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716B1 - 의료용 다리 부목 - Google Patents

의료용 다리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716B1
KR101894716B1 KR1020170082976A KR20170082976A KR101894716B1 KR 101894716 B1 KR101894716 B1 KR 101894716B1 KR 1020170082976 A KR1020170082976 A KR 1020170082976A KR 20170082976 A KR20170082976 A KR 20170082976A KR 101894716 B1 KR101894716 B1 KR 101894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f support
medical
bottom portion
splin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렬
Original Assignee
이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렬 filed Critical 이동렬
Priority to KR102017008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 등의 다리 부위 부상을 당한 환자들이 치료를 위해 환부를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의료용 다리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후방측 좌우 측면에 회동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아리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의료용 다리 부목{Medical leg splint}
본 발명은 골절 등의 다리 부위 부상을 당한 환자들이 치료를 위해 환부를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의료용 다리 부목에 관한 것이다.
골절을 당하거나 뼈에 금이 가는 경우 빠른 치유와 뼈가 정확히 붙도록 하기 위해 깁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깁스를 하게 되면 해당 골절 부위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되므로 환자는 많은 불편함이 있지만 치료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닐 수 없다.
특히, 환부에 깁스를 하는 경우 깁스를 절단하지 않는 한 제거가 불가능하고, 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심한 악취가 나기도 하고 간지러워 환자는 많은 곤란함을 겪는 경우가 많다.
깁스의 장점도 있지만, 언급한 바와 같은 불편함이 있는 관계로 치료를 위해 깁스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부목이 사용되고 있다.
가벼운 부상이거나 환자가 깁스를 꺼려하는 경우라면 적당한 부목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152호의 "의료용 부목"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부목의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환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부재(A)와, 상기 지지부재(A)에 구비되어 지지부재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정스트립(B)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A)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지지부재(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첩선(31,32)이 형성되어, 상기 절첩선을 중심으로 지지부재(A)의 둘레부를 접어 지지부재(A)를 환자의 환부 둘레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의 의료용 부목은 절첩선을 이용하여 둘레부를 접어서 환부를 보다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환자들의 다리부 특히 종아리 부위의 크기를 다양하므로 일률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절첩선이 형성되는 부목으로는 다양한 환자들에게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152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이 보다 편리하면서 신체 조건이 제각각인 다양한 환자들의 다리 치료에 적합한 의료용 다리 부목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다리 부목은,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후방측 좌우 측면에 회동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아리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동작되며, 외측으로만 회동될 수 있는 힌지(hing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전후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동작되며, 누름버튼의 조작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름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종아리 지지체의 고정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내피가 구비되고, 상기 어느 일측 종아리 지지체에 상기 내피와 연결되어 조이거나 느슨하게 풀 수 있는 보아시스템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부는, 전방파트와 후방파트로 이어지며, 상기 전방파트와 상기 후방파트는 연결링크로 이어져 상기 바닥부의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다리 부목은,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후방측 좌우 측면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연결되는 종아리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는 전방파트와 후방파트로 이루어지되, 연결링크로 이어져 상기 바닥부의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아리 지지체는, 상기 후방파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아리 지지체는, 상기 전방파트에 연결되는 전방 종아리 지지체와, 상기 후방파트에 연결되는 후방 종아리 지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파트와 상기 후방파트간 거리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전방 종아리 지지체와 상기 후방 종아리 지지체간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은 다리 골절과 같은 부상을 당한 경우 깁스를 대신하여 환부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도록 하거나 깁스를 한 상태로 다리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 착용 및 탈거가 보다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고, 신체 사이즈가 제각각인 다양한 환자들에게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부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의 사용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다리 부목의 개념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다리 부목의 사용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으로서 종아리 지지체가 후방파트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한 개념도.
도 8은 종아리 지지체가 두개로 나누어지는 경우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다리 부목의 개념도.
도 10은 바닥부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은 다리 부위에 골절이나 기타 부상을 당한 경우 빠른 치유를 위해 환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목에 관한 것이며, 깁스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부상 초기에 깁스를 하다가 깁스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깁스를 제거하고 환부를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골절 정도는 아니지만 뼈에 금이 가거나 인대가 손상되는 등의 다소 경미한 부상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최소한의 깁스를 한 다음 깁스 부위를 포함한 다리 전체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의 사용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다리 부목의 개념도이며,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다리 부목의 사용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의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으로서 종아리 지지체가 후방파트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8은 종아리 지지체가 두개로 나누어지는 경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A)은 주요한 구성요소로 바닥부(100)와 종아리 지지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부(100)는 신발창과 같은 형태를 이루며, 발을 올려 안착되게 하는 부위가 된다.
바닥부(100)의 하부면은 지면에 접촉되는 부위가 되는데, 바닥부(100)의 하부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무패드와 같은 미끄럼 방지부재(110)가 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종아리 지지체(200)가 구비되며, 종아리 지지체(200)는 바닥부(100)의 후방측 좌우 측면에서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바닥부(100)의 후방측 좌우 측면에서 종아리 지지체(200)가 회동수단(210)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종아리 지지체(200)는 바닥부(100)의 좌우 측면에 하나씩 마련되며, 판상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A)은 고정용 밴드(300)를 이용하여 발등과 종아리부를 둘러 감싸 부상당한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의료용 다리 부목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A)은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100)의 후방측 좌우 측면에 종아리 지지체(2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회동 동작 구현을 위한 회동수단(210)으로 힌지(hinge)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종아리 지지체(200)는 힌지(210)에 의해 바닥부(100)와 연결되되 바닥부(100)의 좌우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동작되는 것으로 한다.
힌지(210)는 경첩과 같이 동작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힌지(210)는 바닥부(100) 좌우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만 회동되어 옆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A)은 바닥부(100)의 후방측 좌우측면에 연결되는 종아리 지지체(20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으므로 부목을 착용하거나 탈거할 때 종아리 지지체(200)를 옆으로 벌어지게 함으로써 보다 쉽게 부목을 착용하거나 탈거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 및 종아리 지지체(200)에는 다리를 고정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고정용밴드(300) 설치를 위한 복수의 밴드연결구(H))를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의 경우 도 5와 같이 바닥부(100)의 후방측 좌우 측면에 종아리 지지체(200)가 연결되되, 연결에 사용되는 회동수단(210)은 바닥부(100)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어 접힐 수 있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실시예에서의 회동수단(210)은 조작버튼인 것으로 하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종아리 지지체(200)는 전후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버튼(210)은 누름 방식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혹은 다이얼 방식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종아리 지지체(200)가 고정 상태가 되거나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동작되는 것이면 무방하다.
예를 들어, 조작버튼(210)을 누르게 되면 바닥부(100)에 대해 종아리 지지체(200)의 연결이 해제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거나,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회전위치에 따라 연결이 해제되거나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역시 종아리 지지체(200)를 전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다리를 부목으로 고정하고자 할 때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바닥부(100) 및 종아리 지지체(200)에는 다리를 고정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고정용밴드(300) 설치를 위한 복수의 밴드연결구(H)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본 제2실시예의 경우 종아리 지지체(200)는 조작버튼(210)의 조작에 의해 종아리 지지체(200)의 고정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조작버튼(210)을 다이얼 방식으로 하는 경우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종아리 지지체(200)의 회동 가능 각도도 이에 따르도록 하는 것과 같다. 조작버튼을 45도 회전시키게 되면 종아리 지지체는 45도 만큼 회동되는 것과 같다.
<제3실시예>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다리 부목(A)은 바닥부(10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종아리 지지체(200)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같이 회동수단(210)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전후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회동수단(210)을 통한 종아리 지지체(200)의 회동동작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
바닥부(100)는 전방파트(101)와 후방파트(10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방파트(101)와 후방파트(102)는 연결링크(103)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전방파트(101)와 후방파트(10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연결링크(103)가 노출되면서 바닥부(10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전방파트(101)와 후방파트(102)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게 되면 바닥부(10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사람에 따라 발의 사이즈는 제각각이므로 발이 큰 사람인 경우 바닥부(100)의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다.
연결링크(103)는 LM가이드와 같은 형태 혹은 X 자로 연결되어 자바라 같은 동작이 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00) 및 종아리 지지체(200)에는 다리를 고정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고정용밴드(300) 설치를 위한 복수의 밴드연결구(H)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다리 부목(A)은 바닥부(100)와 바닥부(100)의 후방측 좌우 측면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연결되는 종아리 지지체(200)를 포함하는 것이되, 종아리 지지체(200)는 바닥부(100)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즉, 언급된 타 실시예와 달리 종아리 지지체(200)는 회동 동작되지 않는 고정된 타입인 것으로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바닥부(100)는 전방파트(101)와 후방파트(102)로 이루어지고, 연결링크(103)에 의해 전방파트(101)와 후방파트(102)는 연결되어 바닥부(100)의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과 같이 바닥부(100)가 전방파트(101)와 후방파트(102)로 구분되고, 연결링크(103)로 연결되는 것이되, 종아리 지지체(200)는 후방파트(102)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종아리 지지체(200)는 도 8과 같이 종아리 지지체(200)도 두 개로 나누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종아리 지지체(200)는 전방 종아리 지지체(201)와 후방 종아리 지지체(202)로 구분될 수 있되, 전방파트(101)에 연결되는 것을 전방 종아리 지지체(201)라 하고, 후방파트(102)에 연결되는 것을 후방 종아리 지지체(202)라 한다.
전방파트(101)와 후방파트(102)가 맞닿아 바닥부(100)의 길이가 가장 짧은 경우 전방 종아리 지지체(201)와 후방 종아리 지지체(20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바닥부(100)의 전체 길이를 늘리기 위해 전방파트(101)와 후방파트(102)를 서로 멀어지게 연결링크(103)를 조정하면 전방 종아리 지지체(201)와 후방 종아리 지지체(202)간 이격거리는 더욱 멀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람에 따라 다른 발 사이즈를 고려하여 발 사이즈에 맞게 바닥부(1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동시에 종아리 지지체(200)가 두개로 나누어져 보다 넓게 종아리를 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바닥부(100) 및 종아리 지지체(200)에는 다리를 고정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고정용밴드(300) 설치를 위한 복수의 밴드연결구(H)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제5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다리 부목의 개념도이며, 도 10은 바닥부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제5실시예에서는 다른 타 실시예에 보아시스템이 추가될 수 있는 것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내피가 구비된다.
내피가 발을 감싸게 되며, 내피는 종아리 지지체와 연결되고, 종아리 지지체에 보아시스템이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내피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풀 수 있도록 한다.
보아시스템은 흔히 운동화 등에 적용되어 신발끈을 대신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신발을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아시스템은 회전 가능한 다이얼과 다이얼과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다이얼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가 감기면서 내피를 조여주게 된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 내피의 외면에는 에어포켓의 어느 일면으로 펌핑수단이 구비되어 펌핑수단을 누름에 의해 에어가 에어포켓으로 공급되어 팽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펌핑수단과 별개로 배기수단이 구비되어 배기수단을 누르게 되면 에어포켓의 에어가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료용 다리 부목은 다리 부위에 골절 등의 부상을 당한 환자가 깁스를 하지 않고, 다리를 고정시킬 때 사용될 수 있고, 그 외 깁스를 푼 후 다리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부분적으로 깁스를 한 경우에도 다리 전체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 부위의 부상에 따라 다리를 보호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A : 의료용 다리 부목
100 : 바닥부
110 : 미끄럼 방지부재 101 : 전방파트
102 : 후방파트 103 : 연결링크
200 : 종아리 지지체 210 : 회동수단
201 : 전방 종아리 지지체 202 : 후방 종아리 지지체
300 : 고정용 밴드
H : 밴드 연결구
400 : 내피
500 : 보아시스템
510 : 다이얼 520 : 와이어
600 : 에어포켓
610 : 펌핑수단 620 : 배기수단

Claims (9)

  1. 의료용 다리 부목에 있어서,
    발이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후방측 좌우 측면에 회동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아리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동작되며, 외측으로만 회동될 수 있는 힌지(hing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다리 부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다리 부목은,
    내피가 구비되고, 상기 어느 일측 종아리 지지체에 상기 내피와 연결되어 조이거나 느슨하게 풀 수 있는 보아시스템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다리 부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전방파트와 후방파트로 이어지며, 상기 전방파트와 상기 후방파트는 연결링크로 이어져 상기 바닥부의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다리 부목.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82976A 2017-06-30 2017-06-30 의료용 다리 부목 KR101894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76A KR101894716B1 (ko) 2017-06-30 2017-06-30 의료용 다리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76A KR101894716B1 (ko) 2017-06-30 2017-06-30 의료용 다리 부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716B1 true KR101894716B1 (ko) 2018-09-04

Family

ID=6359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976A KR101894716B1 (ko) 2017-06-30 2017-06-30 의료용 다리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7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931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네오메드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KR102257789B1 (ko) 2020-12-29 2021-05-28 하범준 환부의 견인이 가능한 부목
CN113194887A (zh) * 2018-12-15 2021-07-30 维德卡普伊瑟夫有限责任公司 宽度和长度可调节的靴子
KR102448650B1 (ko) * 2021-09-09 2022-09-27 명광희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인체공학적인 밀착력을 갖는 깁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1768A (en) * 1986-12-16 1988-09-20 United States Manufacturing Company Controlled motion ankle fracture walker
JP2005533558A (ja) * 2002-07-23 2005-11-10 ロイス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多目的整形脚取り付け歩行器
KR100582447B1 (ko) * 2004-10-19 2006-05-23 류실근 발고정용 부츠
US20110197362A1 (en) * 2010-02-16 2011-08-18 Chella David E Lacing system to secure a limb in a surgical support apparatus
US20140039368A1 (en) * 2012-01-25 2014-02-06 Dale Perkins Ankle-foot orthotic device
KR200471152Y1 (ko) 2013-11-27 2014-02-06 이영준 의료용 부목
US20160000174A1 (en) * 2014-07-01 2016-01-07 Ovation Medical Adjustable walk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1768A (en) * 1986-12-16 1988-09-20 United States Manufacturing Company Controlled motion ankle fracture walker
JP2005533558A (ja) * 2002-07-23 2005-11-10 ロイス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多目的整形脚取り付け歩行器
KR100582447B1 (ko) * 2004-10-19 2006-05-23 류실근 발고정용 부츠
US20110197362A1 (en) * 2010-02-16 2011-08-18 Chella David E Lacing system to secure a limb in a surgical support apparatus
US20140039368A1 (en) * 2012-01-25 2014-02-06 Dale Perkins Ankle-foot orthotic device
KR200471152Y1 (ko) 2013-11-27 2014-02-06 이영준 의료용 부목
US20160000174A1 (en) * 2014-07-01 2016-01-07 Ovation Medical Adjustable walking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931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네오메드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KR102172887B1 (ko) 2018-11-19 2020-11-02 주식회사 네오메드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CN113194887A (zh) * 2018-12-15 2021-07-30 维德卡普伊瑟夫有限责任公司 宽度和长度可调节的靴子
CN113194887B (zh) * 2018-12-15 2024-01-09 维德卡普伊瑟夫有限责任公司 宽度和长度可调节的靴子
KR102257789B1 (ko) 2020-12-29 2021-05-28 하범준 환부의 견인이 가능한 부목
KR102448650B1 (ko) * 2021-09-09 2022-09-27 명광희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인체공학적인 밀착력을 갖는 깁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716B1 (ko) 의료용 다리 부목
US5665059A (en) Pivotally adjustable self-supporting foot orthosis
US6752774B2 (en) Tension assisted ankle joint and orthotic limb braces incorporating same
US8282587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joint therapy and stabilization
JP5415074B2 (ja) 骨折ブレイス
US8900171B2 (en) Adjustable splinting device
US8052629B2 (en) Multi-fit orthotic and mobility assistance apparatus
US20100280516A1 (en) Accessory Device for an Orthopedic Fixator
US6923780B2 (en) Foot orthosis with detachable skid sole plate
CA2439998C (en) Orthopedic night foot splint
JPH07503879A (ja) 整形外科用の足首用装具
US20120253250A1 (en) Inflatable foot cushion
US20140005584A1 (en) Knee brace with expansible pressure components
US20190142621A1 (en) Foot assistive device for improving drop foot gait
US10524937B2 (en) Post-operative support apparatus for a patients residual limb
US20070016122A1 (en) Orthopedic foot splint with an optional posterior strut and cuff
US7624519B1 (en) Foot and ankle protective apparatus
NO20055391L (no) Forhandsformet ankelstotte
JP5808877B1 (ja) 踵足首サポーター
KR101247701B1 (ko) 의료용 부목
US20200100978A1 (en) New Crutch System
JPH11342143A (ja) 足首保護具
US20230320881A1 (en) Wearable plantar fasciitis treatment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30141450A1 (en) Surgical traction boot having resilient heel pad and medial and lateral straps
KR102074564B1 (ko) 발목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