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674A - 무선호출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674A
KR20080006674A KR1020060065668A KR20060065668A KR20080006674A KR 20080006674 A KR20080006674 A KR 20080006674A KR 1020060065668 A KR1020060065668 A KR 1020060065668A KR 20060065668 A KR20060065668 A KR 20060065668A KR 20080006674 A KR20080006674 A KR 20080006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server
message
radio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무길
Original Assignee
정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길 filed Critical 정무길
Priority to KR102006006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674A/ko
Publication of KR2008000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서비스들이 있고 각 서비스마다 이용자 밀도가 높은 영역에서,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큰 불편과 시간 낭비를 초래하는 현재의 직접 줄서기방법의 단점 및 순서호출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직접 확인해야 하며 번호표를 분실할 수 있는 종이번호표 줄서기방법의 단점을 제거하고, 주어진 한정된 시간 내에 최대한 효과적으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및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로서, 태그ID와 무선서비스이용권을 내장하고 무선호출수신기능과 수동형RFID통신 기능이 통합된 무선통신단말기인 무선호출태그 및 상기 무선호출태그를 중심으로 하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은, 이용자가 상기 무선호출태그로 줄서기신청을 하면; 서버가 분실할 수 없는 무선번호표를 무선호출태그에 무선 기록하고, 서버가 수신한 태그ID로 이용자를 대신하여 가상 줄서기를 수행하며;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에 상기 가상 줄서기 중인 무선호출태그를 자동 무선 호출하는 원격가상줄서기를 수행하여, 이용자의 위치의 제한 없고, 순서 호출을 직접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 호출된 이용자가 언제라도 도착하면 무선번호표로 권한을 검증하여 즉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서기 방법이다.
원격가상줄서기,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무선호출태그, 서버, 태그ID, 무선서비스이용권, 무선번호표

Description

무선호출태그를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Position-free and Computerized Turn-Waiting Method using Pager-Ta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동산 용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전체 구성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도1의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에서, 이용자가 착용하는 무선호출태그의 상세구성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도1의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에서, 무선호출태그와 서버 간 그리고 운영자와 서버간의 통신 중계를 수행하는 질의중계단말기의 상세구성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1의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에서, 서버컴퓨터의 기능에 따른 상세구성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5a는 도4의 서버컴퓨터의 구성요소 중에서, 작업 메모리를 구성하는 놀이시설이용자정보를 표현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5b는 도4의 서버컴퓨터의 구성요소 중에서, 작업 메모리를 구성하는 무선번호표정보를 표현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도1의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본 발명이 정의하는 논리적 DB(즉, 사용자DB, 놀이시설DB, 태그DB)의 상세한 구조 및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7a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원격가상줄서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중에서, 무선호출태그 사용등록 단계 및 무선호출태그 사용등록해지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7b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원격가상줄서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중에서, 놀이시설 줄서기신청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7c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원격가상줄서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중에서, 놀이시설 줄서기조회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7d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원격가상줄서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중에서, 탑승호출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7e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원격가상줄서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중에서, 서비스탑승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7f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원격가상줄서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중에서, 서비스완료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 도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서버부, 101:서버컴퓨터, 102:데이터베이스, 103:무선호출장치, 103a:무선호출통신 프로토콜, 110:질의중계단말기부, 111:태그사용등록단말기, 112:줄서기신청단말기, 113:탑승관리단말기, 111a, 112a, 113a: 무선호출태그와 질의중계단말기 간의 RFID통신 프로토콜, 111b, 112b, 113b: 질의중계단말기와 서버간의 통신 프로토콜; 120:무선호출태그부,
201:무선호출수신장치, 202:수동형RFID태그, 203:마이크로컨트롤러, 204:저장장치, 205:문자표시장치, 206:LED표시장치, 207:버튼입력장치, 208:알람장치, 209:DC전원공급장치;
301:수동형RFID리더, 302:마이크로컨트롤러, 303:서버용통신장치, 304:저장장치, 305:음성출력장치, 306:LCD출력장치, 307:입력장치, 308:AC-DC전원공급장치
401:메시지인터페이스, 402:메시지큐, 403:메시지분배기, 404:메시지처리 프로세스, 405:작업메모리, 406: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407:무선호출인터페이스;
501a:놀이시설리스트, 502a:호출대기리스트, 503a:탑승대기리스트, 504a:탑승대기노드, 505a:탑승완료리스트, 506a:탑승정원, 507a:이용자리스트;
501b:사용태그리스트, 502b:무선번호표리스트, 503b:무선번호표;
601:태그DB구조, 601a,601b,601c,601d : 태그DB의 일 실시 예;
602:이용자DB구조, 602a,602b,603b : 이용자DB의 일 실시 예;
603:놀이시설DB구조, 603a,603b,603c : 놀이시설DB의 일 실시 예;
701:태그사용등록 단계, 702: 놀이시설 줄서기신청 단계, 703:놀이시설 줄서기조회 단계, 704:탑승호출 단계, 705:놀이시설 탑승 단계, 706:놀이시설 서비스완료 단계,707:태그사용등록 해지 단계;
[1] Microchip, "13.56MHz RFID System Design Guide", Microchip Technology Inc., 2001.
[2] 이근호, "무선식별(RFID) 기술? TTA 저널 제 89 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3년 10월호.
[3] RFID Technolgy in Retail White Paper, Intermec, 2003.
[4] 장재득, 장문수, 최송인, "무선주파수인식(RFID) 시스템 기술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19권 제 2 호 2004년 4월.
[5] 한국통신학회지 제 12 권 제 8 호 1995년 8월.
[6] 한국통신학회지 제 14 권 제 3 호 1997년 3월.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서비스가 있으며 각 서비스에 사용자 밀도가 높은 영역에서 효과적인 줄서기 방법인, 무선호출기술과 RFID통신 기술을 통합한 무선호출태그 단말기에 의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 줄서기 방법으로는 직접 줄서기방법과 종이번호표 줄서기 방법이 있다.
직접 줄서기 방법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자신의 차례를 위하여 직접 줄을 서서 기다리다가 자신의 차례가 되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특별히 추가되는 도구 없이 간단하게 구현되는 줄서기 방법이지만,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많을 경우에는 긴 시간을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 육체적인 불편과 시간적 낭비를 초래한다. 또한 직접 줄서기 방식은 놀이동산과 같이 이용해야 할 여러 개의 서비스들이 있을 때, 하나의 서비스에 차례를 기다리기 위하여 다른 이용 가능한 짧은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예와 같이, 제한된 시간을 최대한 서비스 이용에 사용하지 못하는 아주 비효율적인 방식이다.
상기 직접줄서기 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줄서기 방법인 종이번 호표 줄서기방법은 서비스 이용자들의 줄서기 편의를 위하여, 이용자에게 도착 순서대로 순서 번호와 대기자 수가 표시된 종이번호표를 제공하고, 서비스창구에 번호표 출력 화면에 서비스 대상인 순서 번호를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호출하면, 이용자는 이 호출 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줄서기 방법이다. 이러한 상기 종이번호표 줄서기 방법은 종이번호표에 표시된 대기자수를 통하여 대기 시간을 대강 예측할 수 있어서 그 시간 안에 잠시 자리를 비울 수 있고, 기다릴 때에 편하고 자유로운 자세로 순서를 기다릴 수 있는 점에서 직접 줄서기 방법의 단점들을 크게 개선한 줄서기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종이번호표 줄서기방법은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순서를 알기 위해서 서비스 창구의 LCD화면에 출력되는 순서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자신의 종이번호표 상의 순서번호와 일일이 비교해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순서번호의 출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못했거나 확인할 수 없는 위치 혹은 장소에 있을 경우,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고, 종이번호표를 분실한 경우에는 자신의 순서번호를 증명할 수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를 전혀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차례를 놓치거나 종이번호표를 분실한 경우에는 새로 종이번호표를 뽑아서 줄서기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이번호표 줄서기방법은 은행, 관공서, 극장, 병원 등과 같이 하나의 서비스를 제한된 공간에서 제공하는 경우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지만, 놀이동산과 같이 서비스 공간이 넓고, 다양한 놀이 시설들과 편의 시설들이 존재하며, 각 놀이시설의 이용자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적합한 줄서기 방법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줄서기 방법에 의한 단점을 제거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최대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줄서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보다 구체적인 기술 분야는 무선 호출 시스템 기술과 RFID 통신 기술을 통합하고 응용하여 고안한 분야이므로, RFID 시스템 기술과 무선 호출 시스템 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RFID 시스템은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RFID태그(Transponder), 판독 및 해독의 기능을 수행하는 RFID 리더(Interrogator), 그리고 태그로부터 읽어 들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서버 컴퓨터, 응용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로 구성된다[1]. 태그는 송신기와 응답기가 통합된 IC칩과 안테나 회로로 구성되어 태그와 리더 사이의 안테나와 RF모듈에 의해 무선 접속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RFID 시스템에서 리더는 수신기와 송신기가 분리 구성된다.
상기 태그의 안테나 회로는 LC공진회로 또는 장 다이폴 안테나로 구성되어 전송 주파수에 관계된다. 상기 LC공진회로는 100MHz 보다 작은 주파수로 리더기와 태그 사이에 강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발생된 자기장은 리더의 안테나를 통하여 태그의 코일 안테나의 유도성 전압을 발생 에너지로 공급된다[2]. 리더 안테나 코일(1차측)과 태그 안테나 코일(2차측)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은 리더에서 태그의 전원을 공급한다. 이 에너지로 태그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태그의 안테나를 통하여 리더로 전송한다.
태그 내부의 전원 공급 장치의 존재 여부에 따라 능동형 태그와 수동형 태그로 구분된다. 능동형 태그의 경우 자기 자신의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동형 태그의 경우 리더의 유도전류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 받아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능동형 태그는 수동형 태그에 비해 훨씬 먼 거리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다. 수동형 태그는 능동형 태그보다 가볍고 비용이 저렴하며, 동작 수명이 길다. 이러한 이유로 수동형 태그는 전송 시 오랜 시간과 자주 전송이 요구될 때, 데이터 저장에 제한이 없을 때 주로 사용한다[3].
한편, RFID리더는 판독 및 해독 기능을 수행하는 송수신기(리더 또는 Interrogator)로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발진기, 전력증폭기, 피크검출기, 그리고 필터링, 증폭기, 세이핑 등으로 구성된다.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RFID태그(Transponder)는 ROM, RAM, EEPROM 등의 메모리, 변조부, 클록발생부, 인코더, 커맨드검출기, 직류 전원부 등으로 구성된다[4].
한편, 무선호출 시스템은 크게 160Mhz와 323-328.6MHz대의 주파수대에서 동작하는 단방향 무선호출 시스템과 N_PCS 밴드와 ISM 밴드에서 동작하는 양방향 무선 호출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5][6].
무선호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중앙제어장치, 송신기지국, 및 가입자단말기로 구성된다. 중앙제어장치는 무선호출 신호를 만들어 송신 기지국에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신 기지국은 무선호출 신호를 최종적으로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장치이다.
무선호출 신호방식에는 아날로그 신호방식과 디지털 신호방식으로 구별되는데 아날로그 신호방식은 톤 신호를 조합하여 호출하고자 하는 가입자의 번호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TWO-TONE, FIVE-TONE, NECD 등이 있으며, 디지털 신호방식은 펄스부호를 조합하여 호출하고자 하는 가입자의 번호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POCSAG 신호방식, BCH신호방식, GSC신호방식 등이 있으며, 유렵의 국가들은 국가간의 로밍을 위하여 ERMES를 개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줄서기 방법에 의한 단점을 제거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서비스이용에 최대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원격가상줄서기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모델을 정의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이루고자 하는 세 번째 기술적 과제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을 정의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세 가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기능을 도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원격가상줄서기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원격가상줄서기의 개념은 이용자가 고유단말기번호와 무선서비스사용권을 가지고 있는 무선통신단말기로 줄서기신청을 하면; 서버가 분실할 수 없는 무선번호표를 무선통신단말기에 무선 기록하고, 서버가 이용자를 대신하여 수신한 고유단말기번호로 줄서기를 수행하는 것을 가상 줄서기라고 하고;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에 상기 가상 줄서기 중인 무선통신단말기를 자동 무선 호출함으로써 기다리는 위치에 자유롭고 순서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 호출된 이용자가 언제라도 도착하면 무선번호표로 권한을 검증하여 즉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줄서기를 원격가상줄서기라고 한다.
상기 고유단말기번호는 서버가 무선통신단말기를 식별하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무선 통신방식으로 읽고 쓰는 데이터이고, 상기 무선서비스이용권은 서버가 구매한 서비스이용권을 식별하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무선 통신방식으로 읽고 쓰는 데이터이며, 무선번호표는 서버가 줄서기 순서를 식별하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무선 통신방식으로 읽고 쓰는 데이터이며, 상기 무선호출의 내용은 이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이름과 서버가 식별할 수 있는 무선번호표로 구성되는 디지털 데이터이다.
본 발명을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모델을 정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는 핵심 장치로서, 고유단말기번호, 무선서비스이용권, 무선번호표 등 고유 정보를 가지고 이용자를 대표하고; 기본적인 RFID태그 기능에 무선호출수신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휴대성 좋고, 장치의 유지보수에 매우 효과적이며, 수동형 RFID 통신 방식으로 인해 통신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호의 소속인 개개인을 잘 구별할 수 있는 장치인 무선호출태그를 제시한다. 상기 무선호출태그의 고유단말기번호를 본 발명에서는 태그ID라고 부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호출태그를 포함하여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는 하나 의 시스템 모델을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이라고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은 크게 서버(100), 질의중계단말기(110), 무선호출태그(120), 및 이들간의 통신 프로토콜로 정의된다. 상기 서버는 서버컴퓨터(101), 데이터베이스(102), 및 무선호출장치(103)로 구성된다. 상기 질의중계단말기는 서버(100)와 이용자 및 운영자 중간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컴퓨터 단말기로서, 수행하는 작업의 내용에 따라 태그사용등록단말기(111), 줄서기신청단말기(112), 탑승관리단말기(112)로 불린다.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어플리케이션 수준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서버와 질의중계단말기 간의 통신 프로토콜(111b, 112b, 113b), 질의중계단말기와 무선호출태그 간의 RFID 무선 통신 프로토콜(111a, 112a, 113a), 상기 서버(100)에서 상기 무선호출태그(120)로의 무선호출 통신 프로토콜(103a)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요소들 중에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무선호출태그(120)는 놀이동산의 모든 이용자들이 손목에 시계처럼 휴대해야 하는 무선호출 수신기능과 RFID태그기능을 통합한 무선통신단말기로서, 원격가상줄서기를 위한 주요 네 가지 기능을 지원한다. 즉, 상기 무선호출태그는, 휴대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고유 태그ID를 내장하고, 질의중계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무선 송신하는 기능; 이용자가 구매한 서비스이용권에 대한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표현인 무선서비스이용권을 질의중계단말기로부터 무선 수신하여 저장하고, 질의중계단말기의 요 구에 따라 그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거나 삭제하는 기능; 언제 어떤 놀이시설의 서비스를 신청했는지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무선번호표를 질의중계단말기로부터 무선 수신하고, 내장하며, 질의중계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무선 송신하거나 그 내용을 삭제하는 기능; 신청한 놀이시설의 서비스를 이용할 시간임을 알리는 무선호출을 수신하고, 무선호출여부를 해당 무선번호표에 기록하고, 이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호출태그(120)는 수동형RFID태그(201), 무선호출수신장치(202), 마이크로컨트롤러(203), 저장장치(204), 문자출력장치(205), LED표시장치(206), 버튼입력장치(207), 알람 장치(208), 및 DC전원공급장치(209)로 구성된다.
무선호출태그의 무선호출수신장치(202)는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동형RFID태그(201)는 질의중계단말기와 수동형RFID통신 방법에 의하여 상호 명령 메시지와 상기 무선호출태그(120)에 저장하고 있는 고유 정보들을 일대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호출태그의 마이크로컨트롤러(203)는 상기 무선호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장치(204)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상기 알람 장치(208)를 작동시키고, 상기 문자출력장치(205)에 출력하고; 상기 버튼입력장치(207)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문자출력장치에 수신한 문자 정보를 이동하여 출력하고; 상기 수동형RFID태그(201)로부터 질의중계단말기의 명령을 받아 명령을 분석하고 고유 정보를 상기 수동형RFID태그를 통하여 질의중계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기능과 질의중계단말기로부터 정보를 받아 저장장치에 기록하는 수신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LED표시장치(206)를 통하여 상기 무선호출 수신 여부, 상기 무선번호표 수신 여부, 및 전원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 버튼 장치들(207)은 여러 개의 줄서기신청 내역이 있을 경우 상기 문자출력장치(205)에 상기 출력 내용을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화살표버튼, 알람 변경 버튼, 출력내용변경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 장치(208)는 상기 무선호출이 있을 경우 진동과 소리 등의 알람을 주는 장치이다. 상기 저장장치(204)에는 <태그ID>, <무선서비스이용권>, <무선번호표> 등의 고유 정보 및 문서 호출 메시지들을 기록하고 있다. 상기 <태그ID>는 무선호출태그 제조할 때 부여된 고유의 태그ID로써 이용자와 관계없이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는 읽기 전용 시스템 데이터이고, 상기 <무선서비스이용권>은 이용자가 놀이동산에 입장할 때 구매한 놀이동산 내의 놀이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규정하는 시스템 데이터로서, 시스템에서 정의되는 N개의 서비스에 대하여 N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비트 열로서, 비트 위치가 서비스ID가 되고, 각 비트의 값이 이용권이 유/무를 표시하도록 하는 시스템 데이터이고, 등록되면 사용등록 해지 될 때까지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없는 읽기 전용 데이터로서, 사용 등록된 무선호출태그에는 항상 한 개만 정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무선번호표>는 이용자가 상기 무선호출태그로 특정 놀이시설의 줄서기신청을 하였을 때, 시스템으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무선호출태그에 기록되었다가, 해당 놀이시설에 탑승할 때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 삭제되는 특징을 가지는 시스템 데이터로서 <서비스ID, 순서번호, 호출태그>를 표현하는 N개의 비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무선번호표>는 놀이시설과 고유 신청 순서와 무선호출여부를 표 시하는 등의 제어비트를 표시하여야 하며, 같은 놀이시설이 아닌 놀이시설에 대하여 2개 이상의 무선번호표도 동시에 무선호출태그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호출 내용은 <무선번호표, 서비스이름>을 구성되는 시스템 데이터인데, 상기 <무선번호표>는 무선호출태그가 현재 내장하고 있는 <무선번호표>와 비교하기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무선호출태그에 저장된 <무선번호표>의 호출태그를 1로 지정하기 위한 것이고, <놀이시설이름>은 이용자가 이해하기 위한 문자열이다.
그런데 상기 무선호출태그(120)는 자체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수동형RFID통신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호출태그를 착용한 놀이시설 이용자들 측면에서는, 원격가상줄서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어느 놀이시설을 이용하겠다고 신청할 때 무선호출태그가 원거리에 위치한 서버(100)에게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놀이동산의 운영자의 측면에서는, 이용자들의 놀이동산의 입장 및 퇴장 여부, 탑승대기자의 놀이시설 탑승 여부, 놀이시설 서비스 완료 여부 등 각 현장에서 서버가 실시간으로 인지해야 할 정보들을 운영자들이 확인하고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와 서버컴퓨터, 운영자와 서버컴퓨터 간의 의사 소통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중계 컴퓨터 단말기를 질의중계단말기라고 한다. 즉, 질의중계단말기는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 등의 고유정보를 읽거나, 운영자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읽어서,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거나, 상기 질의 중계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구메시지에 대하여 서버가 처리한 결과를 수신하여 무선호출태그로 넘겨주거나, 무선호출태그를 휴대한 이용자 혹은 운영자에게 시각적 혹은 청각적인 방법으로 그 내용을 알려주는 방법으로 상기 의사 소통을 구현한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질의중계단말기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형RFID리더(301), 서버용 통신장치(302), 마이크로컨트롤러(303), 저장장치(304), 음성출력장치(305), LCD출력장치(306), 입력장치(307), 및 AC-DC전원공급장치(308)로 구성된다.
상기 수동형RFID리더는 수동형RFID통신 방식으로 무선호출태그(120)와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하고, 상기 서버용 통신장치는 서버컴퓨터(101)와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한다. 상기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혹은 터치패드 등과 같이 외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이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303) 상기 수동형RFID리더로부터 <태그ID> 등 고유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통보 받아, 상기 저장장치(304)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상기 수신한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컴퓨터(101)로 보내는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용 통신장치(302)를 통하여 서버컴퓨터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컴퓨터가 보낸 처리결과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한 후 분석하여, 상기 음성출력장치(305) 혹은 상기 문자출력장치(306)를 통하여 이용자 혹은 운영자에게 알리거나, 상기 수동형RFID리더(301)를 통하여 무선호출태그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앞서 정의한 서버컴퓨터(101)의 기능별 세부 구조는 도 4에서 도시 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서버컴퓨터는 질의중계단말기(110)와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로부터 요구메시지들을 수신하고, 메시지큐로 순서대로 저장하고, 요구메시지 처리 결과를 상기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로부터 받아 질의중계단말기로 반환하는 메시지 인터페이스(401); 상기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수신한 요구메시지들을 순서대로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 데이터 구조인 메시지 큐(402); 상기 메시지 큐에 있는 요구메시지들을 도착 순서대로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로 분배하는 메시지 분배기(403); 상기 메시지 분배기로부터 요구메시지를 받아 요구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태그사용등록 처리 작업, 줄서기신청 처리 작업, 줄서기조회 처리 작업, 줄서기호출 처리 작업, 탑승확인 처리 작업, 서비스완료 처리 작업, 및 태그사용해지 처리 작업들을 수행하는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 상기 메시지처리 프로세스의 처리 과정에 필요한 놀이시설이용자정보(501a)와 무선번호표정보(501b)를 포함하고 있는 작업 메모리(405); 상기 메시지처리 프로세스의 질의를 받아 데이터베이스(102)에 논리적 DB를 생성, 수정, 삭제, 탐색 등의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로 답을 제공하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406); 및 상기 메시지처리 프로세스에 요구에 의하여 무선호출태그를 무선 호출하는 무선호출 인터페이스(407)로 구성된다.
상기 서버컴퓨터는 작업메모리에 놀이동산 개장시간부터 놀이동산 폐장시간까지의 놀이시설이용자정보와 무선번호표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도 5a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놀이시설이용자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은, 각 놀이시설리스트(501a)에서 각 놀이시설에 대하여 줄서기신청을 한 이용자중에서 무 선호출을 받기 전인 호출 대기자들을 신청 순서대로 관리하는 호출대기리스트(502a), 상기 호출대기리스트에 등록된 이용자들 중에서 무선호출을 받아 탑승을 기다리는 탑승 대기자들을 놀이시설 탑승정원 단위의 집합들의 시간 순서로 관리하는 탑승대기리스트(503a), 상기 탑승대기리스트의 탑승 대기자들 중에서 놀이시설에 탑승하여 서비스를 받고 있는 탑승자들을 놀이시설 탑승정원 단위의 하나의 집합으로 관리하는 탑승완료리스트(505a)가 포함된다. 상기 호출대기리스트는 서버컴퓨터(101)가 특정 놀이시설에 대해 줄서기를 신청한 이용자와 그 상대적인 순서를 기억하고 무선호출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이고, 상기 탑승대기리스트는 시스템이 이미 무선호출을 한 이용자들을 서버컴퓨터(101)가 파악하고 있다가 탑승을 완료하지 못하면 재 호출하거나 늦게 도착하였다고 하더라도 탑승대기리스트에 있다면 바로 탑승하여 서비스를 받도록 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탑승완료리스트는 서버컴퓨터(101)가 인식하는 논리적인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탑승완료리스트 정보는 이용자가 현재 어느 놀이시설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가 파악할 수 있고, 이용자나 운영자가 상기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b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번호표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은사용 등록된 무선호출태그를 중심으로 각 무선호출태그가 줄서기신청을 하여 무선번호표를 발급 받은 순서대로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상기 무선번호표정보를 통하여, 한 이용자가 몇 개의 유효한 줄서기신청이 존재하는지, 그 놀이시설과 줄서기신청은 언제인지에 컴퓨터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컴퓨터로 하여금 줄서 기 신청할 수 있는 놀이시설의 총수를 통제하거나, 이미 줄서기 신청되어 아직 유효한 놀이시설에 대하여 새로운 줄서기신청을 할 수 없도록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정보이다.
상기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의 데이터베이스(102)는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기 위해서 장기간 필요한 모든 정보를 테이블로 표현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다. 상기 서버컴퓨터(101)에 정의된 상기 DBMS(406)는 상기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로부터 질의를 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생성과 삭제, 레코드생성과 삭제, 필드 값 참조 및 수정 등의 다양한 작업을 제어하고, 상기 질의에 대한 최종 답을 구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 프로세스(404)로 반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정의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필수적인 내용은 태그DB(601), 이용자DB(602), 놀이시설DB(603)이다. 그리고 상기 태그DB의 4개의 레코드 실시 예로서 601a, 601b, 601c, 601d에 도시하고, 상기 이용자DB의 3개의 레코드 실시 예로서 602a, 602b, 602c에 도시하고, 상기 놀이시설DB의 3개의 레코드 실시 예로서 603a, 603b, 603c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태그DB는 상기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에 정의된 모든 무선호출태그들이 언제부터 사용등록 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관계형 DB로서, 도 6의 60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태그ID, 사용등록여부, 등록시간>의 3개의 필 드를 한 레코드로 하는 테이블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태그ID> 필드는 시스템이 DB를 탐색할 때 필요한 탐색 키이고, 상기 <사용등록여부> 필드는 시스템이 새로운 이용자에게 사용하지 않는 무선호출태그를 제공할 때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고, <등록시간> 필드는 사용자가 구매한 사용시간에 따른 무선서비스이용권을 시스템이 권한 파악의 기준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상기 이용자DB는 무선호출태그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이름과 구매한 무선서비스이용권 번호를 저장 관리하는 관계형 DB로서, 도 6에서 6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그ID, 이용자이름, 무선서비스이용권>의 3개의 필드를 한 레코드로 하는 테이블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이름> 필드는 무선호출태그를 착용한 이용자의 이름을 기록하는 필드이고, 상기 <무선서비스이용권> 필드는 놀이동산의 놀이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 예로서 놀이시설 이용 범위(예를 들어, 자유이용권)와 놀이시설 이용 시간 (예를 들어, 전일권, 야간권, 이틀권 등)을 표시하여 줄서기 신청 시 그 권한을 컴퓨터가 판별할 때 필요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상기 놀이시설DB는 놀이동산의 모든 놀이 시설들에 대하여 상술한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놀이 시설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로서, 일 실시 예로서 도 6의 60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놀이시설번호, 놀이시설이름, 탑승정원, 서비스시간>의 4개 필드를 한 레코드로 하는 테이블로 표현하였다. 상기 <놀이시설번호>는 탐색키로서 시스템이 놀이시설 인식하는 번호이고, <놀이시설이름>은 무선호출태그의 탑승 대기를 위하여 무선호출 시 이용자가 확인 하도록 하기 위한 놀이시설을 표시하는 문자열이고, <탑승정원>은 시스템이 한번에 무선호출 해야 하는 기준을 제공하는 숫자이고, 서비스시간은 원격 가상 줄서기신청을 한 이용자가 줄서기 조회를 할 때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여 알려줄 때 필요한 정보이다.
본 발명을 이루고자 하는 세 번째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상에서 운영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을 정의하는 것이다.
도7a, 도7b, 도7c, 도7d, 도7e, 도7f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원격가상줄서기의 흐름도는 놀이시설 이용자가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을 이용하여 놀이동산에 입장하여 원격가상줄서기를 사용하고 퇴장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즉, 이용자가 무선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사용 가능한 무선호출태그에 상기 무선서비스이용권이 무선 기록되고, 서버에 태그 사용 등록되고, 이용자에게 상기 무선호출태그가 제공되어, 놀이동산에 입장하는 제 1 단계(701); 무선호출태그에 의해 놀이시설의 줄서기 신청되면, 놀이시설 이용권한 검사 후, 무선번호표가 상기 무선호출태그로 무선 기록되고, 태그ID가 서버의 호출대기리스트에 등록되는 제 2 단계(702); 상기 무선호출태그로 줄서기 내역을 조회하면, 무선호출태그의 줄서기 조회 권한을 검사한 후, 서버가 검색한 줄서기정보를 확인하는 제 3 단계(703); 호 출시작 메시지가 있을 때, 서버가 상기 호출대기리스트에 등록된 이용자들을 놀이시설 탑승정원수만큼 무선호출하고, 탑승대기리스트로 이동 등록하며, 무선 호출된 무선호출태그의 무선번호표에 호출기록하고, 호출된 이용자들이 해당 놀이시설에서 탑승 대기하는 제 4 단계(704); 탑승시작 메시지가 있을 때, 무선호출태그의 탑승 권한을 검사한 후, 놀이시설에 탑승 시키고, 무선번호표를 삭제하고, 탑승대기리스트에서 탑승완료리스트로 이동 등록하는 제 5 단계(705); 놀이시설 서비스가 완료되고, 서비스완료메시지가 발신되고, 탑승완료리스트의 내용이 삭제되고, 호출시작 메시지와 탑승시작 메시지가 발신되는 제 6 단계(706); 그리고 무선호출태그가 반납되고, 태그 사용 등록이 해지 되고, 이용자는 놀이동산을 퇴장하는 제 7 단계(707)로 정의된다.
여기서 줄서기신청 단계에서 서비스 완료 단계는 이용자가 상기 놀이동산에서 놀이 시설을 이용하는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줄서기 신청하는 제 2 단계는 여러 놀이시설에 대하여 여러 번 수행될 수 있고, 줄서기 조회하는 제 3 단계는 줄서기 신청된 하나의 놀이시설에 대하여 생략되거나 여러 번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 설명한 일곱 단계의 흐름도는 놀이동산에 입장한 모든 이용자들에게 독립적이고 병렬적으로 적용된다.
원격가상줄서기의 흐름도의 각 단계를 상술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의 각 장치들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a의 70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호출태그 사용등록과 관련된 상기 제 1 단계(701)는 놀이동산 이용자가 무선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S10), 운영자는 태그사용등록 단말기(111)를 통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호출태그를 선택하여 무선서비스이용권을 기록하고, 무선호출태그의 <태그ID>를 읽고, 입력장치로부터 이용자정보를 읽고, 태그사용등록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는 S11 단계;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는 사용자DB(602)와 <고유인식번호, 이용자이름, 무선서비스이용권>의 레코드를 신규 등록하고, 태그DB의 <태그ID,사용등록여부>의 <사용등록여부> 필드 값을 등록으로 변경하며, 등록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태그사용등록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S12 단계; 상기 처리완료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태그사용등록 단말기가 출력장치를 통하여 운영자에게 알려주고, 운영자는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사용 등록된 무선호출태그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호출태그를 착용한 이용자가 놀이동산에 입장하는 S13 단계로 설명된다.
도 7b의 70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가상줄서기 흐름도에서 무선호출태그를 이용한 놀이시설 줄서기신청과 관련된 상기 제 2 단계(702)는 무선호출태그를 휴대한 이용자가 특정 놀이시설의 줄서기를 신청하기 위하여 줄서기신청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요구할 때(S20) 시작하는 단계로서, 줄서기신청단말기(112)가 무선호출태그(120)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상기 놀이시설의 줄서기신청 권한을 확인하고, 새로운 무선번호표를 발급하고, 줄서기신청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100) 로 송신하는 S21 단계;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는 <놀이시설번호>에 지정된 호출대기리스트(502a)에 <태그ID>를 등록하고, <무선번호표>를 <태그ID>에 지정된 무선번호표리스트(502b)에 신규 등록하고, 등록완료메시지를 생성하여 줄서기신청단말기(112)로 송신하는 S22 단계; 상기 등록완료메시지를 수신한 줄서기신청단말기(112)가 출력장치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S23 단계로 설명된다.
도 7c의 70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가상줄서기 흐름도에서 호출대기 상황에서 무선호출태그를 이용한 놀이시설 줄서기 조회와 관련된 상기 제 3 단계(703)는 무선호출태그를 휴대한 이용자가 줄서기 진행 상태를 조회하기 위하여 줄서기신청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요구할 때(S30) 진행되는 단계로서, 줄서기신청단말기(112)가 무선호출태그(120)로부터 내부 데이터를 읽어, 상기 놀이시설의 줄서기 조회 권한을 확인하고, 줄서기조회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100)로 송신하는 S31 단계;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는 상기 무선호출태그의 대기시간을 계산하고, 줄서기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줄서기신청단말기로 송신하는 S32 단계; 상기 줄서기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줄서기신청단말기는 출력장치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S33 단계로 설명된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가상줄서기 흐름도에서 탑승 대기 시점을 알리기 위한 무선호출과 탑승 대기 실행과 관련된 상기 제 4 단계(704)는 서버컴퓨 터(101)의 메시지 분배기(403)가 호출시작 메시지가 메시지 큐의 최상단에 있음을 확인하고, 놀이시설리스트(501a)의 호출대기리스트(502a)에 호출대기자가 한명 이상 등록되어 있는 조건일 때(S40) 수행되는 단계로서, 서버의 메시지 프로세스(404)가 상기 호출대기리스트(502a)의 대기자들 중에서 상기 놀이시설의 탑승정원 만큼 순서대로 무선호출 하는 S41 단계; 상기 메시지 프로세스는 서버가 무선호출 한 호출 대기자의 태그ID를 호출대기리스트에서 탑승대기리스트(503a)로 이동 등록하는 S42 단계; 무선 호출 문자를 수신한 무선호출태그는 무선번호표에 무선호출내용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무선 호출된 탑승 대기자들이 지정된 놀이시설에 탑승 대기를 실행하는 S43단계로 설명된다.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가상줄서기 흐름도에서 상기 놀이시설 탑승과 관련된 제 5 단계(705)는 탑승관리단말기(113)가 서버(100)로부터 탑승시작 메시지를 수신하고, 동시에 탑승 대기자가 한명 이상 존재할 때(S50) 수행되는 단계로서, 운영자는 탑승관리단말기를 통하여 무선호출태그의 데이터를 읽고, 탑승 권한을 확인 후, 상기 놀이시설의 무선번호표를 삭제하고, 놀이시설에 탑승 시키고, 탑승확인처리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100)로 송신하는 S51 단계;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는 상기 탑승 대기자를 탑승대기리스트(503a)에서 탑승완료리스트(505a)로 이동 등록하고, 처리완료메시지를 상기 탑승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S52 단계; 상기 처리완료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탑승관리단말기는 출력장치를 통하여 운영자에게 알리는 S53 단계; 놀이시설의 탑승정원만큼 탑승하지 않았고,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대기자가 계속 존재하는 지를 검사하여, 놀이서설에 더 탑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S51단계부터 계속하거나 처리를 완료하는 S54 단계로 설명된다.
도 7f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가상줄서기 흐름도에서 놀이시설 서비스 완료와 관련된 제 6 단계(706)는 특정 놀이시설의 서비스가 완료되고, 탑승했던 이용자들이 모두 퇴장하였을 때(S60) 수행되는 단계로서, 놀이시설 운영자가 탑승관리단말기(113)를 통하여 서비스완료처리 요구메시지를 서버(100)에게 송신하는 S61 단계;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는 탑승완료리스트(505a) 내용을 삭제하고, 탑승시작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탑승관리단말기로 송신하고, 호출시작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의 메시지 인터페이스(401)로 송신하는 S62 단계; 상기 탑승시작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탑승관리단말기가 출력장치를 통하여 운영자에게 알리는 S63 단계로 구성된다.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가상줄서기 흐름도에서 상기 무선호출태그 사용등록 해지와 관련된 제 7 단계(707)는 이용자가 놀이동산을 퇴장하면서 무선호출태그를 태그사용등록 단말기(111)의 운영자에게 반납할 때(S70) 수행되는 단계로서, 태그사용등록단말기는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를 읽어, 태그사용해지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는 S71 단계;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는 상기 <태그ID>를 탐색키로 하여 DBMS를 통하여 사용자 DB에 사용자정보 레코드를 삭제하고, 태그DB의 태그사용등록 레코드의 등록여부의 내용을 미등록으로 변경하고, 처리완료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태그사용등록단말기로 송신하는 S72 단계; 상기 등록해지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태그사용등록단말기가 출력장치(306)를 통하여 운영자에 알리는 S73 단계로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제시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은 이용자로 하여금 놀이시설이 많고 각 놀이시설의 이용자 밀도가 높은 놀이동산과 같은 영역에서 놀이시설을 이용하고자 할 때, 직접줄서기방법의 육체적인 불편함과 시간 낭비, 및 종이번호표시스템의 기다리는 위치의 제한과 이용자가 직접 시각적으로 순서를 확인하는 불편을 제거함으로써, 놀이동산 이용자는 주어진 시간을 줄서기에 소비하지 않고 다양한 놀이 시설을 최대한 즐기는데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다리는 위치와 장소의 제한 없고, 순서를 직접 확인할 필요가 없이,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에 서버가 무선호출태그를 무선호출하고, 무선호출을 받고도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한 이용자는 이용자가 도착 즉시 기록된 무선번호표를 검증하여 바로 다음 순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높은 줄서기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이 관리하는 놀이시설이용자정보로부터 이 용자가 현재 어느 놀이시설을 이용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무선호출이 가능함에 따라서 일행에게 긴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은 놀이동산 이 외에 기존의 종이번호표 줄서기방법을 사용하는 은행서비스창구, 관공서, 도서관, 영화관 등과 같은 곳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서비스시설이 하나이고, 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할 필요 없이, 고객이 서비스를 신청할 때 무선번호표를 무선호출태그에 기록하고 제공하면 그 이후의 절차는 동일한 절차로 원격가상줄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서비스이용자는 직접 줄서기 할 필요 없고, 번호표 분실이 없고, 이용자가 차례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직접 확인할 필요 없이, 기다리는 위치에 제한되지 않고, 차례가 되면 시스템이 무선 호출하고, 무선호출태그가 무선호출을 받은 이후 언제든지 도착하면 즉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Claims (17)

  1. 줄서기 개념에 있어서,
    이용자가 태그ID와 무선서비스사용권을 가지고 있는 무선통신단말기로 줄서기신청을 하면; 서버가 분실할 수 없는 무선번호표를 무선통신단말기에 무선 기록하고, 서버가 수신한 태그ID로 이용자를 대신하여 가상 줄서기를 수행하고;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에 무선통신단말기를 자동 무선 호출함으로써 기다리는 위치에 자유롭고, 순서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 호출된 이용자가 언제라도 도착하면 무선번호표로 권한을 검증하여 즉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가상줄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는 시스템 모델로서,
    구조적인 측면에서, 이용자와 운영자의 요구메시지를 질의중계단말기를 통하여 받아 처리함으로써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는, 서버컴퓨터, 데이터베이스, 무선호출장치, 및 서버컴퓨터 상의 운영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서버; 이용자 및 운영자와 서버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컴퓨터단말기로서, 태그사용등록 및 해지 작업, 줄서기신청 및 조회 작업, 및 서비스탑승과 서비스종료 관리 작업에서 통신중계를 수행하는 중계컴퓨터단말기인 질의중계단말기; 무선호출번호를 내장하며 무선서비스이용권, 무선순서표, 및 무선호출메시지를 저장하고, 무선호출수신 기능과 수동형RFID통신 기능이 통합된 무선통신단말기인 무선호출태그; 서버와 질의중계단말기 간의 요구메시지 통신 프로토콜(111b, 112b, 113b), 질의중계단말기와 무선호출태그 간의 RFID 통신 프로토콜(111a, 112a, 113a), 서버(100)에서 상기 무선호출태그(120)로의 무선호출 통신 프로토콜(103a)로 구성되는 통신 프로토콜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운영적인 측면에서, 상기 질의중계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한 이용자와 운영자의 요구에 의하여, 상기 질의중계단말기가 무선호출태그 내부 고유정보 및 입력장치의 입력 데이터를 읽고, 요구메시지를 생성하고, 서버로 송신하면, 서버가 수신한 요구메시지를 서버컴퓨터가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상기 질의중계단말기로 반환하면, 상기 질의중계단말기가 시작적 및 청각적 출력장치에 의해 이용자 및 운영자에게 그 수신한 내용을 알리고, 필요할 때 상기 무선호출태그에게 수신한 처리결과를 무선 송신함으로써 하나의 수행단위를 완료하는 클라 이언트-서버 운영 방식을 특징으로 하되;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질의중계단말기와 무선호출태그의 기능이 기존의 상용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무선통신단말기(예를 들어, 셀룰러폰, 혹은 PDA)에 통합되어, 상기 이동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이용자가 직접 서버로 요구메시지를 송신하고, 그 처리완료메시지 혹은 무선호출을 수신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를 구현하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태그ID는 서버컴퓨터가 무선통신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N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시리얼 번호이고; 무선서비스이용권은 서버컴퓨터가 식별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정의되는 N개의 서비스에 대하여 N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비트 열로서, 비트 위치가 서비스ID가 되고, 각 비트의 값이 이용권이 유/무를 표시하도록 하는 데이터이고; 무선번호표는 서버컴퓨터가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ID, 순서번호, 호출비트>를 표현하는 N개의 비트 열로 구성되는 데이터이고; 또한 상기 무선 호출의 내용은 <무선번호표, 놀이시설이름> 데이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무선번호표>는 무선호출태그 가 현재 내장하고 있는 <무선번호표>와 비트단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무선호출태그에 저장된 <무선번호표>의 호출비트를 1로 지정하기 위한 것이고, <놀이시설이름>은 이용자가 이해하기 위한 문자열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호출태그의 주요시스템 정보를 특징으로 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을 구성하는 무선호출태그에 있어서,
    구조적 측면에서, 질의중계단말기와 수동형RFID통신 방식에 의하여 명령 및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통신하는 수동형RFID태그; 전체 장치의 기능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태그ID, 무선서비스이용권, 무선번호표, 호출문자 등의 간단한 고유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고유정보를 출력하는 문자표시장치; 전원상태와 호출수신상태를 표시하는 LED표시장치; 이용자의 입력 장치인 버튼입력장치; 무선호출을 소리 및 진동으로 알리는 알람 장치; DC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고;
    기능적 측면에서, 이용자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태그ID를 저장장치에 내장 하고, 질의중계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수동형RFID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는 기능; 이용자가 구매한 무선서비스이용권을 질의중계단말기로부터 수동형RFID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질의중계단말기의 요구에 의하여 송신하거나, 무선서비스이용권을 삭제하는 기능; 줄서기신청에 대한 무선번호표를 질의중계단말기로부터 수동형RFID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문자출력장치로 출력하거나, 질의중계단말기의 요구에 의해 무선번호표를 송신하거나 삭제하는 기능; 서버의 무선호출장치로부터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알람 장치를 동작시키며, 수신 내용을 문자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기능적인 특징으로 하며;
    운영적 측면에서, 상기 수동형RFID태그를 통하여 질의중계단말기로부터 명령과 데이터를 수신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명령을 분석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내부 데이터 중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를 골라 수동형RFID태그를 통하여 송신하거나, 수신한 데이터로 저장장치의 내용을 갱신하고, 특정 데이터를 삭제하며; 상기 무선호출수신장치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알람 장치를 동작시키며, 문자출력장치로 출력하거나; 버튼입력장치의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한 마이크로컨트로롤러는 버튼신호를 분석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문자를 선택하여, 문자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태그를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을 구성하는 질의중계단말기에 있어서,
    구조적인 측면에서, 무선호출태그와의 수동형RFID통신방식에 의하여 무선호출태그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동형RFID리더; 요구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고, 그 처리완료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용 통신장치; 상기 수동형RFID리더로부터의 데이터의 흐름과 상기 서버용 통신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흐름을 총괄 제어하고, LCD출력장치 및 음성출력장치로의 출력과 입력장치로의 입력에 의한 데이터의 흐름을 총괄 제어하며, 저장장치의 정보의 관리를 총괄하며, 무선호출태그의 권한검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통신장치로 송신할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서버의 처리결과를 시각적으로 이용자에게 알리는 LCD출력장치; 서버의 처리 결과를 청각적으로 이용자에게 알리는 음성출력장치;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와 같은 이용자 혹은 운영자의 입력장치; 및 AC-DC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구조적 특징으로 하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이용자로부터 줄서기신청과 줄서기 조회에 대한 입력장치 명령을 수신하고,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 무선서비스이용권, 무선번호표 등의 내부에 기록된 고유정보를 읽고, 신청 및 조회 권한을 검사한 후, 줄서기신청, 줄서기조회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그 처리 결과를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출력하거나, 무선호출태그에 처리 결과를 기록하는, 놀이동산 이용자와 서버와의 통신 중계 기능; 운영자로부터 무선호출태그 사용등록 요구 및 사용해지, 이용자의 탑승완료 통보, 놀이시설 서비스 완료 통보 등 입력장치 명령을 받아,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읽고, 태그사용등록 , 태그사용등록 해지, 탑승확인처리, 서비스완료처리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처리완료메시지 및 요구메시지를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운영자와 서버와의 통신 중계 기능을 기능적인 특징으로 하며;
    운영적인 측면에서, 이용자 혹은 운영자가 입력장치를 통하여 명령을 선택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수동형RFID리더를 통하여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들을 받거나, 입력장치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읽어, 서버로 송신할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용 통신장치를 통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용 통신장치를 통하여 처리완료메시지 혹은 요구메시지를 수신하고, LCD출력장치 혹은 음성출력장치로 출력하여 이용자 혹은 운영자에게 수신한 메시지를 알리거나, 수동형RFID리더를 통하여 무선호출태그로 수신한 메시지 중에서 새로운 내부 데이터를 송신하는 흐름을 운영적인 특징으로 하는 질의중계단말기롤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놀이동산에 입장하기 위하여 무선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한 이용자에게, 운영자가 입력장치를 통하여, 현재 사용하지 않는 무선호출태그를 선택하여 무선서비스이용권을 무선 기록하며, 상기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를 읽고, <태그사용등록 , 태그ID, 이용자이름, 무선서비스이용권, 사용등록시간>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여, 서버로부터 처리완료메시지를 받아 운영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무선호출태그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운영자와 서버와의 중계 작업; 및
    무선호출태그를 착용한 놀이동산 이용자가 놀이동산을 퇴장하기 위하여 무선호출태그를 반납하면, 운영자가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반납된 무선호출태그의 태그ID를 읽어, <태그사용등록 해지, 태그ID>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에 송신하며, 서버로부터 처리완료메시지를 받아 운영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운영자와 서버와의 중계 작업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질의중계단말기인 태그사용등록 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입력장치를 통한 줄서기조회 명령에 의해,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 <무선번호표>의 내부정보를 읽어, 해당 놀이시설의 <무선번호표>를 가지고 있으면, <줄서기조회, 놀이시설번호, 태그ID>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에게로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처리완료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이용자와 서버와의 중계 작업 수행; 및
    이용자의 입력장치를 통한 줄서기신청 명령에 의해,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 <무선서비스이용권>, <무선번호표>의 내부정보를 읽어, 상기 해당 놀이시설과 관련된 <무선번호표>가 존재하지 않고 <무선서비스이용권>이 해당 놀이시설을 이용할 권한이 있는가를 확인하고, 새로운 <무선번호표>를 무선호출태그에 무선 기록하고, <줄서기신청, 놀이시설번호, 태그ID, 무선번호표>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처리완료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이용자와 서버와의 중계 작업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질의중계단말기인 줄서기신청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운영자의 입력장치를 통한 탑승권한확인 명령에 의하여, 탑승하려는 이용자의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 무선번호표> 데이터를 읽어, 상기 무선번호표를 검사하여 무선호출 받은 무선호출태그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호출태그로부터 <무선번호표> 데이터를 삭제하게 하고, 놀이시설에 탑승 시키며, 운영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탑승확인 명령에 의해, <탑승확인처리, 놀이시설번호, 태그ID>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에게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처리완료메시지를 받아 운영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운영자와 서버와의 중계작업 수행; 및
    놀이시설의 서비스가 완료되고 놀이시설 이용자들이 모두 퇴장하였을 때, 놀이시설 운영자의 입력장치를 통한 서비스완료처리 명령에 의해, <서비스완료처리, 놀이시설번호>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처리완료메시지와 탑승시작 요구 메시지를 받아, 운영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운영자와 서버와의 중계작업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질의중계단말기인 탑승관리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을 구성하는 서버컴퓨터에 있어서,
    구조적이고 측면에 있어서, 질의중계단말기로부터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요구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수신한 메시지를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는 중계단말기 인터페이스; 상기 중계단말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요구메시지가 규정된 데이터 형태로 도착 순서대로 저장되는 메시지 큐; 메시지 큐에 순서대로 저장된 요구메시지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를 호출하여 분배하는 메시지 분배기; 상기 메시지분배기로부터 호출되고 메시지를 분배 받아 미리 정해진 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메시지처리 프로세스; 상기 메시지처리 프로세스가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인 놀이동산이 개장해서 폐장될 때까지의 실시간으로 변하는 놀이시설이용자정보 및 무선번호표정보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메모리; 상기 장기적으로 유효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생성, 추가, 수정, 참조, 삭제 등의 연산을 하기 위한 질의를 상기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로부터 수신하고, 처리하고, 그 질의의 결과를 반환하는 DBMS; 상기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로부터 무선호출태그를 무선 호출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서버의 무선호출장치를 동작시키는 무선호출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기능적인 측면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줄서기신청 요구메시지를 수신하여 작업메모리에 관리되는 놀이시설이용자정보의 호출대기리스트에 등록하여 가상줄서기를 수행하는 기능; 이용자로부터 줄서기조회 요구메시지를 수신하여 작업메모리에 관 리되는 놀이시설이용자정보의 호출대기리스트, 탑승대기리스트의 내용으로 가상줄서기 대기시간을 계산하여 알려주는 기능; 메시지처리 프로세스가 서비스완료 요구메시지를 처리 할 때 생성한 호출시작 요구메시지를 수신하고 호출대기리스트에 등록되어 가상줄서기 중인 이용자들을 순서대로 놀이시설 탑승정원 수만큼 무선호출을 진행하고, 호출대기리스트에서 탑승대기리스트로 이동하여 등록하는 기능; 운영자로부터 태그사용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이용자정보와 무선호출태그 사용 상태를 등록하는 기능, 운영자로부터 탑승확인처리 요구메시지를 수신하여 탑승대기리스트의 이용자를 탑승완료리스트로 이동하여 등록하는 기능; 운영자로부터 서비스완료처리 요구메시지를 수신하여 탑승완료리스트의 내용을 삭제하고 운영자에게 탑승시작 요구메시지를 보내고, 서버로 호출시작 요구메시지를 보내는 기능; 운영자로부터 태그사용등록 해지 요구메시지를 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자정보를 삭제하고 무선호출태그의 상태를 사용가능상태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운영적인 측면에 있어서, 질의중계단말기로부터 요구메시지가 서버(100)의 서버컴퓨터(101)에 도착하면, 상기 서버컴퓨터의 질의중계단말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요구메시지를 메시지 큐의 끝에 저장하고, 메시지 분배기(403)는 상기 줄서기신청 메시지보다 앞서 저장된 모든 메시지를 처리한 후, 상기 요구메시지를 메시지처리 프로세스(404)에게 분배하면;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는 데이터베이스와 작업메모리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수행을 완료하고;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질의중계단말기 인터페이스(401)를 통하여 해당 질의중계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완료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서버컴퓨터를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10. 상기 9 항에 있어서,
    각 놀이시설번호마다 줄서기를 신청한 이용자의 태그ID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무선호출을 기다리는 호출대기리스트, 무선 호출되어 놀이시설에 탑승 자격을 얻은 이용자들의 탑승대기리스트, 놀이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대기자들의 탑승완료리스트, 및 놀이시설 탑승정원으로 구성되는 일단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놀이시설이용자정보; 및 사용 등록된 각 무선호출태그마다 놀이시설 줄서기 신청하여 수신한 탑승전의 무선번호표 리스트를 관리하는 무선번호표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시간에 따라 그 내용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컴퓨터.
  11. 상기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에 정의된 모든 무선호출태그들이 언제부터 사용등록 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관계형 DB로서, <태그ID, 사용등록여부, 사용등록시간>의 3개의 필드를 한 레코드로 하는 테이블로 표현되는 태그DB; 무선호출태그를 휴대하는 이용자의 이름과 구매한 무선서비스이용권의 정보를 저장하는 관계형 DB로서, <태그ID, 이용자이름, 무선서비스이용권>의 3개의 필드를 한 레코드로 하는 테이블로 표현되는 사용자DB; 및 놀이시설과 관련된 줄서기조회, 무선호출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DB로서, <놀이시설번호, 놀이시설이름, 탑승정원, 서비스시간>의 4개 필드를 한 레코드로 하는 테이블로 표현되는 놀이시설DB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DB의 구조와 내용이 본 발명 시스템을 응용하는 영역에 따라 추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12. 상기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가 무선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운영자는 태그사용등록단말기를 통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호출태그를 선택하여 상기 무선서비스이용권을 기록하고,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를 읽고 상기 태그사용등록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읽어, <태그사용등록 , 태그ID, 사용자이름, 무선서비스이용권, 등록시간>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는 DBMS에 질의하여, 사용자DB에 <태그ID, 사용자이름, 무선서비스이용권>의 이용자정보 레코드를 신규등록하고, 태그DB에 상기 <태그ID>로 <태그ID, 사용등록여부> 레코드를 찾아 등록으로 변경하고, 등록완료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태그사용등록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등록완료메시지를 수신한 태그사용등록단말기가 LCD출력장치를 통하여 운영자에게 알려주면, 운영자는 이용자에게 상기 무선호출태그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호출태그를 착용한 이용자 놀이동산에 입장하는 제 1 단계(701);
    이용자가 줄서기신청단말기를 통하여 놀이시설의 줄서기신청을 요구하면, 줄서기신청단말기가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 무선서비스이용권, 무선번호표> 데이터를 읽어, 줄서기신청 권한을 확인한 후, 새로운 무선번호표를 발급하고, <줄서기신청, 놀이시설번호, 태그ID>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고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태그ID> 데이터를 작업메모리의 상기 <놀이시설번호>에 지정된 호출대기리스트에 등록하고, <무선번호표> 데이터를 <태그ID>에 지정된 무선번호표리스트에 등록하고, 등록완료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줄서기신청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등록완료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줄서기신청단말기에서 출력장치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알리는 제 2 단계(702);
    이용자가 줄서기신청단말기를 통하여 놀이시설 줄서기조회를 요구하면, 줄서기신청단말기가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 무선번호표> 데이터를 읽어, 줄서기조회 권한을 확인한 후, <줄서기조회, 놀이시설번호, 태그ID>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태그ID>의 대기시간을 계산하고, 줄서기정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줄서기신청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줄서기정보메시지를 수신한 줄서기신청단말기가 출력장치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줄서기정보를 알리는 제 3 단계(703);
    <호출시작, 놀이시설번호> 요구메시지를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가 수신하면, 서버가 <놀이시설번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놀이시설이용자정보의 호출대기리스트에 등록된 이용자들을 찾아, 놀이시설이용자정보의 <탑승정원>만큼 순서대로 무선호출하고; 서버는 무선 호출한 호출 대기자를 호출대기리스트에서 탑승대기리스트로 이동 등록하며; 무선 호출 문자를 수신한 무선호출태그는 무선번호표에 무선호출여부를 자동으로 기록하고, 호출된 이용자들은 상기 지정된 놀이시설에 탑승 대기를 실행하는 제 4 단계(704);
    탑승관리단말기가 서버로부터 탑승시작 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운영자는 탑승관리단말기를 통하여 탑승대기자의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 무선번호표> 데이터를 읽고, 탑승 권한을 검사 후, 무선호출태그에서 상기 놀이시설의 <무선번호표>를 삭제하고, 놀이시설에 탑승 시키고, <탑승확인처리, 놀이시설번호, 태그ID> 요 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탑승 대기자를 탑승대기리스트에서 탑승완료리스트로 이동하여 등록하고, 상기 탑승관리단말기로 처리완료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처리완료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탑승관리단말기는 출력장치를 통하여 운영자에게 알리고; 놀이시설에 추가탑승이 가능하면, 처음부터 다시 반복하여 수행하고, 추가 탑승이 불가능하면 종료하는 제 5 단계(705);
    놀이시설 서비스가 완료되면, 운영자가 탑승관리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완료처리, 놀이시설번호>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는 탑승완료리스트의 내용을 삭제하고, 호출시작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의 메시지 인터페이스로 송신하고, 탑승시작메시지를 생성하여 탑승관리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탑승시작메시지를 수신한 탑승관리단말기가 출력장치를 통하여 운영자에게 알리는 제 6 단계(706); 및
    이용자가 운영자에게 무선호출태그를 반납하고 놀이동산을 퇴장하면, 태그사용등록단말기는 무선호출태그로부터 <태그ID> 데이터를 읽어, <태그사용등록 해지, 태그ID>의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태그ID> 필드를 탐색키로 하여, 사용자DB에서 <태그ID, 사용자이름, 무선서비스이용권>의 사용자정보 레코드를 찾아 삭제하고, 태그DB에서 <태그ID, 사용등록여부, 사용등록시간>의 태그사용정보 레코드를 찾아 <사용등록여부>의 내용을 미등록으로 변경하고, <사용등록시간>을 초기화한 후, 처리완료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태그사용등록단말기로 송신하고; 처리완료메시지를 수신한 태그사용등록단말기는 LCD출력장치를 통하여 운영자에게 알려주는 제 7 단계(707)로 정의되며;
    상기 줄서기신청 단계인 제 2 단계에서 놀이시설 서비스 완료 단계인 제 6 단계까지는 이용자가 놀이동산에서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 2 단계는 제 3 단계로 진행되기 전에 여러 놀이시설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단계는 수행되지 않거나 여러 번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13. 상기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줄서기신청 권한 검사 방법에서,
    상기 줄서기신청단말기가 상기 무선호출태그로부터 읽은 <태그ID, 무선서비스이용권, 무선번호표>의 데이터에서, 상기 <무선서비스이용권>이 놀이시설에 대한 이용 권한이 있고, 놀이시설의 <무선번호표>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놀이시설에 대해서는, 아직 호출을 기다리는 유효한 줄서기신청이 없는, 새로운 줄서기 신청이기 때문에 줄서기신청 권한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서기신청 권한 검사 방법을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14. 상기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줄서기조회 권한 검사 방법에서,
    상기 줄서기신청단말기가 상기 무선호출태그로부터 읽은 <태그ID, 무선번호표>의 데이터에서, 상기 <무선번호표> 데이터가 조회하고자 하는 놀이시설에 대한 무선번호표고, 아직 무선호출을 받지 않았다면, 상기 무선호출태그가 상기 놀이시설에 대해 줄서기조회 권한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서기조회 권한 검사 방법을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15. 상기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대기시간 계산하는 방법에서,
    서버의 메시지처리 프로세스는 줄서기신청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줄서기신청, 놀이시설번호, 태그ID>의 요구메시지에서, 우선 작업메모리 상의 놀이시설이용자정보에서 상기 주어진 <놀이시설번호>에 등록된 호출대기리스트에서 <태그ID>보다 더 앞서 등록된 이용자들의 수(N1), 탑승대기리스트의 노드 수(N2), <탑승정원>을 구하고, DBMS에 질의하여 놀이시설DB에서 상기 <놀이시설번호> 데이터로 <놀이시설번호, 서비스시간>레코드를 구한 후;
    (N1/<탑승정원> + N2) * (<서비스시간>*2)의 방식으로 예상 대기시간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16. 상기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무선번호표에 무선호출여부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방법에서,
    무선호출태그가 서버의 무선호출에 의하여 수신한 <무선번호표, 놀이시설이름> 데이터 중에서, <무선번호표>를 무선호출태그의 저장장치에 기록된 <무선번호표>와 비교하여 호출태그비트를 제외한 모든 비트가 동일하면 호출태그 비트를 0에서 1로 값을 바꾸는 방법으로 무선번호표에 무선호출여부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17. 상기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놀이시설 탑승 권한 검사 방법에서,
    상기 탑승관리단말기가 상기 무선호출태그로부터 읽은 <태그ID, 무선번호표>의 데이터에서, 상기 <무선번호표> 데이터가 탑승하고자 하는 놀이시설에 대한 무선번호표고, 상기 <무선번호표>의 호출비트 값이 1인 무선호출을 받은 무선번호표라면, 상기 무선호출태그가 상기 놀이시설을 탑승할 권한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시설 탑승 권한 검사 방법을 포함하는 원격가상줄서기 시스템.
KR1020060065668A 2006-07-13 2006-07-13 무선호출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KR20080006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668A KR20080006674A (ko) 2006-07-13 2006-07-13 무선호출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668A KR20080006674A (ko) 2006-07-13 2006-07-13 무선호출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74A true KR20080006674A (ko) 2008-01-17

Family

ID=3922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668A KR20080006674A (ko) 2006-07-13 2006-07-13 무선호출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6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10B1 (ko) * 2010-02-24 2011-08-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생동성 시험을 위한 피시험자 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678A (ko) * 2011-12-14 2013-07-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9954075B2 (en) 2010-06-29 2018-04-24 Micron Technology, Inc. Thyristor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10B1 (ko) * 2010-02-24 2011-08-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생동성 시험을 위한 피시험자 호출 시스템 및 방법
WO2011105675A1 (ko) * 2010-02-24 2011-09-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생동성 시험을 위한 피시험자 호출 시스템 및 방법
US9954075B2 (en) 2010-06-29 2018-04-24 Micron Technology, Inc. Thyristor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KR20130082678A (ko) * 2011-12-14 2013-07-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5054B2 (ja) 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位置情報管理装置
CN100407679C (zh) 根据基于设备的路由偏好将远程通信路由到用户
CN100438479C (zh) 建立用于基于rfid的远程通信路由的用户帐户
CN100456720C (zh) 用于根据位置将远程通信路由到用户的系统及方法
DE69819160D1 (de) Fernsprechkommunikationssystem mit ortungs- und planungsanlage
CN100498743C (zh) 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US20060143036A1 (en) Facility usag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N101796533A (zh) 提供支持rfid的可移动对象的位置报告的方法、计算机程序产品、终端以及系统
JP2008107918A (ja) 移動体識別管理システム、カードリーダおよび移動体識別管理方法
CN101729695B (zh) 阅读器定位移动人员的有线多席位传呼对讲方法及装置
KR20080006674A (ko) 무선호출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가상줄서기 방법
KR100645955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1223B1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그룹 위치 조회와 메시징 시스템 및 그방법
JP3679388B2 (ja) 視覚障害者誘導システム
KR100886077B1 (ko)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완구를 이용한 멜로디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8684B1 (ko) 전파식별 태그를 이용한 놀이공원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8161695A (ja) 移動体管理システム、移動体管理装置、移動体管理装置システム及び移動体端末装置
JP2007141054A (ja) 位置検索システム
JP3096344U (ja) 案内情報処理装置
KR100677234B1 (ko) 대기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142562B2 (ja) 連絡情報取得システム
KR20010044254A (ko) 대기자 호출 시스템 및 호출 방법
JP2003242541A (ja) 駅務システムにおける終電時刻通知方法、駅務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端末、駅務システムにおける最終電車通知システム、駅務システム
CN104202490A (zh) 主动式rfid卡、语音通讯系统及方法
JP2006349383A (ja) 移動体の探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