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823A -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823A
KR20160059823A KR1020140161858A KR20140161858A KR20160059823A KR 20160059823 A KR20160059823 A KR 20160059823A KR 1020140161858 A KR1020140161858 A KR 1020140161858A KR 20140161858 A KR20140161858 A KR 20140161858A KR 20160059823 A KR20160059823 A KR 20160059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ne
value
yaw rate
torqu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287B9 (ko
KR102270287B1 (ko
Inventor
유은영
이규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287B1/ko
Priority to US14/942,432 priority patent/US9517795B2/en
Priority to DE102015222784.7A priority patent/DE102015222784A1/de
Publication of KR2016005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823A/ko
Priority to KR1020210080420A priority patent/KR102355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287B1/ko
Publication of KR10227028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28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2Curvatur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62D6/003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in order to control vehicle yaw movement, i.e. around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lane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0Steering systems
    • B60W2710/202Steer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은, 차량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 센서;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상기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고, 상기 e11, 상기 e12, 상기 γ1, 상기 ψ1과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1값을 계산하는 제1 연산부; 및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21, e22 및 차선의 곡률 γ2를 확인하고, 상기 e21, 상기 e22, 상기 γ2, 상기 ψ1과 상기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2값을 계산하는 제2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ane Keep Asistance}
본 발명은 차량유지보조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차선 유지를 지원할 수 있는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안전 시스템의 하나로 차량이 주행중인 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LKAS: Line Keep Asist System)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은 전방 영상센서에 의해 측정된 도로 정보와 차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량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거동을 예측하고, 차량 조향을 제어하여 차선 이탈 방지를 보조한다.
종래의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은 차량 전방의 영상센서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량을 계산하므로, 길이가 긴 차량의 경우, 해당 시스템이 동작하고 있더라고 차량의 후반부가 종종 차선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후반부를 고려하여 차선 이탈 방지를 지원할 수 있는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은, 차량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 센서;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상기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고, 상기 e11, 상기 e12, 상기 γ1, 상기 ψ1과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1값을 계산하는 제1 연산부; 및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21, e22 및 차선의 곡률 γ2를 확인하고, 상기 e21, 상기 e22, 상기 γ2, 상기 ψ1과 상기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2값을 계산하는 제2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은, 차량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 센서; 차량 후반부에 구비되어, 후방 요레이트(Yaw rate)를 감지하는 후방 요레이트 센서;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상기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고, 상기 e11, 상기 e12, 상기 γ1, 상기 ψ1를 이용하여 목표 요레이트를 산출하는 제1 연산부; 및 전방 요레이트, 상기 후방 요레이트, 차량 조향각 및 차량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요레이트로 주행하기 위한 조향 토크 제어값을 계산하는 제2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의 차선 유지보조 방법은, 차량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상기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e11, 상기 e12, 상기 γ1, 상기 ψ1과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1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후반부의 위치오차 e21, e22 및 차선의 곡률 γ2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e21, 상기 e22, 상기 γ2, 상기 ψ1과 상기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2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후반부를 고려하여 차선 이탈 방지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차와 트럭에 각기 장착된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의 차선 유지보조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반부의 좌우 위치 오차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승용차와 트럭에 각기 장착된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의 차선 유지보조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은 차량 앞 부분(전반부)에 맞춰 차선 유지를 보조하고 있다.
따라서, 도 1 (a)와 같이, 차량 전반부에 맞춰 차선 유지보조를 하는 종래의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은 승용차 등의 길이가 짧은 차량에 적용되었을 때는 큰 문제가 없지만, 도 1 (b)와 같이, 트럭 등에 장착된 경우에는 차량 뒷부분(후반부)이 차선을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반부의 좌우 위치 오차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20)은 영상 센서(210), 제1 연산부(220), 제2 연산부(230), 제3 연산부(240) 및 조향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영상 센서(210)는 차량 전방의 하부 등에 구비되어, 차량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전달한다. 또는, 영상 센서(210)는 연산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산출하고,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전달할 수도 있다.
제1 연산부(220)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고, e11, e12, γ1, ψ1와 차량 속도(차속)를 이용하여 차량 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1값을 계산한다.
여기서, 좌우 위치오차(Offset)는 영상 센서(210)의 촬영 중심을 기준으로 차선 중앙과 떨어져 있는 거리이고, 자세각(Head Angle)은 차량의 진행방향이 차선과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이때, 제1 연산부(220)는 e11, e12, γ1, ψ1을 이용하여 목표 궤적을 생성하고,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전반부가 목표 궤적을 따라 목표 요레이트로 주행하기 위한 조향 토크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연산부(230)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21, e22 및 차선의 곡률 γ2를 확인하고, e21, e22, γ2, ψ1과 차속을 이용하여 차량 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2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산부(230)는 하기의 수학식 1 및 2에 의해 차량 후반부의 위치오차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하기의 수학식 1은 트럭의 후반부 A점을 기준으로 차량 후반부의 차선 곡률 및 위치오차를 산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수학식일 수 있다. 그리고, 하기의 수학식 2는 트레일러의 후반부 B점을 기준으로 차량 후반부의 차량 곡률 및 위치오차를 산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수학식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L1은 영상 센서(210)가 장착된 차량의 전방 한 점으로부터 A점까지의 거리이고, A점은 트럭 후반부의 일 지점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L2는 영상 센서(210)가 장착된 차량의 전방 한 점으로부터 B점까지의 거리히고, B점은 트레일러 후반부의 일 지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산부(230)는 e11, e12, γ1, ψ1을 이용하여 목표 궤적을 생성하고,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전반부가 목표 궤적을 따라 목표 요레이트로 주행하기 위한 조향 토크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연산부(230)는 차속을 이용하여 L1 또는 L2 거리 이전에 산출된 차선의 곡률을 차량 후반부의 곡률 γ2로 결정할 수 있다.
제3 연산부(240)는 제1값 및 제2값을 입력받고 제1값 및 제2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 토크 제어값을 결정한다.
상세하게는, 제3 연산부(240)는 제1값 및 제2값 중에서 더 큰 값을 차량의 조향 토크 제어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3 연산부(240)는 제1값 및 제2값의 평균값을 차량의 조향 토크 제어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250)는 제3 연산부(240)에 의해 결정된 조향 토크 제어값을 이용하여 차량 조향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전반부와 후반부에서 각기 감지된 값을 이용하여 차량 조향을 제어함에 따라 길이가 긴 차량의 차선 이탈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의 하드웨어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함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40)은 영상 센서(410), 후방 요레이트 센서(430), 제1 연산부(420) 및 제2 연산부(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40)은 조향 구동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센서(410)는 차량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전달한다. 또는, 영상 센서(410)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고,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전달할 수도 있다.
후방 요레이트 센서(430)는 차량 후반부에 구비되어, 차량 후방의 요레이트인 후방 요레이트(Yaw rate)를 감지한다. 여기서, 후방 요레이트 센서(430)는 도 3과 같이 A점에 장착될 수 있고, B점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연산부(420)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고, e11, e12, γ1, ψ1를 이용하여 목표 요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산부(420)는 e11, e12, γ1, ψ1를 이용하여 목표 궤적을 생성하고, 목표 궤적을 따라 주행하기 위한 목표 요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연산부(440)는 전방 요레이트, 후방 요레이트, 차량 조향각 및 차량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요레이트로 주행하기 위한 조향 토크 제어값을 계산한다.
여기서, 제2 연산부(440)는 차량 핸들에 구비된 조향각 센서로부터 조향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전방부에 구비된 요레이트 센서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요레이트인 전방 요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연산부(440)는 전방 요레이트 및 후방 요레이트의 평균을 이용하여 조향 토크 제어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제2 연산부(440)는 전방 요레이트 및 후방 요레이트 중에서 더 큰 값을 이용하여 조향 토크 제어값을 계산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450)는 제2 연산부(440)에 의해 산출된 조향 토크 제어값을 이용하여 차량 조향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전반부와 후반부에서 각기 감지된 값을 이용하여 차량 조향을 제어함에 따라 길이가 긴 차량의 차선 이탈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종래의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에 후방 요레이트 센서를 추가하고, 소프트웨어를 변경함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차량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 센서;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상기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고, 상기 e11, 상기 e12, 상기 γ1, 상기 ψ1과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1값을 계산하는 제1 연산부; 및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21, e22 및 차선의 곡률 γ2를 확인하고, 상기 e21, 상기 e22, 상기 γ2, 상기 ψ1과 상기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2값을 계산하는 제2 연산부
    를 포함하는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값 및 상기 제2값 중에서 더 큰 값을 차량의 조향 토크 제어값으로 결정하는 제3 연산부
    를 더 포함하는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값 및 상기 제2값의 평균값을 차량의 조향 토크 제어값으로 결정하는 제3 연산부
    를 더 포함하는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결정된 상기 조향 토크 제어값을 이용하여 차량 조향을 제어하는 조향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부는,
    하기의 수학식들을 이용하여 상기 e21 및 상기 e22를 계산하는 것인
    e21 = e11 - L1*sinψ1
    e22 = e12 - L1*sinψ1
    상기 L1은, 상기 영상 센서가 위치한 차량 전방의 제1지점 및 상기 차량 후반부에 위치한 기설정된 제2지점 간의 거리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부는,
    상기 차량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차량 전방부의 일점과 상기 차량 후반부의 일 점 간의 거리만큼 이전에 산출된 차선의 곡률을 상기 차량 후반부의 차선 곡률 γ2로 결정하는 것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7. 차량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 센서;
    차량 후반부에 구비되어, 후방 요레이트(Yaw rate)를 감지하는 후방 요레이트 센서;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상기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고, 상기 e11, 상기 e12, 상기 γ1, 상기 ψ1를 이용하여 목표 요레이트를 산출하는 제1 연산부; 및
    전방 요레이트, 상기 후방 요레이트, 차량 조향각 및 차량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요레이트로 주행하기 위한 조향 토크 제어값을 계산하는 제2 연산부
    를 포함하는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산부는,
    상기 e11, 상기 e12, 상기 γ1, 상기 ψ1를 이용하여 목표 궤적을 생성하고 상기 목표 궤적을 추적하기 위한 상기 목표 요레이트를 산출하는 것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부는,
    차량 핸들에 구비된 조향각 센서로부터 상기 차량 조향각을 확인하는 것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부는,
    상기 전방 요레이트 및 상기 후방 요레이트의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조향 토크 제어값을 계산하는 것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부는,
    상기 전방 요레이트 및 상기 후방 요레이트 중에서 더 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조향 토크 제어값을 계산하는 것인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12.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의 차선 유지보조 방법으로서,
    차량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전반부의 좌우 위치오차 e11, e12, 차선의 곡률 γ1 및 상기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ψ1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e11, 상기 e12, 상기 γ1, 상기 ψ1과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1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량 후반부의 위치오차 e21, e22 및 차선의 곡률 γ2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e21, 상기 e22, 상기 γ2, 상기 ψ1과 상기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후반부의 조향 토크 제어값인 제2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선 유지보조 방법.
KR1020140161858A 2014-11-19 2014-11-19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270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858A KR102270287B1 (ko) 2014-11-19 2014-11-19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US14/942,432 US9517795B2 (en) 2014-11-19 2015-11-16 Lane keeping assist system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15222784.7A DE102015222784A1 (de) 2014-11-19 2015-11-18 Spurhalteassistenz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KR1020210080420A KR102355735B1 (ko) 2014-11-19 2021-06-21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858A KR102270287B1 (ko) 2014-11-19 2014-11-19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420A Division KR102355735B1 (ko) 2014-11-19 2021-06-21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823A true KR20160059823A (ko) 2016-05-27
KR102270287B1 KR102270287B1 (ko) 2021-06-29
KR102270287B9 KR102270287B9 (ko) 2022-03-15

Family

ID=558556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858A KR102270287B1 (ko) 2014-11-19 2014-11-19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080420A KR102355735B1 (ko) 2014-11-19 2021-06-21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420A KR102355735B1 (ko) 2014-11-19 2021-06-21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17795B2 (ko)
KR (2) KR102270287B1 (ko)
DE (1) DE1020152227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009A (ko) * 2017-11-01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297A (ko) * 2014-12-02 2016-06-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의 동작 개시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357288B (zh) * 2017-06-23 2020-07-31 东南大学 一种用于Mecanum轮机器人双车协同运动装置和方法
JP6924096B2 (ja) * 2017-08-03 2021-08-25 株式会社Subaru 牽引車両の操舵支援装置
WO2019037870A1 (en) * 2017-08-25 2019-02-28 Volvo Truck Corporation METHOD FOR DIRECTING AN ARTICULATED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8587A (ja) * 2008-03-04 2009-09-17 Tokyo Metropolitan Univ 四輪車両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32707A (ko) * 2009-09-24 2011-03-30 주식회사 만도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4423B2 (ja) * 1999-06-25 2005-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および車両用操舵制御装置
JP3637849B2 (ja) * 2000-07-06 2005-04-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追従走行制御装置
JP3603768B2 (ja) * 2000-09-06 2004-12-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逸脱判定装置
KR20020094545A (ko) 2001-06-12 2002-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차선 이탈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8587A (ja) * 2008-03-04 2009-09-17 Tokyo Metropolitan Univ 四輪車両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32707A (ko) * 2009-09-24 2011-03-30 주식회사 만도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009A (ko) * 2017-11-01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006A (ko) 2021-07-09
KR102270287B9 (ko) 2022-03-15
KR102270287B1 (ko) 2021-06-29
DE102015222784A1 (de) 2016-05-19
KR102355735B1 (ko) 2022-02-09
US20160137224A1 (en) 2016-05-19
US9517795B2 (en)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636B1 (ko)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충돌회피 장치
JP6432679B2 (ja) 停車位置設定装置及び方法
KR102355735B1 (ko)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US90373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rash prevention control functionality for a vehicle
US10378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el alignment change of vehicle
EP3305620B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6515823B2 (ja) 車線変更支援装置
JP6852299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
US20170227967A1 (en) Method for the at least semi-autonomous manoeuvring of a motor vehicle,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otor vehicle
JP5609320B2 (ja) 障害物回避支援装置及び障害物回避支援方法
JP6327701B2 (ja) 車両の車線逸脱防止制御装置
EP3611077B1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device
JP4348662B2 (ja) 車両の操舵装置
JP6027659B1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WO2016194168A1 (ja) 走行制御装置及び方法
JP6381069B2 (ja) 車両の運転支援制御装置
JP2007153203A (ja) 車両用後側方警報装置及びその方法
US10077048B2 (en) Lane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US10392051B2 (en) Vehicle driving assist apparatus
JP2011063106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JP2005041360A (ja)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る車両
KR20080099535A (ko) 조향 제어를 이용한 충돌회피 방법 및 장치
JP7000283B2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2006306139A (ja) 車両の走行支援装置
CN112810611B (zh) 用于车道变换控制的侧向轨迹追踪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