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713A -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713A
KR20160066713A KR1020140171816A KR20140171816A KR20160066713A KR 20160066713 A KR20160066713 A KR 20160066713A KR 1020140171816 A KR1020140171816 A KR 1020140171816A KR 20140171816 A KR20140171816 A KR 20140171816A KR 20160066713 A KR20160066713 A KR 20160066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ervation
check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225B1 (ko
Inventor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이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현 filed Critical 이광현
Priority to KR102014017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2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업체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면, 미리 저장된 룰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에서 예약장소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체크인정보만 업체단말 측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 없이 자동 체크인 서비스가 수행되어 업체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 check-in service based on reserving applic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체크인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시간에 특정 장소에 대한 예약을 수행한 사용자가 예약 장소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인하여 공간 활용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음식점, 극장, 커피숍 등의 서비스 업체들은 예약제를 도입하여 사전 예약한 손님에게 좌석이나 테이블을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전통적인 예약 방식은 전화를 통해 시간, 좌석, 인원수 등을 통지하고 예약하는 방식이었으나, 근래에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고객이 직접 예약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예약 처리가 완료되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서비스 업체가 예약제를 도입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인데,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예약제를 도입한다는 데에 그쳐서는 안되고, 예약한 자가 예약한 시간에 실제로 방문하는지 여부를 확인해야만 한다. 즉 손님이 몰리는 시간대에 즉흥적으로 방문한 고객이 있지만, 예약석만 남아 있다는 이유로 입장을 불허한다면 예약자가 방문하지 않을 시 일정 시간동안 좌석이나 테이블 등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여 매출 감소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
이를 위해 서비스 업체에서는 예약자가 실제 방문하는지 여부, 즉 체크인 여부를 파악하여 관리에 나서고 있다. 예컨대 현황판에 예약자 명단을 기재한 후, 실제 방문이 이루어지면 표시를 하고, 예약 시간이 되었는데도 방문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예약자에게 전화를 걸어 방문 여부를 다시 한번 체크하는 형식이다. 물론 컴퓨터를 이용하여 예약정보를 전산화 한 후 직원이 실제 방문하는 예약자를 전산 체크하여 관리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황판을 이용한 수기 체크 방식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체크 방식 모두 수동 체크인 방식이다. 즉 예약자의 방문 여부를 확인한 후 직접 체크하기 위하여 반드시 한명 이상의 직원이 동원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객이 직접 특정 장소에 대한 체크인 여부를 입력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스마트폰의 위치를 기반으로 인근 매장의 리스트가 출력되고, 방문하고자 하는 매장을 선택한 후 체크인 버튼을 누르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임의 행위가 가해지기 때문에 실제 방문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며, 더군다나 사용자가 체크인 버튼을 누르는 행위를 잊는 경우가 많아 올바른 공간 활용을 위해서는 부족한 면이 있다.
이를 위해 미리 예약을 수행한 손님에 대하여 도착하였는지를 위치 정보를 통해 확인하는 기술도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제시된 기술에서는 방문 여부 확인을 위해 서버 관점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요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서버가 중심이 되어 예약 고객에 대한 예약시간이 다가오는지 확인한 후, 수 회에 걸쳐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다시 받아 체크인 여부를 결정하는 등, 서버 모드 작동에 따른 시스템 구현이 복잡해지고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소모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는 매우 민감한 사생활 정보인데, 서버 입장에서 정당한 행위를 위해 사전에 허락을 받고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한번 새어나간 개인정보가 불순한 의도로 사용되지 않을까 우려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
한편 음식점 예약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24232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업체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면, 이후 서버의 개입 없이 미리 저장된 룰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에서 예약장소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체크인정보만 업체단말 측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작동 모드를 통해 전체 시스템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민감한 정보의 외부 유출 없이도 자동 체크인 서비스가 수행되어 업체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예약시간 및 예약장소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운용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예약 절차를 처리하는 예약처리부; 상기 예약시간이 도래하면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정보확인부; 상기 위치정보확인부에서 확인된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에 접근하였는지 또는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체크인정보를 생성하는 체크인판단부; 및 상기 체크인정보를 상기 운용시스템 측으로 통지하는 체크인정보통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인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였다는 체크인인정정보, 상기 단말과 상기 예약장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반경정보, 또는 상기 예약장소에 도착이 예상되는 예정 시간에 대한 도착예정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확인부는 상기 예약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부터 상기 예약시간까지 일정 간격으로 2회 이상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체크인판단부는 상기 2회 이상 확인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예약지이동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예약시간 및 예약장소에 함께 접근하는 일행에 대한 일행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인정보통지부는 상기 체크인정보를 상기 일행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측으로 함께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 상기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 측으로 업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정보 및 체크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용시스템; 및 상기 운용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체크인정보를 수신하여 좌석 또는 테이블에 대한 점유현황정보를 갱신하여 출력하는 업체단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에서 사용자로부터 예약시간 및 예약장소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운용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예약 절차를 처리하는 (a)단계; 상기 예약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b)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에 접근하였는지 또는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체크인정보를 생성하는 (c)단계; 및 상기 체크인정보를 상기 운용시스템 측으로 통지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인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였다는 체크인인정정보, 상기 단말과 상기 예약장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반경정보, 또는 상기 예약장소에 도착이 예상되는 예정 시간에 대한 도착예정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예약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부터 상기 예약시간까지 일정 간격으로 2회 이상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2회 이상 확인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예약지이동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예약시간 및 예약장소에 함께 접근하는 일행에 대한 일행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인정보를 상기 일행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측으로 함께 통지하는 (e)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가 음식점, 극장, 커피숍 등 장소와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업체에 대한 예약을 실시하였을 경우,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체크인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를 업체단말 측으로 통지함으로써, 업체에서 수작업으로 예약자를 관리하지 않더라도, 접수되는 체크인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예약자관리가 이루어져 편리하며, 실시간 점유현황(빈자리 정보)이 자동 업데이트되어 종업원들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더불어 실시간 점유현황정보는 업체단말 뿐 만 아니라, 예약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매장 방문을 희망하는 자에게도 미리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붐비는 매장에 직접 방문하였다가 공석이 없어서 발길을 돌리는 불편함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자동 체크인 과정은 서버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에는 서버가 중심이 되어 예약 고객에 대한 예약시간이 다가오는지 확인한 후, 수 회에 걸쳐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다시 받아 체크인 여부를 결정하는 등, 서버 모드 작동에 따라 시스템 구현이 복잡해지고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운용시스템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룰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 자체에서 대부분의 절차가 진행될 수 있어서 전체 시스템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확인을 통한 체크인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없다. 즉 자동 체크인 과정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주체는 실질적으로 공간 활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업체인데, 이를 위해 업체와 연계된 서버에서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요구한 후, 접수된 위치정보를 통해 체크인을 한다면, 사용자의 민감한 개인정보인 위치정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의 룰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단말 자체의 위치정보를 예약장소와 비교한 후 체크인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단말에서 위치정보는 외부로 제공할 필요 없이, 체크인 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만 운용시스템으로 전송하면 되기 때문에, 민감한 위치정보가 새어나갈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예약자가 예약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 예약 절차를 밟을 때 일행정보를 함께 입력하면, 사용자 간의 체크인 여부를 다른 일행에게도 실시간으로 통지함으로써, 먼저 도착한 사용자는 다른 일행이 오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서 안심하고 대기할 수 있고, 반대로 아직 예약장소에 도착하지 않았지만 다른 일행이 먼저 도착한 사실을 확인하였다면, 서둘러 예약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서, 사용자들 간 신뢰를 다지는 밑거름이 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과 운용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동 체크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동 체크인 과정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동 체크인 과정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운용시스템(100), 업체단말(500) 및 사용자단말(200,300)을 포함한다.
먼저 운용시스템(100)은 음식점, 극장, 커피숍 등의 서비스 업체와 제휴하여, 특정 업체에 대한 소개, 메뉴 정보, 후기, 예약 현황, 실시간 점유현황(빈자리 정보) 등의 정보를 사용자단말(200,30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운용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200,300) 측으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단말(200,300)로부터 예약정보 및 체크인정보를 수신하여 업체단말(500)로 제공함으로써 업체에서 예약자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업체단말(500)은 운용시스템(100)과 제휴된 서비스 업체의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을 말하며, 운용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예약정보 및 체크인정보가 업체단말(500)에 출력됨으로써, 업체 직원이 예약자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체크인정보를 통해 업데이트되는 테이블이나 좌석 등의 점유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공간 활용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러한 업체단말(500)은 매장 내에 설치된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포스단말 또는 별도의 모니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하기에 따라 종업원이 개별적으로 소지할 수 있는 태블릿PC나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200,300)은 서비스 업체에 방문하고자 하는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을 말하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300)을 통해 운용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전송 받아 설치하거나,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업체정보 또는 실시간 점유현황정보를 확인하고, 예약정보를 입력하여 예약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200,300)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은 예약한 업체에 대한 체크인정보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운용시스템(100)으로 전송함으로써 업체에서 예약자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0,30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1에서는 사용자단말(200,300)을 제1사용자단말(200)과 제2사용자단말(300)로 구분하였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사용자단말(200)을 예약 주체라 간주하고, 제2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사용자단말(300)은 제1사용자와 함께 서비스 업체를 방문하기로 약속한 일행이라고 간주토록 한다. 물론 제1사용자단말(200)의 기능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통해 제2사용자단말(300)의 기능 구성은 자명하게 유추될 것이기에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1사용자단말(200)과 운용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2에서 제1사용자단말(200)을 살펴보면 제1사용자단말(200)은 통신처리부(205), 디스플레이(210), 메모리(255), GPS수신부(260), 키입력부(265) 및 어플리케이션운용부(215)를 포함한다.
통신처리부(205)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운용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디스플레이(210)는 운용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화면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210)는 회원가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거나, 업체정보 및 예약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55)는 운용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데 메모리(255)에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시 또는 특정 업체에 대한 예약을 완료할 시 운용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룰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5)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한 예약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GPS수신부(260)는 위성으로부터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키입력부(265)는 운용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출력된 화면을 확인하고 업체정보의 요청이나 예약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키입력부(265)는 통상의 버튼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210)와 일체로 제조된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운용부(215)는 운용시스템(100)으로 제공해야할 정보의 처리, 또는 운용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른 서비스 처리, 또는 키입력부(265)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른 서비스 처리를 위해 마련된다. 즉 도2에 도시된 제1사용자단말(200)에서 어플리케이션운용부(215)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기능 구성을 블록화한 것이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운용부(215)는 예약처리부(220), 룰관리부(225), 예약정보관리부(230), 위치정보확인부(235), 체크인판단부(240), 체크인정보통지부(245) 및 예약정보안내부(250)를 포함한다.
예약처리부(220)는 구동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키입력부(265)에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운용시스템(100) 측으로 업체정보 및 예약 인터페이스를 요청하고, 운용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업체정보 또는 예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화면 출력하도록 처리하고, 입력된 예약정보를 운용시스템(100)으로 전송 및 메모리(255)에 저장하는 등 예약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처리한다. 실시하기에 따라 예약 과정에서 예약금 등을 지불할 필요가 있다면 예약처리부(220)는 소정의 결제 처리도 지원한다.
룰관리부(225)는 자동 체크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룰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예약 어플리케이션이 최초 설치될 시, 또는 특정 업체에 대한 예약 처리가 완료될 시, 또는 수시 업데이트를 통해 메모리(255)에는 운용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룰정보가 저장되며, 룰관리부(225)는 메모리(255)에 저장된 룰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체크인 과정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예약정보관리부(230)는 메모리(255)에 저장된 예약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마련된다.
위치정보확인부(235)는 예약시간이 도래하면 제1사용자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룰관리부(225)에서 메모리(255)에 저장된 룰정보를 확인한 결과 예약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인 것이 확인되었다면 위치정보확인부(235)는 GPS수신부(260)와 연계하여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체크인판단부(240)는 위치정보확인부(235)에서 확인된 위치정보를 통해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에 접근하였는지 또는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체크인정보를 생성한다.
체크인정보통지부(245)는 체크인판단부(240)에서 생성된 체크인정보를 통신처리부(205)와 연계하여 운용시스템(100) 측으로 통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약정보안내부(250)는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을 시, 예약 시간이 도래하였음을 푸시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도2에서 제1사용자단말(200)의 기능 구성은 통상적인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기능 구성을 포함한다.
도2에서 운용시스템(100)을 참조하면, 운용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부(105), 인터페이스제공부(110), 정보수신부(115), 정보제공부(120), 업체정보운용부(125) 및 회원정보운용부(13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05)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200,300) 및 업체단말(500)과 연계하여 사용자단말(200,300) 및 업체단말(500)과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사용자단말(200,300) 및 업체단말(500)에서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사용자단말(200,300) 측으로 회원가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업체정보를 확인하고 예약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수신부(115)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사용자단말(200,300) 및 업체단말(500)로부터 예약 및 자동 체크인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정보수신부(115)는 사용자단말(200,300)로부터 업체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거나, 예약시간과 장소가 포함된 예약정보 및 체크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20)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사용자단말(200,300) 및 업체단말(500) 측으로 예약 및 자동 체크인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정보제공부(120)는 사용자단말(200,300) 측으로 룰정보, 업체정보, 일행의 체크인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업체단말(500) 측으로 예약정보 및 체크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업체정보운용부(125)는 제휴된 서비스 업체의 업체정보를 업체정보D/B(155)에 저장 및 업데이트 하거나, 업체정보D/B(155)에 저장된 업체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업체정보운용부(125)를 통해 업체정보D/B(155)에 저장되는 업체정보는 업체명, 주소, 소개글, 메뉴 정보, 후기, 예약현황, 예약가능시간, 실시간 점유현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운용시스템(100)이 사용자단말(200,300)로부터 예약정보 및 체크인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업체정보에 예약정보 및 체크인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회원정보운용부(130)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소정의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 사용자들에 대한 회원정보를 회원정보D/B(160)에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회원정보운용부(130)를 통해 회원정보D/B(160)에 저장되는 회원정보는 회원명, 아이디, 단말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원이 특정 업체에 대한 예약과 실제 방문을 수행하였을 경우 이용기록을 누적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은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를 밟지 않더라도, 예약을 실시하였을 때에만 사용자의 단말번호를 획득하여 회원정보D/B(160)에 임시 저장한 후 일회성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크인 과정에서는 사용자단말(200,300)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이 룰정보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체크인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운용시스템(100)에서 반드시 사용자의 단말번호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비회원이 예약을 하더라도 운용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단말번호를 요청하지 아니하고, 예약을 마치면 서로를 식별할 수 있는 임시 예약 번호만 생성한 후 회원정보D/B에 임시 저장하고 사용자단말(200,300)로 제공하여 추후 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졌으며, 이하 도3 내지 도6을 통해 설명하게 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설명을 참조하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능 설명이 더욱 구체화 될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1 및 도2에 도시된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제1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운용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특정 업체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도1에 도시된 제1사용자단말(200)에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설치된 상태이고, 제1사용자단말(200)을 사용하는 제1사용자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제 예약 절차를 수행하는 주체라고 가정하며, 제2사용자단말(300)을 사용하는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와 함께 예약된 업체에 내방할 예정인 일행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약 절차가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겠지만, 제1사용자단말(200)에 이미 예약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라면 예약 절차는 반드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등을 이용하여 운용시스템(100)과 연계된 웹페이지에 접속한다거나, 극단적으로는 서비스 업체나 예약을 중계하는 콜센터에 전화를 하여 예약정보를 제공한 후 예약 절차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약정보는 예약시간, 예약장소, 일행정보, 예약자이름 및 예약자단말번호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웹페이지나 전화를 통해 예약정보를 제공한 후, 서비스 업체의 업체단말(500)에서 또는 예약을 중계하는 콜센터에서 운용시스템(100)에 예약정보를 제공하면, 운용시스템(100)이 스마트폰인 제1사용자단말(200)로 예약정보를 전송하여 메모리(255)에 저장될 수 있어서, 이후 과정인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먼저 제1사용자는 제1사용자단말(200)의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운용시스템(100) 측으로 업체정보를 요청<S305>한다. 업체정보란 운용시스템(100)에 제휴된 서비스 업체들의 업체명, 주소, 소개글이나 사진, 메뉴 정보, 후기, 예약현황, 예약가능시간, 실시간 점유현황정보(빈자리 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업체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대한 업체를 요청하였을 시 운용시스템(100)에서 추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예컨대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제1사용자단말(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인근에 있는 제휴 업체에 대한 정보가 정리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제1사용자단말(200)의 업체정보 요청에 따라 운용시스템(100)의 업체정보운용부(125)가 업체정보D/B(155)를 통해 특정 업체정보를 추출한 후 정보제공부(120)를 통해 제1사용자단말(200)로 업체정보를 제공하면, 제1사용자는 제1사용자단말(200)의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출력된 업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예약하고자 하는 특정 업체를 선택하여 예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용시스템(100)은 제1사용자단말(200)로 업체정보를 제공할 시 인터페이스제공부(110)를 통해 예약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S310>한다.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단말(200)에 출력된 업체정보를 확인하고 키입력부(265)를 통해 예약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면 예약처리부(220)는 통신처리부(205)와 연계하여 운용시스템(100) 측으로 예약정보를 전송<S315>한다. 이때 예약처리부(220)는 입력된 예약정보를 제1사용자단말(200)의 메모리(255)에도 저장<S330>한다. 물론 메모리(255)에 예약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은 운용시스템(100)으로부터 정상적인 예약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피드백을 수신한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운용시스템(100)의 정보수신부(115)가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제1사용자단말(200)로부터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업체정보운용부(125)가 업체정보D/B(155)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예약 처리가 가능한 예약정보인지 확인하고, 가능할 경우 예약정보를 업체정보D/B(155)의 해당 업체정보에 매칭 저장함으로써 예약을 처리<S320>하고, 제1사용자단말(200)로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더불어 제1사용자가 기 가입된 회원이라면 회원정보운용부(130)는 회원정보D/B(160)의 해당 회원정보에 예약정보를 매칭 저장한다.
여기서 예약정보란 예약시간, 예약장소(업체명, 주소, 좌표정보, 테이블 번호 등 포함), 예약자이름, 예약자단말번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약정보는 제1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에 의하여 정해지지만, 만약 제1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한 자라면, 예약자이름이나 예약자단말번호 등의 정보는 굳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회원정보D/B(160)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제1사용자가 본인 외에 다른 일행, 예컨대 제2사용자와 해당 업체에 동반 방문하고자 한다면 예약정보에는 일행정보(예컨대 제2사용자의 이름, 단말번호, 회원아이디 등)가 추가될 수 있다.
운용시스템(100)에서 정상적인 예약 절차를 마치면, 정보제공부(120)는 인터페이스부(105)와 연계하여 예약이 이루어진 서비스 업체의 업체단말(500) 측으로 예약 처리 결과를 통지<S325>함으로써, 업체에서 예약자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제1사용자가 일행정보를 함께 입력하였다면, 일행인 제2사용자 역시 예약된 사항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운용시스템(100)은 일행정보에 포함된 단말번호를 참조하여 제2사용자단말(300) 측으로 예약 처리 결과를 함께 통지<S325>한다.
이때 제2사용자 역시 운용시스템(100)에 미리 회원가입을 하고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였다면, 운용시스템(100)은 회원정보D/B(160)에서 제2사용자의 회원정보에 예약정보를 함께 매칭 저장하며, 또한 예약 처리 결과는 제2사용자단말(300)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시 기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물론 제2사용자가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가 아니라면, 운용시스템(100)은 문자메시지나 모바일메신저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하여 제2사용자단말(300) 측으로 예약 처리 결과를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 업체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면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실제 방문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사용자단말(200)의 메모리(255)에는 자동 체크인 절차 수행을 위한 룰정보가 저장되어야 한다.
룰정보란 예컨대 예약시간으로부터 얼마의 시간 이전부터 체크인 여부를 확인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정보, 몇 분 간격으로 확인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정보, 얼마만큼의 반경 이내에 접근하였을 때 체크인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정보, 자동 예약 취소를 위해 허용되는 시간에 대한 기준정보,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푸시로 안내하기 위한 기준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룰정보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최초 설치하였을 때 메모리(255)에 함께 저장될 수도 있으나, 업체마다 룰정보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예약 처리가 완료되면 운용시스템(100)에서 전송되어 제1사용자단말(200)의 메모리(255)에 저장될 수도 있다.
물론 룰정보에 따라 자동 체크인 절차가 수행될 때에는, 제1사용자단말(200)에서 제1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정의 정보 처리 과정이 수행되고, 그에 대한 결과 정보(체크인정보)를 외부 서버인 운용시스템(100) 측으로 전달할 수도 있기 때문에, 룰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는 사전에 반드시 안내가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에 따라 룰정보에 따른 정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에 승인 받는 절차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동 체크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1 및 도2에 도시된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도3에 도시된 예약 과정을 수행하고, 예약이 완료된 이후 실제 예약한 업체를 방문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에 대한 것이다.
먼저 제1사용자단말(200)의 예약정보관리부(230)는 메모리(255)에 저장되어 있는 예약정보에서 예약시간을 확인하고 룰관리부(225)와 연계하여 예약시간으로부터 룰정보에 기초한 일정 시간 이전이 되었는지 확인<S405>한다. 물론 현재 시각은 제1사용자단말(200)에 내장된 전자시계(미도시)를 참고한다.
확인 결과 예약시간으로부터 룰정보에 기초한 일정 시간 이전이 되었는지 확인<S410>되었다면, 위치정보확인부(235)는 GPS수신부(260)를 통해 제1사용자단말(200)의 좌표정보를 확인<S415>한다.
예컨대 예약시간은 15시이고, 룰정보에 포함된 예약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이라는 기준정보가 30분이라면, 14시 30분에 체크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 확인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후 제1사용자단말(200)의 체크인판단부(240)는 위치정보확인부(235)를 통해 확인된 제1사용자단말(200)의 좌표정보와 예약정보에 포함된 예약장소(업체의 주소 또는 좌표정보일 수 있음)를 통해 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즉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산출하여 룰정보에 기초한 일정 반경 이내인지 확인<S420>한다.
확인 결과 제1사용자단말(200)의 위치와 예약장소까지의 거리가 룰정보에 기초한 일정 반경 이내인 것이 확인되면<S425>, 체크인판단부(240)는 제1사용자가 체크인 하였다는 체크인인정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정보를 생성<S430>한다.
예컨대 룰정보에 포함된 체크인 인정 기준이 50m일 경우, 제1사용자단말(200)의 위치와 예약장소까지의 거리가 50m 이내이면 체크인으로 인정하고, 50m를 초과하면 체크인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이후 체크인정보통지부(245)는 통신처리부(205)와 연계하여 체크인판단부(240)에서 생성된 체크인인정정보, 즉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로부터 50m 이내에 접근하여 체크인이 인정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체크인정보를 운용시스템(100) 측으로 전송<S435>하고, 운용시스템(100)의 업체정보운용부(125) 및 회원정보운용부(130)는 체크인정보를 업체정보D/B(155) 및 회원정보D/B(160)에서 해당 업체정보와 회원정보에 각각 매칭 저장<S440>한다.
더불어 운용시스템(100)의 정보제공부(120)는 체크인정보를 업체단말(500)에 제공하여, 업체단말(500)에서 관리하고 있는 실시간 점유현황정보가 업데이트 되도록 함으로써 업체 직원이 빈자리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용시스템(100)의 정보제공부(120)는 체크인정보를 예약정보에 포함된 일행정보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단말(300) 측으로도 함께 통지한다. 이때 제2사용자단말(300)에 예약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예약 어플리케이션의 푸시 기능을 통해 제1사용자가 체크인 되었음이 안내될 수 있고, 실시하기에 따라 문자메시지나 모바일메신저 또는 SNS를 통해 제1사용자의 체크인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사용자는 이미 예약장소에 방문한 상태에서 제1사용자가 입장하였음을 즉각 인지할 수 있고, 만약 제2사용자가 아직 예약장소에 방문하지 않은 상태라면 제1사용자의 체크인을 안내 받은 후 서둘러 예약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제2사용자의 체크인정보도 제1사용자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룰정보에 포함된 예약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이 도래하면 즉시 체크인 과정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체크인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푸시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먼저 알리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룰정보는 예약정보 사전 안내에 대한 기준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어서, 제1사용자단말(200)의 예약정보안내부(250)가 예약시간의 1시간 전에 먼저 푸시 기능으로 예약정보가 출력되도록 하여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인지시키고, 예약시간의 30분 전이 도래하면 앞서 설명한 위치 확인을 통한 체크인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알리는 푸시 과정에서도 운용시스템(100)은 개입하지 아니하고 제1사용자단말(200) 자체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에서 룰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져 불필요하게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물론 예약시간이 지났음에도 체크인이 되지 않은 상태라면, 그때 운용시스템(100) 또는 업체단말(500)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제1사용자단말(200) 측으로 예약확인 푸쉬 등을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도4의 설명에서는 GPS수신부(260)를 이용한 좌표정보의 확인을 통해 예약장소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후 체크인 여부를 확인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위치정보확인부(235)는 현재 제1사용자단말(200)과 통신 채널이 연결된 기지국 정보를 통해 제1사용자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제1사용자단말(200)이 근거리통신망에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통해 체크인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예약 처리가 마쳐지면, 운용시스템(100)의 업체정보운용부(125)가 예약 완료된 업체에 설치된 무선공유기정보(AP정보)를 추출한 후 룰정보에 포함시켜 제1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사용자단말(200)에서는 AP정보를 포함하는 룰정보를 메모리(255)에 저장한 후,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현재 접속된 AP정보가 메모리(255)에 기 저장된 예약장소의 AP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체크인 인정을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도4에서는 체크인 과정까지만 설명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제1사용자단말(200)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은 체크인 이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사용자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체크아웃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200)이 업체의 와이파이 존을 벗어났다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좌표정보를 확인한 결과 예약장소로부터 50m 이상 벗어난 것이 확인되었다면 체크인판단부(240)가 체크아웃정보를 생성하고, 체크인정보통지부(245)가 통신처리부(205)와 연계하여 운용시스템(100) 측으로 체크아웃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업체단말(500) 측으로 체크아웃 정보가 전달되어 실시간 점유현황정보에 자동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4의 과정에서는 제1사용자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한 결과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여 체크인이 인정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만약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에 접근하지 아니하여 체크인이 인정되지 않았다면<S425>, 이하 도5 또는 도6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동 체크인 과정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4의 과정을 통해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체크인 인정이 되지 않았다면<S425>, 제1사용자단말(200)의 예약정보안내부(250)는 푸시 기능을 통해 예약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안내<S505>한다. 즉 예약시간이 다가왔는데도 제1사용자가 예약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예약 사실을 환기시켜 신속하게 예약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제1사용자단말(200)의 체크인판단부(240)는 제1사용자가 예약장소로부터 얼마만큼 거리에 있다는 반경정보 또는 예약장소에 도착이 예정되는 도착예정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정보를 생성<S510>하고, 체크인정보통지부(245)는 통신처리부(205)와 연계하여 체크인정보를 운용시스템(100)으로 전송<S515>한다.
즉 도4에서 체크인판단부(240)가 제1사용자단말(200)과 예약장소 사이의 거리(즉, 반경정보)를 산출<S420>하였으며, 이렇게 산출된 반경정보에 포함된 거리를 통상적인 도보속도나 교통수단의 속도로 나누어 이동시간을 산출하면 도착예정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반경정보 또는 도착예정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정보가 운용시스템(100)에 전송되면, 업체정보운용부(125) 및 회원정보운용부(130)는 체크인정보를 업체정보D/B(155) 및 회원정보D/B(160)에 각각 매칭 저장하며, 더불어 반경정보 또는 도착예정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정보를 업체단말(500)과 제2사용자단말(300) 측으로 통지<S525>한다.
즉, 예약시간이 도래하였는데도 제1사용자가 멀리 떨어져 있다면, 업체는 물론 동반 예약된 일행도 제1사용자의 상황을 궁금해 할 것이다. 따라서 반경정보 또는 도착예정시간정보를 업체단말(500)과 제2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면, 업체 직원과 일행인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가 얼마만큼 떨어져 있다거나 몇 분 뒤에 도착이 예정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어서 안심하고 기다릴 수 있는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동 체크인 과정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4의 과정을 통해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체크인 인정이 되지 않았다면<S425>, 체크인판단부(240)는 위치정보확인부(235)와 연계하여 제1사용자단말(200)의 좌표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고, 직전 확인된 위치와 이후 확인된 위치에 따라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와 가까워지고 있는지 확인<S605>한다.
위치정보확인부(235)가 제1사용자단말(200)의 위치를 체크하는 시간 간격에 대한 기준정보는 룰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며, 일정 시간 내에 어느정도 이동하였을 경우를 예약장소로의 이동으로 판단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 역시 룰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14시 30분에는 제1사용자단말(200)과 예약장소까지의 거리가 5km였고, 10분 후인 14시 40분에는 반경 3km가 되었다면 룰정보에 기초하여 체크인판단부(240)는 이동중이라 판단<S610>하는 것이고, 14시 40분에 확인된 반경이 4.8km였다면, 기준 이하로 이동한 것이기 때문에 이동중이라 판단하지 않는 것이다.
일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한 결과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로 이동중임이 확인되었다면<S610>, 체크인판단부(240)는 제1사용자단말(200)이 아직은 체크인 되지는 않았더라도, 예약지로 이동중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예약지이동정보를 포함하여 체크인정보를 생성<S615>하고, 체크인정보통지부(245)는 통신처리부(205)와 연계하여 체크인정보를 운용시스템(100)으로 전송<S620>하여 업체정보D/B(155)와 회원정보D/B(160)에 저장<S625>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운용시스템(100)으로 전송된 체크인정보는 업체단말(500)과 제2사용자단말(300)에도 통지된다.
따라서 제1사용자가 아직 예약장소에 도착하지는 않았더라도, 업체 직원과 일행은 업체단말(500) 또는 제2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출력되는 예약지이동정보를 통해 제1사용자가 예약지로 이동하고 있음을 인지함으로써 안심하고 기다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일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였는데도 제1사용자단말(200)이 예약장소로 이동중인 것이 확인되지 않았다면<S610>, 제1사용자단말(200)의 예약정보안내부(250)는 푸시 기능을 통해 예약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안내<S635>한다. 즉 예약시간이 다가왔는데도 제1사용자가 예약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더불어 예약장소로 이동하지도 않는 것이기 때문에 제1사용자가 예약 사실을 잊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며, 푸시를 통해 예약 사실을 환기시켜 주는 것이다.
여기서 잠시 도5의 예시를 참조하면, 도5의 과정에서는 최초 1회의 위치 확인 과정만 고려하여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푸시로 안내하고 있다. 반면 도6의 과정에서는 최초 1회의 위치 확인 과정을 통해 체크인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한 후(도4의 S425),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추가 위치 확인을 하여 제1사용자가 예약장소로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한 뒤, 이동중임이 확인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예약시간의 도래 사실을 푸시하고 있다. 즉 제1사용자가 아직 체크인 전이기는 하지만 약속 사실을 망각하지 않고 예약장소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5에서와 같이 푸시 안내가 들어온다면, 제1사용자 입장에서는 불쾌하게 여길 수도 있다. 하지만 도6에서와 같이 제1사용자가 예약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후 푸시 안내를 한다면, 제1사용자에게 불필요한 푸시가 전달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6의 과정에서, 예약시간이 도래하였는데도 제1사용자가 예약장소로 이동중인 것이 확인되지 않아 푸시 안내<S635>가 이루어지면, 제1사용자단말(200)의 예약정보관리부(230)는 예약정보에 포함된 예약시간과 제1사용자단말(200)에 내장된 전자시계(미도시)를 비교 확인하여 예약시간이 되었는지 확인<S640>한다. 만약 예약시간이 되지 않았다면 다시 한번 이동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앞선 과정을 거친다.
반면 예약시간(15시)이 되었거나 룰정보에 포함된 자동 예약 취소를 위해 허용되는 시간(15시 20분)까지 지나간 것이 확인되었다면<S645>, 체크인판단부(240)는 자동 예약취소 정보를 생성하고 예약정보안내부(250)는 푸시 기능을 통해 예약이 취소되었음을 안내<S650>한다. 또한 체크인정보통지부(245)는 통신처리부(205)와 연계하여 체크인판단부(240)에서 생성된 예약취소 정보를 운용시스템(100) 측으로 전송<S655>하고, 운용시스템(100)의 업체정보운용부(125)와 회원정보운용부(130)는 업체정보D/B(155) 및 회원정보D/B(160)에 저장된 예약정보에 대한 취소 처리를 수행<S660>한 후 업체단말(500)로 통지<S665>한다.
여기서 예약취소는 서비스 업체의 공간 활용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체크인 기능 및 자동 예약취소 기능을 통해, 제1사용자가 예약장소에 체크인 하지도 않았고 이동중이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즉시 통지하여, 예약된 공간의 활용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자동 예약 취소를 위해 허용되는 시간(대략 20분) 동안 공석으로 남겨둔 좌석이나 테이블에 대한 보상은 어디에서도 받을 수가 없다.
따라서 무분별한 예약취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용시스템(100)은 제1사용자에게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즉 회원정보D/B(160)의 제1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에 예약취소에 대한 기록을 누적한 후, 일정 횟수 이상 예약취소가 발생하면 추후 쿠폰 이벤트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의 벌칙을 적용하는 것이다.
한편 도6의 과정에서는 제1사용자단말(200)에서 예약취소 정보를 생성하고 운용시스템(100)으로 통지하는 예시를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운용시스템(100)에서 예약취소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 후 제1사용자단말(200)과 업체단말(500)로 예약취소 사실을 통지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예약취소는 매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예약취소에 대한 기준을 미리 명확하게 세워 놓아야 한다. 예컨대 제1사용자가 단독 방문을 예약하였을 경우에는 예약취소를 위해 허용되는 시간이 지났을 시 자동 예약취소가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제1사용자의 일행인 제2사용자가 이미 서비스 업체에 방문한 상태라면 일방적인 예약취소는 보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가 음식점, 극장, 커피숍 등 장소와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업체에 대한 예약을 실시하였을 경우, 예약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체크인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를 업체단말(500) 측으로 통지함으로써, 업체에서 수작업으로 예약자를 관리하지 않더라도, 접수되는 체크인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예약자관리가 이루어져 편리하며, 실시간 점유현황(빈자리 정보)이 자동 업데이트되어 종업원들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더불어 실시간 점유현황정보는 업체단말(500) 뿐 만 아니라, 예약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매장 방문을 희망하는 자에게도 미리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붐비는 매장에 직접 방문하였다가 공석이 없어서 발길을 돌리는 불편함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자동 체크인 과정은 서버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에는 서버가 중심이 되어 예약 고객에 대한 예약시간이 다가오는지 확인한 후, 수 회에 걸쳐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다시 받아 체크인 여부를 결정하는 등, 서버 모드 작동에 따라 시스템 구현이 복잡해지고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운용시스템(100)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사용자단말(200,300)에 저장된 룰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200,300) 자체에서 대부분의 절차가 진행될 수 있어서 전체 시스템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확인을 통한 체크인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없다. 즉 자동 체크인 과정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주체는 실질적으로 공간 활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업체인데, 이를 위해 업체와 연계된 서버에서 사용자단말(200,300)의 위치를 요구한 후, 접수된 위치정보를 통해 체크인을 한다면, 사용자의 민감한 개인정보인 위치정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단말(200,300)에 설치된 예약 어플리케이션의 룰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단말(200,300) 자체의 위치정보를 예약장소와 비교한 후 체크인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단말에서 위치정보는 외부로 제공할 필요 없이, 체크인 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만 운용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 되기 때문에, 민감한 위치정보가 새어나갈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예약자가 예약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 예약 절차를 밟을 때 일행정보를 함께 입력하면, 사용자 간의 체크인 여부를 다른 일행에게도 실시간으로 통지함으로써, 먼저 도착한 사용자는 다른 일행이 오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서 안심하고 대기할 수 있고, 반대로 아직 예약장소에 도착하지 않았지만 다른 일행이 먼저 도착한 사실을 확인하였다면, 서둘러 예약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서, 사용자들 간 신뢰를 다지는 밑거름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크인 서비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이 적용된 버스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광역버스 내에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태그 또는 리더기를 설치하면, 버스에 승객이 오르고 내릴때 태그 정보 또는 리더기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자동 체크인과 체크아웃이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자동 체크인 및 체크아웃 정보를 통해 해당 버스의 빈자리 정보(몇 좌석 남아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버스 어플리케이션에 실시간으로 노출됨으로써, 다음 정류장에서 대기중인 승객이 도착 예정 버스에 승차 가능한지를 미리 판단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승객들의 위치정보는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승객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자동 체크인을 수행한 후, 체크인 되었는지의 여부만 서버로 전송하면 된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사용자단말(200,300)에 설치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기능 중 자동 체크인에 대한 과정만 설명하였지만, 예약 어플리케이션은 상술한 내용 외에도 다양한 부가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거리에서 서비스 업체를 방문하고자 하는 자에게 모바일 번호표를 발급함으로써 매장으로 이동하는 시간을 대기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거나, 발급된 모바일 번호표를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다른 사용자에게 양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업체에서 서비스 이용을 마치고 사용자가 업체에서 벗어나면 자동 체크아웃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되, 해당 사용자에게 이용을 마친 서비스 업체에 대한 후기 작성을 요청하여 본인의 SNS를 통해 홍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지금도 인터넷을 통해 언제든지 사용 후기라는 것을 입력할 수는 있지만, 기존에는 후기를 올린 자가 실제 사용자인지의 여부는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을 한 자가 체크아웃하였을 때 후기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실제 사용자에게만 후기를 접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평가가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실제 사용자가 본인의 SNS에 해당 서비스 업체를 방문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여 홍보를 한다거나, 그 링크 정보를 통해 지인이 방문하였을 시에 보상을 해준다면, 홍보 효과는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술한 과정에서는 예약 및 자동 체크인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한 뒤, 종업원을 통해 주문을 하지 않고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뉴를 확인한 후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주문정보는 오프라인 매장의 주방단말이나 포스단말에 자동 업로드 됨으로써 음식 준비나 결제시 참고될 수 있다.
더불어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한 이후 다양한 음식점을 방문하여 정보가 누적되면, 사용자의 취향 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약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음식이나 음식점을 추천해줄 수도 있고, 해당 사용자는 먹어보지 않았지만 해당 사용자와 비슷한 취향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좋은 평가를 내렸던 음식을 추천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더불어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여러명의 지인 정보를 입력한다면, 여러명의 지인에 대한 취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모임장소나 메뉴를 추천해주는 기능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한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마치고 결제를 하면, 자동으로 예약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해당 서비스 업체에서 발급하는 쿠폰이나 마일리지가 적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기존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플라스틱 카드 재질의 쿠폰을 제시하거나, 모바일 상에서 바코드 형태로 제작된 쿠폰을 찾아 제시해야만 쿠폰 적립이 가능하여 번거로운 면이 있었다. 하지만 예약 어플리케이션으로 예약한 사용자의 경우 결제와 동시에 아무런 쿠폰 제시가 없더라도 자동으로 쿠폰이 적립되도록 함으로써, 여러장의 쿠폰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완전히 제거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운용시스템
105 : 인터페이스부
110 : 인터페이스제공부
115 : 정보수신부
120 : 정보제공부
125 : 업체정보운용부
130 : 회원정보운용부
155 : 업체정보D/B
160 : 회원정보D/B
200 : 제1사용자단말
205 : 통신처리부
210 : 디스플레이
215 : 어플리케이션운용부
220 : 예약처리부
225 : 룰관리부
230 : 예약정보관리부
235 : 위치정보확인부
240 : 체크인판단부
245 : 체크인정보통지부
250 : 예약정보안내부
255 : 메모리
260 : GPS수신부
265 : 키입력부
300 : 제2사용자단말
500 : 업체단말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예약시간 및 예약장소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운용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예약 절차를 처리하는 예약처리부;
    상기 예약시간이 도래하면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정보확인부;
    상기 위치정보확인부에서 확인된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에 접근하였는지 또는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체크인정보를 생성하는 체크인판단부; 및
    상기 체크인정보를 상기 운용시스템 측으로 통지하는 체크인정보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인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였다는 체크인인정정보, 상기 단말과 상기 예약장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반경정보, 또는 상기 예약장소에 도착이 예상되는 예정 시간에 대한 도착예정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확인부는 상기 예약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부터 상기 예약시간까지 일정 간격으로 2회 이상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체크인판단부는 상기 2회 이상 확인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예약지이동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예약시간 및 예약장소에 함께 접근하는 일행에 대한 일행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인정보통지부는 상기 체크인정보를 상기 일행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측으로 함께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
    상기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 측으로 업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정보 및 체크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용시스템; 및
    상기 운용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체크인정보를 수신하여 좌석 또는 테이블에 대한 점유현황정보를 갱신하여 출력하는 업체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단말에서 사용자로부터 예약시간 및 예약장소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운용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예약 절차를 처리하는 (a)단계;
    상기 예약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b)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에 접근하였는지 또는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체크인정보를 생성하는 (c)단계; 및
    상기 체크인정보를 상기 운용시스템 측으로 통지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인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였다는 체크인인정정보, 상기 단말과 상기 예약장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반경정보, 또는 상기 예약장소에 도착이 예상되는 예정 시간에 대한 도착예정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예약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부터 상기 예약시간까지 일정 간격으로 2회 이상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2회 이상 확인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예약장소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예약지이동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예약시간 및 예약장소에 함께 접근하는 일행에 대한 일행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인정보를 상기 일행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측으로 함께 통지하는 (e)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6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140171816A 2014-12-03 2014-12-03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175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816A KR101757225B1 (ko) 2014-12-03 2014-12-03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816A KR101757225B1 (ko) 2014-12-03 2014-12-03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713A true KR20160066713A (ko) 2016-06-13
KR101757225B1 KR101757225B1 (ko) 2017-07-12

Family

ID=5619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816A KR101757225B1 (ko) 2014-12-03 2014-12-03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2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848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애스크컬쳐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CN108986356A (zh) * 2018-07-27 2018-12-11 安徽豆智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二维码识别的自助点餐结算系统的点餐方法
KR20210144304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티킷 코리아 컬쳐 게이트 제공을 위한 방문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
WO2022108175A1 (ko) * 2020-11-17 2022-05-27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자동 체크인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46B1 (ko) * 2019-08-19 2020-05-14 박지연 Sns를 이용한 예약 및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10354A (ko) 2021-01-29 2022-08-08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빈자리 검색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8058A (ja) * 2005-05-10 2006-11-24 Ic Brains Co Ltd 座席管理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848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애스크컬쳐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CN108986356A (zh) * 2018-07-27 2018-12-11 安徽豆智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二维码识别的自助点餐结算系统的点餐方法
KR20210144304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티킷 코리아 컬쳐 게이트 제공을 위한 방문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
WO2022108175A1 (ko) * 2020-11-17 2022-05-27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자동 체크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225B1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225B1 (ko) 예약 어플리케이션 기반 자동 체크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단말,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10185921B1 (en) Facility and resource access system
JP5016125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30401495A1 (en)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92945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herein
KR20150027080A (ko) 대기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8651A (ko) 숙박 예약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943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client service management, in a service provider&#39;s facility
JP5003307B2 (ja) 混雑情報提供システム
JP516983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0079374A (ja) 受付処理システムおよび受付処理方法
JP2020119045A (ja) 予約管理装置、それを備えた予約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6023973A (ja) 予約管理方法、予約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装置
JP2007058800A (ja) 予約システム
JP2009070063A (ja) メール連動予約受付システム
KR20180092792A (ko) 노쇼 방지를 위한 예약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시스템
KR20140140300A (ko) 예약 허용인원 설정이 가능한 식당 예약 시스템
JP690876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22769A (ja) 店舗管理システム及び店舗管理方法
JP2010020649A (ja) 携帯呼出システム及びその登録、間近メール発信、状況確認、登録削除、運用の各方法
KR102025862B1 (ko) 노쇼 고객 대응 시스템 및 방법
JP6433043B2 (ja) 予約情報処理装置、予約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82678A (ko)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11687A (ko) 주문실수 예방 및 신속처리 가능한 식당 주문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1120A (ko) 온라인 식당 예약 통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