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52Y1 - 의료용 부목 - Google Patents

의료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52Y1
KR200471152Y1 KR2020130009761U KR20130009761U KR200471152Y1 KR 200471152 Y1 KR200471152 Y1 KR 200471152Y1 KR 2020130009761 U KR2020130009761 U KR 2020130009761U KR 20130009761 U KR20130009761 U KR 20130009761U KR 200471152 Y1 KR200471152 Y1 KR 200471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lf
patient
foo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분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이영준
김재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준, 김재분 filed Critical 이영준
Priority to KR2020130009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4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orthogonal piv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술이 편리하면서 환자의 환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의료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은 일측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환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부재(A)와, 상기 지지부재(A)에 구비되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스트립(B)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A)의 내측면에는 지지부재(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첩선(3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스트립(B)을 이용하여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할 때, 상기 절첩선(31,32)에 의해 지지부재(A)의 양측이 구부러지면서 환자의 환부에 밀착됨으로, 지지부재(A)가 환자의 환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부재(A)를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종래의 부목과 달리, 시술이 매우 편리하면서 시술자 또는 환자가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부목{Splint for medical treatment}
본 고안은 시술이 편리하면서 환자의 환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의료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이 발생될 경우, 골절부위를 감싸도록 깁스를 하여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깁스를 이용하여 환부, 즉 골절이 발생된 부위를 고정하는 방법은 시술과 제거가 매우 불편하고 환자 역시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특허 10-1247701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의 환부의 외부를 감싸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합성수지재질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밴드로 구성되어, 시술과 제거가 용이하면서 환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부목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환자의 환부의 크기는 환자에 따라 서로 달라지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재는 일정한 사이즈로 제작됨으로, 지지부재가 환부에 비해 커서 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거나, 지지부재가 환부에 비해 작아서 환자의 환부에 지지부재를 고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열가소성 수지로 제작하여, 지지부재를 가열한 상태에서 환자의 환부에 밀착되도록 변형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지지부재를 뜨겁게 가열한 상태에서 환자의 환부에 밀착시켜야 함으로, 시술이 번거롭고, 환자 또는 시술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술이 편리하면서 환자의 환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의료용 부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환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부재(A)와, 상기 지지부재(A)에 구비되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스트립(B)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A)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지지부재(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첩선(31,32)이 형성되어, 상기 절첩선(31,32)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A)의 둘레부를 접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의 둘레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종아리(1)를 지지하는 종아리지지부(10)와,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발(2)을 지지하는 발지지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종아리지지부(10)는 상하로 연장되어 종아리(1)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후면지지부(11)와, 상기 후면지지부(11)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종아리(1)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12)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지지부(11)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지지부(20)는 상기 후면지지부(11)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발(2)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부(21)와, 상기 하면지지부(2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발(2)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선(31,32)은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후면지지부(11)와 측면지지부(12)의 연결부와, 상기 발지지부(20)의 하면지지부(21)와 측면지지부(22)의 연결부를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제1 절첩선(31)과, 상기 제1 절첩선(3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측면지지부(12) 상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 절첩선(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측면지지부(12) 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상부지지리브(14)와, 상기 발지지부(20)의 측면지지부(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하부지지리브(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아리지지부(10)와 상부지지리브(14)의 연결부, 그리고 상기 발지지부(20)와 하부지지리브(23)의 연결부위에는 보조절첩선(13a,2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종아리지지부(10)와 상기 발지지부(20)에는 고정스트립(B)이 결합되는 결합공(11a,12a)이 상기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스트립(B)을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에 감으면 상기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가 상기 고정스트립(B)에 의해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에 밀착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공(11b)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1b)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발목(3) 뒷부분을 지지하는 발목지지부재(C)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목지지부재(C)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환자의 발목(3) 뒷부분을 지지하는 오목부(41a)가 형성된 탄성부재(41)와, 상기 탄성부재(41)의 외측형태에 대응되도록 U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1)의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된 지지프레임(42)과, 상기 지지프레임(42)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공(11b)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너트(43a)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나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은 일측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환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부재(A)와, 상기 지지부재(A)에 구비되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스트립(B)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A)의 내측면에는 지지부재(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첩선(3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스트립(B)을 이용하여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할 때, 상기 절첩선(31,32)에 의해 지지부재(A)의 양측이 구부러지면서 환자의 환부에 밀착됨으로, 지지부재(A)가 환자의 환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부재(A)를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종래의 부목과 달리, 시술이 매우 편리하면서 시술자 또는 환자가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지지부재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D-D선 단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도 3의 E-E선 단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6의 F-F선 단면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을 도시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환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부재(A)와, 상기 지지부재(A)에 구비되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스트립(B)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A)의 내측면에는 지지부재(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첩선(31,32)이 형성되어, 상기 절첩선(31,32)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A)의 둘레부를 접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의 둘레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종아리(1)를 지지하는 종아리지지부(10)와,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발(2)을 지지하는 발지지부(20)로 구성되어,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아리지지부(10)는 상하로 연장되어 종아리(1)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후면지지부(11)와, 상기 후면지지부(11)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종아리(1)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면지지부(11)와 측면지지부(12)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지지부(20)는 상기 후면지지부(11)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발(2)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부(21)와, 상기 하면지지부(2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발(2)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첩선(31,32)은 상기 지지부재(A)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상단에서 상기 발지지부(20)의 선단부까지 연장된 한 쌍의 제1 절첩선(31)과, 상기 제1 절첩선(3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측면지지부(12) 상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 절첩선(3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절첩선(31)은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후면지지부(11)와 측면지지부(12)의 연결부와, 상기 발지지부(20)의 하면지지부(21)와 측면지지부(22)의 연결부를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에 상기 지지부재(A)를 밀착시킨 후, 상기 종아리지지부(10)와 발지지부(20)의 측면지지부(12,22)를 접어서, 종아리(1)와 발(2)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측면지지부(12)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상부지지리브(14)가 구비되고, 상기 발지지부(20)의 측면지지부(22)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하부지지리브(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종아리지지부(10)와 상부지지리브(14)의 연결부, 그리고 상기 발지지부(20)와 하부지지리브(23)의 연결부위에는 보조절첩선(13a,23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를 회동시켜 상기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가 종아리(1)의 전면과 발(2)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트립(B)은 상기 종아리지지부(10)와 발지지부(20)에 형성된 결합공(11a,12a)에 결합된 상태로 양단이 전방으로 연장되며, 양단에는 도시 안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고정스트립(B)의 양단을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1a,12a)은 상기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종아리지지부(10)에 형성된 결합공(11a)은 상기 상부지지리브(1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후면지지부(11)에 형성되고, 상기 발지지부(20)에 형성된 결합공(12a)은 상기 하부지지리브(2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면지지부(21)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A)에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을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스트립(B)을 이용하여 지지부재(A)가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에 고정되도록 하면, 상기 고정스트립(B)에 의해 상기 종아리지지부(10)와 발지지부(20)의 측면지지부(12,22)와 상부지지리브(14) 및 하부지지리브(23)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환자의 종아리(1)과 발(2)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스트립(B)의 양단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스트립(B)의 양단에 구비된 벨크로부재 또는 기타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의료용 부목은 일측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환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부재(A)와, 상기 지지부재(A)에 구비되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스트립(B)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A)의 내측면에는 지지부재(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첩선(3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스트립(B)을 이용하여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할 때, 상기 절첩선(31,32)에 의해 지지부재(A)의 양측이 구부러지면서 환자의 환부에 밀착됨으로, 지지부재(A)가 환자의 환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부재(A)를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종래의 부목과 달리, 시술이 매우 편리하면서 시술자 또는 환자가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A)의 종아리지지부(10)는 환자의 다리형태에 맞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데, 상기 절첩선(31,32)은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후면지지부(11)와 측면지지부(12)의 연결부와, 상기 발지지부(20)의 하면지지부(21)와 측면지지부(22)의 연결부를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제1 절첩선(31)과,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측면지지부(12) 상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절첩선(32)으로 구성됨으로, 폭이 넓은 종아리지지부(10)가 환자의 종아리(1) 형태에 따라 더욱 원활히 구부러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측면지지부(12)와 발지지부(20)의 측면지지부(22)에는 보조절첩선(13a,23a)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된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가 형성됨으로, 환자의 종아리(1)의 전면과 발(2)의 상면까지 가압하여,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이 움직이지 않도록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스트립(B)이 결합되는 결합공(11a,12a)은 상기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스트립(B)을 이용하여 지지부재(A)를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에 고정하면, 상기 종아리지지부(10)와 발지지부(20)의 측면지지부(12,22) 뿐 아니라, 상기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가 상기 고정스트립(B)에 의해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에 밀착되도록 가압고정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부목은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에 결합되어, 종아리(1)와 발(2)을 고정하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부목은 환자의 팔이나 기타 다양한 부위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환자의 팔이나 기타 다양한 부분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선(31,32)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절첩선(31,32)은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공(11b)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1b)에는 환자의 발목(3) 뒷부분을 지지하는 발목지지부재(C)가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공(11b)은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후면지지부(11)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목지지부재(C)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면 전면에는 환자의 발목(3) 뒷부분을 지지하는 오목부(41a)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1)와, 상기 탄성부재(41)의 외측형태에 대응되도록 U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1)의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된 지지프레임(42)과, 상기 지지프레임(42)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공(11b)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너트(43a)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나사(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1)는 실리콘과 같이, 매우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42)은 강도가 있으면서 적절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A)에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을 고정하면, 환자의 발목(3)은 자연스럽게 상기 발목지지부재(C)의 오목부(41a)에 삽입되며, 상기 발목지지부재(C)를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하여 환자의 발목(3)이 발목지지부재(C)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너트(43a)를 이용하여 발목지지부재(C)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목은 상기 지지부재(A)에 발목지지부재(C)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종아리(1)와 발(2) 뿐 아니라, 사용자의 발목(3)까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지지부재 10. 종라이지지부
20. 발지지부 31,32. 절첩선
B. 고정스트립 C. 발목지지부재

Claims (5)

  1. 일측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환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부재(A)와,
    상기 지지부재(A)에 구비되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스트립(B)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A)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지지부재(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첩선(31,32)이 형성되어, 상기 절첩선(31,32)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A)의 둘레부를 접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의 둘레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종아리(1)를 지지하는 종아리지지부(10)와,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발(2)을 지지하는 발지지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종아리지지부(10)는
    상하로 연장되어 종아리(1)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후면지지부(11)와,
    상기 후면지지부(11)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종아리(1)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12)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지지부(11)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지지부(20)는
    상기 후면지지부(11)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발(2)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부(21)와,
    상기 하면지지부(2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발(2)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선(31,32)은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후면지지부(11)와 측면지지부(12)의 연결부와, 상기 발지지부(20)의 하면지지부(21)와 측면지지부(22)의 연결부를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제1 절첩선(31)과,
    상기 제1 절첩선(3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측면지지부(12) 상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 절첩선(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측면지지부(12) 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상부지지리브(14)와,
    상기 발지지부(20)의 측면지지부(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하부지지리브(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아리지지부(10)와 상부지지리브(14)의 연결부, 그리고 상기 발지지부(20)와 하부지지리브(23)의 연결부위에는 보조절첩선(13a,2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지지부(10)와 상기 발지지부(20)에는 고정스트립(B)이 결합되는 결합공(11a,12a)이 상기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스트립(B)을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에 감으면 상기 상부지지리브(14)와 하부지지리브(23)가 상기 고정스트립(B)에 의해 환자의 종아리(1)와 발(2)에 밀착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지지부(10)의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공(11b)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1b)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발목(3) 뒷부분을 지지하는 발목지지부재(C)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목지지부재(C)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환자의 발목(3) 뒷부분을 지지하는 오목부(41a)가 형성된 탄성부재(41)와,
    상기 탄성부재(41)의 외측형태에 대응되도록 U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1)의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된 지지프레임(42)과,
    상기 지지프레임(42)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공(11b)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너트(43a)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나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KR2020130009761U 2013-11-27 2013-11-27 의료용 부목 KR200471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61U KR200471152Y1 (ko) 2013-11-27 2013-11-27 의료용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61U KR200471152Y1 (ko) 2013-11-27 2013-11-27 의료용 부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152Y1 true KR200471152Y1 (ko) 2014-02-06

Family

ID=5141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761U KR200471152Y1 (ko) 2013-11-27 2013-11-27 의료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5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92B1 (ko) * 2016-03-16 2017-01-10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20180052278A (ko) 2016-11-10 2018-05-18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의료용 부목
KR101894716B1 (ko) 2017-06-30 2018-09-04 이동렬 의료용 다리 부목
KR101995170B1 (ko) * 2018-05-17 2019-07-01 오승철 웨어러블 장치
KR20190132298A (ko) * 2018-05-17 2019-11-27 오승철 웨어러블 장치
KR102257789B1 (ko) 2020-12-29 2021-05-28 하범준 환부의 견인이 가능한 부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24B1 (ko) 2007-01-19 2008-06-23 양일영 발 교정기
KR20090077429A (ko) * 2008-01-11 2009-07-15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자유성형부목을 이용한 하프깁스 방법 및 그 구조
KR20120114104A (ko) * 2011-04-06 2012-10-16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형상 조절이 가능한 부목 및 이를 이용한 개방형 스마트 보호구
KR101247701B1 (ko) 2011-11-10 2013-03-26 선동윤 의료용 부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24B1 (ko) 2007-01-19 2008-06-23 양일영 발 교정기
KR20090077429A (ko) * 2008-01-11 2009-07-15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자유성형부목을 이용한 하프깁스 방법 및 그 구조
KR20120114104A (ko) * 2011-04-06 2012-10-16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형상 조절이 가능한 부목 및 이를 이용한 개방형 스마트 보호구
KR101247701B1 (ko) 2011-11-10 2013-03-26 선동윤 의료용 부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92B1 (ko) * 2016-03-16 2017-01-10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20180052278A (ko) 2016-11-10 2018-05-18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의료용 부목
KR101894716B1 (ko) 2017-06-30 2018-09-04 이동렬 의료용 다리 부목
KR101995170B1 (ko) * 2018-05-17 2019-07-01 오승철 웨어러블 장치
KR20190132298A (ko) * 2018-05-17 2019-11-27 오승철 웨어러블 장치
KR102379465B1 (ko) 2018-05-17 2022-03-28 오승철 웨어러블 장치
KR102257789B1 (ko) 2020-12-29 2021-05-28 하범준 환부의 견인이 가능한 부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152Y1 (ko) 의료용 부목
US20230014237A1 (en) Customizable fitted apparatus
CN102665617B (zh) 由弹性材料制成并且有助于使用的膝关节绷带
JP4374353B2 (ja) 足指補助用具及び足用補助バンド
JP4705686B2 (ja) 医療チューブ固定ベルト
KR101455709B1 (ko)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CN104825267A (zh) 一种穿戴式的护理机工作头
CN104116606B (zh) 一种手足外科护理用支架
CN202554110U (zh) 一种改进的肠镜检查床
CN205683221U (zh) 俯卧病人洗脚装置
KR200478085Y1 (ko) 의료용 가림패드
CN202446305U (zh) 可调整牵引高度的布朗式架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KR100867845B1 (ko) 보행 보조신발
CN214909576U (zh) 一种中药塌渍治疗承接器
JP2014061259A (ja) 靴下装着支援器具
ES2935732T3 (es) Plantilla capaz de ayudar a la corrección de diversos problemas del pie
CN213157394U (zh) 一种手术用可调节折刀位支撑架及手术分腿床
CN210872038U (zh) 一种髋关节置换手术专用治疗巾
KR102320532B1 (ko) 손 강직 완화 보조기
CN220899010U (zh) 可伸缩型下肢抬高垫
CN213374772U (zh) 一种照射范围可调灯罩
KR101362787B1 (ko) 의료 보조기구
CN207532453U (zh) 一种椎管内麻醉体位固定装置
CN212756258U (zh) 一种下肢肿胀患者辅助抬高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