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100B1 - 복부강화벨트 - Google Patents

복부강화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100B1
KR101152100B1 KR1020100021663A KR20100021663A KR101152100B1 KR 101152100 B1 KR101152100 B1 KR 101152100B1 KR 1020100021663 A KR1020100021663 A KR 1020100021663A KR 20100021663 A KR20100021663 A KR 20100021663A KR 101152100 B1 KR101152100 B1 KR 10115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body
signal generator
wearer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581A (ko
Inventor
오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코웰
Priority to KR102010002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10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벨트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2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전극패드가 내부에 금속판을 갖춘 도전성 탄소패드로 구성됨과 더불어, 벨트본체는 탄소패드를 부착하기 위한 자석식 접속장치를 구비하여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게 됨은 물론, 교환할 필요가 없어 반영구적이고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부강화벨트 {Abdominal training bel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기 자극에 의해 복부의 근육을 강화시키도록 된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에 접촉하는 전극패드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함은 물론 반영구적이고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복부강화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을 통해 필요한 영양분을 얻고, 이를 분해하여 열량으로 변환시켜 필요한 일을 하게 되고 나머지 영양분은 체내에 축적하게 된다. 체내에 축적된 지방은 운동을 통해 열량으로 변환되어 소멸되지만, 활동성이 거의 없는 현대인의 경우 음식물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는 열량이 항상 일정한 반면, 열량의 소비가 점차 줄어듦에 따라 비만이 증가하게 되었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과 같은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 비만은 복부 비만으로부터 시작된다. 사람의 복부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복근으로 이루어지는데,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하여 복근이 약해지게 되면 위장과 소장 및 대장이 확장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되면 사람이 음식을 다량 섭취하더라도 포만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과도한 복부 비만이 초래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비만 상태는 복부로부터 전신으로 확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사람이 비만상태로 되게 된다.
또한, 비만 문제 이외에도 복근이 약화되면 복벽의 지탱력이 약해짐으로 인하여 복부 안쪽에 위치하는 내장기관이 하부로 처지게 되고, 이로써 소장과 대장, 방광, 자궁 등이 내장기관에 의해 눌려지게 됨으로써 혈액의 흐름이 불량하게 되며 그에 따른 각종 질병이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의 복부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권장되고 있는데, 이러한 운동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는 윗몸 일으키기가 있다. 하지만, 운동을 통한 복부 강화에는 많은 육체적, 시간적인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운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힘들게 운동을 안 해도 복부의 비만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복부 강화 기구의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기구(1)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25), 이 벨트본체(25)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28), 및 이 신호발생기(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25)에 부착되는 2 이상의 전극패드(26, 27)를 포함하고 있다.
벨트본체(25)의 양단에는 벨크로(Velcro) 테이프(38, 39)가 부착되어 있다. 또, 벨트본체(25)의 앞쪽에 장착된 수용부(29)에는 신호발생기(28)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편, 벨트본체(25)의 뒤쪽에는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되고 신호발생기(28)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받아 출력하는 전극패드(26, 27)가 부착되게 된다.
여기서 전극패드(26, 27)는 2 이상의 도전성 접착형 패드로 구성되는데, 이들 전극패드(26, 27)는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박판(65), 이 박판(65)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 제1겔코팅부(67) 및 박판(65)의 타면에 형성된 도전성 제2겔코팅부(68)를 포함하고 있다. 제1겔코팅부(67)는 전극패드(26, 27)를 벨트본체(25)에 부착되게 함과 동시에 박판(65)을 벨트본체(25)에 갖춰진 접점(46, 4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다. 제2겔코팅부(68)는 전극패드(26, 27)를 착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박판(65)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다. 이러한 도전성 겔코팅부는 전기 신호의 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통상 제1겔코팅부(67)의 접착강도가 제2겔코팅부(68)의 접착강도보다 더 강하다.
전술한 복부강화기구는 전극패드(26, 27)를 통해 펄스(Pulse) 신호가 주기적으로 복부 근육에 전달되게 하고, 이러한 전기 신호는 운동신경이 밀집된 부위를 자극하며 옆구리, 상복부, 하복부를 포함한 복부 전체로 퍼져나가게 된다. 이렇게 복부 전체에 전달된 주기적인 전기 신호는 복부 근육이 자동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하는데, 이때 복부 근육에 윗몸 일으키기를 할 때와 유사한 운동 효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복부강화기구의 장점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든 허리에 착용하고 신호발생기(28)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복부 강화를 위한 운동이 된다는 점과, 예컨대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운동이 신체 일부에 무리를 줄 수 있는 것과 달리 힘들이지 않고 꾸준히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도전성 접착형인 전극패드(26, 27)를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에 제2겔코팅부(68)에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어 접착강도 및 전기전도도가 약하게 됨과 더불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빈번하게 전극패드(26, 27)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결국 전극패드(26, 27)가 소모성 부품이 되어 버려서, 전극패드(26, 27)를 구입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신체에 접촉하는 전극패드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함은 물론 반영구적이고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복부강화벨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벨트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2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전극패드는 도전성 탄소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는, 탄소패드가 금속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벨트본체는 자석식 접속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서, 금속판 및 자석식 접속장치를 매개로 하여 탄소패드가 벨트본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벨트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2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벨트본체는 자석식 접속장치를 구비하고, 전극패드가 자력에 의해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전성 겔코팅부로 인한 불편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게 됨은 물론, 전극패드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 반영구적이고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부 강화 기구의 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극패드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에 장착되는 신호발생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탄소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석식 접속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아래의 방향성을 정의하는 용어가 사용된다. 배면 또는 뒤쪽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착용자의 몸통에 착용한 상태일 때 착용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면 또는 몸통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정면 또는 앞쪽은 전술한 배면 또는 뒤쪽의 반대측, 즉 본 발명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착용자의 몸통에 착용한 상태일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 또는 몸통으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또한, 위(상)와 아래(하)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착용자의 몸통에 착용하고 직립한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먼 곳과 가까운 곳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에 장착되는 신호발생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탄소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석식 접속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25), 이 벨트본체(25)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28), 및 이 신호발생기(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25)에 부착되되 금속판(21: 도 5 참조)을 갖춘 2 이상의 도전성 탄소패드(20)를 포함하고 있다.
벨트본체(25)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아서 장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2 이상의 탄소패드(20)를 설치하고 보유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벨트본체(25)에는 「VELCRO」라는 상표명으로 통상 시판되고 있으며 다수의 훅(hook)과 아이(eye)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8, 39)가 각 단부(35, 36)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훅과 아이 중 훅을 갖춘 벨크로 테이프(38)는 단부(35)의 뒤쪽에 설치되고, 훅과 아이 중 아이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9)는 단부(36)에서 앞쪽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 예로, 아이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9)를 복수로 구비하면서 이격되게 설치하여서, 착용자의 허리 치수 또는 허리 이외의 여러 가지 치수를 갖는 다른 신체에도 벨트본체(25)가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훅을 갖춘 벨크로 테이프(38)와 아이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9)의 배치를 반대로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는 착용자의 신체 중 몸통에 장착될 때 벨트본체(25)를 몸통의 주위에 단단히 감고서 벨크로 테이프(38, 39)를 체결하여 탄소패드(20)가 착용자의 피부와 비교적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벨트본체(25)가 착용자에게 견고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신체의 크기 즉 치수가 변화해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벨트본체(25)는 신장 가능한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벨트본체(25)는 신장할 수 있는 직물 재료로 된 한 쌍의 외피(49)와, 신장할 수 있는 발포 재료의 안감(미도시)을 구비하고, 벨트본체(25)의 양측으로 늘어나면서 외피(49)와 안감에 봉합되는 편조부(51)에 의해 합체되게 된다.
또, 벨트본체(25)에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된 브래킷(bracket) 형태의 수용부(29)가 그 정면에 설치되어, 도 4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신호발생기(28)를 벨트본체(25)에 상하로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부(29)의 안내궤도(55)는 신호발생기(28)의 대응하는 안내홈(56)과 결합하여, 수용부(29) 내에 신호발생기(28)를 확실하게 보유지지한다. 수용부(29) 내에 위치하는 잭플러그(jack plug: 57)는 신호발생기(28)의 대응하는 잭소켓(jack socket: 58)과 결합하여, 신호발생기(28)를 탄소패드(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다. 잭플러그(57)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미도시)은 후술하는 접속장치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케이블은 벨트본체(25)의 외피(49)들 사이에 설치된다.
신호발생기(28)에는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버튼(6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신호발생기(28)는 그 작동을 나타내거나, 레벨(level) 또는 모드(mode)를 표시하는 발광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발생기(28)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미도시)는 제어버튼(61)의 입력 신호에 따라 신호발생기(28) 내의 펄스발생기를 제어하여 펄스 신호를 송출한다. 신호발생기(28)는 수납부(59)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신호발생기(28)가 생성하는 펄스의 진폭, 간격 및 시간 등의 제어에 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데, 이와 같은 펄스 신호의 발생과 제어는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 가능하게 벨트본체(25)에 설치되는 신호발생기(28)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신호를 착용자의 피부에 가하기 위한 전극패드로서 둘 이상의 도전성 탄소패드(20)를 구비하는데, 이들 탄소패드(20)를 벨트본체(25)에 각각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벨트본체(25)의 배면에는 표시부(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표시부(37)의 영역 내에는 탄소패드(20)의 부착 및 전기적 접속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하기 위한 자석식 접속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탄소패드(20)는 실리콘고무에 작은 탄소분자를 채워서 만든 판형상 부재로서, 종래와 같은 겔코팅부 없이도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고, 용이하게 휘어질 정도로 유연하며, 피부자극이 적은 특성이 있다. 탄소패드(2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그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22)의 벽면에 슬릿(23)이 있고, 이 슬릿(23)에 금속판(21)이 끼워져 설치된다. 이에 따라 금속판(21) 및 후술하는 자석식 접속장치(30)를 매개로 하여 탄소패드(20)가 벨트본체(25)에 부착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신호발생기(28)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식 접속장치(30)는 환형상의 영구자석(31), 이 영구자석(31)을 둘러싸면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한 쌍의 체결편(33)을 갖춘 커버(32), 및 이 커버(32)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금속단자(34)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금속단자(3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관통구멍에 나사결합하기 편하게 되어 있다. 금속단자(34)는 전술한 케이블에 연결되어, 잭플러그(57) 및 잭소켓(58)을 통해 신호발생기(28)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자석식 접속장치(30)는 벨트본체(25)에서 표시부(37) 내 중심에 위치하여 탄소패드(2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자석식 접속장치(30)는 표시부(37) 내 영역 중 일부에 가늘고 긴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커버(32)의 얇고 긴 체결편(33)을 끼워 관통시킨 후 반대쪽에서 체결편(33)을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벌려 구부림으로써 벨트본체(25) 상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자석식 접속장치(30)는 도 3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본체(25)의 배면에 있는 표시부(37)의 영역 내에 설치되되,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정렬되어서, 궁극적으로 탄소패드(20)가 수직이나 수평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자석식 접속장치(30)는 신호발생기(28)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신호를 탄소패드(20)에 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벨트본체(25) 상에 설치된 자석식 접속장치(30)의 영구자석(31)은 탄소패드(20)의 금속판(21)과 자력으로 접착되게 된다. 또, 자석식 접속장치(30)의 금속단자(34)는 탄소패드(20)의 금속판(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고, 이 금속단자(34)가 케이블에 연결되어 잭플러그(57) 및 잭소켓(58)을 통해 신호발생기(28)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결국 탄소패드(20)가 신호발생기(28)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탄소패드(20)는 종래의 도전성 겔코팅부(67, 68: 도 2 참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양호하게 접속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의 사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되,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가 착용자의 신체 중 몸통에 장착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벨트본체(25)의 표시부(37) 내에 탄소패드(20)를 자석식 접속장치(30)에 의해 자력으로 접착 설치한다. 종래와 같은 도전성 겔코팅부(67, 68)를 없앴기 때문에, 전극패드로 작용하는 탄소패드(20)의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어서, 탄소패드(20)들이 배꼽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로 배열되도록 벨트본체(25)를 착용자의 몸통에 맞춘다. 그리고, 아이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9)에 훅을 갖춘 벨크로 테이프(38)를 맞물리게 하여 벨트본체(25)를 착용자의 몸통 치수에 맞춰 적절히 몸통에 설치한다.
그 후에 신호발생기(28)를 작동시키고, 희망하는 펄스신호를 선택한다. 원하는 레벨 또는 모드로 조정해도 좋고, 펄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해도 좋다.
탄소패드(20)가 착용자의 배꼽 근처에 위치하면 탄소패드(20)는 복부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놓이게 되고, 옆구리 또는 허리 부분에 있는 신경 구역을 충분히 덮어씌워 복부의 근육 및 핏줄에 자극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패드인 탄소패드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극패드를 추가로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들지 않게 되며,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부의 근육을 자극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등의 근육, 발의 근육, 팔의 근육, 그 밖의 근육처럼 착용자의 다른 근육군을 자극하도록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또한, 펄스 신호의 기타 요소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착용자의 피하(皮下)로 흐르는 전기 신호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신호발생기(28)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적절히 프로그래밍하여 순서와 선택사항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도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상기 벨트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상기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둘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는 도전성 탄소패드로 구성되되, 상기 탄소패드는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의 벽면에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에 금속판이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벨트본체는 자석식 접속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금속판 및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탄소패드가 상기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는, 환형상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을 둘러싸면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한 쌍의 체결편을 갖춘 커버, 및 상기 커버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금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단자는 상기 벨트본체 내에 구비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금속판을 통해 상기 탄소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5.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상기 벨트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상기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둘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본체는 자석식 접속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패드가 자력에 의해 상기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는, 환형상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을 둘러싸면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한 쌍의 체결편을 갖춘 커버, 및 상기 커버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금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단자는 상기 벨트본체 내에 구비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전극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는 상기 벨트본체에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정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관통구멍에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9.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는, 상기 체결편이 상기 벨트본체를 관통한 후 구부려짐으로써 상기 벨트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KR1020100021663A 2010-03-11 2010-03-11 복부강화벨트 KR10115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63A KR101152100B1 (ko) 2010-03-11 2010-03-11 복부강화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63A KR101152100B1 (ko) 2010-03-11 2010-03-11 복부강화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581A KR20110102581A (ko) 2011-09-19
KR101152100B1 true KR101152100B1 (ko) 2012-06-01

Family

ID=4495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663A KR101152100B1 (ko) 2010-03-11 2010-03-11 복부강화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1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567B1 (ko) 2017-11-01 2019-05-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KR20220058298A (ko) 2020-10-30 2022-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섬유 융합 선택적 전기자극 허리 보호대
KR20220127103A (ko) 2021-03-10 2022-09-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균형을 위한 온열벨트
KR20230008491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이지 자극점의 이동이 가능한 수면용 미세전류 무릎 자극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81B1 (ko) * 2014-06-25 2016-10-25 주식회사 엠아이텍 Tens 장치
US20220168561A1 (en) * 2019-04-02 2022-06-02 M20 Co.,Ltd.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KR102293630B1 (ko) * 2019-09-23 2021-08-26 (주)닥터서플라이 치료 및 근육 강화용 혈류 제한 에어커프 및 다방향 전기 자극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333B1 (ko) * 1999-01-11 2006-12-14 비엠알 리서치 앤드 디벨럽먼트 리미티드 전기치료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333B1 (ko) * 1999-01-11 2006-12-14 비엠알 리서치 앤드 디벨럽먼트 리미티드 전기치료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567B1 (ko) 2017-11-01 2019-05-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복부 드로잉-인 벨트
KR20220058298A (ko) 2020-10-30 2022-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섬유 융합 선택적 전기자극 허리 보호대
KR20220127103A (ko) 2021-03-10 2022-09-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균형을 위한 온열벨트
KR20230008491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이지 자극점의 이동이 가능한 수면용 미세전류 무릎 자극기
KR102654987B1 (ko) 2021-07-07 2024-04-04 주식회사 엠이지 미세전류 무릎 자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581A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100B1 (ko) 복부강화벨트
KR101775512B1 (ko) 전기적 자극을 이용한 근육강화 및 다이어트용 건강증진장치
KR101995170B1 (ko) 웨어러블 장치
CN109414369A (zh) 刺激装置
KR101907511B1 (ko) 근육 및 관절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
JP6489367B2 (ja) 電気刺激装置
KR20180015998A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KR100870912B1 (ko) 연하보조용 전기자극장치
TW201944920A (zh) 電性刺激裝置用健身服裝
KR102134959B1 (ko) 호흡리듬을 적용한 복부근육 전기자극 장치 및 전기자극 방법
CN211561017U (zh) 一种用于康复护理的辅助器具
CN219331680U (zh) 脑电头环
KR20200063532A (ko) 저주파 근육자극장치
WO2020037706A1 (zh) 一种足下垂功能性电刺激治疗仪
TW201722390A (zh) 穿戴式電子骨盆帶
JP2023012462A (ja) 電気刺激装置用フィットネスウェア
KR20190008005A (ko) 저주파 자극 운동기기
KR101396310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무릎 경락 전기자극장치
JP2004275750A (ja) 治療用器具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CN109200462B (zh) 一种用于增强运动表现的经颅直流电刺激装置和方法
TW201722391A (zh) 一種核心肌訓練電極衣
KR102319227B1 (ko) 운동보조 벨트
CN219700827U (zh) 一种ems按摩护腰
KR102649216B1 (ko) 고탄성체 아암을 이용한 다기능 전기자극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