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370A -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370A
KR20160065370A KR1020140168998A KR20140168998A KR20160065370A KR 20160065370 A KR20160065370 A KR 20160065370A KR 1020140168998 A KR1020140168998 A KR 1020140168998A KR 20140168998 A KR20140168998 A KR 20140168998A KR 20160065370 A KR20160065370 A KR 20160065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actuating
red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161B1 (ko
Inventor
이기석
김상연
배성주
신희규
유호균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8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1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4Collecting-traps with tipping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18Box traps with pivoted closure fl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2Box traps with dropping co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포획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포획장치는: 포획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로 오르도록 구비되는 오름판과,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작동판 및 작동판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획장치{TRAP APPARATUS}
본 발명은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을 포획하는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구 또는 생태계의 보존을 목적으로 하여 야생 동물을 포획하는 일이 번번하다.
특히, 거북의 경우 근자에 외래종인 붉은귀거북 등이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즉, 붉은귀거북은 잡식성의 반수생 민물붉은귀거북으로 남생이와 사는 곳이 겹쳐 토착종인 남생이를 밀어내고 자리잡아 남생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정도로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또한, 토종 붕어등도 가리지 않는 식성에 수중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
이러한 붉은귀거북은 통상적으로 물가에서 자생하면서 수중과 육지를 오가며 생활을 하며, 주로 호수, 습지, 저수지, 유속이 느린 곳에서 서식하고, 수중에서도 장시간 활동을 할 수 있으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수면으로 올라와 호흡을 한 후 다시 수중으로 잠수를 하며, 일광욕을 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42075호 (공고일 : 2012.05.07, 발명의 명칭 : 민물붉은귀거북 생포용 덧 )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작이 용이하며, 붉은귀거북의 습성을 이용하여 포획이 가능한 상태에서 작동부가 작동될 수 있어 포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는: 포획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 오르도록 구비되는 오름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작동판 및 상기 작동판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판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판은 각각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작동판복원부재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판복원부재는 상기 작동판의 외측단에 형성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발판과, 상기 작동판을 상기 본체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발판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지지부의 지지를 해제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은 발판복원부재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은 상기 오름판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발판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는 본 발명의 목적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의 습성을 이용하여 포획할 수 있고, 특히 붉은귀거북이 작동판에 도달한 상태에서 작동판이 작동될 수 있어 포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의 회동에 의해 작동판이 연동되는 구조에 의해 별도의 작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작동판과 발판이 구조적 특징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포획작동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작동판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발판 작동에 의한 작동판의 직동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작동판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발판 작동에 의한 작동판의 직동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100)는 본체(110), 오름판(120), 작동판(130) 및 작동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100)는 호수, 습지, 저수지 등 유속이 느린 곳에서 서식하며,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을 포획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포획장치(100)는 붉은귀거북이 비타민 D₃합성, 소화촉진, 체온조절, 면역체계활성화, 살균 및 휴식을 위한 일광욕이 필수적인 습성을 이용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한다.
본체(110)는 포획공간(112)이 구비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붉은귀거북을 포획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오름판(120)은 본체(110)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붉은귀거북이 본체(110)의 상부로 오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는 붉은귀거북이 일광욕을 위해 바위나 물 위의 지형지물에 오르는 습성을 이용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하기 위한 구성이다.
작동판(130)은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이러한 작동판(130)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하부로 회동되어 양측으로 벌어지므로 붉은귀거북을 포획공간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작동판(130)은 각각 본체(110)에 작동판힌지축(132)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작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작동판복원부재(135)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작동판복원부재(135)는 작동판(130)의 외측단에 형성되는 무게추로 이루어진다. 즉, 작동판(130)의 외측은 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작동판(130)의 외측단에 작동판복원부재(135)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작동판(130)을 작동판복원부재(135)의 무게에 의해 피벗운동하게 하므로써, 작동판(130)이 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최초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작동판복원부재(135)는 작동판(130)의 외측단 저면에 형성된다.
작동부(140)는 작동판(130)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시킨다. 이러한 작동부(140)는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발판(150)과, 작동판(130)을 본체(110)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160) 및 발판(150)의 회동에 연동되어 지지부(160)의 지지를 해제하는 연동부(170)를 포함한다.
발판(150)은 본체(110)에 발판경첩(152)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작동판(130)과 마찬가지로 발판복원부재(155)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된다. 즉, 발판(150)의 외측은 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발판(150)의 외측단에 발판복원부재(155)가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판(130)의 개폐방향의 직각방향에 구비되어 개폐된다. 그리고, 발판(150)은 오름판(120)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이는 붉은귀거북이 일광욕을 위해 오름판(120)을 통해 본체(110)의 상부로 올라온 상태에서 작동판(130)을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붉은귀거북의 포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부(160)는 본체(110)에 힌지 연결되는 제1작동바(162)와, 작동판(130)에 힌지 연결되는 제2작동바(164) 및 제1작동바(162)와 제2작동바(164)가 일측방향으로만 접어지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재(166)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동부(170)는 발판(150)과 지지부(160)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172) 및 와이어부재(172)를 안내하는 안내부재(175)를 포함한다.
힌지부재(166)는 제1작동바(162)와 제2작동바(164)의 일면을 상호 연결하고, 일측으로 접어지는 작동경첩을 포함한다. 즉,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동바(162)와 제2작동바(164)는 단부가 상호 접하며, 힌지부재(166)가 제1,2작동바의 본체(110) 내측방향으로 구비되어 본체(110)의 외측방향으로 접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와이어부재(172)의 일단은 발판(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부(160) 중 힌지부재(166)와 인접하게 연결된다.
이때, 제1,2작동바(162,164)와 힌지부재(166)에 의해 원활하게 접어질 수 있도록 안내부재(175)에 의해 와이어부재(172)는 본체(110)의 측면에서 지지부(160)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175)는 본체(1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안내홀(176)과 안내홀(176)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원형링(177)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측면 각각에는 2개의 안내홀(176)이 형성되며, 발판(150)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172)는 첫번째 안내홀(176)을 통해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되고, 두번째 안내홀(176)을 통해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어 힌지부재(166)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원형링(177)은 안내홀(176)의 날카로운면을 제거할 수 있어 와이어부재(17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와이어부재(172)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100)는 붉은귀거북에 대한 생태계파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붉은귀거북이 일광욕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할 수 있는 장치이다.
붉은귀거북을 포획하기 위해 붉은귀거북이 서식하는 호수, 습지, 저수지 등 유속이 느린 곳에 포획장치(100)를 설치한다.
본체(110)의 전면에는 경사지게 구비되는 오름판(120)이 구비되며, 본체(110)의 상부는 작동판(130)에 의해 커버된 상태이다. 붉은귀거북은 비타민 D₃합성, 소화촉진, 체온조절, 면역체계활성화, 살균 및 휴식 위해 일광욕이 필수적임으로 오름판(120)을 이용하여 물밖으로 나오게 된다.
붉은귀거북은 일광욕을 위해 오름판(120)을 따라 본체(110)의 상부로 오르고, 작동판(130)의 상부에 도달하여 일광욕을 하게 된다. 이때, 작동판(130)은 지지부(16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이후, 작동판(130)의 상부로 일광욕을 위해 오른 붉은귀거북이 발판(150)에 도달하게 되면, 발판(15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판(150)은 발판경첩(152)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되고, 발판(150)의 회동과 연동되어 작동부(140)가 작동되어 작동판(130)을 개방하게 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붉은귀거북의 하중에 의해 발판(150)이 회동되게 되면, 발판(150)에 연결된 와이어부재(172)가 당겨지게 되고, 와이어부재(172)의 당겨짐에 의해 제1,2작동바(162,164)는 힌지부재(166)를 중심으로 접어지게 되어 작동판(130)의 지지를 해제시킨다.
지지부(160)의 지지가 해제됨에 따라 작동판(130)은 붉은귀거북의 하중에 의해 작동판힌지축(13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벌어지게 된다. 이처럼 작동판(130)이 하부로 회동되어 벌어지면, 작동판(130) 상부에 위치한 붉은귀거북은 본체(110)의 포획공간(112)으로 떨어져 포획된다.
이때, 와이어부재(172)는 안내홀(176)에 의해 힌지부재(166)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2작동바(162,164)의 원활한 접힘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원형링(177)에 의해 와이어부재(172)과 안내홀(176)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와이어부재(172)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작동판(130)의 벌어짐으로 붉은귀거북이 포획된 이후, 발판(150)과 작동판(130)은 각각의 발판복원부재(155)와, 작동판복원부재(135)의 하중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된다.
발판복원부재(155)와 작동판복원부재(135)는 각각의 발판(150)과 작동판(130)의 외측단 저면에 형성되고, 기립된 상태에서도 각각의 발판경첩(152)과, 작동판힌지축(132)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하중에 의해 발판(150)과 작동판(130)을 최초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동판(130)의 최초위치 복원에 의해 지지부(160)가 작동판(130)을 지지한 상태이므로 지속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에 의하면,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으며, 발판의 회동에 의해 작동판이 연동되는 구조에 의해 별도의 작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작동판과 발판이 구조적 특징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포획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포획장치 110 : 본체
112 : 포획공간 120 : 오름판
130 : 작동판 132 : 작동판힌지축
135 : 작동판복원부재 140 : 작동부
150 : 발판 152 : 발판경첩
155 : 발판복원부재 160 : 지지부
162 : 제1작동바 164 : 제2작동바
166 : 힌지부재 170 : 연동부
172 : 와이어부재 175 : 안내부재
176 : 안내홀 177 : 원형링

Claims (8)

  1. 포획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로 오르도록 구비되는 오름판;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작동판; 및
    상기 작동판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은 각각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작동판복원부재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복원부재는 상기 작동판의 외측단에 형성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발판;
    상기 작동판을 상기 본체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발판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지지부의 지지를 해제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발판복원부재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오름판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발판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KR1020140168998A 2014-11-28 2014-11-28 포획장치 KR10166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98A KR101668161B1 (ko) 2014-11-28 2014-11-28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98A KR101668161B1 (ko) 2014-11-28 2014-11-28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70A true KR20160065370A (ko) 2016-06-09
KR101668161B1 KR101668161B1 (ko) 2016-10-21

Family

ID=5613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998A KR101668161B1 (ko) 2014-11-28 2014-11-28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1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8833A (zh) * 2016-10-19 2017-03-22 晏新海 甲鱼捕捉装置
KR102508126B1 (ko) * 2022-09-01 2023-03-08 공명식 부상식 생태계교란종 생존유지 포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19B1 (ko) 2022-06-14 2023-05-10 최진호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KR102604355B1 (ko) 2022-09-26 2023-11-23 최진호 향상된 포획 효율성을 갖는 생태교란 외래거북 포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477A (ko) * 1981-04-25 1983-12-10 히데아끼 무라가미 연속자동 쥐덫 장치
JPH0316577A (ja) * 1989-04-04 1991-01-24 Harald Sonesson 不平衡機構付ボール
JPH11289957A (ja) * 1998-04-13 1999-10-26 Masanori Fujisaki 動物捕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577B2 (ja) * 1990-08-03 2000-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477A (ko) * 1981-04-25 1983-12-10 히데아끼 무라가미 연속자동 쥐덫 장치
JPH0316577A (ja) * 1989-04-04 1991-01-24 Harald Sonesson 不平衡機構付ボール
JPH11289957A (ja) * 1998-04-13 1999-10-26 Masanori Fujisaki 動物捕獲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8833A (zh) * 2016-10-19 2017-03-22 晏新海 甲鱼捕捉装置
KR102508126B1 (ko) * 2022-09-01 2023-03-08 공명식 부상식 생태계교란종 생존유지 포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161B1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161B1 (ko) 포획장치
CA2762699C (en) Coverable fish net apparatus
US6484436B1 (en) Prey trap without using bait
MX2009011909A (es) Aparato para la captura de insectos voladores.
JP3185114U (ja) 浮島型カメ捕獲装置
MY197792A (en) An ovitrap and method of controlling vector borne disease
FR2919016B3 (fr) Dispositif d'extraction d'un materiau situe au fond d'une etendue d'eau et procede associe.
AU2003303916A1 (en) Water container with floating electrocution device equipped trap for killing gravid mosquitoes
KR101142075B1 (ko) 민물거북 생포용 덫
KR20160102796A (ko) 쥐 포획기
JP2010057475A (ja) 水槽内清掃具
USD733253S1 (en) Insect trap
CN203675932U (zh) 一种清洁扑捉蚊蝇器
TWI304108B (ko)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FR3051100A1 (fr) Dispositif pour capturer les insectes notamment les mouches
AU2009214838A1 (en) Device for removing marine animals from an aquaculture tank
JP2007037423A (ja) 捕獣用罠
KR101583151B1 (ko) 대형 물고기 수집 장치
DE202005014161U1 (de) Schirm mit asymmetrischer, polygonförmiger Fläche
TWI553195B (zh) 除臭驅蟲防逆水之落水頭
CN209121035U (zh) 一种泥鳅的捕捞装置
JP2008194000A (ja) 水槽内清掃具
Zimmermann The Golden Age of Cork Cinemas
CN105010274A (zh) 折叠式浅滩诱捕弹涂鱼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