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254A -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254A
KR20160058254A KR1020140158390A KR20140158390A KR20160058254A KR 20160058254 A KR20160058254 A KR 20160058254A KR 1020140158390 A KR1020140158390 A KR 1020140158390A KR 20140158390 A KR20140158390 A KR 20140158390A KR 20160058254 A KR20160058254 A KR 20160058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r
sphincter
exercise
fram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597B1 (ko
Inventor
채종관
Original Assignee
(주)신아스포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아스포츠산업 filed Critical (주)신아스포츠산업
Priority to KR102014015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5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33Method of redeeming a frequent usage rewar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자가 손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가압부재를 아랫배로 밀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괄약근을 조이는 효과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므로, 운동자가 적은 힘으로 쉽고 편안하게 괄약근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운동시 신체에 무리가 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괄약근 운동 기구와, 이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포인트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Training apparatus for sphincter and the point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손잡이부 사이에 틸팅 가능하게 가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운동자의 아랫배의 전후 동작에 따라 회전하며 상측으로 세워지거나 손잡이부에 대해 경사지게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괄약근을 자연스럽게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괄약근이란 관상기관(항문 및 요도)를 에워싸고 배출을 조절하는 근육을 말하는 것으로서, 특히 여성들은 임신, 출산 및 노령화로 인해 괄약근의 근력이 약화된다.
이렇게 괄약근력이 약화되면 괄약근의 정상적인 수축 및 이완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요실금이나 변실금을 경험하게 되어 심한 고통과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항문 주위에는 내항문 괄약근과 외항문 괄약근이 있는데 이 근육들은 항문을 수축하고 이완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미국의 케켈박사들이나 전문의들은 괄약근 운동이 건강과 정력 증대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해 항문의 괄약근을 조이는 운동을 시키는 괄약근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괄약근 운동기구는 운동시 힘이 많이 들고 장시간 신체에 쉽게 무리가 와 부상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초보자의 경우 쉽게 사용이 곤란하며, 장시간 사용해도 운동 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동 효과가 괄약근에 집중되어 있어서, 신체 다른 부위를 자극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동이 더 필요한 단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10007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동자가 적은 힘으로 쉽고 편안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체에 무리가 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괄약근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 동기를 고취시키고, 운동량과 운동 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괄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포인트 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괄약근 운동 기구는, 수직하게 배치된 몸체; 상기 몸체 하부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에 좌우로 돌출되게 결합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된 T자형 수평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에 좌우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손잡이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 사이에서 상기 제2 프레임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탄설되며, 운동자의 아랫배가 밀착되어 운동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를 잡고 아랫배로 밀면 상측으로 회전하며 세워지거나, 운동자가 몸을 뒤로 빼면 탄성에 의해 제1 및 제2 손잡이부에 대해 20 내지 40° 경사지게 하측으로 회전하여 복귀하는 가압부재; 및 바닥면에 상기 수평 프레임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발 뒤꿈치가 발 앞쪽 보다 상측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및 제2 발거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며, 프로그램 된 운동순서 또는 운동시간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회원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와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리더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단에 전원공급용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상단에, 상기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거치부의 위를 커버하도록 햇빛 가림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괄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은,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손잡이부와, 운동자의 아랫배가 밀착되어 운동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아랫배로 밀면 상측으로 회전하며 세워지거나 운동자가 몸을 뒤로 빼면 탄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20 내지 40° 하측으로 회전하여 복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회원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회원 정보를 입력 받도록 리더기를 갖는 괄약근 운동 기구; 복수의 회원 정보와 각각의 회원의 적립된 포인트 및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복수의 가맹점 정보를 저장하는 가맹점 DB; 및 상기 괄약근 운동 기구의 운동 횟수 및 상기 가맹점 DB에 저장된 가맹점에서 사용된 포인트에 따라, 상기 회원 DB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포인트를 늘리거나 감소시키는 포인트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괄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은,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손잡이부와, 운동자의 아랫배가 밀착되어 운동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아랫배로 밀면 상측으로 회전하며 세워지거나 운동자가 몸을 뒤로 빼면 탄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20 내지 40° 하측으로 회전하여 복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회원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회원 정보를 입력 받도록 리더기를 갖는 괄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하되, 상기 괄약근 운동 기구의 리더기를 통해 회원 정보를 인식한 후 회원 DB에 저장된 회원 정보에서 검색하여 상기 괄약근 운동 기구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괄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횟수에 따라 포인트를 가산하여 상기 회원 DB를 갱신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거친 후 가맹점 DB에 저장된 가맹점에서 사용된 포인트에 따라 해당 회원의 포인트를 감소시킨 후 상기 회원 DB를 갱신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괄약근 운동 기구는, 운동자가 손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가압부재를 아랫배로 밀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괄약근을 조이는 효과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므로, 운동자가 적은 힘으로 쉽고 편안하게 괄약근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운동시 신체에 무리가 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괄약근 운동 방법에 비해 부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장시간 운동이 가능하며, 현저한 운동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동자가 제1 및 제2 손잡이부를 손으로 잡고 끌어당기는 동작을 통해 몸이 활처럼 휘면서 운동이 이루어지므로, 앞서 괄약근 운동 이외에 허리 유연성 향상, 가슴 근육 이완, 허벅지 근육 발달 및 팔의 이두근/삼두근 발달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포인트 활용 방법에 따르면, 운동자가 운동한 시간만큼 포인트를 적립하여, 적립된 포인트를 필요시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어서 사람들에게 운동하는 즐거움과 동기가 유발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사람들이 더 건강한 삶을 영유해 나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강보험의 재정도 탄탄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괄약근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가압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 및 리더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괄약근 운동 기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운동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괄약근 운동 기구는, 몸체(10); 수평 프레임; 제1 및 제2 손잡이부(40, 50); 가압부재(60); 및 제1 및 제2 발거치부(80); 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지면 또는 건물 바닥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때, 몸체(10)의 하단에는 몸체(10)의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수평 보강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의 후방 면에는 사용자가 운동 중에 본인의 운동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거울과 같은 반사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의 후방 면에는 디스플레이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는 LED 디스플레이 또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2)는 운동자가 프로그램한 내용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운동자가 가압부재(60)를 배로 밀어서 운동을 시작하면 프로그램이 작동(시작)되며 이때부터 타이머가 표시되고, 예를 들어 20초 정도 힘을 주는 시간이 지나면 부저 소리가 발생한다. 또한, 운동자가 힘을 빼고 몸을 뒤로 구부리면 다시 쉬는 시간에 대한 타이머가 작동되고 위와 동일하게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부저 소리가 발생한다. 그러면 운동자는 다시 힘을 주어 배를 앞으로 미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을 정해진 프로그램 내용대로 수십 번(예컨대 15회 정도) 반복하면 기본적인 1 set 운동이 끝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은 사용자가 할 때마다 괄약근에 힘을 주었다 풀었다 하는 작용이 반복되는데, 이때 일정한 횟수와 시간이 수반되어야만 소정의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인의 의지나 시간 측정으로는 이러한 소정의 운동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위와 같이 프로그램된 내용대로 사용자가 일정한 횟수와 시간 동안 정해진 동작을 반복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운동할 때 마다 최소한의 운동 효과는 거둘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2)는 일정 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으며, 화면이 자동으로 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이 내장된 디스플레이는 별개의 시작 버튼(미도시)을 운동자가 운동 시작시 누르는 것으로 작동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가압부재(60)에 디스플레이부 및 타이머와 연동되게 동작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운동자가 가압부재(60)를 움직여 운동을 시작하면 별도의 시작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작동되게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에는 리더기(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리더기(23)는 RFID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인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리더기(23)가 RFID로 구성된 경우, 회원 카드를 일정 거리 내에 접근시키면 회원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운동자가 운동하는 동안 수신된 정보에 따라 운동 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고 운동량을 갱신하여 저장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 경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기기는 손목 밴드 타입으로 된 스마트와치나 기타 웨어러블 방식의 전자통신기기일 수 있다.
또한, 몸체(10)의 상단에는 태양광 발전부(95)가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부(95)는 특히 본 실시 예의 괄약근 운동 기구를 야외에 설치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부(9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 공급 수단이 없더라도 자체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하여 몸체(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2) 및 리더기(23) 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은 제1 및 제2 프레임(31, 32)을 포함하여 T자형으로 형성되며, 기구가 설치된 지면 또는 건물 바닥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1 프레임(31)은 몸체(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프랜지부에 볼트 등을 결합하여 몸체(10) 일측 면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2)은 제1 프레임(31)의 단부에 바람직하게 그 중간부가 결합되며 좌우 측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프레임(32)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 및 앞서 설명한 타이머 작동용 동작감지센서가 내설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부(40, 50)는 좌우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2 프레임(32)의 양 단부 측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손잡이부(40, 50)는 예컨대 제2 프레임(32) 상에 고정 결합되는 하단의 제1 및 제2 고정부(43, 53)와, 제1 및 제2 고정부(43, 53)에서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대(41, 51)와, 제1 및 제2 수직 지지대(41, 51)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그립부(42, 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립부(42, 52)는 그립감이 우수하고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손이 편안하도록 쿠션 재질로 된 우레탄이나 스폰지 등의 푹신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부재(60)는 제1 및 제2 손잡이부(40, 50) 사이에서 제2 프레임(32) 상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가압부재(60)는 제2 프레임(32)에 내설된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탄설되어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전방 측으로 밀어 상측으로 세우더라도, 가압된 힘을 제거하면 원래 위치로 하향 복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60)는 좌우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배치되며 하단이 제2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바아(61, 62)와, 제1 및 제2 수직 지지바아(61, 62)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바아(63)를 포함한다. 이때, 수평 연결바아(63)는 운동자의 몸에 닿을 때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푹신한 재질로 된 쿠션부(64)가 수평 연결바아(63)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60)는 운동자의 아랫배 부근을 자극하여 장 운동을 돕거나 하는 등의 작용도 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60)는 수평 연결바아(63)가 운동자의 아랫배에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 수직 지지바아(61, 6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연결바아(63) 또는 쿠션부(64)에 운동자의 아랫배가 밀착된 상태에서, 운동자가 제1 및 제2 손잡이부(40, 50)의 제1 및 제2 그립부(42, 52)를 양 손으로 각각 잡고 잡아당기면서 아랫배를 전방으로 밀면 가압부재(60)의 수평 연결바아(63)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운동자가 몸을 뒤로 빼면 제1 및 제2 수직 지지바아(61, 62)를 탄지하고 있는 예컨대 토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재(60)가 하측으로 틸팅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제1 및 제2 손잡이부(40, 50)에 대해 경사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은 운동자의 아랫배가 전후로 움직이는 동선을 고려하여 가압부재(60의 수평 연결바아(63)가 제1 및 제2 손잡이부(40, 50)의 제1 및 제2 수직 지지대(41, 42)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가 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가압부재(60)의 수평 연결바아(63)를 운동자가 아랫배로 밀지 않는 경우 하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며, 이에 가압부재(60)를 움직이기 위한 별도의 실린더가 필요치 않아 구조가 비교적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제1 및 제2 발거치부(80)는 몸체(10)의 후방에 수평 프레임과 마주보게 수평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발거치부(80)는 바람직하게 운동자의 어깨 너비 정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지면이나 건물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형 또는 운동자에 따라 위치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도록 거치형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발거치부(80)는 고정형인 경우 발의 위치가 정해지므로 운동자의 운동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발거치부(80)는 소정 면적의 제1 및 제2 하부 지지부(82, 84)와 제1 및 제2 하부 지지부 위에(82, 84)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발판부(81, 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지지부(82, 84)는 운동자가 발을 올렸을 때 뒤꿈치가 발가락 쪽 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전방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운동자의 발을 모아주고 각도를 주어 발끝에 힘이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운동자의 괄약근과 골반저근에 힘을 더 주기에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운동자의 종아리의 근육도 발달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이 운동자가 제1 및 제2 손잡이부(40, 50)를 잡고 끌어당길 때 몸이 활처럼 휘면서 괄약근에 힘이 들어가 괄약근 운동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허리가 휘어지면서 가슴 근육을 이완시켜 폐활량을 발달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괄약근 운동과 함께 허리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허벅지 근육과 팔의 이두근 및 삼두근의 근육도 같이 발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몸체(10)의 상단에는 수평 프레임, 제1 및 제2 손잡이부(40, 50), 가압부재(60) 및 제1 및 제2 발거치부(80) 위를 커버하도록 소정 면적의 햇빛 가림판(93, 94)이 설치될 수 있다. 햇빛 가림판(93, 94)은 본 운동 기구가 야외에 설치시 운동하는 동안 햇빛이 비추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괄약근 운동 기구는 몸체(10)의 한쪽 면에만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 기구는 필요시 몸체(10)를 사이에 두고 2개가 전후방에 대칭 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괄약근 운동 기구는 DB와 서버를 이용하여 포인트 활용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활용 시스템은 괄약근 운동 기구; 회원 DB; 가맹점 DB; 및 포인트 관리 서버; 를 포함한다.
괄약근 운동 기구는 회원 카드로부터 운동을 하려고 하는 회원의 회원 정보를 입력 받도록 하는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원 DB는 운동 센터나 특정 멤버쉽(membership)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회원들의 정보와 각각의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이에 운동자는 괄약근 운동 기구 사용시 수직 지지부에 구비된 리더기로서 예컨대 RF 카드 센서에 IC 카드 등으로 이루어진 회원 카드를 접촉하는 것으로서 회원 DB에서 정보를 검색하여 본인의 회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입력된 회원 정보는 포인트 관리 서버로도 함께 전송된다.
가맹점 DB는 적립된 포인트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가맹점의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맹점들의 위치도 함께 저장하여 운동자가 포인트 사용시 이를 가맹점 DB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DB에는 각각의 가맹점 별로 서비스 이용시 소모되는 포인트 및 한번에 사용 가능한 최대 포인트 등을 특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포인트 관리 서버는 운동자가 괄약근 운동 기구를 활용하여 운동한 횟수에 따라 포인트를 미리 정해진 일정한 규칙에 따라 환산하여 회원 DB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포인트에 가산하여 회원 DB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포인트 관리 서버는 회원이 가맹점 DB에 저장된 특정 가맹점에서 포인트를 사용하면, 회원 DB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포인트를 사용된 만큼 감소시켜 회원 DB를 갱신한 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필요시 사용 내역을 사용 날짜/시간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운동자의 회원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와 포인트 관리 서버는 운동기구물 설치지역 내에 있는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스마트기기의 와이파이(wifi)나 데이터 통신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트 관리 서버는 이러한 포인트의 갱신/저장과 함께, 회원의 운동 이력, 예컨대, 운동한 장소, 운동 기구의 종류, 운동 시간, 운동횟수도 운동한 날짜/시간별로 회원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회원DB에 저장된 회원 정보, 포인트 정보, 운동 정보 및 적립 내역/사용 내역 등은 운동자가 포인트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의 어플이나 웹사이트 등을 통해 로그인한 후 확인할 수 있어, 회원들이 별도로 기록해 놓지 않더라고 필요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운동 시간과 대응하여 포인트를 적립하는 시스템에 따르면, 적립된 포인트를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어서 사람들에게 운동을 권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사람들이 더 건강한 삶을 영유해 나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강보험의 재정도 탄탄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22 ; 디스플레이부
23 ; 리더기
31 ; 제1 프레임
32 ; 제2 프레임
40, 50 ; 제1 및 제2 손잡이부
60 ; 가압부재
80 ; 제1 및 제2 발거치부

Claims (8)

  1. 수직하게 배치된 몸체;
    상기 몸체 하부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에 좌우로 돌출되게 결합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된 T자형 수평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에 좌우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 사이에서 상기 제2 프레임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탄설되며, 운동자의 아랫배가 밀착되어 운동자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를 잡고 아랫배로 밀면 상측으로 회전하며 세워지거나, 운동자가 몸을 뒤로 빼면 탄성에 의해 제1 및 제2 손잡이부에 대해 20 내지 40° 경사지게 하측으로 회전하여 복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상기 수평 프레임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발 뒤꿈치가 발 앞쪽 보다 상측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및 제2 발거치부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면에 설치되며, 프로그램 된 운동순서 또는 운동시간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회원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와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리더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 기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단에 전원공급용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단에, 상기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거치부의 위를 커버하도록 햇빛 가림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 기구.
  7.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손잡이부와, 운동자의 아랫배가 밀착되어 운동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아랫배로 밀면 상측으로 회전하며 세워지거나 운동자가 몸을 뒤로 빼면 탄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20 내지 40° 하측으로 회전하여 복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회원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회원 정보를 입력받도록 리더기를 갖는 괄약근 운동 기구;
    복수의 회원 정보와 각각의 회원의 적립된 포인트 및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복수의 가맹점 정보를 저장하는 가맹점 DB; 및
    상기 괄약근 운동 기구의 운동 횟수 및 상기 가맹점 DB에 저장된 가맹점에서 사용된 포인트에 따라, 상기 회원 DB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포인트를 늘리거나 감소시키는 포인트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8.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손잡이부와, 운동자의 아랫배가 밀착되어 운동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아랫배로 밀면 상측으로 회전하며 세워지거나 운동자가 몸을 뒤로 빼면 탄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20 내지 40° 하측으로 회전하여 복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회원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회원 정보를 입력받도록 리더기를 갖는 괄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하되,
    상기 괄약근 운동 기구의 리더기를 통해 회원 정보를 인식한 후 회원 DB에 저장된 회원 정보에서 검색하여 상기 괄약근 운동 기구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괄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횟수에 따라 포인트를 가산하여 상기 회원 DB를 갱신한 후 저장하는 단계; 및
    가맹점 DB에 저장된 가맹점에서 사용된 포인트에 따라 해당 회원의 포인트를 감소시킨 후 상기 회원 DB를 갱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
KR1020140158390A 2014-11-14 2014-11-14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 KR101649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390A KR101649597B1 (ko) 2014-11-14 2014-11-14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390A KR101649597B1 (ko) 2014-11-14 2014-11-14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254A true KR20160058254A (ko) 2016-05-25
KR101649597B1 KR101649597B1 (ko) 2016-08-19

Family

ID=5611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390A KR101649597B1 (ko) 2014-11-14 2014-11-14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84B1 (ko) 2020-10-15 2021-03-08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KR102374104B1 (ko) 2021-10-12 2022-03-14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8188B1 (en) * 2000-03-30 2002-10-22 Jam'n Fitness Corp. Exercise apparatus for gluteus and hamstring muscles
KR20080100073A (ko) 2007-05-11 2008-11-14 전지용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KR101325358B1 (ko) * 2013-02-21 2013-11-08 안길찬 자가발전 운동기구 보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03808A (ko) * 2012-06-29 2014-0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풀웨이트 운동기구
KR101410899B1 (ko) * 2013-01-30 2014-06-23 김상호 힙업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8188B1 (en) * 2000-03-30 2002-10-22 Jam'n Fitness Corp. Exercise apparatus for gluteus and hamstring muscles
KR20080100073A (ko) 2007-05-11 2008-11-14 전지용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KR20140003808A (ko) * 2012-06-29 2014-0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풀웨이트 운동기구
KR101410899B1 (ko) * 2013-01-30 2014-06-23 김상호 힙업 운동기구
KR101325358B1 (ko) * 2013-02-21 2013-11-08 안길찬 자가발전 운동기구 보상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84B1 (ko) 2020-10-15 2021-03-08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KR102379365B1 (ko) 2020-10-15 2022-03-28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KR102374104B1 (ko) 2021-10-12 2022-03-14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597B1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291B2 (en) Knee flexion and extension therapy device and method of use
JP5557529B2 (ja) 動力で作動する矯正デバイス
JP5580596B2 (ja) プロトコルベースの等尺運動養生法を実行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597250B2 (en) Posture rehabilitation apparatus
US20070037672A1 (en) Toe exercise apparatus
CN105307719A (zh) 局部神经刺激仪
JP2011078728A (ja) 身体状態評価装置、状態推測装置、歩幅推測装置、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US20200086173A1 (en) Portable lower limb therapy device
KR101649597B1 (ko)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
JP4959260B2 (ja) 下肢訓練装置
US6709369B1 (en) Exercise apparatus
KR20070109624A (ko) 골반교정장치
KR20170130767A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CN108939439B (zh) 腿部拉伸器
US20070070817A1 (en) Stretching and exercising apparatus
JP2017029749A (ja) 前、後脛骨筋及び足指力強化装置
CN204563459U (zh) 多功能仰卧板
CN106182762A (zh) 一种踝关节韧带复合体的实体打印方法、装置及实体
CN110314332A (zh) 一种躯干肌群屈伸力量训练和测试座椅及其使用方法
JP4686308B2 (ja) 下肢訓練装置
JP4840509B2 (ja) 他動運動システム
KR101975567B1 (ko)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JP4787696B2 (ja) 足指運動装置
US10688334B2 (en) Stretch exercise system
JP3822176B2 (ja) 肢体能力退行予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