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968A -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968A
KR20160060968A KR1020140163251A KR20140163251A KR20160060968A KR 20160060968 A KR20160060968 A KR 20160060968A KR 1020140163251 A KR1020140163251 A KR 1020140163251A KR 20140163251 A KR20140163251 A KR 20140163251A KR 20160060968 A KR20160060968 A KR 20160060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mode
control unit
sleep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일
남대현
윤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0968A/ko
Priority to US14/734,440 priority patent/US20160147278A1/en
Priority to EP15195057.3A priority patent/EP3023860A1/en
Priority to PCT/KR2015/012375 priority patent/WO2016080747A1/en
Priority to CN201510809932.5A priority patent/CN105468130A/zh
Publication of KR2016006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5Power saving in memory, e.g. RAM, cach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사용자 단말이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 단말이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리모컨 외에도 다양한 사용자 단말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피커, 각종 통신 모듈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 단순한 리모컨보다 전력 사용량이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잦은 충전을 필요로 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은 여러 명의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즉,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간에 공유로 사용되는 물건이므로, 사용자는,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는 달리, 충전을 필요성을 쉽게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려는 사용자 명령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환경 및 이에 대한 각종 정보에 따라 사용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되면서도, 사용자 명령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메인 제어부 및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은 상기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오프(off)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2 슬립 모드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온(on) 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립 모드 동안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1 슬립 모드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 감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을 온 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벤트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벤트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파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사용자 근접 및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메인 제어부 및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가 상기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 내에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파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사용자 근접 및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서브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가 상기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상기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슬립 모드 동안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서브 제어부가 상기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전원이 오프된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온(on) 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슬립 모드 동안 상기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전원이 오프된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을 온 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벤트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파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사용자 근접 및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제2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가 상기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 내에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파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사용자 근접 및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전원이 온(on)된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가 상기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 시간 내에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제어부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동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상기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충전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 인터렉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파지를 감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을 도시한 시퀀스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슬립 모드로의 전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며,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사용 가능한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PC, 데스크탑, PDA, MP3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이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각종 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감지부(11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감지부(11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으며, 조도 변화, 사용자의 파지, 사용자의 근접, 사용자의 터치 입력,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슬립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제1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감지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외에도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마이크(160), 오디오 출력부(170), 사용자 입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단말(100)이 대기 모드 기능, 인스턴트 부팅 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기능, 사용자 음성 인식 기능, 통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이미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감지부(11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근접센서(111), 터치 센서(112), 조도센서(113), PIR센서(114), 가속도센서(115) 및 중력센서(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11)는 사용자 단말(100)에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근접센서(111)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30cm ~ 40cm 내외의 근접한 거리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접센서(111)는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100)의 물리적인 접촉이 없어도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111)는 검출 원리에 따라 고주파 발진형, 정전 용량형, 자기형, 광전형, 초음파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112)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터치 센서(112)는 감압식 터치 센서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일 수 있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용량 터치 센서는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사용자 단말(100)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터치 센서의 종류 및 센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도센서(113)는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즉, 조도센서(113)는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공간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PIR센서(114)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인체는 약 5 ~ 30 μm의 적외선을 방출한다. 따라서, PIR센서(114)는 인체가 방출하는 적외선에 의한 열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5)는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가속도센서(115)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인 힘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주로 손에 들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100)은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가속도 센서(115)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중력센서(116)는 중력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중력 센서(116)의 감지결과는 가속도 센서(115)와 함께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력센서(116)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파지된 방향이 판단될 수 있다.
상술한 종류의 센서 외에도, 감지부(11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통신부(120)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비롯하여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모듈(121), 와이파이 모듈(122), NFC 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모듈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모듈(121), 와이파이 모듈(122), NFC 모듈(123)은 각각 블루투스 방식, WiFi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모듈(123)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블루투스 모듈(121)이나 와이파이 모듈(12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특히, 통신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통신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각종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된 각종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이란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은 스토리지 모듈, 보안 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는 스토리지 모듈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모듈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은 감지부(110)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헤드 방향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휘발성 메모리(141)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력 소비를 감소하기 위한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모드 진입 당시의 하드웨어 드라이브의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저장부(140)의 DDR 메모리의 셀프 리프래시(Self-Refresh) 동작을 이용하여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된 내용을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가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슬립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비휘발성 메모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이 대기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된 뒤,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감지되거나 사용자를 감지한 결과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메인 제어부(131)의 제어에 의해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된 내용은 비휘발성 메모리(142)로 이동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각종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이용하는 당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내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의 제공자, 제작자, 종류, 등장인물과 같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밝기, 채널, 음향과 같은 설정 정보 등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마이크(160)는 사용자 단말 주변의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마이크(160)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에 기설정된 사용자 음성과 일치하는 사용자 음성이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근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은 마이크(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음성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때, 오디오 출력부(1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8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사용자 입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에 의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마이크로 구현되어 사용자 음성으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180)는 사용자 단말(100) 외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푸쉬 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메인 제어부(131) 및 서브 제어부(132)를 포함한다. 메인 제어부(131)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메인 제어부(131)는 사용자 단말(100)이 일반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전원이 온(on)되고,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은 전원이 오프(off)될 수 있다.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의 제어에 의해,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이 오프되는 제2 슬립 모드 동안 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감지된 경우, 메인 제어부(131)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근접센서(111) 또는 터치 센서(112)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근접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을 파지하거나 터치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켜졌다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인가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서브 제어부(132)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켜졌다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메인 제어부(131)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115) 또는 중력센서(116)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을 손으로 잡는 등의 행위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메인 제어부(131)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 구성은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경우, 메인 제어부(131)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는 디스플레이부(150) 또는 와이파이 모듈(122)과 같은 블루투스 모듈(121)을 제외한 통신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는 제2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는 제1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131)는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드라이브 구동 상태 및 각종 정보를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하고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을 오프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겠다는 정보를 서브 제어부(132)에 전송할 수 있다.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의 명령에 따라,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을 오프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100)이 대기 모드로 전환된 뒤,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근접센서(111) 또는 터치 센서(112)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근접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을 파지하거나 터치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켜졌다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및 가속도 센서(115) 또는 중력센서(116)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이 오프되고 휘발성 메모리(141)에 각종 구동 정보가 저장된 제2 슬립 모드로 전환된 뒤,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는 제1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슬립 모드로 전환되고,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131)는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된 구동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로 이동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은 오프(off)된다는 정보를 서브 제어부(132)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1)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임계 시간 이상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메인 제어부(131)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이 모두 오프(off)된 제1 슬립 모드로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원 모드와 무관하게 항상 전원이 온(on)된 상태이며, 사용자 단말(100)이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1 또는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00)이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이 오프된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감지부(110)를 통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한 결과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경우, 휘발성 메모리(141)에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는 이벤트는, 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 변화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공간의 임계 범위 이상의 온도 변화가 감지된 경우, 마이크(160)를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및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한 결과를 수신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IR센서(114)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또는 근접센서(111)를 통해 근접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기 위해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제어부(132)는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을 켜서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인근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감지된 결과를 수신한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제어부(132)는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을 켜서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조도센서(113)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가 높아진 것을 감지한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공간에 존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분석한 결과, 기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제어부(132)는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을 켜서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공간의 온도가 임계 범위 이상 변경된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공간에 존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이 존재하는 집, 사무실과 같은 공간에 도착하면, 냉방 또는 난방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제어부(132)는 임계 범위 이상의 온도 변화를,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이 켜지도록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파지,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및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터치 센서(112)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 조작 의도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가속도 센서(115) 또는 중력 센서(116)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사용자 조작 의도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가속도 센서(115) 또는 중력 센서(116)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손에 파지하고, 사용자 단말(100)을 조작하는 경우인 때가 많다. 따라서, 서브 제어부(132)는 가속도 센서(115) 또는 중력 센서(116)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이 켜지도록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터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 파지,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131)는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가 일반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감지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각종 방송 신호를 RF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고, 각종 서버로부터 IP 망을 통해서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10)는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0)는 각종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또는 환경 등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감지부(220)는 사용자 및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10)는 PIR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 RF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0)는 조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2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통신부(230)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및 NFC 칩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및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통신부(230)는 상술한 다양한 통신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30)는 감지부(220)를 통해 감지된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근처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통신부(230)는 사용자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조도 센서를 통해 조도 변화가 감지된 경우,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각종 제어 명령(예를 들면, 채널 변경, 음향 변경 또는 각종 설정 변경)을 상술한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제어부(24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버스를 포함한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는 연산부 및 렌더링부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는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전력 모드 변경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모드가 제1 슬립 모드에서 제2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근처에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할 것이라고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서브 제어부(132)는 휘발성 메모리(141) 및 메인 제어부(131)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10)를 감지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PIR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 RF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를 감지한 결과를 통신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감지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감지부(110)에 포함된 근접센서(111) 또는 PIR센서(114)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감지 결과를 수신한 경우 또는 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서브 제어부(132)는 휘발성 메모리(141)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제1 슬립 모드에서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서브 제어부(132)가 휘발성 메모리(141)에 전원을 인가하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 또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감지 결과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온(on)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을 다시 오프할 수 있다.
반면, 서브 제어부(132)가 휘발성 메모리(141)에 전원을 인가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감지된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가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사용자 단말(100)을 파지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터치 센서(112)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거나, 가속도센서(115) 또는 중력센서(116)가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에 전원을 인가하여,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사용자(10)의 터치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되기 전에, 사용자 단말(100)에 매우 근접한(예를 들면, 1cm 이내) 사용자(10)가 감지된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가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10)가 사용자 단말(100)에 매우 근접하는 것이 사용자(10)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려는 조작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기모드로 전환된 사용자 단말(100)에 계속적으로 사용자 또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131)는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모든 구성에 전원을 인가하여,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일반 모드(800), 대기모드(810), 슬립모드(820), 딥슬립모드(825) 및 전원 오프 모드(830) 중 하나의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반 모드(800)는 사용자 단말(100)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이 일반 모드(800)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모든 구성요소에는 전원이 인가된다.
대기모드(8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임계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 또는 와이파이 모듈(122)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된 경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임계시간(예를 들면, 15초)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대기모드(810)에 진입하도록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50)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의 전원이 오프되고, 다시 임계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와이파이 모듈(122)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동안, 사용자 단말(100)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50) 및 와이파이 모듈(122)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대기 모드(810)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모드(810)를 유지하는 동안, TV의 전원이 오프되었다는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경우, 통신부(120)를 통해 임계 시간 이상 TV가 사용자를 감지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근접센서(111) 또는 PIR 센서(114)를 통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조도센서(113)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존재하는 공간의 조도가 급격히 낮아진 경우, 메인 제어부(131)는 하드 웨어의 구동 상태를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31)는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을 오프하겠다는 정보를 서브 제어부(132)로 전달하고, 메인 제어부(131)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슬립 모드(820)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이 슬립 모드(820)로 전환되고,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가 감지되거나 사용자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딥 슬립 모드(825)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립 모드(820)를 유지하는 동안, 통신부(120)를 통해 임계 시간 이상 TV가 사용자를 감지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근접센서(111) 또는 PIR 센서(114)를 통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31)는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된 각종 구동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로 이동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31)는 메인 제어부(131)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을 오프하겠다는 정보를 서브 제어부(132)로 전달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한 서브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131)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전원을 오프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딥 슬립 모드(825)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전원 오프 모드(8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원이 완전히 방전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경우, 서브 제어부(132)를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의 전원이 오프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9는 사용자 단말(100)이 슬립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에 대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각종 센서, 서브 제어부 및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필수적인 구성요소에만 전원이 인가되는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S900).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910-Y),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S930).
제1 슬립 모드는 각종 센서, 서브 제어부 및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필수적인 구성을 제외한 구성요소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감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슬립 모드에서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감지 결과를 수신한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휘발성 메모리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제1 슬립 모드에서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S910-N),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슬립 모드로 기설정된 시간이상 유지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가 제2 슬립 모드로 전환되고,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S940-Y),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950).
사용자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제2 이벤트는, 근접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근접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을 파지하거나 터치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켜졌다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가속도 센서 또는 중력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2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메인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제2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고(S940-N),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S960-Y),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제1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S970).
즉, 휘발성 메모리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2 슬립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다시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을 오프하여 제1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슬립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사용자 단말(100)이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S1000), 사용자 단말(100)이 임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감지(S1010)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PIR 센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일정 거리 이상 가까워진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임계 거리 이내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한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S1020).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존재 감지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인스턴트 부팅(Instant Booting)과 같은 부팅을 수행하는 등, 전원을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즉시 신속하게 온(on)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한 사용자 단말(100)은 휘발성 메모리에 전원을 인가한다(S1030).
사용자 단말(100)의 파지가 감지되면(S1040), 사용자 단말(100)은 메인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한다(S1050). 사용자 단말(100)은 터치 센서, 근접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파지가 감지되면, 메인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파지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구체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조작하기 위한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의 전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단말(100)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S1100), 감지 및 통신의 수행결과,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S1110-Y),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S1120).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100)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근접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근접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을 파지하거나 터치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켜졌다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및 가속도 센서 또는 중력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기 위해 터치 또는 파지 등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해 전원을 인가하는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S1110-N),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S113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드라이브 구동 상태 및 각종 정보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겠다는 정보를 서브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서브 제어부는 수신한 명령에 따라,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슬립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S1140),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S1150).
사용자 감지 이벤트는,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 변화가 감지된 경우, 마이크(160)를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및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한 결과를 수신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이 슬립 모드로 전환되고,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서브 제어부는 메인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구동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로 이동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의 전원 및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은 오프(off)된다는 정보를 서브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서브 제어부는 메인 제어부 및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임계 시간 이상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메인 제어부 및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이 모두 오프(off)된 딥 슬립 모드로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S1160-Y),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메인 제어부(131)에 전원을 재인가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충전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 인터렉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감지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31: 메인 제어부 132: 서브 제어부
200: 디스플레이 장치 210: 디스플레이부
220: 센서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인 제어부 및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은 상기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오프(off)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2 슬립 모드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온(on) 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휘발성 메모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립 모드 동안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1 슬립 모드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 감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을 온 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벤트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파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사용자 근접 및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6.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인 제어부 및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가 상기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 내에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파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사용자 근접 및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서브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가 상기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동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상기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슬립 모드 동안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서브 제어부가 상기 제2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전원이 오프된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온(on) 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슬립 모드 동안 상기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제1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전원이 오프된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을 온 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제2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파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사용자 근접 및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감지하는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제2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 내에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파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사용자 근접 및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조작 의도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전원이 온(on)된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가 상기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 시간 내에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제어부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동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전원을 오프하여 상기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163251A 2014-11-21 2014-11-21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60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51A KR20160060968A (ko) 2014-11-21 2014-11-21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14/734,440 US20160147278A1 (en) 2014-11-21 2015-06-09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EP15195057.3A EP3023860A1 (en) 2014-11-21 2015-11-17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PCT/KR2015/012375 WO2016080747A1 (en) 2014-11-21 2015-11-18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N201510809932.5A CN105468130A (zh) 2014-11-21 2015-11-20 用户终端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51A KR20160060968A (ko) 2014-11-21 2014-11-21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68A true KR20160060968A (ko) 2016-05-31

Family

ID=5478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251A KR20160060968A (ko) 2014-11-21 2014-11-21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47278A1 (ko)
EP (1) EP3023860A1 (ko)
KR (1) KR20160060968A (ko)
CN (1) CN105468130A (ko)
WO (1) WO201608074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23A1 (ko) * 2016-10-26 2018-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WO2018084482A3 (ko) * 2016-11-04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32464A1 (ko) * 2017-12-28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681A (ko) * 2016-09-26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파워 제어 방법
CN107346170A (zh) * 2017-07-20 2017-11-14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fpga异构计算加速系统及方法
WO2019076946A1 (en) * 2017-10-16 2019-04-25 Sice Tech S.R.L. ENHANCED REMOTE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11467650B2 (en) * 2017-11-21 2022-10-11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lecting a low power state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618900B1 (ko) 2019-01-08 2023-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519834A (zh) * 2019-09-05 2019-11-29 北京安云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省电方法及装置
US11979835B2 (en) * 2021-05-10 2024-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4428B2 (en) * 2003-06-25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with selective key illumination
KR101041441B1 (ko) * 2004-03-17 2011-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이동 단말기의 전력소모 관리장치 및 전력소모 관리방법
EP2134084B1 (en) * 2007-03-01 2017-08-23 Panasonic Corporation Data processing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WO2009008411A1 (ja) * 2007-07-09 2009-01-15 Sony Corporation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10211131A1 (en) * 2008-09-08 2011-09-01 Emiko Kikuchi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unit and remote control device
KR100985844B1 (ko) * 2008-10-07 2010-10-08 주식회사 애트랩 근접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
WO2010090646A1 (en) * 2009-02-09 2010-08-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ios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port power
EP2613565B1 (en) * 2009-04-29 2018-08-15 Bose Corporation Intercom headset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EP2341738B1 (en) * 2009-12-29 2017-03-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Wi-Fi module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and providing an AP func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id terminal
JP5609228B2 (ja) * 2010-04-16 2014-10-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
KR101662251B1 (ko) * 2010-06-01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3562818A (zh) * 2011-05-31 2014-02-0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唤醒电子设备
CA2838280C (en) * 2011-06-15 2017-10-10 Smart Technologies Ulc Interactive surface with user proximity detection
KR101485154B1 (ko) * 2011-07-12 2015-01-22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의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JP5884649B2 (ja) * 2012-06-06 2016-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表示装置
JP5863611B2 (ja) * 2012-09-25 2016-02-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9541986B2 (en) * 2012-10-08 2017-01-10 Google Inc. Adaptive screen timeouts based on user preferences, interaction patterns and active applications
US9674590B2 (en) * 2012-11-28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nsor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KR20150098649A (ko) * 2012-12-22 2015-08-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휘발성 메모리의 이용을 통한 휘발성 메모리의 전력 소비 감소
US9268434B2 (en) * 2013-02-14 2016-02-2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touch sensor display
US11393461B2 (en) * 2013-03-12 2022-07-19 Cerence Operat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voice command
US20140344599A1 (en) * 2013-05-15 2014-11-20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ower Management
US9600049B2 (en) * 2013-06-07 2017-03-21 Apple Inc. Motion fencing
JP6406889B2 (ja) * 2014-03-17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397234B2 (ja) * 2014-06-19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23A1 (ko) * 2016-10-26 2018-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US11172450B2 (en) 2016-10-26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WO2018084482A3 (ko) * 2016-11-04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93325B2 (en) 2016-11-04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132464A1 (ko) * 2017-12-28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385705B2 (en) 2017-12-28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3860A1 (en) 2016-05-25
WO2016080747A1 (en) 2016-05-26
US20160147278A1 (en) 2016-05-26
CN105468130A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1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60968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98518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for changing a cursor based on a user change of manipulation mode
EP3079040B1 (en) Digital pen, touc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CN105573628B (zh) 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和用于提供内容的系统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2015002908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thereof
US2014003329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8544A (ko)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US10764415B2 (en) Screen lighting method for dual-screen terminal and terminal
US20140273855A1 (en)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in bluetooth device and apparatus thereto
KR20150047451A (ko) 메시지 표시방법, 장치, 단말기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4657057A (zh) 终端唤醒方法及装置
US20140184510A1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21896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9930392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50017893A (ko) 전자 장치의 잠금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40223321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thereof
KR10215722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9114522A1 (zh) 屏幕控制方法、屏幕控制装置及移动终端
US201401681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screen of display device
US201503630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910509B1 (ko) 전자장치에서 자동응답시스템 서비스 이용중 화면 꺼짐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70985A (ko) 슬라이딩 동작 응답방법, 장치, 단말기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800797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