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272A - 롤러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272A
KR20160067272A KR1020140172138A KR20140172138A KR20160067272A KR 20160067272 A KR20160067272 A KR 20160067272A KR 1020140172138 A KR1020140172138 A KR 1020140172138A KR 20140172138 A KR20140172138 A KR 20140172138A KR 20160067272 A KR20160067272 A KR 20160067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member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housing
majo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174B1 (ko
Inventor
이주석
김연준
백경현
신윤지
이상조
이정헌
최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174B1/ko
Priority to US14/799,047 priority patent/US9900977B2/en
Publication of KR2016006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272A/ko
Priority to KR1020210065510A priority patent/KR102320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우징, 제1 굴곡부재, 및 제2 굴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며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면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내부에 말려 보관한다. 상기 제1 굴곡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면을 구부릴 수 있다. 상기 제2 굴곡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제1 굴곡부재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2 면을 구부리는 제2 굴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블 표시 장치{ROLL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롤러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이 향상된 롤러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시장의 요구에 따라 개발 진행 중에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특정 곡률을 갖는 상태로 고정된 커브드 표시 장치(CURVED DISPLAY APPARATUS), 특정 곡률 반경 이상으로 휘거나 폴딩축을 기준으로 구부릴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 및 특정 곡률 반경으로 말수 있는 롤러블 표시 장치(ROLLABLE DISPLAY APPARATUS)를 포함한다.
이중, 롤러블 표시 장치는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 및 우수한 휴대성을 갖는 장점이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하우징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감는 것이 일반적인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하우징에 감기면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일부 영역에 과도한 스트레스나 찍힘이 발생되고, 이는 상기 일부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의 결함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하우징에 보관될 때,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롤러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우징, 제1 굴곡부재, 및 제2 굴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며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면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내부에 말려 보관한다. 상기 제1 굴곡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면을 구부릴 수 있다. 상기 제2 굴곡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제1 굴곡부재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2 면을 구부리는 제2 굴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굴곡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재 각각을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재의 단면은 제1 장축을 갖고, 상기 제2 굴곡부재의 단면은 제2 장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장축의 길이는 상기 제2 장축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굴곡부재의 상기 제1 장축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롤러들, 및 상기 제2 굴곡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2 굴곡부재의 상기 제2 장축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롤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재는 상기 제1 장축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굴곡부재는 상기 제2 장축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축의 중심과 상기 제2 장축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장축의 길이의 반과 상기 제2 장축의 길이의 반을 합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제1 장축 및 상기 제2 장축 각각이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 굴곡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재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재와 결합되며 탄성을 가져 상기 제1 굴곡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 복원 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재와 결합되며 탄성을 가져 상기 제2 굴곡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복원 부재 및 상기 제2 복원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경우, 상기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축 및 상기 제2 장축이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각각과 수직한 제3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제1 굴곡부재와 상기 제2 굴곡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재와 상기 제2 굴곡부재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굴곡부재는 상기 제1 장축의 제1 단부와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굴곡부재는 상기 제2 장축의 제2 단부와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축의 길이와 상기 제2 장축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장축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재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2 굴곡부재의 회전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재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장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 단부, 및 상기 제2 굴곡부재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장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4 단부가 정의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상기 제3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굴곡부재와 결합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4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굴곡부재와 결합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굴곡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굴곡부재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감는 권취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개구가 정의될 때, 상기 제1 굴곡부재, 상기 제2 굴곡부재 및 상기 권취심은 상기 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상기 권취심에 연결하며 상기 영상을 표시 하지 않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모두 노출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우징, 및 권취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며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내부에 보관되며, 상기 표시 패널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정의도리 수 있다. 상기 권취심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을 감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과 접촉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구부리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이 접촉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구부리는 제2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제2 굴곡부 및 상기 권취심은 상기 개구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굴곡부의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면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2 굴곡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굴곡부의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면에 배치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상기 권취심에 연결하며 상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에 의하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하우징 내부에 장시간 보관되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롤러블 표시 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굴곡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굴곡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롤러블 표시 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굴곡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굴곡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10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 하우징(200), 제1 굴곡부재(120), 제2 굴곡부재(130), 및 권취심(14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에는 영상을 형성하는 최소 단위인 화소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제1 면(110a) 및 제1 면(110a)과 마주하는 제2 면(110b)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하우징(200) 내부에 감겨 보관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손잡이(111)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11)는 외력을 받아,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하우징(200)에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개구(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OP)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개구(OP)를 통과하여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제1 굴곡부재(120), 제2 굴곡부재(130), 및 권취심(1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는 제2 굴곡부재(130)와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권취심(140)은 제2 굴곡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제1 굴곡부재(120)와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 제2 굴곡부재(130), 권취심(140) 각각은 제1 방향(DR1)과 수직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타원 기둥 형상일 수 있고, 권취심(140)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 각각이 타원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닿는 면만 곡률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굴곡부재(12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제1 면(110a)과 접촉되며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구부릴 수 있고, 제2 굴곡부재(13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제2 면(110b)과 접촉되며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하우징(200) 내부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물결 형상으로 굴곡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한 방향으로 말려 있지 않고, 물결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형상 변형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한 방향으로 감겨 보관되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한 방향으로만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하우징(200) 내부에 장시간 보관 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말림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굴곡부재(120)에 의해 제1 면(110a)이 오목하게 구부러지고, 제2 굴곡부재(130)에 의해 제2 면(110b)이 오목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즉,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물결 형상으로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하우징(200) 내부에 장시간 보관하여도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한 방향으로 말려 발생될 수 있는 말림 변형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 장치(100a)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 하우징(200), 복수의 제1 굴곡부재(120), 복수의 제2 굴곡부재(130), 및 권취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제1 굴곡부재(120) 및 2 개의 제2 굴곡부재(130)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3개 이상의 제1 굴곡부재(120) 및 3개 이상의 제2 굴곡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는 제1 면(110a)과 접촉되며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구부리고, 제2 굴곡부재(130)는 제2 면(110b)과 접촉되며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구부릴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1과 비교하였을 때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더 많은 횟수로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0) 내부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장시간 보관 할 때,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변형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의 제1 방향(DR1)과 평행한 단면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의 단면은 제1 장축(MA1)을 갖고, 제2 굴곡부재(130)의 단면은 제2 장축(MA2)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장축(MA1)의 길이는 제2 장축(MA2)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장축(MA1)의 길이와 제2 장축(MA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굴곡부재(120)는 제1 장축(MA1)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굴곡부재(130)는 제2 장축(MA2)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인접한 제1 굴곡부재(120)와 제2 굴곡부재(130) 사이의 거리(LT)는 제1 장축(MA1)의 길이의 반과 제2 장축(MA2)의 길이의 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우징(200) 내부로 삽입될 때, 인접한 제1 굴곡부재(120)와 제2 굴곡부재(130) 사이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끼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축(MA1)의 길이가 제2 장축(MA2)의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하우징(200)의 제1 방향(DR1)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0)의 소형화가 용이하며, 또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말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와 제2 굴곡부재(130)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에는 코팅이 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내부에 보관될 때, 제1 장축(MA1) 및 제2 장축(MA2)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과 수직한 제3 방향(DR3)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내부에 보관될 때, 제1 장축(MA1) 및 제2 장축(MA2) 각각은 제3 방향(DR3)과 평행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롤러블 표시 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외부로 노출될 때,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는 제1 장축(MA1)과 제2 장축(MA2)이 제1 방향(DR1)과 평행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외부로 빼내는 과정에서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가 회전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시킬 때,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는 시계 방향(도 2의 CW)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내부로 삽입될 때,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는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와 제2 굴곡부재(13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노출시키는 외력에 의해 시계 방향(도 2의 CW)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1 굴곡부재(120)와 제2 굴곡부재(130)는 탄성을 가지는 제1 복원 부재(도 4a의 RB1) 및 제2 복원 부재(도 4b의 RB2)에 의해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복원 부재(도 4a의 RB1) 및 제2 복원 부재(도 4b의 RB2)는 탄성을 갖는 부재일 수 있다. 제1 복원 부재(도 4a의 RB1)는 제1 굴곡부재(120)와 연결되고, 제2 복원 부재(도 4b의 RB2)는 제2 굴곡부재(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복원 부재(도 4a의 RB1) 및 제2 복원 부재(도 4b의 RB2)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복원 부재(도 4a의 RB1)는 제1 굴곡부재(120)의 회전 축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복원 부재(도 4b의 RB2)는 제2 굴곡부재(130)의 회전 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굴곡부재(120)와 제2 굴곡부재(130)가 외력에 의해 시계 방향(도 2의 CW)으로 회전할 때, 제1 복원 부재(도 4a의 RB1)와 제2 복원 부재(도 4b의 RB2)는 수축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수축되었던 제1 복원 부재(도 4a의 RB1) 및 제2 복원 부재(도 4b의 RB2)는 다시 팽창할 수 있다. 팽창하는 제1 복원 부재(도 4a의 RB1) 및 제2 복원 부재(도 4b의 RB2)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굴곡부재(120) 및 제2 굴곡부재(130)가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100a)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을 권취심(140)에 연결하는 연결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2)는 영상을 표시 하지 않는다. 권취심(140)에는 연결부(112)가 감겨 보관될 수 있다. 연결부(112)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및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12)가 권취심(140)을 둘러싸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권취심(140)은 체결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체결홈(미도시)에 연결부(112)가 체결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굴곡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굴곡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굴곡부재(120a)에는 제1 롤러들(121)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롤러들(121)은 제1 장축(MA1)의 방향(MAD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굴곡부재(130a)에는 제2 롤러들(131)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롤러들(131)은 제2 장축(MA2)의 방향(MA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들(121)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롤러들(131)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롤러들(121) 및 제2 롤러들(131)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도 2의 110)과 접촉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도 2의 110)이 이동할 때, 제1 롤러들(121) 및 제2 롤러들(131) 각각은 회전할 수 있다. 제1 롤러들(121) 및 제2 롤러들(131)이 회전하는 경우, 제1 롤러들(121) 및 제2 롤러들(131) 각각과 플렉서블 표시 패널(도 2의 11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도 2의 110)은 용이하게 하우징(도 2의 2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롤러블 표시 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 장치(100b)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 하우징(200), 제1 굴곡부재(120b), 제2 굴곡부재(130b), 및 권취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b)의 제1 장축(MAa)의 일단을 제1 단부(12a)라 정의하고, 제2 굴곡부재(130b)의 제2 장축(MAb)의 일단을 제2 단부(13a)라 정의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굴곡부재(120b)는 제1 단부(12a)와 결합된 회전축(RX)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굴곡부재(130b)는 제2 단부(13a)와 결합된 회전축(R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굴곡부재(120b)와 제2 굴곡부재(130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하는 경우, 제1 굴곡부재(120b)는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굴곡부재(130b)는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굴곡부재(120b)는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굴곡부재(130b)는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장축(MAa)의 길이와 제2 장축(MAb)의 길이는 서로 동일 할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b)와 제2 굴곡부재(13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1 굴곡부재(120b)의 중심 및 제2 굴곡부재(130b)의 중심 사이의 거리(LTa)는 제1 장축(MAa)의 길이 또는 제2 장축(MAb)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우징(200) 내부로 삽입될 때, 제1 굴곡부재(120b) 및 제2 굴곡부재(130b) 사이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끼이는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제1 굴곡부재(120b)와 제2 굴곡부재(130b)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굴곡부재(120b)의 중심 및 제2 굴곡부재(130b)의 중심 사이의 거리(LTa)는 제1 장축(MAa)의 길이와 제2 장축(MAb)의 길이의 합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하우징(200)의 제1 방향(DR1)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굴곡부재(120b)와 제2 굴곡부재(13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1 굴곡부재(120b)의 중심 및 제2 굴곡부재(130b)의 중심 사이의 거리(LTa)는 제1 장축(MAa)의 길이 또는 제2 장축(MAb)의 길이보다만 크면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말림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하우징(200)의 소형화가 용이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굴곡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굴곡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굴곡부재(120c)에는 제1 롤러(121a)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굴곡부재(130c)에는 제2 롤러(131a)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굴곡부재(120c)에 제1 단부(12a)와 제1 장축(MAa)의 방향(MADa)을 따라 이격된 제3 단부(12b)가 정의되고, 제2 굴곡부재(130c)에 제2 단부(13a)와 제2 장축(MAb)의 방향(MADb)을 따라 이격된 제4 단부(13b)가 정의된다.
제1 롤러(121a)는 제3 단부(12b)에 배치되어 제1 굴곡부재(120c)와 결합되고, 제2 롤러(131a)는 제4 단부(13b)에 배치되어 제2 굴곡부재(130c)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롤러(121a) 및 제2 롤러(131a)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도 6의 110)과 접촉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도 6의 110)이 이동할 때, 제1 롤러(121a) 및 제2 롤러(131a) 각각은 회전할 수 있다. 제1 롤러(121a) 및 제2 롤러(131a)가 회전하는 경우, 제1 롤러(121a) 및 제2 롤러(131a) 각각과 플렉서블 표시 패널(도 6의 11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도 6의 110)은 용이하게 하우징(도 6의 2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 장치(100c)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 하우징(200a), 및 권취심(240)을 포함할 수 있다.
권취심(240)은 하우징(200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권취심(240)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권취심(240)은 회전하며,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권취심(240)에 감길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권취심(240)과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연결하는 연결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12)는 권취심(240)에 연결되며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a) 외부로 모두 노출되었을 때, 하우징(200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a)은 제1 굴곡부(220), 제2 굴곡부(230), 및 개구(OP)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OP)를 통해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a)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개구(OP)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00a)의 내면에는 제1 굴곡부(220), 및 제2 굴곡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굴곡부(220), 제2 굴곡부(230), 및 권취심(240)은 개구(OP)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굴곡부(220)와 제2 굴곡부(230)는 하우징(200a)의 내면에 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OP)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1 굴곡부(220)와 제2 굴곡부(230)가 교대로 2번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하지만 이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굴곡부(220)와 제2 굴곡부(230)가 1회 교대되거나, 3회 이상 교대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굴곡부(22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제1 면(110a)과 접촉되며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구부리고, 제2 굴곡부(23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제2 면(110b)과 접촉되며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하우징(200a) 내부에 보관될 때,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물결 형상일 수 있다. 그 결과,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을 장시간 보관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한방향으로 말려 발생될 수 있는 말림 변형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굴곡부(220)와 결합되는 제1 롤러(RO1) 및 제2 굴곡부(230)와 결합되는 제2 롤러(RO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RO1)는 제1 굴곡부(220)의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과 접촉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롤러(RO2)는 제2 굴곡부(230)의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접촉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RO1) 및 제2 롤러(RO2)가 제1 굴곡부(220) 및 제2 굴곡부(230) 각각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지점에만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RO1) 및 제2 롤러(RO2)는 제1 굴곡부(220) 및 제2 굴곡부(230) 각각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지점 외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과 접촉되는 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RO1) 및 제2 롤러(RO2)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롤러(RO1) 및 제2 롤러(RO2)가 회전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이 하우징(200a)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우징(200b) 내부로 삽입될 때,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과 제1 굴곡부(220) 사이,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과 제2 굴곡부(23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은 용이하게 하우징(200a)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롤러(RO1) 및 제2 롤러(RO2)에 의해 플렉서블 표시 패널(110)의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1 굴곡부(220), 및 제2 굴곡부(230)의 곡률 반경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굴곡부(220)와 인접한 제2 굴곡부(230)의 간격이 줄어 들 수 있고, 하우징(200a)의 제1 방향(DR1)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롤러블 표시 장치 110: 플렉서블 표시 패널
111: 손잡이 112: 연결부
120: 제1 굴곡부재 130: 제2 굴곡부재
140: 권취심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며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내부에 말려 보관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면을 구부리는 제1 굴곡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제1 굴곡부재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이 접촉되며 상기 제2 면을 구부리는 제2 굴곡부재를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굴곡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재 각각을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은 타원 형상이고, 상기 제1 굴곡부재의 단면은 제1 장축을 갖고, 상기 제2 굴곡부재의 단면은 제2 장축을 갖는 롤러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축의 길이는 상기 제2 장축의 길이보다 작은 롤러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굴곡부재의 상기 제1 장축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롤러들; 및
    상기 제2 굴곡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2 굴곡부재의 상기 제2 장축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롤러들을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재는 상기 제1 장축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굴곡부재는 상기 제2 장축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축의 중심과 상기 제2 장축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장축의 길이의 반과 상기 제2 장축의 길이의 반을 합한 길이보다 큰 롤러블 표시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제1 장축 및 상기 제2 장축 각각이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 굴곡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재가 회전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재와 결합되며 탄성을 가져 상기 제1 굴곡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 복원 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재와 결합되며 탄성을 가져 상기 제2 굴곡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원 부재 및 상기 제2 복원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경우, 상기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축 및 상기 제2 장축이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각각과 수직한 제3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제1 굴곡부재와 상기 제2 굴곡부재를 회전시키는 롤러블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재와 상기 제2 굴곡부재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재는 상기 제1 장축의 제1 단부와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굴곡부재는 상기 제2 장축의 제2 단부와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축의 길이와 상기 제2 장축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롤러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장축의 길이보다 큰 롤러블 표시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재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2 굴곡부재의 회전 방향은 서로 상이한 롤러블 표시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재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장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 단부; 및
    상기 제2 굴곡부재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장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4 단부가 정의될 때,
    상기 제3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굴곡부재와 결합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4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굴곡부재와 결합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굴곡부재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감는 권취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개구가 정의될 때, 상기 제1 굴곡부재, 상기 제2 굴곡부재 및 상기 권취심은 상기 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상기 권취심에 연결하며 상기 영상을 표시 하지 않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모두 노출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8. 영상을 표시하며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내부에 보관되며 상기 표시 패널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정의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을 감는 권취심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과 접촉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구부리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이 접촉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구부리는 제2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제2 굴곡부, 및 상기 권취심은 상기 개구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굴곡부의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면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2 굴곡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굴곡부의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면에 배치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상기 권취심에 연결하며 상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0140172138A 2014-12-03 2014-12-03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25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138A KR102257174B1 (ko) 2014-12-03 2014-12-03 롤러블 표시 장치
US14/799,047 US9900977B2 (en) 2014-12-03 2015-07-14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0210065510A KR102320603B1 (ko) 2014-12-03 2021-05-21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138A KR102257174B1 (ko) 2014-12-03 2014-12-03 롤러블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510A Division KR102320603B1 (ko) 2014-12-03 2021-05-2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272A true KR20160067272A (ko) 2016-06-14
KR102257174B1 KR102257174B1 (ko) 2021-05-28

Family

ID=560956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138A KR102257174B1 (ko) 2014-12-03 2014-12-03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0210065510A KR102320603B1 (ko) 2014-12-03 2021-05-21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510A KR102320603B1 (ko) 2014-12-03 2021-05-2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00977B2 (ko)
KR (2) KR1022571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3096B2 (en) 2016-10-06 2018-11-27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US10321584B2 (en) 2016-10-04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00034207A (ko) * 2018-09-21 2020-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7222B (zh) * 2013-07-01 2015-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355328B1 (ko) * 2015-01-15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33180B1 (ko) 2015-08-05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WO2017119543A1 (ko)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주) 전자 디바이스
KR102504138B1 (ko) * 2018-01-04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623425B1 (ko) * 2018-07-1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065828A1 (ja) * 2018-09-27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200046336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831058A (zh) * 2019-04-19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010009B (zh) * 2019-04-28 2021-04-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09979331A (zh) * 2019-04-29 2019-07-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2995364B (zh) * 2019-12-13 2023-12-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1383538B (zh) 2020-04-10 2021-05-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卷曲柔性显示装置
CN111508363A (zh) 2020-04-30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331073B (zh) * 2020-10-29 2023-03-2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卷曲装置
CN112863363B (zh) * 2021-03-04 2022-08-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卷曲显示装置
WO2023170769A1 (ja) * 2022-03-08 2023-09-14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巻取り式表示装置、及び、巻取り式表示装置の補正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9774A (ja) * 2003-03-17 2004-10-07 Lg Electronics Inc 携帯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14142B (sv) * 1977-03-14 1980-07-14 Orebro Pappersbruks Ab Bandformigt, bojligt flerskiktslaminat avsett for ommantling av rorisoleringar samt sett att framstella laminatet
KR101049240B1 (ko) * 2002-11-21 2011-07-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U2003302796A1 (en) 2002-12-10 2004-06-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for use in combination therewith
ATE479128T1 (de) * 2004-05-21 2010-09-15 Polymer Vision Ltd Rollbare anzeigeeinrichtung mit belastungsreduktion
KR101301918B1 (ko) 2005-12-16 2013-08-30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원형 디스플레이
KR100818170B1 (ko) 2007-03-13 2008-04-02 한국과학기술원 두루마리형 유연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KR101395783B1 (ko) 2007-09-10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TWI396031B (zh) * 2009-10-02 2013-05-11 Inventec Appliances Corp 可收納電子紙之可攜式電子裝置
JP2013127539A (ja) 2011-12-19 2013-06-27 Panasonic Corp 表示装置
US8971031B2 (en)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KR20140028216A (ko) 2012-08-27 2014-03-10 최성림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KR102245808B1 (ko) 2014-02-12 2021-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9774A (ja) * 2003-03-17 2004-10-07 Lg Electronics Inc 携帯型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1584B2 (en) 2016-10-04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863633B2 (en) 2016-10-04 2020-1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143096B2 (en) 2016-10-06 2018-11-27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KR20200034207A (ko) * 2018-09-21 2020-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603B1 (ko) 2021-11-04
US9900977B2 (en) 2018-02-20
KR20210063292A (ko) 2021-06-01
KR102257174B1 (ko) 2021-05-28
US20160165717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603B1 (ko) 표시 장치
KR102329953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US9766660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983608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9934706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liding action using elasticity of flexible display means being foldable
US1150042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68550B2 (en) Wearable device
US9946310B1 (en) Hing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255011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US9826626B2 (en) Display device
US10185367B2 (en) Display device
KR102421579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9606583B2 (en) Hinge module apparatus
US8813312B2 (en) Hinge for display device
US906443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fold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link members
US20170285688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EP2546720A2 (en)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CN105676962B (zh) 一种电子设备
KR20200101251A (ko) 디텐트 구조물이 배치된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CN112908176B (zh) 一种柔性显示面板限位机构及柔性显示装置
KR20220024558A (ko) 2-축 소프트 힌지 기구 및 이를 구비한 폴더블 장치
US20210216109A1 (en) Support device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US20210084780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9578776B (zh) 一种支撑及收纳装置以及电子设备
US11249520B2 (en) Hinge device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