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227A -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227A
KR20160062227A KR1020140159988A KR20140159988A KR20160062227A KR 20160062227 A KR20160062227 A KR 20160062227A KR 1020140159988 A KR1020140159988 A KR 1020140159988A KR 20140159988 A KR20140159988 A KR 20140159988A KR 20160062227 A KR20160062227 A KR 2016006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iston core
piston
sedim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필
이광수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2227A/ko
Publication of KR2016006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적층을 향해 낙하하여 퇴적층의 내부에 박히면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퇴적물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파이프형태의 피스톤코어; 상기 피스톤코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피스톤코어가 퇴적층에 삽입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삽입날을 갖는 코어헤드; 상기 코어헤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코어의 수용공간으로 퇴적물 시료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퇴적물 시료의 유실을 방지하는 코어캐처; 및 상기 피스톤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코어와 함께 낙하하며, 퇴적층에 박힌 상기 피스톤코어의 경사나 방향을 제공하면서 상기 피스톤코어의 상태를 확인시키는 코어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SAMPLING APPARATUS FOR SEDIMENT WITH CONFIRMING FUNCTION OF CORER}
본 발명은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퇴적물 시료의 채취를 위하여 낙하를 통해 퇴적층에 박히는 피스톤코어의 경사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의 바닥면이나 해저면과 같은 퇴적 지형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해저면에서 퇴적층의 시료를 채취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채취된 퇴적층의 시료는 지질학적, 지질공학적, 지구화학적 및 생물학적 연구 등 관범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8908호에 제안된 중력 피스톤 코어 채취기가 있다.
선행기술은 지지용 파이프의 한쪽이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중량물 지지체와, 상기 중량물 지지체와 상기 지지용 파이프에 결합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중량부; 상기 중량물 지지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선박의 윈치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지지용 파이프와 중량물 지지체를 관통하여 일단부에 결합되는 피스톤을 구비한 시료채취관이 내부에 결합되는 보호 파이프; 상기 보호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트리거 하우징과, 상기 트리거 하우징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피스톤에 마련되는 트리거 암들을 포함하는 트리거 장치; 해저면에 닿는 압력에 의해 입구를 개방하여 퇴적물 시료가 상기 시료채취관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캐쳐가 내부에 결합되며, 소정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트리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부가 해저면에 닿는 압력에 의해 상기 트리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트리거 암들을 걸림 해제시키기 위한 캐쳐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시료 채취장치는 중량부와 함께 낙하하는 시료채취관이 트리거 장치를 통해 중량체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퇴적층에 박히면서 퇴적물 시료를 내부에 수용한 후 캐쳐를 통해 차폐되어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시료채취관이 해수를 통해 해저면으로 낙하하면서 수압이나 조류가 가해짐에 따라 퇴적층에 수직상태로 박히지 못하고 경사상태로 해저면에 박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시료채취관이 해저면에 경사상태로 박힐 경우에는 퇴적층이 수직상태로 수용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시료채취관에 수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시료채취관이 수직상태로 낙하한다 하더라도 퇴적층에 박힌 시료채취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료채취관의 방향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89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중력에 의해 낙하하면서 해저면의 퇴적층에 박히는 피스톤코어의 수평도를 제공하여 피스톤코어의 경사를 확인함으로써 퇴적물 시료의 채취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퇴적층의 자기방향을 확인함으로써 피스톤코어에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자기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피스톤코어의 확인과 함께 퇴적층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퇴적물 시료가 채취되는 현장의 채취환경을 확인할 수 있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는, 퇴적층을 향해 낙하하여 퇴적층의 내부에 박히면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로서, 내부에 퇴적물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파이프형태의 피스톤코어; 상기 피스톤코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피스톤코어가 퇴적층에 삽입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삽입날을 갖는 코어헤드; 상기 코어헤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코어의 수용공간으로 퇴적물 시료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퇴적물 시료의 유실을 방지하는 코어캐처; 및 상기 피스톤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코어와 함께 낙하하며, 퇴적층에 박힌 상기 피스톤코어의 경사나 방향을 제공하면서 상기 피스톤코어의 상태를 확인시키는 코어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코어확인부는, 상기 피스톤코어와 일단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피스톤코어와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직교프레임; 상기 직교프레임을 상기 피스톤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부재; 상기 직교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직교프레임의 수평도를 제공하는 수평계; 및 상기 직교프레임과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피스톤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계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확인부는, 상기 직교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면서 퇴적층의 자기방향을 제공하는 나침반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직교프레임은, 상기 수평계가 설치되는 상부의 폭이 편평면을 이루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는, 상기 직교프레임의 일단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코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형태의 프레임홀더; 및 상기 피스톤코어에 끼워져서 상기 프레임홀더의 내주면을 따라 개재된 상태로 걸리면서 상기 직교프레임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피스톤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코어와 함께 낙하하면서 퇴적층의 상태를 확인시키는 퇴적층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퇴적층확인부는, 상기 코어확인부의 타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코어의 외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퇴적층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상기 피스톤코어의 수용공간이나 상기 피스톤코어의 외측에 설치되어 퇴적층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와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피스톤코어에 설치되어 퇴적층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는, 피스톤코어와 직교를 이루는 직교프레임에 설치된 수평계를 제1 카메라가 촬영함에 따라 직교프레임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된 수평도를 통해 피스톤코어의 경사도를 도출함으로써 피스톤코어의 박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직교프레임에 설치되는 나침반을 통해 피스톤코어가 박힌 퇴적층의 자기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피스톤코어의 방향을 확인함과 아울러 피스톤코어에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자기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교프레임이 프레임홀더와 고무링을 통해 피스톤코어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피스톤코어의 길이나 퇴적물 시료의 채취깊이에 따라 직교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카메라와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로 구성된 퇴적층확인부가 피스톤코어에 설치됨에 따라 코어확인부를 통한 피스톤코어의 상태확인과 함께 시료 채취현장의 상태와 압력 및 온도와 같은 채취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체와 트리거암 또는 보조중량체가 피스톤코어에 설치될 경우에는 피스톤코어가 좀 더 원활하게 퇴적층에 삽입되면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코어확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퇴적물확인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코어(100), 코어헤드(200), 코어캐처(300) 및 코어확인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코어(100)는 중력에 의한 낙하를 통해 퇴적층에 박힘에 따라 내부에 퇴적물 시료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피스톤코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퇴적물 시료를 수용공간(110)에 수용한다.
여기서, 피스톤코어(100)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관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피스톤코어(100)는 내부에 미도시된 피스톤이 내장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면서 퇴적물 시료를 수용공간(110)에 수용할 수도 있다.
코어헤드(200)는 피스톤코어(100)가 퇴적층에 삽입되도록 피스톤코어(100)의 선단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삽입날(210)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피스톤코어(100)의 수용공간(110)에 연통한다.
이러한 코어헤드(200)는 피스톤코어(10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코어캐처(300)는 코어헤드(200) 및 피스톤코어(100)가 퇴적층에 박힘에 따라 피스톤코어(100)의 수용공간(110)으로 퇴적물 시료의 유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유입된 퇴적물 시료가 수용공간(110)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코어캐처(300)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헤드(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밸브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어헤드(200) 및 피스톤코어(100)가 퇴적층에 박힘에 따라 개방되면서 퇴적물 시료를 수용공간(110)으로 유입시키고, 피스톤코어(100)가 퇴적층에서 배출됨에 따라 폐쇄되면서 퇴적물 시료를 수용공간(110)에 구속시킴으로써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즉, 코어캐처(300)는 통상의 역지밸브 형태로 구성되어 코어헤드(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코어확인부(400)는 퇴적층에 박힌 피스톤코어(100)의 경사나 방향을 제공함으로써 피스톤코어(100)의 박힌 상태를 확인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코어확인부(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프레임(410), 프레임 고정부재(420), 수평계(430) 및 제1 카메라(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직교프레임(4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코어(100)와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피스톤코어(100)에 결합된다.
이러한 직교프레임(410)은 후술되는 프레임 고정부재(420)에 의해 피스톤코어(1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직교프레임(4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편평면을 이루면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피스톤코어(100)와 함께 해저면으로 낙하하면서 가해지는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프레임 고정부재(420)는 직교프레임(410)을 피스톤코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프레임 고정부재(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홀더(421) 및 고무링(4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홀더(421)는 피스톤코어(100)가 관통되는 구멍을 이루면서 직교프레임(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피스톤코어(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고무링(422)은 프레임홀더(421)에 걸리면서 직교프레임(410)의 이동을 제한하는 부재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코어(100)에 끼워져서 프레임홀더(421)의 내주면을 따라 개재된 상태로 걸림으로써 직교프레임(410)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고무링(422)은 직교프레임(410)의 복수로 구성되어 상부 및 하부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계(4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프레임(4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직교프레임(410)의 수평도를 제공한다.
즉, 수평계(430)는 피스톤코어(100)와 직교상태를 이루는 직교프레임(410)의 수평도를 제공함으로써 피스톤코어(100)의 경사도를 도출하게 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평계(430)는 통상의 물방울 수평계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자식 수평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카메라(4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프레임(410)과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피스톤코어(100)에 설치되어 수평계(430)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저장하거나 사용자에게 원격으로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제1 카메라(440)를 통해 수평계(430)의 상태를 확인하여 직교프레임(410)의 수평도를 확인함으로써 피스톤코어(100)의 경사도를 도출한다.
이러한 제1 카메라(430)는 미도시된 엘이디조명이 구비되어 어두운 해저에서 수평계(430)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코어확인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침반(4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침반(450)은 알려진 바와 같이 지구의 자기방향을 통해 방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평계(430)와 함께 직교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제1 카메라(440)에 의해 촬영된다.
즉, 사용자는 제1 카메라(440)를 통해 나침반(450)을 확인하여 피스톤코어(100)의 방향을 도출함과 아울러, 피스톤코어(100)에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자기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적층확인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퇴적층확인부(500)는 피스톤코어(100)에 설치된 상태로 퇴적층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퇴적물 시료의 채취환경을 확인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퇴적확인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카메라(510), 압력센서(520) 및 온도센서(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카메라(5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확인부(400)를 구성하는 제1 카메라(440)의 타측에 배치된 상태로 피스톤코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층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사용자에게 원격으로 제공한다.
압력센서(5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코어(100)의 외주면에 설치되거나 수용공간(110)에 설치되어 퇴적층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공한다.
온도센서(530)는 압력센서(530)와 함께 피스톤코어(100)의 외주면에 설치되거나 수용공간(110)에 설치되어 퇴적층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피스톤코어(100)가 박힌 퇴적층의 주변상태를 제2 카메라(510)를 통해 확인함과 아울러, 압력센서(520) 및 온도센서(530)를 통해 퇴적층의 압력과 온도를 확인함으로써 채취현장의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600) 및 트리거암(700)이 구성됨에 따라 중량체(600)의 중량에 의해 낙하하면서 트리거암(700)에 의해 중량체(600)에서 분리되어 퇴적층으로 낙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량체(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코어(100)에 연결된 상태로 중량을 제공하며, 피스톤코어(100)와 함께 낙하하면서 피스톤코어(100)보다 먼저 퇴적층에 도달한다.
트리거암(7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60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피스톤코어(100)에 걸리면서 피스톤코어(100)를 구속하며, 중량체(600)가 퇴적층에 도달하게 되면 피스톤코어(100)의 걸림을 해제시킴으로써 피스톤코어(600)를 낙하시킨다.
이러한 트리거암(700)의 세부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코어(1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600)와 분리상태를 이루는 보조중량체(800)가 고정됨에 따라 트리거암(700)의 걸림해제시 보조중량체(800)의 중량에 의해 낙하하면서 퇴적층에 박힐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10)에 의하면, 피스톤코어(100)와 직교를 이루는 직교프레임(410)에 설치된 수평계(430)를 제1 카메라(440)가 촬영함에 따라 직교프레임(410)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된 수평도를 통해 피스톤코어(100)의 경사도를 도출함으로써 피스톤코어(100)의 박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직교프레임(410)에 설치되는 나침반(450)을 통해 피스톤코어(100)가 박힌 퇴적층의 자기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피스톤코어(100)의 방향을 확인함과 아울러 피스톤코어(100)에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자기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직교프레임(410)이 프레임홀더(421)와 고무링(422)을 통해 피스톤코어(10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피스톤코어(100)의 길이나 퇴적물 시료의 채취깊이에 따라 직교프레임(4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카메라(510)와 압력센서(520) 및 온도센서(530)로 구성된 퇴적층확인부(500)가 피스톤코어(100)에 설치됨에 따라 코어확인부(400)를 통한 피스톤코어(100)의 상태확인과 함께 시료 채취현장의 상태와 압력 및 온도와 같은 채취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중량체(600)와 트리거암(700) 또는 보조중량체(800)가 피스톤코어(100)에 설치될 경우에는 피스톤코어(100)가 좀 더 원활하게 퇴적층에 삽입되면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100 : 피스톤코어 110 : 수용공간
200 : 코어헤드 210 : 삽입날
300 : 코어캐처 400 : 코어확인부
410 : 직교프레임 420 : 프레임 고정부재
421 : 프레임홀더 422 : 고무링
430 : 수평계 440 : 제1 카메라
450 : 나침반 500 : 퇴적층확인부
510 : 제2 카메라 520 : 압력센서
530 : 온도센서 600 : 중량체
700 : 트리거암 800 : 보조중량체

Claims (7)

  1. 퇴적층을 향해 낙하하여 퇴적층의 내부에 박히면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로서,
    내부에 퇴적물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파이프형태의 피스톤코어;
    상기 피스톤코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피스톤코어가 퇴적층에 삽입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삽입날을 갖는 코어헤드;
    상기 코어헤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코어의 수용공간으로 퇴적물 시료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퇴적물 시료의 유실을 방지하는 코어캐처; 및
    상기 피스톤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코어와 함께 낙하하며, 퇴적층에 박힌 상기 피스톤코어의 경사나 방향을 제공하면서 상기 피스톤코어의 상태를 확인시키는 코어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확인부는,
    상기 피스톤코어와 일단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피스톤코어와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직교프레임;
    상기 직교프레임을 상기 피스톤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부재;
    상기 직교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직교프레임의 수평도를 제공하는 수평계; 및
    상기 직교프레임과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피스톤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계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어확인부는,
    상기 직교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면서 퇴적층의 자기방향을 제공하는 나침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교프레임은,
    상기 수평계가 설치되는 상부의 폭이 편평면을 이루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는,
    상기 직교프레임의 일단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코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형태의 프레임홀더; 및
    상기 피스톤코어에 끼워져서 상기 프레임홀더의 내주면을 따라 개재된 상태로 걸리면서 상기 직교프레임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코어와 함께 낙하하면서 퇴적층의 상태를 확인시키는 퇴적층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퇴적층확인부는,
    상기 코어확인부의 타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코어의 외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퇴적층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상기 피스톤코어의 수용공간이나 상기 피스톤코어의 외측에 설치되어 퇴적층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와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피스톤코어에 설치되어 퇴적층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KR1020140159988A 2014-11-17 2014-11-17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KR20160062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988A KR20160062227A (ko) 2014-11-17 2014-11-17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988A KR20160062227A (ko) 2014-11-17 2014-11-17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227A true KR20160062227A (ko) 2016-06-02

Family

ID=5613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988A KR20160062227A (ko) 2014-11-17 2014-11-17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22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1272A (zh) * 2017-05-11 2018-11-23 韩国地质资源研究院 倾斜仪用远程控制装置
CN111579295A (zh) * 2020-05-28 2020-08-25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土壤检测用取样储存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08B1 (ko) 2013-12-02 2014-03-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중력 피스톤 코어 채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08B1 (ko) 2013-12-02 2014-03-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중력 피스톤 코어 채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1272A (zh) * 2017-05-11 2018-11-23 韩国地质资源研究院 倾斜仪用远程控制装置
CN111579295A (zh) * 2020-05-28 2020-08-25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土壤检测用取样储存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528B1 (ko) 해저 탐사장치 및 탐사방법
US109003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measurements of downhole properties in a subterranean well
US6276220B1 (en) Multipurpose groundwater sampler
US8616275B2 (en) Groundwater evaluation tools and methods of groundwater evaluation
KR101924148B1 (ko)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US9599528B2 (en) Pipeline inspection apparatus for the internal inspection of pipelines
JP2023018040A (ja) パイプ水漏れ検出装置及び漏れ検出手順
KR101656866B1 (ko) 원통형 코어 캐처 및 이를 구비한 시료채취기
CN105910598B (zh) 原位分层声学测量采样器检测系统
KR20160062227A (ko) 코어 확인기능을 갖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KR20130017678A (ko)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JP3181598U (ja) 底部採水器
JP2022063311A (ja) 下水管路の内面腐食個所の推定方法及び腐食個所検出装置
EP3652061A1 (en) Underwater observation unit and system
JP4915676B2 (ja) 自動降灰・降雨量計
CN107421603B (zh) 适用于激光测量法的水位监测装置及其施工方法
CN205482771U (zh) 一种tdr原理的尾矿库干滩长度测量传感器
CN106443835A (zh) 一种雨量检测装置
CN211646327U (zh) 一种用于地质勘探的取土装置
KR101825085B1 (ko) 부유토사 채집 장치
KR102069436B1 (ko) 가스 하이드레이트 퇴적물 음파 탐지 장치
JP4005056B2 (ja) 地下水流動測定装置
KR101685696B1 (ko) 지하수 모니터링 프로브용 설치 및 회수장치
KR101652370B1 (ko) 지하수-지표수 경계대에서의 물 및 물질 배출량 측정장치
KR101114757B1 (ko) 지하수 관측정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