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005A -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005A
KR20160069005A KR1020140173565A KR20140173565A KR20160069005A KR 20160069005 A KR20160069005 A KR 20160069005A KR 1020140173565 A KR1020140173565 A KR 1020140173565A KR 20140173565 A KR20140173565 A KR 20140173565A KR 20160069005 A KR20160069005 A KR 20160069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cover member
heat insul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406B1 (ko
Inventor
김준우
이도영
오명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7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4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단열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소재의 커버부재가 유리의 단부를 감싸듯이 설치됨으로써, 기밀성이 증대되어 창호의 단열성능을 개선될 수 있으며, 더불어 유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과, 창틀프레임에 설치되어 유리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창짝과, 창짝의 공간부에 유리의 단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의 단열보강구조{reinforced insulation structure of windows}
본 발명은 창호의 단열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유리에 단열소재의 커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유리의 고정 및 지지는 물론 기밀성의 증대로 실,내외간의 열전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창호의 단열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 창문이나 유리문을 지칭한다.
창문이나 유리문인 창호는 건물의 벽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설치공간의 내벽에 레일을 갖는 창틀이 시공되고, 창틀의 내측에서 레일을 따라 슬리이딩 이동되어 설치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창호는 소정 면적의 유리패널과, 유리패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유리패널의 가장자리를 보호하고, 창틀의 레일에 슬라이딩되는 창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창호는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유리패널의 면적이 작은 것이 유리하나, 창호는 에너지 절약 이전에 건축 디자인 및 환기, 조망, 채광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리패널 면적의 제한은 강요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창호 자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창호의 단열 성능은 크게 유리패널의 단열 성능과, 창짝의 단열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이 중, 창짝의 단열성능은 프레임의 재질과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크게 알루미늄재의 창호와 플라스틱재의 창호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재 창호는 열전달이 적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PE(Polyethylenr), PP(Polypropylene), PVC(Polyviny Chloride), PS(Polystyrene) 및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등이 주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공하기 쉽고 가벼우며 내식성이 좋으면서도 높은 강도와 신축이 적고 내구성이 좋은 알루미늄이 창호용 재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그 자체의 단열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서 이를 개선하고자 많은 단열 기술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더불어, 유리패널도 2중 또는 3중의 설치로 단열 향상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08360(공고일자 2013.09.16)에는 창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의 각각에 단열부재를 매개로 연결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창호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열부재들이 프레임에만 설치되어 있고, 정작 외기와 직접 접촉되는 유리측에는 단열부재가 설치되어 있지를 않아 효과적인 단열을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1245(공고일자 2010,12,06)"창호용 단열구조체"에서는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설치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창짝 프레임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어 창호의 단열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창짝 프레임의 외면을 구성하는 외측부재의 내면에 밀착되어지도록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져 외측부재에 결합되는 선단결합부; 상기 수평부와 높이차를 갖은 채 수평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단독 또는 목재블록과 함께 유리를 지지하는 유리지지부; 및 상기 유리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창짝 프레임의 내면을 구성하는 내측부재에 결합되는 후단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창짝 프레임의 마련된 공간에 목재블록과 유리지지부가 설치됨으로써, 유리의 지지력 강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창호의 단열성능 향상에는 그 성과를 기대하기에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리의 단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는 단열소재의 커버부재를 통하여 기밀성이 증대됨에 따라 창호의 단열성능을 개선될 수 있는 창호의 단열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소재의 커버부재는 유리를 감싸듯이 설치되어 유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창호의 단열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단열보강구조는, 창틀프레임과, 창틀프레임에 설치되어 유리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창짝과, 창짝의 공간부에 유리의 단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커버부재는, 폴리에틸렌 폼, 발포폴리스티렌, 압출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폼, 페놀폼 보드, 글라스 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부재는, 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부와, 창짝의 공간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편평한 면적의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커버부재의 지지부에는 지지 면적의 확대를 위하여 확대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의 단부에 단열소재의 커버부재를 감싸듯이 설치함으로써, 창호의 단열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재는 유리를 감싸듯이 설치되어 유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에 유리와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단열보강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에 유리와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창호를 구성하는 창틀프레임(100)과, 창틀프레임(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 이동되는 창짝(110)과, 창짝(110)에 장착되는 유리(130)와, 이 유리(130)를 고정해 줄 수 있도록 창짝(110)의 내주면과 유리(130)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유리고정테(140)와, 유리고정테(140)와 같이 유리(130)를 고정 및 지지하도록 유리(130)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알루미늄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는 창틀프레임(100)은 압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된 복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조립되고, 창틀프레임(100)의 레일에는 창짝(110)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창짝(110)에는 하나 또는 2중, 3중의 유리(130)가 장착되며, 장착되는 유리(130)의 네 변을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는 유리고정테(140)가 설치된다.
유리고정테(140)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창짝(110)의 내주면에 면접되는 제1면(142a)과 유리(130)면을 향하는 제2면(142b)을 구비하는 몸체(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면(142a)에는 창짝(110) 내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112)에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142c)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면(142b)에는 유리(130)와의 틈새를 막아주는 가스켓(150)이 장착되는 장착홈(142d)이 구비된다.
한편, 유리고정테(140)와 같이 유리(13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창짝(110)의 공간부에 커버부재(200)가 설치된다.
커버부재(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유리(130)의 단부를 감싸도록 즉, 유리(130)의 단부 일부를 포함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안착부(210)가 일정 깊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창짝(110)의 공간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한 지지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210)는 그 폭이 한 장의 유리나 2중창, 3중창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유리(130)와의 기밀성 증대를 위해 억지 끼워맞춰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130)를 감쌀 수 있는 안착부(210)의 그 깊이는 가스켓(150)의 하단부 근접 위치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220)는 편평한 접촉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커버부재(200)의 지지부(220)에는 지지 면적의 확대를 위하여 확대지지부(2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확대지지부(222)는 지지부(220)의 일측면이 확대된 것으로서, 지지부(220)와 동일 재질로 하여 편평한 접촉면과 동일 선상에서 확대되도록 금형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창짝(110)의 공간부에서 허용하는 범위내 또는 가스켓(150)으로부터 조립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크기이면 가능하다.
위와 같은 커버부재(200)는 단열소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를 발포제로 발포시킨 단열소재 즉, 폴리에틸렌 폼, 폴리스티렌 폼(Polystylene Foam), 아이소핑크라 불리우는 압출폴리스티렌 폼(Extruded Polystylene Foam), 폴리우레탄 폼, 페놀폼 보드, 글라스 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창틀프레임(100)에 장착된 창짝(110)에는 유리고정테(140)가 설치된다.
먼저, 창짝(110)의 끼움홈(112)에 유리고정테(140)의 끼움부(142c)가 삽입 설치되어 제1면(142a)이 창짝(110)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면접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유리고정테(140)의 장착홈(142d)에는 가스켓(150)이 장착되어 제2면(142b)과 같이 밀착되어 유리(130)와의 틈새를 1차적으로 막아주게 된다. 가스켓(150)은 대향하는 창짝(110)의 내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가스 등이 충진된 3중 유리(130)의 단부 즉, 네 변을 따라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200)가 설치된다.
조립순서는 작업장이나 외부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먼저, 창짝(110)의 공간부 내부에 위치시켜서 커버부재(200)의 지지부(220)와 확대지지부(222)가 고정된 상태에서 유리(130)를 안착부(210)에 억지끼움으로 삽입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130)는 커버부재(200)의 지지부(220)와 확대지지부(222)로 인하여 창짝(110)의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유리(130)는 양측벽의 가스켓(150)에 의하여 1차적으로 단열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측벽을 감싼 커버부재(200)의 안착부(210)는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2차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립순서가 이와 반대로 유리(130)의 단부에 커버부재(200)를 먼저 조립 후 가스켓(150)이 설치된 창짝(110)에 밀어 넣어 위치시킬 수도 있다.
다음과 같이 유리(130)의 단부에 감싸듯이 설치된 커버부재(200)는 단열성의 증대는 물론, 유리(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종래에 비해 부품수의 감소도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창틀프레임 110 : 창짝
112 : 끼움홈 130 : 유리
140: 유리고정테 142 : 몸체
142a:제1면 142b:제2면
142c:끼움부 142d:장착홈
150:가스켓 200:커버부재
210:안착부 220:지지부
222:확대지지부

Claims (4)

  1. 창틀프레임(100)과;
    상기 창틀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유리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창짝(110)과;
    상기 창짝(110)의 공간부에 상기 유리의 단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는 커버부재(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폴리에틸렌 폼, 발포폴리스티렌, 압출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폼, 페놀폼 보드, 글라스 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부(210)와,
    상기 창짝(110)의 공간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편평한 면적의 지지부(22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의 지지부(220)에는 지지 면적의 확대를 위하여 확대지지부(222 )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KR1020140173565A 2014-12-05 2014-12-05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KR101953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65A KR101953406B1 (ko) 2014-12-05 2014-12-05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65A KR101953406B1 (ko) 2014-12-05 2014-12-05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05A true KR20160069005A (ko) 2016-06-16
KR101953406B1 KR101953406B1 (ko) 2019-03-04

Family

ID=5635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565A KR101953406B1 (ko) 2014-12-05 2014-12-05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789B1 (ko) * 2018-05-24 2019-07-16 주식회사 필로브 세그먼트 타입의 윈도우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정창의 유리 고정 가스켓과 창유리 패널 고정 브라켓의 설치 구조
WO2021033798A1 (ko) * 2019-08-20 2021-02-25 주식회사 필로브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에서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와 도어 프레임이 상호 겹쳐지는 측면 섹션에서의 단열 구조
CN115263148A (zh) * 2022-07-27 2022-11-01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节能隔热断桥铝合金窗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484A (en) * 1975-07-14 1977-01-25 Sumitomo Metal Ind Ltd Magnetic metal plate stress measuring apparatus
JP2001507095A (ja) * 1996-12-24 2001-05-29 ソリユテ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極度の風及び衝撃に耐性の安全ガラス構造材
KR200368503Y1 (ko) * 2004-05-19 2004-11-20 구경서 조립식 창문틀 유리받침구
KR200420082Y1 (ko) * 2006-04-20 2006-06-28 신태식 유리 받침편.
KR20100008264U (ko) * 2009-02-11 2010-08-19 주식회사 신한 지. 앤. 에이 시스템 창호의 유리 고정용 브라켓
KR200451245Y1 (ko) * 2010-06-14 2010-12-06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창호용 단열구조체
KR101075219B1 (ko) * 2008-10-02 2011-10-19 알루텍 (주)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6288B2 (en) 2005-09-27 2010-04-27 Qualcomm Incorporated RF channel switching in broadcast OFDM system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484A (en) * 1975-07-14 1977-01-25 Sumitomo Metal Ind Ltd Magnetic metal plate stress measuring apparatus
JP2001507095A (ja) * 1996-12-24 2001-05-29 ソリユテ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極度の風及び衝撃に耐性の安全ガラス構造材
KR200368503Y1 (ko) * 2004-05-19 2004-11-20 구경서 조립식 창문틀 유리받침구
KR200420082Y1 (ko) * 2006-04-20 2006-06-28 신태식 유리 받침편.
KR101075219B1 (ko) * 2008-10-02 2011-10-19 알루텍 (주)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KR20100008264U (ko) * 2009-02-11 2010-08-19 주식회사 신한 지. 앤. 에이 시스템 창호의 유리 고정용 브라켓
KR200451245Y1 (ko) * 2010-06-14 2010-12-06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창호용 단열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789B1 (ko) * 2018-05-24 2019-07-16 주식회사 필로브 세그먼트 타입의 윈도우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정창의 유리 고정 가스켓과 창유리 패널 고정 브라켓의 설치 구조
WO2019226023A1 (ko) * 2018-05-24 2019-11-28 주식회사 필로브 세그먼트 타입의 윈도우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정창의 유리 고정 가스켓과 창유리 패널 고정 브라켓의 설치 구조
WO2021033798A1 (ko) * 2019-08-20 2021-02-25 주식회사 필로브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에서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와 도어 프레임이 상호 겹쳐지는 측면 섹션에서의 단열 구조
CN115263148A (zh) * 2022-07-27 2022-11-01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节能隔热断桥铝合金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406B1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431177B1 (ko) 커튼월 단열시스템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065036B1 (ko) 유리홈 가변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554922B1 (ko) 구조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20090072558A (ko) 시스템 창호
KR10129180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101360247B1 (ko) 고 기밀성 단열 케이스먼트 창호
KR101198280B1 (ko)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KR101953406B1 (ko)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KR101465508B1 (ko) 단열 창호
KR101556989B1 (ko) 단열 현관문
KR200406648Y1 (ko) 내풍압용 이중 단열창
KR102347829B1 (ko) 커튼월 프로젝트창 단열구조체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90074750A (ko) 친환경 복합 커튼월
KR10107373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 프레임
KR20140085687A (ko) 프로젝트 타입의 창호 시스템
CN204200023U (zh) 防水隔热窗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KR101732853B1 (ko) 단열 창호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KR101855998B1 (ko) 창문과 창틀에 단열구조를 구비한 시스템 창호
KR102168659B1 (ko) 단열 프로젝트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