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100A - Fe-Mo-P 복합체 음극 활물질, 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Fe-Mo-P 복합체 음극 활물질, 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100A
KR20160059100A KR1020140160384A KR20140160384A KR20160059100A KR 20160059100 A KR20160059100 A KR 20160059100A KR 1020140160384 A KR1020140160384 A KR 1020140160384A KR 20140160384 A KR20140160384 A KR 20140160384A KR 20160059100 A KR20160059100 A KR 2016005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phosphide
active material
solution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531B1 (ko
Inventor
박금재
이상민
심성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5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08Other phosph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의 포스파이드계 복합체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P 소스를 포함하는 제1 용액, Mo 소스를 포함하는 제2 용액 및 Fe 소스를 포함하는 제3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3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용액을 건조 및 하소하는 단계; 및 상기 하소된 분말을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철 인화물과 몰리브덴 인화물의 복합체 분말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포스파이드계 음극 활물질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여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의 금속 포스파이드계 음극 활물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Fe-Mo-P 복합체 음극 활물질, 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Anode Active Materials comprising Si or Si Alloy Systems With MoP Coating For Li Ion Batteries, And Anodes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의 금속 포스파이드(metal phosphide)계 음극 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크게 양극, 전해질 및 음극으로 구성된다. 보편적으로 상용화 된 리튬 이차전지는 유기용매와 리튬염으로 구성된 액체 전해질내에 20~100 ㎛ 두께의 고분자 분리막이 추가된 구조로 되어, 방전시에는 Li+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고 Li이 이온화되면서 발생된 전자도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며, 충전시에는 이와 반대로 이동한다.
차세대 리튬 이차 전지용 고용량 음극 소재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Si, Sn계 금속계 활물질의 경우 Li4 .4Si, Li4 .4Sn 등의 금속간 화합물 형성 반응에 근거하여 실험적으로는 약 3500~4200mAh/g의 전기화학적 충/방전 용량이 구현되지만, 이와 동시에 Li 과의 반응이 진행될수록 생성되는 새로운 금속간 화합물상에 기인한 급격한 격자 부피 변화(300~400%)에 의하여 전극 수명 열화 현상 등의 극복되기 어려운 기술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MX(M=Si,Sn,Al,V,Mn,Mo, Co.., X=S,P,N,O) 타입의 금속계 소재 중에서 MoP2 등의 층상 구조(layered structure)를 가진 일부 화합물이 Li 과의 반응시에 기존 합금화(alloying) 혹은 컨버젼(conversion) 반응이 아닌 부분적으로 삽입(insertion) 반응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Li 반응 전위와 초기 싸이클이 진행되는 동안 가역 효율이 100% 근접하게 도달하는데 20 사이클 이상이 소요되는 느린 활성화 속도, 그리고 일정량 이상의 Li 이 충전될 경우 컨버젼(conversion) 반응으로 변환되어 전극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제한적인 충방전 전위 범위에서 작동된다는 단점이 있다.
리튬 이차전지용 금속 포스파이드는 주로 메카노 밀링을 이용하여 합성을 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는 경우 결정성이 매우 낮으며, 장기간의 열처리가 요구되어 합성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금속 포스파이드계 음극은 초기 충방전시의 저전압 영역에서 컨버젼 반응에 의해 부피 팽창을 필수 불가결하게 동반하게 된다. 이러한 전극의 부피팽창은 사이클 특성을 저해하며, 또한 전지에 적용하기 어렵다. FeP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충전시 두 가지 반응기구(insertion and conversion)를 가지며, 저전압에서 컨버전(conversion) 반응으로 인하여 부피 팽창을 동반한 사이클 저하 특성을 보인다.
(선행문헌1) S. Boyanov et. al., Chemistry of materials, 18, 3531 (2006) (선행문헌2) S. Boyanov et. al., Chemistry of Materials, 21, 3684 (2009)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피 팽창에 의한 전극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금속 포스파이드계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금속 포스파이드 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금속 포스파이드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 소스를 포함하는 제1 용액, Mo 소스를 포함하는 제2 용액 및 Fe 소스를 포함하는 제3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3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용액을 건조 및 하소하는 단계; 및 상기 하소된 분말을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철 인화물과 몰리브덴 인화물의 복합체 분말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 소스는 인산염, 상기 Mo 소스는 몰리브덴산염, 상기 Fe 소스는 질산철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용액은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 단계는 카본 소스 용액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본 소스는 PVP(Polyvinylpyrrolidone), PVA(polyvinyl alcohol), PVB(polyvinyl butyral), 폴리아닐린(Polyaniline), 글루코스(Glucose), 시트릭산(Citric acid) 및 슈크로오스(Sucrose)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철 인화물은 FeP를 포함하고, Fe4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포스파이드계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철 인화물과 몰리브덴 인화물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포스파이드계 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철 인화물은 FeP 및 Fe4P를 포함하고, 상기 활물질의 인화물 중 Fe4P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도전성 기재; 및 상기 도전성 기재 상에 도포되며, 철 인화물과 몰리브덴 인화물의 복합체로 된 음극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극재는 카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포스파이드계 음극 활물질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여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의 금속 포스파이드계 음극 활물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 활물질 제조 절차를 도시한 절차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극 활물질 제조 과정의 일부를 도시한 절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성 분말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FeP/MoP 복합체 샘플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샘플 전지의 충방전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샘플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전지용 음극 활물질은 최소한 2종의 인화물의 복합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화물은 FeP 및 MoP를 포함한다. 여기서, FeP는 리튬과 반응하는 활성 물질(active material)로 작용하고, MoP는 리튬과 반응하지 않는 비활성 물질(inactive material)로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화물은 금속이 풍부한 조성 예컨대 Fe4P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인화물 중의 MoP의 상분율(몰분율)이 5~40%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Fe 소스, Mo 소스 및 P 소스를 출발 원료로 하여 수소첨가 탈질반응 프로세스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 활물질 제조 절차를 도시한 절차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출발원료가 준비된다. 상기 출발원료로는 P 소스, Fe 소스 및 Mo 소스가 사용된다(S112, S114, S116). 본 발명에서 MoP 및 FeP의 제조를 위해서 P 소스와 금속 소스는 몰분율이 1:1이 되도록 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몰분율은 화학양론비와는 달리 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출발원료로 과잉의 P 또는 과잉의 금속 소스를 첨가하여 새로운 인화물의 생성도 가능하다. 예컨대, 금속 소스를 과잉으로 첨가하여 Fe4P와 같은 인화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P 소스로는 인산염이 사용될 수 있다. 인산염으로는 예컨대 (NH4)2HPO4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Fe 소스로는 질산철염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Fe(NO3)3·9H2O가 Fe 소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Mo 소스로는 몰리브덴산염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NH4)6Mo7O24·4H2O가 Mo 소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출발원료인 P 소스, Fe 소스 및 Mo 소스는 용액 상태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 소스 용액, Fe 소스 용액 및 Mo 소스 용액은 균일한 혼합 및 용해를 위해 각각 적절한 시간 동안 교반된다(S122, S124, S126).
이어서, 상기 교반된 P 소스 용액에 Fe 소스 용액을 혼합하고, 이어서, 상기 Mo 소스 용액을 혼합한다(S130). 본 발명에서 각 용액의 혼합 순서는 바뀔 수 있다. 혼합된 소스 용액을 적절한 시간 동안 교반하고(S140) 건조한다(S150).
이어서, 건조된 혼합 소스를 대기 중 약 450~550℃의 온도에서 하소한다(S160). 이어서, 하소된 분말을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한다(S170). 환원분위기는 예컨대 적절한 유량으로 H2를 공급하면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MoP의 합성을 위한 적절한 온도 예컨대 750~8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Fe-Mo-P 인화물로 된 음극 활물질을 합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극 활물질 제조 과정의 일부를 도시한 절차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Fe 소스 용액, P 소스 용액 및 C 소스 용액이 준비된다(S212, S214, S216). 상기 Fe 소스 및 C 소스 용액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물질 및 제조 과정을 거쳐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액으로는 수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C 소스 용액으로는 PVP(Polyvinylpyrrolidone), PVA(polyvinyl alcohol), PVB(polyvinyl butyral), 폴리아닐린(Polyaniline), 글루코스(Glucose), 시트릭산(Citric acid) 및 슈크로오스(Sucrose) 등을 증류수에 용해한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각 용액을 적정 시간 동안 교반하고(S222, S224, S226), Fe/P/C 소스 혼합 용액을 제조한다(S230).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Mo/P/C 소스 혼합 용액도 마찬가지의 절차로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Fe/P/C 소스 혼합 용액과 Mo/P/C 소스 혼합 용액을 혼합하고,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건조, 하소 및 환원 열처리를 거쳐 Fe-Mo-P 인화물과 카본의 복합체로 된 음극 활물질을 합성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음극 활물질은 음극 도전재로 사용되는 카본을 복합체 조직 내에 함유함으로써 도전성이 뛰어난 음극재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Fe-Mo-P 음극 활물질의 제조예>
Fe-Mo-P 복합체로 된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출발 물질로 P 소스로는 인산 암모늄((NH4)2HPO4; 준세이 케미칼), Mo 소스로는 몰리브덴산 암모늄((NH4)6Mo7O24·4H2O; 준세이케미칼)을 사용하였고, Fe 소스로는 질산철 구수화물(Fe(NO3)3·9H2O; 준세이케미칼)을 사용하였다.
FeP 인화물과 MoP 인화물의 합성된 복합체 분말로서 FeP와 MoP의 중량비가 8:2가 되도록 각각의 소스를 칭량하고, 100 ml의 비이커에 50 ml 증류수를 채운 후 용해하고, 소스 수용액들을 각각 2시간 교반하였다.
아래 표 1은 본 실시예의 각 원료 소스의 배합을 나타낸 표이다.
구분 함량(g)
(NH4)2HPO4 7.20
(NH4)6Mo7O24·4H2O 1.41
Fe(NO3)3·9H2O 18.99
이어서, (NH4)2HPO4 용액에 Fe(NO3)3·9H2O 용액을 혼합하고, 2시간 교반 후 (NH4)6Mo7O24·4H2O 용액을 혼합하고 12 시간 동안 교반 후 100도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혼합 소스를 500℃, 대기 중에서 5시간 동안 하소하였다.
이어서 하소된 분말을 수소분위기 800℃에서 5시간 열처리를 한 후에 FeP/MoP 복합체로 된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Fe-Mo-P-C 음극 활물질의 제조예>
Fe-Mo-P-C 복합체로 된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출발 물질로 P 소스로는 인산 암모늄((NH4)2HPO4; 준세이 케미칼), Mo 소스로는 몰리브덴산 암모늄((NH4)6Mo7O24·4H2O; 준세이케미칼)을 사용하였고, Fe 소스로는 질산철 구수화물(Fe(NO3)3·9H2O; 준세이케미칼)을 사용하였고, 카본 소스로는 PVP를 사용하였다.
먼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절차에 따라 Fe/P/C 소스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과정은 Fe 소스, P 소스 및 PVP 소스 수용액을 각각 2시간 교반시킨 후 P 소스 수용액에 PVP 소스 수용액을 혼합하고, 여기에 Fe 소스 수용액을 다시 혼합하였다. Mo/P/C 소스 수용액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e, Mo 및 P 소스의 함량은 합성 후 FeP:MoP의 중량비가 8:2가 되도록 하였다.
아래 표 2는 본 실시예의 각 원료 소스의 배합을 나타낸 표이다.
구분 함량(g)
(NH4)2HPO4 7.20
(NH4)6Mo7O24·4H2O 1.41
Fe(NO3)3·9H2O 18.99
PVP 2.76
제조된 Fe/P/C 소스 수용액과 Mo/P/C 소스 수용액을 혼합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0 ℃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혼합 소스를 500℃, 대기 중에서 5시간 동안 하소하고, 하소된 분말을 수소분위기 800℃에서 5시간 열처리를 한 후에 FeP/MoP/C 복합체로 된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성 분말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FeP/MoP 복합체 샘플과 FeP/MoP/C 복합체 샘플의 XRD 패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료분말 중에 포함된 Fe, Mo 및 P가 FeP상과 MoP 상으로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미량의 Fe4P 상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PANalytical HoghScore Plus 프로그램의 Rietveld 분석법에 의한 상분석 결과, FeP/MoP 복합체 샘플의 경우 FeP:MoP:Fe4P의 중량비가 73:24:3 이었고, FeP/MoP/C 복합체 샘플의 경우 FeP:MoP:Fe4P의 중량비가 81:18:1이었다.
이로부터 카본 소스가 첨가된 샘플의 경우 Fe4P의 분율이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FeP/MoP 복합체 샘플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먼저, 도 4의 (a)는 합성 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4의 (b) 내지 (e)는 동일한 합성 분말의 입자에 대한 EDS 맵핑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의 (b) 내지 (e)로부터 P는 전제적으로 잘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Mo와 Fe는 서로 다른 위치에 나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샘플은 FeP와 MoP가 복합체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전지셀 제조예>
도 3의 FeP/MoP 복합체 샘플과 FeP/MoP/C 활물질로 각각 사용하고, 여기에 Super P 블랙 도전재, PAI(Poly amideimde) 바인더를 중량비로 75:10:15로 혼합한 도포액을 Cu 전극 기판 상에 도포하고 약 10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EC(ethylene carbonate)/DEC(diethyl carbonate)/EMC(ethylmethyl carbonate) (부비피 3:5:2)를 용매로 1M LiPF6를 용해하고, 10.0 wt% FEC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이상 제조된 제조된 전극을 사용하고, 대극으로는 리튬 금속을 이용하였다. 이때 각각의 전극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P.P(polypropylene) 분리막을 삽입한 후 전해액을 함침한 후 2032 코인셀 형태의 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지 셀을 도요사의 T-3100를 사용하여, 충방전 용량 및 사이클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때, 충방전 조건은 0.1C (초기화성, 0.005 ~ 2 V) -> 0.1C(1 ~ 100 cycle ~, 0.005 ~ 2.0 V)로 하였다.
본 발명과의 대비를 위하여 FeP 활물질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전지 셀을 제조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평가하였다.
도 5의 (a)는 각 샘플 전지에 대한 초기 화성 단계에서 충방전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첫번째 사이클에서의 충방전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도 6은 각 샘플 전지에 대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eP 전지 샘플의 경우 사이클 초기에 방전 용량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 10 사이클 이후에 100 mAh/g 이하로 감소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FeP/MoP 전지 샘플의 경우 FeP 전지샘플에 비해 용량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또한 사이클 진행에 따른 용량의 급격한 감소는 관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FeP/MoP/C 전지 샘플은 FeP/MoP 전지 샘플에 비해서 용량의 증가와 사이클이 진행에 따른 용량 보존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래 표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샘플 전지의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과 FeP 샘플 전지를 대비하여 정리한 표이다.
구분 화성단계
(충전/방전용량/효율)
초기사이클
(충전/방전용량/효율)
FeP 샘플전지 1152 mAh/g
514 mAh/g
51.5 %
493 mAh/g
372 mAh/g
75.5 %
FeP/MoP
샘플전지
756 mAh/g
576 mAh/g
76.2 %
621 mAh/g
601 mAh/g
96.7%
FeP/MoP/C
샘플전지
905 mAh/g
518 mAh/g
57.3 %
736 mAh/g
650 mAh/g
88.2%

Claims (13)

  1. P 소스를 포함하는 제1 용액, Mo 소스를 포함하는 제2 용액 및 Fe 소스를 포함하는 제3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3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용액을 건조 및 하소하는 단계; 및
    상기 하소된 분말을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철 인화물과 몰리브덴 인화물의 복합체 분말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 소스는 인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o 소스는 몰리브덴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e 소스는 질산철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용액은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에서 카본 소스 용액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소스 용액의 카본 소스는 PVP(Polyvinylpyrrolidone), PVA(polyvinyl alcohol), PVB(polyvinyl butyral), 폴리아닐린(Polyaniline), 글루코스(Glucose), 시트릭산(Citric acid) 및 슈크로오스(Sucrose)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 인화물은 Fe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 인화물은 Fe4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10. 리튬 이차전지용 포스파이드계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철 인화물과 몰리브덴 인화물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포스파이드계 활물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철 인화물은 FeP 및 Fe4P를 포함하고,
    상기 활물질의 인화물 중 Fe4P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포스파이드계 활물질.
  12.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도전성 기재; 및
    상기 도전성 기재 상에 도포되며, 철 인화물과 몰리브덴 인화물의 복합체로 된 음극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재는 카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KR1020140160384A 2014-11-17 2014-11-17 Fe-Mo-P 복합체 음극 활물질, 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84A KR102292531B1 (ko) 2014-11-17 2014-11-17 Fe-Mo-P 복합체 음극 활물질, 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84A KR102292531B1 (ko) 2014-11-17 2014-11-17 Fe-Mo-P 복합체 음극 활물질, 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100A true KR20160059100A (ko) 2016-05-26
KR102292531B1 KR102292531B1 (ko) 2021-08-25

Family

ID=5610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84A KR102292531B1 (ko) 2014-11-17 2014-11-17 Fe-Mo-P 복합체 음극 활물질, 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5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246A (ko) * 2016-11-18 2018-05-28 한국전기연구원 리튬 2차 전지용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WO2019098660A3 (ko) * 2017-11-14 2019-07-11 한국전기연구원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음극 활물질을 구비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9147038A1 (ko) * 2018-01-25 2019-08-01 한국전기연구원 탄소재 표면에 자기 결합된 복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음극 활물질을 구비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2191473A1 (ko) * 2021-03-10 2022-09-15 한국전기연구원 리튬 황 전지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15231534A (zh) * 2022-06-23 2022-10-25 西北工业大学深圳研究院 一种核壳型纳米金属磷化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251A (ko) * 2008-11-19 2010-05-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251A (ko) * 2008-11-19 2010-05-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문헌1) S. Boyanov et. al., Chemistry of materials, 18, 3531 (2006)
(선행문헌2) S. Boyanov et. al., Chemistry of Materials, 21, 3684 (2009)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246A (ko) * 2016-11-18 2018-05-28 한국전기연구원 리튬 2차 전지용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WO2019098660A3 (ko) * 2017-11-14 2019-07-11 한국전기연구원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음극 활물질을 구비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522196B2 (en) 2017-11-14 2022-12-06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node active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nonaqueous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ode activ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WO2019147038A1 (ko) * 2018-01-25 2019-08-01 한국전기연구원 탄소재 표면에 자기 결합된 복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음극 활물질을 구비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90496A (ko) * 2018-01-25 2019-08-02 한국전기연구원 탄소재 표면에 자기 결합된 복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음극 활물질을 구비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2191473A1 (ko) * 2021-03-10 2022-09-15 한국전기연구원 리튬 황 전지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15231534A (zh) * 2022-06-23 2022-10-25 西北工业大学深圳研究院 一种核壳型纳米金属磷化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231534B (zh) * 2022-06-23 2024-04-09 西北工业大学深圳研究院 一种核壳型纳米金属磷化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531B1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 et al. Core–shell MOF-derived N-doped yolk–shell carbon nanocages homogenously filled with ZnSe and CoSe 2 nanodots as excellent anode materials for lithium-and sodium-ion batteries
CN111082058B (zh) 一种Nasicon结构磷酸钛钠表面修饰P2型锰基钠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86247B1 (ko) 질소가 도핑된 탄소층이 코팅된 다공성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Peng et al. Ultrathin δ-MnO 2 nanoflakes with Na+ intercalation as a high-capacity cathode for aqueous zinc-ion batteries
CN107851840A (zh) 用于阳极活性材料、阴极活性材料和固态电解质的纳米工程涂层及包含纳米工程涂层的电池的制造方法
CN108232142B (zh) 一种硫化锌/石墨烯复合材料、其制备方法及应用
KR102292531B1 (ko) Fe-Mo-P 복합체 음극 활물질, 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CN108039491B (zh) 一种钠离子电池负极材料三磷酸铁钠及其制备方法
CN113104828A (zh) 多孔碳改性的焦磷酸磷酸铁钠/碳钠离子电池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14520323A (zh) 一种双策略改性层状氧化物钠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13101B1 (ko) MoP 코팅을 갖는 리튬 이온전지용 Si계 음극 활물질,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CN116169260A (zh) β”-Al2O3和N掺杂C复合包覆Na3V2(PO4)2F3电极材料
Yuan et al. Hybrid Sub‐1 nm Nanosheets of Co‐assembled MnZnCuOx and Polyoxometalate Clusters as Anodes for Li‐ion Batteries
KR101908925B1 (ko) 나트륨 전지용 양극 첨가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전지
CN114349051A (zh) 多金属钼酸盐、其制备方法及锂离子电池
KR101604589B1 (ko) 리튬 이온전지용 MoP/MoP2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N109473634B (zh) 固相共热合成二硒化钼/氮掺杂碳棒的方法
JP2023525567A (ja) ナトリウムイオン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負極用共晶溶液ethalineからの純粋相SnSbの電解析出
KR102590571B1 (ko) 리튬 2차 전지용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KR20210044721A (ko) 기능성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hen et al. Constructing FePSe 3–FeSe 2 heterojunctions uniformly in a Ketjen black carbon matrix for superior potassium ion batteries
KR102292533B1 (ko) MoP를 포함하는 CoP계 복합체 음극 활물질, 그를 포함하는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CN113968741B (zh) 具有硫催化功能的含氮高熵MXene、隔膜复合材料及电池
KR101631914B1 (ko) 리튬 이온전지용 Mo-Si-P계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N117916908A (zh) 具有涂覆的无序岩盐材料的阴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