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505A -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 Google Patents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505A
KR20120014505A KR1020100076624A KR20100076624A KR20120014505A KR 20120014505 A KR20120014505 A KR 20120014505A KR 1020100076624 A KR1020100076624 A KR 1020100076624A KR 20100076624 A KR20100076624 A KR 20100076624A KR 20120014505 A KR20120014505 A KR 20120014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runner
cabin unit
main runner
ceil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구
Original Assignee
바칠라캐빈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칠라캐빈 (주) filed Critical 바칠라캐빈 (주)
Priority to KR1020100076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4505A/ko
Publication of KR2012001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시공 후 천정 위 설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캐빈 유닛의 벽체 패널 상부에 시공되는 천정 패널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천정 패널 시스템은, 상기 벽체 패널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런너 고정부재와, 상기 런너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벽체 패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메인 런너와, 상기 메인 런너의 상부에 교차 결합되어, 상기 메인 러너와 함께 천정의 뼈대를 구성하는 크로스 런너와, 이웃끼리 수평이동을 허용하는 갭을 갖고서 상기 메인 런너에 조립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CEILING PANEL SYSTEM IN CABIN UNIT}
본 발명은 캐빈 유닛(cabin unit)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시공 후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분리가 용이한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빈 유닛 또는 유닛 캐빈(unit cabin)이라 불리우는 조립형 구조물이 선박 또는 건축물에 칸막이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캐빈 유닛은 선박 내 거주 구역들을 구획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캐빈 유닛은 베이스 와, 측면 벽체들과 천정 패널들을 조립하여 만들어진다. 또한, 캐빈 유닛은 선박 등과 같은 설치 위치 외의 다른 위치에서 조립된 후 설치 위치로 운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박 등에서 선실, 객실 또는 다른 편의시설을 구획하는 캐빈 유닛이 핀란드 특허공고번호 제82852호로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캐빈 유닛은, 천정의 패널들이 틈 없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일단 시공이 완료되면, 천정의 패널들을 분리하기 힘들었다. 선박의 경우, 선실의 천정 위에는 각종 배관 파이프, 덕트(duct) 또는 케이블 등이 설치되므로, 천정의 패널의 분리가 어려운 종래의 기술은 위와 같은 천정 위의 설비를 보수 및 유지하는데 있어서 심각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선박 거주 구역 또는 선실의 천정에 해치를 설치하여, 천정 위 설비의 유지 보수에 이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해치는 천정의 외관을 해치며 자재비 상승 및 설계 요소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주고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는 해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선박 거주구의 천정 위 설비들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정 패널들의 개별 조립 및 개별 해체를 가능하게 해주어, 천정 위 설비들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시공 후 천정 위 설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캐빈 유닛의 벽체 패널 상부에 시공되는 천정 패널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천정 패널 시스템은, 상기 벽체 패널의 상부에 설치된 런너 고정부재와; 상기 런너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벽체 패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메인 런너와; 상기 메인 런너의 상부에 교차 결합되어, 상기 메인 러너와 함께 천정의 뼈대를 구성하는 크로스 런너와; 이웃하는 천정 패널들 사이에 수평이동을 허용하는 갭을 갖도록 상기 메인 런너에 조립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런너 고정부재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벽체 패널의 상단에 접해 고정되는 상부 수평부와, 스크류에 의해 상기 메인 러너의 저면에 접해 고정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런너 고정부재는 "
Figure pat00001
"형의 단면 형상을 가져, 상기 상부 수평부 및 하부 수평부 외에 수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상기 벽체 패널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기 메인 런너와 상기 크로스 런너의 교차 결합을 위해 행거 훅을 포함하되, 상기 행거 훅은 상부에서 상기 크로스 런너를 감싸고 하부의 양 다리가 상기 메인 런너를 관통해 상기 메인 런너의 하부에서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천정 패널과 상기 메인 러너 사이에는 고정편의 맞물림 구조가 제공되며, 상기 고정편의 맞물림 구조는, 상기 메인 런너에 대한 상기 천정 패널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천정 패널의 고정 또는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후 천정 패널을 개별로 떼어낼 수 없어서 천정 위 배관, 덕트 및/또는 케이블 등과 같은 설비의 유지 보수가 힘들었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였는바, 이웃끼리 갭을 갖고 천정의 뼈대에 조립되는 천정 패널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천정 위 설비의 유지 보수가 한층 더 용이해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 패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캐빈 유닛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정 패널 시스템이 설치된 캐빈 유닛이 천정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천정 위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천정 패널 시스템으로부터 천정 패널을 분리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 패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캐빈 유닛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정 패널 시스템이 설치된 캐빈 유닛이 천정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천정 위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천정 패널 시스템으로부터 천정 패널을 분리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빈 유닛의 벽체 패널(2)들 상부에 설치되어 캐빈 유닛의 천정을 구성하는 천정 패널 시스템(1)이 보여진다. 벽체 패널(2)은 캐빈 유닛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이웃하는 다른 벽체 패널들과 모서리끼리 맞대어져 조립된다. 또한, 상기 벽체 패널(2)은 내부에 미네랄 울과 같은 불연성 단열재가 채워져 있으며, 이 불연성 단열재는 해상용 방화 등급을 충족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천정 패널 시스템(1)은, 메인 런너(13)들과 크로스 런너(15)들에 의한 천정의 뼈대와, 상기 뼈대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천정 패널(12)들을 포함한다. 상기 천정 패널(12)들 각각은, 벽체 패널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프레임 내부에 미네랄 울과 같은 불연성 단열재를 포함하며, 이 불연성 단열재는 해상용 방화 등급을 충족시키는 것이 좋다. 이하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런너(13)들과 상기 크로스 런너(15)들은 그들이 교차되는 위치에서 행거 훅(16)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천정의 뼈대를 구성한다. 상기 크로스 런너(15)들은 천정 패널(12)들을 메인 런너(13)들에 설치할 때, 상기 천정 패널(12)들로 인한 무게 증가에 대하여 상기 메인 런너(13)들을 지탱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한다. 상기 뼈대로부터 상기 천정 패널(12)이 분리되면 천정 위 공간이 캐빈 유닛의 실내 공간을 향해 노출되며, 따라서, 천정 패널(12)의 분리 후, 천정 위의 각종 설비, 예컨대, 배관, 덕트 및/또는 케이블 등을 자유롭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천정 패널 시스템(1)은, 상기와 같은 뼈대를 벽체 패널(2)의 상단에 올리도록, 메인 러너(13)를 벽체 패널(2)에 고정시키기 위한 런너 고정부재(14)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런너 고정부재(14)는 대략 "
Figure pat00002
"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이에 의해, 벽체 패널(2)의 상단에 수평으로 접하는 상부 수평부(142)와, 메인 런너(13)의 저면에 접하는 하부 수평부(144)를 포함한다. 스크류(17)가 상기 상부 수평부(142)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 패널(2)의 상단에 체결되고, 다른 스크류(17)가 상기 하부 수평부(144)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런너(13)의 저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메인 런너(13)는 벽체 패널(2)의 상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런너 고정부재(14)는 상기 상부 수평부(142)와 상기 하부 수평부(144)를 잇는 수직부(143)를 포함하는데, 이 수직부(143)를 관통하는 스크류(17)가 상기 벽체 패널(2)의 측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런너 고정부재(14)는 상기 벽체 패널(2)에 더 견고히 고정된다.
복수의 크로스 런너(15)들이 복수의 메인 런너(13)들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캐빈 유닛의 천정에 격자형의 뼈대를 구성한다(도 1 참조). 이때, 상기 크로스 런너(15)들은 상기 메인 런너(13)들의 상부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상기 크로스 런너(15)들을 상기 메인 런너(13)들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행거 훅(16)이 이용된다. 상기 행거 훅(16)은 상기 크로스 런너(15)의 상부를 감싸는 대략 "
Figure pat00003
"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양 다리가 상기 메인 런너(13)를 관통해 상기 메인 런너(13)의 하부에서 나사 체결되어, 상기 크로스 런너(15)를 상기 메인 런너(13)에 고정시킨다.
상기 메인 런너(13)에는 복수의 천정 패널(12)들이 이웃끼리 일정 갭(g)을 갖고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때, 천정 패널(12)들 각각과 상기 메인 런너(13) 사이에는 상기 천정 패널(12)을 일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및 고정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고정편의 맞물림 구조(19)가 마련된다. 이때, 이웃하는 천정 패널(12)들 사이에는 갭이 존재하고 그 갭이 천정 패널(12)의 고정 위치와 천정 패널(12)의 이동에 의한 고정 해제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크므로, 천정 패널(12)을 수평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 천정 패널(12)을 천정의 뼈대, 특히 메인 러너(13)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천정 패널(12)을 일방향, 즉, 수평의 화살표 방향(A)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천정 패널(12)을 뼈대, 특히, 메인 런너(13)로부터 분리하고, 다음, 천정 패널(12)을 수직 방향, 즉, 수직의 화살표 방향(B)으로 내려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천정 패널(12)의 위쪽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천정 패널(12)의 분리되어 천정 패널(12) 위쪽에 있는 배관/덕트/케이블과 같은 설비(3)가 천정 아래에 있는 작업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상태서, 작업자는 상기 설비(7)를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1: 천정 패널 시스템 2: 벽체 패널
12: 천정 패널 13: 메인 런너
14: 런너 고정부재 15: 크로스 런너
17: 스크류 19: 고정편의 맞물림 구조
7: 설비(배관, 덕트 및/또는 케이블)

Claims (6)

  1. 시공 후 천정 위 설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캐빈 유닛의 벽체 패널 상부에 시공되는 천정 패널 시스템으로서,
    상기 벽체 패널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런너 고정부재;
    상기 런너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벽체 패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메인 런너;
    상기 메인 런너의 상부에 교차 결합되어, 상기 메인 러너와 함께 천정의 뼈대를 구성하는 크로스 런너; 및
    이웃하는 천정 패널들 사이에 수평이동을 허용하는 갭을 갖도록 상기 메인 런너에 조립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런너 고정부재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벽체 패널의 상단에 접해 고정되는 상부 수평부와,
    스크류에 의해 상기 메인 러너의 저면에 접해 고정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런너 고정부재는 "
    Figure pat00004
    "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메인 런너와 상기 크로스 런너의 교차 결합을 위해 행거 훅을 포함하되, 상기 행거 훅은 상부에서 상기 크로스 런너를 감싸고 하부의 양 다리가 상기 메인 런너를 관통해 상기 메인 런너의 하부에서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 패널과 상기 메인 러너 사이에는 고정편의 맞물림 구조가 제공되며, 상기 고정편의 맞물림 구조는, 상기 메인 런너에 대한 상기 천정 패널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천정 패널의 고정 또는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6. 천정 위 설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캐빈 유닛의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 패널 시스템으로서,
    천정의 뼈대와;
    이웃하는 천정 패널들끼리 수평 이동에 의한 분리를 허용하는 갭을 갖도록, 상기 뼈대에 조립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KR1020100076624A 2010-08-09 2010-08-09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KR20120014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624A KR20120014505A (ko) 2010-08-09 2010-08-09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624A KR20120014505A (ko) 2010-08-09 2010-08-09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505A true KR20120014505A (ko) 2012-02-17

Family

ID=4583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624A KR20120014505A (ko) 2010-08-09 2010-08-09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45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4447A (zh) * 2012-05-23 2015-02-04 F·波尔希名誉工学博士公司 用于浮动设备的、带有有助于加固的管线的舱室
CN107792302A (zh) * 2017-11-16 2018-03-13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天花板连接件
KR20190132680A (ko) * 2017-07-13 2019-11-28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데크 배치 탱크 구조, 선박, 탱크의 고정 설치 방법 및 점검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4447A (zh) * 2012-05-23 2015-02-04 F·波尔希名誉工学博士公司 用于浮动设备的、带有有助于加固的管线的舱室
KR20190132680A (ko) * 2017-07-13 2019-11-28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데크 배치 탱크 구조, 선박, 탱크의 고정 설치 방법 및 점검 방법
CN110612250A (zh) * 2017-07-13 2019-12-24 三菱造船株式会社 置于甲板上的储罐结构、船舶、储罐的安装方法及检验方法
CN110612250B (zh) * 2017-07-13 2021-12-14 三菱造船株式会社 置于甲板上的储罐结构、船舶、储罐的安装方法及检验方法
CN107792302A (zh) * 2017-11-16 2018-03-13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天花板连接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982B1 (ko) 선박용 파티션 모듈
CN109159852B (zh) 模块化居住舱室的安装方法
CA2851058C (en) Modular system for sub-ceilings
EP1871656B1 (en) Method and building system for manufacturing a floating structure
KR20120014505A (ko) 캐빈 유닛의 천정 패널 시스템
US6260496B1 (en) Prefabricated cabin for a ship,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cabins in a ship
KR101347622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거주구역 내 단열 보드의 설치 구조와 그 방법
JP2018193820A (ja) スラブ構造
KR100884043B1 (ko)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 체결장치
KR20120018871A (ko) 선박 거주구의 방화구조
JP7273590B2 (ja) 天井構造
JP4381986B2 (ja) 船舶又は他の船舶類に組立て式室ユニットを設置かつ連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6718723B2 (ja) 耐震天井
JP4979441B2 (ja) 壁パネル
US10900224B2 (en) Prefabricated demising wall with external conduit engagement features
JP7367491B2 (ja) 床構造
KR101536475B1 (ko) 세라믹 화이버 블랭킷을 활용한 건식벽체시스템
KR101366872B1 (ko) 지하 차수벽 건식벽체
JP2014109096A (ja) 乾式壁構造
CN114272534A (zh) 网络设备机房安装结构
JP6925707B2 (ja) 地下階天井裏構造、及び、当該地下階天井裏構造を用いた地下階構築方法
KR20150022184A (ko) 선박 거주구의 천장구조
JP7331631B2 (ja) 基礎断熱構造
JP6298085B2 (ja) 耐火壁
KR20190073986A (ko) 커튼 플레이트를 이용한 해양상부구조물의 선실격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