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842A - 고분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분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842A
KR20160057842A KR1020140158963A KR20140158963A KR20160057842A KR 20160057842 A KR20160057842 A KR 20160057842A KR 1020140158963 A KR1020140158963 A KR 1020140158963A KR 20140158963 A KR20140158963 A KR 20140158963A KR 20160057842 A KR20160057842 A KR 20160057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nomer
group
parts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754B1 (ko
Inventor
손동철
이계윤
신종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754B1/ko
Priority to PCT/KR2015/012235 priority patent/WO2016076666A1/ko
Publication of KR2016005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Abstract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아이소소바이드 5 내지 60 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 내지 80 몰%, 및 잔량의 기타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전체 충격 보강재 100중량부 대비, 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코어 40 내지 90중량부,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내층 쉘 5 내지 40중량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외층 쉘 5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보강재;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분자 수지 조성물{POLYMER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높은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탄성 강도를 가지므로 강화 플라스틱, 도료, 필름, 성형용 수지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의복의 섬유 재료로도 쓰여지고 있다.
또한, 최근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그 특징적인 물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내장재 또는 범용 하우징 소재 등의 분야에 사용하는 예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른 고분자 재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재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재료에 비하여 내열성이 낮아,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하여 물성 저하, 변형 등이 일어나므로,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가 심한 옥외용 외장재(外裝材)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 등의 우수한 특징으로 인하여, 각종 건축자재와 전자제품의 외관, 포장재질, 케이스, 박스, 인테리어 내외장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하여 많은 수요가 있으나, 시중에서 흔히 사용되는 각종 세정제, 여성화장품, 유아용 손소독제 등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의 외관 색상이 변하거나, 크랙이 발생하고, 여러가지 생활 케미칼에 의해 제품의 변질이 유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블렌딩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 점도 및 분자 구조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이들을 단순히 블렌딩하는 것으로는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의 기계적 물성, 특히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내화학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내화학성의 향상 정도가 실제 산업상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제조되는 수지 제품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이러한 수지들의 블렌드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향상된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나타내며, 내화학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높은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아이소소바이드 5 내지 60 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 내지 80 몰%, 및 잔량의 기타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전체 충격 보강재 100중량부 대비, 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코어 40 내지 90중량부,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내층 쉘 5 내지 40중량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외층 쉘 5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보강재; 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아이소소바이드 5 내지 60 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 내지 80 몰%, 및 잔량의 기타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전체 충격 보강재 100중량부 대비, 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코어 40 내지 90중량부,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내층 쉘 5 내지 40중량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외층 쉘 5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보강재; 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전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을 보완 또는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정한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성분의 혼합에 따른 향상 효과 또는 상호보완적인 상승 효과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으며, 높은 내열성, 내충격성, 내화학성 등의 물성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온도 변화가 심하고,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옥외용 외장재(外裝材) 등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물성 및 외관 특성을 나타내어, 자동차용 내외장재, 또는 범용 하우징 소재로 적용이 가능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연구를 계속 진행하여, 특정 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특정한 코어 쉘 구조를 갖는 충격 보강재를 혼합하면, 친환경적이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외관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95 중량%;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5 내지 95 중량%;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 보강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유동성이 낮아져서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도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의 확보를 위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충격 보강재를 상술한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 및 장치를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충격 보강재를 통상적인 혼합기, 믹서기 또는 텀블러 등에 넣고 이축혼련압출기를 통해 혼합함으로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수지들 각각은 충분히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아이소소바이드 5 내지 60 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 내지 80 몰%, 및 잔량의 기타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특정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친환경적이면서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보다 우수한 내열성 및 내충격성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잔기’는 특정한 화합물이 화학 반응에 참여하였을 때, 그 화학 반응의 결과물에 포함되고 상기 특정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일정한 부분 또는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 또는 디올 성분의 ‘잔기’ 각각은,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부터 유래한 부분 또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유래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이의 알킬 에스테르(모노메틸, 모노에틸, 디메틸, 디에틸 또는 디부틸에스테르 등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이들의 산무수물(acid anhydride)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디올 성분과 반응하여, 테레프탈로일 부분(terephthaloyl moiety) 등의 디카르복실산 부분(dicarboxylic acidmoiety)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에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을 포함함에 따라,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화학성, 내후성(예를 들어, UV에 의한 분자량 감소 현상 또는 황변화 현상 방지) 등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이외에, 탄소수 8 내지 20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4,4’-스틸벤디카르복실산, 2,5-퓨란디카르복실산, 2,5-티오펜디카르복실산 등이 있으나,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프탈산,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디픽산, 글루타릭산, 아젤라이산 등의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등이 있으나,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50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0 내지 50몰%,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 테레프탈산의 함량이 너무 작거나 너무 크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화학성 또는 내후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에 사용되는 디올 성분(diol component)은 아이소소바이드 5 내지 60 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5 내지 80 몰%, 및 잔량의 기타 디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이 아이소소바이드(isosorbide, 1,4:3,6-dianhydroglucitol)를 포함함에 따라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열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올 성분(diol component)에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예를 들어, 1,2-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충격 강도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 성분은 5 내지 60 몰%의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디올 성분 중 아이소소바이드의 함량이 5몰% 미만이면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열성 또는 내화학성이 불충분할 수 있으며,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 점도 특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소소바이드의 함량이 60몰%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제품이 외관 특성이 저하되거나 황변(yellow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올 성분은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및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이외에 기타의 디올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의 디올 성분’은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및 사이클로헥산디메탄을 제외한 디올 성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지방족 디올, 방향족 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 디올 성분은 하기 화학식 1, 2, 및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며, n1 및 n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n 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한편, 상기 특정 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아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를 사용하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의 말기에, 예를 들어 반응이 80% 이상 진행된 시점에서 반응액에 인계 안정제를 첨가하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의 결과물을 중축합 시켜서 합성될 수 있다.
이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아이소소바이드(Isosorbide)는 낮은 반응성을 나타내는 2차 알코올로서,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내열성 등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으나, 이를 사용하는 경우 에스테르화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잔류하는 아이소소바이드가 과량으로 발생하며, 합성 결과물인 최종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용화 될 수 있을 정도의 물성을 갖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술한 제조 방법을 통하여 합성되어, 아이소소바이드의 함량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으로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면서도, 상용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수지 중, 중심 금속 원자 기준으로 1 내지 100 ppm의 아연계 촉매 및 10ppm 내지 300ppm의 인계 안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 과정에서는 인계 안정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인계 안정제가 10ppm 내지 300ppm, 바람직하게는 20ppm 내지 200ppm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계 안정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인산,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포노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수지 중, 중심 금속 원자 기준으로 1 내지 100 ppm의 아연계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연계 촉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연 아세테이트, 아연 아세테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 과정의 중축합 반응에서는 티타늄계 화합물, 게르마늄계 화합물, 안티몬계 화합물, 알루미늄계 화합물, 주석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중축합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수지 중 중심 금속 원자 기준으로 1 내지 100 ppm의 함량의 중축합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타늄계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에틸티타네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폴리부틸티타네이트,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 옥틸렌글리콜티타네이트, 락테이트티타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티타네이트, 에틸아세토아세틱에스테르티타네이트, 이소스테아릴티타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실리콘디옥사이드 공중합체, 티타늄디옥사이드/지르코늄디옥사이드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게르마늄계 화합물의 예로는 게르마늄디옥사이드(germanium dioxide, GeO2), 게르마늄테트라클로라이드(germanium tetrachloride, GeCl4), 게르마늄에틸렌글리콕시드(germanium ethyleneglycoxide), 게르마늄아세테이트(germanium acetate), 이들을 이용한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디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게르마늄 디옥사이드로는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글리콜 가용성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200℃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특정 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함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보다 우수한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내화학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100,000 g/mol 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적절한 유동성을 가지게 되어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내충격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포스겐공법으로 제조되어, 비드(Bead) 타입의 외관 특징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전체 충격 보강재 100중량부 대비, 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코어 40 내지 90중량부,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내층 쉘 5 내지 40중량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외층 쉘 5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보강재는 쉘의 구성성분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 모두에 친화성(Affinity)을 나타내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상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안정된 충격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보강재는 평균 입자경이 빛의 파장보다 짧아서 투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반투명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보강재에서, 코어는 부타디엔 단량체 30 내지 100 중량%, 방향족 비닐 단량체 0 내지 70 중량%,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 내지 10 중량%, 가교성 단량체 0 내지 5 중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고, 상기 내층 쉘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 60 내지 98 중량%,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2 내지 40 중량%,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 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며, 상기 외층 쉘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0 내지 100 중량%,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0 내지 90 중량%,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 내지 50 중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 보강재의 코어는 30∼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80 중량% 의 부타디엔 단량체, 0∼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 중량%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0∼10 중량%의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5 중량%의 가교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에서 부타디엔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은 강도면에서 바람직하지만, 테레프탈산을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한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굴절율과 떨어져 있기 때문에, 9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투명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며, 또한, 우수한 강도발현력 측면에서 4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층 쉘은 60∼98 중량%, 바람직하게는 65∼95 중량% 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2∼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35 중량% 의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단량체, 0∼20 중량% 의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내층 쉘을 중합하여 만드는 단량체 혼합물의 주입방법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연속일단추가, 이단추가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외층 쉘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0∼100 중량%,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0∼90 중량%,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50 중량%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층 쉘을 중합하여 만드는 단량체 혼합물의 주입방법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연속일단추가, 이단추가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 보강재에서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반응해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보강재는 고무입자의 굴절율을 높이고, 테레프탈산을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한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굴절율에 접근시킬 수 있는 방향족비닐을 포함하여, 투명하면서도, 충격강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족비닐로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에틸스티렌, 2,5-디메틸스티렌, 4-메톡시스티렌, 4-에톡시스티렌, 4-프로폭시스티렌, 4-부톡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트리클로로스티렌, 비닐톨루엔, 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트리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 이소프로페닐비페닐, 디비닐벤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부타디엔 고무, 방향족 비닐 이외에,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예컨대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부틸 등의 탄소수 1 내지 8 의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페닐, 비닐리덴시아나이트, 1,2-디시아노에틸렌 등의 시안화 비닐화합물,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가교성 단량체로는, 예컨대 디메타아크릴산디비닐벤젠모노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산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교성 단량체는 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충격강도의 저하가 나타나기 때문에, 0∼5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화합물, 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을 사용하는 것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와의 분산성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격 보강재는 평균 입자경이 0.01 내지 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일 수 있으며, 코어(Core)의 유리전이온도는 -20℃ 이하이고, 쉘(Shell)의 유리전이온도는 2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보강재는 그라프트율이 5 내지 9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보강재는 유화중합법(Emulsion process) 또는 현탁중합법(suspension process)에 의해 중합된 것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유화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컴파운딩 과정에서의 분산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서 충격 보강재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MBS) 일 수 있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안정된 충격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으면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의 상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반투명 특성이 우수하므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과, 충격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말레무수산계 상용화제, 포화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는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20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300,000이며, 선택적으로 방향족비닐-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대신할 수 있다.
또, 상기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말레무수산계 상용화제는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20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200 내지 300,000 일 수 있으며, 상기 포화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는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20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30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 내지 300,000이고, 하기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 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6 의 아릴기이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R 은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6 의 아릴기이고, n 은 2 내지 30,000 정수로서 평균중합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광흡수제,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 억제제, 및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 내지 300,00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6, 화학식 7, 및 화학식 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6
상기 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4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화학식 7]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4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고, n 은 1 이상의 정수로서 치환된 반복단위를 나타낸다.
[화학식 8]
Figure pat00008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4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또한, 상기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9 또는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일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at00009
[화학식 10]
Figure pat00010
상기 식에서,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상기 활제는, 금속 스테아레이트계 활제, 아마이드계 활제, 파라핀계 활제, 및 에스테르계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 및 광흡수제는, 할스계 광안정제, 벤조트리아졸계 광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광흡수제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 억제제는 최소한의 히드록실 관능기 및 알킬에스테르 관능기를 포함하는 인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히드라진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11
이러한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광흡수제,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 억제제, 내가수분해제 등의 첨가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충격 보강재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열, UV, 공기 등의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우수한 내열성, 내후성 등을 나타내므로 자동차 내장재, 전기/전자제품, 가전제품, 잡화 등의 범용제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높은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제조
< 실시예 1>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Tg: 120℃, 중량평균분자량 : 5만) 7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30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중량%에 대해 충격 보강재 1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중량부,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는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고충격 친환경수지인 에코젠(ECOZEN),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22PJ, 충격 보강재는 일본 KANEKA사의 M-300,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국 SUNNY FC사의 SAG-002,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사의 AO-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미국 DOVER사의 S-9228 제품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Tg: 130℃, 중량평균분자량 : 4만) 7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30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중량%에 대해 충격 보강재 2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중량부,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는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고충격 친환경수지인 에코젠(ECOZEN),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22PJ, 충격 보강재는 일본 KANEKA사의 M-300,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국 SUNNY FC사의 SAG-002,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사의 AO-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미국 DOVER사의 S-9228 제품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Tg: 120℃, 중량평균분자량 : 5만) 6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40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중량%에 대해 충격 보강재 1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중량부,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는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고충격 친환경수지인 에코젠(ECOZEN),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25PJ, 충격 보강재는 일본 KANEKA사의 M-300,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국 SUNNY FC사의 SAG-002,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사의 AO-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미국 DOVER사의 S-9228 제품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4>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Tg: 120℃, 중량평균분자량 : 5만) 6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40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중량%에 대해 충격 보강재 2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중량부,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는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고충격 친환경수지인 에코젠(ECOZEN),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25PJ, 충격 보강재는 일본 KANEKA사의 M-300,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국 SUNNY FC사의 SAG-002,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사의 AO-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미국 DOVER사의 S-9228 제품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5>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Tg: 120℃, 중량평균분자량 : 5만) 6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40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중량%에 대해 충격 보강재 3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중량부,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는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고충격 친환경수지인 에코젠(ECOZEN),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30PJ, 충격 보강재는 일본 KANEKA사의 M-300,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국 SUNNY FC사의 SAG-002,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사의 AO-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미국 DOVER사의 S-9228 제품을 사용하였다.
< 비교예 1>
충격 보강재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국내 금호석유화학의 HR-181)를 1중량부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지 않고,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1,4-사이클로헥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를 100 중량%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충격보강재를 포함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펠렛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50℃ 에서 동일하게 사출한 후, 사출된 시험편을 23±2℃, 50±5%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상태조절을 하고, 하기와 같이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충격강도 측정
ASTM D 256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아이조드 충격기(Impact Tester, Toyoseiki)를 사용, 충격강도 값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 : 인장특성 측정
ASTM D 638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Roell Z010)를 사용하여 인장강도, 신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3 : 굴곡특성 측정
ASTM D 790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Roell Z010)를 사용하여 굴곡강도, 굴곡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4 : 내열성 측정
ASTM D 648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내열도시험기(HDT Tester, Toyoseiki)를 사용하여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5 : 용융지수 측정
ASTM D1238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용융지수시험기(Melt Flow Indexer, Davenport)를 사용하여 용융지수를 측정하였다.
구 분 단위 실시예
1 2 3 4 5
아이조드충격강도(1/8〃) J/m 850 840 840 845 845
인장강도 kg/cm2 510 520 510 505 500
신율 % 120 130 125 120 135
내열도(1.82MPa) 118 125 122 121 120
굴곡강도 kg/cm2 780 770 765 760 758
굴곡탄성률 20,500 20,300 20,200 20,100 20,050
외관 반투명 반투명 반투명 반투명 반투명
구 분 단위 비교예
1 2 3
아이조드충격강도(1/8〃) J/m 840 850 70~650
인장강도 kg/cm2 500 550 580
신율 % 110 700 180
내열도(1.82MPa) 115 97 115
굴곡강도 kg/cm2 760 750 780
굴곡탄성률 kg/cm2 20,030 20,000 20,100
외관 불투명 투명 반투명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고 이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특정한 코어 쉘 구조의 충격 보강재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5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특히, 특정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지 않거나, 코어 쉘 구조의 충격 보강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내충격성과 내열도를 나타내면서도, 투명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예 3의 아이조드충격강도가 70 내지 650 J/m의 범위로 나타나는 것은 비교예 3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상용성이 좋지 못하여 충격강도의 편차가 70 내지 650 J/m으로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Claims (12)

  1.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아이소소바이드 5 내지 60 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 내지 80 몰%, 및 잔량의 기타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전체 충격 보강재 100중량부 대비, 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코어 40 내지 90중량부,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내층 쉘 5 내지 40중량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외층 쉘 5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보강재; 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95 중량%;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5 내지 95 중량%;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 보강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8 내지 20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 디올 성분은 하기 화학식 1, 2, 및 3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며, n1 및 n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3에서, n 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200℃ 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부타디엔 단량체 30 내지 100 중량%, 방향족 비닐 단량체 0 내지 70 중량%,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 내지 10 중량%, 가교성 단량체 0 내지 5 중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고,
    상기 내층 쉘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 60 내지 98 중량%,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2 내지 40 중량%,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 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며,
    상기 외층 쉘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0 내지 100 중량%,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0 내지 90 중량%,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 내지 50 중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에틸스티렌, 2,5-디메틸스티렌, 4-메톡시스티렌, 4-에톡시스티렌, 4-프로폭시스티렌, 4-부톡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트리클로로스티렌, 비닐톨루엔, 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트리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 이소프로페닐비페닐,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재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말레무수산계 상용화제, 포화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광흡수제,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 억제제, 및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0140158963A 2014-11-14 2014-11-14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217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963A KR102217754B1 (ko) 2014-11-14 2014-11-14 고분자 수지 조성물
PCT/KR2015/012235 WO2016076666A1 (ko) 2014-11-14 2015-11-13 고분자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963A KR102217754B1 (ko) 2014-11-14 2014-11-14 고분자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842A true KR20160057842A (ko) 2016-05-24
KR102217754B1 KR102217754B1 (ko) 2021-02-18

Family

ID=5595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963A KR102217754B1 (ko) 2014-11-14 2014-11-14 고분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7754B1 (ko)
WO (1) WO201607666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05A (ko) * 2017-11-29 2019-06-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충격강도가 개선된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D909495S1 (en) 2018-11-30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ic device
USD910122S1 (en) 2018-11-30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3448A (en) * 1992-03-10 1996-08-06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carbonate polyester blends modified with poly(phenylene ether)
US20070173585A1 (en) * 2004-12-22 2007-07-26 Sevenich Gregory J Polyester nanocomposite filaments and fib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0422A (en) * 1998-04-23 2000-10-31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sters including isosorbide as a comonomer blended with other thermoplastic polymers
JP4486180B2 (ja) * 1999-07-02 2010-06-23 Sabicイノベーティブプラスチッ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熱板溶着性が改良された樹脂組成物
KR101801704B1 (ko) * 2011-10-25 2017-11-2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3448A (en) * 1992-03-10 1996-08-06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carbonate polyester blends modified with poly(phenylene ether)
US20070173585A1 (en) * 2004-12-22 2007-07-26 Sevenich Gregory J Polyester nanocomposite filaments and fib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05A (ko) * 2017-11-29 2019-06-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충격강도가 개선된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D909495S1 (en) 2018-11-30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ic device
USD910122S1 (en) 2018-11-30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6666A1 (ko) 2016-05-19
KR102217754B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8211B2 (ja) 耐衝撃性または耐熱性に優れた高分子樹脂組成物
KR102049411B1 (ko)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119444B1 (ko) 센터페시아용 내화학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6781539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用耐薬品性高分子樹脂組成物
WO2017034376A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2042692B1 (ko)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내열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183440B1 (ko) 내후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217754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049410B1 (ko)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가전기기, 사무기기 또는 생활용품용 부품
KR102046493B1 (ko)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가전기기, 사무기기 또는 생활용품용 부품
KR102210478B1 (ko) 안경테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WO2017034374A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20160051039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