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567B1 -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567B1
KR101975567B1 KR1020170144427A KR20170144427A KR101975567B1 KR 101975567 B1 KR101975567 B1 KR 101975567B1 KR 1020170144427 A KR1020170144427 A KR 1020170144427A KR 20170144427 A KR20170144427 A KR 20170144427A KR 101975567 B1 KR101975567 B1 KR 10197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obile device
vibration
abdomina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경
박진성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11/02Massage devices with strips oscill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부위(복부)의 자극(진동·압박)을 통한 몸통안정화운동은 물론 스마트기기를 활용(연계장착)한 신체균형의 측정 및 이에 근거한 자세교정과 더불어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통안정화운동을 위한 사용자가 자신의 허리에 둘러매어 근력보강을 도모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중간 신체접촉 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벨트부 사용자 복부에 밀착되고 전력공급에 의한 진동으로 복부 전반에 걸친 심부근육을 자극하여 근육의 이완과 강화를 돕는 진동패드; 및, 상기 벨트의 중간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 신체균형 및 보행습관의 측정을 통한 자세교정 정보제공과 더불어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제공의 연동수단으로 활용하는 모바일기기 장착을 위한 크래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MULTI-FUNCTION ABDOMINAL DRAWING-IN BELT}
본 발명은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부위(복부)의 자극(진동·압박)을 통한 몸통안정화운동은 물론 스마트기기를 활용(연계장착)한 신체균형의 측정 및 이에 근거한 자세교정과 더불어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관한 것이다.
작은 운동 또는 동요가 나타날 때에 신체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근육뼈대계의 능력을 안정성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몸통안정화운동이라고 한다. 이러한 몸통안정화운동과 관련된 척추부위의 근육활동은 국소근육과 대근육으로 구분되며, 척추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소근육과 대근육들 사이의 조절된 공동작용이 중요하다.
특히, 내복사근(內腹斜筋, Musculus obliquus abdominis internus / 배속빗근)과 복횡근(腹橫筋, Musculus transversus abdominis / 배가로근)은 국소근육(局所筋肉)으로 척추에 직접 연결되어 척추의 미세한 조절과 척추분절 간 안정성을 제공하며, 복직근(腹直筋, rectus abdominis / 배곧은근)과 외복사근(外腹斜筋, Musculus obliquus externus abdominis / 배바깥빗근)은 대근육(大筋肉)으로 주로 힘을 생성하고 골반(骨盤, pelvis)과 몸통의 큰 움직임을 만들어 전체적인 몸통안정성에 관여한다.
그리고, 골반의 바닥과 복강(腹腔, abdominal cavity / 배안)을 지지하는 골반저근(骨盤底筋, Pelvic Floor muscles, 또는 "골반기저근"이라 함)은 배뇨조절과 요골반부 안정성의 이중 기능을 가진다. 골반저근은 체간(體幹, trunk) 주위의 근육들과 서로 연관되어 복강내 압력을 발생시키며, 기능저하시 배뇨장애뿐 아니라 요·골반통과도 연관된다.
예컨대, 요통이 있는 여성은 골반저근의 기능이 저하되며, 골반통을 가진 남성 또한 골반저근의 기능저하를 보인다. 골반저근의 효과적인 훈련을 위해서는 체간 주위의 근육과의 동시 수축을 고려해야하며 체간근육(體幹筋肉)의 기능과 관련있는 호흡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
이에, 체간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운동으로 임상에서 복부 컬 업(avdominal curl up)과 교각운동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상기 복부 컬 업은 척추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여 복부근육(腹部筋肉)의 활성도를 높이는 운동으로 복근강화훈련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복근강화운동을 할 때, 심부근육(深部筋肉)의 동시 수축을 유도하기 위한 중재들이 제시되어 왔다. 특히, 몸통의 안정성을 위해 몸통 바깥 근육과 몸통 깊은 근육의 특성을 이용한 운동으로 대표적인 복부 드로잉-인법(Abdominal Drawing-In belt meth0d)은, 복부 벽을 안쪽으로 당겨 내복사근(배속빗근)과 복횡근(배가로근)을 수축시켜 복부내압을 증가시키는 운동방법으로써, 복부를 지지하거나 뒤쪽 치우침 골반운동에 비해 다열근(多裂筋, multifidus muscle / 뭇갈래근)과 복횡근의 안정화에 가장 좋은 효과를 가진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복부 드로잉-인 등의 몸통안정성 증진을 위한 운동처방은 스포츠나 물리치료 영역에서 폭 넓게 이용되고 있는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2100호를 통해, 신체에 접촉하는 전극패드를 이용한 복부 근육의 전기자극을 통해 몸통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복부강화벨트가 개시된바 있다.
종래의 상기 복부강화벨트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든 허리에 착용하고 전극패드의 전기자극을 이용한 복부강화운동이 가능하다는 점, 예컨대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몸통운동이 신체일부에 무리를 주는 것과 달리 힘들이지 않고 꾸준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시중에서 쉽기 구입하기 어려운 특정구조 및 기능을 발휘케 된 상기 전극패드를 자극의 매개로 사용하기 때문에 호완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어, 상기 전극패드 고장시 이를 해소하기 위한 과정(수리 등)에 상당한 번거로움이 야기된다.
결국,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통안정화운동을 위한 선행연구 및 선행기술이 다수 존재하기는 하나, 기기의 수명 및 사용 특성을 고려함과 아울러 지금까지 설명한 기술적 특성에 더해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능성 다양화 도모의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2100호(등록일자 : 2012. 05. 2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부를 자극하는 진동패드를 구비하되 진동자극이 항중력(抗重力) 방향의 상승경로를 형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자극의 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복부 전반에 걸친 심부근육의 이완 및 강화를 촉진, 몸통안정화운동의 효율성으 더욱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부의 중앙에 모바일기기(스마트폰 등) 장착을 위한 크래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모바일기기 추가장착 및 그렇게 장착된 모바일기기의 기능 및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세교정의 정보제공과 더불어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데이터를 구축과 사용자 정보제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통안정화운동을 위한 사용자가 자신의 허리에 둘러매어 근력보강을 도모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중간 신체접촉 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벨트부 사용자 복부에 밀착되고 전력공급에 의한 진동으로 복부 전반에 걸친 심부근육을 자극하여 근육의 이완과 강화를 돕는 진동패드; 및, 상기 벨트의 중간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 신체균형 및 보행습관의 측정을 통한 자세교정 정보제공과 더불어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제공의 연동수단으로 활용하는 모바일기기 장착을 위한 크래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부는, 서로 다른 사용자의 허리둘레 사이즈를 감안한 신축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것이 소재이고, 양측 선단부에는, 간편착용이 가능토록 한쪽은 꺼끌꺼끌하게 만들고 다른 한 쪽은 부드럽게 만들어 이 두 부분을 붙였을 때 서로 떨어지지 않는 벨크로파스너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사용자 하의 상끝단이나 혁대에 물려, 신체활동시 상기 진동패드가 사용자 상체를 따라 오르거나 일측을 따라 돌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집게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진동패드는, 상기 벨트부 중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벨트부 착용시 사용자 복부에 밀착배치되는 패드본체와, 상기 패드본체 내부에 수평한 상태로 구비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열배치되며, 전력공급시 심부근육 자극을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되 항중력방향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복부 드로잉-인 작용효과 극대화를 도모하는 다수의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들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크래들은, 상기 벨트부의 전방으로 돌출배치된 상태로, 모바일기기와 상기 벨트부가 상호 밀착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모바일기기의 전면을 구속하는 동시에 하단을 지지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방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체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모바일기기가 정위치 밀착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모바일기기의 측면을 구속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측방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체 및 상기 측방지지체가 상기 벨트부 전방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상태로 고정결합되도록 하여, 모바일기기 내재수용을 위한 기기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고정축으로 구성되고, 모바일기기의 앞쪽과 하단 그리고 양쪽 모두의 구속 및 지지가 가능토록 하기 위해, 두개가 한 쌍을 이뤄 상기 벨트부의 중간에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벨트부의 내부에는, 공기주입시 팽창됨으로써 복부를 압박하여 근력에 힘이 더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진동패드가 복부에 완벽밀착 가능토록 하는 팽창튜브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내장된다.
또한, 상기 진동자는, 전력공급시 전자식 전류에 의해 빠른 속도로 진동하는 봉형 전기진동자로써, 상기 패드본체 내부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열배치됨으로써, 상기 제어모듈의 기설정 프로그램 실행에 의거 최하측에 배치된 것부터 시작해서 최상측에 배치된 것들을 마지막으로 순차적 진동을 발생시켜 항중력 방향으로의 진동발생경로를 형성하며, 항중력 방향으로의 순차적 진동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진동의 세기가 점진적으로 증강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체는, 모바일기기 전면에 밀착되되, 길이방향 진출 및 후퇴작용에 따른 길이가변이 가능케 된 신장대와, 상기 신장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축이 되는 한편, 상기 신장대의 진출 및 후퇴작용에 따른 길이가변이 가능토록 하는 기준대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신장대의 진출 선단부에는, 모바일기기의 하단을 떠받치는 안착슈가 더 구비결합된다.
더하여, 상기 측방지지체는, 상기 고정축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스프링 탄성에 의한 일방향 회동작용으로 모바일기기 측면을 안쪽으로 밀어 구속하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의 회전 선단부 끝단에 구비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측면에서 가압하는 밀착휠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은, 상기 벨트부 전방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전방지지체와 상기 측방지지체의 이격 및 이를 통한 상기 벨트부 전방으로의 모바일기기 내재수용을 위한 기기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하고, 길이방향 내부로부터의 진퇴작용을 이룸에 따라, 상기 기기수용공간의 전후범위 확대/축소가 가능한 진퇴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진퇴구는 스프링 탄성에 의해 자동후퇴 작용을 이룬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는, 복부에 위치하는 진동패드를 이용한 진동자극을 통해 골반저근의 수축을 유도하며 또한 골반저근의 효과적으로 수축시키며 골반저근의 훈련에 있어서 적극 활용할 수 있고, 또한 복부 심부의 근육이완과 근력강화를 실현하되 항중력방향으로의 진동자극 형성경로를 이루어 복부근육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근육이완과 근력강화를 더욱 촉진하고 이를 통한 몸통안정화운동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진동발생으로, 근전도 측정 시스템은 근육에서 발생되는 생체 전기 신호 또는 신경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기 위해 말초신경을 자극하고, 대상 근육의 상태 및 활동을 체크하여 정량적으로 재활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특히 내복사근과 복횡근에 안정성을 제공하며, 복직근과 외복사근에 힘을 생성하여 전체적인 몸통안정성에 관여할 수 있고, 골반저근의 강화를 통한 배뇨조절과 요골반부 안정성을 증대시켜 배뇨장애 뿐만 아니라 요·골반통 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장착, 이를 이용한 사용자의 신체균형 및 보행습관 측정에 따른 자세교정 기능, 신체 조절 능력 부분에서 관리에 대한 내용과 문제점 분석 그리고 해결방법을 모두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헬스케어 장비구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 신체균형의 측정과 더불어 체형 및 체질을 고려한 명확한 운동평가가 가능하고,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균형 유지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합한 운동 처방 등을 제공, 신체구조별 융복합적인 측정, 분석, 재활 등을 제공하는 의료기기로써의 의학적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있어서, 진동패드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구성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있어서, 크래들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있어서, 크래들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작용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있어서, 크래들 고정축의 구성관계 및 작용관계를 나타낸 작용예시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있어서 진동패드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구성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있어서 크래들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있어서 크래들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작용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에 있어서 크래들 고정축의 구성관계 및 작용관계를 나타낸 작용예시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A)는, 몸통안정화운동을 위한 사용자가 자신의 허리에 둘러매어 근력보강을 도모하는 벨트부(1)와, 상기 벨트부(1)의 중간 신체접촉 방향(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벨트부(1) 사용자 복부에 밀착되고 전력공급에 의한 진동으로 복부 전반에 걸친 심부근육을 자극하여 근육의 이완과 강화를 돕는 진동패드(2)와, 상기 벨트(1)의 중간 전방(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 신체균형 및 보행습관의 측정을 통한 자세교정 정보제공과 더불어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제공의 연동수단으로 활용하는 모바일기기 장착을 위한 크래들(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벨트부(1)는, 사용자 허리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착용하는 벨트구조체로써, 허리착용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며 서로 다른 사용자의 허리둘레 사이즈를 감안하여 신축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것이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편착용이 가능토록 한쪽은 꺼끌꺼끌하게 만들고 다른 한 쪽은 부드럽게 만들어 이 두 부분을 붙였을 때 서로 떨어지지 않는 벨크로파스너(velcro fastener, 11)가 양측 선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벨트부(1)의 하부에는, 사용자 하의 상끝단이나 혁대에 물려 신체활동시 상기 진동패드(2)가 사용자 상체를 따라 오르거나 일측을 따라 돌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집게(12)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구비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벨트부(1)의 내부에는, 공기주입시 팽창됨으로써 복부를 압박하여 근력에 힘이 더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한 진동패드(2)가 복부에 완벽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팽창튜브(13)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내장된다.
진동패드(2)는, 복부 전반에 걸친 심부근육의 진동자극을 통한 근육이완과 근력강화를 도와 몸통안정화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진동체인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부(1) 중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벨트부(1) 착용시 사용자 복부에 밀착배치되는 패드본체(21)와, 상기 패드본체(21) 내부에 수평한 상태로 구비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열배치되며 전력공급시 심부근육 자극을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되 항중력방향(상승방향)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복부 드로잉-인(Abdominal Drawing-In) 작용의 극대화를 도모하는 다수의 진동자(22)와, 상기 진동자(22)들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모듈(23)로 구성된다.
또한, 일정용량의 전력을 저장해 둘 수 있고 그렇게 저장된 전력을 상기 진동자(22)와 제어모듈(23) 구동의 동력원으로 공급하는 배터리(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패드본체(21)는, 피부접촉시의 트러블 발생 방지를 위해, 면이나 실크 등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여 착용감이 뛰어난 섬유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자(振動子, 22)는, 근육이완 및 근육강화를 위한 진동자극을 복부 전반의 심부근육으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매체로써, 전력의 공급시 전자식 전류에 의해 빠른 속도로 진동하는 봉형 전기진동자(electric vibrating bar)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앞설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본체(21) 내부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열배치됨으로써, 상기 제어모듈(23)의 기설정 프로그램 실행에 의거 최하측에 배치된 것부터 시작해서 최상측에 배치된 것들을 마지막으로 순차적 진동을 발생시켜 항중력 방향으로의 진동발생경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의 반복을 통해 지속적 근육이완 및 근육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항중력 방향으로 순차적 진동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진동의 세기가 점진적으로 증강되는 것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복부 드로잉 작용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하다.
상기 제어모듈(23)은,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거 상기 진동패드(2)를 정해진 패턴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회로기판(control circuit substrate)으로써, 전원공급케이블의 연결접속이 가능한 접속포트부(23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한 제어회로기판에는 사용자 알림의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도시하지 않음) 또는 음성안내를 위한 스피커(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크래들(cradle, 3)은, 사용자의 신체균형 및 보행습관의 측정 및 그 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자세교정 등의 정보제공 연동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모바일기기의 연계장착을 위한 수용거치수단인 것으로, 모바일기기와 상기 벨트부(1)가 상호 밀착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모바일기기의 전면을 구속하는 동시에 하단을 지지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방지지체(31)와, 모바일기기가 정위치 밀착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모바일기기의 측면을 구속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측방지지체(32)와, 상기 전방지지체(31) 및 측방지지체(32)가 상기 벨트부(1) 전방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상태로 고정결합되도록 하여 모바일기기 내재수용을 위한 기기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고정축(3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크래들(3)은, 모바일기기의 앞쪽과 하단 그리고 양쪽 모두의 효율적 구속 및 지지가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가 한 쌍으로 상기 벨트부(1)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체(31)는, 대부분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내재수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길이가변이 가능한 구조를 이룸으로써, 기기수용공간 전반의 확장/축소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지지체(31)는, 모바일기기 전면에 밀착되되 길이방향 진출 및 후퇴작용에 따른 길이가변이 가능케 된 신장대(311-1)와, 상기 신장대(311-1)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축이 되는 한편 상기한 신장대(311-1)의 진출 및 후퇴작용에 따른 길이가변이 가능토록 하는 기준대(311-2)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신장대(311-1)의 진출 선단부에는 모바일기기의 하단을 떠받치는 안착슈(312)가 더 구비결합되어 있다.
상기 신장대(311-1)의 후퇴 선단부에는, 상기 기준대(311-2)와의 연계조립 및 진퇴작용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공(31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준대(311-2)에는, 상기 가이드공(311-11)에 관통삽입됨에 따라 상기 신장대(311-1)와의 연계조립 및 신장대(311-1) 진퇴작용시 가이드축이 되는 가이드돌기(311-2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방지지체(32)는, 상기 고정축(33)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스프링 탄성에 의한 일방향 회동작용으로 모바일기기 측면을 안쪽으로 밀어 구속하는 가압대(321)와, 상기 가압대(321)의 회전 선단부 끝단에 구비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측면에서 가압하는 밀착휠(32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3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부(1) 전방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전방지지체(31)와 측방지지체(32)의 이격 및 이를 통한 벨트부(1) 전방으로의 모바일기기 내재수용을 위한 기기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 내부로부터의 진퇴작용을 이룸에 따라, 약간의 두께차가 있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모두의 내재수용이 가능토록 기기수용공간의 전후범위 확대/축소가 가능한 진퇴구(3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진퇴구(331)는 스프링(332) 탄성에 의해 자동후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퇴구(331)의 외측 선단으로부터는, 상기 전방지지체(31)의 기준대(311-2) 힌지결합을 위하는 힌지핀(331-1)이 소정길이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A)를 몸통안정화운동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허리에 착용하게 되는바, 사용자 허리를 둘러 감싸는 벨트부(1)를 상기 벨트부(1) 각 선단에 구비된 벨크로파스너(11)를 이용하여 간단히 둘러맬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부(1)의 하부에 일정간격마다 구비된 고정집게(12)들을 사용자 하의 상끝단 또는 혁대에 물려주어, 사용자의 신체활동시 벨트부(1)와 더불어 진동패드(2)가 사용자 상체를 따라 오르거나 일측을 따라 도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진동패드(2)의 제어모듈(23)을 작동시켜 그에 의해 상기 진동자(22)로부터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 복부 전반에 걸친 진동자극으로 심부근육의 이완 및 강화에 따른 몸통안정화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자(22)들은 제어모듈(23)에 의한 기설정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최하측에 배치된 것으로부터 최상측에 배치된 것까지 순차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진동발생경로가 항중력 방향 즉, 아래에서부터 위로 점진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복부 드로잉-인의 작용효율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크래들(3)을 이용하여 벨트부(1) 중간에 사용자 휴대폰(이하 "모바일기기"라 함)을 추가장착함이 가능한바, 그로써 상기 벨트부(1) 중간에 추가장착된 모바일기기(m)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 자세교정 및 건강관리의 정보취득이 가능하다.
예컨대, 모바일기기(m)의 자이로센서(gyro sensor)를 이용한 사용자의 신체균형 및 보행습관 측정, 그리고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연동을 통한 측정 데이터의 분석 및 이를 통한 자세교정의 정보제공과 더불어 사용자의 체질량지수(BMI) 등의 정보분석을 토대로 한 건강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몸통안정화운동은 물론이거니와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가 가능토록 할 수있다.
한편, 전술한 바를 위한 모바일기기(m)의 장착관계를 설명하자면, 도 5를 참조하여, 한 쌍으로 된 상기 크래들(3) 사이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기기(m)를 위에서 아래로 강제 삽입함을 통해, 벨트부(1)의 중간부와 크래들(3) 사이에 마련된 기기수용공간으로 모바일기기(m)를 내재수용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마다 사용하는 모바일기기(m)들은 각각 그 자체의 크기가 서로 다양한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m)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크래들(3)의 전방지지체(31)들에 의해 모바일기기(m)의 전면이 구속되고 하단이 지지되는바, 이때 모바일기기(m) 하중의 영향을 받아 상기 신장대(311-1)의 길이가변이 이루어져 기기수용공간이 확장되는 것에 의해 크기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대부분의 모바일기기(m) 내재수용이 가능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기수용공간으로 모바일기기(m)가 강제 삽입되면 상기 크래들(3)의 측방지지체(32)에 의해 모바일기기(m)의 양측면이 지지되는바, 상기와 같이 모바일기기(m)를 강제로 삽입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외력에 의해 상기 측방지지체(32)의 가압대(321)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회전작용이 유발되되 스프링 탄력에 의해 대향방향으로 회전력을 발휘하는 관계로 모바일기기(m)의 측면을 상기 가압대(321)가 가압하게 되고 가압대(321) 회전 선단부에 구비된 밀착휠(322)이 모바일기기(m)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케 됨으로써 모바일기기(m)의 측면지지가 가능하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A)는, 몸통안정화운동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바, 특히 상기 진동패드(2)를 이용한 복부 심부근육의 이완 및 강화를 위한 진동자극이 가능하되, 진동패드(2) 내에 구비되는 다수 진동자(22)들에 의한 항중력 방향으로의 진동발생경로 형성에 의거 복부 드로잉-인 작용효가 극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부(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재구비된 팽창튜브(13)의 팽창압력을 이용하여 벨트부(1)가 신체를 압박하도록 함을 통한 근력보강과 더불어 상기 진동패드(2)가 복부에 완벽하게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진동패드(2)에 의한 진동자극이 복부 전반에 걸쳐 충분히 자극되도록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크래들(3)을 이용한 모바일기기(m)의 연계장착 및 그렇게 장착된 모바일기기(m) 연동을 통한 신체균형은 물론 보행습관의 측정 및 분석을 통해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는 신체교정의 정보제공은 물론이거니와 사용자 체형과 체질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관리프로그램의 정보제공을 통해 보다 능동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몸통안정화운동과 함께 건강관리 이행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드로잉벨트, 1 : 벨트부, 2 : 진동패드
3 : 크래들, 11 : 밸크로파스너, 12 : 고정집게
13 : 팽창튜브, 21 : 패드본체, 22 : 진동자
23 : 제어모듈, 24 : 배터리, 31 : 전방지지체
32 : 측방지지체, 33 : 고정축, 231 : 접속포트
311-1 : 신장대, 311-2 : 기준대, 311-11 : 가이드공
311-21 : 가이드돌기, 312 : 안착슈, 321 : 가압대
322 : 밀착휠, 331 : 진퇴구, 331-1 : 힌지핀
332 : 스프링

Claims (9)

  1. 몸통안정화운동을 위한 사용자가 자신의 허리에 둘러매어 근력보강을 도모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중간 신체접촉 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벨트부 사용자 복부에 밀착되고 전력공급에 의한 진동으로 복부 전반에 걸친 심부근육을 자극하여 근육의 이완과 강화를 돕는 진동패드; 및,
    상기 벨트의 중간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 신체균형 및 보행습관의 측정을 통한 자세교정 정보제공과 더불어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제공의 연동수단으로 활용하는 모바일기기 장착을 위한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은, 상기 벨트부의 전방으로 돌출배치된 상태로, 모바일기기와 상기 벨트부가 상호 밀착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모바일기기의 전면을 구속하는 동시에 하단을 지지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방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체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모바일기기가 정위치 밀착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모바일기기의 측면을 구속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측방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체 및 상기 측방지지체가 상기 벨트부 전방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상태로 고정결합되도록 하여, 모바일기기 내재수용을 위한 기기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고정축으로 구성되고,
    모바일기기의 앞쪽과 하단 그리고 양쪽 모두의 구속 및 지지가 가능토록 하기 위해, 두개가 한 쌍을 이뤄 상기 벨트부의 중간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서로 다른 사용자의 허리둘레 사이즈를 감안한 신축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것이 소재이고,
    양측 선단부에는, 간편착용이 가능토록 한쪽은 꺼끌꺼끌하게 만들고 다른 한 쪽은 부드럽게 만들어 이 두 부분을 붙였을 때 서로 떨어지지 않는 벨크로파스너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사용자 하의 상끝단이나 혁대에 물려, 신체활동시 상기 진동패드가 사용자 상체를 따라 오르거나 일측을 따라 돌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집게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패드는, 상기 벨트부 중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벨트부 착용시 사용자 복부에 밀착배치되는 패드본체와,
    상기 패드본체 내부에 수평한 상태로 구비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열배치되며, 전력공급시 심부근육 자극을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되 항중력방향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복부 드로잉-인 작용효과 극대화를 도모하는 다수의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들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내부에는, 공기주입시 팽창됨으로써 복부를 압박하여 근력에 힘이 더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진동패드가 복부에 완벽밀착 가능토록 하는 팽창튜브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전력공급시 전자식 전류에 의해 빠른 속도로 진동하는 봉형 전기진동자로써,
    상기 패드본체 내부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열배치됨으로써, 상기 제어모듈의 기설정 프로그램 실행에 의거 최하측에 배치된 것부터 시작해서 최상측에 배치된 것들을 마지막으로 순차적 진동을 발생시켜 항중력 방향으로의 진동발생경로를 형성하며,
    항중력 방향으로의 순차적 진동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진동의 세기가 점진적으로 증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체는, 모바일기기 전면에 밀착되되, 길이방향 진출 및 후퇴작용에 따른 길이가변이 가능케 된 신장대와,
    상기 신장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축이 되는 한편, 상기 신장대의 진출 및 후퇴작용에 따른 길이가변이 가능토록 하는 기준대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신장대의 진출 선단부에는, 모바일기기의 하단을 떠받치는 안착슈가 더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지지체는, 상기 고정축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스프링 탄성에 의한 일방향 회동작용으로 모바일기기 측면을 안쪽으로 밀어 구속하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의 회전 선단부 끝단에 구비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측면에서 가압하는 밀착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상기 벨트부 전방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전방지지체와 상기 측방지지체의 이격 및 이를 통한 상기 벨트부 전방으로의 모바일기기 내재수용을 위한 기기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하고,
    길이방향 내부로부터의 진퇴작용을 이룸에 따라, 상기 기기수용공간의 전후범위 확대/축소가 가능한 진퇴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진퇴구는 스프링 탄성에 의해 자동후퇴 작용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KR1020170144427A 2017-11-01 2017-11-01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KR101975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27A KR101975567B1 (ko) 2017-11-01 2017-11-01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27A KR101975567B1 (ko) 2017-11-01 2017-11-01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567B1 true KR101975567B1 (ko) 2019-05-07

Family

ID=6665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427A KR101975567B1 (ko) 2017-11-01 2017-11-01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69686A (zh) * 2023-01-31 2023-04-18 吉林大学 一种会阴部振动偶联式盆底肌群功能康复训练仪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378A (ko) * 2007-05-09 2008-11-13 손승남 벨트타입 복부 맛사지장치
KR20120037344A (ko) * 2010-10-11 2012-04-19 전성철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KR101152100B1 (ko) 2010-03-11 2012-06-01 주식회사 오코웰 복부강화벨트
KR101183580B1 (ko) * 2012-01-31 2012-09-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KR101236365B1 (ko) * 2010-12-14 2013-02-22 안정호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용한 혈도 자극 장치를 갖는 복부 진동벨트
KR200477035Y1 (ko) * 2014-12-16 2015-05-04 박남태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170072888A (ko) * 2014-10-21 2017-06-27 케네스 로렌스 로젠블러드 자세 개선 장치, 개선 시스템, 및 개선 방법
KR101766582B1 (ko) * 2016-04-21 2017-08-09 상훈 한 기능성 마사지 벨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378A (ko) * 2007-05-09 2008-11-13 손승남 벨트타입 복부 맛사지장치
KR101152100B1 (ko) 2010-03-11 2012-06-01 주식회사 오코웰 복부강화벨트
KR20120037344A (ko) * 2010-10-11 2012-04-19 전성철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KR101236365B1 (ko) * 2010-12-14 2013-02-22 안정호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용한 혈도 자극 장치를 갖는 복부 진동벨트
KR101183580B1 (ko) * 2012-01-31 2012-09-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KR20170072888A (ko) * 2014-10-21 2017-06-27 케네스 로렌스 로젠블러드 자세 개선 장치, 개선 시스템, 및 개선 방법
KR200477035Y1 (ko) * 2014-12-16 2015-05-04 박남태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1766582B1 (ko) * 2016-04-21 2017-08-09 상훈 한 기능성 마사지 벨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69686A (zh) * 2023-01-31 2023-04-18 吉林大学 一种会阴部振动偶联式盆底肌群功能康复训练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396B2 (en) Post workout massage device
US9839258B2 (en) Vibrating foot massager
KR101114164B1 (ko) 의복형 근전도 및 기능적 전기자극 시스템
US1134446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lf-administered therapy
US6645128B1 (en) Exercise belt
US20190333407A1 (en) Tactile Input for Improving Physical Movement
CN109414369A (zh) 刺激装置
US20180271209A1 (en) Vibrating massager garment
US11957906B2 (en) External stimulus application system,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upport server
KR200476633Y1 (ko)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US20160140866A1 (en) Tactile Input for Improving Physical Movement
KR101975567B1 (ko)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KR200445631Y1 (ko) 좌우진동을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CN210302222U (zh) 一种膝关节锻炼器材
KR102023512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 연동형 전신 운동기구 시스템
JP6971307B2 (ja) 身体マッサージ機器およびその操作方法
KR101649597B1 (ko) 괄약근 운동 기구,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포인트 활용 방법
CN113397791A (zh) 一种自助式气压循环按摩颈椎核心肌群的颈托装置
CN112932890A (zh) 一种下肢助力柔性外骨骼康复设备
TW201722391A (zh) 一種核心肌訓練電極衣
US20220040031A1 (en) Muscle massaging belt assembly
KR101638601B1 (ko) 휴대용 척추 운동 기구
CA2508481A1 (en) Perforated mat for supporting decorative lights
KR20190101225A (ko) 허벅지 고정유닛, 종아리 고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CN213430831U (zh) 一种新型颈托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