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000A -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000A
KR20160059000A KR1020140159742A KR20140159742A KR20160059000A KR 20160059000 A KR20160059000 A KR 20160059000A KR 1020140159742 A KR1020140159742 A KR 1020140159742A KR 20140159742 A KR20140159742 A KR 20140159742A KR 20160059000 A KR20160059000 A KR 2016005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irewall
finishing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000A/ko
Publication of KR2016005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스틸 이외의 재료로 구성된 방화벽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덕트 관통구를 안정적으로 마감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덕트 관통구의 주위에서 방화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볼트체결공에 설치되고, 볼트가 중앙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볼트체결공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볼트 체결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방화벽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파이핑 스풀; 상기 덕트 관통구와 덕트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내화단열블록; 상기 덕트 관통구와 덕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방화벽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체결공을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방화벽에 고정되는 마감 플레이트; 및 상기 덕트 관통구와 덕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나머지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방화벽의 타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에 의해 방화벽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마감 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감 플레이트와 접촉하면서 방화벽과 내화단열블록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백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Finishing structure of duct penetration for A-Class partition wall}
본 발명은 방화벽에 형성된 덕트 관통구를 마감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틸 이외의 재료로 구성되며 내화등급이 부여된 방화벽에 적용이 가능하고, 덕트 관통구와 덕트 사이에 안정된 방화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덕트 관통구를 마감하는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 위에 떠 있는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선원 및 탑승객의 대피 장소가 상당히 제한적인 관계로 인하여 인명 사상을 동반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이에 따라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어느 한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다른 구역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확산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방화벽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선원이나 탑승객이 거주하게 되는 거주구 또는 화물이 보관되는 화물창을 구성함에 있어서 방화벽을 이용하여 각각의 구역을 구획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이웃한 구역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늦추게 된다.
이처럼 방화벽을 이용하여 거주구의 각 구역을 구획함에 있어서, 환기시설 또는 각종 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덕트가 방화벽을 관통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방화벽에 덕트 관통구를 형성하고, 덕트 관통구를 이용한 덕트의 배치가 완료되면 덕트 관통구와 덕트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덕트 관통구와 덕트 사이 공간이 제대로 폐쇄되지 못할 경우, 덕트 관통구를 통하여 이웃한 공간으로 화재가 확산될 수 있으므로, 덕트 관통구와 덕트 사이의 마감은 미리 규정된 방화구조에 따라 마감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선박 거주구의 격벽을 형성하는 스틸 재질의 방화벽에 덕트가 설치된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거주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틸 재질의 방화벽(10)이 사용되고 있으며, 스틸 방화벽(10)에 형성된 덕트 관통구(11)의 마감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덕트 관통구(11)는 덕트(20)에 형성된 플랜지(21)의 크기를 고려하여 충분히 큰 크기로 형성되므로, 덕트 관통구(11)와 덕트(20)의 사이에는 상당히 큰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덕트 관통구와 덕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마감판(30)을 덕트(20) 둘레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마감판(30)을 방화벽(10)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덕트 관통구와 덕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감 방식은 스틸 방화벽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스틸 이외의 재질로 구성된 방화벽에는 용접이 불가능함에 따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3408호 (2005.01.1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틸 이외의 재료로 구성된 방화벽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덕트 관통구를 안정적으로 마감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덕트가 관통하도록 방화벽에 형성된 덕트 관통구에 설치되어 덕트와 덕트 관통구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로써, 상기 덕트 관통구의 주위에서 방화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볼트체결공에 설치되고, 볼트가 중앙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볼트체결공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볼트 체결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방화벽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파이핑 스풀; 상기 덕트 관통구와 덕트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내화단열블록; 상기 덕트 관통구와 덕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방화벽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체결공을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방화벽에 고정되는 마감 플레이트; 및 상기 덕트 관통구와 덕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나머지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방화벽의 타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에 의해 방화벽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마감 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감 플레이트와 접촉하면서 방화벽과 내화단열블록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백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 방화벽의 사이, 그리고 백 플레이트의 플랜지부와 방화벽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화가스켓;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덕트의 외면에 밀착된 채로 마감 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덕트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방화벽을 구성하는 소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므로, 설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스틸 보다 가벼운 경량 소재를 이용한 방화벽을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무게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선박 거주구의 격벽을 형성하는 스틸 재질의 방화벽에 덕트가 설치된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 구조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 구조체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는 용접이 아닌 볼팅작업을 통하여 덕트 관통구(11)와 덕트(2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파이핑 스풀(110), 내화단열블록(120), 마감 플레이트(130), 백 플레이트(140)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핑 스풀(110)은 마감 플레이트(130)와 백 플레이트(140)를 방화벽(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하여 방화벽(10)이 압축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덕트 관통구(11)의 주위에서 방화벽(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체결공(12) 내에 각각 설치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된다.
한편, 각각의 파이핑 스풀(110)은 볼트(B)가 중앙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은 마감 플레이트(130)에 밀착되고, 타측단은 백 플레이트(140)에 밀착되어 볼트(B)의 체결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방화벽(10)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내화단열블록(120)은 덕트 관통구(11)와 덕트(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충전되도록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기가 이웃한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내화단열블록(120)은 공지의 내화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덕트 관통구(11)의 내면 또는 덕트(2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감 플레이트(130)는 덕트 관통구(11)와 덕트(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덕트 관통구(11)의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방화벽(10)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볼트체결공(12)을 관통하여 너트(N)와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 평판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덕트(2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덕트(20)의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멍(131)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도 2에는 사각형의 띠 구조를 갖는 마감 플레이트(130)가 도시되어 있으나, 마감 플레이트(130)는 덕트(20) 및 덕트 관통구(11)의 형상에 따라 원형의 띠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백 플레이트(140)는 덕트 관통구(11)와 덕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나머지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방화벽(10) 및 내화단열블록(120)이 볼트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플랜지부(141)와 지지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41)는 덕트 관통구(11)와 덕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나머지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방화벽(10)의 타측면에 밀착되며, 볼트(B) 체결에 의해 방화벽(10)에 고정된다.
이러한 플랜지부(141)는 실질적인 구성에 있어서 마감 플레이트(13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바, 플랜지부(141)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42)는 플랜지부(141)로부터 마감 플레이트(130) 방향으로 연장되되, 끝단부가 마감 플레이트(130)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방화벽(10)과 내화단열블록(120)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플랜지부(141)와 지지부(142)는 실질적으로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플랜지부(141)와 지지부(142)로 구성되는 백 플레이트(140)는 ㄱ자형의 단면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142)는 덕트(20)의 외면에 밀착된 채로 마감 플레이트(130)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부(142)의 구조에 따르면, 백 플레이트(140)가 내화단열블록(120)을 감싸 안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마감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다 안정적인 마감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마감 플레이트(130)와 백 플레이트(140)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를 덕트(20)의 외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마감 플레이트(130)와 백 플레이트(140)는 덕트(2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덕트(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미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보다 안정적인 방화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마감 플레이트(130)와 방화벽(10)의 사이, 그리고 플랜지부(141)와 방화벽(10)의 사이에는 내화가스켓(151,152)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화가스켓(151,152)은 마감 플레이트(130)와 백 플레이트(140)를 방화벽(10)에 고정하도록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는 덕트(20)의 설치가 완료된 후, 파이핑 스풀(110), 내화단열블록(120), 내화가스켓(151,152), 마감 플레이트(130), 그리고 백 플레이트(140)를 각각 요구되는 위치에 설치한 뒤, 방화벽(10)의 일측에서 볼트(B)를 삽입하되, 볼트(B)가 백 플레이트(140) → 내화가스켓(152) → 방화벽(10) → 내화가스켓(151) → 마감 플레이트(1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뒤 너트(N)와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마감 구조체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는 용접이 아닌 볼트 체결에 의하여 방화벽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바, 스틸로 구성된 방화벽은 물론이고, 스틸 이외의 산업용 섬유 등의 내화재료로 구성되어 내화등급이 부여된 방화벽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화벽 11: 덕트 관통구
12: 볼트체결공 20: 덕트
110: 파이핑 스풀 120: 내화단열블록
130: 마감 플레이트 140: 백 플레이트
141: 플랜지부 142: 지지부
151,152: 내화가스켓

Claims (4)

  1. 덕트(20)가 관통하도록 방화벽(10)에 형성된 덕트 관통구(11)에 설치되어 덕트(20)와 덕트 관통구(11)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로써,
    상기 덕트 관통구(11)의 주위에서 방화벽(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볼트체결공(12)에 설치되고, 볼트(B)가 중앙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볼트체결공(1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볼트(B) 체결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방화벽(10)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파이핑 스풀(110);
    상기 덕트 관통구(11)와 덕트(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내화단열블록(120);
    상기 덕트 관통구(11)와 덕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방화벽(10)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체결공(12)을 관통하여 너트(N)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볼트(B)에 의해 방화벽(10)에 고정되는 마감 플레이트(130); 및
    상기 덕트 관통구(11)와 덕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나머지 한 쪽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방화벽(10)의 타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B)에 의해 방화벽(10)에 고정되는 플랜지부(141)와, 상기 플랜지부(141)로부터 상기 마감 플레이트(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감 플레이트(130)와 접촉하면서 방화벽(10)과 내화단열블록(120)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지하는 지지부(142)로 이루어진 백 플레이트(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플레이트(130)와 방화벽(10)의 사이, 그리고 백 플레이트(140)의 플랜지부(141)와 방화벽(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화가스켓(151,1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2)는 덕트(20)의 외면에 밀착된 채로 마감 플레이트(130)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플레이트(130)와 백 플레이트(140) 중 어느 하나는 덕트(20)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KR1020140159742A 2014-11-17 2014-11-17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KR20160059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742A KR20160059000A (ko) 2014-11-17 2014-11-17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742A KR20160059000A (ko) 2014-11-17 2014-11-17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000A true KR20160059000A (ko) 2016-05-26

Family

ID=5610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742A KR20160059000A (ko) 2014-11-17 2014-11-17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0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740B1 (ko) * 2021-08-24 2022-07-27 (주) 아이캡코리아 케이블 트레이 방화 장치
KR102517215B1 (ko) * 2021-12-23 2023-04-03 (주) 상일이엔지 케이블 트레이 및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내화채움구조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740B1 (ko) * 2021-08-24 2022-07-27 (주) 아이캡코리아 케이블 트레이 방화 장치
KR102517215B1 (ko) * 2021-12-23 2023-04-03 (주) 상일이엔지 케이블 트레이 및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내화채움구조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2094B (zh) 面板、用于制造面板的方法及飞行器
US9660428B2 (en) Fireproof wall lead-through for an electrically insulated condu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fireproof wall lead-through
WO2014208031A1 (ja) 鉄骨梁における配管挿通部の耐火被覆構造
KR20160059000A (ko)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KR20170084970A (ko)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US11473297B2 (en) Multilayered panel for machinery enclosure
KR20150004185A (ko) 해양플랜트의 방화 방폭 겸용 구조체 및 그의 시공 방법
JP2000118486A (ja) 船用のプレハブ式キャビン及び該キャビンを船に設置する方法。
JP6251050B2 (ja) 航空機の消火設備および航空機
CN205637287U (zh) 一种用于建筑物的防火抗爆吊顶
KR20150029876A (ko) 호스 파이프 설치 구조 및 방법
EP3569907B1 (en) Penetration device
EP1591597B1 (de) Gipskartonständerwand
KR20180018248A (ko)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KR20150100233A (ko)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와 그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의 시공방법
JP2017089377A5 (ko)
KR20070057158A (ko) 칸막이벽의 설비를 위한 화재 보호 장치
KR20120014505A (ko)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JP2006152747A (ja) 耐火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耐火セグメント部材
JP6071486B2 (ja) 乾式壁構造
KR101418418B1 (ko) 차음 구조체
KR200476516Y1 (ko) 선박 화장실의 변기가 설치된 벽체 방화커버
KR20140003089U (ko) 선박용 케이블 관통 고정장치
US8900683B2 (en) Rapid access fire barrier panel system
JP6832403B2 (ja) 構造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