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587A -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 - Google Patents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587A
KR20160065587A KR1020140169767A KR20140169767A KR20160065587A KR 20160065587 A KR20160065587 A KR 20160065587A KR 1020140169767 A KR1020140169767 A KR 1020140169767A KR 20140169767 A KR20140169767 A KR 20140169767A KR 20160065587 A KR20160065587 A KR 2016006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screw assembly
storage chamber
drum por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669B1 (ko
Inventor
김성욱
문성일
박만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6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05Hand devices for straining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가 장착되는 착즙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착즙 하우징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면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내측 드럼부; 및 상기 내측 드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의해 착즙된 주스를 저장할 수 있는 주스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외측 드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JUICER HAVING JUICE STORING CHAMBER}
본 발명은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착즙된 주스를 임시 저장하는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주서기는 모터의 힘을 이용하여 야채나 과일로부터 주스를 착즙하는 가정용 기기를 일컫는다. 이러한 주서기는 간편한 사용법, 빠른 착즙 속도 등의 장점들을 지니고 있어 가정에서 직접 주스를 착즙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주서기들이 공지되어 있는데, 한국특허공개문헌 제10-2012-0042606호는 그 중 하나의 주서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의 도 1 내지 6에 개시된 주서기(100)에는 하우징(10)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는 착즙 스크류(22), 착즙망(23) 및 브러쉬(25)가 통합된 이른바 '3 in 1' 타입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이다.
이러한 종래의 주서기(100)의 경우,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에 의해 착즙된 주스는 하우징(10) 밖으로 곧바로 배출되어 별도의 외부 용기(35)에 담겨지게 된다.
그러다 보니, 예측한 것보다 많은 양의 주스가 배출되는 경우 외부 용기(35) 밖으로 주스가 넘쳐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서기(100)가 가동되는 동안 주스 배출량이 외부 용기(35)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지 주시하면서 만약 주스 배출량이 그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황급히 외부 용기(35)를 빈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주서기(100)가 가동되는 동안 하우징(10)과 외부 용기(35)를 연결하는 배출로(13,33)를 일시적으로 막음으로써 착즙된 주스가 하우징(10) 안에 일시 저장하고 주서기 가동 종료 이후에 그 저장된 주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 구조의 하우징(10)은 착즙된 주스를 저장하기에 그 내부 공간이 충분히 크지 않거나, 그 크기가 충분하더라도 착즙된 주스를 하우징(10) 내부 저장할 경우 주스와 펄프의 분리가 원활히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특허문헌의 주서기(100)와 같이 3 in 1 타입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채택한 주서기의 경우 하우징(10) 내부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컴팩트하게 제공되므로 상술한 문제점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문헌 제10-2012-0042606호(2012.05.03)
따라서 본 발명은 주스를 즉시 배출하는 방식의 종래의 주서기에서 나타나는 착즙량 내지 주스 배출량 조절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가 장착되는 착즙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착즙 하우징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면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내측 드럼부; 및 상기 내측 드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의해 착즙된 주스를 저장할 수 있는 주스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외측 드럼부;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상기 주서기는,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주스 저장 챔버에 저장된 주스를 섞는 섞음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섞음봉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섞음봉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연장된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수평 연장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저장 챔버 안으로 연장된 상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드럼부의 외벽 및 상기 외측 드럼부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에는 나선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돌기는 상기 저장 챔버 내의 주스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에는 상기 내측 드럼부 내에서 착즙된 주스를 상기 주스 저장 챔버로 안내하는 주스 안내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저면부, 상기 내측 드럼부 및 상기 외측 드럼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드럼부의 하단에 상기 주스 저장 챔버 내의 주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주스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서기는 상기 주스 배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출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즙 하우징에 외측 드럼부를 추가 구성하여 주스 저장 챔버를 형성함으로써, 착즙 과정에 아무러 문제를 발생시킴 없이 착즙된 주스를 착즙 하우징 내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주스 저장 챔버를 통해 착즙되는 주스의 양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정도로 착즙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즉시 배출 방식에서 겪게 되는 주스 착즙량 조절 내지 주스 배출량 조절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착즙 과정이 종료된 후 착즙량에 부합하는 주스 용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주스 배출량보다 작은 크기의 주스 용기를 사용하다가 용기 밖으로 주스가 넘쳐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스 저장 챔버 내에 저장된 주스를 고르게 섞는 섞음봉을 구비함으로써 주스 저장 챔버 내에 저장된 주스를 배출시키기 전에 음용하기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서기를 조립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착즙 하우징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5는 도 1의 주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4는 착즙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의 주서기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고, 도 5는 착즙 과정 종료된 후 주스 저장 챔버로부터 외부로 주스를 배출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서기를 조립된 상태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1)는, 구동 유닛(10),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커버 하우징(30), 착즙 하우징(40), 및 섞음봉(50)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10)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에 제공한다. 이에 구동 유닛(1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는 구동 유닛(10) 안에 내장되어 있는데, 모터의 회전축(11)은 구동 유닛(10)의 상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구동 유닛(10)은 주서기(1)의 최하측에 배치됨으로써 그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들(20,30,40)을 지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는 착즙 하우징(40) 내에 장착되며, 주서기 작동 시 구동 유닛(10)이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야채나 과일 등의 착즙 대상물을 분쇄 및 압착함으로써 착즙 대상물을 주스와 펄프로 분리시키는 착즙 작업을 수행한다.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는 그 중심부에 회전축(21)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회전축(21) 하단부에 전술한 모터의 회전축(11)이 결합됨으로써 모터 회전력이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에 전달되며,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회전축(21) 상단부가 커버 하우징(30)의 저면에 삽입 지지됨으로써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회전 자세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는 앞서 소개한 바 있는 '3 in 1'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는 도 1에 도시된 착즙 스크류(22) 및 착즙망(23)과 함께 착즙망(23)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브러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 스크류(22)에는 착즙 대상물을 분쇄, 압착하기 위한 착즙날(22a)이 나선형 배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착즙망(23)은 다수의 착즙홀들이 형성된 메쉬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착즙홀들을 통해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에 의해 착즙된 주스가 착즙망(23) 안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착즙 과정에서 형성된 주스와 펄프가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30)은 그 하측에 배치되는 착즙 하우징(4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착즙 하우징(40)의 상측 개구를 커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30)에는 착즙 하우징(40)과 연통되는 투입구(31)가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투입구(31)를 통해 착즙 하우징(40) 안으로 착즙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투입구(31)에 도 1에 도시된 압축봉(32)을 삽입하여 사전 투입된 착즙 대상물을 하방 가압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착즙 과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착즙 하우징(40)은 주서기(1)의 착즙 과정이 진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안에는 전술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20)가 장착되며, 착즙 과정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예로써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착즙 하우징(40)은 저면부(41), 내측 드럼부(42), 및 외측 드럼부(43)를 포함한다.
저면부(41)는 착즙 하우징(40)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그 중심부에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회전축(21)이 삽입 지지되는 삽입보스(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41)에는 내측 드럼부(42) 안에서 착즙된 주스를 외측 드럼부(43) 측으로 안내하는 주스 안내 채널(41b)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드럼부(42)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전술한 저면부(41)와 일체로 형성된다.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분쇄 및 압착을 통한 착즙 과정은 이 내측 드럼부(42) 내에서 수행된다.
외측 드럼부(43)는 내측 드럼부(42)를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에 의해 착즙된 주스를 저장할 수 있는 주스 저장 챔버(C)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외측 드럼부(43) 역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전술한 저면부(41)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주스 저장 챔버(C)는 전술한 주스 안내 채널(41b)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내측 드럼부(4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내측 드럼부(42) 안에서 착즙된 주스는 주스 안내 채널(41b)을 통해 주스 저장 챔버(C)로 이동될 수 있다.
외측 드럼부(43)의 하단에는 주스 저장 챔버(C) 내의 주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주스 배출구(43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주스 배출구(43a)에는 배출캡(44)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배출캡(44)은, 착즙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주스 저장 챔버(C)에 착즙된 주스가 저장되도록 주스 배출구(43a)에 삽입되는 한편 주스 저장 챔버(C)에 저장된 주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스 배출구(43a)로부터 제거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외측 드럼부(43)의 하단에는 착즙 과정에서 생성된 펄프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펄프 배출구(43b, 도 1 참조)가 또한 구비되어 있다. 펄프 배출구(43b)는 내측 드럼부(42)의 내부 공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드럼부(42)의 내벽과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결됨으로써, 그 이격 공간에 형성되는 펄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섞음봉(50)은 주스 저장 챔버(C)에 저장된 주스를 고루 섞어주기 위한 것으로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로부터 회전력을 받음으로써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섞음봉(50)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섞음봉(50)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연장된 수평 연장부(51), 및 수평 연장부(51)의 외측단으로부터 주스 저장 챔버(C) 안으로 연장된 상하 연장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착즙 하우징(4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내측 드럼부(42)의 외벽에는 나선형 돌기(42a)가 형성될 수 있다.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와 함께 섞음봉(50)이 회전할 때 주스 저장 챔버(C) 내의 주스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주스 저장 챔버(C) 내에서 회전하는 주스는 나선형 돌기(42a)에 의해 위로 상승하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주스 저장 챔버(C) 내의 주스가 그러한 상승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나선형 돌기(42a)의 배열 방향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 스크류 조립체(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된 경우 나선형 돌기(42a)는 왼나사의 나사산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르는 배열로 형성되고, 그 반대로 착즙 스크류 조립체(2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된 경우 나선형 돌기(42a)는 오른나사의 나사산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르는 배열로 형성된다.
이처럼 주서기(1)에 섞음봉(50)과 더불어 나선형 돌기(42a)가 구비되는 경우 주스 저장 챔버(C) 안의 주스는 수평 방향의 운동 성분과 함께 상하 방향의 운동 성분을 갖게 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섞여질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주스 저장 챔버(C) 안의 주스가 나타내는 상승 작용에 의해, 내측 드럼부(42)에서 착즙된 주스가 외측 드럼부(43)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있게 된다.
도 3은 단지 내측 드럼부(42)의 외벽에만 나선형 돌기(42a)가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지만, 이러한 나선형 돌기(42a)는 외측 드럼부(43)의 내벽에 형성될 수도 있고, 내측 드럼부(42)의 외벽 및 외측 드럼부(43)의 내벽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주서기(1)의 동작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착즙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의 주서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착즙 과정 종료된 후 주스 저장 챔버로부터 외부로 주스를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착즙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커버 하우징(30)에 마련된 투입구(31)를 통해 착즙 하우징(40) 안으로 착즙 대상물이 투입되는 한편,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와 섞음봉(50)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주스 배출구(43a)에는 배출캡(44)이 끼워져 있다.
착즙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착즙 대상물은 주스(J)와 펄프(P)로 분리된다. 이때 펄프(P)는 펄프 배출구(43a, 도 1 참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내측 드럼부(42) 안에서 착즙된 주스(J)의 상당 부분은 주스 이동 채널(41b)을 통해 주스 저장 챔버(C)로 이동하여 임시로 저장된다. 그리고, 주스 저장 챔버(C)에 저장된 주스는 회전하는 섞음봉(50)에 의해 음용하기 좋도록 고루 섞여진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착즙 과정이 종료되면 주스 배출구(43a) 아래에 착즙된 주스(J)의 양에 알맞은 용량의 주스 용기(A)를 배치하고 주스 배출구(43a)로부터 배출캡(43a)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주서기(1)에 의해 착즙된 주스가 주스 배출구(43a)를 통해 주스 용기(A)로 이동하여 담겨진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1)에 의하면, 착즙 하우징(40)에 외측 드럼부(43)를 추가 구성하여 주스 저장 챔버(C)를 형성함으로써, 착즙 과정에 아무러 문제를 일으킴 없이, 착즙된 주스를 착즙 하우징(40) 내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주스 저장 챔버(C)를 통해 착즙되고 있는 주스의 양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정도로 착즙량을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므로, 착즙된 주스를 즉시 배출하는 방식의 종래의 주서기 사용 시 나타나는 주스 착즙량 내지 주스 배출량 조절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착즙 과정이 종료된 후 착즙된 주스의 양에 부합하는 용량의 주스 용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주스 배출량보다 작은 크기의 주스 용기를 사용하다가 용기 밖으로 주스가 넘쳐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1)에 의하면, 주스 저장 챔버(C) 내에 저장된 주스를 고르게 섞는 섞음봉(50)이 구비됨으로써 주스 저장 챔버(C) 내에 저장된 주스를 음용하기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주서기
10 : 구동 유닛
11 : 회전축
20 : 착즙 스크류 조립체
22 : 착즙 스크류
23 : 착즙망
30 : 커버 하우징
31 : 투입구
40 : 착즙 하우징
41 : 저면부
41b : 주스 안내 채널
42 : 내측 드럼부
43 : 외측 드럼부
43a : 펄프 배출구
43b : 주스 배출구
44 : 배출캡
C : 주스 저장 챔버

Claims (10)

  1.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가 장착되는 착즙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착즙 하우징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면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내측 드럼부; 및
    상기 내측 드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의해 착즙된 주스를 저장할 수 있는 주스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외측 드럼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주스 저장 챔버에 저장된 주스를 섞는 섞음봉을 더 포함하는 주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섞음봉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와 일체로 형성된 주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섞음봉은,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연장된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수평 연장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저장 챔버 안으로 연장된 상하 연장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드럼부의 외벽 및 상기 외측 드럼부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에는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주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돌기는 상기 저장 챔버 내의 주스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된 주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에는 상기 내측 드럼부 내에서 착즙된 주스를 상기 주스 저장 챔버로 안내하는 주스 안내 채널이 형성된 주서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저면부, 상기 내측 드럼부 및 상기 외측 드럼부는 일체로 형성된 주서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드럼부의 하단에 상기 주스 저장 챔버 내의 주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주스 배출구가 구비된 주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스 배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출캡을 더 포함하는 주서기.
KR1020140169767A 2014-12-01 2014-12-01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 KR10233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67A KR102335669B1 (ko) 2014-12-01 2014-12-01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67A KR102335669B1 (ko) 2014-12-01 2014-12-01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87A true KR20160065587A (ko) 2016-06-09
KR102335669B1 KR102335669B1 (ko) 2021-12-06

Family

ID=5613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767A KR102335669B1 (ko) 2014-12-01 2014-12-01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6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4839A (zh) * 2007-11-15 2010-10-06 Seb公司 具有配备过滤器的工作容器的家电设备
KR20120042606A (ko) 2010-10-25 2012-05-03 이승룡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226036B1 (ko) * 2012-07-04 2013-01-24 김화식 주스 착즙기
KR20130042991A (ko) * 2011-10-19 2013-04-29 코웨이 주식회사 테이퍼 구조의 하우징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4839A (zh) * 2007-11-15 2010-10-06 Seb公司 具有配备过滤器的工作容器的家电设备
KR20120042606A (ko) 2010-10-25 2012-05-03 이승룡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30042991A (ko) * 2011-10-19 2013-04-29 코웨이 주식회사 테이퍼 구조의 하우징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226036B1 (ko) * 2012-07-04 2013-01-24 김화식 주스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669B1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6010B2 (ja) ジューサー用搾汁モジュール
CA2876055C (en) Juicer
KR20200103103A (ko) 푸드 프로세서
CN102462406A (zh) 包括压榨螺杆的烹饪制备家电设备
KR102085392B1 (ko) 회전식 작동장치 및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CN102665494A (zh) 包括压榨螺杆和预切割装置的烹饪制备家电设备
CN109330340B (zh) 上部通电榨汁机
KR101480934B1 (ko)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CN104720549A (zh) 具有改进型榨汁筒紧固结构的榨汁机
KR20150066949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EP3027088B1 (en) Juic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itrus fruits and the like
KR200475273Y1 (ko) 착즙기
KR20160065587A (ko)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
KR102124596B1 (ko) 분리회전형 주서기
KR102326230B1 (ko) 드럼 수납 시스템을 구비한 음식물 압착기
KR20170013022A (ko) 이중 메쉬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209153029U (zh) 食物处理机
CN209106919U (zh) 过滤组件及食物处理机
KR102261629B1 (ko) 세척을 위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KR102295790B1 (ko) 축 방향 지지부를 갖는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JP6159882B2 (ja) パルプ量調節可能なジューサー
KR20160066864A (ko) 주서기
KR101406467B1 (ko) 착즙기
KR102358627B1 (ko) 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94673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