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678A -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678A
KR20130082678A KR1020110134494A KR20110134494A KR20130082678A KR 20130082678 A KR20130082678 A KR 20130082678A KR 1020110134494 A KR1020110134494 A KR 1020110134494A KR 20110134494 A KR20110134494 A KR 20110134494A KR 20130082678 A KR20130082678 A KR 20130082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erence room
information
user
acces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13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678A/ko
Publication of KR2013008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의실 이용 순서를 포함하는 회의실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와 회의실 정보를 추출하고 상호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된 회의실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상에 위치한 출입 통제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출입 통제대 정보에 대응되는 출입 통제대에 상기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SERVER FOR MEETING ROOM RESERV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의실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원활하게 회의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 및 제어를 수행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회의실 이용자들로 하여금 미리 회의실과 회의실 이용 시간을 지정하여 등록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회의실 예약 시스템은 회의실 중복 사용을 피하고 회의시간에 맞춰 빈 회의실을 찾아 돌아다니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규모가 커서 건물 여러 개의 층을 이용하는 회사의 경우에는 각 층마다 회의실이 구비될 수 있는데, 각 층마다 회의실 이용률이 각기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회사 보안 정책상 다른 층으로의 직원 이동이 극히 제한되어 있고 각 층마다 별도의 출입 통제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직급(예를 들어 팀장) 이상의 직원이 동행해야만 각 층에 구비된 출입 통제대를 통과하여 해당 층에 있는 회의실을 이용할 수 있다는 불편이 존재한다.
이는 다른 층에 있는 회의실에 대한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여 각 층마다 회의실 이용률 편차를 크게 하고, 결국 실제로 다른 층에는 회의실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특정 층에 있는 직원들은 회의 공간 부족으로 회의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회의실 예약을 한 후 이전 회의 종료 시점을 그 다음 회의실 이용자 등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어, 회의가 예상 시간보다 일찍 끝난 회의실은 빈 채로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해당 빈 회의실 근처에 있는 직원 외에는 그 사실을 용이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빈 회의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의 제시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회사 내에 구비된 회의실의 이용률을 최대한 높이면서도 자체 보안 정책은 가급적 최소한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의실 이용 순서를 포함하는 회의실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는, 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부와;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와 회의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상호 매칭시켜 등록하는 회의실 예약 등록부와; 상기 등록된 회의실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상에 위치한 출입 통제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는 경로 확인부와; 상기 경로 확인부에서 추출한 출입 통제대 정보에 대응되는 각 출입 통제대에 상기 회의실 정보에 매칭되어 등록된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의실 이용 순서를 포함하는 회의실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와 회의실 정보를 추출하고 상호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된 회의실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상에 위치한 출입 통제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출입 통제대 정보에 대응되는 출입 통제대에 상기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의실에 대한 이용 예약이 이루어진 경우 그 예약된 이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회의실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상에 위치한 출입 통제대에서의 출입이 일시 허용됨으로써 일반적인 출입이 허용되지 않는 직원에 대해서도 회의실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출입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이처럼 회의실 이용별로 개별적인 출입 통제가 이루어짐으로써 일괄적인 출입 통제의 경우에 비하여 회의실 이용률을 높일 수 있고, 이용자(직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회의가 끝난 후 그 다음 예약자에게 그 사실이 용이하게 통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의실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번의 회의가 일찍 끝날 때마다 회의실 예약 시간을 앞당겨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 새로운 팀(또는 이용자 그룹)이 해당 회의실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대가 추가적으로 생길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실 예약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회의실 대시보드 이용의 일 예이고,
도 3은 도 1의 회의실 예약 서버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4는 각기 다른 회의실 이용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실 예약 서버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각 장치간 이루어지는 제어 및 신호 흐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실 예약 서버(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예약 요청 장치(300), 출입 통제대(200), 출입문 대시보드(400), 회의실 예약 서버(100),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약 요청 장치(300)와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는 모두 이용자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약 요청 장치(300), 회의실 예약 서버(100), 회의실 대시보드(400), 출입 통제대(200)는 사내 통신망(610)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일 예로 한다.
예약 요청 장치(300)는 회의실 예약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 조작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사용자 컴퓨터나 기타 사용자 조작 가능한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회의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예약 요청 장치(300)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 서버(100)에 접속한 후 회의실 예약, 변경, 취소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예약 요청 장치(300)와 회의실 예약 서버(100) 간에는 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호간 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회의실 예약 서버(100)가 예를 들어 웹 페이지와 같은 범용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예약 요청 장치(30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 요청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예약 요청 장치(300)에서 구동되는 예약 요청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소트사에서 제공하는 OUTLOOK과 같은 메일 클라이언트와 연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의실 예약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특정 알림 메시지는 예약 요청 장치(300)에 메일 시스템을 경유하여 메일 형식으로 수신될 수도 있다.
출입 통제대(200)는 외부인이나 기타 권한 없는 직원들의 무분별한 출입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통로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출입자의 카드키와 통신하거나 또는 출입자의 지문이나 홍채를 인식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출입자 확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 통제대(200)가 무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포함하는 직원출입카드와 통신하여 직원출입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인식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를 위해 출입 통제대(200)에는 직원출입카드와 통신하는 통신모듈(미 도시함)과 출입이 허용되지는 여부에 따라 잠금 또는 풀림 기능을 수행하는 출입 통제장치(미 도시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통제대(200)는 지하철 개찰구에 구비된 회전 바 형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출입문 형태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소정의 통로에서 직원출입카드와 통신하여 출입 여부를 제어하는 출입 통제대(200)의 기능과 구성 그 자체는 기 공개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회의실 대시보드(400)는 회의실에 구비되어 회의실을 이용한 이용자가 조작하여 회의실 상황, 회의 시작, 변경, 종료 등 회의실 이용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회의실 대시보드(400)도 앞서 설명한 출입 통제대(200)와 마찬가지로 직원출입카드와 통신하는 통신모듈(미 도시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때 회의실 대시보드(400)는 회의실 이용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해당 회의실 이용자로부터 입력될 때 그 입력하는 이용자 정보를 직원출입카드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회의실 대시보드(400)는 입력버튼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회의실 출입문 바깥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었다.
즉, 회의실을 이용한 직원은 회의실 이용이 끝난 경우 자신의 직원출입카드를 회의실 대시보드(400)에 대고 회의 종료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는 회의실 이용자들이 보유하고 조작하는 통신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이동통신망(620)을 통해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의실 예약 서버(100)가 전송하는 각종 메시지(예를 들어 회의 종료 메시지 등)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수신되는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에 해당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는 이동통신망(620) 및 기지국(630)을 경유하여 회의실 예약 서버(1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회의실 예약 서버(100)와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 간의 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회의실 이용 순서를 포함하는 회의실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회의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예약 요청 장치(300))로부터 회의실 예약 등록을 받고 그에 따라 회의실 이용 순서 등의 회의실 예약 정보를 저장함은 물론, 그 저장된 회의실 예약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회의실 예약 서버(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부(120), 요청 수신부(130), 회의실 예약 등록부(140), 경로 확인부(150), 출입 제어부(160), 메시지 전송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예약 요청 장치(300), 출입 통제대(200), 회의실 대시보드(400)는 물론이고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에 소정의 신호 또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그러한 단말기들로부터 소정 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회의실 예약과 관련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는 곳으로서 예를 들어 회의실 이용자로부터 전송된 회의실 예약 정보, 각 회의실의 위치 및 해당 회의실로 이동하기 위한 루트상에 위치하는 출입 통제대(200) 정보, 각 직원들에 대한 직원출입카드 정보 또는 각 직원들에게 허용된 영역(예를 들어 상주 허용 영역) 정보와 각 직원들의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등 직원들에 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30)는 이용자 단말기(예약 요청 장치(300))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각종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회의실 예약과 관련한 등록 요청, 갱신 요청, 취소 요청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회의실 예약 등록부(140)는 요청 수신부(130)에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와 회의실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상호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에는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직원출입카드 정보,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회의실 정보에는 회의실이 위치한 층, 회의실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는 회의실 이용 시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때 회의실 예약 등록부(140)는 상기 요청 수신부(130)에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 회의실 정보와, 회의실 이용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정보들을 서로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회의실 예약 등록부(140)는 회의 종료 메시지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의 응답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회의실 예약 정보를 동적으로 갱신하는 기능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경로 확인부(150)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등록된 회의실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상에 위치한 출입 통제대(200)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20)로부터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경로 확인부(150)는 회의실 예약 등록을 하는 이용자의 상주 허용 영역을 데이터베이스부(120)로부터 추출하고, 그 추출한 상주 허용 영역으로부터 해당 이용자가 예약 등록한 회의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출입 통제대(200)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출입 제어부(160)는 경로 확인부(150)에서 추출한 출입 통제대(200) 정보에 대응되는 출입 통제대(200)에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회의실 예약을 하고 해당 이용 시간에 맞춰 회의실로 이동하는 이용자가 출입 통제대(200)에서 자신의 직원출입카드를 가까이 대는 경우 출입 통제대(200)는 해당 직원출입카드에 포함된 직원정보를 읽어 회의실 예약 서버(100)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출입 제어부(160)는 그 직원정보를 보내온 출입 통제대(200)가 해당 직원이 미리 이용을 예약한 회의실로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해당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인 경우 출입 허용 신호를 해당 출입 통제대(200)에 전송한다.
직원의 출입 권한을 출입 통제대(200)가 자체적으로 하도록 구성된 경우 출입 제어부(160)는 회의실 이용 예약을 한 직원들의 정보와 예약 시간 등의 예약 정보를 그 예약한 회의실로의 이동 경로 상의 각 출입 통제대(200)에 미리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출입 제어부(160)는 기 등록된 회의실 이용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 시간 범위에 한하여 경로 확인부(150)에서 추출한 출입 통제대(200) 정보에 대응되는 출입 통제대(200)에 해당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회의실에 대해 15:00~16:00에 이용을 예약한 회의실 이용자가 해당 시간 범위 이내에 해당 회의실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출입 제어부(160)는 그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한 각 출입 통제대(200)에 해당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지만, 그 예약 시간을 벗어난 경우 출입 제어부(160)는 그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한 각 출입 통제대(200)에 해당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금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회의실 이용자들은 자신이 예약한 회의실로의 이동 경로상의 출입 통제대(200)들만 통과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데, 도 4에는 이러한 과정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도시하였다.
동 도면에는 3 개의 출입 통제대(211,212,213)가 도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301호의 이용을 예약한 이용자는 해당 예약 시간대에 한하여 제1 출입 통제대(211)와 제2 출입 통제대(212)를 통과할 권한을 획득하게 되고, 311호의 이용을 예약한 이용자는 해당 예약 시간대에 한하여 제1 출입 통제대(211)와 제3 출입 통제대(213)를 통과할 권한을 획득하게 된다.
이처럼 회의실 예약과 그 회의실에 이르게 되는 경로(즉, l1,l2)에 위치한 출입 통제대(200)를 연관시켜 제어하는 경우 예를 들어 311호의 이용을 예약한 이용자가 제2 출입 통제대(200)를 무단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출입 인원의 적절한 통제와 함께 회의실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편의상 동일한 층에서의 회의실을 이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였으나, 각 층마다 회의실이 구비된 경우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각 층마다 구비된 출입 통제대(200)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메시지 전송부(170)는 대시보드(400)로부터 이용 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회의실 이용 순서에서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 정보를 기초로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에게 회의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A라는 회의실에 대해서 첫 번째 이용자들의 회의가 일찍 끝나 해당 이용자가 대시보드(400)를 통해 회의실 이용 종료를 입력하는 경우 대시보드(400)는 이용 종료 신호를 생성하여 회의실 예약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메시지 전송부(170)는 해당 회의실의 두 번째 이용자에게 첫 번째 이용자의 회의실 이용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회의 종료 메시지는 다음 순번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메일 프로그램과 회의실 예약 서버(100)가 연동되는 경우 메일 형태로 다음 순번 이용자의 이메일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시지 전송부(170) 역시 실제로는 통신부(110)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실 예약 서버(100)를 이용하여 각 직원들이 회의실 이용 예약을 하고 해당 회의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신호 흐름 및 제어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예약 요청 장치(300)는 회의실 이용자(직원)의 요청에 따라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1).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와, 회의실 정보를 추출하고 상호 매칭시켜 예약 정보로써 등록한다(단계 S3).
한편, 회의실 예약 후 회의실 이용자가 그 예약한 회의실로 이동하는 중 출입 통제대(200)에서 자신의 직원출입카드를 대면, 출입 통제대(200)는 직원정보를 추출하여 자신의 정보 즉, 출입 통제대(200) 정보와 함께 회의실 예약 서버(100)에 전송한다(단계 S5).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직원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직원에게 출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해당 직원이 이용을 예약한 회의실로 이동하는 경우 거쳐야 하는 출입 통제대(200) 정보들을 추출하고(단계 S7), 그 추출한 출입 통제대(200) 정보가 앞서 직원정보를 전송한 출입 통제대(200)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출입 통제대(200)에서의 해당 직원의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여기서 상술한 단계 S7은 출입 통제대(200)로부터 직원 정보 등이 수신되기 이전에 미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판단결과 출입이 허용되는 경우(단계 S11)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출입 통제대(200)에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S13), 판단결과 출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단계 S11)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출입 통제대(200)에 출입 금지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15).
이에 따라 출입 통제대(200)에서는 해당 출입 통제대(200)를 거쳐야만 도달할 수 있는 회의실에 대해 미리 이용을 예약한 직원들에 대해서는 임시로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실 예약 서버(100)와 회의실에 구비된 대시보드(400) 간의 통신에 의해 빈 회의실 이용률을 높이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회의실 이용을 끝낸 이용자가 회의실에 구비된 대시보드(400)에 자신의 직원출입카드를 대고 회의 종료를 선택하면, 대시보드(400)는 이용 종료 신호를 회의실 예약 서버(100)에 전송한다(단계 S21).
이때 이용 종료 신호에는 해당 회의실을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회의실 고유 번호 등)가 포함될 수 있다.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해당 회의실의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 정보를 추출하는데 예를 들어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 S23).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추출한 경우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해당하는 휴대폰으로 회의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단계 S25).
이때 회의 종료 메시지에는 회의 시간 변경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그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가 현재 비어 있는 회의실을 시간을 앞당겨 이용하기 위해 회의 시간 변경을 선택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단계 S27)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기 저장된 회의실 예약 정보를 동적으로 갱신한다(단계 S29).
예를 들어 그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응답하는 것만으로 쉽게 회의실 이용 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원래 회의실 이용 시간이 16:00~17:00인 예약에 대해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 따라 그보다 40분 앞당긴 15:20~16:20으로 예약 정보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래 회의실 이용 시간이 16:00~17:00인 예약에 대해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 따라 그보다 40분 앞당긴 15:20~16:20으로 예약 정보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그 다음 순번의 회의 이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해당 회의실에 대해 남아 있는 시간(즉, 앞선 회의실 이용자가 예약했던 시간 중 남아 있는 시간)동안 예약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회의 예약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예약 요청 장치(300)와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의 기능을 편의상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회의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또한 회의실 예약 서버(100)는 회의 종료 메시지를 예약 요청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예약 요청 장치(300)와 이용자 통신 단말기(500)는 동일한 장치에 해당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회의실 예약 서버 200 : 출입 통제대
300 : 예약 요청 장치 400 : 회의실 대시보드
500 : 이용자 통신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데이터베이스부 130 : 요청 수신부
140 : 회의실 예약 등록부 150 : 경로 확인부
160 : 출입 제어부 170 : 메시지 전송부

Claims (11)

  1. 회의실 이용 순서를 포함하는 회의실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와 회의실 정보를 추출하고 상호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c) 상기 등록된 회의실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상에 위치한 출입 통제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추출한 출입 통제대 정보에 대응되는 출입 통제대에 상기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는 회의실 이용 시간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 회의실 정보와, 회의실 이용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호 매칭시켜 등록하며,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등록된 회의실 이용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 시간 범위에 한하여 상기 추출한 출입 통제대 정보에 대응되는 출입 통제대에 상기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각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상주 허용 영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등록된 회의실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상주 허용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상주 허용 영역으로부터 회의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각 회의실에 구비되는 대시보드와 통신하여 상기 대시보드로부터 이용 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회의실 이용 순서에서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 정보를 기초로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에게 회의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 종료 메시지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상기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의 응답에 따라 기 저장된 회의실 예약 정보를 동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의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회의실 이용 순서를 포함하는 회의실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에 있어서,
    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부와;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와 회의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상호 매칭시켜 등록하는 회의실 예약 등록부와;
    상기 등록된 회의실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상에 위치한 출입 통제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는 경로 확인부와;
    상기 경로 확인부에서 추출한 출입 통제대 정보에 대응되는 각 출입 통제대에 상기 회의실 정보에 매칭되어 등록된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는 회의실 이용 시간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회의실 예약 등록부는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회의실 예약 등록 요청 신호에서 회의실 이용자 정보, 회의실 정보와, 회의실 이용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매칭시켜 등록하며,
    상기 출입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회의실 이용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이용 시간 범위에 한하여 상기 경로 확인부에서 추출한 출입 통제대 정보에 대응되는 출입 통제대에 상기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출입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각 회의실 이용자에 대한 상주 허용 영역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경로 확인부는 상기 등록된 회의실 이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상주 허용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상주 허용 영역으로부터 회의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각 회의실에 구비되는 대시보드와 통신하고,
    상기 대시보드로부터 이용 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회의실 이용 순서에서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 정보를 기초로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에게 회의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실 예약 등록부는 상기 회의 종료 메시지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상기 다음 순번의 회의실 이용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회의실 예약 정보를 동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실 예약 서버.
KR1020110134494A 2011-12-14 2011-12-14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2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94A KR20130082678A (ko) 2011-12-14 2011-12-14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94A KR20130082678A (ko) 2011-12-14 2011-12-14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678A true KR20130082678A (ko) 2013-07-22

Family

ID=4899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494A KR20130082678A (ko) 2011-12-14 2011-12-14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6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5651A1 (en) * 2019-03-29 2020-10-08 Wework Companies Llc Providing physical spaces, resources, and information to users and managers within a workspace, such as via a member app
CN113052349A (zh) * 2021-06-02 2021-06-29 全时云商务服务股份有限公司 一种云会议盒子多人使用方法、云会议盒子和可读存储介质
KR20220072515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루북 사용자의 편의 기능 확장을 통한 연회장 예약 시스템
CN117592960A (zh) * 2024-01-18 2024-02-23 耐特康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行业沙龙智慧会议签到管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39A (ja) * 1992-07-07 1994-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会議室の予約装置
KR20080006674A (ko) * 2006-07-13 2008-01-17 정무길 무선호출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39A (ja) * 1992-07-07 1994-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会議室の予約装置
KR20080006674A (ko) * 2006-07-13 2008-01-17 정무길 무선호출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5651A1 (en) * 2019-03-29 2020-10-08 Wework Companies Llc Providing physical spaces, resources, and information to users and managers within a workspace, such as via a member app
KR20220072515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루북 사용자의 편의 기능 확장을 통한 연회장 예약 시스템
KR20230037526A (ko) 2020-11-25 2023-03-16 주식회사 루북 사용자의 편의 기능 확장을 통한 연회장 예약 시스템
CN113052349A (zh) * 2021-06-02 2021-06-29 全时云商务服务股份有限公司 一种云会议盒子多人使用方法、云会议盒子和可读存储介质
CN117592960A (zh) * 2024-01-18 2024-02-23 耐特康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行业沙龙智慧会议签到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654B1 (ko) Nfc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4560B1 (ko) 방문자에게 건물로의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US9235943B2 (en) Remote identity verification of lodging guests
AU2012327235B2 (en) A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places
JP6625807B2 (ja) 会議室予約システム、会議室予約方法および会議室予約プログラム
JP5471533B2 (ja) 来訪者入退管理システム
KR101513172B1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사전예약 시스템
KR101424189B1 (ko) 도서관 열람실 좌석 예약 시스템
KR101722900B1 (ko) 임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7091116A (ja) 予約チェックイン方法および予約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KR101857621B1 (ko) 스마트오피스 출입 관리시스템
KR20210033154A (ko) 실시간 숙박시설 관리 시스템
KR20150111885A (ko) 비컨이나 lbs를 이용한 전자사물함, 전자사서함 및 무인택배함 이용 방법
KR20130082678A (ko)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6850A (ko) 휴대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입실 검증시스템을 갖는 도서관 좌석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2077792A1 (ja) 集合住宅システム
JP201402006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室管理方法
JP5743202B2 (ja) 改札装置
JP5955700B2 (ja) 鍵配信システム
KR102143716B1 (ko) Rf-card 기반의 출입통제시스템
JP2011164823A (ja) 受付システム
JP2014148875A (ja) 鍵配信システム
KR101907146B1 (ko) 원거리에서 제어 가능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JP2003288432A (ja) 受付案内装置及び受付案内システム
JP2016224577A (ja) 入局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局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