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755A -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755A
KR20160058755A KR1020167003943A KR20167003943A KR20160058755A KR 20160058755 A KR20160058755 A KR 20160058755A KR 1020167003943 A KR1020167003943 A KR 1020167003943A KR 20167003943 A KR20167003943 A KR 20167003943A KR 20160058755 A KR20160058755 A KR 20160058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upport
region
superstructur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498B1 (ko
Inventor
브루노 스핀들러
쿠르드 가다우
Original Assignee
브루노 스핀들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노 스핀들러 filed Critical 브루노 스핀들러
Publication of KR20160058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7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shape following the gingival surface or the bon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61C13/206Injection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몸체와 상부 구조물 사이에서 보존적 치아 보철물의 일부로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 구조물 지지체 상에 또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에 인공 크라운이 배치되거나 접착 몸체 및 크라운으로 이루어진 결합체가 배치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접착 몸체 영역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구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구조물 지지체에서 임플란트 몸체를 향해 있는 영역 내에 제2 구조물이 배치된다. 또한 보존적 치아 보철물의 일부로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가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으로, 보존적 치아 보철물을 위한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선되어, 효과적인 제조 시, 한편으로 상부 구조물이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 치아 보철물이 잇몸에 더 확실하게 부착되도록 보장된다.

Description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SUPERSTRUCTURE SUPPORT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임플란트 몸체와 상부 구조물 사이에서 보존적 치아 보철물의 일부로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 구조물 지지체 상에 또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에 인공 크라운이 배치되거나 접착 몸체 및 크라운으로 이루어진 결합체가 배치된다.
치과 임플란트학에서 특히 보존적 개별 치아 보철물의 제조 범위 내에서 보철물을 지지하는 골내 임플란트 몸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 경우, 일종의 다월 핀(dowel pin)과 같은 임플란트 몸체는 환자 턱 내에 인공적으로 생성된 보어 내에 조립된다. 조립된 임플란트는 완성된 보철물에서 임플란트 지대주를 수용한다. 임플란트 지대주는 예컨대 회전 방지 방식으로, 특정 나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몸체 내에 조립된다. 임플란트 지대주 상에는, 겉으로 보이는 치아 크라운을 형성하는 상부 구조물이 예컨대 접착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덧씌워진다.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과제는, 보존적 치아 보철물을 위한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선하여, 효과적인 제조시 한편으로 상부 구조물이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 치아 보철물이 잇몸에 더 확실하게 부착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하여 해결된다. 이를 위해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접착 몸체 영역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구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구조물 지지체에서 임플란트 몸체를 향해 있는 영역 내에는 제2 구조물이 배치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제조를 위한 방법 청구항인 제9항에 의하여, 보존적 치아 보철물의 일부로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를 경제적으로 제조해야 하는 과제가 해결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임플란트 몸체와 상부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접착 몸체 영역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 내에서 임플란트 지대주를 포함하고, 잇몸 및 임플란트 몸체를 향해 있는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경부(implant neck)를 포함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분말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블랭크(blank)로 제조된다. 블랭크는 접착 몸체 영역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 내에서 사출 성형 금형에 의해 최종 형상과 수학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얻는다. 블랭크는 잇몸과 임플란트 몸체를 향해 있는 영역 내에서 사출 성형 금형을 통해 미가공 핀의 형태를 얻는다. 이러한 미가공 핀은 기계적 및 광학적인 분리 가공 공정을 통해 최종 형상을 얻게 되고, 이때 잇몸을 향해 있는 임플란트 플레이트가 생성되며, 이러한 플레이트에서 잇몸을 향해 있는 면적에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어떤 구조가 새겨진다.
분말 사출 성형 시, 열가소성 결합제와 혼합된 금속 분말 또는 세라믹 분말은 압력을 이용하여 가열된 사출 성형 금형 안으로 주입된다. 이형(demolding) 후, 블랭크의 결합제는 베이킹(baking) 또는 화학적 분리에 의해 적어도 가급적 제거된다. 최종적으로, 탈지된 블랭크는 이러한 블랭크가 필요한 물질 두께를 가질 때까지 노 내에서 소결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기존의 기하학적 형태는 거의 비례적으로 5 내지 35%만큼 수축된다. 금속 분말로서 본원에서는 예컨대 티타늄 합금(Ti6Al4V)이 사용되고, 이러한 티타늄 합금에서 수축율은 7 내지 12퍼센트이다.
물론, 블랭크는 금속 분말 또는 세라믹 분말의 가공을 위해 적합한 3D 프린터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다이 가공 또는 방전 가공을 통한 제조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외 상세한 사항은 종속항들 및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 형태들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도 1은 보존적 치아 보철물의 분해 모델 도면이다.
도 2는 보존적 치아 보철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지대주 측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경부 측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블랭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로서, 사출 성형 금형의 일부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임플란트 지대주에서 구형 함몰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구조물의 단면도로, 밀링 헤드(milling head)(파선으로 도시됨) 및 밀링 경로(milling path)를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임플란트 지대주에서 타원형 함몰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구조물의 단면도로, 밀링 헤드(파선으로 도시됨) 및 밀링 경로를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롤링 공구와 함께 임플란트 플레이트의 하측의 그루브형 구조물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비해 더 슬림하게 형성된 롤링 공구와 함께 임플란트 플레이트의 하측의 그루브형 구조물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그루브형 구조물의 횡단면과 함께 도 11에 따른 롤링 공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예컨대 인공 치아(1)의 모든 부분들을 분해도로 도시한다. 중공 나사형 임플란트 몸체(10)는 저부로서 기능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예컨대 그 위에 접착된 접착 몸체(100)와 함께, 외부 육각 나사(90)를 이용하여 회전 방지 방식으로 임플란트 몸체(10)와 나사 조립된다. 접착 몸체(100) 상에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아 크라운(120)이 덧씌워져 접착된다.
도 2는 보존적 치아 보철물(1)을 도시하고, 이러한 치아 보철물은 턱뼈(3) 내에 나사 조립된 임플란트 몸체(10) 상에 장착된다. 도시된 턱뼈의 단면은 -환자 측면에서 볼 때- 우측 턱 측의 어금니 영역이다. 이러한 단면은 씹는 평면(6)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몸체(10)의 중심선(19)은 씹는 평면(6)에 대하여 예컨대 80도의 각도(18)만큼 경사져 있는데, 이러한 임플란트 몸체(10)에서 원추형 안착부(14) 내에 예컨대 각지게 형성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가 안착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특정한 외부 육각 나사(90)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몸체(10)의 리세스(13) 내에 고정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상에 고정된 접착 몸체(100) 상에는 추가적 상부 구조물 부분으로서 인공 치아 크라운(120)이 접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임플란트 몸체(10)는 예컨대 비금속성인 셀프 태핑(self-tapping) 외부 나사산을 갖는 중공 나사이다. 대략적으로 상부의 반부(half portion) 내에서 임플란트 몸체(10)는 다단형 리세스(13)를 포함하고, 이러한 다단형 리세스는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영역(14)은 임플란트 몸체(10)의 임플란트 숄더(12) 영역 내에 위치하는 내부 원추부로서, 이러한 내부 원추부의 원추각은 예컨대 18도이다. 내부 원추부(14)는 회전 방지부로서 기능하는 제2 영역의 육각형 홈 부분(15)으로 이어진다. 육각형 홈 부분은 예컨대 이중 육각 홈의 형태이거나, 힘 또는 형상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의 다른 회전 방지 기하학적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육각형 홈 부분(15)에는 임플란트 몸체(10) 내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센터링을 돕는 원통형 안착부(16)가 연결된다. 예컨대 겨우 0.7mm 길이에 불과한 원통형 안착부(16)는 본원에서, 육각형 홈 부분(15)의 이면폭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다.
제3 영역(17)은 나사산 보어(threaded bore)로서, 조립 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를 홀딩하는 외부 육각 나사(90)를 수용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1차적으로, - 임플란트 몸체(10) 내에 안착한 상태에서 - 인공 치아 크라운(120)을 위한 저부로서 기능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도 3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몸체(10)를 향해 있는 영역(51)을 포함하고, 도 4를 참조하면 치아 크라운(120) 또는 상부 구조물을 향해 있는 영역(21)을 포함한다.
임플란트 몸체(10)를 향해 있는 영역(51)은 외부 원추부(53), 외부 육각 부분(54)을 구비하고 예컨대 짧은 원통형 부착물(55)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경부(52)이다. 외부 원추부(53), 외부 육각 부분(54) 및 원통형 부착물(55)은 임플란트 몸체(10)의 리세스(13)에 정확히 맞물린다. 임플란트 몸체(10)의 끝단부(tip)를 가리키는 축 방향에서, 부분들(54, 55)의 정면들은 리세스(13)와 닿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경부(52)의 위에 임플란트 플레이트(31)가 연결되며, 임플란트 플레이트는 예컨대 임플란트 경부(52)로부터 시작하여 지속적인 이행 부분을 포함한다. 예컨대 원형이 아닌 임플란트 플레이트(3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대의 측면부분 형상이며, 그 원추각은 치아 크라운(120)쪽으로 개방된다. 원추각은 예컨대 125도와 131도 사이이다. 경우에 따라서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하측은 서로 갈라져 연장되는 복수의 원추부들로 구성되며, 이때 각각의 원추부는 중심선(29)에 대해 상이한 각도를 가진다. 이 경우, 원추각은 120도와 136도 사이이다.
이때 생성되는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원추부들 사이의 에지들은, -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외부 공간 내에서 측정되는 - 각각 서로 맞붙는 측면들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를 초과하는 한, 세균 차단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외부 가장자리(33)와 중심선(29)간의 거리는, 본원에서, 중심선(29) 둘레에서 360° 회전 시 2.22 mm와 3.48 mm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지속적으로 달라진다. 가장자리(33)는 중심선(29)의 종방향에서 예컨대 0.78 ± 0.2 mm의 높이 변동을 포함한다.
도 4에 따르면,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하측(32)은 그루브형 구조물(71)을 포함한다. 구조물(71)의 개별 그루브들(74)은 예컨대 밀링 공정 또는 연마 공정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이때 예컨대 밀링 공구 또는 연마 공구의 헤드의 중심점, 즉 예컨대 치과용 원형 버(round bur)의 볼 형상 헤드는 중심선(29)에 대해 법선으로 정렬된 평면에서 안내될 수 있다. 밀링 공구 또는 연마 공구에 의해 각각 생성되는 그루브(74) 또는 노치(notch)는 예컨대 지속적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폐곡선 경로에 위치한다.
본원에서 또한, 그루브들(74) 대신 1개의 그루브 또는 노치가 중단 부분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거의 나선형으로 그리고/또는 휘감는 형태로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하측(32)을 따라 둘러쳐질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그루브들(74)의 이격은, 이들 사이에 예컨대 개별적 그루브의 폭 또는 복수의 그루브들의 폭에 상응하는 필드들 또는 브리지들이 유지되는 정도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그루브들(74)은 이격 없이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그루브들 사이에 하나의 각진 융기부가 생성된다. 개별 그루브는 이 그루브의 종방향 연장 부분에 대해 횡방향으로 활꼴(segment of circle) 모양의 횡단면을 가진다. 3개의 그루브들에 의해 생성되는 2개의 각진 융기부들 사이의 간격은 이러한 활꼴 모양 횡단면의 수학적 현 길이(chord length)(s)에 상응한다. 그루브의 깊이는 수학적인 원호 높이(arc height)(h)에 상응한다. 밀링 반경(r)에 따른 원호 높이(h)와 현 길이(s)의 관계식은 이하의 식으로 나타낸다:
h = r - (r2 - 0.25*s2)1/2
나란히 위치한 복수의 그루브들이 있고, 이들의 각진 융기부들이 소위 피치로서의 간격(s)으로 각각 서로 이격되어 있다면, h는 그루브 최저부들과 각진 융기부들(=브리지들) 사이에서의 진폭을 형성한다. 진폭(h) 및 간격(s)은 표면의 매크로 구조(macrostructure)를 나타낸다.
반경이 0.5 mm인 볼 형상 헤드 밀링기에서, 피치가 100 ㎛일 때 진폭은 약 2.5 ㎛이다. 반경 변화 없이 피치가 2배 증배되면, 진폭은 약 21 ㎛로 증가한다.
하측의 표면에 대하여 2개의 요건이 필요하다. 첫번째로, 표면은 빙 두른 형태의 융기된 브리지들 또는 돌기들을 포함하거나, 표면 내에 형성되는 그루브들 또는 노치들을 포함해야 한다. 브리지, 돌기, 그루브 또는 노치에 의하여 세균 방지부로 기능하는 빙 두른 형태의 에지가 생성된다.
이웃한 에지들(=각진 융기부들)의 간격은 예컨대 0.1 내지 0.5 mm의 범위를 가진다. 두번째로, 표면은 거의 거울처럼 매끄러워서 이미 물리적인 이유로 세균이 단시간 동안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점착되는 경우를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하측(32)의 영역 내에서 그리고 임플란트 경부(52)에서 산술적 평균 거칠기 값은 미소 구조물(71)에도 불구하고 고작 1.5 내지 3.0 ㎛의 범위를 가진다. 이로써, 소형 방지막을 구비한 "파형(wave shaped)"의 하측은 "파정부(wave crest region)" 상에서 그리고 "파곡부(wave trough region)" 내에서 거의 기공이 없는 닫힌 표면을 포함한다.
임플란트 플레이트(31) 및 임플란트 경부(52)의 하측의 칩 제거 가공 외에 변형 가공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롤링 공구를 이용하여 표면 안으로 눌리는 방식으로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소위 롤링은 거칠기 깊이가 1 ㎛미만인 정밀 가공을 나타낸다. 원하는 평활화(smoothening) 외에 작업편 표면의 경화가 수행된다.
도 11 및 도 13에는 롤링 공구(150)가 도시되어 있으며, 롤링 공구는 "파곡부"를 새겨 넣을 뿐만 아니라 파정부를 평활화하는 프로파일링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롤링 공구(150)의 롤링 헤드(151)는 그루브 프로파일링 부분(153)을 포함하고, 그루브 프로파일부분의 양측에는 평활화 부분(154)이 연결된다. 그루브 프로파일링 부분(153)은 이에 상응하는 "파곡부"를 위해 역할한다. 평활화 부분(154)은 자유 가장자리 부분에서 테이퍼링되어, 새로운 롤링 에지의 생성을 방지한다. 테이퍼링 영역 내에서, 롤링 공구의 중심선(159)과 관련하는 반경은 롤링 헤드(151)의 중심과 멀어지면서 줄어든다.
도 12는 롤링 헤드(151)의 일부분을 도시하며, 이러한 부분은 섕크(shank)와 멀어진 측에서 평활화 부분(154)을 포함하지 않는다.
롤링 공정 중에, 롤링 공구(150)는 구조물 지지체에 대하여 정렬되되, 롤러 접촉 지점(155)과 중심선(159) 사이에 위치하는 반경 직선이 하측(32)의 아직 롤링되지 않은 표면의 포락면(enveloping surface)에 대하여 법선을 이루도록 정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반경 직선이 위치한 평면으로서 중심선(159)에 대하여 법선 배향된 이러한 평면은 이에 상응하는 "파곡부"의 곡선 경로에 대하여 접선(tangential)으로 인접한다.
작업편 위에서 구르는 회전 롤링 공구 대신, 다이아몬드 평활화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예컨대 전술한 곡선 경로를 따라 그루브 형성 및 평활화를 위해 반구형 다이아몬드가 이동한다.
롤링 공구(150)를 이용하면, 사이클 마다 각각 오로지 1개의 그루브만 생성된다. 물론, 복수의 롤링 헤드들(151)이 결합되어 예컨대 일체형 금형 공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금형 공구를 이용하면 한 사이클에서 모든 그루브들이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개별 그루브들은 서로 다른 반경에 위치하므로, 반드시 유격이 발생하고, 이러한 유격은 부가적으로 평활화 효과를 가진다. 금형 공구를 사용하는 방법은 칩 제거 가공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밀링기 또는 프로파일 밀링기는 오로지 한 사이클에서 모든 그루브들을 동시에 가공하거나 복수의 그루브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일 그룹을 동시에 가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빙 두른 형태의 구조물에 대해 대안적으로, 임의적으로 분포하는 오목부들이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하측(32) 내에 변형 가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광택 블라스팅(blansting)이 적합하다. 이러한 방법에서, 직경이 15 내지 50 ㎛인 유리 구슬(glass beads)은 압축 공기를 받아 노즐을 관통하여 가공해야 할 대상물 위에 분사된다.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위에서, 영역(21) 내에 임플란트 지대주(23)가 연장된다. 임플란트 지대주는 예컨대 임플란트 플레이트(31)로 향하는 둥근 이행 영역(34) 내에서,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최대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진다. 이로써 임플란트 플레이트(31)는 임플란트 지대주(23)쪽으로 가면서 평편한 가장자리 상측(37)을 포함한다. 거의 중심선(29)을 지나는 각 단면 평면에서, 평편한 가장자리 상측의 윤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심선(29)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임플란트 플레이트(31)는 가장 슬림한 부분에서 반경 방향으로 0.4 내지 0.5 mm 튀어나와 있다. 최대 폭 부분은 2 mm를 초과하는 것으로 측정될 수 있다. 평편한 가장자리 상측(37)은 특히 접착 몸체(100) 또는 치아 크라운(120)을 위한 안착면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파선을 참조하면, 둥근 이행 영역은 축 방향에서 중심선(29)에 대해 평행하게 0.05 내지 0.2 mm만큼 함몰될 수 있어서, 평편한 가장자리 상측(37)과 임플란트 지대주(23) 사이에 홈(35)이 생성된다.
대부분 3 내지 4 mm 높이를 갖는 임플란트 지대주(23)는 도 2 및 도 6에 따른 단면에서 사다리꼴 횡단면을 가진다. 좌측 측선(27)은 중심선(29)에 대하여 예컨대 13.3 각도만큼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상부에서 중심선(29) 쪽으로 경사져 있다. 우측 측선(28)은 중심선(29)과 함께 예컨대 3.2 각도를 이루고, 이때 우측 측선(28)의 가상의 연장 부분은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더 하부에서 중심선(29)과 교차한다.
도 6에 따른 측선들(27, 28)은 상부 영역에서 수평 윤곽선으로 이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윤곽은 주 안착면(25)에 속하고, 이러한 주 안착면은 이상적으로는 - 적어도 치과 기공사에 의해 아직 가공되지 않은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에서 - 중심선(29)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단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임플란트 지대주(23)는 위로 가면서 테이퍼링된다. 임플란트 지대주의 상부 측선들은 중심선(29)과 함께 3 ± 0.5 각도의 각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중심선(29)에 대하여 평행한 측선을 가지는 임플란트 지대주도 있다.
도 1 및 도 4에 따르면, 임플란트 지대주(23)는 첫번째 근사법에서 원형의 저부 횡단면을 갖는 경사진 원뿔대 및 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이러한 경사진 원뿔대를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경사진 원뿔대로 구성된다. 2개의 원뿔대들의 중심선들이 형성하는 평면 내에는 타원형 횡단면의 작은 반축(half axle)이 위치한다. 2개의 경사진 원뿔대들의 관통 영역에는 반경이 0.3과 0.4 mm 사이인 원형부분이 위치한다.
이러한 특정한 형태의 임플란트 지대주(23)에 의하여 지지해야 할 접착 몸체(100)에 대한 회전 방지적 저부가 마련된다.
도 3에 따르면, 임플란트 지대주(23)의 반경 외부면(26)은 예컨대 다수의 평행한 그루브들(44)로 구성되는 구조물을 지지한다. 각각의 그루브는 본원에서 중심선(29)에 대해 법선 배향된 평면 내에 위치한다. 최상부 그루브는 주 안착면(25)으로부터 예컨대 0.5 mm 이격되어 있다. 구조물(41)은 예컨대 2.5 mm의 높이로 연장된다. 각각의 그루브(44)는 최대 깊이가 0.005 내지 0.025 mm이다. 이 깊이는 본원에서 임플란트 지대주(23)를 둘러싸는 포락면과 각각의 그루브의 최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이다. 포락면은 그루브가 밀링 형성되기 전에 이론적인 반경 외부면(26)에 상응하는 가상의 면이다.
도 6에 따르면, 구조물은 2개의 영역들(42, 43)로 나눠지고, 이러한 2개의 영역들은 함께 소정 각도를 형성한다. 상부 영역(42)은 임플란트 지대주(23) 상에서 도 3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된 그루브를 나타낸다. 하부 영역은 그루브(44)를 나타내고, 이러한 그루브가 위치한 평면의 법선은 중심선(29)에 대하여 9 ± 1 각도만큼 경사져 있다. 이러한 경사는, 그루브들이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 상측(37)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거의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설계된다. 물론, 개별 그루브들(44 및/또는 45)이 부채꼴 모양으로 임플란트 지대주(23) 상에 분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 경우 우측 측선(28)을 따르는 인접한 그루브들은 좌측 측선(27)을 따르는 경우에 비하여 더 작은 간격을 가진다. 또한, 적어도 일부의 그루브들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다수의 그루브들(44) 대신 오로지 1개의 그루브 또는 노치가 사용될 수 있고, 이때의 그루브 또는 노치는 중단 부분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거의 나선형으로 또는 스크류 형태로 임플란트 지대주(23)의 반경 외벽(26)을 따라 휘감아 형성된다. 전술한 바를 참조하면, 그루브들(44, 45)은 그루브(74)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따르면, 그루브들(44, 45)은 이들 사이에 예컨대 개별적 그루브의 폭에 상응하는 필드들 또는 브리지들이 유지되는 정도로 이격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 그루브들(44, 45)은 이격 없이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깊이 및/또는 폭이 주기적으로 일정하지 않은 그루브(74) 또는 트랙(48)을 생성하기 위해, 예컨대 임플란트 지대주(23)의 반경 외부면(26)을 따라 절삭날 수가 적은 볼 형상 헤드 밀링기가 사용된다. 이때, 이러한 밀링기의 중심선은 중심선(29)과 15 ± 20 각도의 각을 이룬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정한 회전당 이송 비율일 때, 외부면(26)에 소정의 구조가 생성되고, 이러한 구조는 골프공의 패턴에 가급적 상응하되 상기 골프공이 "딤플(dimples)"이라고 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한 상응한다. 도 7 및 도 9에 따르면, 이러한 오목부는 함몰부들(46, 47)로서, 함몰부들의 가장자리 또는 에지는 외부면(26) 위에서 예컨대 폐곡선(166, 167)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폐곡선(166)은 수직 평면도에서 거의 원의 형태에 가까운 반면, 폐곡선(167)은 수직 평면도에서 거의 타원형이다.
도 8 및 도 10은 함몰부들(46, 47)이 어떻게 생성될 수 있는지를 각각 예시한다. 간략하게 말하여, 본원에서 외부면(26)은 평면으로 고찰된다. 외부면(26)을 따라 밀링기가 안내되고, 밀링기의 밀링 헤드(161)는 도 8에 따르면 곡선 경로(48) 위에 안내된다. 본원에서 밀링 헤드(161)는 우선 포락면인 외부면(26)을 따라 평행하게 안내된다. 곡선 경로(48)가 포락면인 외부면(26)에 대해 가지는 간격은 예컨대 밀링 헤드(161)의 반경에 상응한다. 밀링 헤드(161)가 제조될 함몰부(46)의 중심 위에 위치하면, 밀링 헤드(161)는 칩 제거 방식으로 임플란트 지대주(23)의 외부면(26) 안으로 들어간다. 적절한 깊이에 도달한 후, 밀링 헤드는 진입했던 만큼 도로 물러나서, 다시 포락면인 외부면(26)에 대해 평행하게 그 다음의 밀링 지점으로 간다.
도 10에 따르면, 밀링 헤드(161)는 파형 곡선 경로(48)에서 이동하여, 거의 타원형 가장자리(167)를 갖는 함몰부들(47)이 생성된다.
2개의 경우에, 구조화된 표면이 생성되고, 이러한 표면의 함몰부들은 예컨대 1 내지 20 ㎛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예컨대 구형, 타원형 또는 길쭉한 구멍 형태로 형성되는 개별적 함몰부는 1과 1000 ㎛ 사이의 직경 또는 길이를 가진다. 미도시된 실시예에서, 직경이 100 ㎛일 때 깊이는 2.5 ㎛이다.
미소 구조물(41)의 기하학적 값은 특히 임플란트 지대주(23)와 접착 몸체(100)를 결합시키는 접착제(113)의 입자의 입자 크기 함수이다. 입자의 입자 크기가 1 내지 20 ㎛이고, 접착 이음부(111)의 갭이 10 내지 35 ㎛의 폭을 가지면, 접착 기술적인 응축 결합에도 불구하고 구조물(41)의 영역 내에서 함몰부들 또는 그루브들(44, 45) 내에 위치하는 접착제(113)의 더 큰 입자로 인하여 형상 맞춤 결합이 발생한다.
부가적으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적어도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상부에서 티타늄질화물 코팅을 포함한다. 코팅의 층 두께는 예컨대 1 내지 4 ㎛이다. 대안적으로, 이 위치에 박막 세라믹 코팅 또는 공중합체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연속적인 리세스(61)를 포함하고, 이러한 리세스는 중간 영역 내에서 꺾인 부분을 포함하며, 이러한 꺾인 부분의 꺾임각은 11 ± 4도이다. 가공이 완료된 리세스(61)는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하부 영역(62)은 직경이 예컨대 1.7 mm인 원통형 보어이다. 하부 영역의 중심선(63)은 중심선(29)과 일치한다. 도 1에 따르면, 이러한 영역(62)을 외부 육각 나사(90)의 섕크(96)가 지나가고, 이때 섕크(96)는 영역(62)의 벽부에 닿지 않는다.
상부 영역(67)도 마찬가지로 원통형 보어이다. 상부 영역의 중심선(69)은 중앙 영역(64) 내에서 중심선(29)과 교차하며, 본원에서 11도의 각도로 교차한다. 이러한 상부 영역(67)은 외부 육각 나사(90)의 진입 및 이러한 외부 육각 나사(90)를 조이는 공구의 가이드를 위해 역할한다. 중앙 영역(64)은 이행 영역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이행 영역은 한편으로 내부 원추부(65)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 각진 영역(66)을 포함한다. 하부 영역(62)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 내부 원추부(65)는 외부 육각 나사(90)의 헤드(92)를 위한 안착면으로서 기능한다.
각진 영역(66)은 내부 원추부(65)의 큰 개구 횡단면에서 꺾어진 부분에서 원통형 보어(67)에 꼭 들어맞는다. 이행 부분은 실시예에서 에지 없이, 즉 접선식으로 형성된다.
도 6은 예컨대 분말 사출 성형 방법에서 제조되어야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블랭크(80)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개방된 사출 성형 금형(140)에서 도시한다. 사출 성형 금형(140)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센터링된 2개의 금형 반부들(141) 및 2개의 슬라이드들(143, 145)로 구성된다. 슬라이드들(143, 145)의 정면측들은 분리 이음부(146) 내에서 서로 닿아 있다.
금형 반부들(141)의 분리 평면(142)은 도 6에 도시된 도면 평면 내에 위치한다. 2개의 금형 반부들(141)에 의해 생성되는 외부의 이음부 궤적(82) 또는 이에 상응하는 버(burr)는 도 5에서 선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사출 성형 금형(140)에 의해,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상부에서 또는 가장자리 상측(37)에서 일반적으로 최종적 형태를 얻게 된다. 이에 따라 그루브들(44, 45) 또는 함몰부들(46, 47)은 사출 성형 금형(140) 또는 금형 반부(141)의 구조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전술한 치수의 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대안예에서, 적어도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상부 영역 내에서 분말의 입자 크기는 예컨대 10 내지 50 ㎛으로 증대된다. 그 결과, 평활한 벽체를 갖는 사출 성형 금형(140)에서도 - 평균적 입자 크기에 따라 - 임의적으로 분포하는 함몰부들이 생성되고, 이러한 함몰부들의 깊이는 10 내지 30 ㎛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에서 가장자리 상측(37)의 영역 내에 또는 주 안착면(25)의 영역 내에 또는 그 근방 영역에서 핀 형태의 연장 부분이 형성되어, 가공 전의 부품이 치아 기공사에 의해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장자리 상측(37)의 하부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예비 형태를 가지고, 이러한 예비 형태는 추후 시점에 예컨대 칩 제거 방식으로 후가공된다. 이러한 후가공에는 특히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하측, 임플란트 원추부(53), 외부 육각 부분(54) 및 원통형 부착물(55)이 해당한다.
상부 슬라이드(143)는 리세스(61)의 상부 영역(67)의 최종 형태를 결정하는 반면, 중앙 영역(64)에서는 상부 슬라이드에 의해 오로지 미가공 핀(81)이 예비 형태로서 생성된다. 중앙 영역(64)은 더 작은 내부 원추부(83) 및 더 짧은 각진 영역(84)을 포함한다. 내부 원추부(83) 및 각진 영역(84)은 정밀 가공에 의해 비로소, 예컨대 정밀 회전 가공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형상을 얻는다. 이를 위해 회전 공구가 하부 영역(62)을 지나 진입하고, 하부 영역은 하부 슬라이드(145)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정밀 회전 가공 시 경우에 따라서 원통형 보어(62)는 최종 치수를 얻도록 가공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육각 나사(90)는 3개의 영역들, 즉 헤드 영역(91), 섕크 영역(96) 및 나사산 영역(97)으로 나누어진다. 제1 영역은 헤드 영역(91)이다. 헤드 영역은 원추형 헤드(92) 및 그 위에 배치된 공구 수용부(94)로 구성된다. 예컨대 1.28 mm 높이의 헤드(92)는 나사산 영역(97)의 방향으로 테이퍼링되는 원뿔대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원뿔대의 원추각은 예컨대 30도이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에 인접하는 나사(90)의 원추형 영역은 길이가 예컨대 1.09 mm이다. 이 영역의 최대 직경은 2.2 mm로 측정된다.
공구 수용부(94)는 외부 육각 부분으로서, 그 위에는 나사(90)를 조일 때 육각형 홈 부분을 포함한 파이프 렌치가 안착한다. 외부 육각 부분은 적어도 길이의 끝부분 2/3 부분에서 자유 헤드 말단쪽으로 테이퍼링된다. 외부 육각 부분의 최대 이면폭은 1.42 mm이다. 이러한 최대 폭의 영역은 상부 헤드 정면(93)의 위에서 예컨대 0.29 mm에 위치한다. 육각 측면부(95)의 곡률 반경은 예컨대 2.36 mm이다.
헤드(92)의 원추형 영역에 예컨대 제2 영역, 즉 섕크 영역(96)이 접선식으로 연결된다. 섕크 영역(96)은 회전 대칭적 후미부로 구성되고, 회전 대칭 후미부는 나사 중앙 영역 내에서 헤드 영역(91)의 자유 말단으로부터 예컨대 3.8 mm 이격되어 있고, 그 최저 직경은 예컨대 1.28 mm이다. 후미부의 외부 윤곽의 평균 곡률은 도 2에 따른 단면도에서 5.2 mm의 반경을 가진다.
제3 영역은 나사산 영역(97)이다. 나사산 영역은 M1.6-나사산을 포함하고, 이러한 나사산의 사용 가능한 길이는 예컨대 1.5 mm이다.
실시예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상에 접착 몸체(100)가 접착되거나 고착된다. 접착 몸체(100)는 중공 몸체로서, 치아 보철물 내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와 인공 치아 크라운(120)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 몸체를 이용하여, 특히 치아 크라운(120)의 각도 위치가 임플란트 지대주(23)의 각도 위치에 맞춰진다.
접착 몸체(100)는 실질적으로 컵 형상이다. 접착 몸체의 내벽(105)은 가장자리 상측(37)을 포함하여 임플란트 지대주(23)의 외벽(26)에 맞춰진다. 유격은 예컨대 30 내지 50 ㎛ 이어서, 접착 몸체(100)는 접착제(113)가 중간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임플란트 지대주(23) 상에 대면적으로(extensive) 놓인다. 임플란트 지대주(23)의 상부 구조물(41)에 의해 접착제(113)는 형상 맞춤 방식으로 임플란트 지대주에 부착된다.
접착 몸체(100)는 폭이 점점 넓어지는 가장자리(107)를 포함하고, 이러한 가장자리에서 접착 몸체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가장자리 상측(37)에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 크라운 자체를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의 지지를 제공한다.
상측(102)의 영역 내에서 접착 몸체는 리세스(106)를 포함하고, 이러한 리세스는 보철물이 조립된 상태에서 임플란트 지대주(23)의 보어(67)의 연장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에서 치아 크라운(120)은 접착 몸체(100) 상에 안착한다. 이에 따라 치아 크라운(120)의 내벽(125)은 접착 몸체(100)의 외벽(101)에 맞춰진다. 본원에서도 외벽(101)과 내벽(125) 사이에 위치하는 유격은 30 내지 50 ㎛이다. 접착 몸체(100) 및 치아 크라운(120)은 접착 이음부(131)의 가장자리(132)의 영역 내에서, 끝부분 1/10 밀리미터 부분은 공통의 보철물 외부면(2)에 대해 90 ± 10도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접착 이음부(131)의 가장자리의 영역 내에서 치아 크라운(120)의 외부면(121) 및 접착 몸체(100)의 외부면(101)은 접선식으로 또는 적어도 거의 접선식으로 서로 맞물린다. 이 위치에 꺾임 부분이 있을 시, 이 꺾임 부분이 만들어내는 각도는 180도 미만, 175도 초과의 범위를 가진다.
도 2에 따르면, 보철물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임플란트 원추부(53)를 이용하여 회전 방지적으로 안착하고, 임플란트 몸체(10)의 원추형 안착부(14) 내에 나사 조립된다. 임플란트 경부(52) 및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하측(32)은 잇몸(4)에 인접한다. 세균 방지막을 형성하는 하측(32)의 구조물(71)은 임플란트 플레이트(31)와 잇몸(4) 사이의 틈새 공간에서 세균 서식을 줄이거나 방지한다. 또한, 구조물(71)은 잇몸(4)의 결합 조직 섬유(connective tissue fibers)가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하부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에 부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임플란트 플레이트(31) 상에는 접착 몸체(100)와 인공 치아 크라운(120)으로 구성된 조합체가 안착되고, 본원에서 접착된다. 구강 또는 외부의 치아측에서 접착 이음부(111, 131)는 상부 잇몸 가장자리(5) 아래에서 보호된 상태로 위치한다. 설측 또는 내부의 치아측에서 적어도 접착 이음부(111)는 잇몸(4)에 의해 가려진다.
1 치아 보철물, 보존적 2 보철물 외부면
3 턱뼈 4 잇몸, 점막
5 잇몸 가장자리, 치아측 6 씹는 평면
8 시멘트, 접착제 10 임플란트 몸체
11 외부 나사산 12 임플란트 숄더
13 리세스, 단차식
14 내부 원추부, 제1 영역, 원추부, 원추형 안착부
15 육각형 홈 부분, 제2 영역 16 원통형 안착부
17 나사산 보어, 제3 영역 18 임플란트 경사각
19 중심선
20 상부 구조물 지지체, 최종 형태, 하이브리드 지대주의 일부
21 치아 크라운을 향해 있는 영역 23 임플란트 지대주
24 상측 25 주 안착면
26 외부면, 반경방향, 외벽 27 측선, 좌측
28 측선, 우측 29 중심선
31 임플란트 플레이트 32 하측, 잇몸을 향해 있는 면
33 가장자리 34 이행 영역, 원형
35 홈 37 가장자리 상측, 평편
38 높이 변동 41 구조물, 그루브 구조물
42 상부 영역 43 하부 영역
44 그루브 45 (43)의 그루브
46 거의 원형에 가까운 에지를 갖는 함몰부
47 거의 타원형에 가까운 에지를 갖는 함몰부
48 (46)에 대한 중심점 경로, 트랙 49 (47)에 대한 중심점 경로, 트랙
51 임플란트 몸체를 향해 있는 영역 52 임플란트 경부
53 임플란트 원추부, 외부 원추부 54 회전 방지부, 외부 육각 부분
55 원통형 부착물 59 그루브(45)의 평면에 대한 법선
61 리세스, 꺾여 있음, 나사 진입 리세스
62 하부 영역, 보어, 원통형; 나사 안착 보어
63 (62)의 중심선 64 중앙 영역
65 내부 원추부 66 각진 영역
67 상부 영역, 보어, 원통형 69 (67)의 중심선
71 구조물, 미소 구조물, 그루브 구조물
74 그루브 80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블랭크
81 미가공 핀, 예비 형태 82 이음부 궤적
83 내부 원추부, 축소됨 84 각진 영역, 미가공
90 외부 육각 나사, 나사 91 헤드 영역
92 헤드, 원추형 93 헤드 정면
94 공구 수용부, 외부 육각 부분 95 육각 측면부
96 섕크 영역, 후미부, 섕크 97 나사산 영역, 나사산
100 접착 몸체, 하이브리드 지대주의 일부
101 외벽, 외부면 102 상측
105 내벽, 내부면 106 리세스
107 가장자리 111 (23)과 (100) 사이의 접착 이음부
113 접착제 120 치아 크라운, 인공, 상부 구조물
121 외벽, 외부면 125 내벽, 내부면
131 (100)과 (120) 사이의 접착 이음부
132 접착 이음부 가장자리 133 접착제
140 사출 성형 금형 141 금형 반부, 금형부
142 분리 평면
143 슬라이드, 상부; 지대주 보어 슬라이드
145 슬라이드, 하부; 경부 보어 슬라이드
146 (143)과 (145) 사이의 분리 이음부
147 센터링 핀 150 롤링 공구
151 롤링 헤드 154 그루브 프로파일링 부분
154 평활화 부분 155 롤러 접촉 지점
157 섕크 159 (150)의 중심선
161 밀링 헤드, 밀링 헤드의 포락면의 단면
166 폐곡선, 거의 원형, (46)의 가장자리
167 폐곡선, 거의 타원형, (47)의 가장자리

Claims (10)

  1. 임플란트 몸체(10)와 상부 구조물 사이의 보존적 치아 보철물(1)의 일부로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로서,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상에 또는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에 인공 크라운(120)이 배치되거나 접착 몸체(100)와 크라운(120)으로 구성된 결합체가 배치되는 것인,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접착 몸체 영역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2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구조(41)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에서 상기 임플란트 몸체(10)를 향해 있는 영역(51) 내에는 제2 구조물(7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접착 몸체 영역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21) 내에서 임플란트 지대주(23)를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 몸체(10) 또는 잇몸(4)을 향해 있는 영역(21) 내에서 임플란트 경부(52)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 지대주(23) 내에 나사 진입 리세스(61)가 배치되고, 상기 나사 진입 리세스는 상기 임플란트 경부(52) 내에 배치된 나사 안착 보어(62)와 함께 155 내지 178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지대주(23)는 반경 방향 외부면(26)에서 나란히 위치하는 그루브들(44, 45)을 포함하거나, 함몰부들(46, 47)을 갖는 중심점 경로들(48, 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들(44, 45) 또는 함몰부들(46, 47)은 1 ㎛ 초과, 35 ㎛ 미만인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들(46, 47)의 개별 종방향 치수는 0.3 mm 초과, 1.1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플라트 몸체(10)를 향해 있는 영역(51) 내에서 구조(71)로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빙 두른 형태의 돌기들, 브리지들, 그루브들(74) 또는 노치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빙 두른 형태의 돌기들 또는 브리지들 및 상기 그루브들(74) 또는 노치들은 80 ㎛ 초과, 250 ㎛ 미만인 피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 빙 두른 형태의 돌기들 또는 브리지들, 그루브들(74) 또는 노치들과 무관하게- 1 ㎛ 초과, 2.5 ㎛ 미만인 산술적 평균 거칠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9. 임플란트 몸체(10)와 상부 구조물(100, 120) 사이의 보존적 치아 보철물(1)의 일부로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접착 몸체 영역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21) 내에서 임플란트 지대주(23)를 포함하고, 잇몸(4) 및 상기 임플란트 몸체(10)를 향해 있는 영역(51)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경부(52)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분말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는 블랭크(80)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블랭크(80)는 상기 접착 몸체 영역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21) 내에서 사출 성형 금형(140)에 의해 최종 형상(20)과 수학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획득하고, 상기 블랭크(80)는 상기 잇몸(4) 및 상기 임플란트 몸체(10)를 향해 있는 영역(51) 내에서 상기 사출 성형 금형(140)에 의해 미가공 핀(81)의 형상을 획득하고, 상기 미가공 핀(81)은 기계적 및 광학적인 분리 가공에 의해 최종 형상(20)을 획득하고, 이때 상기 잇몸(4)을 향해 있는 임플란트 플레이트(31)가 생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플레이트에서 상기 잇몸(4)을 향해 있는 면적(32) 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물(71)이 새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말 사출 성형 방법은 출발 물질로서 금속 분말 또는 세라믹 분말을 사용하고, 이때 상기 금속 분말은 티타늄 알루미늄 합금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7003943A 2013-07-17 2014-07-16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5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11870.0 2013-07-17
DE102013011870 2013-07-17
DE102013013565.6 2013-08-14
DE102013013565.6A DE102013013565B4 (de) 2013-07-17 2013-08-14 Suprastrukturträger und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PCT/DE2014/000357 WO2015007262A2 (de) 2013-07-17 2014-07-16 Suprastrukturträger und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755A true KR20160058755A (ko) 2016-05-25
KR102265498B1 KR102265498B1 (ko) 2021-06-16

Family

ID=5213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943A KR102265498B1 (ko) 2013-07-17 2014-07-16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88487B2 (ko)
EP (1) EP3021783B1 (ko)
JP (1) JP6509211B2 (ko)
KR (1) KR102265498B1 (ko)
CN (1) CN105451682B (ko)
DE (1) DE102013013565B4 (ko)
ES (1) ES2738402T3 (ko)
WO (1) WO201500726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083U (ko) * 2019-07-27 2019-08-14 구재만 멀티 어버트먼트 제조 방법
KR20200035969A (ko) * 2017-08-01 2020-04-06 메덴티카 게엠베하 턱 임플란트에 치과용 보철물을 유지하기 위한 지대치, 및 치과용 보철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7431A1 (de) 2012-09-04 2014-05-15 Martor Kg Messer
ITMI20131162A1 (it) * 2013-07-10 2015-01-11 Dental Knowledge S R L Dispositivo per impianto dentale
ES2853848T3 (es) * 2014-02-27 2021-09-17 Massimo Afflitto Pilar inclinado para una prótesis cementada en implantología dental
EP3340921A1 (en) * 2015-08-28 2018-07-04 Zimmer, Inc. Dental abutme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A3008549C (en) 2016-01-21 2023-04-25 Esteban Xam-Mar Mang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structure, dental structure obtained and dental assembly formed by a structure screwed on a dental implant
FR3053240B1 (fr) * 2016-07-04 2021-07-30 Euroteknika Embase de pilier pour une restauration dentaire
DE102016008668B4 (de) * 2016-07-20 2018-10-25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nnen- und Außengeometrie
DE102016008669B4 (de) 2016-07-20 2018-10-11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mplantatpfostengeometrie
FR3058040B1 (fr) * 2016-11-02 2018-12-14 Bio Integration Research Company Systeme d'implant dentaire ameliore
FR3063884B1 (fr) 2017-03-20 2021-12-17 Euroteknika Procede de restauration dentaire
WO2020007616A1 (en) * 2018-07-04 2020-01-09 Straumann Holding Ag Abutment with embedded screw
FR3085833B1 (fr) * 2018-09-14 2022-11-11 Euroteknika Element de restauration dentaire monobloc
DE102019001715A1 (de) * 2019-03-12 2020-09-17 Bruno Spindler Montageschnittstelle zwischen einer Suprakonstruktion und einem Implantatkörper
TWI687211B (zh) * 2019-03-15 2020-03-11 鐿鈦科技股份有限公司 支台齒基座及其植牙組件
ES2953361A1 (es) * 2022-03-28 2023-11-10 Gonzalo Manuel Valle Implantes hexagonales externos e internos aplicados al maxilar superior como al inferior que incorporan un elemento de fijacion auxiliar o aditamento protetico para el anclaje inicial o estabilidad primaria a partir de principios traumatologicos como la reduccion de fracturas
ES2938069A1 (es) * 2021-10-04 2023-04-04 Gonzalo Manuel Valle Implantes hexagonales externos e internos para senos maxilares en maxilares atroficos con altura osea de 3 a 7 mm y protocolo quirurgico asociado
WO2023057673A1 (es) * 2021-10-04 2023-04-13 ZARAZAGA MASSETTI, Sebastián Implantes hexagonales externos e internos aplicados al maxilar superior como al inferior para altura ósea de 3 a 7 mm y para sectores posteriores atróficos con 2-3 mm de hueso a piso de seno maxilar, que incorporan un elemento de fijación auxiliar o aditamento protético para el anclaje inicial o estabilidad primaria y protocolo quirúrgico asociado
EP4309620A1 (fr) * 2022-07-21 2024-01-24 Anthogy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embase pour la reception d'une prothese dentai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8613A1 (en) * 2001-05-14 2002-11-14 Riley Robert L. Near net tooth shaped ceramic crown
KR100795645B1 (ko) * 2007-08-17 2008-01-17 김정한 임플란트용 일체형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20100090564A (ko) * 2009-02-06 2010-08-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지대주 및 그의 제조방법
DE202012102746U1 (de) * 2012-07-18 2012-08-22 Curd Gadau Zahnimplantataufbausystem
JP2013511339A (ja) * 2009-11-17 2013-04-04 ザ ユーエービー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 高トルク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8160A (en) * 1986-11-20 1988-07-19 Isis International, Inc. Dental implant
CH686489A5 (de) * 1992-10-14 1996-04-15 Spang Herbert Dr Med Dent Profilierung von Oberflaechen fester Koerper zum Verbund mit plastisch aufgebrachten, erhaertenden Stoffen.
US5927979A (en) * 1994-12-15 1999-07-27 Biohorizons Implants Systems, Inc. Abutment-mount system for dental implants
JPH1033562A (ja) * 1996-07-25 1998-02-10 Injietsukusu:Kk 人工歯根
US5782918A (en) * 1996-12-12 1998-07-21 Folsom Metal Products Implant abutment system
US8651863B2 (en) * 2003-04-01 2014-02-18 Robert Schroering Band of connective tissue grooves for use with a dental implant or a separate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IL156033A0 (en) * 2003-05-21 2004-03-28 Ophir Fromovich Ophir Fromovic Dental implant
DE102005008273A1 (de) 2005-02-22 2006-08-24 Mundorf, Sönke, Dr. Ein- oder zweiteiliges Zahnimplantatsystem
DE102006005034A1 (de) 2006-02-03 2007-08-16 Maxon Motor Gmbh Implant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mplantats
CA2659106C (en) * 2006-07-25 2014-12-16 Holger Zipprich Surface area of a ceramic body and ceramic body
SE533336C2 (sv) * 2007-07-09 2010-08-31 Implantix Ab Brostöd vid dentalimplantat, skruv för att sätta fast ett brostöd samt sätt att sätta fast ett brostöd och för uttömmning av fluidum
KR100920994B1 (ko) * 2007-12-14 2009-10-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그루브를 구비한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CN100591300C (zh) * 2008-06-12 2010-02-24 方巍 一种管套防旋牙科种植体
EP2228032A1 (en) * 2009-03-11 2010-09-15 GC Corporation Dental abutment
US20100248187A1 (en) * 2009-03-31 2010-09-30 Gc Corporation Dental abutment
CN102525672B (zh) * 2010-12-29 2015-03-11 北京汇福康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口腔种植体基台及其制备方法
JP5569418B2 (ja) * 2011-02-01 2014-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監視装置
US8397791B2 (en) * 2011-05-26 2013-03-19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Zirconium oxide dental implant with internal thread and polygonal tapering section, and the mold for molding the same
GB2494099A (en) * 2011-07-06 2013-03-06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mponent with an angled screw channel
EP2570095A1 (en) * 2011-09-14 2013-03-20 Dentsply IH AB A dental component and a dental implant
DE202012003003U1 (de) 2012-03-26 2012-05-10 Norbert Bomba Abutment und Klebebasis zum Aufsetzen auf Implantate im Kiefer eines Patient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8613A1 (en) * 2001-05-14 2002-11-14 Riley Robert L. Near net tooth shaped ceramic crown
KR100795645B1 (ko) * 2007-08-17 2008-01-17 김정한 임플란트용 일체형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20100090564A (ko) * 2009-02-06 2010-08-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지대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3511339A (ja) * 2009-11-17 2013-04-04 ザ ユーエービー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 高トルク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DE202012102746U1 (de) * 2012-07-18 2012-08-22 Curd Gadau Zahnimplantataufbau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969A (ko) * 2017-08-01 2020-04-06 메덴티카 게엠베하 턱 임플란트에 치과용 보철물을 유지하기 위한 지대치, 및 치과용 보철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90002083U (ko) * 2019-07-27 2019-08-14 구재만 멀티 어버트먼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24963A (ja) 2016-08-22
KR102265498B1 (ko) 2021-06-16
CN105451682A (zh) 2016-03-30
DE102013013565A1 (de) 2015-01-22
WO2015007262A3 (de) 2015-04-23
DE102013013565B4 (de) 2018-05-24
US10188487B2 (en) 2019-01-29
WO2015007262A2 (de) 2015-01-22
ES2738402T3 (es) 2020-01-22
JP6509211B2 (ja) 2019-05-08
US20160206408A1 (en) 2016-07-21
CN105451682B (zh) 2019-04-05
EP3021783A2 (de) 2016-05-25
EP3021783B1 (de)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8755A (ko)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489389B1 (ko)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EP2278935B1 (en) Asymmetrical dental implant
JP7289877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歯科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埋入ツール、ならびに歯科インプラントと埋入ツールの組み合わせ
US662667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utting flutes on a coated or roughened dental implant
US20060246397A1 (en) Multi part non metal implant
KR102440721B1 (ko) 특정한 내측 및 외측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EP4302723A2 (en) Dental implant thread
CN101357080A (zh) 一种螺纹状种植体
CN1984618B (zh) 牙种植体
US20100316971A1 (en) Bone-adaptive surface structure
US20130157223A1 (en) Implant dentaire
BR112016000908B1 (pt) Suporte de superestrutura e processo para produzir o mesmo
KR20230121131A (ko) 세라믹 치과 임플란트
CA3169200A1 (en) Dental blank, dental partial prosthesi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artial prosthesis
JP5363833B2 (ja) 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