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783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783B1
KR101395783B1 KR1020070091644A KR20070091644A KR101395783B1 KR 101395783 B1 KR101395783 B1 KR 101395783B1 KR 1020070091644 A KR1020070091644 A KR 1020070091644A KR 20070091644 A KR20070091644 A KR 20070091644A KR 101395783 B1 KR101395783 B1 KR 10139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indow
common electrode
frame
body frame
contro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569A (ko
Inventor
송훈
김정우
이홍석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7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장치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대응하는 제어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프레임,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이동프레임과, 본체프레임과 이동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동프레임이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마련되어, 공통전극과 제어전극의 사이를 통과할 때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시에는 표시창을 펼쳤다가, 미사용 시는 두루마리형태로 말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두루마리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기기는 휴대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크기와 무게에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모바일기기는 각 부품이 소형화되고,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하지만, 모바일기기의 표시창(display)의 경우 그 크기를 작게 하는 경우 전체 내용을 한 화면에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화상을 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화소를 소형화하여 표시하는 경우, 전체 내용을 한 화면에 표시는 할 수 있지만, 글씨가 너무 작아져 내용을 읽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연한 표시창(flexible display)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유연한 표시창은 사용 시에는 커다란 화면을 이용하지만, 사용하지 않을 경우 들고 다니기 편한 크기로 구부려 좀더 작은 크기로 하거나, 두루마리형태로 말아 휴대하기 쉬운 모양과 크기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장치로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패널로 가장 상용화에 가깝게 접근한 제품이 E-ink사의 전기영동디스플레이다. 전기영동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 캡슐 내에 음전하로 대전된 검은색입자들과 양전하로 대전된 백색입자들을 넣는다. 이러한 마이크로 캡슐을 표시창 전면에 걸쳐 마련된 공통전극과 이에 대면하는 제어전극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어전극에 음전압을 가하면 백색입자들은 정전기력에 의해 제어전극 쪽으로 끌려오고, 검은색입자들은 공통전극 쪽으로 끌려간다. 이렇게 함으로써 표시창을 흑백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각 전극으로 끌려간 흑색 또는 백색입자들은 전압이 없어지더라도 그대로 위치를 유지한다. 이를 메모리특성이라 하며, 이 메모리특성에 의하여 한번 기록된 표시창은 OLED나 LCD와 달리 다른 에너지를 통해 기록된 모양을 바꾸지 않는 한 그 내용을 유지한다. 실제의 경우 공통전극은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전도체로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 인-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이다.
하지만, 인-주석 산화물은 표시창을 말거나 구부리는 경우 깨어지면서 저항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인-주석 산화물을 구부림에 따라, 인-주석 산화물에는 미세한 크랙이 생기게 되고, 크랙의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항이 급격하게 높아진다. 이렇게 저항이 높아지는 경우 제어전극에 전압이 인가된다 하더라도 정전기력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아 마이크로 캡슐 내에 입자들의 위치를 조절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주석 산화물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을 구비하는 표시창을 800 내지 3000회 정도 구부렸다 폈다 할 경우 공통전극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표시창을 두리마리 형태로 말더라도 표시창에 크랙이 생기는 등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표시창에 화상을 표시하는 공통전극과 제어전극을 구비하는 두루마리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장치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대응하는 제어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과 이동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공통전극과 제어전극의 사이를 통과할 때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창;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된 한 쌍의 권취롤러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마련된 지지롤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통전극과 제어전극은 상기 표시창이 출입하는 본체프레임의 출입구에 위치하며, 하나의 공통전극과 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면하는 다수의 제어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전극은 상기 공통전극에 대접하도록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 중 다른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전극은 상기 권취롤러 또는 보조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창은 상기 권취롤러 및 지지롤러에 지지되어 순환되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창은 상기 본체프레임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표시창을 말아서 권취하는 권취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창은 그 일단이 상기 권취롤러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통전극과 제어전극은 상기 표시창이 출입하는 본체프레임의 출입구에 위치하며, 하나의 공통전극과 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면하는 다수의 제어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첫째, 공통전극 및 제어전극을 표시창의 전면에 배치하지 않고 본체프레임의 일부분에 배치함으로써 표시창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둘째, 표시창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모바일기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이동프레임이 동작하면서 화상을 표시할 때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전극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본체프레임(110), 상기 본체프레임(110)에서 분리되어 있는 이동프레임(16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과 이동프레임(160)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표시창(17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상기 표시창(170)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출입구(120)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둘러쌓아 그 내부에 소정공간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부(130)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부공간부(130)에는 한 쌍의 권취롤러(151)(152)가 서로 대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롤러(151)는 상기 표시창(170)의 일단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표시창(170)은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51)(152)의 대접하여 형성되는 닙부분을 통과하면서 회전된다. 여기서, 권취롤러는 반드시 한 쌍일 필요는 없으며, 하나의 권취롤러 만으로도 상기 표시창(17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 다.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출입구(120)에는 공통전극(141)과 상기 공통전극(141)에 대면하는 제어전극(14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14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1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전극(142)은 상기 표시창(170)에 표시하고자하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전극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1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제어전극(142)은 각각 다수의 배선(143)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14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44)는 상기 다수의 제어전극(142)을 각각 별개로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상기 표시창(170)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공통전극(141)과 제어전극(142)의 길이는 여백 등을 고려하여 상기 표시창(170)의 폭(W)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창(170)은 상기 공통전극(141)과 제어전극(142)이 대면하는 사이를 지나면서 원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 표시창(170)에 화상이 표시되는 자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상기 이동프레임(160)은 상기 본체프레임(110)과 분리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상기 표시창(17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지롤러(161)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프레임(16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창(170)에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10)에 근접하여 있으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창(170)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창(170)의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10)으로부 터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표시창(170)은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프레임(160)은 상기 권취롤러(151)와 지지롤러(1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는 최대한의 길이까지 상기 본체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창(170)은 화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권취롤러(151) 및 상기 이동프레임(160)의 지지롤러(161)에 지지되어 순환할 수 있도록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창(170)은 상기 권취롤러(151) 및 지지롤러(161)에 감겨 회전하더라도 파괴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창(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160)이 상기 본체프레임(110)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어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공간부(130)에 포개어 쌓여서 수용되는 때에도 파괴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창(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어 쌓여서 수용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부공간부(130)에 상기 표시창(170)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변용례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상측에는 다수의 기능버튼(111)과 스크롤(1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기능버튼(111)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크롤(112)은 상기 표시창(170)을 회전시켜서 상기 표시창(170)을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112)을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이동프 레임(160)을 상기 본체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상기 표시창(170)을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창(170)이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외부로 최대한 노출되어 상기 권취롤러(151)와 지지롤러(161)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크롤(도 1 및 도 2의 112)을 회전시키면 상기 표시창(170)은 상기 권취롤러(151)와 지지롤러(161)에 지지되면서 순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롤(112)은 모터(미도시)와 연동되어 상기 표시창(170)을 순환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면부호 153 및 154는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창(170)이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장력을 유지시키는 지지롤러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는 도 7에 도시된 제어전극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는 공통전극(252)과 제어전극(251)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동일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표시창(270)이 출입하는 출입구(220)와 내측에 서로 대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표시창(27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롤러(251)(252)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210)과, 상기 본체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창(270)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261)가 마련되어 있는 이동프레임(260)과, 상기 권취롤러(251)와 지지롤러(261)에 지지 되어 회전되면서 화상을 표시하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표시창(270)을 구비한다.
상기 공통전극(242)은 상기 권취롤러(25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소정두께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전극(24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러(251)의 길이방향(l1)을 따라 그 외주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마련된 다수 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통전극(242)과 제어전극(241)은 각각 상기 권취롤러(252)(251)에 마련된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다. 즉, 상기 공통전극(242)은 상기 권취롤러(251)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어전극(241)은 상기 권취롤러(252)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통전극(242)과 제어전극(241)의 기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면부호 253과 254는 상기 표시창(270)의 순환을 지지하면서 장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지지롤러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창(270)은 상기 본체프레임(210)의 내부에 포개어 쌓여서 수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표시창(37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내부공간부(330), 상기 내부공간부(330)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표시창(37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권취롤러(350)및, 상기 표시창(370)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320)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프레임(310)과, 상기 본체프레임(31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창(370)의 타단을 고정하고 있는 이동프레임(360)을 구비한다.
상기 출입구(320)에는 공통전극(341)과 제어전극(342)이 소정간격을 두고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상기 공통전극(341)이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전극(342)이 그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상기 제어전극(342)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공통전극(341)의 그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상기 표시창(370)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순환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창(370)은 상기 권취롤러(350)에 감겨서 상기 본체프레임(310)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360)이 상기 본체프레임(31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본체프레임(3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상기 공통전극(341)과 제어전극(34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 표시창(370)이 상기 본체프레임(310)의 외부로 최대한 노출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화상을 표시할 수 없으므로, 또 다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프레임(360)을 상기 본체프레임(310)에 접근시켜 상기 표시창(370)을 상기 권취롤러(350)에 감는다. 그런 다음 상기 이동프레임(360)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310)으로부터 다시 이격시키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창(370)에 화상을 형성시 키기 위해서는 상기 공통전극(341)과 제어전극(342)을 반드시 통과하여야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기능버튼(111)과 스크롤(112)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세 가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창에 화상이 표시되는 동작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표시창에 화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표시창(170)내부에는 다수의 검정잉크입자(172)와 다수의 흰색잉크입자(173)를 수용하는 다수의 마이크로 캡슐(171)이 배열되어 있다. 도면에는 길이방향만 표시되어 있으나, 폭 방향으로도 다수의 마이크로 캡슐(171)이 배열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매트릭스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검정잉크입자(172)는 음(-)전하를 띠고 있으며, 상기 흰색잉크입자(173)는 양(+)전하를 띠고 있다.
상기 표시창(170)은 서로 대접하여 회전되는 상기 권취롤러(151)(152)에 의하여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공통전극(141)과 제어전극(142)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141)은 접지(ground)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전극(142)은 선택적으로 양(+)전압 또는 음(-)전압을 인가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전극(142)에 양(+)전압을 인가하면, 음(-)전하를 띠는 상기 검정잉크입자(172)들은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어전극(142)쪽으로 이동되며, 양(+)전하를 띠는 상기 흰색잉크입자(173)들은 척력에 의하여 상기 공통전 극(141)쪽으로 이동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권취롤러(151)(152)에 의하여 상기 표시창(170)은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공통전극(141)과 제어전극(142)을 통과한 상기 표시창(170)의 마이크로 캡슐(171)내의 검정잉크입자(172)와 흰색잉크입자(171)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상기 제어전극(142)에 음(-)전하를 인가하면, 음(+)전하를 띠는 상기 검정잉크입자(172)들은 척력에 의하여 상기 공통전극(141)쪽으로 이동되며, 양(+)전하를 띠는 상기 흰색잉크입자(171)들은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어전극(142)쪽으로 이동된다.
도 10d를 참조하면, 상기 권취롤러(151)(152)에 의하여 상기 표시창(170)은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공통전극(141)과 제어전극(142)을 통과한 상기 표시창(170)의 마이크로 캡슐(171)내의 검정잉크입자(172)와 흰색잉크입자(171)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상기 제어전극(142)에 양(+)전압을 인가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전하를 띠는 상기 검정잉크입자(172)들은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어전극(142)쪽으로 이동되며, 양(+)전하를 띠는 상기 흰색잉크입자(173)들은 척력에 의하여 상기 공통전극(141)쪽으로 이동된다.
도 10e를 참조하면, 상기 권취롤러(151)(152)에 의하여 상기 표시창(170)은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공통전극(141)과 제어전극(142)을 통과한 상기 표시창(170)의 마이크로 캡슐(171)내의 검정잉크입자(172)와 흰색잉크입자(171)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상기 제어전극(142)에 다시 양(+)전압을 인가하면, 도 10b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전하를 띠는 상기 검정잉크 입자(172)들은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어전극(142)쪽으로 이동되며, 양(+)전하를 띠는 상기 흰색잉크입자(173)들은 척력에 의하여 상기 공통전극(141)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전극(142)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창(170)의 원하는 부분의 색을 검정 또는 흰색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마이크로 캡슐 내에 컬러잉크입자들을 수용함으로써 컬러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이동프레임이 동작하면서 화상을 표시할 때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어전극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표시창에 화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디스플레이장치 110,210,310...본체프레임
112...스크롤 120,220,320...출입구
130,230,330...내부공간부 141,241,341...공통전극
142,242,342...제어전극 151,152,251,252,350...권취롤러
153,154,161,261...지지롤러 160,260,360...이동프레임
170,270,370...표시창 171...마이크로 캡슐

Claims (9)

  1.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대응하는 제어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이동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과 이동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공통전극과 제어전극의 사이를 통과할 때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창;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된 한 쌍의 권취롤러;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마련된 지지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창은 상기 권취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지지되어 순환되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과 제어전극은 상기 표시창이 출입하는 본체프레임의 출입구에 위치하며, 하나의 공통전극과 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면하는 다수의 제어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전극은 상기 공통전극에 대접하도록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 중 다른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극은 상기 권취롤러 또는 지지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삭제
  7.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본체프레임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70091644A 2007-09-10 2007-09-10 디스플레이장치 KR10139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44A KR101395783B1 (ko) 2007-09-10 2007-09-10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44A KR101395783B1 (ko) 2007-09-10 2007-09-10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569A KR20090026569A (ko) 2009-03-13
KR101395783B1 true KR101395783B1 (ko) 2014-05-19

Family

ID=4069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644A KR101395783B1 (ko) 2007-09-10 2007-09-10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270B2 (en) 2019-12-30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51B1 (ko) * 2014-11-18 2021-1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57174B1 (ko) 2014-12-03 2021-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122A (ja) * 1998-10-28 2000-05-12 Fuji Photo Film Co Ltd 継続表示可能な巻物型ディスプレー
JP2000322006A (ja) * 1999-05-14 2000-11-24 Brother Ind Ltd 電気泳動表示装置
JP2000321605A (ja) * 1999-05-14 2000-11-24 Brother Ind Ltd 電気泳動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122A (ja) * 1998-10-28 2000-05-12 Fuji Photo Film Co Ltd 継続表示可能な巻物型ディスプレー
JP2000322006A (ja) * 1999-05-14 2000-11-24 Brother Ind Ltd 電気泳動表示装置
JP2000321605A (ja) * 1999-05-14 2000-11-24 Brother Ind Ltd 電気泳動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270B2 (en) 2019-12-30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569A (ko)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2754B2 (ja) 表示装置
CN110047384B (zh) 柔性显示装置
CN107895541A (zh) 显示装置
US7277219B2 (en) Particle movement-type display device and particle movement-type display apparatus
US923257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JP7378236B2 (ja) 表示装置
US20080266244A1 (en) Dual Sided Electrophoretic Display
CN214336182U (zh) 显示组件和显示装置
KR101395783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4491252B2 (ja) エレクトロウェッティング装置および表示装置
TWI422944B (zh) 電泳顯示面板
US10931166B1 (en) Flexible display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8711468B2 (en) Display shee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70047597A (ko) 전기변색소자의 전극구조
KR100756846B1 (ko) 전기변색소자의 전극구조
CN109343285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60059372A (ko)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4550587A (zh) 显示装置
US20210116774A1 (en) Anti-peep screen with dynamically adjustable optical screen
KR20080059029A (ko)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64319A (zh)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控制方法
CN112492153B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US20200333582A1 (en)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electrowetting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riving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US11086179B2 (en) Display device
US20120146961A1 (en) Electronic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