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170B1 -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170B1
KR101995170B1 KR1020180056515A KR20180056515A KR101995170B1 KR 101995170 B1 KR101995170 B1 KR 101995170B1 KR 1020180056515 A KR1020180056515 A KR 1020180056515A KR 20180056515 A KR20180056515 A KR 20180056515A KR 101995170 B1 KR101995170 B1 KR 10199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alf
flexible plastic
plastic cov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오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철 filed Critical 오승철
Priority to KR102018005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170B1/ko
Priority to KR1020190075520A priority patent/KR102379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Abstract

본 출원은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제 1 방향을 따라 유선형 구조를 가지면서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내측면에 결합된 연질 패드, 및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일측과 타측 간에 결합된 밴드 부재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는 신체의 종아리 또는 팔뚝의 볼록부를 감싸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WEARABLE APPARATUS}
본 출원은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식생활 변화와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복부나 허리, 허벅지, 팔, 종아리 등에 비만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정보 통신 기기의 발달로 장시간 의자에서 앉아서 일하는 직종 또는 장시간 서서 일하는 직종의 종사자들에게서 발이나 종아리 등에 혈액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혈액 순환 장애에 의한 각종 질병이 많이 발생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하지 불안 증후군(Restless leg syndrome)(또는 하지 정맥류)는 하지의 복재 정맥(saphena)과 그 분지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거나 비틀려서 피부 밖으로 돌출되어 보이는 혈관성 질환으로서,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에게 발생하고, 장시간 서서 일하는 직종의 종사자들에게 흔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하지 불안 증후군은 탄력 붕대를 무릎에서 발까지 적당한 압력으로 감거나 고탄력 스타킹을 착용하는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완화될 수 있지만, 이러한 비수술적인 방법은 남성의 경우, 일상 생활에서 착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탄력 붕대나 고탄력 스타킹은 다리 전체를 압박하게 되므로 착용감이 불편하고, 하지의 혈액 순환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한 쌍의 저주파 패드를 통한 저주파 자극을 이용하여 인체의 국소부위를 자극하여 비만이나 통증 치료를 위한 저주파 자극 기기(또는 웨어러블 장치)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저주파 자극 기기는 한 쌍의 저주파 패드를 사용자가 직접 신체에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사용자가 저주파 자극 기기를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종아리만을 압박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종아리 또는 팔에 저주파 자극을 가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은 사용자의 종아리만을 압박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출원은 사용자의 종아리 또는 팔뚝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제 1 방향을 따라 유선형 구조를 가지면서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내측면에 결합된 연질 패드, 및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일측과 타측 간에 결합된 밴드 부재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는 신체의 종아리 또는 팔뚝의 볼록부를 감싸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종아리만을 압박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하지 불안 증후군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종아리 또는 팔뚝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신체의 종아리 내의 지방을 분해, 신경과 근육을 재생, 혈액의 순환을 촉진,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근육 강화 또는 근육의 피로(또는 뭉침)를 회복시키거나 정맥의 역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하지 불안 증후군을 완화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신체의 종아리에 착용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구동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혈 자극 부재를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사용자 신체의 팔뚝에 착용된 본 출원의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사용자 신체의 종아리에 착용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 연질 패드(130), 및 밴드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신체의 종아리는 일반적으로 무릎 안쪽에서부터 발목까지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에 따라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신체의 종아리를 감싸거나 수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유선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신체의 종아리에 밀착될 수 있으며, 특히 탄성 복원력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를 갖는 종아리에도 밀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신체의 종아리가 삽입되도록 서로 연통(또는 연결)된 전면 개구부(110a)와 상부 개구부(110b) 및 하부 개구부(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신체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유선형 단면 구조를 가지며, 평면적으로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단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제 1 방향(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유선형 구조를 가지면서 제 2 방향(또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합성 수지 재질, 특히 무독성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yeptallat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웨어러블 본체 또는 플렉서블 본체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메인 바디부(111), 상부 돌출 바디부(113), 및 하부 돌출 바디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부(111)는 사용자 신체의 정강이 부분을 제외한 종아리를 감싸도록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부(111)는 사용자 신체의 종아리 중 가장 볼록한 부분을 포함하는 종아리 중간부(또는 종아리의 장딴지근)를 감싸거나 종아리 중간부에 밀착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10)의 밀착감과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일 예에 따른 메인 바디부(111)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 1 폭을 갖는 상측(112)(또는 윗변)과 제 1 폭보다 좁은 제 2 폭을 갖는 하측(114)(또는 아랫변), 제 1 및 제 2 빗변을 포함하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메인 바디부(111)는 웨어러블 장치(1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신체의 종아리에 밀착되어 종아리를 감쌀 수 있도록 신체의 종아리 형태와 대응되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부(111)는 종아리의 가장 볼록한 부분(MCP)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수직 선상(VL)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전면 개구부(110a) 쪽으로 이격되고, 메인 바디부(111)와 가상의 수직 선상(VL) 간의 이격 거리는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으로부터 하측(114)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과 하측(114) 사이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메인 바디부(111)의 수평 단면적은 웨어러블 장치(10)가 신체의 종아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으로부터 하측(114)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메인 바디부(111)는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일 예에 따른 메인 바디부(111)는 사용자 다리의 후면(또는 종아리)을 감싸도록 유선형 구조를 갖는 중간부(111a), 중간부(111a)의 일측벽으로부터 곡선 형태로 연장되어 사용자 다리의 일측을 감싸는 제 1 날개부(111b), 중간부(111a)의 타측벽으로부터 곡선 형태로 연장되어 사용자 다리의 타측을 감싸는 제 2 날개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다리의 일측은 사용자 다리의 외측일 수 있고, 사용자 다리의 타측은 사용자 다리의 내측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그 반대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돌출 바디부(113)는 신체의 종아리 상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으로부터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돌출 바디부(113)는 웨어러블 장치(1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신체의 종아리 상측부에 밀착되어 신체의 종아리 상측부를 감싼다.
일 예에 따른 상부 돌출 바디부(113)는 신체의 무릎 안쪽과 종아리의 가장 볼록한 부분(MCP) 사이를 감싸기 위하여, 상부 정점부(113a)를 가지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상부 돌출 바디부(113)는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수직 선상(VL)으로부터 일정 거리(D)만큼 전면 개구부(110a) 쪽으로 이격된다. 특히,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상부 정점부(113a)는 신체의 무릎 안쪽과 종아리의 가장 볼록한 부분(MCP)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상의 수직 선상(VL)으로부터 일정 거리(D)만큼 전면 개구부(110a) 쪽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상부 돌출 바디부(113)는 신체의 종아리 상측부를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돌출 바디부(113)는 신체의 종아리 중 가장 볼록한 부분(MCP)과 신체의 무릎 안쪽 사이의 종아리 상측부(또는 장딴지근의 상측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단면적은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으로부터 상부 정점부(113a)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즉,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외측벽(113b)은 상부 돌출 바디부(113)가 신체의 종아리 상측부를 원활히 감쌀 수 있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3)의 양 끝단(111d)으로부터 곡선 형태를 가지면서 상부 정점부(113a)로 갈수록 점점 높은 높이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상부 돌출 바디부(113)는 신체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다 볼 경우, 평면적으로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외측벽(113b)은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의 양 끝단(111d)과 상부 정점부(113a) 사이에 제 1 변곡점(IP1)을 갖는 제 1 곡선 형태(CS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곡선 형태(CS1)는 메인 바디부(111)의 상면 양 끝단(111d)과 제 1 변곡점(IP) 사이에 볼록한 곡선 형태(CS1a), 및 제 1 변곡점(IP1)과 상부 정점부(113a) 사이에 오목한 곡선 형태(CS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돌출 바디부(113)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에 접하는 밑변, 상부 정점부(113a)에 위치하는 꼭지점, 밑변과 꼭지점 사이에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 1 및 제 2 빗변을 포함하는 이등변 삼각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제 1 및 제 2 빗변 각각은 상기 제 1 곡선 형태(CS1)를 포함함으로써 상부 돌출 바디부(113)가 신체의 종아리 상측부를 원활히 감쌀 수 있도록 한다.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외측벽(113b)과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 사이는, 신체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신체의 종아리 상측부를 감싸기 위하여, 곡선 구조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수직 방향(Z)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한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외측벽(113b)과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 사이는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유선형 구조와 메인 바디부(111)의 유선형 구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유선형 구조와 메인 바디부(111)의 유선형 구조 각각이 단순히 일정한 곡률 반경의 곡선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메인 바디부(111)의 유선형 구조는 제 1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유선형 구조는 제 1 곡률 반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 2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돌출 바디부(113)는 메인 바디부(111)의 상측(112)으로부터 돌출되고 제 1 변곡점(IP1)을 갖는 제 1 곡선 형태(CS1)의 외측벽(113b)을 포함함으로써 종아리 상측부에 밀착될 수 있으며, 특히 신체의 종아리에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1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웨어러블 장치(10)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일 예에 따른 하부 돌출 바디부(115)는 신체의 종아리 하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으로부터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돌출 바디부(115)는 웨어러블 장치(1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신체의 종아리 하측부에 밀착되어 신체의 종아리 하측부를 감싼다.
일 예에 따른 하부 돌출 바디부(115)는 신체의 종아리 하측부를 감싸기 위하여, 하부 정점부(115a)를 가지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하부 돌출 바디부(115)는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수직 선상(VL)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전면 개구부(110a) 쪽으로 이격된다. 특히, 하부 돌출 바디부(115)의 하부 정점부(115a)는 신체의 발목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가상의 수직 선상(VL)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전면 개구부(110a) 쪽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하부 돌출 바디부(115)는 신체의 종아리 하측부를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돌출 바디부(115)는 신체의 발목에 인접한 종아리의 하측부(또는 종아리의 가자미근)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하부 돌출 바디부(115)의 단면적은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으로부터 하부 정점부(115a)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즉, 하부 돌출 바디부(115)의 외측벽(115a)은 하부 돌출 바디부(115)가 종아리 하측부를 원활히 감쌀 수 있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의 양 끝단(111e)으로부터 하부 정점부(115a)로 갈수록 점점 높은 높이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하부 돌출 바디부(115)는 평면적으로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돌출 바디부(115)의 외측벽(115a)은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의 양 끝단(111e)과 하부 정점부(115a) 사이에 제 2 변곡점(IP2)을 갖는 제 2 곡선 형태(CS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2 곡선 형태(CS2)는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의 양 끝단(111e)과 제 2 변곡점(IP2) 사이에 볼록한 곡선 형태(CS2a), 및 제 2 변곡점(IP2)과 하부 정점부(115a) 사이에 오목한 곡선 형태(CS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돌출 바디부(115)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에 접하는 밑변, 하부 정점부(115a)에 위치하는 꼭지점, 밑변과 꼭지점 사이에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 1 및 제 2 빗변을 포함하는 이등변 삼각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돌출 바디부(153)의 제 1 및 제 2 빗변 각각은 상기 제 2 곡선 형태(CS2)를 포함함으로써 상부 돌출 바디부(113)가 신체의 종아리 하측부를 원활히 감쌀 수 있도록 한다.
하부 돌출 바디부(115)의 외측벽(115b)과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 사이는, 신체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신체의 종아리 하측부를 감싸기 위하여, 곡선 구조 또는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수직 방향(Z)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한 하부 돌출 바디부(115)의 외측벽(115b)과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 사이는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부 돌출 바디부(115)의 유선형 구조는 메인 바디부(111)의 유선형 구조와 다를 수 있으며, 나아가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유선형 구조와도 다를 수 있다.
하부 돌출 바디부(115)의 하부 정점부(115a)는 상부 돌출 바디부(113)의 상부 정점부(113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선상에 위치하거나, 상부 돌출 바디부(113)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선상과 상기 가상의 수신 선상(V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돌출 바디부(115)는 메인 바디부(111)의 하측(114)으로부터 돌출되고 제 2 변곡점(IP2)을 갖는 제 2 곡선 형태(CS2)의 외측벽(115b)을 포함함으로써 종아리 하측부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0)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상기 연질 패드(13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갭 없이 신체의 종아리에 밀착된다. 이러한 연질 패드(130)는 사용자 신체의 종아리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는 무독성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연질 패드(130)는 실리콘, 고무, 또는 라덱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질 패드(130)는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종아리에 밀착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10)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이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연질 패드(13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과 외측벽 및 전면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연질 패드(13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을 덮는 메인 패드부(131), 및 메인 패드부(131)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외측벽과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에지 패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연질 패드(13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과 외측벽 및 전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이중사출 성형에 의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은 연질 패드(130)와 결합되는 요철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물은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연질 패드(130) 간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연질 패드(130)와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로부터 연질 패드(130)의 박리를 방지한다.
일 예에 따른 연질 패드(130)는 디자인적인 미감 향상을 위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같거나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고광택 하이그로시 처리에 따른 하얀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연질 패드(130)는 빨간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밴드 부재(15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일측(또는 제 1 날개부(111b))과 타측(또는 제 2 날개부(111c)) 간에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밴드 부재(150)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신축성에 따라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일측(또는 제 1 날개부(111b))과 타측(또는 제 2 날개부(111c)) 간의 간격을 좁이거나 넓힘으로써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부 직경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연질 패드(130)는 밴드 부재(150)에 따른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일측과 타측 간의 간격 조절에 따라 신체의 종아리를 압박한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제 1 브리지(116a)를 사이에 두고 메인 바디부(111)의 일측 가장자리(또는 제 1 날개부(111b))에 마련된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 및 제 2 브리지(117a)를 사이에 두고 메인 바디부(110)의 타측 가장자리(또는 제 2 날개부(111c))에 마련된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브리지(116a)를 사이에 두고 메인 바디부(111)의 제 1 날개부(111b)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 중 제 1 체결홀(116b)은 제 1 브리지(116a)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 체결홀(116c)은 제 1 브리지(116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 각각은 메인 바디부(1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연질 패드(130)에 의해 덮인다. 제 1 브리지(116a)는 메인 바디부(111)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연질 패드(130)에 의해 덮임으로써 제 1 브리지(116a)와 연질 패드(130) 사이에 에어 갭(AG)이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은 제 2 브리지(117a)를 사이에 두고 메인 바디부(111)의 제 2 날개부(111c)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 중 제 1 체결홀(117b)은 제 2 브리지(117a)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 체결홀(117c)은 제 2 브리지(117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 각각은 메인 바디부(1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연질 패드(130)에 의해 덮인다. 제 2 브리지(117a)는 메인 바디부(111)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연질 패드(130)에 의해 덮임으로써 제 2 브리지(117a)와 연질 패드(130) 사이에 에어 갭이 마련된다.
상기 밴드 부재(150)의 일측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을 통해 제 1 브리지(116a)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밴드 부재(150)의 일측 끝단부는 제 2 체결홀(116b), 제 1 브리지(116a)와 연질 패드(130) 사이의 에어 갭(AG), 및 제 2 체결홀(116c)을 차례로 통과하여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인출된 후, 밴드 부재(150)의 일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됨으로써 제 1 브리지(116a)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밴드 부재(150)의 일측 끝단부는 밴드 부재(150)의 일측 나머지 부분과 메인 바디부(11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상기 밴드 부재(150)의 일측 끝단부는 벨크로 방식에 의해 밴드 부재(150)의 일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밴드 부재(150)의 일측 끝단부는 복수의 갈고리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밴드 부재(150)의 일측 끝단부와 중첩되는 밴드 부재(150)의 일측 나머지 부분은 복수의 갈고리 구조체와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고리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밴드 부재(150)의 일측 끝단부는 실을 이용한 박음질 방식에 의해 밴드 부재(150)의 일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밴드 부재(150)의 일측 끝단부는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홀과 연질 패드(130)를 차례로 관통하여 밴드 부재(150)의 일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상기 밴드 부재(150)의 일측 끝단부는 연질 패드(130)과 신체의 종아리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신체의 피부에 밴드 부재(150)의 자국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연질 패드(130)와 신체의 종아리 간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예에 따른 밴드 부재(150)의 일측 끝단부는 연질 패드(130)를 관통하지 않고,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메인 바디부(111)에 결합되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 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밴드 부재(150)의 타측은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을 통해 제 2 브리지(117a)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밴드 부재(150)의 타측 끝단부는 제 1 체결홀(117b), 제 2 브리지(117a)와 연질 패드(130) 사이의 에어 갭, 및 제 2 체결홀(117c)을 차례로 통과하여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인출된 후, 밴드 부재(150)의 타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됨으로써 제 2 브리지(117a)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밴드 부재(150)의 타측 끝단부는 자기의 타측 나머지 부분과 메인 바디부(11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밴드 부재(150)의 타측 끝단부는 상기 벨크로 방식 또는 상기 박음질 방식에 의해 밴드 부재(150)의 타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밴드 부재(150)의 타측 끝단부는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홀과 연질 패드(130)를 차례로 관통하여 밴드 부재(150)의 타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상기 밴드 부재(150)의 타측 끝단부는 연질 패드(130)과 신체의 종아리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신체의 피부에 밴드 부재(150)의 자국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연질 패드(130)와 신체의 종아리 간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예에 따른 밴드 부재(150)의 타측 끝단부는 연질 패드(130)를 관통하지 않고,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메인 바디부(111)에 결합되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0)는 신체의 종아리에 밀착되어 종아리를 감싸고, 밴드 부재(150)의 신축성에 따라 신체의 종아리를 압박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지 불안 증후군을 완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종아리 만을 압박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상 생활 중에서도 착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밴드 부재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밴드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30)에서, 밴드 부재(15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일측과 타측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밴드(151, 1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예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밴드 부재를 복수의 밴드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은 서로 이격되면서 메인 바디부(111)의 일측과 타측 간에 연결됨으로써 메인 바디부(111)의 일측과 타측 간의 간격을 좁이거나 넓힘으로써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부 직경을 조절한다. 이러한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밴드 부재와 동일한 신축성 재질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예에서,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는 복수의 제 1 밴드 결합부(116) 및 복수의 제 2 밴드 결합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밴드 결합부(116)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일측 가장자리(또는 제 1 날개부(111b))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 1 브리지(116a)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된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을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 중 제 1 체결홀(116b)은 제 1 브리지(116a)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 체결홀(116c)은 제 1 브리지(116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밴드 결합부(117)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타측 가장자리(또는 제 2 날개부(111c))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 2 브리지(117a)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된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을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 중 제 1 체결홀(117b)은 제 2 브리지(117a)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 체결홀(117c)은 제 2 브리지(117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을 통해 제 1 브리지(116a)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 끝단부는 제 1 체결홀(116b), 제 1 브리지(116a)와 연질 패드(130) 사이의 에어 갭(AG), 및 제 2 체결홀(116c)을 차례로 통과하여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인출된 후, 밴드 부재(150)의 일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됨으로써 제 1 브리지(116a)에 고정된다. 여기서,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 끝단부는 전술한 벨크로 방식 또는 전술한 박음질 방식에 의해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타측은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을 통해 제 2 브리지(117a)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타측 끝단부는 제 1 체결홀(117b), 제 2 브리지(117a)와 연질 패드(130) 사이의 에어 갭, 및 제 2 체결홀(117c)을 차례로 통과하여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인출된 후, 밴드 부재(150)의 타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됨으로써 제 2 브리지(117a)에 고정된다. 여기서,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타측 끝단부는 전술한 벨크로 방식 또는 전술한 박음질 방식에 의해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타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3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을 통해 신체의 종아리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서로 다른 압박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 끝단부는 제 2 체결홀(116c), 제 1 브리지(116a)와 연질 패드(130) 사이의 에어 갭(AG), 및 제 1 체결홀(116b)을 차례로 통과하여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인출된 후, 해당하는 밴드 부재(151, 153)의 일측 나머지 부분과 중첩되어 결합됨으로써 제 1 브리지(116a)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 끝단부는 전술한 벨크로 방식에 의해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은 복수의 갈고리 구조체를 갖는 제 1 벨크로와 복수의 갈고리 구조체와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고리 구조체를 갖는 제 2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바디부(111)의 일측과 메인 바디부(111)의 타측 간의 간격은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에 마련된 제 2 벨크로가 제 1 브리지(116a)를 감싸도록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을 통해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인출되어 제 1 벨크로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벨크로와 제 2 벨크로 간의 부착 위치를 조절하여 종아리의 상측부와 하측부 각각의 압박 강도를 원하는 강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밴드 부재의 연결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밴드 부재의 연결 구조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50)에서, 밴드 부재(150)는 벨크로 방식에 의해 플렉서블 사출 바디(110)의 일측과 타측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사출 바디(110)는 복수의 제 1 밴드 결합부(116), 복수의 제 2 밴드 결합부(117), 및 복수의 연결 고리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고리부(118)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일측 가장자리(또는 제 1 날개부(111b))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50)는 제 1 날개부(111b)의 상측에 마련된 제 1 연결 고리부 및 제 1 날개부(111b)의 하측에 마련된 제 2 연결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밴드 결합부(116) 각각은 해당하는 연결 고리부(118)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 1 브리지(116a)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된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을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116b, 116c) 중 제 1 체결홀(116b)은 제 1 브리지(116a)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 체결홀(116c)은 제 1 브리지(116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밴드 결합부(117)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메인 바디부(111)의 타측 가장자리(또는 제 2 날개부(111c))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 2 브리지(117a)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된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을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117b, 117c) 중 제 1 체결홀(117b)은 제 2 브리지(117a)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 체결홀(117c)은 제 2 브리지(117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밴드 부재(150)는 복수의 밴드(151, 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은 제 1 벨크로(155a)를 갖는 중간부(150a), 중간부(150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2 벨크로(155b)를 갖는 일측부(155b), 및 중간부(150a)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해당하는 제 2 밴드 결합부(117)에 고정되는 타측부(15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벨크로(155a)는 복수의 갈고리 구조체를 포함하며, 제 2 벨크로(155b)는 복수의 갈고리 구조체와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고리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중간부(150a)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메인 바디부(111)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부(150b)는 해당하는 제 1 밴드 결합부(116)에 마련된 한 쌍의 밴드 체결홀(116b, 116c)을 통해 제 1 브리지(116a)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에서, 일측부(150b)의 끝단부는 제 2 체결홀(116c), 제 1 브리지(116a)의 하부, 제 1 체결홀(116b)을 차례로 통과하여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인출된 후, 다시 제 1 브리지(116a)의 상부를 지나 해당하는 밴드 부재(151, 153)의 중간부(150a)와 중첩되어 제 1 벨크로(155a)와 제 2 벨크로(155b) 간의 결합에 의해 해당하는 밴드 부재(151, 153)의 중간부(150a)와 결합됨으로써 제 1 브리지(116a)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브리지(116a)의 하부에 배치되는 밴드(151, 153)의 일측부(150b)는 연질 패드(130)의 두께에 의해 신체의 피부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신체의 피부에 밴드 부재(150)의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연질 패드(130)와 신체의 종아리 간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타측부(150c)는 해당하는 제 2 밴드 결합부(117)에 마련된 한 쌍의 밴드 체결홀(117b, 117c)을 통해 제 2 브리지(117a)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에서, 타측부(150c)의 끝단부는 제 1 체결홀(117b), 제 2 브리지(117a)와 연질 패드(130) 사이의 에어 갭, 및 제 2 체결홀(117c)을 차례로 통과하여 메인 바디부(111)의 외부로 인출된 후, 해당하는 밴드(151, 153)의 중간부(150a)의 타측과 결합됨으로써 제 2 브리지(117a)에 고정된다. 여기서,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타측 끝단부는 전술한 벨크로 방식 또는 전술한 박음질 방식에 의해 해당하는 밴드(151, 153)의 중간부(150a)의 타측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메인 바디부(111)의 일측과 메인 바디부(111)의 타측 간의 간격은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부(150b)에 마련된 제 2 벨크로(155b)가 해당하는 밴드(151, 153)의 중간부(150a)에 마련된 제 1 벨크로(155a)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벨크로(155a)와 제 2 벨크로(155b) 간의 부착 위치를 조절하여 종아리의 상측부와 하측부 각각의 압박 강도를 원하는 강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부(150b)를 해당하는 제 1 밴드 결합부(116)에 마련된 한 쌍의 밴드 체결홀(116b, 116c)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방법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50)를 자신의 종아리에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3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착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에 정강이 보호대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강이 보호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70)에서, 정강이 보호대(17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전면 개구부에 배치되어 신체의 정강이를 감싼다.
일 예에 따른 정강이 보호대(170)는 정강이 커버(171) 및 정강이 보호 패드(173)을 포함한다.
상기 정강이 커버(171)는 신체의 정강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전면 개구부에 배치되어 신체의 정강이를 감싼다. 정강이 커버(171)는 합성 수지 재질, 특히 무독성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yeptallat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거나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강이 커버(171)는 신체의 정강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정강이 보호 패드(173)는 정강이 커버(171)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신체의 정강이에 밀착된다. 정강이 보호 패드(173)는 사용자 신체의 종아리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는 무독성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정강이 보호 패드(173)는 실리콘, 고무, 또는 라덱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질 패드(130)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패드(130)는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신체의 정강이에 밀착됨으로써 정강이 커버(171)에 가해된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신체의 정강이를 보호하며, 웨어러블 장치(10)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이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70)에서, 밴드 부재(15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정강이 보호대(170) 간에 연결됨으로써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정강이 보호대(170)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때,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에 결합된 연질 패드(130)는 밴드 부재(150)에 의한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일측과 타측 간의 간격에 따라 신체의 종아리를 압박한다. 그리고, 정강이 보호대(170)의 정강이 보호 패드(173)는 밴드 부재(150)에 의한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정강이 커버(171) 간의 간격에 따라 신체의 정강이에 밀착된다.
본 예에 따른 밴드 부재(15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밴드 부재(150-1)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밴드 부재(1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밴드 부재(150-1)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일측과 정강이 커버(171)의 일측 간에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밴드 부재(150-1)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신축성에 따라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일측(또는 제 1 날개부(111b))과 정강이 커버(171)의 일측 간의 간격을 좁이거나 넓힌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밴딩 부재(150)의 결합 구조(또는 연결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밴드 부재(150-1)의 일측과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일측 간의 결합 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밴드 부재(150-1)의 타측과 정강이 커버(171)의 일측 간의 결합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밴드 부재(150-2)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타측과 정강이 커버(171)의 타측 간에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밴드 부재(150-2)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신축성에 따라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타측(또는 제 2 날개부(111c))과 정강이 커버(171)의 타측 간의 간격을 좁이거나 넓힌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밴딩 부재(150)의 결합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밴드 부재(150-2)의 일측과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타측 간의 결합 구조 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밴드 부재(150-2)의 타측과 정강이 커버(171)의 타측 간의 결합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70)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 30, 5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정강이 보호대(170)를 통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신체의 정강이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 따른 정강이 보호대(17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일측(또는 제 1 날개부(111b)) 또는 타측(또는 제 2 날개부(111c))과 일체(또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강이 보호대(170)는 신체의 정강이를 덮도록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타측으로부터 "┫"자 형태로 연장(또는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 2 밴드 부재(150-2)는 생략된다.
도 1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 분해 사시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 30, 50, 70)에 전기 자극 모듈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기 자극 모듈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에서, 전기 자극 모듈(190)은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에 수납되어 신체의 종아리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한다.
상기 전기적인 자극은 저주파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은 지방세포와 지방세포내의 지질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저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지방세포와 지질을 분해하여 제거하거나 피부 세포와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시켜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피로 회복을 덜어주는 마사지 기능과 혈액의 순환을 촉진하거나 근육을 강화시켜 건강을 증진시킨다.
상기 전기 자극 모듈(190)은 한 쌍의 전극 패드(191), 회로 수납부(193), 구동 회로부(195), 배터리(197), 및 회로 커버(199)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연질 패드(130)에 설치되어 신체의 종아리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한다. 이때,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종아리의 상하측과 접촉되도록 연질 패드(130)에 설치되어 종아리의 내측 비복근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 및 도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는 평면적으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다각형을 제외한 비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는 신체의 종아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 재질을 포함한다. 이때,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는 신체의 종아리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는 무독성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 따른 도전 부재는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를 둘러싸는 도전층일 수 있다. 도전층은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의 상면과 측면 및 하면 모두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전층은 수분 등에 부식되지 않으면서,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어, 은(Ag) 또는 금(Au) 등의 단일 재질 또는 합금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층의 전면(前面)(또는 노출면)은 신체의 종아리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도전 부재는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의 내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전 부재는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에 함유된 도전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전 부재는 플렉서블 베이스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 부재의 도전층은 단일층 또는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카본 입자 등과 같은 도전 입자를 함유하는 실리콘, 즉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실리콘 패드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신체의 종아리 형상과 밴드 부재(150)의 간격 조절에 따른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휘어짐에 따라 신체의 종아리 피부에 밀착됨으로써 별도의 전기 전달 부재(또는 젤) 없이, 신체의 종아리 피부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신체의 종아리 형상에 따라 휘어지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연질 패드(130)에 의해 신체의 종아리 피부에 갭 없이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기 전달 부재(또는 젤) 없이도 신체의 종아리에 전기적인 자극을 안정적으로 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별도의 전기 전달 부재(또는 젤) 없이, 신체의 종아리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연질 패드(13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연질 패드(130)는 한 쌍의 전극 패드(191) 각각을 수납하는 한 쌍의 전극 수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한 쌍의 전극 수납부(135) 각각은 연질 패드(130)의 메인 패드부(131)로부터 전면 개구부 쪽으로 돌출된 패드 지지부(135a), 및 패드 지지부(135a)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부로부터 전극 패드(191)의 두께만큼 오목하게 마련된 패드 지지홈(13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전극 패드(191) 각각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해당하는 전극 수납부(135)의 패드 지지홈(135b)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전극 패드(191) 각각의 측면은 패드 지지부(135a)의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191) 중 어느 하나는 제 1 저주파 자극 신호를 공급받으며, 한 쌍의 전극 패드(191) 중 나머지 하나는 제 1 저주파 자극 신호와 같거나 다른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제 1 및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에 따른 저주파 자극을 신체의 종아리에 가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저주파 자극 신호에 따라 저주파 자극(또는 미세 전류)를 신체의 종아리에 가함으로써 신체의 종아리 내의 세포에 흐르는 생체 전기를 이용하여 신체의 종아리 내의 지방을 분해, 신경과 근육(또는 장딴지근)을 재생, 혈액의 순환을 촉진,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근육 강화 또는 근육의 피로(또는 뭉침)를 회복시키거나 정맥의 역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하지 불안 증후군을 완화시킨다.
일반적으로, 미세 전류는 1000㎂ 미만의 전류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미세전류를 이용한 전기적 자극을 미세 전류 자극 기법(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 MENS)이라고 한다. MENS는 인체 내의 세포에 흐르는 생체 전기를 이용하여 신경, 근육, 조직의 손상을 복구시키거나 회복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세 전류 자극에 사용되는 전기는 감각 수준 이하의 낮은 전류이므로, 신체 자체의 생리적 전류의 범위이기 때문에 감각적으로 편안하게 느껴지며 전기적인 안정성이 탁월한 장점이 있다.
상기 회로 수납부(193)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로부터 오목하게 마련됨으로써 구동 회로 기판(195)과 배터리(197)를 수납한다. 예를 들어, 회로 수납부(193)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하부 돌출 바디부(115)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가지도록 오목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195)는 회로 수납부(193)에 수납되어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저주파 자극 신호를 공급한다. 구동 회로 기판(195)은 이중사출 성형에 의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연질 패드(130)이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된 이후, 최종 조립 공정시 회로 수납부(193)에 수납될 수 있다. 만약, 구동 회로부(195)가 회로 수납부(193)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이중사출 성형을 진행할 경우, 구동 회로부(195)를 구성하는 각종 회로 부품들이 성형물의 온도 또는 공정 온도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회로부(195)는 이중사출 성형 공정 이후 최종 조립 공정시 회로 수납부(193)에 수납된다.
상기 구동 회로부(195)는 한 쌍의 신호 케이블과 한 쌍의 커넥터 단자(191a)를 통해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신호 케이블은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와 연질 패드(130)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 회로부(195)와 커넥터 단자(191a)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는 케이블 수납부(119a) 및 단자 수납부(11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납부(119a)는 회로 수납부(193)와 연통되도록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신호 케이블을 수납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 수납부(119a)는 연질 패드(130)에 마련된 한 쌍의 전극 수납부(135)를 교차하도록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나란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수납부(119b)는 케이블 수납부(119a)에 연통되어 한 쌍의 커넥터 단자(191a)를 수납한다. 예를 들어, 단자 수납부(119b)는 제 1 및 제 2 단자 수납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자 수납 측벽은 한 쌍의 전극 수납부(135) 중 제 1 전극 수납부와 중첩되는 케이블 수납부(119a)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한 쌍의 커넥터 단자(191a) 중 제 1 커넥터 단자를 수납한다. 예를 들어, 제 1 단자 수납 측벽은 케이블 수납부(119a)의 일측 끝단과 연통되어 제 1 전극 수납부의 중심부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자 수납 측벽은 한 쌍의 전극 수납부(135) 중 제 2 전극 수납부와 중첩되는 케이블 수납부(119a)의 타측에 연통되도록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한 쌍의 커넥터 단자(191a) 중 제 2 커넥터 단자를 수납한다. 예를 들어, 제 2 단자 수납 측벽은 제 1 단자 수납 측벽과 회로 수납부(193) 사이에 마련된 케이블 수납부(119a)의 영역 중 제 2 전극 수납부의 중심부와 중첩되는 영역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커넥터 단자(191a)는 단자 수납부(119b)에 수납되어 케이블 수납부(119a)에 배치된 한 쌍의 케이블 중 해당하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커넥터 단자(191a)는 해당하는 단자 수납부(119b)에 수납된 상태에서, 연질 패드(130)를 관통하여 한 쌍의 전극 패드(191) 중 해당하는 전극 패드(1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 회로부(195)로부터 출력되는 자극 신호는 해당하는 케이블과 커넥터 단자를 통해 해당하는 전극 패드(191)에 공급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전극 패드(191)는 해당하는 커넥터 단자(191a)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삽입되는 단자 삽입구(191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극 패드(191)는 커넥터 단자(191a)와 단자 삽입구(191b) 간의 측면 접촉 방식에 따라 커넥터 단자(19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자 삽입구(191b)는 커넥터 단자(191a)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커넥터 단자(191a)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 접촉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극 패드(191)와 커넥터 단자(191a) 간의 전기적인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 단자(191a)로부터의 자극 신호가 보다 안정적으로 전극 패드(191)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에서, 연질 패드(130)는 회로 수납부(193)를 수납하는 제 1 수납홈(137a), 케이블 수납부(119a)를 수납하는 제 2 수납홈(137b), 및 단자 수납부(119b)가 삽입되는 제 3 수납홈(137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질 패드(130)는 제 1 내지 제 3 수납홈(137a, 137b, 137c)을 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 경우 회로 수납부(193)와 케이블 수납부(119a) 및 단자 수납부(119b) 각각의 높이로 인하여 연질 패드(130)와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 사이에 공간이 발생됨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90)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질 패드(130)는 웨어러블 장치(90)의 슬림화를 위해, 회로 수납부(193)와 케이블 수납부(119a) 및 단자 수납부(119b) 각각을 수납하는 제 1 내지 제 3 수납홈(137a, 137b, 137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에서, 연질 패드(130)는 상측 돌출부(138) 및 좌우측 돌출부(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돌출부(138)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상부 돌출 바디부(113)와 중첩되는 연질 패드(130)의 상측으로부터 전면 개구부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돌출부(139)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의 제 1 날개부(111b)와 제 2 날개부(111c) 각각과 중첩되는 연질 패드(130)의 좌우측 각각으로부터 전면 개구부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측 돌출부(138)와 좌우측 돌출부(139) 각각은 한 쌍의 전극 수납부(135) 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연질 패드(130)와 신체의 종아리 간의 접촉 면적으로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에 대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이질감을 완화시킨다. 특히, 상측 돌출부(138)는 신체의 종아리에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좌우측 돌출부(139) 각각은 신체의 종아리의 좌우측 부분을 종아리 중간 부분 쪽으로 압박(또는 좌우 압박)함으로써 종아리 근육을 종아리의 중간 쪽으로 모아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좌우측 돌출부(139) 각각은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에 연결되는 복수의 밴드(151, 153) 각각의 일측부과 타측부 각각이 사용자의 종아리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터리(197)는 회로 수납부(193)에 수납되고, 충전되어 있는 구동 전원을 구동 회로부(195)에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197)는 이온 배터리의 뛰어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폭발 위험이 있는 액체 전해질 대신 화학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폴리머(고체 또는 젤 형태의 고분자 중합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충전식 리튬 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는 배터리(197)의 교체를 통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로 커버(199)는 회로 수납부(193)의 개구부를 덮도록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회로 커버(199)는 동작 제어 버튼 삽입구(199a), 강도 증가 버튼 삽입구(199b), 강도 감소 버튼 삽입구(199c), 충전 커넥터 삽입구(199c), 및 복수의 체결 돌기(199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 돌기(199e) 각각은 회로 커버(199)의 각 모서리 부분의 내부면으로부터 회로 수납부(193)의 바닥면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회로 커버(199)는 연질 패드(130)와 회로 수납부(193)의 바닥면을 차례로 관통하여 복수의 체결 돌기(199e) 각각에 체결되는 복수의 스크류에 의해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에 고정됨으로써 회로 수납부(193)에 수납된 구동 회로부(195)와 배터리(197)를 덮는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는 신체의 종아리 피부에 밀착된 한 쌍의 전극 패드(191)를 통해 저주파 자극 신호에 따라 저주파 자극(또는 미세 전류)를 신체의 종아리에 가함으로써 신체의 종아리 내의 세포에 흐르는 생체 전기를 통해 신체의 종아리 내의 지방을 분해, 신경과 근육(또는 장딴지근)을 재생, 혈액의 순환을 촉진,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근육 강화 또는 근육의 피로(또는 뭉침)를 회복시키거나 정맥의 역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하지 불안 증후군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구동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구동 회로부(195)는 인쇄 회로 기판(195a), 스위치 회로부(195b), 제어 회로부(195c), 패드 구동 회로부(195d), 충전 커넥터 포트(195e), 및 전원 관리 회로부(195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195a)은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110)에 마련된 회로 수납부(193)에 수납된다.
상기 스위치 회로부(195b)는 인쇄 회로 기판(195a)에 실장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동작 제어 신호와 강도 조절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에 따른 스위치 회로부(195b)는 동작 제어 버튼(B1), 강도 증가 버튼(B2), 및 강도 감소 버튼(B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 버튼(B1)은 회로 커버(199)에 마련된 동작 제어 버튼 삽입구(199a)에 삽입되어 회로 커버(199)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동작 제어 버튼(B1)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전원 온 신호를 제어 회로부(195c)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제어 버튼(B1)은 전원 온/오프 버튼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강도 증가 버튼(B2)은 회로 커버(199)에 마련된 강도 증가 버튼 삽입구(199b)에 삽입되어 회로 커버(199)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강도 증가 버튼(B2)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강도 증가 신호를 제어 회로부(195c)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강도 감소 버튼(B3)은 회로 커버(199)에 마련된 강도 감소 버튼 삽입구(199c)에 삽입되어 회로 커버(199)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강도 감소 버튼(B3)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강도 감소 신호를 제어 회로부(195c)로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로 커버(199)는 모드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모스 선택 버튼은 후술되는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195c)는 웨어러블 장치(9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에 따른 제어 회로부(195c)는 스위치 회로부(195b)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패드 구동 회로부(195d)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일 예에 따른 제어 회로부(195c)는 동작 제어 버튼(B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온 신호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장치(90)를 기준 모드, 마사지 모드, 근육 강화 모드, 및 근육 이완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모드 신호를 생성해 패드 구동 회로부(195d)에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제어 회로부(195c)는 동작 제어 버튼(B1)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공급되면, 전원 온 신호의 공급 시간 또는 공급 횟수와 무관하게 기준 모드에 따른 기준 모드 신호(또는 제 1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제어 회로부(195c)는 동작 제어 버튼(B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온 신호의 공급 시간 또는 공급 횟수에 기초하여 기준 모드, 마사지 모드, 근육 강화 모드, 및 근육 이완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195c)는 전원 온 신호의 공급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 이하이거나 전원 온 신호가 기준 시간 내에 1회 공급될 경우, 기준 모드 신호(또는 제 1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95c)는 전원 온 신호의 공급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과 제 2 기준 시간 사이이거나 전원 온 신호가 기준 시간 내에 2회 공급될 경우, 마사지 모드 신호(또는 제 2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95c)는 전원 온 신호의 공급 시간이 제 2 기준 시간과 제 3 기준 시간 사이이거나 전원 온 신호가 기준 시간 내에 3회 공급될 경우, 근육 강화 모드 신호(또는 제 3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95c)는 전원 온 신호의 공급 시간이 제 3 기준 시간과 제 4 기준 시간 사이이거나 전원 온 신호가 기준 시간 내에 4회 공급될 경우, 근육 이완 모드 신호(또는 제 4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195c)는 강도 증가 버튼(B2)으로부터 공급되는 강도 증가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동작중인 모드의 전기적 자극 강도(또는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강도 감소 버튼(B3)으로부터 공급되는 강도 감소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동작중인 모드의 전기적 자극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강도 조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195c)는 미리 설정된 전체 동작 시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체 동작 시간 동안에만 패드 구동 회로부(195d)를 구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 회로부(195c)는 전체 동작 시간의 종료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195c)는 동작 제어 버튼(B1) 주변에 배치된 광원을 점멸시켜 전체 동작 시간의 종료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인쇄 회로 기판(195a)에 설치된 음성 출력 회로를 이용해 전체 동작 시간의 종료 시간에 대한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회로부(195c)는 회로 커버(199)에 추가로 마련된 모드 선택 버튼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전술한 동작 모드에 따른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패드 구동 회로부(195d)는 제어 회로부(195c)로부터 공급되는 모드 신호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를 생성하여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패드 구동 회로부(195d)는 미리 설정된 전체 동작 시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체 동작 시간 동안 제 1 및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를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패드 구동 회로부(195d)는 전체 동작 시간 동안 제어 회로부(195c)로부터 강도 조절 신호가 공급될 경우, 강도 조절 신호에 따라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공급되고 있는 제 1 및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의 강도(또는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는 사인파, 전파 사인파, 반파 사인파, 감쇠(Damped) 사인파, 삼각파, 사각파, 직각파, 스텝파, 및 펄스파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패드 구동 회로부(195d)는 제어 회로부(195c)로부터 기준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모드에 따른 제 1 및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를 생성하여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공급한다. 상기 기준 모드에 따른 제 1 및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는 마사지 모드의 주파수를 갖는 제 1 기간과 근육 강화 모드의 주파수를 갖는 제 2 기간 및 근육 이완 모드의 주파수를 갖는 제 3 기간이 미리 설정된 전체 동작 시간 내에서 순환 반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사지 모드의 주파수는 20Hz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고, 근육 강화 모드의 주파수는 20Hz~60Hz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근육 이완 모드의 주파수는 100Hz ~200Hz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패드 구동 회로부(195d)는 제어 회로부(195c)로부터 공급되는 기준 모드 신호, 마사지 모드 신호, 근육 강화 모드 신호, 및 근육 이완 모드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를 생성하여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커넥터 포트(195e)는 인쇄 회로 기판(195a)에 실장되어 회로 커버(199)에 마련된 충전 커넥터 삽입구(199c)에 삽입되어 회로 커버(199)의 외부로 노출된다. 충전 커넥터 포트(195e)는 마이크로 USB(universal serial bus)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 포트(195e)는 4핀 타입 또는 5핀 타입의 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5핀 이상의 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핀 구조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USB의 충전 커넥터 포트(195e)는 A 타입 또는 B 타입의 4핀 구조를 가지거나, MINI-A 타입, MINI-B 타입, Micro-A 타입, Micro-B 타입, 또는 Micro-C 타입의 5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 회로부(195f)는 웨어러블 장치(90)의 전력을 관리하고, 충전 커넥터 포트(195e)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97)를 충전시킨다. 또한, 전원 관리 회로부(195f)는 배터리(197)의 잔량 정보를 측정하여 제어 회로부(195c)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원 관리 회로부(195f)는 전원 관리 집적 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집적회로(charger integrated circuit), 및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 집적 회로는 충전 커넥터 포트(195e)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배터리(197)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90)의 각 구성 회로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충전 집적 회로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배터리(197)의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관리 집적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197)를 충전시킨다. 선택적으로, 충전 집적 회로는 충전 커넥터 포트(195e)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97)를 직접 충전시킬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배터리(197)의 잔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잔량 정보를 제어 회로부(195c)에 제공한다. 나아가, 배터리 게이지는 충전 중인 배터리(197)의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배터리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제어 회로부(195c)에 제공한다. 제어 회로부(195c)는 배터리 게이지로부터 제공되는 배터리 잔량 정보를 동작 제어 버튼(B1) 주변에 배치된 광원을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인쇄 회로 기판(195a)에 설치된 음성 출력 회로를 통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서, 배터리(197)가 착탈식 구조를 가질 경우, 전술한 충전 커넥터 포트(195e), 충전 집적 회로, 및 충전 커넥터 삽입구(199c)는 모두 생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예에 따른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는 구동 회로부(195)의 인쇄 회로 기판(195a)에 실장된 통신 회로부(195g)와 메모리(195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부(195g)는 무선 통신을 통해 호스트 기기와 연결되고, 제어 회로부(195c)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 정보를 호스트 기기에 전송하고, 호스트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 정보 및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회로부(195c)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 회로부(195c)는 통신 회로부(195g)를 통해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패드 구동 회로부(195d)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통신 회로부(195g)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통신 회로부(195g)는 NFC 집적 회로, 블루투스 집적 회로, 와이-파이 집적 회로, 및 무선 통신 집적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제어 회로부(195c)의 제어에 따라 NFC 방식의 무선 통신을 통해 호스트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블루투스 집적 회로는 제어 회로부(195c)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통신을 통해 호스트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와이-파이 집적 회로는 제어 회로부(195c)의 제어에 따라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 통신을 통해 호스트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통신 집적 회로는 제어 회로부(195c)의 제어에 따라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또는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중 어느 한 방식의 무선 통신을 통해 호스트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메모리(195h)는 웨어러블 장치(90)에서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95h)에는 웨어러블 장치(90)의 동작 이력 정보, 모드 정보, 모드별 주파수 정보, 모드별 파형 정보, 배터리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95h)는 제어 회로부(195c)의 내장될 수도 있다.
한편, 호스트 기기는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의 원격 제어(무선 제어)를 위한 웨어러블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 넷북, 태블릿, 또는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기 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기기는 웨어러블 장치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90)로부터 제공되는 동작 이력 정보, 모드 정보, 모드별 주파수 정보, 모드별 파형 정보, 및 배터리 정보 등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웨어러블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90)의 동작을 위한 동작 모드, 동작 시간, 모드별 파형 등을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 정보와 배터리 잔량 및 웨어러블 장치(90)의 총 동작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예에 따른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는 구동 회로부(195)의 인쇄 회로 기판(195a)에 실장된 움직임 센서(195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센서(195i)는 사용자에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90)의 움직임 속도 정보를 산출하여 제어 회로부(195c)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회로부(195c)는 움직임 센서(195i)로부터 제공되는 움직임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모드 신호를 생성해 패드 구동 회로부(195d)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움직임 센서(195i)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으며, 움직임 속도 정보는 가속도 정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어 회로부(195c)는 움직임 센서(195i)로부터의 움직임 속도 정보를 누적하여 신체의 종아리 근육에 대한 근육 피로도를 예측하고, 근육 피로도가 설정된 기준 피로도 이상일 경우, 뭉친 종아리 근육을 빠른 시간 내에 이완시키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웨어러블 장치(90)를 마사지 모드 또는 근육 이완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 회로부(195c)는 움직임 센서(195i)로부터 실시간으로 공급되는 움직임 속도 정보가 기준 값 정보 이하에만, 웨어러블 장치(90)의 패드 구동 회로부(195d)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90)를 착용한 상태에서 축구 또는 농구 등과 같은 스포츠 경기 또는 달리기 운동을 할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종아리 근육이 이완과 수축하게 되는데, 이때 웨어러블 장치(90)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종아리 근육에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이 종아리 근육의 운동을 방해하여 근육 경련 등의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예에 따른 제어 회로부(195c)는 전기적 자극이 종아리 근육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종아리 근육의 피로를 빠른 시간 내에 풀어주거나 회복시키기 위하여, 움직임 센서(195i)로부터 공급되는 실시간 움직임 속도 정보가 기준 값 정보 이하일 경우에만 웨어러블 장치(90)를 마사지 모드 또는 근육 이완 모드로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90)를 착용한 상태에서 축구 또는 농구 등과 같은 스포츠 경기를 수행할 경우, 구동 회로부(195)는 사용자가 천천히 걷을 경우에만 웨어러블 장치(90)를 마사지 모드 또는 근육 이완 모드로 동작시켜 사용자의 종아리 근육의 피로를 빠른 시간 내에 풀어주거나 회복시킴으로써 스포츠 경기 중 착용자의 종아리 근육에서 발생되는 급성 근육경련(또는 근육경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혈 자극 부재를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이는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에 혈 자극 부재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혈 자극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는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배치된 혈 자극 부재(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혈 자극 부재(200)는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배치되어 신체의 종아리에 위치한 승근혈과 승산혈을 자극(또는 지압)한다. 일반적으로, 승근혈과 승산혈을 자극하거나 지압을 하면, 허리 통증이 완화되고 혈액 순환이 촉진되며 면역력이 증가하고, 종아리가 날씬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예에 따른 혈 자극 부재(200)는 자극 돔(210), 돔 지지판(230), 및 체결 나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 돔(210)은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마련된 단자 삽입구(191b)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전극 패드(191)의 전면(또는 종아리 접촉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H)로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자극 돔(210)은 단자 삽입구(191b)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자극 돔(210)은 음 이온을 방출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극 돔(210)은 게르마늄, 티타늄, 텅스텐, 맥반석, 이산화티타늄, 은, 토르말린, 제오라이트, 장석, 사문석, 및 규석 등의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2이상의 혼합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극 돔(210)은 신체의 종아리에 위치한 승근혈과 승산혈을 자극(또는 지압)하면서 종아리 피부에 음이온을 침투시킴으로써 피부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 혈액 순환 및/또는 기혈순환을 촉진, 체내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 또는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종아리 근육의 급성 근육경련(또는 근육경직)을 예방하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돔 지지판(230)은 삼각 이상의 다각 형태를 갖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자극 돔(210)을 지지한다. 이때, 돔 지지판(230)은 단자 삽입구(191b)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돔 지지판(230)은 다각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나사부(250)는 돔 지지판(230)의 후면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해당하는 커넥터 단자(191a)에 체결된다. 체결 나사부(250)의 외주면은 수나사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 단자(191a)는 체결 나사부(250)와 체결되는 암나사산(191c)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191)의 전면(또는 종아리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자극 돔(210)의 돌출 높이(H)는 돔 지지판(230)의 회전에 따른 커넥터 단자(191a)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극 돔(210)의 돌출 높이(H)에 따른 자극 강도를 자신이 원하는 강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도 14 내지 도 20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에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의 전기 자극 모듈(190)은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는 종아리의 좌우측과 접촉되도록 연질 패드(130)에 설치되어 종아리의 외측 비복근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는 한 쌍의 전극 패드(191)과 동일한 구조로 제작되어 연질 패드(130)의 좌우측 돌출부(139)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좌우측 돌출부(139)는 전극 수납부(135)와 동일하게, 연질 패드(130)의 메인 패드부(131)로부터 전면 개구부 쪽으로 돌출된 보조 패드 지지부, 및 보조 패드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부로부터 보조 전극 패드(192)의 두께만큼 오목하게 마련된 보조 패드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 각각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좌우측 돌출부(139)의 보조 패드 지지홈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 각각의 측면은 보조 패드 지지부의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기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 중 어느 하나는 전술한 구동 회로부(195)로부터 제 3 저주파 자극 신호를 공급받으며,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 중 나머지 하나는 구동 회로부(195)로부터 제 3 저주파 자극 신호와 같거나 다른 제 4 저주파 자극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는 제 3 및 제 4 저주파 자극 신호에 따른 저주파 자극을 신체의 종아리에 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저주파 자극 신호는 한 쌍의 전극 패드(191) 중 어느 하나는 제 1 저주파 자극 신호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제 4 저주파 자극 신호는 한 쌍의 전극 패드(191) 중 나머지 하나는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는 한 쌍의 전극 패드(191)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 회로부(1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는 저주파 자극 신호에 따라 저주파 자극(또는 미세 전류)를 신체의 종아리에 가함으로써 신체의 종아리 내의 세포에 흐르는 생체 전기를 이용하여 신체의 종아리 내의 지방을 분해, 신경과 근육(또는 장딴지근)을 재생, 혈액의 순환을 촉진,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근육 강화 또는 근육의 피로(또는 뭉침)를 회복시키거나 정맥의 역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하지 불안 증후군을 완화시킨다.
한편, 저주파 자극 신호에 따른 종아리 근육은 저주파 자극 신호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수축과 이완(또는 진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자극 신호의 진행 방향이 종파일 경우, 종아리 근육은 전후(또는 앞뒤)로 진동할 수 있고, 저주파 자극 신호의 진행 방향이 횡파일 경우, 종아리 근육은 좌우로 진동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신체의 종아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전극 패드(191)은 종아리의 뒤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후 전극 패드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는 종아리의 좌우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좌우 전극 패드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종아리 근육은 한 쌍의 전극 패드(191)에 인가되는 제 1 및 제 2 저주파 자극 신호에 따라 전후로 진동하고,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에 인가되는 제 3 및 제 4 저주파 자극 신호에 따라 좌우로 진동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에서, 구동 회로부(195)는 한 쌍의 전극 패드(191)와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종아리 근육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회로부(195)는 한 쌍의 전극 패드(191)를 구동하여 종아리의 내측 비복근을 진동시킬 수 있고,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를 구동하여 상기 종아리의 외측 비복근을 진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 회로부(195)는 마사지 모드 또는 근육 이완 모드시 지방세포와 지질을 분해하여 제거하거나 피부 세포와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시켜 종아리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피로 회복을 덜어주기 위하여, 한 쌍의 전극 패드(191)과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를 모두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 회로부(195)는 근육 강화 모드시 한 쌍의 전극 패드(191)만을 구동하여 종아리 근육을 전후로 진동시키거나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192)만을 구동하여 종아리 근육을 좌우로 진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 내지 도 21에 도시된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9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신체의 종아리가 아닌 팔뚝에 착용되고, 신체의 팔뚝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팔뚝 내의 세포에 흐르는 생체 전기를 이용하여 팔뚝 내의 지방을 분해, 신경과 근육을 재생, 혈액의 순환을 촉진,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근육 강화 또는 근육의 피로(또는 뭉침)를 회복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 플렉서블 커버(110)의 형상은 팔뚝에 밀착될 수 있는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예에 따른 플라스틱 플렉서블 커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출원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종아리에 밀착 가능하면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플렉서블 형태(형상)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종아리를 압박함으로써 사용자의 종아리에서 발생되는 정맥의 역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하지 불안 증후군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기준 모드, 마사지 모드, 근육 강화 모드, 및 근육 이완 모드 등과 같은 구동 모드에 따른 전기적 자극을 통해 사용자의 종아리 또는 팔뚝 내의 지방을 분해하여 다이어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 모드에 따라 신경과 근육을 재생, 혈액의 순환을 촉진,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근육 강화 또는 근육의 피로(또는 뭉침)를 회복시키거나 정맥의 역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하지 불안 증후군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 130: 연질 패드
150: 밴드 부재 170: 정강이 보호대
190: 전기 자극 모듈 191: 한 쌍의 전극 패드
192: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 193: 회로 수납부
195: 구동 회로부 197: 배터리
199: 회로 커버 200: 혈 자극 부재

Claims (17)

  1. 제 1 방향을 따라 유선형 구조를 가지면서 신체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내측면을 덮는 연질 재질의 연질 패드;
    상기 연질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신체의 종아리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전기 자극 모듈; 및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일측과 타측 간에 결합된 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자극 모듈은,
    상기 연질 패드에 배치되어 상기 종아리의 상하측 부분과 접촉되고 도전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극 패드;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한 쌍의 커넥터 단자;
    상기 한 쌍의 커넥터 단자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와 연결된 구동 회로부; 및
    상기 구동 회로부와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연질 패드는,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내측면을 덮는 메인 패드부;
    상기 메인 패드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지지부; 및
    상기 메인 패드부의 좌우측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종아리의 좌우측 부분을 압박하는 좌우측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는,
    상기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갖는 메인 바디부;
    상부 정점부를 가지도록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돌출된 상부 돌출 바디부; 및
    하부 정점부를 가지도록 상기 메인 바디부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된 하부 돌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부의 단면적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상기 상부 돌출 바디부의 단면적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상부 정점부로 갈수록 감소하고,
    상기 하부 돌출 바디부의 단면적은 상기 메인 바디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정점부로 갈수록 감소하고,
    상기 상부 돌출 바디부의 외측벽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측 양 끝단과 상기 상부 정점부 사이에 제 1 변곡점을 갖는 제 1 곡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 돌출 바디부의 외측벽은 상기 메인 바디부의 하측 양 끝단과 상기 하부 정점부 사이에 제 2 변곡점을 갖는 제 2 곡선 형태를 갖는, 웨어러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패드는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와 일체화되고,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외측벽 및 전면 가장자리를 추가로 덮는, 웨어러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는,
    제 1 브리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바디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 및
    제 2 브리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바디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 부재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밴드 부재의 일측은 상기 한 쌍의 제 1 밴드 체결홀을 통해 상기 제 1 브리지에 연결되고,
    상기 밴드 부재의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제 2 밴드 체결홀을 통해 상기 제 2 브리지에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 모듈은,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 회로부와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회로 수납부; 및
    상기 회로 수납부를 덮는 회로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회로 커버에 노출된 동작 제어 버튼과 강도 증가 버튼 및 강도 감소 버튼을 갖는 스위칭 회로부;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신호 케이블;
    상기 한 쌍의 신호 케이블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에 저주파 자극 신호를 공급하는 패드 구동 회로부; 및
    상기 스위칭 회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패드 구동 회로부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신체의 종아리의 움직임 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움직임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패드 구동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장치.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웨어러블 장치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호스트 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통신 회로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패드 구동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 모듈은 상기 한 쌍의 커넥터 단자에 설치된 혈 자극 부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5. 삭제
  16. 제 8 항, 제 11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 모듈은 상기 종아리의 좌우측과 접촉되도록 상기 연질 패드의 좌우측 돌출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보조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7.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8 항, 제 11 항, 제 13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된 정강이 보호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밴드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일측과 상기 정강이 보호대 간에 결합되고 상기 플렉서블 플라스틱 커버의 타측과 상기 정강이 보호대 간에 결합된, 웨어러블 장치.
KR1020180056515A 2018-05-17 2018-05-17 웨어러블 장치 KR10199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15A KR101995170B1 (ko) 2018-05-17 2018-05-17 웨어러블 장치
KR1020190075520A KR102379465B1 (ko) 2018-05-17 2019-06-25 웨어러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15A KR101995170B1 (ko) 2018-05-17 2018-05-17 웨어러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520A Division KR102379465B1 (ko) 2018-05-17 2019-06-25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170B1 true KR101995170B1 (ko) 2019-07-01

Family

ID=6725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515A KR101995170B1 (ko) 2018-05-17 2018-05-17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1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599B1 (ko) 2020-10-28 2021-03-19 주식회사 퓨어렉스 종아리 마사지 장치
KR20210070410A (ko) * 2019-12-03 2021-06-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터 자동제어시스템을 적용한 가변압박슬리브 및 그 가변압박슬리브의 제어방법
KR102357958B1 (ko) * 2021-08-10 2022-02-08 스포가드 주식회사 미세전류 자극 기반의 관절용 보호대
KR20230008491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이지 자극점의 이동이 가능한 수면용 미세전류 무릎 자극기
KR102645352B1 (ko) * 2023-03-10 2024-03-08 김충환 무릎 보호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7217A (ja) * 1996-08-29 2000-12-26 ロイス・メディカル・カンパニー 快適な整形外科的サポ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512731A (ja) * 2001-12-28 2005-05-12 キュン−ジン・キム 骨折固定のための添え木兼用のギプス部材
KR200471152Y1 (ko) * 2013-11-27 2014-02-06 이영준 의료용 부목
US20150174002A1 (en) * 2008-02-29 2015-06-25 Sensory Neurostimulation,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restless leg syndrome
JP2016174686A (ja) * 2015-03-19 2016-10-06 株式会社ワンアップ マッサージ器用のピンヘッド
KR20170108076A (ko) * 2015-01-26 2017-09-26 사이메디카 오쏘페딕스, 아이엔씨. 환자 요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7217A (ja) * 1996-08-29 2000-12-26 ロイス・メディカル・カンパニー 快適な整形外科的サポ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512731A (ja) * 2001-12-28 2005-05-12 キュン−ジン・キム 骨折固定のための添え木兼用のギプス部材
US20150174002A1 (en) * 2008-02-29 2015-06-25 Sensory Neurostimulation,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restless leg syndrome
KR200471152Y1 (ko) * 2013-11-27 2014-02-06 이영준 의료용 부목
KR20170108076A (ko) * 2015-01-26 2017-09-26 사이메디카 오쏘페딕스, 아이엔씨. 환자 요법 시스템 및 방법
JP2016174686A (ja) * 2015-03-19 2016-10-06 株式会社ワンアップ マッサージ器用のピンヘッド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410A (ko) * 2019-12-03 2021-06-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터 자동제어시스템을 적용한 가변압박슬리브 및 그 가변압박슬리브의 제어방법
KR102345636B1 (ko) * 2019-12-03 2021-12-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터 자동제어시스템을 적용한 가변압박슬리브 및 그 가변압박슬리브의 제어방법
KR102229599B1 (ko) 2020-10-28 2021-03-19 주식회사 퓨어렉스 종아리 마사지 장치
KR20230008491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이지 자극점의 이동이 가능한 수면용 미세전류 무릎 자극기
KR102654987B1 (ko) 2021-07-07 2024-04-04 주식회사 엠이지 미세전류 무릎 자극기
KR102357958B1 (ko) * 2021-08-10 2022-02-08 스포가드 주식회사 미세전류 자극 기반의 관절용 보호대
KR102645352B1 (ko) * 2023-03-10 2024-03-08 김충환 무릎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170B1 (ko) 웨어러블 장치
KR102379465B1 (ko) 웨어러블 장치
US20080058915A1 (en) Membrane mask with acupuncture and massage func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s
CN109803717A (zh) 通过周围神经刺激治疗心脏机能障碍的系统和方法
US20120046579A1 (en) Mechanical stimulation wrap and method of use
US10974047B2 (en) Adjustable TMJ headband
CN113226450A (zh) 用于治疗偏头痛和其他头痛状况的神经刺激
CN109414369A (zh) 刺激装置
US20080249587A1 (en) Microcurrent stimulus apparatus
US20200147363A1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a human or animal subject
KR20190042394A (ko) 저주파 마사지기
KR101893214B1 (ko) 전기근육자극 장치
KR20180086827A (ko) 손목 터널 증후군 치료용 손목보호대 타입의 저주파 자극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52100B1 (ko) 복부강화벨트
RO134364A0 (ro) Dispozitiv pentru monitorizare în timp real şi autocorecţie posturală activă
CN111375129A (zh) 可穿戴式心脏装置
WO2006114997A1 (ja) 微弱電流施療具
KR102134959B1 (ko) 호흡리듬을 적용한 복부근육 전기자극 장치 및 전기자극 방법
KR102087267B1 (ko) 운동 통증 완화를 위한 앱 구동형 웨어러블 전기치료기기
WO2020037706A1 (zh) 一种足下垂功能性电刺激治疗仪
KR102645687B1 (ko) 헬스밴드
KR20190077149A (ko) 미세전류가 발생되는 깔창
TW201722390A (zh) 穿戴式電子骨盆帶
KR20200063532A (ko) 저주파 근육자극장치
KR20160037626A (ko) 관절구조를 갖고 관절통증을 완화시키는 발열 관절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