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344A -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 Google Patents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344A
KR20120037344A KR1020110094975A KR20110094975A KR20120037344A KR 20120037344 A KR20120037344 A KR 20120037344A KR 1020110094975 A KR1020110094975 A KR 1020110094975A KR 20110094975 A KR20110094975 A KR 20110094975A KR 20120037344 A KR20120037344 A KR 2012003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pport
pelvis
waist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507B1 (ko
Inventor
전성철
Original Assignee
전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철 filed Critical 전성철
Publication of KR2012003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7/00Means for holding-down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의인 바지나 치마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벨트를 인체의 골반에 지지되도록 하고 그 양측 상단으로 하의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집게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허리벨트를 하의 내측으로 삽설하여 골반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집계수단으로 바지나 치마의 상부 끝단을 잡아주어 하의가 인체의 허리에서 효과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A Belt for the Utilization of the Pelvis}
본 발명은 바지 또는 치마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벨트를 인체의 골반에 지지되도록 하고 그 양측으로 지지대를 두되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하의의 상부 끝단을 고정하는 집게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허리벨트를 하의 내측으로 삽설하여 골반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집계수단으로 바지나 치마의 상부 끝단 모서리부를 잡아주어 하의가 인체의 허리에서 효과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된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나 치마 등은 허리에서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이를 고정 지지하는 허리벨트를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허리벨트는 하의를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 이외에도 착용미(美)를 돋보이도록 하여 일종의 악세사리 기능을 하도록 하는 측면도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허리벨트는 대부분이 가죽이나 천 등과 같이 플렉시블한 가죽부와 상기 가죽부의 일단부에 고정수단인 버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죽부에 일정간격으로 벨트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버클부 내부로 상기 가죽부를 삽설하고 각 개인의 허리 둘레에 맞는 위치에 상기 벨트구멍을 이용해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허리벨트는 사용할 때 마다 허리둘레에 벨트의 길이를 조절해야하고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벨트구멍이 헤어져 외관상 미려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는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록실용 제20-0342411호의 "허리벨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 제20-0342411호의 "허리벨트"는 버클본체와, 상기 버클본체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벨트의 일측이 삽입되어 잠금될 수 있는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후단으로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킬수 있는 고정수단 및 상기 잠금수단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락커머리를 구비하고 있는 벨트로 구성되어, 한번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해두면 다음에 다시 길이를 조절할 필요 없이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허리벨트는 주로 바지를 입었은 때 착용하는 것으로 구비되나, 여성이 치마를 입었을 경우에는 이를 착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성용 하의인 치마는 인체의 허리에 위치하는 상단부가 주로 탄성력이 있는 고무밴드 등을 구비하여 단순히 허리에 탄력적으로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입었으나, 이는 허리를 굽히거나 또는 시간이 지날수록 고무밴드가 느슨해진다거나 기타 다른 활동시에 허리에서 하방으로 내려가 외관상 보기 흉함은 물론 이로 인해 치마 등을 빈번하게 끌어 올려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허리벨트를 인체의 골반에 지지되도록 하고 그 양측 상단으로 바지나 치마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집게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허리벨트를 바지 또는 치마 내측으로 삽설하여 골반을 이용 아랫배 쪽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집계수단으로 바지 또는 치마의 상부 끝단을 외측으로 잡아주어 하의가 인체의 허리에서 효과적으로 고정되어 하방으로 내려갈 수 없도록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는,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의 가죽 또는 천으로 하여 인체의 허리를 조여줄 수 있도록 된 제1벨트와; 상기 제1벨트와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이와 대향되도록 구비된 제2벨트; 상기 제1벨트 또는 상기 제2벨트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 상기 제1벨트의 그 중간부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제1지지대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1포크형보조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치마나 바지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집게수단을 갖는 제1이중밴드; 및
상기 제2벨트의 그 중간부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제2지지대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대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2포크형보조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치마나 바지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집게수단을 갖는 제2이중밴드;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의를 입은 사용자가 인체의 허리에서 하의가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 지지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있어서,
천이나 가죽 등과 같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하되 그 길이를 신축(伸縮)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부와 탈?장착이 가능 하도록 하는 버클로 이루어져 인체의 골반과 허리 하부 전?후방을 따라 착용되는 골반지지벨트와;
상기 골반지지벨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인체의 한쪽 골반부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 방향으로 제1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1포크형보조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하의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집게수단이 구비되는 제1이중밴드와;
상기 골반지지벨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인체의 다른쪽 골반부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 방향으로 제2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대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2포크형보조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하의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집게수단이 구비되는 제2이중밴드;로 구성되되,
상기 제1지지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가로지지대에는 상기 골반지지벨트를 삽설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슬라이딩밴드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가로지지대에는 상기 골반지지벨트를 삽설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슬라이딩밴드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는 하의인 바지나 치마 내측으로 상기 허리벨트를 착용하여 골반을 이용 아랫배 쪽에 고정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집계수단으로 바지 또는 치마의 상부 끝단을 외측으로부터 물어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하의가 인체의 허리에서 하방으로 내려가는 현상을 막아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여성 등이 치마를 입고 생활할 경우에도 그 활동성이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허리밸트가 벨크로 형식(일명 찍찍이 라고도 함)을 적용한 부드러운 천 등으로 하여 아랫배를 압박하여 줌으로써 하복부가 편안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허리벨트를 착용하여 바지를 올려 입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가 길게 보여 키가 커 보이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의 분리 사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를 착용하여 바지나 치마를 고정 지지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의 요부에 대한 내측상태도와 측단면도 및 외측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의 요부에 장신구를 장착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의 다른 실시예의 클립보호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와 분리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죽 또는 천 등과 같은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하여 인체의 허리를 부드럽게 조여줄 수 있도록 된 제1벨트(110)와;
상기 제1벨트(110)와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이와 대향되도록 구비된 제2벨트(120);
상기 제1벨트(110) 또는 상기 제2벨트(12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130);
상기 제1벨트(110)의 그 중간부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제1지지대(111)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111)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1포크형보조지지대(1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112)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치마나 바지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집게수단(113)을 갖는 제1이중밴드(114);
상기 제2벨트(120)의 그 중간부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제2지지대(121)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대(121)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2포크형보조지지대(1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122)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치마나 바지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집게수단(123)을 갖는 제2이중밴드(1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130)은 벨크로(velcro, 일명 찍찌기 라고도 함) 천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벨트(110) 또는 상기 제2벨트(120) 중 어느 한 쪽은 붙이는 천으로 되고 그 반대 쪽은 붙는 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11)는 그 상부측으로 선단 중간 후미로 각기 구분되어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112)가 분지되어 상기 제1집게수단(113)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112)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에는 바지나 치마 끝단을 물어서 잡아줄 수 있는 클립 등과 같은 제1집게(115)를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제1집게설치고리(116)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중밴드(114)에 구비된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112)의 끝단부측에는 상기 허리벨트(100)의 미적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꽂 모양이나 나비 모양 등과 같은 장신구(140)를 끼워 장착할 수 있는 제1장착돌기부(11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121) 역시 그 상부측으로 선단 중간 후미로 각기 구분되어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122)가 분지되어 상기 제2집게수단(123)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122)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에는 바지나 치마 끝단을 물어서 잡아줄 수 있는 클립등과 같은 제2집게(125)를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제2집게설치고리(126)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집게설치고리(116)와 상기 제2집게설치고리(126)는 일반적인 원형고리 등으로 하여 상기 제1집게(115)와 상기 제2집게(125)를 각각 끼웠다 뺐다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장착돌기부(117)와 상기 제2장착돌기부(127)에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장신구(140)를 끼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장착돌기부(117)와 상기 제2장착돌기부(127)에는 장식용 연결고리 등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구멍(118,119)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신구(140)는 단일형상으로 하여 상기 제1장착돌기부(117)와 상기 제2장착돌기부(127)에 각각 끼워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 3개의 장신구(140')를 하나의 띠 형상으로 단일화 하여 장착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집게수단(113)과 상기 제2집게수단(123)은 일반적인 집게에 적용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상부측을 누르면 하단부가 벌어지고 그 벌어진 사이로 치마의 상단부를 물려 고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바 해당업자는 누구나 실시할 수 있어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100)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체결수단(130)에 구비된 밸크로천을 풀어 상기 제1벨트(110)와 상기 제2벨트(120)의 연결을 해제하고 사용자의 허리에 다시 찬 다음 상기 체결수단(130)에 구비된 밸크로천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벨트(110)와 상기 제2벨트(120)는 사용자의 양측 골반과 하복부에 지지되도록 하여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게 된다.
이어 사용자의 바지나 치마의 상단부를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112)와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122)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집게수단(113)과 상기 제2집게수단(123)을 이용하여 물려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100)를 바지나 치마의 상단부에 고정하게 되면 상기 제1벨트(110)와 상기 제2벨트(120)는 사용자의 골반에 걸려져 하방으로 내려가지 못하게 되고, 이에 연결 고정된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112)와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122)의 집게수단에 의해 바지나 치마가 역시 하방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로 입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벨트(110)와 상기 제2벨트(120)에 의해 하복부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하게 됨으로써 편안함을 가져올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하의가 하방으로 내려가는 불편함을 해소하게 되어 사용자의 활동성이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100)는 다음과 같이 그 구조를 일부 변형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20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이나 가죽 등과 같은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하되 그 길이를 신축(伸縮)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부(211)와 탈?장착이 가능 하도록 하는 버클(212)로 이루어져 인체의 골반과 허리 하부 전?후방을 따라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골반지지벨트(210)와,
상기 골반지지벨트(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인체의 한쪽 골반부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 방향으로 제1지지대(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대(111)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1포크형보조지지대(1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112)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치마나 바지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집게수단(113)이 구비되는 제1이중밴드(114)와;
상기 골반지지벨트(2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인체의 다른쪽 골반부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 방향으로 제2지지대(1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대(121)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2포크형보조지지대(1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122)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치마나 바지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집게수단(123)이 구비되는 제2이중밴드(1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대(111)의 하단부에는 상기 골반지지벨트(210)를 삽설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슬라이딩밴드(220)에 연결 고정되는 제1가로지지대(21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이중밴드(114)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213)에 연결된 상기 제1슬라이딩밴드(220)에 의해 상기 골반지지벨트(210)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인체의 골반 위치가 사람마다 다른 경우 이를 이용해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대(121)의 하단부에는 상기 골반지지벨트(210)를 삽설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슬라이딩밴드(230)에 연결 고정되는 제2가로지지대(21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이중밴드(124)는 상기 제2가로지지대(214)에 연결된 상기 제2슬라이딩밴드(230)에 의해 상기 골반지지벨트(210)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이중밴드(114)와 상기 제2이중밴드(124)에 형성된 상기 제1,2포크형보조지지대(112,122)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는 연결고리(240)에 의해 연결되면서 인체 전면의 하복부 즉, 바지의 지퍼상단의 에지부(edge)에 장착되는 클립보호대(25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보호대(250)는 탄성력을 갖을 수 있도록 골격을 이루는 스틸부재(251)와 가죽 등과 같은 플렉시블 재질로 되어 상기 스틸부재(251)의 외부에 구비되어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커버부재(252)로 구성되고, 상기 스틸부재(251)의 양단에는 바지나 치마의 모서리부를 집어(물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집게수단(25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립보호대(250)에는 장신구 등을 그 전면에 달아 미려함을 추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립보호대(250)는 바지의 지퍼부 상부측 에지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넥타이가 바지 안쪽으로 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고, 또 바지나 치마 전방 상단부에 구비되어 악세사리와 같은 장식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허리벨트 사용자는 상기 골반지지벨트(210)를 인체의 하복부와 허리 골반부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하게 됨으로써 편안함을 가져올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하의가 하방으로 내려가는 불편함을 해소하게 되어 사용자의 활동성이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지 사용자는 넥타이의 끝단부가 바지 내부로 들어가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클립보호대(150)를 착용함으로써 악세사리를 사용한 것과 같은 미려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허리벨트 110:제1벨트 120:제2벨트 130:체결수단 140:장신구
111:제1지지대 112:제1포크형보조지지대 113:제1집게수단
114:제1이중밴드 115:제1집게 116:제1집게설치고리 117:제1장착돌기부
121:제2지지대 122:제2포크형보조지지대 123:제2집게수단
124:제2이중밴드 125:제2집게 126:제2집게설치고리 117:제2장착돌기부
200:허리벨트 210:허리지지벨트 220:제1슬라이딩밴드
230:제2슬라이딩밴드 240:연결고리 250:클립보호대
211:길이조절부 212:버클 213:제1가로지지대 214:제2가로지지대
251:스틸부재 252:커버부재 253:집게수단

Claims (8)

  1. 하의를 입은 사용자가 인체의 허리에서 하의가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 지지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는,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의 가죽 또는 천으로 하여 인체의 허리를 조여줄 수 있도록 된 제1벨트와;
    상기 제1벨트와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이와 대향되도록 구비된 제2벨트;
    상기 제1벨트 또는 상기 제2벨트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
    상기 제1벨트의 그 중간부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제1지지대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1포크형보조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치마나 바지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집게수단을 갖는 제1이중밴드; 및
    상기 제2벨트의 그 중간부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제2지지대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대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2포크형보조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치마나 바지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집게수단을 갖는 제2이중밴드;
    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벨크로 천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벨트 또는 상기 제2벨트 중 어느 한 쪽은 붙이는 천으로 되고 그 반대 쪽은 붙는 천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계수단은 바지 또는 치마의 끝단부를 물어 고정하는 집게와, 이를 끼워 장착하거나 빼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집게설치고리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형보조지지대의 상단부측에는 장신구를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장착돌기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돌기부에는 장식용 연결고리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끼움구멍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6. 하의를 입은 사용자가 인체의 허리에서 하의가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 지지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있어서,
    천이나 가죽 등과 같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하되 그 길이를 신축(伸縮)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부와 탈?장착이 가능 하도록 하는 버클로 이루어져 인체의 골반과 허리 하부 전?후방을 따라 착용되는 골반지지벨트와;
    상기 골반지지벨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인체의 한쪽 골반부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 방향으로 제1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1포크형보조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포크형보조지지대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하의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집게수단이 구비되는 제1이중밴드와;
    상기 골반지지벨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인체의 다른쪽 골반부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 방향으로 제2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대의 상단에는 선단 중간 후미로 이루어진 3지창 형상의 제2포크형보조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크형보조지지대의 선단과 후미의 상단부에는 하의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집게수단이 구비되는 제2이중밴드;로 구성되되,
    상기 제1지지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가로지지대에는 상기 골반지지벨트를 삽설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슬라이딩밴드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가로지지대에는 상기 골반지지벨트를 삽설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슬라이딩밴드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중밴드와 상기 제2이중밴드에 형성 구비된 상기 제1,2포크형보조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는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면서 하의의 지퍼상단부 모서리에 끼워 장착되는 클립보호대가 구비되어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호대는 탄성력을 갖을 수 있도록 골격을 이루는 스틸부재와 플렉시블 재질로 되면서 상기 스틸부재의 외부에 구비되어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커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스틸부재의 양단에는 하의의 상단 모서리부를 물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집게수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KR1020110094975A 2010-10-11 2011-09-21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KR101335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8572 2010-10-11
KR1020100098572 2010-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344A true KR20120037344A (ko) 2012-04-19
KR101335507B1 KR101335507B1 (ko) 2013-12-02

Family

ID=4613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975A KR101335507B1 (ko) 2010-10-11 2011-09-21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5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110B1 (ko) * 2013-01-29 2013-08-28 황상호 요통 완화 벨트
WO2014148733A1 (ko) * 2013-03-19 2014-09-25 Kim Dae Woon 바지의 흘러내림 방지용 버팀기둥
KR101975567B1 (ko) * 2017-11-01 2019-05-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CN113615911A (zh) * 2021-08-07 2021-11-09 王坚 一种防止人体腰部及腹股沟闷湿热的腰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226B1 (ko) * 2014-01-08 2015-05-13 김대운 바지 흘러내림 방지용 버팀기둥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5538U (ko) * 1986-07-10 1988-12-15
JPH07278928A (ja) * 1994-04-14 1995-10-24 Kazuo Matsuyama ズボン類のウエスト長さ調整ベルト
KR200373180Y1 (ko) 2004-10-22 2005-01-15 이형돈 버클 없는 혁대
JP2007138367A (ja) 2005-11-16 2007-06-07 Naoko Kato 洋服着用補助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110B1 (ko) * 2013-01-29 2013-08-28 황상호 요통 완화 벨트
WO2014148733A1 (ko) * 2013-03-19 2014-09-25 Kim Dae Woon 바지의 흘러내림 방지용 버팀기둥
KR101975567B1 (ko) * 2017-11-01 2019-05-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CN113615911A (zh) * 2021-08-07 2021-11-09 王坚 一种防止人体腰部及腹股沟闷湿热的腰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507B1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0675B2 (en) Leg garment
US7765620B2 (en) Belt support
US20090139014A1 (en) Open front dual attachment belt
KR101335507B1 (ko) 골반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허리벨트
US20110143635A1 (en) Ornamental object for covering bra and bikini clasps, and mechanism for fastening same
US20040064872A1 (en) Thong-type garment with wireframe construction
MX2008003151A (es) Ceñidor para prendas de vestir.
US6381752B1 (en) Bra with selectively configurable straps using a stiffening attachment
US8366511B2 (en) Garment supporting apparatus
US20150135395A1 (en) Garment retaining apparatus
US10750807B1 (en) Garment system for interchangeable covers for garment straps
US9723885B2 (en) Trousers-supporting waist belt
KR200450430Y1 (ko) 체결이 간편한 끈을 구비한 앞치마
RU24629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тяжки одежды
US20160015105A1 (en) Bracing strut for preventing pants from slipping down
US10188153B1 (en) Garment system for interchangeable covers for garment straps
CN206380729U (zh) 一种外穿长袖连体衣
JP4387496B2 (ja) ボディシェイパー
CN214759221U (zh) 一种连体裤
CN215775674U (zh) 一种保暖便捷的儿童套头衫
CN203828100U (zh) 一种方便型背带裤结构
CN208030312U (zh) 一种分体式的背带裤
JP3233486U (ja) マスク
CN110934354B (zh) 一种方便穿脱的连体裤
JP2019183332A (ja) 落下防止具、落下防止方法、および吊り下げボト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