지 않아 마늘과 양파의 향과 맛이 약해진다. 양파를 썰 때 눈물이 나게 하는 물질은 조리 과정에서 증발되기도 하며, 화학반응이 진행되어 새로운 화합물(bispropenyl disulfide)을 생성하기도 한다. 마늘에 포함된 알리신은 보관 상태에 따라서 여러 개가 결합하여 아조엔(ajoene)이라는 불포화 이황화 화합물을 형성하기도 한다. 아조엔의 아조는 스페인어에서 마늘을 뜻하는 아조와 이중결합을 의미하는 접미사 -ene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이름이다.
마늘에는 비타민 C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 B가 들어 있으며, 칼슘, 칼륨을 비롯하여 철, 마그네슘, 셀레늄(selenium) 등과 같은 다양한 무기물도 포함되어 있다. 마늘은 혈액 속의 지방 함유량을 낮추어 주고, 혈소판의 엉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또한 치료약으로써 마늘 추출물을 장기 복용하면 호모시스틴(homocysteine)의 혈액 농도를 낮출 수 있다는 의학 연구결과도 있다. 호모시스틴은 혈관의 생성과 연결에 필요한 단백질(콜라겐, 엘라스틴 등) 형성을 억제하기도 하고 혈관을 퇴화시켜서 심장질환 유발 가능성이 큰 물질로 알려졌다. 호모시스틴은 필수아미노산인 메싸이오닌(methionine)으로부터 생체 내에서 합성되지만, 비타민 B의 도움으로 시스틴(cysteine)으로 변할 수 있다.
마늘에 포함된 무기물질 가운데 흥미로운 원소는 항산화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셀레늄이다. 셀레늄의 하루 권장 섭취량은 약 50g이며, 최대 400g 이상 넘지 말 것을 권유한다. 마늘을 재배하는 밭에 셀레늄이 들어 있으면, 풍부한 셀레늄이 포함된 마늘을 수확할 수 있다. 아마도 마늘에는 셀레늄을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것 같다. 우리 몸 속에 필요한 셀레늄이 부족하면 심장병이 발병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마늘의 약리효능으로는 면역증진효과(등록특허 제1028155호), 항산화효과(공개특허 제2013-105106호), 항균효과(등록특허 제1038516호), 항암작용(공개특허 ㅈ제2014-78389호, 등록특허 제412424호), 항염증 효과(공개특허 제2013-31008호) 등이 보고 되었다.
한편, 바실러스 속 미생물은 산업적으로 중요한 종으로서, 오랜 세월 동안 식품 및 각종 발효산업에서 숙주 세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protease, amylase, glucanases 또는 cellulase 등의 중요한 효소 및 넓은 항균 spectrum과 다양한 구조를 지니는 peptide antibiotics를 생산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구체적으로, B. subtilis, B. megaterium, B. stearothermophilus, B. lichemiformis, B. thuringiensis 또는 B. cereus 등 다양한 바실러스 속 미생물에서 박테리오신 또는 bacteriocin-like substances(BLS)들이 발견되어 보고되었다. 프로바이오틱 생균제는 유산균을 주로 사용하여 제조되어 왔으나, 제한적 범위에서만 항균활성이 인정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으여, 최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나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등과 같은 바실러스 속에 해당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프로바이오틱 생균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나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등은 유산균과 같이 유용한 미생물이며, 우리나라의 청국장이나 일본의 낫또(natto)를 비롯하여 극동 아시아나 아프리카 지역의 전통음료나 알칼리-발효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발효미생물로 작용한다.
본 발명자는 청국장에서 분리된 바실러스 속 균주로서, 본 발명에서 최초로 개시된 신균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를 마늘 발효에 이용하는 경우 마늘의 본래 지니고 있는 다양한 효과 외에도 항산화, 항암, 항염 및 항고혈압, 항동맥경화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현저히 증진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늘의 발효를 위해 청국장 유래의 바실러스 속 균주를 접종하여 항산화, 항암, 항염 및 항고혈압, 항동맥경화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효과 등과 같은 생리활성 효과가 증진되는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균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 발효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국장 유래의 바실러스 속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한 다른 영양분을 첨가하지 않은 마늘 발효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쇄된 마늘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균주를 접종할 때 비율이 마늘 분쇄물 중량대비 0.01 내지 5%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온도는 25 내지 40℃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포주입을 하여 호기성 발효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로 발효된 마늘 발효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를 이용하여 얻은 마늘 발효물은 마늘의 체내 흡수울을 높이며 s-알릴-시스테인 등과 같은 생리활성이 높은 물질이 다량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발효물은 순수한 마늘 또는 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 보다 항당뇨, 항고혈압, 항동맥경화, 항암,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는 마늘, 흑마늘, 마늘 추출물, 분쇄물 등을 효과적으로 발효시켜 기존의 마늘이 지닌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킴으로써 마늘의 효과가 강화된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마늘 발효물에 의한 내피 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eNOS)의 활성정도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 2는 돼지 관상동맥에 대한 마늘 분쇄액, 마늘 추출물, 마늘 발효물의 혈광이완 활성을 측정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분쇄된 마늘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마늘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균주는 청국장으로 부터 분리되었다. 청국장에서 선별된 바실러스 균주 4종을 20% 마늘 분쇄액에 접종한 후 37℃에서 3일간 진탕배양하여 1.0x1010CFU/ml 이상의 생균력을 보이는 특이 균주를 분리한 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15, KCTC 12696BP),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로 확인되었다.
상기 균주를 마늘 분쇄물에 다시 접종하고 배양하여 본 발명의 마늘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를 마늘 분쇄물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마늘 발효물은 생리활성물질들의 함량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항암, 항염, 항산화 등의 효과도 증진되었다.
본 발명에서 마늘 발효물은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얻어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를 이용하는데, 먼저 껍질을 깐 마늘을 분쇄하고 이에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만든다. 이때 마늘 분쇄물의 양은 물의 중량대비 1 내지 85 %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를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의 혼합물에 균주를 접종시키고 이때 균주 접종비는 혼합물 중량 대비 0.01 내지 5 %가 바람직하다. 이를 25 내지 40℃에서 진탕배양이나 기포주입을 하여 호기성 발효를 하고, 기포 주입시에는 필터링 방법을 하여 기타 다른 균주의 침투를 방지한다.
상기 배양은 10일 내지 90일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늘 발효물에 가장 적합한 기간을 반복실시하여 얻어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를 마늘에 접종하고 수득한 마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이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이외에 다른 성분의 첨가에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효식품 또는 식품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다양한 향미제 또는 식품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마늘 발효물 이외에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 당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및 올리고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마늘 발효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이 음료일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상술한 성분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늘 발효물의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이다. 상기 마늘 발효물의 중량이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혈관이완 효능이 미약하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늘 발효물에 대한 세포독성 시험 결과, 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청국장으로부터 바실러스 속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시험관에서 청국장을 멸균수에 현탁하고 80℃에서 15분간 물중탕을 하였다. 이를 LB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콜로니 모양이 다른 균주들을 분리한 후, 그람 염색과 포자 염색을 하여 그람양성의 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는 4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마늘발효를 위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20 % 마늘분쇄액이 첨가된 액체 LB 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였으며, 37℃에서 72 시간 동안 배양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1.0x1010 CFU/ml 이상의 생균력을 보이는 특이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여, 2014년 10월 23일자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15를 균주번호 KCTC 12696BP,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를 수탁번호 KCTC 12697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2 : 마늘 발효물 제조
껍질을 깐 생마늘 2 Kg을 분쇄하고 이에 정제수 2 L를 넣고 혼합한다. 이때 정제수와 마늘 분쇄물의 비율은 정제수 대비 10 %를 넣는다. 상기의 혼합물에 실시예 1에서 배양한 균주를 배양한 액을 혼합물의 중량대비 0.05 %로 넣어 접종한 후 발효조(37℃, 100 rpm, 0 bar)에서 기포주입을 하여 호기성 발효를 10일간 시켰다.
비교예 1 : 마늘 추출물 제조
껍질을 깐 생마늘 25 g을 분쇄하고 이에 7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 총 500 ml를 가하여 환류 냉각하면서 70℃에서 3 시간씩 3 회 반복하여 가열 추출한 다음, 거름 종이로 여과하고 그 여액을 40℃의 수욕 상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마늘 추출물 5.1 g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 항산화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마늘 발효물의 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활성 증강에 대한 효과를 송아지 혈관내피세포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의 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 (eNOS)의 1177 번 세린 잔기 (serine residue) 인산화 정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먼저 혈관내피세포를 DMEM (Dubleco's minimum essential medium) 및 10 % FBS (Fetal bovine serum) 용액과 혼합하여 배양 후 FBS가 제외된 배양액으로 다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가 안정화된 후에 시료를 각 농도별로 처리한 후 30 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단백질을 추출하고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세포의 파편들을 제거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은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polyacrylamide gel)에 전기영동시킨 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겔의 단백질을 블롯시켰다. 3 % BSA로 1 시간 동안 차단(blocking)한 후에 1:1,000의 비율로 phospho-eNOS를 하루 밤 동안 4 ℃에서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1:2000의 비율로 희석한 2 차 항체를 처리하여 1 시간 상온에서 배양한 후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ce)로 현상하였다.
시험예 2 : 혈관이완 효과 측정
마늘 발효물의 관상동맥이완 및 수축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관상동맥을 이용하여 등척성장력을 힘-변위변환기가 장착된 생리기록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돼지의 관상동맥을 적출하여 크렙스 완충용액에 넣고 주변 조직과 지방을 제거한 후 약 3mm 길이로 자른 coronary artery ring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관상동맥 중 내피세포의존성 혈관이완 효과검정을 위해 일부의 ring 은 내피세포를 제거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coronary artery ring을 Organ bath 내의 95 % O2 및 5 % CO2 기체로포화시킨 37℃의 크렙스용액에서 고정시킨 후, 등척성장력을 힘-변위변환기가 장착된 생리기록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ing을 5 grm으로 안정화시킨 후 KCl을 넣어 최대장력을 측정하고, 다시 안정화시킨 coronary artery ring을 혈관최대장력의 80%로 수축시킨 후 일정한 grm을 유지시키고 acetylcholine을 처리하여 내피세포의존성 혈관이완효과를 측정한 다음, 크렙스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시료의 혈관기능에 대한 영향평가는 먼저 안정화된 혈관수축시킨 후, 이어서 대상물질에 의한 이완-수축반응을 농도의존적으로 수회 처리하여 relaxation percent를 확인하였고 혈관기능에 대한 영향은 phenylephrine의 수축에 대한 이완율로 계산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마늘 분쇄액, 마늘 추출물, 마늘 발효물을 이용하여 혈관 이완효능을 평가한 결과 3종의 시료 중 마늘 발효물에서 가장 뛰어한 혈관 이완활성을 확인 하였다. 마늘 발효물의 경우 0.01 mg/ml에서 50%에 가까운 이완효능을 확인 하였고 최고 농도인 0.1 mg/ml에서 100%의 이완 효능이 관찰 되었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KCTC KCTC12696BP/KCTC12697BP 20141023

Claims (7)

  1. 분쇄된 마늘에 균주로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또는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 또는 이 둘의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를 접종할 때 비율은 마늘 분쇄물 중량대비 0.0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5 내지 40℃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진탕배양 또는 기포주입을 하여 호기성 발효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BS825(수탁번호 : KCTC 12697BP) 및 BBS815(수탁번호 : KCTC 12696BP)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항산화 효과가 증가된 마늘 발효물
  7. 제 5항에 따른 마늘 발효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40174628A 2014-12-08 2014-12-08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628A KR101794637B1 (ko) 2014-12-08 2014-12-08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628A KR101794637B1 (ko) 2014-12-08 2014-12-08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19A true KR20160069119A (ko) 2016-06-16
KR101794637B1 KR101794637B1 (ko) 2017-11-09

Family

ID=5635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628A KR101794637B1 (ko) 2014-12-08 2014-12-08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675B1 (ko) 2020-12-07 2022-09-22 대한민국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발효한 생강의 기능성
KR102302933B1 (ko) 2021-03-23 2021-09-16 주식회사 지앤에이치바이오 마늘 혼합 발효물의 제조 및 심혈관 질환에 유효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60B1 (ko) * 2010-05-03 2010-10-26 의성농산영농조합법인 발효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637B1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463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또는 조성물
JP5053667B2 (ja) 新規乳酸菌および脂肪細胞分化促進用乳酸菌発酵産物
KR20120099054A (ko) 분말 쌀누룩 추출 조성물
JP5011543B2 (ja) Gaba含有発酵物の製造方法
KR101515839B1 (ko) 여주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2933B1 (ko) 마늘 혼합 발효물의 제조 및 심혈관 질환에 유효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20136107A (ko)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알로에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이용한 알로에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제조방법
KR101091833B1 (ko)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200084212A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TWI734322B (zh) 用於預防或治療幽門螺旋桿菌相關疾病之韓國泡菜
KR101794637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8431A (ko)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기능성이 향상된 아로니아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08502B1 (ko) 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0264A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활용한 밤 발효 퓨레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KR102133473B1 (ko)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083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케피어 그레인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 조성물에 의한 발효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42814B1 (ko) 굼벵이 엑기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2151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1768817B1 (ko) 캐모마일꽃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 증진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7569B1 (ko) 기호도 및 기능성이 향상된 섬애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0756A (ko) 혼합 발효 균주를 이용한 기능성이 증진된 발효 천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 천마
KR101523525B1 (ko) 갈아 만든 두메부추 유산균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2405006B1 (ko) 다이어트 기능을 가진 콤부차 조성물
KR20170102186A (ko) 과일 조성물을 이용한 오미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04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107

Effective date: 201912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1816;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181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210

Effective date: 202012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1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121

Effective date: 20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