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263A -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 Google Patents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263A
KR20160067263A KR1020140172091A KR20140172091A KR20160067263A KR 20160067263 A KR20160067263 A KR 20160067263A KR 1020140172091 A KR1020140172091 A KR 1020140172091A KR 20140172091 A KR20140172091 A KR 20140172091A KR 20160067263 A KR20160067263 A KR 2016006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in body
flange
bean cur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숭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종합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종합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종합기계
Priority to KR102014017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7263A/ko
Publication of KR2016006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에 관한 것으로, 형틀본체와, 바닥틀체와, 뚜껑틀체로 구성되는 두부성형형틀에 있어서,
상기 형틀본체의 상단플랜지와 이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망체상측플랜지와, 상기 형틀본체의 바닥플랜지와 이의 저면에 적층되는 하부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망체하측플랜지가 형성된 채 상기 형틀본체의 내면과는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형틀본체에 투입되는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순물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여과망체와; 상기 바닥틀체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단플랜지에 용접되어 평탄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형틀본체의 내부에 투입되는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순물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닥여과망체와; 상기 뚜껑틀체의 하단플랜지와 이의 저부에 적층되는 지지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용접으로 고정 설치된 채 상기 뚜껑틀체의 저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평탄하게 설치되어 상기 형틀본체에 투입된 순두부를 누를 때 순물은 빠져나게게 하면서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뚜껑여과망체;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발명이다.

Description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Apparatus for shaping soybean curd without cover}
본 발명은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두부를 제조형틀에 넣고 누를 때 나오는 순물은 빠져나가게 하면서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여과하는 보자기 없이 두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두부성형공정을 자동화시스템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부를 위생적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無) 성형포(成形包) 두부성형형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는 우리의 식생활에 즐겨 먹는 식품 중의 하나로서,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 두부를 제조할 때에는 두부제조과정에서 응고된 순두부를 성형형틀에 투입하고 압착하는 방법으로 일정 크기로 두부를 성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성형형틀에 보자기(성형포)를 깔아놓은 다음 상기 보자기 위에 순두부를 부어주게 되며, 순두부를 다 부은 후에는 보자기로 순두부를 덮어주고 보자기 위에 압착판을 올려놓고 눌러주게 되면 순두부에 포함되어 있던 순물이 보자기에서 빠져나가게 하여 순두부가 단단하게 뭉쳐진 상태로 압착되게 하는 방법으로 두부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두부제조과정에서 성형형틀을 이용하여 두부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성형형틀에 보자기(성형포)를 깔아놓고 순두부를 성형형틀에 부어주게 되는데, 이는 상기 성형형틀에 깔아놓은 보자기가 순물은 성형형틀에서 배출되게 하면서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두부성형공정에서는 성형형틀 안에 보자기(성형포)를 깔아주는 공정은 필수적이다.
만약, 상기 성형형틀 안에 보자기(성형포)를 깔아놓지 않고 순두부를 성형형틀 속으로 부어주게 될 경우에는 순두부 자체가 상기 성형형틀에 순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미리 형성해 놓은 다수의 순물배출공 등을 통해 다 빠져나가게 될 것이기 때문에 두부성형공정에는 성형형틀 안에 보자기를 반드시 깔아놓고 두부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두부성형공정에서 성형형틀 안에 깔아놓는 보자기(성형포)는 직물로 직조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성형형틀에 깔아놓은 보자기는 순두부와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보자기(성형포)는 항시 순물이 스며든 상태이기 때문에 자주 세탁해서 청결을 유지하여야 하지만, 만일 상기 보자기(성형포)를 자주 세탁하지 아니한 상태로 두부를 성형하게 될 경우에는 보자기에 스며든 상태로 부패된 순물이 순두부에 침투하게 되는 등 비위생적으로 두부를 생산하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보자기(성형포)는 두부성형과정에서 보자기에서 떨어진 실밥이 두부 속으로 투입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한편, 현재의 두부제조기술은 많은 부분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자동화시스템으로 개선되어 왔지만 유독 두부성형공정에 대해서는 자동화시스템으로 개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두부성형형틀에 깔아주는 보자기(성형포)는 재질이 직물이어서 부드럽고 특히, 보자기는 항시 물기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두부성형형틀에 깔아주어야 하고 또 순두부를 부은 후에는 보자기로 순두부 상부를 덮어주어야 하는 공정은 기계로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두부제조공정 중 두부성형공정은 자동화할 수 없는 공정으로 인식되어 왔다.
때문에 종래의 두부제조공정 중 두부성형공정은 작업자의 노동강도가 높고 비위생적이며, 두부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공정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두부제조공정 중 두부를 성형하는 두부성형형틀에 보자기(성형포)를 사용하지 않고도 순두부를 압착성형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두부를 위생적이고 두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두부성형형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에 두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도록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형틀본체와, 상기 형틀본체의 내부 바닥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닥틀체와, 상기 바닥틀체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형틀본체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틀체로 구성되는 두부성형형틀에 있어서,
상기 형틀본체의 상단플랜지와 이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망체상측플랜지와, 상기 형틀본체의 바닥플랜지와 이의 저면에 적층되는 하부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망체하측플랜지가 형성된 채 상기 형틀본체의 내면과는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형틀본체에 투입되는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순물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여과망체와;
상기 바닥틀체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단플랜지에 용접되어 평탄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형틀본체의 내부에 투입되는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순물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닥여과망체와;
상기 뚜껑틀체의 하단플랜지와 이의 저부에 적층되는 지지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용접으로 고정 설치된 채 상기 뚜껑틀체의 저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평탄하게 설치되어 상기 형틀본체에 투입된 순두부를 누를 때 순물은 빠져나가게 하면서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뚜껑여과망체;
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여과망체, 바닥여과망체, 뚜껑여과망체 각각은 두께가 0.3∼0.6mm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홀피치가 1.25∼1.65mm이며, 직경은 0.4∼0.8mm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공들이 종횡으로 복수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여과망체, 바닥여과망체, 뚜껑여과망체 각각에 종횡 복수열로 형성된 미세공들에 의한 개구율은 단위면적당 14∼1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틀본체의 외면에는 이동용 지그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틀본체에 보자기(성형포)를 깔아주지 않은 상태로 순두부를 압착 성형할 수 있으므로 두부의 성형공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두부의 생산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두부성형공정을 자동화설비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두부성형공정에서 작업자가 순두부를 손을 만지지 않고도 순두부를 압착 성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자기의 실밥 등이 순두부에 투입되지 않게 되므로 두부를 위생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순두부를 압착 성형할 때 순물의 빠지는 량이 항시 일정하게 나타나게 되어 성형되는 두부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도록 두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두부성형형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두부성형형틀로 순두부를 압착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두부성형형틀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두부성형형틀의 형틀본체에 순두부를 투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두부성형형틀에 사용되는 각 구성요소에 적용되는 여과망체의 일부 확대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두부성형형틀로 순두부를 압착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두부성형형틀의 확대도
본 발명에 의한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두부성형형틀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두부성형형틀(1)은 형틀본체(2)와, 바닥틀체(3)와 뚜껑틀체(4)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틀본체(2)는 단면이 사각형이고 상,하부가 개구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형틀본체(2)의 상,하단에는 사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단플랜지(21)와 바닥플랜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형틀본체(2)의 내측에는 본체여과망체(5a)가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본체여과망체(5a)는 0.3∼0.6mm 정도의 얇은 두께로 된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여과망체(5a)는 얇은 두께로 된 금속판재를 상기 형틀본체(2)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태를 이루도록 형틀본체(2)의 내측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여과망체(5a)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은 상기 형틀본체(2)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밀착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며, 한편 상기 본체여과망체(5a)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4면 각각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형틀본체(2)의 내면에서 일정 간격(D)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렇게 설치되는 상기 본체여과망체(5a)의 4면 각각은 자체 탄성에 의하여 상기 형틀본체(2)의 내면을 향해 벌어지거나 상기 형틀본체(2)의 내부를 향해 튀어나올 수 있는 탄력을 가지고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여과망체(5a)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망체상측플랜지(51)는 상기 형틀본체(2)의 상단플랜지(21)와 (이의 상측에 적층되는) 상부플랜지(23)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상단플랜지(21)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며, 또 상기 본체여과망체(5a)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망체하측플랜지(52)와 상기 형틀본체(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바닥플랜지(22)와 (이의 하측에 적층되는) 하부플랜지(24)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바닥플랜지(2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형틀본체(2)의 외면에는 자동화시스템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성형본체(2) 자체 또는 상기 두부성형형틀(1) 전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용 지그(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형틀본체(2)에는 순두부를 압착할 때 순두부에서 나오는 순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순물배출공(25)들이 상,하 복수줄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두부성형형틀(1)을 구성하는 바닥틀체(3)는 상기 형틀본체(2)의 내측으로 삽탈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틀체(3)에는 상,하단플랜지(31)(32)와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격설되어 바닥틀체(3)를 튼튼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용 칸막이(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틀체(3)의 상면에는 상단플랜지(31)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바닥여과망체(5b)가 평탄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바닥여과망체(5b)는 바닥틀체(3)의 상단플랜지(31) 및 복수의 지지용 칸막이(33)에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틀체(3)에는 상,하단플랜지(31)(32) 및 복수의 지지용 칸막이(33) 각각에는 순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순물배출공(34)(35)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두부성형형틀(1)을 구성하는 뚜껑틀체(4)는 상기 형틀본체(2)의 내측으로 삽탈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틀체(4)에는 상,하단 플랜지(4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틀체(4)의 내측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용 칸막이(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뚜껑틀체(4)의 하단플랜지(42) 저면에는 뚜껑여과망체(5c)를 평탄하게 고정시켜주기 위한 지지플랜지(44)가 평탄하게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여과망체(5c)는 뚜껑틀체(4)의 하단플랜지(42)와 복수의 지지용 칸막이(43)에 각각 용접되어 평탄한 구조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뚜껑틀체(4)에는 하단플랜지(42)와 복수의 지지용 칸막이(43) 각각의 하단에는 순물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순물배출공(45)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두부성형형틀(1)에 보자기(성형포)를 사용하지 않고 두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형틀본체(2)와 바닥틀체(3) 및 뚜껑틀체(4) 각각에 순물은 빠져나가게 하면서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여과망체를 사용한 것에 있다.
즉, 상기 형틀본체(2)의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여과망체(5a)와 바닥틀체(3)에 설치되는 바닥여과망체(5b) 및 상기 뚜껑틀체(4)에 설치되는 뚜껑여과망체(5c) 각각은 0.3∼0.6mm의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판재(스테인레스스틸재)가 사용되며, 상기 본체여과망체(5a), 바닥여과망체(5b), 뚜껑여과망체(5c) 각각의 금속판재에는 에 직경(Φ)이 0.4∼0.8mm의 복수의 미세공(5)이 종횡으로 복수열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미세공(5)들 사이사이의 홀피치(PS)는 1.25∼1.65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미세공(5)들에 의한 개구율은 단위면적당 14∼18%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형틀본체(2)의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여과망체(5a)의 4면은 앞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형틀본체(2)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지 않고 상기 형틀본체(2)의 내면과는 0.5∼3.0mm의 일정 간격(D)을 유지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본체여과망체(5a)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은 형틀본체(2)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지만, 본체여과망체(5a)의 각 모서리부분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4면 각각은 형틀본체(2)의 내면에서 일정 간격(D)이 이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본체여과망체(5a)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은 형틀본체(2) 내면의 각 모서리부분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각 모서리부분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4면이 형틀본체(2) 내면에서 일정 간격(D)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본체여과망체(5a) 자체에 탄력적으로 신축작용(형틀본체의 내면을 향해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하는 작용 및 형틀본체의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오므라들게 작용을 말함)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본체여과망체(5a)의 신축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형틀본체(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된 바닥틀체(3)의 상,하단 플랜지(31)(32)에 본체여과망체(5a)가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므로써 상기 형틀본체(2) 내측으로 투입되는 순두부가 누설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형틀본체(2)의 내측으로 투입된 순두부를 눌러주기 위하여 상기 뚜껑틀체(4)의 하단플랜지(42)에 평탄하게 고정 설치된 뚜껑여과망체(5c)를 형틀본체(2) 내측으로 삽입시켜서 순두부를 눌러주게 될 때에도 상기 형톨본체(2)에 설치된 본체여과망체(5a)의 탄력작용으로 뚜껑틀체(4)의 하단플렌지(42)와 지지플랜지(44)가 상기 본체여과망체(5a)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순두부를 누를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뚜껑틀체(4)의 하단플랜지(42) 및 지지플랜지(44)와 상기 본체여과망체(5a)의 내면 사이에 순두부를 누설시키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순두부를 누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여과망체(5a,5b,5c) 각각에는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순물만 빠져나가게 하는 복수의 미세공(5)들이 종횡으로 복수열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미세공(5)들에 의한 개구율은 단위면적당 14∼18%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형틀본체(2)에 순두부를 투입하고 뚜껑틀체(4)로 순두부를 압착하게 될 때 순부두에서 빠져나오는 순물은 본체여과망체(5a), 바닥여과망체(5b), 뚜껑여과망체(5c)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미세공(5)들을 통해 순조롭게 배출되고 순두부는 형틀본체(2) 내측에 남아 압착 성형되는 것이며, 또한 압착되는 두부의 표면에는 순물이 고르게 배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두부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로 압착 성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두부성형형틀(1)로 두부를 압착성형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두부성형형틀(1)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두부를 압착 성형하기 위한 형틀본체(2)의 상방으로 바닥틀체(3)와 뚜껑틀체(4)가 차례대로 삽입 및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형틀본체(2)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여과망체(5a)는 자체 탄력에 의하여 형틀본체(2)의 내측을 향해 탄력적으로 튀어나온 상태(수축된 상태) 즉, 도 6 의 도시와 같이 상기 본체여과망체(5a)는 형틀본체(2)의 내면에서 간격(D) 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여과망체(5a)가 자체 탄성작용으로 형틀본체(2) 내면에서 일정 간격(D)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형틀본체(2)에 순두부(W)를 설정량 채워주게 되면, 상기 형틀본체(2)에 채워지는 순두부(W)의 압력에 의해 형틀본체(2)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여과망체(5a)는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순두부(W)가 채워지지 않았을 때의 이격 간격(D)보다 형틀본체(2)의 내면에 근접하는 상태 즉,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체여과망체(5a)는 형틀본체(2)의 내면에 더 가까워지는 간격(D1 : D>D1)이 되도록 팽창되는 상태(벌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형틀본체(2)에 투입된 순부두(W)의 상방에서 뚜껑틀체(4)를 형틀본체(2) 속으로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뚜껑틀체(4)의 하단플랜지(42)와 지지플랜지(44)는 형틀본체(2)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여과망체(5a)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상태로 삽입되는 것이며, 이때 본체여과망체(5a)와 형틀본체(2)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매우 좁은 간격(D2)을 유지하는 상태가 되지만, 이때의 간격(D2)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순두부(W)를 형틀본체(2)에 채워주었을 때의 간격(D1)과 거의 같은 상태(D1=D2)이다. 따라서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형틀본체(2)의 상측에서 뚜껑틀체(4)에 삽입하여 순두부(W)를 압착하게 될 때에는 상기 뚜껑틀체(4)의 하단플랜지(42)와 지지플랜지(44)가 본체여과망체(5a)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상태로 삽입되면서 순두부(W)를 압착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여과망체(5a)와 뚜껑틀체(4)의 하단플랜지(42) 및 지지플랜지(44) 사이에는 순두부(W)가 빠져나가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순두부(W)에 존재하는 순물만 상기 형틀본체(2)에 설치된 본체여과망체(5a), 상기 바닥틀체(3)에 설치된 바닥여과망체(5b), 상기 뚜껑틀체(5c)에 설치된 뚜껑여과망체(5c)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공(5)을 통해 고르게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부성형형틀(1)은 성형포(보자기)를 사용하지 않고 순두부를 압착하여 두부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두부를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두부성형공정을 자동화시스템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형틀본체(2)의 외면에는 이동용 지그(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부성형형틀(1)을 비어있는 상태 또는 순두부가 압착 성형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자동화시스템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므로 두부성형공정을 통해 생산된 두부를 자동으로 원하는 장소로 운반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1 : 두부성형형틀 2 : 형틀본체
21 : 상단플랜지 22 : 바닥플랜지
23 : 상부플랜지 24 : 하부플랜지
25,34,35,45 : 순물배출공 3 : 바닥틀체
31 : 상단플랜지 32 : 하단플랜지
33 : 지지용 칸막이 4 : 뚜껑틀체
41 : 상단플랜지 42 : 하단플랜지
43 : 지지용 칸막이 44 : 지지플랜지
5 : 미세공 5a : 본체여과망체
5b : 바닥여과망체 5c : 뚜껑여과망체
51 : 망체상측플랜지 52 : 망체하측플랜지
6 : 이동용 지그 W : 순두부

Claims (4)

  1. 내부에 두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도록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형틀본체(2)와, 상기 형틀본체의 내부 바닥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닥틀체(3)와, 상기 바닥틀체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형틀본체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틀체(4)로 구성되는 두부성형형틀에 있어서,
    상기 형틀본체(2)의 상단플랜지(21)와 이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플랜지(23)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망체상측플랜지(51)와, 상기 형틀본체(2)의 바닥플랜지(22)와 이의 저면에 적층되는 하부플랜지(24)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망체하측플랜지(52)가 형성된 채 상기 형틀본체(2)의 내면과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형틀본체(2)에 투입되는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순물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여과망체(5a)와;
    상기 바닥틀체(3)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단플랜지(31)에 용접되어 평탄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형틀본체(2)의 내부에 투입되는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순물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닥여과망체(5b)와;
    상기 뚜껑틀체(4)의 하단플랜지(42)와 이의 저부에 적층되는 지지플랜지(44) 사이에 개재되어 용접으로 고정 설치된 채 상기 뚜껑틀체(4)의 저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평탄하게 설치되어 상기 형틀본체(2)에 투입된 순두부를 누를 때 순물은 빠져나게게 하면서 순두부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뚜껑여과망체(5c);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여과망체(5a), 바닥여과망체(5b), 뚜껑여과망체(5c) 각각은 두께가 0.3∼0.6mm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홀피치(PS)가 1.25∼1.65mm이며, 직경은 0.4∼0.8mm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공(5)들이 종횡으로 복수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여과망체(5a), 바닥여과망체(5b), 뚜껑여과망체(5c) 각각에 종횡 복수열로 형성된 미세공(5)들에 의한 개구율은 단위면적당 14∼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4.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형틀본체(2)의 외면에는 이동용 지그(6)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KR1020140172091A 2014-12-03 2014-12-03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KR20160067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091A KR20160067263A (ko) 2014-12-03 2014-12-03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091A KR20160067263A (ko) 2014-12-03 2014-12-03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263A true KR20160067263A (ko) 2016-06-14

Family

ID=5619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091A KR20160067263A (ko) 2014-12-03 2014-12-03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72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922A (ko) 2020-08-11 2022-02-18 심명숙 두부 성형틀용 그리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성형틀
KR20220083273A (ko) 2020-12-11 2022-06-20 최대익 두부 압착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두부 압착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922A (ko) 2020-08-11 2022-02-18 심명숙 두부 성형틀용 그리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성형틀
KR20220083273A (ko) 2020-12-11 2022-06-20 최대익 두부 압착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두부 압착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2371B2 (ja) 練粉製品を焼く多部品の型および焼いた練粉製品を作製する方法
US3838955A (en) Device for making cheddar cheese
RU26583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дания формы пищевому продукту
US20160143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afer shaped bodies baked under pressure
CA2883965C (en) Press cover for a cheese mould
FR2473400A1 (fr) Presse pour le moulage d'assiettes ou d'articles similaires
JP2013542721A (ja) ラビオリまたは一般的な詰め物入りパスタを調理するための道具
KR20160067263A (ko) 무성형포 두부성형형틀
US20200288740A1 (en) Light and Convenient Pneumatic Device for Preparing Tea Brick
US20080257792A1 (en) Sieve Frame
US2833654A (en) Foo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product
US541924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brick of fried noodles
EP0571216B1 (en) Method for filling a frying vessel with noodles
JP2010193961A (ja) フライヤー用バスケット
WO200406673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bensmittelformteil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lebensmittelformteil
KR101598685B1 (ko) 밥버거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하는 밥버거제조방법
JP4139077B2 (ja) 食品用に制御される体積を有する焼き型
JP2017514502A (ja) モールディングストップを備えるスタンププレート
KR101452988B1 (ko) 주먹밥 성형틀
EP0629477A1 (en) Filter arrangement
KR102146475B1 (ko) 아이스바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BG4168U1 (bg) Пресформа за сирене
RU2575949C2 (ru) Пресс-форма с монолитной матрицей для формования стеклянного изделия, такого как миска для салата или подобная емкость с, по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сквозным отверстием,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формовочный процесс
KR200471189Y1 (ko) 떡 성형틀
KR200321582Y1 (ko) 스텐망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